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조회 수 418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44421f778bb3780931175fd398254d4c.png.jpg

991a74b448296ac293f850681c744281.png.jpg

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 (6).png.jpg

42ce0fd7925cc866c55b63a5b6ff425d.png.jpg

ad76cccff047cbdb138a97dab06c2a5f.png.jpg

e127273b43e576afe94ecc90f0df57ce.png.jpg

개요


1994년 10월 21일 한강에 위치한 성수대교의 중간 부분이 갑자기 무너져내리며 현장을 지나던 시내버스와 차량들이 그대로 추락하면서 큰 인명피해를 낸 사건입니다.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와우아파트 붕괴사고와 함께 대한민국 3대 붕괴 사고로 불리며 이미 연이은 사건사고로 사고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던 문민정권 시대의 굵직한 기록으로 남겨진 참사입니다.

 

사고의 원인

 

ce8237c8ffef63f19ba2b22aecb0032f.png.jpg

1. 교량 최초 시공사인 동아건설의 책임

유효단면적의 감소와 응력집중을 유발하게 한 용접시공의 결함과 제작오차 검사 미흡했었고 지어졌던 1970년대에는 파격적이었던 트러스 공법이 쓰였지만 설계와 시공이 미흡했고 유지보수도 부실했었다

MBC가 사고 현장의 수중촬영을 했는데 트러스의 강도만큼 중요한 볼트가 손으로 뺄 수 있을 정도로 허술했고(제대로 안조였다는뜻) 볼트의 구멍도 제멋대로 뚫려 있었다. (개판5분전 이라는뜻)

2. 교량 보수 및 관리기관인 서울특별시의 책임

피로균열의 진전을 예방하지 못한 점검 및 유지관리 미비
급속도로 증가하는 차량 통행량에 대비하지 못했고 하루 통행량을 8만 대 정도로 설계했지만 실제 하루 통행량은 2배가 넘는 16만 대 이상이었다

게다가 붕괴 전해인 1993년에 동부간선도로의 강북구 구간(성수~상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교통량이 폭증했는데, 당시 서울시는 하중제한만 낮추는 형태로 대처하였고, 그나마도 제대로 단속하지 않았으며
피로균열을 가속화시키는 규정 이상 중량차량 통행 규제 소홀했고 일반적인 대형트럭이 다닐 수 있을 정도인 18톤 하중으로 설계되었다.

3. 건설업계의 능력 부족

성수대교는 경간 중앙부에 (문의 경첩과 같은) 힌지를 넣는 게르버보 형식으로 건설되었다. 구조계산이 쉬워 당시에 많이 사용했던 구조형식이었으며

구조계산에 필요한 수치 중 '부정정차수'라는 것이 있는데 부정정차수가 높아질수록 구조해석을 하는 데 필요한 계산량이 엄청 복잡해진다. 오늘날에는 컴퓨터가 발달해서 구조해석이 쉽긴하나 그러나 당시에는 조금만 부정정차수가 높으면 슈퍼컴퓨터를 이용하더라도 해석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늘어났다

그런데 구조계에 힌지를 넣으면 부정정차수를 한 단계 낮출 수 있고 게르보 형식은 부정정차수가 0인 정정구조이다

정정구조물은 구조적으로는 안전하고 구조계산 방식이 간단해서 펜과 계산기만으로도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부재(Member)가 하나라도 파괴되면 구조물 전체가 붕괴되는 위험이 있음 직관적으로도 교량 중간에 힌지를 넣으면 위험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성수대교이다...


결과

사망 32명 부상 17명 재산피해 버스1대 승합차1대 승용차 4대 파손 및 침수

기타

16ac1e552652e2185d92874ea3090212.png.jpg

 

사고 차량 중 인양되는 파란색 기아 베스타 승합차에는 경찰의 날을 맞아 우수 중대로 선정되어 표창을 받기 위해 본대로 가던 의경들이 타고 있었는데 이들은 교량을 통과하다가 상판 한복판에서 바닥째로 그대로 추락했지만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차량의 파손 없이 안전하게 착지했다

이 차에 탄 의경들은 대부분 다치지 않았기에 사고 발생 후 헌신하여 다른 피해자들을 구조했다.

