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인텔, 10세대 코어 프로세서 발표, 10nm 공정, 더 커진 캐시 https://gigglehd.com/gg/4977306
위 글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세부 사항을 설명한 내용입니다.
우선 썬더볼트 3입니다. 구리 재질의 케이블에 USB-C 단자를 사용,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 속도는 최고 40Gbps입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분리해, 디스플레이 연결에 사용하는 디스플레이포트,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USB 3.x, PCIe 등의 다른 프로토콜을 썬더볼트 3 통신에 올릴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지난 몇 년 동안 도킹 스테이션은 썬더볼트 3으로 정리되고 있지요.
인텔은USB 표준을 수립하는 USB 프로모터 그룹에 썬더볼트 3 스펙을 기증해, 그 스펙을 그대로 USB4로 삼게 됐습니다. 앞으로 인텔 뿐만 아니라 다른 제조사도 썬더볼트 3 컨트롤러를 만들어 자사의 칩에 넣을 수 있지만, 그러려면 썬더볼트 3 컨트롤러를 일단 개발해야 하니 그동안 다뤄본 경험이 있는 인텔이 더 유리합니다.
10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통합된 썬더볼트 3 컨트롤러를 USB4라고 부르진 않습니다. 아직 정식 규격이 아니고 스펙 책정이 보류 단계이며 호환성 검증 프로그램도 나오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지원 장치도 없거든요. 그러니 나중에 USB4가 될지언정 아직은 썬더볼트 3입니다.
현재 외장 드라이브나 그래픽 박스에 들어가는 썬더볼트3 컨트롤러는 인텔이 독점 생산하며, 그 때문에 가격이 비쌉니다. 앞으로 썬더볼트 3가 USB4가 되어 스펙이 공개되면 누구나 만들 수 있을테니 가격은 저렴해질 겁니다.
10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내장된 썬더볼트 3는 4포트입니다. 여러 신호를 하나로 묶는 Retimer 컨트롤러는 프로세서 밖에 있으며 이건 따로 공급합니다. OEM 제조사는 Retimer와 USB PD 컨트롤러를 보드에 넣는 것만으로 저렴하게 썬더볼트 3 구현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의 썬더볼트 3 디자인
아이스레이크의 썬더볼트 3 디자인
10세대 코어 프로세서의 칩셋에는 USB 3.1 Gne2 10Gbps 컨트롤러가 6개 탑재돼, USB 3.1 Gen2를 지원하는 USB 포트를 6개 구현합니다. 슬림형 노트북에서 거기까지 필요하진 않을지도 모르나 올인원이나 NUC에서는 도움이 될 듯.
다음은 Gen11 내장 그래피입니다. 전보다 성능이 더욱 높아졌다는 게 핵심 되겠습니다.
인텔의 GPU는 2세대 코어 프로세서(샌디 브릿지)에서 처음 다이에 통합을 이루었으며, 그 때는 Gen6이었습니다. 3세대 코어 프로세서인 아이비 브릿지는 Gen7, 4세대 코어 프로세서 하스웰은 Gen7.5, 5세대 코어 프로세서 브로드웰은 Gen8, 6~9세대 코어 프로세서(스카이레이크, 카비레이크, 카비레이크 리프레시, 커피레이크, 커피레이크 리프레시)는 Gen9입니다.
Gen10은 10nm 공정으로 미세화한 캐논레이크에 탑재될 예정이었으나, 캐논레이크는 GPU를 비활성화해서 출시했습니다.
10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탑재된 Gen11은 10nm 공정으로 미세화된 특징을 살려, 실행 엔진(EU)를 64개로 늘렸습니다. 8세대 코어 프로세서의 U 시리즈(TDP 28W/15W)는 48개니까 33% 늘어났습니다. 다만 64개라는 건 아이리스 프로 그래픽 이야기며, 아이리스 프로가 64개와 48개, UHD 그래픽스는 32개가 됩니다. 그래도 8세대 코어 프로세서의 UHD 그래픽스가 24개였으니까 33% 늘어난 건 변함 없습니다. 클럭은 제품마다 다르지만 터보 부스트 1.1GHz.
라스터라이저가 강화돼 1클럭 당 16픽셀을 처리하고, 1클럭에 32 바이 리니어 필터드 텍셀 실행, 3MB L3 캐시, 0.5MB 공유 로컬 메모리도 지닙니다.
디스플레이 출력은 3 파이프로 DP 1.4, HDMI 2.0b 등의 최신 규격을 갖췄습니다. HDR과 10비트 출력을 하드웨어에서 지원합니다. HDR 스펙은 HDR10과 돌비 비전이 있습니다.
HEVC 인코딩 엔진을 2개로 구성해 4K/60fs나 8K/30fps 동영상을 인코딩합니다.
U/Y 시리즈에선 eDRAM은 탑재하지 않고, 메모리 컨트롤러가 LPDDR4X-3733, DDR4-3200으로 강화되며 메모리 대역폭도 늘었습니다. 그 결과 FP32에서 최고 1.12TFLOPS, FP16에서 2.25FLOPS의 성능을 냅니다.
베사의 어댑티브 싱크를 지원.
소프트웨어 강화
그래픽스 커맨드 센터 업데이트.
내장 그래픽에서 지원하는 게임이 증가
PC 게임 최적화
리눅스 드라이버는 3분기
유명 게임에서도 1080p 해상도로 즐길 수 있는 성능.
그리고 커피레이크 리프레시 기반의 9세대 코어 v프로와 제온 E 프로세서를 발표했습니다. vPro 기능 지원이 특징. 그거 빼면 기존 프로세서와 다른 건 없으니까 그냥 넘어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