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추상적인

배경:

치매청소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그룹의 용어 및 운영 정의에 대한 합의가 필요합니다.

목적:

이 통합적 검토의 목적은 어린 나이에 치매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조작적 정의를 탐색하고 포함하는 것이었습니다.

행동 양식:

2020년 8월 14일 PubMed, Embase, Cinahl 및 PsycInfo 데이터베이스에서 Google을 사용하여 경험적, 이론적 문헌을 검색했습니다. '치매'와 '어린 나이에'를 설명하고 정의하는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여 용어에 관한 문헌을 수집했습니다. 기준 연령 및 기준을 포함한 연령 관련 측면; 그리고 어린 나이에 치매의 원인.

결과:

검색을 통해 6,891개의 실증적 출판물과 4,660개의 이론적 출판물이 산출되었으며, 그 결과 명시적인 토론이 포함된 36개의 출판물과 확인용 출판물 53개를 포함하여 89개의 출판물이 포함되었습니다. '젊은이에게 발병하는 치매'는 지난 20년 동안 확인된 7개의 용어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용어였습니다. 총 6개의 상한연령과 4개의 구분연령 기준을 고려할 때 증상 발현 연령이 65세인 경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8개의 낮은 연령 제한과 연령에 따른 세분화 옵션이 포함되었습니다. 우리는 251개의 서로 다른 병인과 27개의 병인 범주를 확인했습니다.

결론:

젊은 발병 치매라는 용어와 증상 발병 연령이 구분 기준으로 사용된다는 상대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젊은 나이에 치매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부분이 불분명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제적 합의 연구에서 논의할 논란이 발견됐다.

키워드: 정의, 조작화, 젊은 발병 치매

소개

치매는 노년기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젊은 사람들에게도 발생합니다. 이 젊은 그룹의 용어와 정의에 관한 과학 문헌에는 거의 합의가 없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치매를 앓고 있는 모든 사람의 6%~9%가 65세 미만인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에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이의 수는 상당합니다[  ].

역사적으로, 어린 나이에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을 설명하는 첫 번째 용어는 노인성 치매 였습니다 . 이 용어는 뇌의 비정형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치매 징후를 보이는 51세 환자 Aguste D.를 묘사한 Aloïs Alzheimer에 의해 도입되었습니다[  ]. 최근 수십 년 동안 조기 발병 치매 , 젊은 발병 치매 등 다른 용어가 문헌에 도입되었습니다 . 이들 용어는 문헌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용어가 정확히 어떤 병인을 가리키는지, 누구를 가리키는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모호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일부 저자들은 어린 나이에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 그룹 내의 특정 하위 그룹을 지칭하기 위해 다른 용어의 사용을 제안했습니다[  ].

용어 문제 외에도 최근 연구에서는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이들의 특성과 돌봄 요구 사항, 그리고 노년기에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젊은 치매와 노년기 치매의 구별은 연구와 치료의 관점에서 중요합니다. 첫 번째 관점을 고려하면, 젊은 사람과 노년층의 치매의 잠재적 원인에는 더 큰 이질성이 있고, 질병의 경과와 특성 모두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은 알츠하이머병부터 대사 장애 및 프리온 질환과 같은 덜 일반적인 원인까지 다양합니다[  ]. 질병 경과와 관련하여, 노인과 비교하여 젊은 사람의 뇌에서 알츠하이머병의 질병 메커니즘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습니다[  ]. 또한, 이 질병의 특징은 뇌의 다른 영역이 더 어린 나이에 관여하는 경향이 있어 로고페닉 변종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 후부 피질 위축 및 피질기저핵 퇴화와 같은 표현형 변이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후기 발병 알츠하이머병과 다릅니다  ], 더 자주 비기억상실증을 유발합니다[  ]. 이는 또한 젊은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노년기에 알츠하이머병 환자보다 질병에 대한 더 온전한 인식을 갖고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젊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는 위험 요인으로 보입니다[  ]. 일반적으로 젊은 개인에게 발생하는 전두측두엽 치매의 경우 탈억제 및 질병 부재 인식이 주요 증상 중 하나입니다[  ]. 치료의 관점에서 볼 때, 어린 나이에 치매의 초기 증상은 종종 일반의에 의해 인식되지 않아 적절한 진단 서비스에 대한 시기적절한 의뢰가 지연되고 결과적으로 적절한 서비스 및 지원 시작이 지연됩니다[  ] . 더욱이, 젊은 치매 환자의 돌봄 요구 사항은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들의 요구 사항과 다릅니다[  ]. 예를 들어, 치매에 걸린 젊은 사람들은 주간 활동, 이동성 및 정보와 같은 특정 요구로 이어지는 활동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유용성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해야 할 필요성을 표현하며[  ] 어떤 경우에는 연로한 부모를 직접 돌보아야 합니다. 은퇴 전 치매가 발병하면 간병비가 거의 두 배로 오르고[  ] 금전적인 문제도 흔히 발생한다[  ]. 이러한 돌봄 요구의 차이는 젊은 치매 환자와 간병인 모두를 위한 맞춤형 돌봄과 전문 돌봄 서비스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 여러 국가에서는 이로 인해 이 특정 그룹을 위한 전용 서비스가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부족하고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 특정 연령 이상의 사람들에게 돌봄 서비스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 개인과 노년층을 구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65세를 기준 연령으로 사용합니다[  ]. 이는 많은 국가에서 은퇴 연령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문헌에서는 60세와 같은 다른 기준 연령도 사용되며, 이는 이 연령[  ], 즉 70세 부근 에서 알츠하이머병 원인에 대한 APOE ɛ4의 역할 변화를 시사하는 증거에 의해 정당화됩니다.

