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인터넷 찾아보시면, 프리모캐시 L2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놓은 게 있는데, 딴 건 몰라도 옵션설정은 엉터리입니다. 데이터를 초기화하면 안되요. 그리고 HDD에는 램을 L1 캐시로 줄 필요가 없습니다. L1은 0으로 설정하면 되고, L2만 SSD 20~40기가 정도 주면 됩니다.(사용되는 양을 보면 이중 8기가 정도밖에 사용하지 않음..) 그 외에 다른 옵션은 건드릴 필요 없고, 그게 가장 속도가 빨라요.
가장 효율적으로 쓰려면 SSD와 HDD들을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1> Cache Task #1 -> SSD (처음에 태스크를 잡을 때 SSD(read only)로 잡을 것)
* 레벨-1 캐시 : 메모리 4기가~8기가 (메모리가 8기가밖에 없으신 분들은 SSD 캐시를 설치하지 마세요. 별 차이도 없습니다.)
메모리 아까우면 SSD에 캐시 주실 필요 없습니다. 벤치상에는 꽤 그럴듯한데, 전혀 속도 증가 없어요.
* 레벨-2 캐시 : SSD에는 레벨-2캐시가 필요 없습니다.
More Parameters
○ Block Size (블록 크기) : 4K
○ Cache Strategy (캐시 전략) : Read-data Only
○ Prefetch Last Cache : 여기에 체크 => 첫 번째 데이터 액세스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부팅할 때 기본 디스크의 캐시 내용을 레벨-1 캐시로 로드합니다.
○ Start at Windows Boot (Windows 시동시 시작) : 여기에 체크 => 기본적으로 Windows로 로그온 한 후 유휴 시간이 지난 후에 프리 페치가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 옵션을 사용하면 Windows가 시작될 때 최대한 빨리 프리 페치가 시작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Windows 부팅 시간이 약간 길어질 수 있긴 하지만 체감하기는 힘듭니다.
2> Cache Task #2 -> 모든 하드디스크들 (처음에 태스크를 잡을 때 read only로 잡을 것)
속도 증가 확실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 레벨-1 캐시 : HDD에 램을 할당해 줄 필요 없습니다.
* 레벨-2 캐시 : SSD 40기가
레벨-2 캐시
사이즈 : Max
Advanced Level-2 Cache options :
Gather Interval (수집 간격) : DEFAULT
그 외에 나머지는 손대지 말것..
More Parameters
○ Block Size (블록 크기) : 512K
○ Cache Strategy (캐시 전략) : Read-data Only
이렇게 해서 사용하면... 상당한 속도증가를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자주 읽던 방대한 데이터들을 부팅 직후, 검색했을 때 곧바로 찾아내는 걸 보면 감탄할 수밖에 없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