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
2022.02.26 13:19
우분투 서버로그 자동으로 삭제하는 방법
조회 수 75 추천 수 0 댓글 0
- 대부분의 배포판들은 자동적으로
logrotate
또는 그와 유사한 유틸리티를 자동 실행하여/var/log
의 파일들을 잘라낸다.
log 디렉토리: /var/log
리눅스에서는 /var/log
디렉토리에서 시스템의 모든 로그를 기록, 관리한다.
로그 파일의 로테이션
로그파일은 배치해두면 추가되기만 할 뿐이기 때문에 용량이 거대해져 간다. 로그파일의 로테이션 기능을 사용하면 낡아진 로그를 나누고, 로그파일이 방대해지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예를 들어 /var/log/messages 파일은 /var/log/messages.1 파일로 이름을 변경하고 새로운 /var/log/messages 파일이 작성된다.
다음 로테이션이 오면 messages.1 파일이 messages.2 가 되며 messages 파일이 messages.1이 된다. 규정된 파일수를 넘어가면 가장 늙은 로그 파일이 삭제된다.
로그 파일의 로테이션 기능은 logrotate 유틸리티가 제공한다. logrotate 유틸리티는 cron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실행된다. logrotate의 설정은 /etc/logrotate.conf 파일에서 행한다.
# 로테이션 주기를 1주일로 설정
weekly
# 백업로그를 4주간 보관한다
rotate 4
# 로테이션된 후 비어있는 로그파일을 작성한다
create
# 로그 파일을 압축한다
compress
# /var/log/wtmp 파일의 설정
/var/log/wtmp {
monthly // 로테이션 주기를 1개월로 설정
create 0664 root utmp // 퍼미션을 644 소유자를 root 그룹을 utmp로 새로운 파일 작성
rotate 1 // 백업 로그를 1개 저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