요약하면, 적절한 진단을 받기 위한 적시 진료 의뢰의 지연과 연령별 진단 후 지원의 부족과 함께 병인, 표현형 및 치료 요구 사항에 다양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어린 나이에 치매 분야의 기초, 임상, 중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작동적 정의가 필요하지만 부족합니다. 따라서 이 통합적 검토의 목적은 어린 나이에 치매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조작적 정의를 탐구하고 포함하는 것이었습니다.

행동 양식

이 통합 검토는 어린 나이에 치매의 유병률, 발생률, 정의 및 치료 경로에 관한 대규모 Prevalence REcognition and Care Paths in Young Onset DEmentia(PRECODE) 프로젝트의 일부였습니다. 통합적 검토는 경험적 과학 문헌과 이론적 문서 모두에 중점을 둡니다. 통합 검토에서 샘플링 프레임의 더 큰 다양성은 관련 데이터의 광범위한 입력을 허용하며, 이는 의료 분야의 복잡한 주제의 경우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 문제 식별, 문헌 검색 자체, 데이터 평가, 데이터 분석 및 결과 제시에 중점을 두고 통합 검토 수행 프로세스를 안내하기 위해 개발된 5단계 프레임워크가 적용되었습니다[  ].

문헌 검색

2020년 8월 14일에 PubMed, Embase, Cinahl 및 PsycInfo 데이터베이스에서 경험적 문헌을 검색했습니다. '치매'를 설명하는 다양한 용어가 검색 전략에 포함되었으며, '어린 나이에'를 설명하는 다양한 용어가 추가되었습니다(검색어는 보충 자료 1 참조 ). 이론 문헌(예: 지역 치매 전략과 같은 비실증적 문헌)은 www.google.com을 사용하여 검색되었으며, 사용 가능한 모든 용어와 정의를 포괄하도록 '지침, 정책 문서 및 전략 문서'에 초점을 맞춘 세 번째 용어를 추가했습니다. . 목표는 정부, 공공 기관, 전문가 또는 제공자 조직, 업계 및 옹호 단체가 출판한 문헌을 포함하는 것이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관계없이 모든 관련 경험적, 이론적 문헌이 포함되었습니다. 영어와 네덜란드어로 된 문헌만 포함되었습니다.

데이터 평가

중복된 출판물을 제거한 후, 제목과 초록을 사용하여 모든 경험적 문헌을 선별했습니다. 다음 측면 중 하나 이상이 명시적으로 논의된 경우 문헌을 선택하고 '범주 1 문헌'으로 표시했습니다. 1) 용어 또는 명명법; 2) 기준 연령 및 기준과 같은 연령 관련 측면; 및 3) 어린 나이에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병인, 질병 또는 장애. 이러한 세 가지 측면 중 하나 이상을 설명했지만 논의하지 않은 문헌은 '범주 2 문헌'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실증문헌의 선정절차는 Rayyan( http://rayyan.qcri.org )을 사용하였다. Rayyan은 한 명 또는 여러 사람이 원하는 경우 이중 눈가림 기능을 사용하여 제목이나 제목 및 초록을 맞춤 제작된 카테고리에 할당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시간 효율적인 웹 기반 도구입니다[  ].

