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조회 수 589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a1e48f77616b04ff7170e4aee05314dc.jpg

바로 일본

 

최대 6.4m에 달하는 길다란 장창은

 

일본 아시가루의 상징과도 같지.

 

일본 장창은 그 특이한 사용법으로 되게 유명한 편이야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 (3).jpg

아니... 뭘 어떻게 썼길래?

 

일단 뭐, 유명한 장창 방진은 대충 이런거잖아.

8f902d5283523b0d04da4b68d8ad8571.jpg

먼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팔랑크스가 있지.

 

사진은 마케도니아식 사리사 팔랑크스.

 

아군에게는 연대감을, 적에게는 공포감을 주는 빽빽한 창벽,

 

달려드는 족족 꼬치구이로 만들어버리는 육중함이 특징이지.

363e0e302afd6ec98ada64ac17988093.jpg

 

트렌디한 최강 방진, '테르시오'도 있어.

 

화포의 시대로 접어들기 전까지 전장을 장악했지.

 

원거리에서는 총병이 쏟아붓는 철환에, 근접전에서는

 

파이크+검방전사의 단병접전에 압도당하는 최흉 최강의 방진.

0375e23f99b511d44b37f29de786cc4f.jpg

 

어찌됐든, 고금을 막론하고 그 핵심은 변하지 않아.

 

개미 한 마리 못 들어가는 두꺼운 창벽진,

 

그 너머로 사정없이 '찔러'대는 창날까지.

d399ce1c1bd9979befe58883b9f8abb2.jpg

 

밀집 대형에 기반한 수비적인 플레이는

 

우리가 장창에 가지는 통념 그 자체지.

 

겸사겸사 대기병 보너스도 붙어있고......

3244aeed5765d124d1bd3df39bd1f30e.jpg

 

빽빽한 진형, 그 너머로 번뜩이는 창살의 낭만.

 

일본 전국시대라 한들

 

이런 정석적인 이미지와 얼마나 다르겠어?

7e7e07a794eb706ba802f73f52838d0c.jpg

 

(戰國, 宮下英樹)

 

네. 다릅니다.

 

얘네는 특이하게도 장창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침.

 

질서정연하게 상대 뚝배기를 부숴버리는게 일본 장창의 특징.

 

또한 두껍고 둔한 창벽진을 이루는 것이 아닌,

 

여러 겹으로 늘어선 얇은 대열이 종심을 이룬다는 점.

 

 

 

(Ballad 名もなき恋のうた, 2010)

 

철포도 쏘고, 츠부테(투석)도 던지고, 장창도 쑤시고

 

빈틈이 생기면 후열의 사무라이들이 치고 들어가야 하니.

 

집단전 체제 하에서도 다소 유연한 형태로 전개될 필요가 있었지

 

 

 

(槍VS刀――合戦の主力武器はどちらなのか!? 戦国時代の集団戦を再現して武術家が検証してみた結果)

 

아무튼, 결론적으로 이런 그림이 나온다는거야.

 

맞붙어서 밀리는 쪽이 와해되고, 그 빈틈으로 쇄도하며 전과를 확대.

 

사실 이건 단병접전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지.

 

그저 때릴 뿐.

 

그런데, 멀쩡한 창을 이런 식으로 휘두르는 게 과연 얼마나 강력할까?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_1.jpg

 

졸라 강력함.

 

최대 6m에 달하는 창대를 내려친다는 건, 그 자체로 엄청난 위력을 냄.

 

어짜피 전쟁은 라인전이니, 맞고 창대라도 놓치면 그걸로 족하지.

 

일단 위력은 이견이 없을 만큼 강력하다는 점.

4~6m의 장창을 정확히 찌르는 것부터가 난관일 뿐더러,

 

그 와중 갑주를 피하거나 관통시켜 제압하는 건 서커스 수준이야.

 

반면 힘을 실어 후려 패는 건 간단하고, 강력하고, 유효해.

 

창병이 붙으면 난타전은 필연적이고,

 

우위를 가져오는 건 어설픈 찌르기가 아닌 정돈된 매타작이지.

 

 

16a39b958a685f2bda96ccc8a73595c1.jpg

 

얇은 창병진이, 비대한 장창을 들고, 서로를 와해시키는 데 있어

 

가장 강력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채택한 것이라 볼 수 있어.

 

대보병 특화 전술이랄까.

 

부차적으로는 훈련의 용이성 등도 작용했을거고.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_2.jpg

 

또한, 충격력을 가진 기병 집단의 부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존재해.

 

물론, 초창기는 기마 무사들이 전쟁의 주력이었고,

 

느슨한 산개 대형 속 압도적인 활약을 펼치긴 했지.

a978c46a21c66dc2b44817ccd72aa13e.jpg

 

하지만 후대로 갈수록 대량 동원에 기반한 도보전이

 

전략/전술의 중심이 되었어.

