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포·파주 이어 고양시도 '경보' 발령

0005038594_001_20230707133606300.png

말라리아 매개 모기와 일반모기 비교. 사진=질병관리청

 

[파이낸셜뉴스] 경기도는 6일 고양시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하고 해당 지역 거주자와 방문객들에게 감염 예방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올해 들어 도내 말라리아 경보 발령은 지난달 1일 김포·파주시에 이어 두 번째다.

말라리아 ‘군집추정사례’가 발생함에 따른 것으로, 말라리아 위험지역 내에서 2명 이상의 환자가 증상 발생 간격이 30일 이내이고, 거주지 거리가 1㎞ 이내인 경우를 말한다.

올해부터는 3명 이상일 경우 지역사회 내 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해당 시군구에 경보를 발령한다. 김포·파주시에서 각각 3명, 고양시에서는 4명의 군집추정사례가 확인됐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도내 말라리아 환자는 18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6명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중략

말라리아 매개 모기는 일반 모기와 달리 앉았을 때 꽁지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또 날아다닐 때 ‘윙~’ 하는 등 모기 특유의 소리를 내지 않는다.

한편, 말라리아는 원충에 감염된 암컷 모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되는 감염병이다. 감염 초기에는 오한·발열·발한 등이 나타나고, 두통·설사·구토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매개 모기에 물린 뒤 짧게는 7일, 길게는 2년안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말라리아 치료제가 있어서 정해진 기간 동안 약을 복용하면 완치가 가능하지만 완벽하게 치료하지 않을 경우 2년 이내 재발할 수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038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