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역사 커뮤니티 |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조회 수 607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https://www.aljazeera.com/economy/2024/3/21/as-china-ages-senior-citizens-see-a-retirement-striving-to-get-by

 

1.jp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하오 펭파이씨는 작년에 은퇴했는데 젊을때 생각했던 은퇴와는 완전 달랐습니다.

 

" 저는 은퇴를 하면 휴양을 즐기고, 스트레스와 걱정으로부터 해방되는줄 알았어요. " 하오씨는 공기업의 관리직으로 근무했고 작년에 은퇴했으며 난징에 집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하오씨는 계속 일을 하고 싶지만, 기업 규정에 따라 은퇴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하오씨는 편히 은퇴할수 없었는데, 매달 나오는 노후 연금을 훨씬 상회하는 주택 대출과 의료비를 갚기 위해서 다시 고용시장에 뛰어들었기 때문이죠.

 

오늘날, 그는 낮에는 식당의 회계 업무를 봐주는 아르바이트와 호텔 경비원 야간 아르바이트를 뛰고 있습니다.

 

" 어디 이 뿐인가요. 제 아내도 각종 지출을 줄여볼려고 허리띠를 조이고 있습니다. 사실 아내도 일을 해야하지만 20년전 등에 심각한 부상을 입어 일을 못하죠. "

 

전통적으로, 중국의 노인들은 은퇴후 자녀 집에 얹혀살곤 했으나, 하오씨에게 그런 선택지는 없다고 합니다.

 

“제 아들놈은 상하이의 조그만 아파트에 아내와 두명의 딸들을 데리고 사는데, 저희에겐 방 한칸도 없다고 봐야겠죠. 저희 부부들만으로 어떻게든 살림을 꾸릴수 밖에 없죠. "

 

2.jpe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많은 중국인들에게 신년휴일은 여행, 음식, 선물에 큰 지출을 하는 날입니다. 그러나 하오와 가족들은 지출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절약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손녀들에게 약간 지출을 했긴 하지만, 은퇴후 생활고로 비참한 신세가 되지 않기 위해 최대한 돈을 아낄려고 노력한다고 합니다.

 

중국 구인구직 웹사이트인 51job.com에 따르면 3분의 2이상의 노인들이 은퇴후에도 다시 일을 나갈 용의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중국 관영언론들은 은퇴한 노인들이 다시 일터로 복귀하는것이 중국 여러 산업에 일어나고 있는 인력난을 해결해줄 중국 경제에 긍정적인 사회현상이라며 칭송하고 있지만 하오씨는 의견을 달리합니다.

 

" 경제가 좋은게 아니라, 그저 중국 연금 시스템이 노인들이 은퇴하고나서 기본적인 먹고사는 문제도 해결 못해주고, 미래에는 더욱 악화된다는 얘기일뿐이라고 봅니다. "

 

덴마크 국제 관계학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양 씨는 은퇴자들이 일자리를 구할려한다는것은 중국 연금 시스템이 노인들의 기본적인 생필품을 위한 돈도 못 주고 있다는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상당수의 노인들은 은퇴후 일자리를 구할려하면 젊은 시절보다 월급이 격감하는걸 체감한다고 합니다,”

 

3.jp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중국의 연금 시스템은 본래 순수 국영으로서 자녀들이 노인 부모들을 돌보는데 주는 보조금과 같은 개념이었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도시화하면서, 가족간의 유대감은 약화되었고, 노인 인구는 폭증하였으며, 연금을 받을수 있는 중국 인구는 10억 5000만명으로 당시 중국 인구 대부분으로 범위가 확장되었습니다.

 

문제는 그럼에도,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는것이죠. 도시 노동자들이 은퇴하면, 월 53만원 정도의 연금을 받지만, 중국 인구 5억명 이상을 차지하는 농촌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의 경우 한국 돈으로 고작 월 3만원의 연금만 받는다고 합니다.

 

하오 씨의 자택으로부터 얼마 안 떨어진 공사판에서 일하시는 63세의 궈 첸지 씨는 내일 은퇴한다고 가정하면 국가로부터 거의 아무 연금도 못받는다고 합니다.

 

2024-03-24_09h15_46.pn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3억에 달하는 중국 농민공중 한사람으로서, 궈씨는 호구상 자신의 출생지인 농촌에 등록되어있지, 자신이 일하고 거주하는 도시민이 아니기 때문인데, 이는 그가 푼돈도 안되는 연금이라도 받을수 있는것을 가로막는 제도적 장애물이라고 합니다.

