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조회 수 134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수정 삭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수정 삭제
Extra Form

요기에다가 설치 방법 설명서를 올려 두었습니다.
각종 패키지 깔고 하는건 그냥 쉘스크립트를 Git에서 받아다가 골치 아프지 않게 자동으로 되도록 해 봤어요.
대충 시간을 재보니 수동으로 하나씩 까는 것에 비해서 시간을 1/5~1/10까지 단축해 줍니다.
인터넷 속도가 그럭저럭 나온다면 아마 1~1.5시간 정도면 끝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성은...

Ubuntu Server 14.04 (베이스시스템)
OpenBox (윈도우관리자)
Tint2 (태스크바)
Conky (바탕화면위젯)
PCManFM (탐색기)
다솜입력기 (다국어입력기)
Numix (테마)
Python 툴체인 (Jupyter Notebook 까지)
...

LightDM은 생략해서, 부팅후 텍스트모드에서 로그인한 후에 직접 startx 타이핑 해줘야 됩니다. (개인취향)
뭐 이런 기본적이고 무난한 거고요.
윈도우PC를 주력으로 쓰고, 버츄얼박스로 리눅스 올려서 가볍게 돌리는 경우를 상정해서 구성했습니다.

구버전에서 이런식으로 구축한 레시피가 있었는데 버전도 바뀌고 했으니 함 써서 공유해도 나쁘지 않겠다 싶어서 올려 봅니다.
 

UbuntuBang.png
UbuntuBang.png (44.35 KiB) Viewed 765 times




일단 구성한 후에 X윈도우 진입 직후 메모리 점유율을 보니깐 110MB 정도 됩니다.

그런데 이중에 다국어 입력기가 어떤걸로 하더라도 수십MB 정도의 메모리를 먹더군요.
다솜입력기는 UIM벼루보다 조금 더 메모리를 점유하더군요.
대신 한영변환시 Shift+Space 뿐만 아니라 한영키로 모두 쉽게 가능하므로 좋은 듯 합니다.

아무튼 버츄얼박스에 리눅스 올려서 뭔가 하려고 할 때, 우분투 데스크탑이나 민트 같은 걸로 하기엔 너무 자원낭비다 싶을 때 쓰려고 개인적으로 만든 것입니다. 제 경우엔 주로 계산용으로...

Top

hodong
Posts: 200
Joined: 2014/12/23 Tue 3:29 am
Contact: 

Contact hodong

Re: 경량 리눅스 신속 설치 레시피

  •  

Postby hodong » 2015/12/01 Tue 4:24 am

gnome-system-monitor 로 볼 때, 메모리 소비량은 다솜이 UIM 보다 적습니다..

memory-usage-dasom.png
memory-usage-dasom.png (24.21 KiB) Viewed 739 times

 

memory-usage-uim.png
memory-usage-uim.png (29.38 KiB) Viewed 739 times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을 많이(10개 정도) 열었을 때에도 원리적으로 다솜의 메모리 사용량이 더 적을 겁니다.
예를 들면, gedit 를 실행하면 gtk_im_context_new() 가 7개 정도 실행됩니다. 즉, 인스턴스가 7개 만들어지는데,

다솜의 경우,
각각의 7개 gtk im 모듈 인스턴스 ---- 다솜 서버와 통신함 --- 서버 모듈 객체 인스턴스 1개 (원리적으로 싱글톤 방식이라 객체 1개 생성)
프로세스 2개.

UIM 의 경우,
각각의 7개 gtk im 모듈 인스턴스 --- UIM 표시기 관련 서버와 통신함.
프로세스 4개.

이런 방식입니다.

다솜 서버에 있는 한글 인스턴스는 1개.
gedit 를 10개 실행하면 한글 인스턴스는 1개. 한자 사전도 1개만 로딩됨.

UIM의 벼루가 싱글톤 방식인지 아닌지 확인해보지 않았습니다.
UIM의 벼루가 싱글톤 방식이라면 gedit 를 10개 실행하면 한글 인스턴스가 10개 생성될 것입니다. 한자 사전 10개 로딩됨.
싱글톤 방식이 아니라면, gedit 를 10개 실행하면, 한글 인스턴스가 70개 생성됩니다. 한자 사전 70개 로딩됨.
 

참고로,
imhangul 은 비통신 방식이며 싱글톤 방식이 아니므로,
gedit 를 10개 실행하면, 한글 인스턴스가 70개 생성됩니다. 한자 사전 70개 로딩됨.



gtk im module 는 서버측에서 돌아가는 것이 아니고 클라이언트측에서 모듈(.so)로 돌아가는 것이므로
응용 프로그램쪽의 메모리 사용량에서 잡힐 것입니다. 다솜이나 UIM 쪽의 메모리 사용량을 봐서는 나오지 않습니다.

실제 사용시에도 다솜 입력기의 메모리 사용량이 UIM 보다 훨씬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프로세스 개수도 UIM의 1/2 수준이라 부하도 적습니다.
메모리 부담 없이, 프로세스 부담 없이 다솜 입력기 부담없이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솜 입력기.. 버박에서 돌릴 때에도 가볍게 돌아갑니다.

Top

dymaxion
Posts: 54
Joined: 2011/12/28 Wed 10:13 pm

Re: 경량 리눅스 신속 설치 레시피

  •  

Postby dymaxion » 2015/12/04 Fri 12:40 am

Hodong님, 친절하게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답글이 늦어서 정말 죄송하네요...
회사 일이 발등에 불이 떨어져서 며칠 못 들어와 봤었습니다.

