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7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사이시옷은 <한글 맞춤법 30항>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합성어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먼저 합성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탄에서 설명드렸다시피 한국어의 문장은 "어절(성분) > 단어(품사) > 형태소 > 음운"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단어는 형태소의 구성 형태에 따라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뉘어 지며 복합어는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뉘어 집니다.

01. 단어.jpg

1. 단일어: 하나의 실질 형태소로 된 말. (예: 하늘, 땅, 먹다, 도시락)

2. 복합어: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거나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말

(1) 파생어: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은 말 (예: 날고기, 돌배, 엿보다, 치솟다, 군말)

(2) 합성어: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말 (예: 덮밥, 검붉다, 새해, 밤낮)

 

 

설명을 봐도 무슨 소린지 이해가 잘 안가시죠?

합성어인지 간단히 구분하는 방법은 사전을 검색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단일어 "도시락"을 표준국어대사전(이하 사전)에 검색하면 "도시락"이라고 나옵니다.

파생어 "날고기"를 사전에 검색하면 "날-고기"라고 나옵니다.

합성어 "밤낮"을 사전에 검색하면 "밤-낮"이라고 나옵니다.

 

규칙성이 보이시나요?

단일어인 "도시락"은 붙임표( - )가 들어가지 않고

복합어인 "날-고기", "밤-낮"은 붙임표( - )가 들어가 있죠.

즉, 붙임표( - )가 들어가 있으면 복합어, 안 들어가 있으면 단일어입니다.

 

 

 

그렇다면 파생어와 합성어는 어떻게 구분할까요?

파생어인 "날-고기"에서 "날"을 사전에 검색하면 품사가 "접사"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고기"는 "명사"라고 나오죠.

이에 반해 파생어인 "밤-낮"에서 "밤"을 사전에 검색하면 "명사"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낮"도 "명사"라고 나오죠.

즉, 붙임표( - ) 앞뒤의 형태소를 사전에 검색해서 "접사"라고 나오면 파생어, "접사 이외"의 품사가 나오면 합성어입니다.

 

(단일어, 복합어, 파생어, 합성어, 형태소의 개념은 다음에 기회가 될 때 자세히 소개해 드릴게요.)

 

 

 

 

이제 사이시옷 규정 <한글 맞춤법 30항>에 대해 살펴 볼까요.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사이시옷 규정은

1. 순우리말+순우리말 합성어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우리말+한자어 합성어 or 한자어+순우리말 합성어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3. 두 글자로 된 한자어+한자어 합성어 (3.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세 가지 경우로 나뉘어 집니다.

 

그리고 그 아래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표준발음법 23항>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표준발음법 18항>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표준발음법 29항>

으로 나뉘어 집니다.

 

 

 

 

 

그럼 이제 표준발음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표준발음법 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02. 표준발음법 23항.jpeg

"국밥"의 경우, '받침 ㄱ' 뒤에 '밥'의 'ㅂ'이 오기 때문에 된소리 'ㅃ'이 되어 발음이 [국빱]이 됩니다.

"깎다"의 경우, '받침 ㄲ' 뒤에 '다'의 'ㄷ'이 오기 때문에 된소리 'ㄸ'이 되고 '받침 ㄲ'은 'ㄱ'으로 발음되어 [깍따]로 발음하게 됩니다.

"뻗대다"의 경우, '받침 ㄷ' 뒤에 '대'의 'ㄷ'이 오기 때문에 된소리 'ㄸ'이 되어 발음이 [뻗때다]가 됩니다.

"꽃다발'의 경우, '받침 ㅊ' 뒤에 '다'의 'ㄷ'이 오기 때문에 된소리 'ㄸ'이 되고 '받침 ㅊ'은 'ㄷ'으로 발음되어 [꼳따발]로 발음하게 됩니다.

 

즉,

받침으로 'ㄱ, ㄲ, ㅋ, ㄳ, ㄺ'이 올 땐 받침을 'ㄱ'으로 발음하고 뒤에 오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게됩니다.

받침으로 'ㄷ, ㅅ, ㅆ, ㅈ, ㅊ, ㅌ'이 올 땐 받침을 'ㄷ'으로 발음하고 뒤에 오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게됩니다.

받침으로 'ㅂ, ㅍ, ㄼ, ㄿ, ㅄ'이 올 땐 받침을 'ㅂ'으로 발음하고 뒤에 오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게됩니다.

 

 

 

<표준발음법 18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한다.