이론 문헌을 선별하고 수동으로 선택했습니다. 문헌은 '관련성 정렬' 버튼을 사용하여 Google에서 관련성을 기준으로 정렬되었습니다. 50개의 출판물부터 시작하여 관련 내용에 대해 전체 텍스트 문헌을 선별했습니다. 이러한 50개의 출판물에서 새로운 측면, 즉 용어, 연령 관련 측면 또는 병인이 등장하면 새로운 관련 측면이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추가로 50개의 출판물이 포함되었습니다. 경험적 문헌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포함하는 이론적인 문헌만 포함되었습니다. 포함된 문헌의 참고 목록은 추가 문헌에 대해 수동으로 검토되었습니다.

초기 심사는 첫 번째 저자(DvdV)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선택 과정의 품질을 보호하기 위해 두 번째 저자(CB)는 경험적 문헌의 처음 200개의 제목과 초록, 모든 카테고리 1 문헌 및 처음 20개의 이론 출판물을 독립적으로 심사했습니다. DV와 CB 간의 합의 회의에서 차이점이 논의되었습니다.

데이터의 관련성과 기사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모든 '범주 1 문헌'의 전체 텍스트를 첫 번째 저자(DvdV)가 읽었습니다. 그런 다음 데이터를 추출하고, 셋째, 저자가 선택한 선택의 근거를 파악했습니다. 첫 번째 저자는 이전 단계에서 할당한 카테고리 라벨도 확인했습니다. 또한, 경험적 문헌에서 발견된 용어 이상으로 이론적 문헌에 사용된 용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용어 및 정의의 빈도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모든 범주 2의 10%에 대한 무작위 표본의 전체 텍스트 경험적 문헌도 DVD로 읽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DvdV에 의한 1차 문헌 및 품질 평가 점수의 데이터를 요약하기 위해 데이터 추출 양식이 사용되었습니다(1 번 테이블). 우리가 아는 한, 경험적 문헌과 이론적 문헌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품질 체크리스트는 없습니다. 따라서 Whittemore와 Knafl이 승인한 접근 방식인 1차 소스( 보충 자료 2 ) 의 진정성, 방법론적 품질, 정보 가치 및 대표성을 평가하는 4가지 규모의 체크리스트가 작성되었습니다 [  ]. 체크리스트는 각각 경험적 및 이론적 문헌에 대한 품질 체크리스트인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  ] 및 Authority Accuracy Coverage Objectivity Date Significance(AACODS) 체크리스트[  ]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카테고리 1 문헌은 평가되어 좋음(+), 적절함(±), 부적절(-)으로 평가되었습니다.

