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3 1 운동을 기억하기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만들었던 것이 최초야.
일본제국주의에 항거해 한국의 독립을 선언한 독립선언일이라고 하네!
3 1 운동의 참여자는 약 200만명, 그 중에서 사상자는
사망: 약 7500명 이상
부상자: 약 45000명 이상이라고 해
3 1 운동은 고종 황제의 사망에 따라 민심이 폭발하여 진행된 운동이야. 고종은 의외로 꽤 건강한 편이었는데, 하루아침에 죽어버리자 반일 감정이 커졌지
우리가 왜 3 1 운동을 기억해야할까? 1차원 적으로 생각한다면 관련 헌법에서 "3 1 운동을 계승" 한다는 문구가 정말 많아.
2차원으로 생각하면 3 1 운동에서 "제국주의에 반발한 민족의 합의가 이루어진 사건"이야
마지막으로 공화주의를 보편화(?) 하였다고 하네. (이 부분은 몰랐음 나도)
3 1 운동이 누군가는 실패한 운동이라 하지만 그렇지 않아. 국내외에 우리나라의 상황을 알릴 수 있었고 일제에 대한 반발심을 가지고 독립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주었고, 이 운동으로 인해 파생된 독립 단체가 정말 많아.
그에 대한 대표적인 것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이고, 우리나라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한 국가야.
따라서 대한민국이란 국가가 설립될 수 있던 계기 중에서 3 1 운동을 빼놓을 수 없는 것이야.
그러니까 3 1절은 대한민국의 첫시작을 알린 나라라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야
오늘 K리그2 경기 보면서 즐기는 것도 좋지만, 모두 오늘 그 하루를 기억하면서 살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