설명 보고 다시 확인해 보니, UIM은 DASOM(버전 1.0.1)보다 떠 있는 프로세스가 더 많군요.
(DASOM은 2개, UIM은 4개 보입니다.)
lxtask로 볼 때 UIM 관련 프로세스들이 이리저리 뚝 떨어져 있어서 제가 자세히 관찰을 못했던 것 같습니다.
 

DASOM.png
DASOM.png (35.14 KiB) Viewed 704 times


 

UIM.png
UIM.png (61.95 KiB) Viewed 704 times



제 경우에 메모리 점유량을 합산해 보면
DASOM은 40.2MB, UIM은 46.3MB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제 경우에도 역시나 DASOM이 메모리 점유량이 더 적군요.


사실 DASOM 입력기를 써보니 너무 좋던게,
다른 입력기를 쓸때는 '한영키'로 한영 전환하도록 설정하는게 상당히 까다롭거나 불가능했던 것 같은데
DASOM의 경우에는 아주 간단하게 'Shift-Space', '한영키' 모두 다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었던 거였습니다.
윈도우 쓰다가 리눅스 쓰다가 왔다갔다 하는데, 헷갈려서 이거 사소한 거라도 의외로 타이핑하는데 걸림돌이 되었었거든요.

또 웹서비스로 제공되는 Codemirror나 그 비슷한 것들 기반으로 된 웹에디터를 사용할 때,
다른 입력기로 잘 안되던게 DASOM에서는 좀 더 나아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다국어 입력기라는게 평소에 신경도 안 쓰던 거였는데,
Hodong 님이 작업하시면서 여기저기 남기신 설명들을 보니 보통 작업이 아니구나 하고 알 수 있었죠.

이번에 보니깐 PPA 저장소도 개설하신 것 같던데, 이곳이 활성화되면 저도 이걸 반영해서 업데이트 해 보겠습니다.
부디 건강하시기를 바라고,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뉴스 구글 최신 뉴스 file 1386 2024.12.12
HOT글 일반 아 진짜 요새 SKT 해킹 뭐시기 때문에 신경 쓰여 죽겠어 ㅠㅠ 2 237 2025.05.20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85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3 25853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10640 PHP에 다중 코어를 사용하는 방법 1 1409 2023.03.30
10639 CPU 코어 수보다 더 많은 PHP-FPM 자식을 실행하는 것이 맞습니까? 2 1441 2023.03.30
10638 유튜브 8k를 틀면 왜 버벅대는 건가요? 1 1349 2023.04.03
10637 혹시 중고 그래픽카드 as는 어떻게 얘기하구 받아야하나요?? 2 1949 2023.04.03
10636 다운로드 속도가 옳게 나오고 있는건가요? 1 1937 2023.04.03
10635 LG그램 노트북이 느려요. nvme ssd 캐시값에도 영향이 있나요? 1 3148 2023.05.01
10634 3440X1440 해상도 그래픽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2 3244 2023.05.01
10633 Nvme 아무데나 꽂아도 됨? 1 file 362 2023.05.05
10632 설계용 노트북 추천 1 372 2023.05.05
10631 휴대폰 기종 뭔지 아시는 선생님 계실까요 1 file 389 2023.05.05
10630 아ㅋㅋ 하드디스크 이거 망한 거지? file 388 2023.05.05
10629 HDD 8TB 할인 존버성공!! 2 375 2023.05.05
10628 알뜰로 가게 좀 도와조... 2 354 2023.05.05
10627 빅스떄노릴만한노트북추천해주세용 1 392 2023.05.05
10626 RX6600에서 3060Ti으로 1 352 2023.05.05
10625 5800x3d는 더이상 가격 안내려가겠지? 1 408 2023.05.05
10624 키보드 25만원이하로 사려는데 다 비슷하나요? 382 2023.05.05
10623 제 씨퓨 내장그래픽 안되는 제품인가요? 1 file 349 2023.05.05
10622 혹시 컴퓨터 의자 관심있으시거나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2 360 2023.05.05
10621 l3 캐쉬 메모리가 차이 나면 어떤게 체감이 오는건가요? 2 file 648 2023.05.22
10620 L3 캐쉬 유무 성능차이 1 863 2023.05.22
10619 기가바이트 Z790 어로스 익스트림 X, 디스플레이 내장 file 479 2023.06.02
10618 TSMC N3, SRAM 확장이 많이 어려워짐 file 461 2023.06.02
10617 젠슨황: 인텔 파운드리로 테스트 칩 생산함. 잘 작동 346 2023.06.02
10616 AMD, 라이젠 AI의 추론 처리를 시연 772 2023.06.02
10615 SK하이닉스 10나노급 5세대 DDR5, 세계 최초로 데이터센터 호환성 검증 돌입 716 2023.06.02
10614 중국 무어 스레드, 3584 코어와 7GB GDDR6 메모리의 MTT S70 GPU file 599 2023.06.02
10613 인텔 메테오레이크로 추측되는 CPU가 탑재된 MSI 노트북 file 437 2023.06.02
10612 ASUS, 360mm 일체형 수냉 쿨러와 리퀴드 메탈을 쓴 ROG 매트릭스 지포스 RTX 4090 file 814 2023.06.02
10611 엘더레이크 vs 랩터레이크 vs 사파이어래피즈 간의 다이 샷 비교 file 666 2023.06.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5 Next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