03. 표준발음법 18항.jpeg

"먹는"의 경우, '받침 ㄱ' 뒤에 '는'의 'ㄴ'이 오기 때문에 '받침 ㄱ'은 'ㅇ'으로 발음하게 되어 [멍는]으로 발음하게 됩니다.

"흙만"의 경우, '받침 ㄺ' 뒤에 '만'의 'ㅁ'이 오기 때문에 '받침 ㄺ'은 'ㅇ'으로 발음하게 되어 [흥만]으로 발음하게 됩니다.

"밥물"의 경우, '받침 ㅂ' 뒤에 '물'의 'ㅁ'이 오기 때문에 '받침 ㅂ'은 'ㅁ'으로 발음하게 되어 [밤물]로 발음하게 됩니다.

"없는"의 경우, '받침 ㅄ' 뒤에 '는'의 'ㄴ'이 오기 때문에 '받침 ㅄ'은 'ㅁ'으로 발음하게 되어 [엄는]으로 발음하게 됩니다.

 

즉,

받침으로 'ㄱ, ㄲ, ㅋ, ㄳ, ㄺ'이 올 땐 받침을 'ㅇ'으로 발음하게됩니다.

받침으로 'ㄷ, ㅅ, ㅆ, ㅈ, ㅊ, ㅌ, ㅎ'이 올 땐 받침을 'ㄴ'으로 발음하게됩니다.

받침으로 'ㅂ, ㅍ, ㄼ, ㄿ, ㅄ'이 올 땐 받침을 'ㅁ'으로 발음하게됩니다.

 

 

 

<표준발음법 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04. 표준발읍법 29항.jpeg

앞에서 설명드린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으로

붙임표( - ) 앞의 단어에 받침이 있고 붙임표 ( - ) 뒤의 단어가 '이, 야, 여, 요, 유'로 시작하는 경우, '이, 야, 여, 요, 유'가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됨을 밝힌 규정입니다.

 

"솜-이불"의 경우, 붙임표( - ) 앞의 단어에 받침 'ㅁ'이 있고 붙임표 ( - ) 뒤의 단어가 '이'로 시작하기 때문에 '이'가 '니'로 발음되어 [솜:니불]로 발음됩니다.

"내복-약"의 경우, 붙임표( - ) 앞의 단어에 받침 'ㄱ'이 있고 붙임표 ( - ) 뒤의 단어가 '야'로 시작하기 때문에 '야'가 '냐'로 발음되어 [내:봉냑]로 발음됩니다.

"신-여성"의 경우, 붙임표( - ) 앞의 단어에 받침 'ㄴ'이 있고 붙임표 ( - ) 뒤의 단어가 '여'로 시작하기 때문에 '여'가 '녀'로 발음되어 [신녀성]로 발음됩니다.

"눈-요기"의 경우, 붙임표( - ) 앞의 단어에 받침 'ㄴ'이 있고 붙임표 ( - ) 뒤의 단어가 '요'로 시작하기 때문에 '요'가 '녀'로 발음되어 [눈뇨기]로 발음됩니다.

"백분-율"의 경우, 붙임표( - ) 앞의 단어에 받침 'ㄴ'이 있고 붙임표 ( - ) 뒤의 단어가 '유'로 시작하기 때문에 '유'가 '뉴'로 발음되며, '백'의 받침 'ㄱ' 뒤에 '분'의 'ㅂ'이 오기 때문에 표준발음법 23항이 적용되어 'ㅂ'이 'ㅃ'으로 발음되게 되어 [백뿐뉼]로 발음됩니다.

 

 

 

지금까지 표준발음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제 사이시옷 규정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표준발음법 23항>

05. 1. (1).jpeg

사이시옷은 단어+단어인 합성어에서 단어+단어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또한 <표준발음법 23항>에 해당하여 뒷말(뒷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 귓밥[귀빱/귇빱], 바닷가[바다까/바닫까], 부싯돌[부시똘/부싣똘]로 발음되므로

순우리말 '귀' + 순우리말 '밥' = 귀 + 사이시옷 'ㅅ' + 밥 = 귓-밥

순우리말 '바다' + 순우리말 '가' = 바다 + 사이시옷 'ㅅ' + 가 = 바닷-가

순우리말 '부시' + 순우리말 '돌' = 부시 + 사이시옷 'ㅅ' + 돌 = 부싯-돌

로 표기하게 됩니다. 사이시옷 'ㅅ'은 발음에서 생략되는게 원칙( 귓밥[귀빱] ), 생략되지 않는게 허용( 귓밥[귇빱] )입니다.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표준발음법 18항>