1 번 테이블

카테고리 1 용어 및 어린 나이의 치매에 대한 정의

저자(y) 공부하다 자귀) 연령 관련 측면 병인† 품질
  설계 인구(명) 환경   연령 제한 낮은 연령 제한 재분 질병 ‡ 카테고리 +, ± 또는 –
Ahmedet al. (2016) [  ] 심포지엄 논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1a, 2a, 2b, 2c-i, 2c-ii, 2c-iii, 3, 4, 5, 6, 7, 8, 29a, 30, 31, 33, 35, 39, 42a, 43, 43a, 43c, 45, 46, 58a, 60, 62, 64, 67, 69, 71, 73, 77, 78a, 80, 82, 86, 87, 111, 133, 135, 136, 145, 147, 148a I, II, III, IV, IVa, Va, Vb, Vc, IXc, XI 좋은
찰튼(1975) [  ] 의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노인성 치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4, 5, 8, 10, 14, 29, 31, 33, 46, 58a, 60, 73f, 73g, 76, 77b, 77h, 78, 78a, 78b, 78d, 80, 87, 133, 135, 136, 145, 149, 150, 152, 153, 157, 160 II, IV, Va, Vb, IXb, IXc, XIV 좋은
Coblentzet al. (1973) [  ] 전향적 연구 30 병원 노인성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32, 40, 58a, 135 IV, X 좋은
카우위(1981) [  ] 의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노인성 치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8, 58a, 87 해당사항 없음 좋은
Davieset al. (2011)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조기 치매, 조기 치매 증상 시작 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2a, 2c-i, 2c-ii, 30, 31, 33, 34, 39, 42a-ii, 43b, 57, 58, 58a, 61a, 73, 73c, 77e, 86, 133, 135, 136, 138, 147, 150, 151, 152, 159 I, II, III, IV, Vb, IX, X, XI, XIIb 좋은
딕슨(2007) [  ] 의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조기발병치매, 조기발병치매 60,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해당사항 없음 적절한
Doran (1997) [] Opinion n/a n/a Presenile dementia 65 at diagnosis 16 n/a 1, 2, 2d, 3, 4, 5, 6, 7, 8, 9, 10, 18, 19, 20, 26, 28, 29, 29a, 29b, 30, 31, 35, 35c, 37, 39, 41, 42a, 43, 43a, 43b, 43e, 43f, 43g, 45, 51, 54, 57, 58a, 58c, 59, 60, 62, 64, 67, 69, 72, 73, 73c, 73e, 75, 76, 77g, 78, 87, 88, 91, 93, 103, 110,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20, 124, 125, 126, 130, 131, 132, 133, 135, 140, 141, 142, 146 I, II, III, IV, Va, Vb, Good
Draper and Withall (2016) [] Review n/a n/a Young 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30–44, 45–64 1, 2, 3, 4, 5, 6, 8, 12, 14, 14a, 29, 30, 39, 42a, 43b, 43c, 57, 58a, 60, 67, 73, 73c, 87, 109, 110, 111, 112, 135, 162 ‡ I, IV, Vb, IXc, XV Good
Fadil et al. (2009) [] Review n/a n/a Early-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2, 2a, 2b, 2c-i, 2c-ii, 3, 4, 5, 6, 7, 8, 10, 12, 14, 16, 19, 23, 29, 29a, 29b, 30, 31, 33, 33a, 39, 41, 42, 42a, 43, 43a, 43b, 43c, 45, 46, 49, 50, 57, 58, 58a, 58b, 58c, 58d, 59, 60, 61, 62, 67, 69, 70, 71, 72, 73c, 73e, 73f, 76, 77, 77b, 77c, 77f, 78a, 78c, 82, 84, 86, 87, 88, 89, 90, 133, 134, 135, 136, 139, 140, 141, 142, 143, 145, 148, 151, 152, 153, 155, 161, 167 I, II, IV, Va-Vb, VI, VIII, IXc, X, XI, XV Good
Forbes (2005) [] Book review n/a n/a Presenile dementia, early-onset dementia 65 n/a n/a 1, 2, 2c-i, 2c-ii, 3, 8, 58, 58a III Good
Giannakopoulos et al. (1996) [] Review n/a n/a Early-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2, 2e I, II, III, IXb, IXc Good
Gibson (1960) [] Opinion n/a n/a Presenile dementia 65 Covers from 40, occurs in much younger n/a 1, 2, 8, 58a n/a Adequate
Goldman (2015) [] Review n/a n/a Early-onset dementia, young-onset dementia 60 n/a n/a 1, 2, 2a, 3, 4, 8, 9, 12, 14, 19, 29, 30, 58, 58a, 58b, 58c, 59, 87, 104, 108, 110, 111, 112, 120, 121, 125, 126, 130 I, Vb, VI, XVI Good
Goodall (1938) [] Discussion n/a n/a Presenile dementia 60 at symptom onset Usually 40 n/a 1, 2, 8, 39, 58a, 60, 60a, 60b, 66, 73, 73d, 73e, 77a, 77b, 78a, 79, 80, 133, 136, 137, 147 II, Va, IXb, XIV, XVII, XVIII, XIX Adequate
Greicius et al. (2002) [] Review n/a n/a Presenile dementia 60 n/a n/a 1, 2, 2a, 2c-i, 2c-ii, 3, 5, 6, 58, 58a, 58c, 58d, 59 n/a Good
Harvey (1998) [] Theoretical thesis n/a n/a Young onset dementia, presenile dementia 60, 65, 70, at symptom onset, diagnosis, at presentation to medical services 30, 35 30–44, 45–64 1, 2, 3, 4, 5, 6, 8, 29, 29a, 30, 31, 33, 39, 57, 58, 58a, 58b, 73, 73c, 73e, 73f, 73g, 82, 135, 161, 169, 172 n/a Good
Hayo (2015) [] Review n/a n/a Young-onset dementia, younger people with dementia, early-onset dementia, working age dementia 65 year at diagnosis n/a 35–45, 45–65 1, 1a, 2, 3, 4, 5, 6, 8, 29, 39, 57, 58a, 73, 110, 135, 150, 131, 161 I, IVa, Vb, Vc, XX Good
Koopmans and Rosness (2014) [] Editorial n/a n/a Presenile dementia, early-onset dementia, younger-onset dementia, young-onset dementia 65, 45 at symptom onset or at diagnosis 17 n/a 1 n/a Good