 

" 제가 은퇴하면 저축한 돈을 까먹으며 연명하는 수 밖에 없죠 " 궈씨는 그가 최소 10년은 더 일해야 어느정도의 생활비라도 모을거라고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공사판에서 육체노동을 10년간 더 하기엔 몸이 견뎌내지 못할것이라며 걱정합니다.

 

" 저는 같은 회사에 수십년을 일해온데다, 늙었는지라 좀 더 쉬운 업무를 맡기긴 하나 노가다란게 여전히 육체적으로 고된 일이고, 밤마다 등과 무릎이 고통스러워 밤잠을 설치곤 합니다. "

 

4.jp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사실 수억에 달하는 궈씨와 같은 농민공들의 존재는 도시와 농촌간 연금 격차 증대를 가속화 했는데 원래 농민에서 일하며 납부해 농촌 연금에 들어가야할 돈이 죄다 도시에 일하면서 도시로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최근 중국의 부동산 위기 또한 여러 중국 지방정부가 겪고 있는 연금 적재 문제를 더욱 악화 시키고 있는데 중국 지방의 수입 상당 부분은 부동산 개발사들의 부동산 개발을 위한 토지 대여금에서 오기 때문이죠.

 

 

5.jp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중국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 2024년 3억, 2026년 3억 3700만명, 2032년 4억명, 2050년 5억명]

 

 

더 나아가, 중국의 초고령화와 그로 인한 인구 감소는 안 그래도 심각한 중국의 연금 위기를 더욱 악화시킬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합니다.

 

작년에 은퇴연령을 넘긴 중국의 연금 수령자 (남자 60세 / 여자 55세) 인구수는 작년 기준 인류 역사상 최대인 3억을 돌파했는데, 10년 이후에는 3억이 추가되어 6억에 도달할거라고 합니다.

 

6.pn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이와 동시에, 출산율이 최근 중국 역사상 최저인 1.0으로 곤두박질 치면서, 은퇴하는 이들을 대체할 젊은 인력은 날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에 중국 국영 싱크탱크인 중국 사회과학원이 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 연금은 2035년도에 전부 고갈되어 현 사회 보장 시스템은 붕괴 수순을 밟을것이라고 합니다.

 

단스케 은행의 중국 경제관련 전문가인 알란 폰 메흐렌씨는 연금 위기를 두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 중국은 중대한 문제에 직면해있고, 이것을 처리하기 위해선, 연금 개혁이 필수적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중국 관영언론은 중국 공산당이 연금 수령 나이를 높이는 작업에 착수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 게다가 중국의 전체 인구 교육 수준은 선진국 대비 여전히 낮기에 교육 수준을 끌어 올리고, 생산성에 대한 향상을 추구한다면 미래의 중국에 다가올 중대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지 모르겠지요“ 라고 메흐렌씨는 조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7.jp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도시와 농촌단위로 난해하게 난립되어있는 연금체계에 대한 대대적인 손질을 가하는 개혁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런 개혁들은 중국 인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히고 좌절되곤 하죠.

 

작년, 우한과 대련에서 은퇴자들에 대한 의료 혜택을 줄이는 개혁을 실시할려고 하자, 길거리로 수많은 인파가 군집해 철회한 경우가 그 사례가 되겠습니다.

 

광저우에서 의료용품 공급사로 일하시는 순 밍쩌씨는 그러한 연금 개혁 시도가 중국 전역의 노인들에게 해를 끼칠것이라 주장합니다.

 

8.jpg 중국 " 먹고 살려면 은퇴해도 평생 일해라 "
 

 

[ 중국 출생아수1960년대 매년 2800-3000만명에서 95만명까지 줄어들 전망 - 심지어 이게 낙관적 전망. 그와 반대로 미국은 매년 400만명대 계속 유지 ]

 

" 시대는 달라졌어요. 더 이상 우리같은 노인들이 옛날처럼 자녀에게 봉양받을수 있는 시대가 아니란거죠. " 라며 그녀는 몸이 허락하는 한 평생 일할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아마 저는 국가에게도 그렇다고 가족들에게도 은퇴후 삶에 대해 기댈곳이 없겠지요. 그래서 지금이라도 최대한 돈을 모아둘려고 합니다. "

 

그에 반해 하오씨는 중국이 연금 시스템이 파탄나기전에 개혁을 해서 지속되게 만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 이대로 중국의 연금과 의료보험등 사회보장 시스템이 모두 붕괴한다면, 제 손녀들이 살 중국은 노인들에게 매우 가혹한 곳이 될 것 같군요. "

 

 

중국에선 미부선로(未富先老) 라는 말이 유행인데 부자가 되기전에 늙었단 속담.


