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퀘어 광장

진짜로 흥미로운 거라면 뭐든지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img.jpg

 

img.png

 

약자를 말살한다.

 

신중하지 못한 질문이지만 의문스럽게 생각했던 것이라 답변해주셨으면 합니다.

자연계에는 약육강식이라는 단어대로 약자가 강자에게 포식당합니다.

 

하지만 인간사회에서는 왜 그게 이루어지지 않을까요?

문명이 이루어질 무렵에는 종족끼리의 싸움이 이루어지고 약자는 죽임을 당해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사회에서 약자는 세금이다 뭐다해서 살려둡니다.

뛰어난 유전자가 살아남는 것이 자연의 섭리가 아닐까요.

지금의 인간사회는 이치에 맞지 않는 건 아닐까요.

 

인권 등의 이야기는 빼고 답해주셨으면 합니다.

 

 

img.png

 

 

으음....흔히 하는 착각입니다만 자연계는 '약육강식'이 아닙니다.

약하다고 반드시 잡아먹힌다고 할 수 없고, 강하다고 꼭 잡아먹는 쪽은 아닙니다.

호랑이는 토끼와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하지만 토끼는 전세계에서 번영하고 있으며 호랑이는 멸종 위기에 몰려있습니다.

 

***

 

자연계의 법칙은 개체 레벨에서는 '전육전식'이고 종레벨에서는 '적자생존'입니다.

 

개체 레벨에서는 최종적으로 모든 개체가 '먹힙'니다.

모든 개체는 다소 수명의 차는 있지만 반드시 죽습니다.

개체간의 수명 차이는 자연계 전체에서 본다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어떤 개가 2년을 살고, 다른 개가 10년을 산다고 해도 그건 대부분 크게 다르지 않은 아무래도 좋은 차이입니다.

 

종 레벨에서는 '적자생존'입니다.

이 말은 오해받은 상태로 널리 퍼져있지만 결코 '약육강식'의 의미가 아닙니다.

'강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적자'가 살아남는 것입니다.

('살아남는'다는 의미는 '개체가 살아남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유전자가 다음 세대에 이어진다'는 의미라는 것에 주의)

 

그리고 자연이라는 것의 특징은 '무한하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의 환경적응법이 있다'라는 것입니다.

 

꼭 활발하다고 살아남는다고 할 수 없고, 나무늘보나 심해생물처럼 극단적으로 대사를 떨어트린 생존전략도 있습니다.

다산하는 생물, 소산하는 생물, 빠른 것도 느린 것도, 강한 것, 약한 것, 큰 것, 작은 것...

여러 형태의 생물이 존재하는 것은 잘 아실 것입니다.

 

'적응'만 되어있다면 강하든 약하든 관계없습니다.

 

그리고 '적자생존'의 의미가 '개체가 살아남는 것' 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유전자가 다음세대에 이어진다' 라는 의미인 이상

어느 특정 개체가 외적에게 잡아먹히든 아니든 관계없습니다.

 

10년을 살면서 자손을 1마리만 남기지 못한 개체와

1년밖에 못살면서 자손을 10마리 낳은 개체의 경우

후자쪽이 보다 '적자'로서 '생존'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존'이 '자손을 남기는 것'이며 '적응'의 방법이 무수한 가능성을 가진 것인 이상

어떤 방법으로 '적응'을 하는 가는 그 생물의 생존전략 나름이라는 말입니다.

 

인간의 생존전략은...'사회성'

 

고도로 기능적인 사회를 만들어 그 상조작용으로 개체를 보호합니다.

개별적으로는 장기생존이 불가능한 개체(=즉, 질문자가 말하는 "약자"입니다)도 살아남게 하면서 자손의 번영 가능성을 최대화한다...

라는 것이 전략입니다.

 

얼마나 많은 개체를 살아남길 것인지, 어느 정도의 "약자"를 살릴 수 있을지는 그 사회가 지닌 힘에 비례합니다.

인류는 문명을 발전시키면서 이전 시대에는 살릴 수 없었던 개체도 살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생물의 생존전략으로서는 대성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이 자손을 늘리는 건 근원적인 것이며 그 것 자체의 가치를 물어봐도 무의미합니다.

'이렇게 수를 많이 늘릴 필요가 있는가?' 라는 의문은 자연계에 입각해서 말하는 이상 의미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우수한 유전자'라는 건 없습니다.

있는 것은 '어느 특정 환경에서 유효할지도 모르는 유전자'입니다.