하지만 한성운수 소속 16번 시내버스는 붕괴된 부분에 아슬아슬하게 걸렸다가 결국 거꾸로 뒤집어지면서 무너진 상판 아래로 추락하는 바람에 다수의 사망자가 생기고 말았다

사고 발생 20주기를 맞아 JTBC 뉴스룸에서 이들 중 한 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는데 이들은 사고 발생 후 며칠 동안 경찰병원에 입원한 거 말고는 아무런 피해 보상이나 추가로 받은 치료가 없었다고 하며 이들 역시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아직도 시달린다고 한다.

 

가장 큰 붕괴 원인이 과도한 하중으로 인한 교량 구조물 피로였던 만큼 한강 교량에 통행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과적차량 단속이 체계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한강 교량을 비롯해 전국의 교량점검 또한 크게 이루어졌다.

 

사고 이후 새로 지어진 성수대교는 사고의 여파로 인해 집중관리대상으로 분류되어서 철저히 점검받고 있다

 

ㅊㅊ

https://arca.live/b/singbung/83139201

 

 


역사/한국사/세계사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HOT글 베트남 국민들이 자긍심이 센 이유 2025.07.20 398 3
HOT글 양극화에 대하여 2 2025.07.22 348 0
HOT글 장비도 없는 열악한 환경 KBS 수요기획 '한국 UDT, 캄보디아를 가다' 2 file 2025.07.22 412 0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3 2024.11.04 30473 66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25.01.21 24299 45
13028 힘을 숨긴 주치의 file 2023.11.19 31 0
13027 힐러리가 트럼프 상대로 대선에서 패배한 이유 file 2023.10.30 972 0
13026 히틀러의 인생과 사랑에 대한 탐구 file 2024.12.01 3393 1
13025 히틀러의 연설 file 2023.11.13 297 0
13024 히틀러의 연설 file 2023.11.12 271 0
13023 히틀러의 연설 file 2023.10.12 893 0
13022 히틀러의 사상 행적 중 가장 의외인 부분 file 2024.02.10 354 0
13021 히틀러의 기미상궁이였던 여인 file 2022.01.22 57 0
13020 히틀러와 직접 인연이 있었던 유대인들 file 2022.02.18 56 0
13019 히틀러도 감탄할 소년병 훈련 file 2024.01.15 629 0
13018 히틀러가 평가한 각국 군대 file 2021.08.24 66 0
13017 히틀러가 최종적으로 이루고자했던 대규모 프로젝트 file 2024.07.29 70 0
13016 히틀러가 일본에게 선물로 준 요요 비슷한 무언가. file 2023.09.07 379 0
13015 히틀러가 사용하던 집무실 file 2023.01.28 3626 0
13014 히틀러가 미대 입시 떨어진 이유 file 2023.04.25 66 0
13013 히틀러가 미국을 경계한 이유.jpg file 2024.03.12 449 0
13012 히틀러가 미국을 경계한 이유 file 2024.03.14 669 0
13011 히틀러가 말하는 남녀평등 file 2021.12.20 78 0
13010 히틀러가 계획한 역대급 대규모 프로젝트 ㄷㄷㄷ..jpg file 2023.08.10 391 0
13009 히틀러가 계획한 대규모 프로젝트 file 2023.04.14 1867 0
13008 히틀러 총통 관저 구경 file 2022.04.08 281 0
13007 히틀러 암컷 타락 대작전 file 2022.05.12 369 0
13006 히틀러 아니었으면 홀로코스트는 없었다.JPG file 2023.10.09 205 0
13005 히틀러 맞음) 콧수염 독재자는 사실 꽤 성공한 화가였음 file 2023.09.07 338 0
13004 히틀러 만나본 한국인 썰 file 2023.01.01 1035 0
13003 히틀러 가계도 file 2023.06.17 158 0
13002 히키코모리 자립 지원시설로 떠나는 아들 file 2023.03.01 27 0
13001 히잡 쓰기 운동하는 이란 남자들 file 2022.04.15 251 0
13000 히말라야의 해골 호수 file 2022.10.29 3124 0
12999 히로시마 원폭돔이 지금까지도 온전했다면? file 2023.04.29 5563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35 Next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