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퐁
프리스턴 물리연구소 MIT TR35(MIT 테크놀로지가 매년뽑는 35인중 한명) 포브스 30
현재는 캐나다에서 CEO 하고 있는 사람
The breakthrough = 돌파구라는 뜻
초전도체 공간 = "SPACE" 라는 그룹음성채팅 비슷한 트위터 기능이 있는데
거기서 자기 지인 연구자들과 소식 공유 중 방금 들었다고 함
한국측이 제시한 기존 LK99 시연영상에서 "원래 초전도체 특성과는 다르게 왜 이 영상에선 반만 떠있냐!" 하고 학자들 사이에서 의문 많았는데
막상 해보니 그 시연영상처럼 진짜로 완전히 안 떠있는 상태에서도 초전도체 특성을 보이는 중이라고 함
본인 생각으로는 아마 품질 더 높이면 기존 초전도체처럼 뜰 것 같다고도 함
마이스너 효과가 왜 안 나타나냐고 LK99가 공격 엄청 받았었는데
본인은 마이스너 효과가 안 나타나는 새로운 초전도체 같다고 함
근데 이게 왜 되는지는 자기도 정확히는 모르겠고
그냥 가설 세워보는 중
원래 분자구조 머신러닝 연구도 했었어서 구조 시뮬레이션 해봤는데
구조보니 아마 납 말고 다른 재료로도 재현 가능할 것 같다고 함
https://twitter.com/DanielleFong
메릴랜드대 "한국 초전도체 이론상 가능"
말 그대로 이론상은 가능하다고 함
그리고, 고려대가 사기치는것 같진 않데.
다만, 이번주 잘 살펴봐야할듯.
고온 초전도체가 이론상 가능하다는 말 LK-99는 상온 초전도체
https://twitter.com/condensed_the
ISB(Inter Atomic Superconducting Band) 이론이 상온 초전도체를 설계하는 이론이라고 이해하면 가능할듯
실제로 새로운 형태의 초전도체일 확률이 더 높다고 하니까 지금 과정이 납득
게다가 재현된 LK99가 진짜 새로운 타입의 초전도체라면 LK99가 문제가 아니라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설명할 수 있는
ISB 이론이 더 값진 성과라 언젠가는 마이스너 효과 까지 구현한 초전도체가 나온다는 거고
근데 인터뷰 날짜가 93년;;;;; 이론 증명하는데 30년을 날린 게 아깝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2445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