 

두터운 밀집 대형을 결성해 창날을 번뜩이고,

 

강력한 대기병 저지력을 추구할 필요성 역시 옅어지게 되었지.

b1f9dc8db2cec1cfd995c7eec1e4d624.jpg

 

그래서일까, 생각보다 임란 중 왜의 병사들이

 

대기병전에 취약했다는 연구도 국내에서 종종 등장해.

 

기존 장창병의 이미지를 감안하면 제법 놀라운 사실이지.

 

음, 이 부분은 별도로 다뤄야 할 부분이기도 하고,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어서 이 정도에서 끝맺음.

a1e48f77616b04ff7170e4aee05314dc (1).jpg

 

지금까지 일본 창붕이들의 생태에 대해 알아보았어.

 

'창을 내려찍는다'라. 단순 무술적 특성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지만,

 

전술적 제반요소 역시 어느 정도 깔려있다는 것을 배웠지.

 

"왜 그러한 전쟁 모습이 형성되었는가"는

 

더 깊은 문제라 서적을 충분히 읽은 다음 다루도록 하겠음.

 

아무튼 일본 전국시대의 전략/전술/전법은

 

이처럼 그 특수성도 있고, 나름 재밌는 편이야.

 

오늘의 핵심

 

1. 기존의 장창 통념 : 두터운 창벽진 + 찌르기

 

2. 실제 일본 병사 : 수 겹의 대열 + 내려치기

 

3. 대보병 효율이 꽤 준수했음

 


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HOT글 베트남 국민들이 자긍심이 센 이유 2025.07.20 431 3
HOT글 양극화에 대하여 2 2025.07.22 364 0
HOT글 장비도 없는 열악한 환경 KBS 수요기획 '한국 UDT, 캄보디아를 가다' 2 file 2025.07.22 430 0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25.01.21 28035 46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3 2024.11.04 34268 66
13029 ?? : 아오 또 이지랄 해놨네 file 2023.05.31 408 0
13028 ??: 남편이 같은 수술방 간호사랑 섹파였어 file 2024.01.18 994 0
13027 ??: 너네도 가서 항복해라 2022.02.27 30 0
13026 ??: 우리는 당신의 모든 개인정보를 가져갈 것이다 file 2023.07.04 148 0
13025 ??: 임진왜란은 보면 볼수록 어메이징한게 file 2023.11.06 304 0
13024 ??:일본인은 만주침공을 안다 file 2022.02.27 60 0
13023 ??? : 니들 전쟁하려고 아파트 지어봤냐? file 2023.06.03 460 0
13022 ??? : 뭐? 17세 미성년자도 병역을 준비하라는 통보를 받는 나라가 있다고? file 2024.02.19 300 0
13021 ??? : 숙청 그렇게 하는 거 아닌데 file 2023.06.25 135 0
13020 ??? : 신라는 외세를 끌어들인 매국노다. 2023.08.12 322 0
13019 ??? : 옛날 엠블럼은 부끄러워서 못쓴다고 file 2021.09.08 41 0
13018 ??? : 이 무기는 제국주의 파시스트를 싫어합니다! file 2023.06.14 300 0
13017 ??? : 이름 너무 긴데 짧게 가죠 file 2024.04.15 241 0
13016 ??? : 칼 든 미친놈이 여자를 쫓아가는 걸 보면 도망가야 한다고? file 2024.01.14 630 0
13015 ??? : 히틀러 그 인간 풀만 뜯어먹던데 토끼인줄ㅋㅋ file 2024.04.15 230 0
13014 ???: 사람 목숨에 비하면 포탄은 싼 값이다. file 2022.03.22 89 0
13013 ???: 아 이순신은 할 수 있던데... 넌 못해? file 2024.01.27 1600 0
13012 ???: 우리 흑인은 안 물어요 file 2023.10.01 471 0
13011 ???: 우리 흑인은 안 물어요 file 2023.09.20 401 0
13010 ???:2찍 득실한 펨코가 만든 대통령인데 어쩌겠어 file 2024.09.17 76 0
13009 ????: 박살 날 각오들 하셨죠? file 2023.08.18 250 0
13008 ‘21년간 미제’ 10대 남녀의 실종, 유튜버가 찾아냈다 file 2021.12.21 62 0
13007 ‘21년간 미제’ 10대 남녀의 실종, 유튜버가 찾아냈다 file 2021.12.31 44 0
13006 ‘ㅙ’와 ‘ㅚ’가 구별되지 않던 시절의 자료 file 2023.11.13 326 0
13005 ‘간첩의 자식’이 당한 놀이 file 2024.04.17 329 0
13004 ‘도베르만이 목줄 없이 학교 운동장에?’ 시민 공분 file 2021.12.24 58 0
13003 ‘도우미’의 탄생 file 2023.10.01 431 0
13002 ‘도우미’의 탄생 file 2023.10.08 267 0
13001 ‘돌려차기 살인미수’ 항소심 검찰 관련 발표 2023.06.09 316 0
13000 ‘명탐정 코난’ 브라운 박사 성우 황원씨 별세 file 2023.08.14 451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35 Next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