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광복 당시 기준 연천군 서남면 (고장리 일부 및 오탄리 제외) 및 왕징면의 북서부는 현재 북한의 개성시 장풍군에 속해 있음. 서남면 중 고장리 일부만 대한민국이 수복하여 현재 왕징면에 편입되어 있고 그 외는 모두 북한의 영토. 또한 왕징면 중 대부분은 대한민국이 수복하였지만 북서쪽 일부는 수복하지 못한 채 북한의 영토로 남았음
이들은 분단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총 4개의 시도 소속을 거쳤는데 그 변화는 다음과 같음
<서남면> : 고장리 일부, 오탄리 제외
~1914년 4월 1일: 경기도 삭녕군 -> 서면 및 남면
1914년 4월 1일~1946년 9월 5일: 경기도 연천군 -> 서남면 신설
1946년 9월 5일~1952년 12월: 강원도(북) 련천군
1952년 12월~1961년 3월: 강원도(북) 철원군
1961년 3월~2003년 6월: 개성시 장풍군
2003년 6월~2023년 2월: 황해북도 장풍군
2023년 2월~: 개성시 장풍군
이로 인해 서남면의 대부분은 경기도 -> 강원도(북) -> 개성시 -> 황해북도 -> 개성시로 소속이 변경되었음
-> 고장리 일부는 대한민국이 수복하여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에 편입시킴
-> 오탄리는 임진강의 이동이라 1952년 12월에 강원도(북) 철원군에 편입된 후 다른 서남면의 리와 달리 그대로 철원군에 잔류시킴
한편 광복 당시 기준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은 다른 연천군의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38선 이북이라 소련군정으로 들어갔고 강원도(북) 련천군으로 변경됨. 왕징면은 한국전쟁으로 대부분 우리가 수복하였으나 북서부는 수복하지 못했고 여기는 북한으로 그대로 넘어갔음. 수복한 왕징면은 다시 경기도 연천군으로 환원되었고 북한에게 남은 왕징면 북서부 지역은 서남면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강원도(북) 철원군에 편입되었다가 개성시 장풍군으로 다시 이관되었음. 따라서 이 왕징면 북서부도 경기도 -> 강원도(북) -> 개성시 -> 황해북도 -> 개성시의 변경을 거쳤음
위는 1914년에 폐지된 경기도 삭녕군의 지도
-> 경기도 전체의 가장 최북단에 위치했음
-> 파란색 면은 강원도 철원군에, 빨간색 면은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됨
-> 서면과 남면이 합쳐 서남면으로, 군내면과 동면이 합쳐 삭녕면으로 신설됨
위는 광복 후 분단 시 강원도 련천군의 지도
-> 소련군정이 38선 이북의 연천군을 련천군으로 개편함
-> 1946년 9월 5일, 경기도가 폐지되자 련천군이 강원도(북)으로 이관됨
-> 1946년 12월에 38선 이북에 속한 포천군의 북부, 즉 영평군 중 창수면과 청산면을 편입함

위는 현재 북한의 행정구역 지도를 나타낸 것
-> 색칠구분 및 빨간색 선은 현재의 시도, 시군간 경계선
-> 굵은 검은색 선은 광복 당시 기준 시도, 시군간 경계선
-> 가는 검은색 선은 광복 당시 기준 읍,면 간 경계선
-> 노란색으로 표시한 영역이 현재 장풍군에 편입되어 있는 구 연천군 서남면 대부분 (고장리 일부, 오탄리 제외) 및 왕징면 북서부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