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o2b o2b1 만주 한반도 일본공통 강원도 사람이 예전에 가장 덜 섞였(?)네요.
o3 한족 주류 유전자
d2티벳 일본
r백인 유럽유전자 경상 제주만 발견
n북아시아
c고아시아
c3
n 극북유라시아 우랄제족
기타 아랍j 유전자도 발견
o2b
이 유형은 가히 한국인의 고유 Y염색체의 핵심이라 할 만하다. 한국인의 37.3%를 점유하고 있어, O3와 함께 양대 주요한 유형이나, O3와 달리, 중국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대체로 10~15만년 전 동남아에서 북상한 것으로 보이며, O2a군으로부터 분화하여, 최종적으로 한반도와 일본열도로 확산되었다고 한다.한반도 이외에 O2b는 주로 일본에 분포하며(31.9%), 베트남(4.7%), 만주족(3.8%)등 민족등에 있으므로, O2b는 가히 한국인과 일본인의 특징적인 유전자라 할만하며, 한국어와 일본어의 골간을 형성한 조상도 이 유전자와 관련이 크지 않을까 추정한다. 단, 일본인은 주로 O2b1위주로, 한국인과 유형이 약간 다르다.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중에는 중국 한족에는 O2b가 발견되지 않았다. 문제는 O2b가 동남아에서 발생해서 북상하였다면, 왜 중국 한족이나 다른 묘요계,백월계 민족(O2a가 많이 발견된다.)에는 보이지 않고, 단지 베트남의 경족에만 보이는 것일까?만주족에서 발견되는 O2b는 고구려, 발해시대 혼혈의 흔적이고, 실상, 중국대륙을 거치지 않고, 베트남부근에서 해양루트를 통하여 바로 유입된 것일 수도 있다.그러나 그렇게 보기에는 베트남에서의 비율이 너무 낮고, 다른 동남아 민족에서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병목효과의 결과가 아니라면 베트남의 O2b가 오히려 한국이나 일본에서 건너간 것이 아닐까?때문에 일부 일본학자는 베트남의 O2b는 일본제국주의 시절, 일본군이 남긴 흔적이라고도 한다. 혹시, 라이따이한의 흔적일 가능성은? 4.7/37.3= 12.6% 월남 파병 수년 동안의 결과로 한국인 남자를 아버지로 하는 베트남인이 12.6%나 되었다고 믿기에는 역시 너무 지나치지 않을까? 아무튼 이 베트남의 4.7% O2b는 여러모로 미스테리한 숫자이므로, 이후 보다 상세한 베트남인 Y염색체 조사를 통해 검증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D2
D2는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주로 분포하며, 일본인 중 아이누인에게서 비율이 가장 높아서 87%에 이른다. 다음은 오키나와인, 55%, 일본대화족 29.5%로서, 한국인 중에는 표본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3~6%의 비율을 보인다. D는 가장 먼저 아시아대륙에 도달한 오래된 인류의 후대로서, 동아시아에서 대단히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데, 중국 한족 중에 비율은 대체로 1%이고, D3과 D1위주여서 한국인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