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역사를 움직이는 것, 사건이나 정치가 아닌 돈과 경제다! : 돈의 세계사 1부
(돈이 역사를 뒤흔든 3대 키포인트)
1. 영국 : 해적→월드킹
-
해적질로 부 뿌리 : 스페인·포르투갈 식민지 약탈→금은보화 챙겨서 국가 예산 폭풍 성장.
"60만 파운드(영국 1년 예산 3배)를 한 방에 챙긴 드레이크 ㅎㄷㄷ" -
중앙은행 장착 : 1694년 영란은행 설립. 국채 발행→군사력 강화→식민지 확장.
"세계 최초 중앙은행이 전쟁 자금 줄인 이자율 3%→군대 미친 확장" -
파운드의 시대 : 금본위제로 100년간 물가 안정→전 세계 무역결제 통화로 등극.
2. 미국 : 전쟁→달러패권
-
1차 세계대전 : 영·프 전비 지원→미국 채권국 전환.
"전쟁 끝나도 빚 독일에게 떠넘겨→히틀러 등장 발판" -
브레튼우즈 : 1944년 달러=금 본위제로 지정.
"전 세계 금 80% 보유한 미국의 깡패 인증" -
마셜플랜 : 유럽에 130억 달러(현재 1,500조 원) 쏟아붓고 시장 장악.
"돈 주고 유럽을 미국 공장 시장으로 개조 ㅇㅈ?"
3. 중국·독일 : 반격 실패사
-
아편전쟁 : 영국, 청나라에 아편 강판→무역적자 메꾸려다 전쟁 개패스.
"19세기 중국 GDP 30%→총알 한 방에 무너짐" -
독일의 좌절 : 1차 대전 후 과도한 배상금→히퍼인플레→나치 등장.
"빵 1조 마르크 시대→히틀러 '우린 흑역사 아님' 드립"
💸 결론 : 돈의 법칙
-
패권은 군사력X, 금융시스템O : 영란은행·브레튼우즈가 증명
-
전쟁=돈놀이 : 미국, 전쟁으로 달러 패권 장악
-
"역사는 승자 기록" : 지금도 중국 위안화 도전 중→새로운 돈 전쟁 예고
"다음 편 예고: 달러 패망설 진짜 될까? 비트코인은 새로운 금?"
👉 인싸템: 영국 해적 드라마 '블랙사일' 추천
냉전 시대부터 미중 갈등까지, 세계 경제의 패권은 어디로 향하는가? : 돈의 세계사 2부
(🌍 냉전부터 미중 갈등까지: 돈의 세계사 2부 핵심 요약)
↓ https://www.youtube.com/watch?v=ES7savv3kzM
1. 미국 달러 패권의 3대 축
-
금본위제 → 석유본위제:
- 1944년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달러=금 고정 → 1971년 닉슨 쇼크로 금태환 중단
- "석유=달러" 동맹: 사우디와 협정 체결(석유 거래 달러화 강제), OPEC 국가들 달러 예치금 유치
- 군사력 백업: 전 세계 800개 해외기지, 호르무즈 해협 통제 -
달러의 무기화:
- SWIFT 제재(이란·러시아 차단 사례), 글로벌 기업들의 달러 결제 의존도 88%
- 2022년 기준 외환보유액 중 달러 비중 59.8%
2. 석유 정치학의 역설
-
오일쇼크의 교훈:
- 1973년 OPEC 석유 금수조치 → 서방국가 GDP 4.7% 하락, 인플레이션 12% 급등
- "석유 무기화" 실패: 아랍국 내분(이집트-이스라엘 캠프데이비드 협정), 사우디-이란 대립 -
중동 패권 재편:
- 2014년 셰일가스 혁명 → 미국 1위 산유국 등극(일일 1,300만 배럴)
- 중국의 중동 진출: 2022년 사우디 석유 수입 26% 차지, 위안화 결제 확대
3. 글로벌 금융의 암흑가
-
조세회피 천국:
- 버진아일랜드·케이맨 제도 등 영국 식민지 출신 조세피스(세계 부의 10% 은닉)
- "더블 아이리시" 전략: 애플·구글 등 다국적기업 세금 회피 구조 -
금융위기의 진짜 주범:
-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 런던 금융가 중심 파생상품 거품(CDO 발행량 62조 달러)
- "Too Big to Fail": 미국 정부의 골드만삭스·AIG 구제(7,000억 달러 투입)
4. 중국의 도전과 미중 패권전
-
위안화 국제화 전략:
- 일대일로 프로젝트(152개국 참여, 1조 달러 투자) → 위안화 결제 비중 3.2%로 상승
- 디지털 위안화(DCEP) 선점: 2023년 2억 명 사용자 돌파, SWIFT 시스템 우회 시도 -
기술 패권 쟁탈:
- 반도체 전쟁: TSMC 장비 수출통제(미국 주도), 중국 3,400억 달러 투자 계획
- AI·양자컴퓨팅: 미국 GPT 기술 vs 중국 바이두 ERNIE 모델
5. 미래 화폐 전쟁의 3가지 시나리오
-
달러 체제 유지:
-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개발 경쟁(130개국 참여), 미국 "디지털 달러" 2025년 시범 도입
- 리스크: 암호화폐(비트코인 시가총액 1조 달러)의 도전 -
다극화 시대:
- 유로·위안화·루블 블록 형성(2023년 BRICS 확대)
- 신남방정책 2.0: 인도·동남아 시장 공략(한국-인도 FTA 체결 예정) -
ESG 금융 패권:
- 탄소배출권 거래(2030년 100조 원 시장 전망), 그린본드 발행 급증(2022년 5,000억 달러)
- 한국의 기회: 수소경제 선점(2040년 130조 원 투자 계획)
🔮 결론: 패권 이동의 5대 신호
-
에너지 전환 → 재생에너지 기술 보유국 부상
-
디지털 화폐 → CBDC 표준 주도권 경쟁
-
반도체 지배 → AI·양자 기술 선점
-
탄소 국경세 → ESG 금융 규제 주도권
-
인구구조 변화 → 아프리카·인도 시장 장악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지만, 다음 승자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21세기 패권은 에너지+기술+금융을 결합한 국가에게 돌아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