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제나라 환공 밑에서 명재상으로 이름을 떨쳤던 관중과 포숙아의 이야기이다.
이 두사람은 서로 같이 장사를 하게 된 것으로 인연이 시작했는데,
관중은 항상 남몰래 자기 몫을 더 쳐서 가져갔다.
이를 알아챈 사람이 포숙아에게 이를 말해주니,
포숙아는
"관중이 나보다 가난하니 당연히 많이 가져야한다." 며 이 일을 대수롭잖게 넘겼다.
관중이 벼슬을 하려다가 세번이나 실패했어도 포숙아는
"자네는 시운을 타지 못하여 그런것이다." 며 관중을 위로하였다.
관중과 포숙아가 전쟁터에 나갔는데,
관중은 항상 맨 뒤에 서고,
싸우면서도 세 번이나 도망을 쳐 모두에게 비난받았다.
그 때도 포숙아는
"관중에겐 늙은 어머니가 계신데, 관중이 죽으면 누가 그 분을 돌보겠나?"
며 사람들을 달래었다.
이 말을 들은 관중은
"나를 낳아주신 분은 부모님이지만 알아준 사람은 오직 포숙아 뿐이다."
라고 하늘을 우러러 말했다고 한다.
훗날, 관중과 포숙아는 모시는 주군이 달라져 서로 싸웠고,
결국 관중이 포숙아에게 붙잡혀 포숙아의 주군 소백은 자신의 목숨을 노린 관중을 죽이려 하였으나,
포숙은 제나라만을 다스리려면 저로 충분하지만
열국의 패자가 되시려면 관중을 재상으로 삼아야한다. 며 소백을 설득했고
공자 소백은 제환공이 되어 관중을 재상으로 삼았다.
관중이 후에 병에 들자 환공이 물었다.
후임은 누구를 해야 하는가?
"습붕이 적당합니다."
그 말을 들은 환공이 물었다.
"그대의 벗 포숙아는 어떠한가?"
그에 관중이 답하길,
"나쁘지는 않으나 성품이 지나치게 곧아 두렵습니다."
이 말을 들은 간신들이 포숙아에게 달려가 이 말을 고했으나
포숙아는 그 말을 듣고
"역시 관중이다. 사사로운 연으로 대업을 망치지 않는구나.
만일 그가 내게 재상을 추천했다면 내 당장 너희들을 죽였을 것이다."
라고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