Kuruppu and Matthews (2013) [] Review n/a n/a Young-onset dementia 65 Typically 45 n/a 1, 2, 3, 7, 8, 17, 29, 30, 35, 39, 42, 42a, 43a, 45, 57, 58a, 60, 67, 71, 73, 73e, 73f, 77, 78, 81, 86, 87, 104, 105, 106, 108, 109a, 109b, 110, 111, 112,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45, 147, 150, 151, 152, 157 ‡ III, IV, Va, Vc, VI, VII, VIII, XI Good
Laino (2005) [] Interview about prospective study 278 Home Early-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2, 57, 60, 73, 73f, 134, 135, 151 n/a Adequate
Levine (2013) [] Opinion n/a n/a Young-onset dementia 65 n/a n/a n/a I, II, III, IV, Vb, XIII, XV Good
Liebson et al. (2005) [] Opinion n/a n/a Early-onset dementia n/a n/a n/a 1, 2, 3, 4, 8, 9, 29, 39, 46, 57, 58a, 60, 73, 73f, 77, 134, 135, 147, 147a, 153, 154, 157, 159, 165, 166, 168 XVIII, XXI Good
Masellis et al. (2013) [] Review n/a n/a Early-onset dementia, young-onset dementia 45, 65 year at symptom onset Early adult-hood 30–45, 45–65 1, 2, 2a, 2c, 2c-i, 2c-ii, 2c-iii, 3, 4, 5, 6, 10, 14, 14a, 19, 29a, 30, 34, 35, 42, 42a, 43, 43b, 44, 49, 57, 60, 62, 73c, 73f, 86, 87, 104, 108, 109, 110, 111, 112, 114, 120, 121, 126, 129, 130, 133, 140, 147b, 153 ‡ I, II, III, IV, Vb, Vc, IXc, X, XI Good
Miyoshi (2009) [] Review n/a n/a Presenile dementia, early-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2, 2c-i, 2c-ii, 5, 6, 17, 29, 30, 35a, 35g, 57, 70, 134 I, II, Va, Vb, IX Good
Moffie (1953) [] Review n/a n/a Presenile dementia 65 45 n/a 1, 2, 8, 48, 168a II Adequate
NHMRC National Institute for Dementia Research (2020) [] Theoretical abstract book n/a n/a Young-onset dementia, younger-onset dementia, early-onset dementia, adult-onset dementia, childhood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before deceased (“died aged less than”) n/a n/a 1, 2, 2a, 3, 4, 110, 161 I Good
Panegyres et al. (2000) [] Letter to the editor n/a n/a Early-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2, 2a, 2c, 2c-i, 3, 4, 5, 29, 57, 58a, 59, 73, 159 XIIb Good
Pinhorn (1993) [] Letters to the editor n/a n/a Presenile dementia 65 40 n/a 1, 29, 31, 73, 134 n/a Adequate
Poser (1975) [] Opinion n/a n/a Presenile dementia n/a n/a n/a 1, 2, 4, 8, 29, 47, 58a, 60, 73, 73c, 73f, 77b, 77i, 77j, 84, 135, 150, 153, 154, 169 n/a Good
Ridha and Josephs (2006) [] Review n/a n/a Young-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1a, 2, 2b, 2c, 2c-i, 2d, 2f, 3, 4, 5, 6, 8, 10, 11, 12, 13b,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8, 29, 30, 35a, 35b, 35c, 35d, 35e, 35f, 37, 38, 39, 42, 42a, 43, 43a, 43b, 43d, 43h, 41, 52, 53, 54, 56, 58, 60, 61a, 61b, 62, 63, 64, 65, 67, 68, 69, 71, 72, 73, 73e, 73f, 74, 75, 76, 77, 77c, 77h, 77k, 77l, 77m, 78a, 78e, 80, 82, 83, 85, 86, 87, 88, 91, 92, 93, 94, 96, 102, 109, 110, 112, 114, 117, 119, 121, 123,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23, 136, 141, 147a, 150, 152a, 152b, 156, 157, 158, 159, 162, 163, 164, 170, 171 IV, Vb, VI, VII, XIV Good
Risien Russel (1933) [] Discussion n/a n/a Presenile dementia 60, 65 at symptom onset Usually 30, 40 n/a 1, 2, 8, 39, 66, 73, 73a, 73d, 80 I, II, IV-Va, IXb, IXc, XVII Adequate
Rossor et al. (2010) [] Review n/a n/a Young-onset dementia 65, 45 at symptom onset 18, 30 <35, 35–45, 45–65 1, 1a, 2, 2a, 2b, 2c-i, 2c-ii, 2d, 2f, 3, 4, 5, 7, 8, 10, 12, 13a, 13b, 13c, 14, 14a, 14b, 14c, 14d, 15, 19, 20, 22, 23, 24, 25, 27, 30, 35, 35a, 35b, 39, 42, 42a, 42b, 43c, 43d, 49, 51, 57, 58, 58b, 59, 60, 61a, 64, 69, 73, 73f, 86, 87, 88, 92, 94, 99, 100, 101, 102, 107, 109, 110, 111, 112, 114, 115, 117, 120, 121, 122, 123, 125, 126, 130, 131, 145, 147 ‡ III, IV, Va, Vb, VI, XIII 좋은
Sampsonet al. (2004)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60, 65 20, 30, 45 45~65 1, 2, 2a, 2b, 2c-i, 2c-ii, 3, 4, 5, 6, 7, 8, 10, 14, 15, 16, 19, 20, 23, 29, 29a, 30, 31, 33, 35, 35a, 35b, 35c, 35d, 35e, 39, 41, 42a, 43, 43a, 43b, 43c, 45, 46, 49, 57, 58a, 58b, 58c, 59, 60, 61a, 61b, 62, 64, 65, 67, 69, 70, 71, 73, 73c, 77, 77c, 77d, 78a, 80, 82, 86, 87, 94, 102, 109b, 110, 111, 112, 114, 117, 120, 121, 124, 125, 126, 130, 131, 133, 135, 136, 141, 145, 147, 161 ‡ I, II, III, IV, Va, Vb, Vc, VI, VII, IXc, XI, XII 좋은
Siteket al. (2015)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조기발병치매, 조기발병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1a, 2, 2a, 2c, 2c-i, 2c-ii, 2c-iii, 3, 5, 6, 8, 29, 135 I, IV, Va, VI, X, XV 좋은
Tonkonogy와 Moak (1988) [  ] 의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노인성 치매 증상 발생 시 50, 5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9, 60, 60a, 73b 해당사항 없음 좋은
Werneret al. (2009)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조기 치매, 조기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45~65 1장, 2장, 3장, 4장, 5장, 8장, 9장, 29장, 43장, 57장, 73장, 77장, 133장, 134장 해당사항 없음 좋은

