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역사 커뮤니티 |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조회 수 131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지금으로부터 딱 4년 전인 2020년 9월에 있었던 '인구구조변화의 원인과 정책대안에 관한 토론회'에 참여한 교수가 분석한 내용임

 

이 영상의 38분경부터 59분경에 발표되는 내용임

 

------------------------------------

 

이 연구의 대상시기는 한국이 초저출산(1.3명 이하)으로 떨어지기 직전 해인 2001년(1.31명)부터 당시 기준으로 확정자료가 나온 가장 최신년도인 2018년까지(0.98명)를 대상으로 했다.

 

 

출생아수 변동에는 크게 3가지 요인이 있다

 

 

1) 여성인구의 크기(사이즈) - 쉽게 말해 애를 낳을 사람이 변해서 생기는 효과

2) 출산시기(템포) - 아이를 더 빠르게 또는 늦게 낳아서 생기는 효과

3) 출산수준(퀀텀) - 실제로 여성 1명당 평생 낳는 아이의 수가 변해서 생기는 효과

 

 

그런데, 우리는 보통 출생아수를 결정짓는 지표로 1과 3, 그리고 출산율을 결정하는 효과로 3만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많은 사람들이 2번, 즉 출산 지연 효과로 인해 생기는 출생아수/출산율의 변화를 간과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유럽 국가들에서는 80~90년대에 출산율이 계속 감소해오다가 2000~10년대에 반등한 국가들이 여럿 있는데, 이들의 경우 8~90년대에 출산연령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출산율이 떨어졌다가 2000~10년대 들어서 출산연령 상승이 느려지거나 멈춰서 생긴 효과에 가깝다.

 

102657161.2.jpg 한국 출산율은 곧 반등할수 있다?

 

한국 역시 이런 템포효과에서 자유로울수는 없다, 아니 더 강하다. 한국은 급성장으로 인해 유럽 국가들보다도 급격한 출산연령 상승을 겪었고, 이 때문에 출산율에 템포효과가 강하게 작용할수밖에 없다.

 

그래서 시기별 총출생아수와 여성인구수를 바탕으로 출생아수 변동의 원인을 사이즈, 템포, 퀀텀으로 나누어 분석한 모델을 만들었고 이를 바탕으로 출생아수 변동에서 특정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될지를 파악했다.

 

그 결과는 다소 충격적이었다.

 

제목 없음.png 한국 출산율은 곧 반등할수 있다?
 

이 그래프는 출산율에서 템포 효과를 제거하고 퀀텀효과만 남긴 그래프인데, 템포효과, 즉 출산 지연효과 하나만으로도 출산율이 0.3~0.5 가량 떨어져있다.

 

특히 출산율이 눈에 띄게 떨어진 2015년 이후에는 템포효과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이 0.5 가량까지 확대되었으며, 이는 2015년 이후의 저출산은 출산연령 상승세가 더 가팔라진데에서 유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제목 없음.png 한국 출산율은 곧 반등할수 있다?

2001년 대비 출생아수 변화의 요인을 살펴보면, 출생아수 감소의 51.7%는 사이즈 감소, 47.8%는 퀀텀 감소, 16.7%가 템포 감소로 인한 것이다.

(※ 합쳐보면 100%가 아닌 116.2%가 나오는데, 이는 각 요소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이다.)

 

즉, 2001년 대비 2018년의 출생아수 감소 원인은 가임기 여성 수의 감소, 실제로 낳는 아이 수의 감소, 출산시기 지연 효과의 순서였다는 것.

 

Iu7BoOa.png 한국 출산율은 곧 반등할수 있다?

그런데 출산율의 재하락이 시작된 2015년 이후만 따져보면 이 비중이 확 바뀐다.

 

2015~2018년 사이에는 출산율 감소 요인 중 출산연령 지연 효과가 무려 79.5%에 달했다.(가임기 여성의 감소는 22.8%, 출산수준 감소는 32.6%) 앞에서도 말했듯이 이 시기부터 출산연령의 증가가 더 가팔라졌기 때문이다.

 

 

한국의 출산율 감소에서 출산연령 지연 효과가 끼친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아마도 이 출산연령 지연 효과가 느려지기만 해도 출산율은 반등할수 있을 것이다.

 

----------------------------------

 

이 발표가 2020년 발표라 그 이후의 저출산, 더 나아가 세계적인 저출산 추세에 대한 설명은 되지 않는다는게 다소 아쉽지만, 흥미로운 발표라서 가지고 와봤음.

 

특히 출산율 감소의 주 원인이 혼인률 감소가 아닌 혼인연령의 증가 때문이다라는 점이 제일 흥미로웠는데, 다만 이 발표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보이는 부분이 보여서 몇가지 갖고와봄.

 

 

1. 만혼과 노산이 출산수준을 낮추지 않을까?

 

실제로 인터넷 커뮤를 둘러봐도 많이들 나오는 추측인데, 쉽게 말해서 '너무 늦게 결혼하다보니 원래대로라면 2~3명의 아이를 낳았을걸 1~2명만 낳거나 안 낳는거 아닐까?'임.

 

멀리 갈 것도 없이 당장 이 발표에서도 조사기간 동안 둘째 아이의 출산이 유난히 심하게 감소했다는 이야기가 나왔으니까.

 

이게 의외로 커뮤에서도 그렇고 일상에서도 그렇고 많이 나오는 추측인데, 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는 잘 안하는 모양임.

