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망중립성 폐지된게 가장 큰 문제
[디지털데일리 홍하나기자] 미국 주요 통신사업자 4사가 인위적으로 인기 동영상 플랫폼의 네트워크 속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전역에서 망중립성(Net Neutrality) 원칙이 폐지되면서 우려했던 상황이 발생한 것. 통신사와 콘텐츠 사업자간의 갈등에 사용자들의 피해만 커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노스이스턴대학과 매사추세츠 주립대 앰허스트의 연구에 따르면 AT&T·버라이즌·스프린트·T모바일 등 미국 주요 통신사는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NBC 스포츠의 스트리밍 속도를 저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속도측정 앱 'Wehe'를 사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AT&T와 버라이즌은 동영상 플랫폼 속도를 각각 8398회, 1만1100회 저하했다. T모바일과 스프린트는 각각 3900회, 339회 저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통신사들은 인터넷 트래픽을 관리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버라이즌은 “우리는 사용자들을 고의적으로 방해하지 않는다”면서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 관리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고화질 동영상 소비가 늘어나면서 통신사들은 폭증하는 트래픽 관리를 위해 새로운 망을 구축을 해야 한다. 하지만 망 구축비용이 부담스러운 통신사는 대용량 데이터를 소비하는 콘텐츠 사업자에게 더 많은 망 비용을 요구하려는 것.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7254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 shm&sid1=105&o 138&a 0002065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