 

유전자에 따라 발현되는 그러한 "형질"이 어떤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할지는 계산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현대사회의 인류에게 '장애'로밖에 보이지 않는 형질도 장래에는 '유효한 형질'이 될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가능한 많은 패턴의 '장애(=요컨대 형질적인 이레귤러입니다만)'를 품어두는 편이 생존전략상 '보험'이 됩니다.

 

('선천적으로 눈이 보이지 않는 것이 어떤 상황에서 유리한가?' 라는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그것이야말로 누구도 알 수 없는 일입니다. 자연이란, 무수한 가능성의 덩어리입니다.

모든 것을 계산할 수 있는 건 신이 아닌 인간에게는 불가능하니까요)

 

아마존의 정글에서 혼자 방치되어서 살아남을 수 있는 현대인은 없습니다.

그렇다는 건 '사회'라는 것이 없이 자연상태 그대로에 놓일 경우 인간은 전원 '약자'가 됩니다.

 

그 '약자'들이 모여서 가능한한 많은 '약자'를 살리려고 하는 것이 인간의 생존전략입니다.

 

그래서 사회과학에서는 '투쟁'도 '협동'도 인간사회의 구성요소지만 '인간사회'의 본질로 보자면 '협동'이 더 정답에 근접한다고 합니다.

'투쟁'이 얼마나 활발화되든지간에 마지막에는 '협동'해야만 인간이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들 전원이 '약자'이며 '약자'를 살리는 것이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퀘어 광장

진짜로 흥미로운 거라면 뭐든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이슈 서브덕질 규칙 1 2024.10.05 6309 0
HOT글 유머 가슴이 작아서 고민인 친구.jpg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1 file 2025.07.24 1852 10
HOT글 유머 팥빙수 혼자 먹으면 밥이 될 수 있다 vs 없다 file 2025.07.31 559 5
HOT글 유머 러닝크루 단톡방에 올리면 강퇴당하는 짤 1 file 2025.07.22 473 5
공지 🔥 홍보하고 포인트 받아보세요 update 2025.07.30 547 0
공지 유머 🚨 “뉴비 필독! 덕질 커뮤니티 한눈에 꿀가이드” 24 2024.11.04 40315 66
160814 주식에서 곱버스가 무엇이고 곱버스를 하면 안되는 이유 2021.01.25 251 0
160813 여자 롤 BJ 수입 보고 현타온 스맵 2021.01.25 242 0
160812 남페미 근황 file 2021.01.25 239 0
160811 네네 콘샐러드 서비스 논란 ㄷㄷ....jpg file 2021.01.25 251 0
160810 페미들이 자신감 떨어질때 해결법 file 2021.01.25 220 0
160809 집단감염 터진 대전 시내 상황... file 2021.01.25 222 0
160808 성추행 사퇴 레전드 file 2021.01.25 204 0
160807 [속보] 이재용측 "판결 겸허히 수용…재상고 않기로" file 2021.01.25 229 0
160806 저같은 사람 또 있나요? file 2021.01.25 219 0
160805 원기옥 모으는 중국 file 2021.01.25 220 0
160804 축의금 5만원내고 욕 먹었어요 file 2021.01.25 238 0
160803 성추행 사퇴 레전드2 file 2021.01.25 206 0
160802 또 발작한 중국 file 2021.01.25 215 0
160801 액상과당 과잉섭취시 file 2021.01.25 222 0
160800 폐차장에서 주운 현대차 file 2021.01.25 203 0
160799 래퍼 아이언 숨진 채 발견 file 2021.01.25 216 0
160798 단독] 배우 송유정, 26세에 갑작스레 사망 file 2021.01.25 222 0
160797 이스라엘도 등쳐먹는 나라 file 2021.01.25 193 0
160796 [단독]SK와이번스 야구단, 신세계 이마트에 팔린다 file 2021.01.25 213 0
160795 쯔양 고소 file 2021.01.25 178 0
160794 물물교환 file 2021.01.25 162 0
160793 누나에 대한 악플에 열받은 하승진 근황 file 2021.01.25 217 0
160792 군대 '고문관' 단어의 유래 file 2021.01.25 197 0
160791 한국인들이 암내가 덜 나는 이유 file 2021.01.25 213 0
160790 바지 입은 흑인 남자들.jpg file 2021.01.25 217 0
160789 평생 까방권 얻은 남편 file 2021.01.25 220 0
160788 특S급 짝퉁이 나오는 이유 file 2021.01.25 231 0
160787 인류가 만든 가장 거대한 비행체 file 2021.01.25 213 0
160786 강아지의 예민한 감각 file 2021.01.25 201 0
160785 K-강제징용 근황 file 2021.01.25 214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361 Next
/ 5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