 보다표 4 치매와 증후군을 포함합니다.

결과

검색 결과

총 6,891개의 경험적 출판물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4,090개는 중복된 내용이 제거된 후 남아 있습니다(그림 1). 제목과 초록을 심사하여 그 수를 51개로 줄였고, 모두 전체 내용을 읽어 34개의 카테고리 1 연구를 포함시켰습니다.

 
그림,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 개체 이름은 jad-83-jad210458-g001.jpg

데이터 평가 프로세스.

총 4,660개의 이론 출판물이 발견되었으며 처음 50개의 전문을 읽은 후 어린 나이에 치매의 용어, 정의 또는 둘 다를 명시적으로 논의하고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두 개의 문서가 포함되었습니다. 기타 문서에는 지역 또는 국가 치매 정책 또는 전략과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의 PDF 파일이 포함되었습니다. 대부분 어린 나이에 치매에 관해 아무런 논의도 하지 않았습니다. 다음 선택 항목인 50개 이론 연구를 읽어도 새로운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포함된 카테고리 1 기사의 수동 참조 목록 확인에서는 새 기사가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러한 측면을 명시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어린 나이에 치매의 용어, 정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총 530개의 카테고리 2 경험적 연구가 발견되었습니다. 53개 기사의 샘플이 포함되었습니다. 총 89개의 소스가 포함되었습니다.

품질 평가

경험적, 이론적 문헌을 모두 포함하여 총 29개의 출판물이 좋은 것으로 평가된 반면, 7개의 출판물은 주로 방법론적 품질이나 대표성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적절하다고 평가되었습니다(1 번 테이블). 포함된 출처 중 어느 것도 부적절하다고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일반 조사 결과

포함된 문헌의 대부분은 16개의 리뷰, 1개의 정량적 연구 및 이 리뷰의 관심 사항을 다루는 2개의 기타 문서로 보완된 토론 논문과 사설로 구성되었습니다. 총 7개의 서로 다른 용어, 6개의 연령 상한, 4개의 구분 연령 기준, 8개의 하위 연령 제한, 연령에 따른 세분화 옵션, 251개의 다양한 병인, 27개의 개별 병인 범주가 확인되었습니다(1 번 테이블).

