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580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프레임의 차이가 공방 불러

퇴계, 理·氣를 나란히 배치 '횡설'… 대비적 속성·갈등 관계로 봐

율곡은 수직으로 배치 '수설'… 더불어 변하고 동반하는 관계로

횡설과 수설은 헛소리 아니다

성리학 현대로 거듭날 가능성 제시… 한국사회 보수/진보 담론에 대입

"학계 불편한 반응, 지적 폐쇄주의

 

↑ 이승환 교수는 "현재 한국철학의 성리학 연구는 16, 17세기 담론에 갇혀 있다"며 "조선 성리학은 현대철학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역설한다. 신상순 선임기자 ssshin@hk.co.kr

세계철학사에서 조선 유학의 성리 논쟁만큼 격렬하게 오래 간 논쟁은 없을 것이다. 퇴계 이황이 죽고 2년 뒤인 1572년, 율곡 이이가 퇴계를 비판하면서 시작된 논쟁은 조선이 망할 때까지 400년 이상 이어졌고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처음에는 학술 논쟁이었으나 나중에는 분당에 따른 대립과 정치적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퇴계와 율곡, 두 학파가 서로를 원수 보듯 하여 반목과 갈등이 극에 달했다.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리(理)'와 '기(氣)', 두 글자를 둘러싼 이 논쟁은 지금도 해결되지 않았다. 예문동양사상연구원이 펴내는 학술지 <오늘의 동양사상>의 '논과 쟁' 코너를 통해 2006년부터 3년간 현대판 이기논쟁이 다시 벌어졌지만, 한 치도 나아가지 못한 채 수많은 학자들의 난타전으로 끝났다.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는 왜 400년 동안이나 평행선을 달렸을까. 철학자 이승환(56ㆍ고려대 철학과 교수)의 <횡설과 수설>(휴머니스트 발행)은 이 수수께끼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다. 그런데, 그 내용이 충격적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성리 논쟁은 프레임(사고의 틀)의 차이에서 비롯된 '소통 오류'라는 것이다. 서로 상대방이 하는 말을 잘못 알아들어 치고 받았다는 소리다. 이 주장이 맞다면, 그 오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나온 수많은 논문은 다시 쓰거나 폐기돼야 할 판이다. 한바탕 격쟁에 불을 붙일 도화선 같은 책이다.

이 교수는 성리 논쟁이 오해로 흐를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 원인을 '횡설(橫說)'과 '수설(竪說)'의 충돌이라는 기호학적 프레임으로 해명한다. 퇴계는 리와 기를 마음의 대비적 속성으로 보고 좌우로 배치하는 횡설에 입각해 주장을 펼치는 반면, 율곡은 이 두 기호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수설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퇴계의 횡설에서 리와 기는 가치론적 대비 관계이지만, 율곡의 수설에서 그것은 리가 기를 타고 공변(共變ㆍ더불어 변함)하는 존재론적 승반(乘伴ㆍ올라타고 동반함) 관계다.

프레임의 차이가 빚어낸 오해는 성리학의 핵심 개념이 지닌 중의성 때문에 더 헝클어졌다. 리와 기의 개념에는 각각 존재론적 의미와 가치론적 의미가 중첩돼 있다. 존재론적으로 보면 리/기는 '형이상의 원리/형이하의 재료'이지만, 가치론적으로 보면 '도덕성향/욕구성향'을 가리킨다. 즉 어떤 맥락에서 쓰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지지만, 구분 없이 쓰는 바람에 혼돈이 더 커졌고 결국 퇴율 두 학파 간에, 심지어 같은 학파 안에서조차 의사 소통이 안 됐다는 것이다. 이는 조선 성리학자들만의 잘못이 아니다. 동서양 공히 근대 이전에는 존재와 당위를 선명하게 구분하지 않고 썼다는 것이 이 교수의 설명이다.

이 책은 어지럽게 뒤얽힌 조선 성리 논쟁의 실타래를 단번에 풀어버리는 쾌도난마다. 개념의 미로에서 더 이상 헤매지 않고 정확한 담론을 전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역작이다.

성리 논쟁의 오해를 말끔히 씻어낸다는 점 외에 이 책이 지닌 중요한 의의는 조선 성리학이 죽은 공리공론이 아니라 살아있는 현대철학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횡설과 수설이 충돌해 오해로 끝났다니, 조선 성리학은 결국 횡설수설 헛소리였다는 말인가.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성리논쟁의 횡설과 수설은 각각의 맥락에서는 매우 유효한 틀이며, 오늘날 사회의 변화나 문화 변동을 설명하는 '사회 동역학'의 이론틀로도 아주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그는 역설한다. 책은 현대 한국 사회의 보수/진보 담론을 횡설과 수설로 분석해 이를 입증하고 있다.

