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아래는 철의 삼각지대를 지나는 교통로, 군사 경로를 나타내는 지형 지도
아래는 고구려가 남진 시 백제와 신라를 공격하기 위해 활용한 여러 통로들의 지도
철의 삼각지대를 지나는 통로들은 동서남북으로 아래와 같음
1. 남쪽 방면: 3번 국도 (연천-동두천-양주-의정부), 43번 국도 (갈말-영평-포천-의정부), 47번 국도 (김화-이동-일동-진접) 을 통해 서울로 향함.
2. 남동쪽 방면: 5번 국도를 통해 수피령을 넘어 화천을 지나 춘천, 홍천, 원주로 향함
(실제 고구려가 백제, 신라를 향해 남진할 때 이 경로를 항상 활용하였으며 한국전쟁 개시 때에도 북한은 이 경로를 이용해 춘천 축선에서 남침하였음)
3. 북동쪽 방면: 김화-금성-창도를 거쳐 각각 회양, 철령을 넘어 원산으로 가는 경흥로와 창도에서 갈라져 내금강까지 가는 금강산선이 나뉨
4. 북쪽 방면: 경원선로 즉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평강에서 추가령을 넘어 고산, 안변, 원산으로 향함
(실제 추가령 구조곡은 서울에서 동해안으로 가기 가장 지형적으로 편한 길이며 이 추가령을 기준으로 낭림산맥과 태백산맥이 나뉨)
5. 서쪽 방면: 철원에서 서쪽으로 안협을 거치고 임진강 건너 황해도 토산으로 진입해 황해도 남동부의 사각지대를 (한포리, 시변리, 침교리, 평산) 접함. 이 사각지대에서 경의선 축선과 만나 봉산, 사리원, 평양으로 가는 경로와 신계, 수안, 연산을 지나 동평양으로 가는 경로가 서로 갈라짐
그 외 평강에서 마식령, 아호비령 산맥을 관통해 이천, 지하리를 지나 신계로 가는 보조 경로가 있으나 지형이 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