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퀘어

진짜로 흥미로운 거라면 뭐든지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https://newstapa.org/article/3M2Rx

 

꼭 전문 읽어보기를 추천 

뉴스타파 기자가 말하는 제주항공 참사를 취재하는 언론들을 모습에서

‘아직 부족하지만, 분명 나아진 점이 있다'고 평가했다는거에 인상깊어서 퍼옴 

 

qTUlra
 

 

요약 

1. 유가족 대표단이 "취재기자 풀단" 요청하여 꾸려저서 기자들의 경쟁적이고 반복된 취재가 방지됨 

2. 유가족 대표단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함

3. 자기들끼리만 공유하려는 풀단 카르텔이 깨지면서 경쟁적 취재 분위기가 잦아듬 

 

1. 유가족 대표단이 "취재기자 풀단" 요청하여 꾸려짐

 풀단 = 유가족에게 취재할 수 있는 정해진 기자단

 

"예컨대 재난참사 현장에서 피해자를 상대로 '당시 상황이 어땠나요?'라는 질문은 당연히 나올 수 있다. 그런데 10명의 기자가 똑같이 물어본다면 어떨까. 참사 당시에 대한 반복적인 회상이 트라우마를 악화시킬 수 있지 않을까. 그냥 풀단을 꾸리고 대표 기자 한두 명을 정해 질문하게 한 뒤 답변 내용을 모두 공유하면 되지 않을까."

 

'풀단 꾸려 취재하라' 모두 수긍했다
12월 30일,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들은 참사 하루 만에 '유가족 대표단'(현 유가족 비상대책위원회)을 구성했다. 대표단은 유가족들의 요구 사항을 정부 측에 전달하고, 희생자 수습과 신원 확인, 추모 시설 설치 등과 관련해 당국과 수시로 논의하는 역할을 맡았다.
대표단은 기자들에게 '취재기자 풀단'을 만들라고도 요청했다. 여러 기자가 계속 대표단을 찾아와 취재를 시도하면, 대표단의 본 업무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였다. 유가족이 기자들에게 풀 취재단을 만들라고 제안한 건 처음 본 광경이었다. 바로 풀 취재단 단체 대화방이 만들어졌고, 대표단에서 정한 언론 담당 유가족 1명이 대화방에 들어왔다. 이에 따라 언론 담당 유가족을 통한 취재만 가능했고, 별도로 대표단이나 여타 유가족을 접촉하지 말자는 규칙이 세워졌다. 거의 모든 기자들은 유가족의 요구와 규칙을 지켰다. 풀단 밖에서 독단적으로 대표단을 취재하려는 기자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아직 희생자 신원 확인이 진행 중인데, 유가족 부담을 늘리는 과도한 취재는 서로 하지 말자는 암묵적인 합의가 이뤄진 것 같았다. 또 기자들은 유가족이 머무는 텐트 주변으로 가지 않았고, 바로 옆에서 유가족들이 얘기하고 있어도 말을 걸지 않았다. 유가족들의 대화 중에는 분명 기자의 궁금증을 자아내는 소재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기자들은 유가족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려 노력했다.

 

유가족 항의에 대한 반응과 수용도 빨랐다. 단체 대화방에서 언론 담당 유가족이 기사의 오류를 지적하면, 기자들은 바로 사과하고 기사를 수정했다. 취재 방식에 의문을 제기할 때도 충분히 설명했다. '무언가 다르다'고 느꼈다.

 

 

2. 유가족 대표단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함

유가족들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할 수 있도록  주최자가 됨 ㅇㅇ 

그래서 미리 질문을 받았고 오히려 이 덕분에 유가족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고 함 

 