이 책은 학계를 불편하게 할 것이 틀림 없다. 이미 그런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저자는 최근 1년 간 이 책의 논증을 소개하는 논문 5편을 써서 학술지 게재를 신청했다가 게재 불가 또는 수정 권고를 받았다. 그에게 전혀 없던 일이다. '존재와 당위는 서양철학 개념인데 왜 동양철학에 적용하느냐'는 지적부터 '성리학은 분석 대상이 아니라 마음으로 깨닫는 것'이라며 '퇴계의 종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게재할 수 없다'는 심사평까지 있었다.

그는 이러한 반응을 '지적인 폐쇄주의'라고 질타한다. 조선 성리학은 이제 서양 현대철학과 당당하게 어깨를 견주는 오늘의 사상으로 거듭나야 하며, 충분히 그럴 역량이 있는데도 언어의 미로에 갇힌 채 기존 틀을 고집함으로써 스스로 고사(枯死)의 길을 걷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리ㆍ기 개념의 중의성에 대해 아무리 말을 해도 귀를 기울이지 않으니, 후학을 기대하면서 이 책을 썼다"고 말한다. 그의 도발에 학계가 어떻게 대응할지 자못 궁금하다.

오미환 선임기자 mhoh@hk.co.kr


2 0 0 2 2 0 0 0 0 0 0 2 0 2 0 2 4 0 0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베트남 국민들이 자긍심이 센 이유 덕후냥이 2025.07.20 394 3
공지 양극화에 대하여 2 new 덕후냥이 2025.07.22 95 0
공지 장비도 없는 열악한 환경 KBS 수요기획 &#039;한국 UDT, 캄보디아를 가다&#039; 2 file 덕후냥이 2025.07.22 163 0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2 무명의덕질 2024.11.04 29676 66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무명의덕질 2025.01.21 23562 44
13028 양극화에 대하여 2 new 덕후냥이 2025.07.22 95 0
13027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 사고 조사위원회 "조종사의 오작동 있었다" 중간발표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100 0
13026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책 후기. new 덕후냥이 2025.07.22 95 0
13025 로마 제국이 중세에 남긴 흔적 2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129 0
13024 장비도 없는 열악한 환경 KBS 수요기획 '한국 UDT, 캄보디아를 가다' 2 file 덕후냥이 2025.07.22 163 0
13023 중세, 명예와 신앙으로 다스려지는 세계 file 덕후냥이 2025.07.20 394 0
13022 베트남 국민들이 자긍심이 센 이유 덕후냥이 2025.07.20 394 3
13021 일본 731부대 '생체 실험' 추가 증거 공개 누적 피해자 3000명 넘었다 file 덕후냥이 2025.07.14 618 0
13020 인류 진화사를 뒤흔든 호모 날레디 그들은 누구인가? file 덕후냥이 2025.07.10 931 0
13019 드디어 풀린 인류 '미스터리'...유전적 자료와도 일치 file 덕후냥이 2025.07.10 944 0
13018 모션디자인(한국보물) - 청자투각칠보무늬향로 file 덕후냥이 2025.06.26 1077 0
13017 모션디자인 - 한국 보물 2 file 덕후냥이 2025.06.25 506 1
13016 민주당 울산시당 선대위 전은수!! file 덕후냥이 2025.05.20 422 0
13015 이준석, 긴급 기자회견 “나와 이재명 일대일 구도돼야…김문수론 이길 수 없어” 2 덕후냥이 2025.05.20 401 0
13014 204일동안 항해한 핵잠수함 상태 file 덕후냥이 2025.05.17 313 0
13013 나치 독일이 초반에 그토록 강력했던 이유 2 file 덕후냥이 2025.05.17 328 0
13012 이재명이... 61살밖에 안 됐어....? 4 덕후냥이 2025.05.15 619 0
13011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의 비극, 조승희는 누구인가? 알아보자 file 덕후냥이 2025.05.14 778 0
13010 옛날 동화가 우리가 알고 있는 결말과 다른 이유(천사까지..?) file 덕후냥이 2025.05.11 589 0
13009 17세기 초 베트남에서 활동한 예수회의 포교 문구는 "서양인의 마음으로 들어오겠습니... 1 덕후냥이 2025.05.11 582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652 Next
/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