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일부 신도시 부지 발표 전 사전 매입 의혹
"LH 직원 투자 말란 법 있나" 두둔 논란 일기도
"그야말로 충격", "엄벌해야" 2030 '허탈감' 토로
與 "공직자 부동산 투기 이익 환수할 것"
◆"기울어진 운동장서 발버둥 쳤다" 2030 '박탈감' 토로
상황이 이렇다 보니 LH 투기 의혹을 바라보는 2030 세대의 분노도 커지고 있다. 부·자산 등이 정당한 노동의 대가가 아닌, 권력과 내부정보를 가진 사람에게만 주어지는 것처럼 느껴져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는 지적이다.
20대 직장인 A 씨는 "의혹이 실제였던 것으로 밝혀지면 정말로 충격 받을 것 같다"며 "지금까지 열심히 일한 만큼 그래도 보상이 나오는 세상에서 살았다고 믿어 왔는데, 사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발버둥 치고 있었던 게 아니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또 다른 직장인 B(32) 씨는 "그야말로 반칙이고, 불공정이다. 누구는 단칸방 하나 얻어보려고 야근에 영끌까지 하는데, 누구는 공기업 직원이라는 이유 하나 만으로 앉아서 떼돈을 버는 게 말이 되나"라며 "사회 정의와 시장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이번 사태에 연루된 공직자들은 반드시 엄벌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 의무 제도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직장인 C(28) 씨는 "일부 LH 직원들이 신도시로 지정될 곳에 땅을 미리 사두는 행위를 당연하게 여기는 인식도 충격적이었다"라며 "공직 사회의 부정부패 문제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때가 아닌가"라고 말하기도 했다.
https://news.nate.com/view/20210309n0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