06. 1. (2).jpeg

사이시옷은 단어+단어인 합성어에서 단어+단어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또한 <표준발음법 18항>에 해당하여 뒷말(뒷단어)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사이시옷이 'ㄴ', 멧나물[멘나물], 잇몸[인몸]으로 발음되므로

순우리말 '메' + 순우리말 '나물' = 메 + 사이시옷 'ㅅ' + 나물 = 멧-나물

순우리말 '이' + 순우리말 '몸' = 이 + 사이시옷 'ㅅ' + 몸 = 잇-몸

로 표기하게 됩니다. (2)항의 경우, 사이시옷 'ㅅ'은 발음에서 생략되지 않습니다. ( 멧나물[멘나물] )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표준발음법 29항>

07. 1. (3).jpeg

사이시옷은 단어+단어인 합성어에서 단어+단어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또한 <표준발음법 29항>에 해당하여 뒷말(뒷단어)의 첫소리 모음(이, 야, 여, 요, 유)이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되게 되고,

이 '니, 냐, 녀, 뇨, 뉴'에 의해 <표준발음법 18항>에 따라 사이시옷 'ㅅ'이 'ㄴ'으로 발음되게 되어 'ㄴㄴ'소리가 덧나게 되므로

도리깻열[도리깬녈], 두렛일[두렌닐]로 발음되어

순우리말 '도리깨' + 순우리말 '열' = 도리깨 + 사이시옷 'ㅅ' + 열 = 도리깻-열

순우리말 '두레' + 순우리말 '일' = 두레 + 사이시옷 'ㅅ' + 일 = 두렛-일

로 표기하게 됩니다. (3)항의 경우, 사이시옷 'ㅅ'은 발음에서 생략되지 않습니다. ( 두렛일[두렌닐] )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표준발음법 23항>

08. 2. (1).jpeg

사이시옷은 단어+단어인 합성어에서 단어+단어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또한 <표준발음법 23항>에 해당하여 뒷말(뒷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 귓병[귀뼝/귓뼝], 아랫방[아래빵/아랟빵]으로 발음되므로

순우리말 '귀' + 한자어 '병(病)' = 귀 + 사이시옷 'ㅅ' + 병 = 귓-병

순우리말 '아래' + 한자어 '방(房)' = 아래 + 사이시옷 'ㅅ' + 방 = 아랫-방

로 표기하게 됩니다. 사이시옷 'ㅅ'은 발음에서 생략되는게 원칙( 귓병[귀뼝] ), 생략되지 않는게 허용( 귓병[귓뼝] )입니다.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표준발음법 18항>

09. 2. (2).jpeg

사이시옷은 단어+단어인 합성어에서 단어+단어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또한 <표준발음법 18항>에 해당하여 뒷말(뒷단어)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사이시옷이 'ㄴ', 곗날[곈날], 제삿날[제:산날]으로 발음되므로

한자어 '계(契)' + 순우리말 '날' = 계 + 사이시옷 'ㅅ' + 날 = 곗-날

한자어 '제사(祭祀)' + 순우리말 '날' = 제사 + 사이시옷 'ㅅ' + 날 = 제삿-날

로 표기하게 됩니다. (2)항의 경우, 사이시옷 'ㅅ'은 발음에서 생략되지 않습니다. ( 제삿날[제산날] )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표준발음법 29항>

09. 2. (3).jpeg

사이시옷은 단어+단어인 합성어에서 단어+단어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또한 <표준발음법 29항>에 해당하여 뒷말(뒷단어)의 첫소리 모음(이, 야, 여, 요, 유)이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되게 되고,

이 '니, 냐, 녀, 뇨, 뉴'에 의해 <표준발음법 18항>에 따라 사이시옷 'ㅅ'이 'ㄴ'으로 발음되게 되어 'ㄴㄴ'소리가 덧나게 되므로

가욋일[가왼닐], 훗일[훈닐]로 발음되므로

한자어 '가외(加外)' + 순우리말 '일' = 가외 + 사이시옷 'ㅅ' + 일 = 가욋-일

한자어 '후(後)' + 순우리말 '일' = 후 + 사이시옷 'ㅅ' + 일 = 훗-일

로 표기하게 됩니다. (3)항의 경우, 사이시옷 'ㅅ'은 발음에서 생략되지 않습니다. ( 훗일[훈닐] )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10. 3.jpeg

두 음절로 된 한자어의 경우, 위의 6개의 한자어를 제외하고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한자어 '고(庫)' + 한자어 '간(間)' = 고 + 사이시옷 'ㅅ' + 간 = 곳간

한자어 '차(車)' + 한자어 '간(間)' = 차 + 사이시옷 'ㅅ' + 간 = 찻간

으로 표기하게 됩니다.

