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전거

미니벨로.로드자전거.전기자전거.용품.여행

조회 수 1384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자전거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자가 교체하는 과정은 패드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구조 이해와 몇 가지 주의사항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브레이크 패드의 기본 구조 이해

  • 가장 기본적인 모델은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됩니다.
  • 패드 두 개가 리턴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가장자리의 홈에 끼워져 있습니다. 리턴 스프링은 브레이크 레버를 놓았을 때 패드가 살짝 벌어져 로터에 닿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핀은 캘리퍼와 브레이크 패드, 리턴 스프링을 고정하여 패드가 이탈하지 않도록 해줍니다. 핀 끝을 롱노우즈 등으로 벌려서 빠지지 않게 합니다.
  • 시마노 제품 중에는 위쪽으로 빠지거나, 볼트로 조여서 고정하는 다른 모델도 있습니다. 방열판이 있는 패드도 있으며, 핀 대신 패드 액슬이라는 육각 볼트가 고정하고, 반대편에는 스냅 리테이너가 패드 액슬을 잡고 있는 형태도 있습니다.

2. 패드 교체 시기 확인

  • 패드 교체 시기는 패드의 두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패드 두께가 적당히 남아있으면 수명이 남아있는 것이고, 두께가 보이지 않고 핀과 거의 똑같아 보이면 교체해야 합니다.
  • 패드 마모가 심해져 리턴 스프링이 로터에 닿으면 "팅팅"거리는 소리가 나면서 제동이 되지 않습니다.
  • 철판이 로터에 닿아 제동하게 되면 로터도 손상될 수 있으며, 제동이 아예 되지 않습니다. 리턴 스프링이 마모되어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단계까지 사용하면 안 됩니다.

3. 패드 제거 및 피스톤 삽입 (핀 방식 기준)

  • 롱노우즈로 핀 끝을 일자로 펴서 핀을 뽑습니다.
  • 핀을 뺀 후, 바퀴를 분리하고 패드를 위에서 밀면 안쪽으로 빠집니다.
  • 패드 제거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레버를 잡지 마세요. 피스톤이 튀어나와 패드 재장착이 어려워지거나 로터에 걸려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패드를 제거하면 피스톤이 튀어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피스톤은 패드 마모로 인해 자동으로 밀려나온 것으로, 새 패드를 장착하기 전에 피스톤을 다시 밀어 넣어야 합니다.
  • 피스톤을 밀어 넣을 때 드라이버 등 금속 도구를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피스톤이 손상되면 오일이 새고 캘리퍼 전체를 교체해야 할 수 있습니다.
  • 플라스틱 주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피스톤을 눌러 넣어줍니다. 한쪽 모서리만 누르지 말고 위아래를 같이 눌러 평평하게 들어가도록 합니다.
  • 양쪽 피스톤이 고르게 들어가야 좋으며, 한쪽만 더 튀어나오는 경우 한쪽이 더 잘 움직인다는 의미입니다.
  • 만약 피스톤을 눌렀을 때 반대편 피스톤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다면, 이는 오일량이 너무 많은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때는 레버 쪽에 있는 오일 주입구를 살짝 열어 오일을 몇 방울 흘려보내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4. 캘리퍼 내부 청소

  • 오래된 패드 마모로 인해 캘리퍼 안쪽에 분진이 많을 수 있으므로, 솔이나 헝겊으로 안쪽을 닦아주면 좋습니다.

5. 새 패드 장착 (핀 방식 기준)

  • 새 패드에 리턴 스프링을 가장자리에 끼웁니다.
  • 패드에 방열판이 있는 경우 좌우(R/L) 표시가 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하고 끼웁니다.
  • 패드를 핀 구멍에 맞춰 캘리퍼 안쪽으로 넣어줍니다.
  • 핀을 다시 끼우고, 핀 끝을 롱노우즈로 살짝 구부려 빠지지 않게 고정합니다. 새 패드에는 보통 길이가 다른 핀이 여러 개 제공될 수 있습니다.

6. 로터 간섭 확인 및 조정

  • 바퀴를 다시 장착하고, 브레이크 레버를 몇 번 잡아서 패드가 자동으로 간격을 잡도록 합니다.
  • 바퀴를 돌려 패드가 로터에 닿는지, "칼 가는" 소리가 나는지 확인합니다.
  • 만약 패드가 로터에 닿아 소음이 발생한다면, **캘리퍼 옆구리에 있는 볼트(위아래 두 개)**를 살짝 풀어서 캘리퍼를 좌우로 움직여 로터에 닿지 않도록 정렬한 후 다시 조여줍니다. 캘리퍼를 두 개로 쪼개는 볼트(캘리퍼를 가로지르는 볼트)는 절대 풀면 안 됩니다. 풀면 오일이 새어 나옵니다.