유가족이 브리핑을 통해 취재를 조율하다 
대표단을 찾아 브리핑을 정기로 진행하는 건 어떤지 제안했다. 그래야 기자들로서는 더 준비된 상태에서 브리핑 취재에 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대표단은 이를 수용했고, 오전·오후 한 번씩 국토교통부·경찰 등과 합동 정기 브리핑을 하기로 했다. 또 만약 급하게 브리핑을 해야 할 일이 생긴다면, 사전에 풀 취재단에 공지하기로 했다. 
다른 일도 있었다. 여러 브리핑이 진행되는 동안 기자들은 거의 질문을 할 수 없었다. 브리핑은 '유가족 대상'이었기 때문에 질문은 유가족만 하는 식이었다. 기자들로서도 분명 대표단에 따로 묻고 싶은 것이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표단에 기자회견을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물었고, 그 취지 또한 설명했다. 대표단은 고심 끝에 기자회견을 승낙했다. 다만 모든 기자의 질문을 다 받긴 어렵다고 했고, 최대 10개 질문을 뽑아주길 원했다. 당장 본 업무를 하기도 바쁜 대표단의 특성상 오래 기자회견을 할 수 없었을 테니, 당연한 요구였다. 대표단 사무실도 협소했기 때문에 영상취재, 사진, 취재기자의 수도 각각 서너 명 정도로 제한했다. 
이후 풀 취재단에서 기자회견에 들어갈 대표 기자를 뽑았고, 질문도 취합해 10개로 추렸다. 이 과정에서 의문을 제기하거나 '질문 수가 너무 적다', '자신의 질문을 꼭 넣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는 기자는 없었다. 그렇게 1월 2일 기자회견이 차질 없이 진행됐고, 회견 내용은 곳곳에 보도됐다.
그동안 재난 현장에서 유가족은 '취재 대상'으로만 여겨졌다. 언론이 관찰하고, 물어보고, 촬영하는 객체였다. 그러나 무안공항에서는 달랐다. 어떻게 하면 피해자의 권리를 지키며 동시에 보도의 필요성도 충족할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하고 조율하는 '언론 활동의 주체'였다.  

 

3. 풀단 카르텔이 깨짐 

지상파 풀단과, 종편 풀단 2군데에서 촬영하면 다른 독립, 영세 언론에게 영상들을 공유안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깨졌다고 함 

덕분에 경쟁적인 취재가 덜해졌다고 

 

무안공항에서도 지상파·종편 풀단 영상취재기자 각 1명이 분향소를 대표로 촬영하겠다고 손을 들었다. 그런데 만약 이들이 '인터넷 언론과는 영상을 공유하지 않는다'고 했으면 어땠을까. 영상 풀 취재에 회의감을 느낀 언론사들이 독자적으로 취재에 나섰을 수 있다. 아니면 인터넷 언론을 위한 자리도 분향소 내에 따로 만들어 달라고 했을 수 있다. 무엇이든, '경쟁'에 기반한 언론의 취재 관행이 온전한 추모와 애도를 방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은 분명하다.
이번 현장은 달랐다. 분향소 촬영을 맡게 된 지상파·종편 풀단 영상취재기자 각 1명은 뉴스타파 등과도 영상을 다 공유하겠다고 했고, 아무도 반대하지 않았다. 지난 이태원 참사 때와는 달라진 취재 환경이었다. 거듭 말하지만 취재 영상이 뉴스타파 등에게까지 폭넓게 공유된 경우는 매우 드물다.  
1월 2일과 6일 열린 유가족 대표단 기자회견 때도 똑같이 영상취재 풀단이 꾸려졌다. 이때도 모든 영상은 공유됐다. 적어도 무안공항에는 취재 영상을 독점하려는 카르텔이 없었다.

 