 

 

2. 2015~2018년 사이에는 기혼자 출산율(유배우 출산율)의 감소가 컸다.

de8dec4cee7cdee44f8d91164953b4446852f9fd2f0eda367bbc9a527efcd6b2.jpg 한국 출산율은 곧 반등할수 있다?
 

먼저 혼인 대비 출산율이란, 결혼한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출산율 집계임. 일반적인 합계출산율은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집계하지만, 혼인 대비 출산율은 결혼한 여성들이 평균적으로 몇명의 아이를 낳는지를 볼수 있는 지표임.

 

2015~2018년 사이의 출산율 급락은 결혼한 여성의 출산율이 이전에 비해 크게 떨어졌기 때문임. 이걸 출산 지연효과로 봐야할지, 출산수준의 변화로 봐야할지가 문제임.

 

 

이와는 별개로, 흔히 말하는 레디컬 페미니즘이 출산율에 끼친 영향은 매우 적을 가능성이 큼.

 

레디컬 페미니즘이 본격적으로 퍼졌다고 평가받는 2015년 이후의 지표에서 출산수준 감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32% 가량에 불과했기 때문.

 

이 출산수준 감소의 원인은 페미니즘 외에도 집값이나 일자리 및 페미니즘과 무관한 개인성향과 사회풍조 등의 다양한 이유가 있을텐데, 그렇다면 페미니즘이 출산감소에 유의미한 수준의 영향을 끼쳤다고 보긴 어렵지 않을까 싶음.


역사

역사 커뮤니티 | 세계 역사, 고대 역사, 역사 토론 및 정보 공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HOT글 이재명이... 61살밖에 안 됐어....? 4 2025.05.15 580 0
HOT글 동양 서양 역사가 겹치는 타임라인 2 file 2025.05.11 603 0
HOT글 나치 독일이 초반에 그토록 강력했던 이유 2 file 2025.05.17 253 0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2025.03.19 4586 73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024.11.04 25842 5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25.01.21 20425 43
13014 204일동안 항해한 핵잠수함 상태 file 2025.05.17 234 0
13013 나치 독일이 초반에 그토록 강력했던 이유 2 file 2025.05.17 253 0
13012 이재명이... 61살밖에 안 됐어....? 4 2025.05.15 580 0
13011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의 비극, 조승희는 누구인가? 알아보자 file 2025.05.14 733 0
13010 옛날 동화가 우리가 알고 있는 결말과 다른 이유(천사까지..?) file 2025.05.11 556 0
13009 17세기 초 베트남에서 활동한 예수회의 포교 문구는 "서양인의 마음으로 들어오겠습니까?" 였는데 1 2025.05.11 565 0
13008 동양 서양 역사가 겹치는 타임라인 2 file 2025.05.11 603 0
13007 문명7 재밌네..... 1 2025.05.11 580 0
13006 청동기 시대 라는 말만 들으면 반달돌칼 민무늬 토기 자동으로 떠올라서 막 원시부족 우가우가 이런 느낌이 드는데 2 2025.05.11 609 0
13005 이탈리아 기사 서사시 광란의 오를란도 복간 결정! 2 file 2025.05.11 589 1
13004 한덕수 밀어주기 가는것같네 ㅋㅋ 국민의힘 ㅋㅋ풉 2025.05.10 603 0
13003 "대선 후보 한덕수로 교체" 초유의 사태..결국 김문수 갈아치운 국민의힘 2 2025.05.10 644 0
13002 한나 아렌트 악의 급진성으로 보는 한국의 전체주의 교육 2025.05.05 932 0
13001 인간의 두뇌를 뛰어넘는 인공지능🌐 인간이 AI와 함께 살아가는 최고의 방법 file 2025.05.01 543 0
13000 더쿠 회원가입, 2024년/2025년 최신 정보! 언제? 가입 방법, 꿀팁 총정리 (눈팅 vs 가입) 2025.05.01 650 0
12999 피라미드란 존재할까요? 2025.04.24 1278 0
12998 [오늘 이 뉴스] "이러다..?" 대선 변수 급부상.. '3가지 경우의 수' 따져보니 3 file 2025.04.23 1416 0
12997 [인터뷰] 이범준 법학연구소 연구원 "6명 채워서 파면은 확실" / JTBC 뉴스룸 3 file 2025.03.23 393 0
12996 제주 4.3사건 (역사는 반복된다) 2 file 2025.03.23 384 0
12995 280명의 정예군인 부대로 쿠테타 국회 점거 가능할까? 2025.03.22 617 0
12994 국회 실탄 지급 관련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오히려 계엄군에게 실탄이 지급된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 2025.03.22 600 0
12993 또 민주주의 추락 진단‥"한국 독재화 진행 중" (2025.03.17/뉴스데스크/MBC) 2 file 2025.03.18 889 0
12992 한국이 민주주의 한다는데 그렇지 않아요 | 김누리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더 피플] file 2025.03.18 926 0
12991 노예로 만들거나 노예가 되거나 (자유와 억압) file 2025.03.16 1168 0
12990 석열의 3년 : 파괴된 정치‥추락한 민주주의 4 file 2025.03.16 889 0
12989 레드불 탄생비화 file 2025.03.08 9840 0
12988 72년 전, 한 남자가 쓴 출사표 file 2025.03.08 9829 0
12987 연좌제가 존재하는 나라 file 2025.03.08 9838 0
12986 21년만에 해결한 미제 은행강도 사건 file 2025.03.08 9922 0
12985 조선의 장애인 대우 1 file 2025.03.08 9804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34 Next
/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