7. 볼트 고정 방식(패드 액슬) 패드 교체

  • 패드 액슬이 육각 볼트로 고정된 패드의 경우, 먼저 반대편의 스냅 리테이너를 빼줍니다. 스냅 리테이너는 패드 액슬을 잡고 있는 역할을 합니다.
  • 육각 렌치로 패드 액슬 볼트를 돌려 빼줍니다. 이 볼트는 꽉 조일 필요가 없습니다.
  • 패드 액슬을 제거한 후 패드를 아래로 뽑아내면 됩니다.
  • 새 패드를 넣고 패드 액슬을 중간에 잘 맞춰 넣어준 후 손으로 적당히 돌려 조이고, 스냅 리테이너를 다시 끼워 고정합니다.
  • 스냅 리테이너는 작지만 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볼트가 빠지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자전거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안전하게 자가 교체할 수 있습니다.


자전거

미니벨로.로드자전거.전기자전거.용품.여행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HOT글 자전거 유압브레이크 오일보충 블리딩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기 2 file 2025.06.21 1455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16 2024.11.04 2804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25.01.21 22241
146 허브모터는 스피드, 중앙모터는 토크센서는 업계 국룰 2024.08.27 79
145 허브모터 센터모터에 대해 알아보 2024.08.27 87
144 한강틀 : "이보게 젊은이....자네 자전거는 어디껀가....?" file 2024.10.18 1488
143 하아 카브에픽 타니까 틴커 마렵다...틴커가 확실히 좋긴하다 2024.06.30 176
142 픽시 브레이크 쉽게 탈부착 하는 방법 #픽시 file 2025.06.21 1378
141 픽도의 정석 내가 완벽하게 정리해줌 2024.10.18 1486
140 평상복 입고 자전거 종주하는 사람도 있어..?ㅠㅠ 1 2024.10.14 30
139 펑크난김에 타이어교체 file 2024.10.11 241
138 팻타이어 괴물자전거 볼트몬스터 FB20과 신상 FB20P 비교영상 file 2024.08.10 90
137 팩트]턴백트론 vs 듄드라이브 간단비교 2024.08.11 134
136 파스+스로틀 겸용 PM보험 2024.08.17 236
135 티티카카 접이식 스프린터 어때? 1 2024.10.14 67
134 퇴직하신 아부지 자전거 사드리려고 하는데 입문용 자전거면 충분할까? 1 2024.10.14 39
133 퇴근하고 부업으로 배민 조금씩 해보려는디 20팬텀 fe 괜찮을까오? 2024.08.27 19
132 타이탄 버리고 퀄리 엑스트론 프로 샀다. 2024.09.23 178
131 퀄리에 불만인 유동들 생길 수 밖에 없는 점 2024.06.30 72
130 퀄리 엑스트론 프로 후기 2024.09.23 288
129 퀄리 엑스트론 프로 삿는데 배터리 이거맞음?(진짜모름) 2 file 2024.09.23 182
128 퀄리 엑스트론 시티 출고하고 하루만에 PM보험 가입함 file 2024.08.17 144
127 퀄리 엑스트론 배터리 열쇠키 잃어버렸는데 신청하니 2개월걸린다고 함. 퀄리 걸러라 secret 2024.10.24 2011
126 퀄리 신형 이슈모음 6.15 업데이트 file 2024.06.30 58
125 퀄리 시티 이제 진짜 자리잡은거겠지? 2024.08.16 40
124 퀄리 볼트b 키박스 자가설치 문의 1 2024.10.11 335
123 퀄리 또 터졌네 file 2024.10.01 122
122 퀄리 QC가 개판나는 이유 2 file 2024.09.26 128
121 출퇴근용으로 작은 자전거 당근에서 샀는데 1 2024.10.14 31
120 출근/배달용 퀄리 엑스트론 프로 괜츈하냐? 1 2024.09.23 307
119 짱깨티드 변명 웃긴점ㅋ 2024.06.30 87
118 진짜 자전거 태생 따라갈려면 미드모터임 2024.08.16 31
117 지금까지 썼던 벨 후기남겨봄.txt 1 file 2024.10.18 145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