 

 

위에 적힌 6개의 2음절 한자어를 제외한 나머지 2음절 한자어의 경우,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한자어 '개(個)' + 한자어 '수(數)' = 개 + 사이시옷 'ㅅ' + 수 = 갯수 (X)

한자어 '개(個)' + 한자어 '수(數)' = 개 + 수 = 개수 (O)

로 '갯수'는 틀린 표기, '개수'가 옳은 표기입니다.

 

 

간단한 팁이라면

사이시옷은 단어+단어의 사이에 오게 됩니다. 그리고 (1)항의 규정의 경우 <표준발음법 23항>에 따라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가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로 발음되게 되죠. 따라서 단어 + 단어에서 뒤에 오는 단어의 초성(자음)이 된소리(ㄲ, ㄸ, ㅃ, ㅆ, ㅉ)이거나 거센소리(ㅋ, ㅌ, ㅍ, ㅊ 등)일 경우 사이시옷이 올 수 있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게 되어 사이시옷이 올 수 없습니다.

 

 

 

 

이상으로 사이시옷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전에 사이시옷에 대한 글을 여러 번 요청받았으나 사이시옷은 한글 맞춤법, 형태소, 단어, 표준발음법까지 어문 규정의 전반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만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어문규범의 종합선물세트 같은 규정이라 많이 망설였습니다.

사실 이 글을 읽고도 이해가 안 가시는 게 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글솜씨의 문제 + 사이시옷 규정의 어려움 때문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최대한 이해 가능하도록 썼습니다.

읽고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성심성의껏 알려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2024.04.14 5100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2024.02.14 5107
12503 외계우주로부터..빛의 은하연합의 첫 접촉... 😀익명846 2021.02.17 77
12502 티벳의 서에 밝혀진 지구문명의 태동 file 😀익명456 2021.02.17 72
12501 달의 탄생-티벳 사자의서. 익명 2021.02.17 63
12500 보로네슈에 착륙한 기괴한 세눈박이 외계인들 file 익명 2021.02.17 40
12499 초현상이 목격되는 세도나에 스타게이트(다차원 포털)이 있다? file 익명 2021.02.17 117
12498 외계인과의 긴박한 교전에 대한 비밀 보고서 '일곱 왕자' file 익명 2021.02.17 42
12497 3,000년 전 외계인 지구 방문 증명유물 ?? file 익명 2021.02.17 29
12496 지구는 비밀리에 외계와 우주 전쟁중 ?! file 익명 2021.02.17 65
12495 인도에서 생방송 중계된 두대의 UFO 에어쇼, 동영상 첨부 ! file 익명 2021.02.17 59
12494 전생이 외계인이었던 여성 과학자 알레내라 file 익명 2021.02.17 67
12493 UFO는 투명(클록킹) 기술탑재 하고 있다 ?? 세나라에 찍힌 특이한 UFO file 익명 2021.02.17 30
12492 영국 스트래트퍼드에 UFO 편대가 나타났다! file 익명 2021.02.17 26
12491 고대 이집트 무덤에서 발견된 21C의 최첨단 장비들 ! file 익명 2021.02.17 54
12490 최초의 UFO 관련 추락 폭격기 잔해가 발견됐다 file 익명 2021.02.17 41
12489 자다가 외계인들에게 생체실험 당한 사람 file 익명 2021.02.17 112
12488 UFO 요격부대를 목격한 사람의 이야기 file 익명 2021.02.17 44
12487 당신의 전생은 다른 별 외계인이다? file 익명 2021.02.17 80
12486 UFO를 목격한 아폴로 우주인 올드린 file 익명 2021.02.17 55
12485 전생에 화성인이라고 기억하는... 소년 보리스카, 첫번째 이야기 익명 2021.02.17 107
12484 외계와의 텔레파시로 연결되는 지구인 메신져에게 전해진 내용을 적은 것입니다. - 익명 2021.02.17 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26 Next
/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