술어

총 7개의 서로 다른 용어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노인성 치매라는 용어가 가장 자주 발생했습니다(예: 18회, 참조).표 3), 조기 발병 치매 (16), 젊은 발병 치매 (15), 젊은 발병 치매 (3) 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 젊은 발병 치매는 지난 20년 동안 치매를 안고 살아가는 젊은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출판된 기사에서 가장 일반적인 용어였습니다. 이들 연구에서 젊은 발병 치매 또는 조기 발병 치매라는 용어가 종종 노인성 치매와 비교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며, 후자의 용어는 시대에 뒤떨어진 용어로 언급되었으며[  ] 마지막으로 사용된 지 10년이 넘었습니다[  ]. 이 발견은 카테고리 2 문헌의 샘플을 통해 검증된 후에 뒷받침되었습니다(표 2), 노인성 치매라는 용어는 2004년 경험적 문헌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조기발병치매라는 용어는 2013년까지 흔히 사용되었으나[  ], 그 이후에는 젊은 나이에 치매라는 용어에 대한 논의에서 선호되는 용어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용어는 2013년 이후 '범주 2 문헌'에서 사용되었다. 젊은 발병 치매라는 용어는 새천년을 전후하여 이론 문헌[  ]과 경험 문헌[  ] 모두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용어 사용의 역사적 진화 외에도 일부 저자들은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 사람들 그룹 내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들의 의견으로는, 노인성 치매는 일반적으로 젊은 개인에게 더 독점적으로 발생하는 치매의 원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조기 발병 치매는 젊은이에게도 발생하는 노년기 원인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저자들은 아동기 신경퇴행성 질환의 후기 발병 형태를 포함하여 이러한 유형의 원인을 모두 지칭하기 위해 어린 시절에 발병하는 치매를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 Masellis 등[  ]은 65세 미만의 치매와 45세 미만의 초기 발병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조기 발병 치매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또한 조기 발병 치매라는 용어는 치매의 초기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될 수도 있습니다[  ]. 호주에서는 젊은 발병 치매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었으며, 젊은 발병 치매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다른 용어는 한 출판물에서만 언급되었으며 아동기 치매 , 성인 발병 치매 , 근로 연령 치매가 포함되었으며 , 이는 각각 아동기, 청년기[  ] 및 퇴직 연령 이전에 치매를 유발하는 장애를 나타냅니다[  ].

표 3

다양한 용어 및 연령 관련 측면 개요

측면 주파수 카테고리 1 주파수 카테고리 2
명명법
  노인성 치매 18 20
  조기 발병 치매 16 22
  젊은 발병 치매 15 19
  젊은 발병 치매 6
  성인 발병 치매 1 0
  근로연령치매 1 0
  소아치매 1 0
연령 관련 측면 연령 상한
 45년
 50년 1 0
 55년 1 0
 60년 7
 65세 28 41
 70년 1 1
  연령 기준
 증상이 나타난 나이 12 18
 진단 당시 연령 4 6
 의료 서비스를 받는 나이 1 0
 사망 전 나이 1 0
  낮은 연령 제한
 16세(성인 초기 포함) 2 0
 17 년 1
 18 년 1 0
 20 년 1
 21년 0 2
 30 년 4 5
 35년 1 1
 40년 4 1
 45년 2
  재분 7 7