역사

역사 커뮤니티 |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HOT글 이재명이... 61살밖에 안 됐어....? 4 2025.05.15 586 0
HOT글 동양 서양 역사가 겹치는 타임라인 2 file 2025.05.11 609 0
HOT글 이준석, 긴급 기자회견 “나와 이재명 일대일 구도돼야…김문수론 이길 수 없어” 2 2025.05.20 362 0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3 file 2024.11.04 25860 5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25.01.21 20435 43
13016 민주당 울산시당 선대위 전은수!! file 2025.05.20 412 0
13015 이준석, 긴급 기자회견 “나와 이재명 일대일 구도돼야…김문수론 이길 수 없어” 2 2025.05.20 362 0
13014 204일동안 항해한 핵잠수함 상태 file 2025.05.17 293 0
13013 나치 독일이 초반에 그토록 강력했던 이유 2 file 2025.05.17 302 0
13012 이재명이... 61살밖에 안 됐어....? 4 2025.05.15 586 0
13011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의 비극, 조승희는 누구인가? 알아보자 file 2025.05.14 735 0
13010 옛날 동화가 우리가 알고 있는 결말과 다른 이유(천사까지..?) file 2025.05.11 560 0
13009 17세기 초 베트남에서 활동한 예수회의 포교 문구는 "서양인의 마음으로 들어오겠습니까?" 였는데 1 2025.05.11 568 0
13008 동양 서양 역사가 겹치는 타임라인 2 file 2025.05.11 609 0
13007 문명7 재밌네..... 1 2025.05.11 581 0
13006 청동기 시대 라는 말만 들으면 반달돌칼 민무늬 토기 자동으로 떠올라서 막 원시부족 우가우가 이런 느낌이 드는데 2 2025.05.11 610 0
13005 이탈리아 기사 서사시 광란의 오를란도 복간 결정! 2 file 2025.05.11 591 1
13004 한덕수 밀어주기 가는것같네 ㅋㅋ 국민의힘 ㅋㅋ풉 2025.05.10 603 0
13003 "대선 후보 한덕수로 교체" 초유의 사태..결국 김문수 갈아치운 국민의힘 2 2025.05.10 645 0
13002 한나 아렌트 악의 급진성으로 보는 한국의 전체주의 교육 2025.05.05 933 0
13001 인간의 두뇌를 뛰어넘는 인공지능🌐 인간이 AI와 함께 살아가는 최고의 방법 file 2025.05.01 544 0
13000 더쿠 회원가입, 2024년/2025년 최신 정보! 언제? 가입 방법, 꿀팁 총정리 (눈팅 vs 가입) 2025.05.01 676 0
12999 피라미드란 존재할까요? 2025.04.24 1278 0
12998 [오늘 이 뉴스] "이러다..?" 대선 변수 급부상.. '3가지 경우의 수' 따져보니 3 file 2025.04.23 1416 0
12997 [인터뷰] 이범준 법학연구소 연구원 "6명 채워서 파면은 확실" / JTBC 뉴스룸 3 file 2025.03.23 393 0
12996 제주 4.3사건 (역사는 반복된다) 2 file 2025.03.23 384 0
12995 280명의 정예군인 부대로 쿠테타 국회 점거 가능할까? 2025.03.22 618 0
12994 국회 실탄 지급 관련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오히려 계엄군에게 실탄이 지급된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 2025.03.22 601 0
12993 또 민주주의 추락 진단‥"한국 독재화 진행 중" (2025.03.17/뉴스데스크/MBC) 2 file 2025.03.18 889 0
12992 한국이 민주주의 한다는데 그렇지 않아요 | 김누리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더 피플] file 2025.03.18 927 0
12991 노예로 만들거나 노예가 되거나 (자유와 억압) file 2025.03.16 1169 0
12990 석열의 3년 : 파괴된 정치‥추락한 민주주의 4 file 2025.03.16 889 0
12989 레드불 탄생비화 file 2025.03.08 9840 0
12988 72년 전, 한 남자가 쓴 출사표 file 2025.03.08 9829 0
12987 연좌제가 존재하는 나라 file 2025.03.08 9838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34 Next
/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