물론 기사를 보면 아직도 개판인 언론사도 있었다고함

많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세월호참사와 이태원 참사 이후로

피해자들을 향한 배려와 정확한 보도를 향한 고민들이 현장에서 조금씩은 이어지고 있다는 이야기 


스퀘어

진짜로 흥미로운 거라면 뭐든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이슈 서브덕질 규칙 1 2024.10.05 4902 0
HOT글 유머 인생 바꾼 여행을 하고 우는 기안84.jpg 1 file 2025.06.30 981 2
HOT글 유머 완벽주의 성향 갖고 있다면 공감할 키오프 벨 발언 file 2025.07.18 434 1
HOT글 유머 사우디아라비아 2천원짜리 수박 5 file 2025.07.10 1029 1
공지 유머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2 2024.11.04 29447 66
공지 이슈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25.01.21 23329 44
160150 유머 다이소 알바 후기 푼다(진상주의) newfile 2025.07.20 49 0
160149 기사/뉴스 하이키, '여름이었다' 막방에도 차트 정주행..여름 대표곡 급부상 newfile 2025.07.20 49 0
160148 이슈 남돌 준비 하는거 같은 키스오브라이프 회사 file 2025.07.19 163 0
160147 기사/뉴스 [뮤직뱅크] 하이키, 장마 잊게 하는 시원한 무대...‘여름이었다’ file 2025.07.19 228 0
160146 기사/뉴스 육성재, 오늘(19일) 홍콩 단독 팬콘서트 file 2025.07.19 248 0
160145 유머 완벽주의 성향 갖고 있다면 공감할 키오프 벨 발언 file 2025.07.18 434 1
160144 이슈 한 팬이 돌에게 닮았다고 선물한 캐릭터 인형 file 2025.07.18 422 0
160143 이슈 서울아레나 근황 2 file 2025.07.18 446 0
160142 유머 딸 키울 땐 공주 대접을 해야 함 1 file 2025.07.18 431 0
160141 이슈 상선 암 환자들이 자주 듣는다는 말 1 file 2025.07.18 435 0
160140 유머 사랑은 타이밍이란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는 걸 보여주는 연프 file 2025.07.18 1513 0
160139 팁/유용/추천 (현장사진+영상) 통일교 본산을 털어?' 발칵.. 신자 '우르르' 엎드려 오열 3 file 2025.07.18 458 0
160138 이슈 카페가 한 군데 다 몰려있을 때 어디 갈래? 2 file 2025.07.18 440 0
160137 기사/뉴스 "물 찼잖아!" 뺨 때리고 욕설…수해현장 간 군수 '날벼락' 2 file 2025.07.18 440 0
160136 유머 서양여자들한테 인기많은 페티쉬.jpg 1 file 2025.07.18 473 0
160135 기사/뉴스 디모 렉스, '뱅어' 영상 공개..방예담의 자유로운 음악 세계 file 2025.07.18 457 0
160134 유머 김지유가 만화 속 주인공 아니냐고 평가한 한 여자 이상형.jpg file 2025.07.18 465 0
160133 이슈 레깅스를 본인들이 입고 남자들 시선 받는 건 싫다.jpg file 2025.07.18 449 0
160132 유머 사춘기 아들 썰 푸는 고소영 근황.jpg file 2025.07.18 477 0
160131 이슈 생중계 최고시청자 30만 찍었다는 불꽃야구(불꽃 파이터즈) 근황 ㄷㄷ file 2025.07.18 486 0
160130 기사/뉴스 이프아이, ‘r u ok?’ 성공적 컴백 (‘엠카’) file 2025.07.18 486 0
160129 유머 알루미늄 호일의 숨은 활용법 file 2025.07.18 622 0
160128 기사/뉴스 [자막뉴스] "난 당했어..감방생활 힘들다" 공개된 尹편지 '환각 수준 file 2025.07.17 706 0
160127 유머 4년 전 서바이벌 오디션 참가자에서 이제는 심사위원으로 출연한다는 케플러 샤오팅 file 2025.07.17 1815 0
160126 유머 박세미(서준맘)이 미모 상위 몇 프로냐고 묻자 성형외과 의사가 한 대답 file 2025.07.17 1709 0
160125 유머 인형뽑기 하수와 고수의 차이.jpg file 2025.07.17 692 0
160124 기사/뉴스 디모 렉스, 알고보니 방예담… “새로운 페르소나” file 2025.07.17 742 0
160123 기사/뉴스 규빈, ‘ON THE K : FANTASIA’ 성공적 마무리...눈부신 라이브로 ‘팬심 저격’ file 2025.07.17 751 0
160122 유머 비비지 팝유어옹동이 안무 만들었다는 카니 file 2025.07.16 1156 0
160121 유머 [SKT 집단소송] SKT 유심 해킹 사태 손해배상청구 집단소송 원고 모집 file 2025.07.16 901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339 Next
/ 5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