표 2

무작위 표본 카테고리 2 용어 및 어린 나이의 치매에 대한 정의

저자(y) 공부하다 자귀) 연령 관련 측면 병인†
  설계 인구(명) 환경   연령 제한 낮은 연령 제한 재분 질병 카테고리
“조기 치매 발견”(2016) [  ] 발표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조기 발병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앨런과 볼드윈(1995) [  ] 사례 관리 연구 28 노인성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31, 73 제외: 2b, 5, 8, 39, 81, 99, 145, 147, 169 해당 없음 제외: IXb, XIIb, IXb
Andrewet al. (2019)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Appelhofet al. (2019) [  ] 무작위 대조 시험 274 요양원 젊은 발병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3, 4, 29, 73 제외: 8, 57, 73b, 134, 161 해당사항 없음
Armariet al. (2013) [  ] 사례 관리 연구 83 조기 발병 치매 65 45 해당사항 없음 1, 2 해당사항 없음
Arvanitakiset al. (2019)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3, 29 해당사항 없음
Balasaet al. (2014) [  ] 코호트 연구 157 조기 발병 치매 진단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1a, 2, 2c XIIb
Belhouaneet al. (2012) [  ] 단면 연구 1685년 병원 조기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9 나, III, Vb
Carteret al. (2018)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2a 해당사항 없음
양이온 등. (2019)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증상 발현 시 60, 65 해당사항 없음 <45; 45~65 1, 29, 73,134, 145 해당사항 없음
데일(2000) [  ] 논평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노인성 치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해당사항 없음
Devineni와 Onyike(2015) [  ] 검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조기발병치매, 조기발병치매, 노년기치매 65, 45 17, 20, 35, 45 해당사항 없음 1, 1a, 2, 2a, 2c, 2c-i, 2c-ii, 2c-iii, 3, 4, 5, 6, 8, 9, 14, 29, 58a, 73, 134 I, II, IVa, IV, Vb, Vc, XIII, XV
Diehl-Schmidet al. (2018) [  ] 프로토콜 논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Draperet al. (2016) [  ] 코호트 연구 88 젊은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3, 5, 8, 29, 73 해당사항 없음
Dumitruet al. (2014) [  ] 단면 연구 350 병원 조기 발병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29, 73, 134 해당사항 없음
Filipovic 및 Kostic (1995) [  ] 무작위 대조 시험 137 노인성 치매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4, 8, 31 해당사항 없음
Fujiharaet al. (2004) [  ] 단면 연구 141 병원 조기 치매, 조기 치매 증상 시작 시 65 21 해당사항 없음 1, 2, 4, 5, 29, 39, 43, 49, 70, 73, 121, 134, 135, 162, 169 Vb
Garre-Olmoet al. (2010) [  ] 단면 연구 2083 병원 조기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30 해당사항 없음 1, 2, 2a, 2c-i, 3, 4, 5, 6, 8, 29, 58a, 73, 134 해당사항 없음
Giebelet al. (2020) [  ] 코호트 연구 11 젊은 발병 치매 진단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29 해당사항 없음
고든(1968) [  ] 코호트 연구 13 노인성 치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58a 해당사항 없음
Gottfrieset al. (1969) [  ] 코호트 연구 77 노인성 치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Guermaniet al. (2013) [  ] 단면 연구 50 병원 조기 발병 치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구스타프슨과 닐슨(1982) [  ] 코호트 연구 57 노인성 치매 65 40 해당사항 없음 1, 2, 31, 49, 58a, 135 나, II
Harveyet al. (2003) [  ] 단면 연구 227 병원 젊은 발병 치매 65 30 30~44, 45~64 1, 2, 3, 4, 6, 8, 29, 39, 73, 161 IVa
Henleyet al. (2014) [  ] 프로젝트 설명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조기발병치매, 조기발병치매 진단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장, 1장, 2장, 2장, 2ㄷ, 3장, 4장, 5장, 8장 해당사항 없음
Hutchinsonet al. (2016) [  ] 코호트 연구 12 가정 및 요양원 젊은 발병 치매 65 30 해당사항 없음 1 해당사항 없음
Hvidstenet al. (2019) [  ] 코호트 연구 88 요양원 젊은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2a, 2c 해당사항 없음
Ikejimaet al. (2009) [  ] 단면 연구 617 병원 조기 치매, 조기 치매 증상 시작 시 65 20 해당사항 없음 1, 3, 4, 29, 30, 31, 33, 73, 133, 134, 169 Exclusion: 162, 166 IV Exclusion: XIIa
Jefferies and Agrawal (2009) [] Review n/a n/a Early-onset dementia, young-onset dementia 65 30 n/a 1, 2, 2a, 2c, 2c-i, 3, 8, 29, 29a, 30, 31, 33, 57, 58a, 73 Exclusion: 39, 43, 43b, 45, 61a, 73b, 73f, 77, 134, 135, 162, 169, delirium, amnestic syndromes, MCI, pseudodementia, stroke, encephalitis, dissociative disorders, benzodiazepines IVa Exclusion: XI
Johannessen et al. (2014) [] Cross sectional study 20 Home Young onset dementia 65 at diagnosis n/a n/a 1 n/a
Kaszniak et al. (1978) [] Cohort study 47 Nursing home Presenile dementia n/a n/a n/a n/a n/a
Kelley et al. (2008) [] Cross sectional study 235 Hospital Young-onset dementia, early onset dementia 65, 45 at symptom onset 17, 21, 30 30–44, 45–65 1, 1a, 2, 2d, 3, 4, 5, 6, 8, 10, 12, 14, 17, 25, 29, 30, 31, 39, 43, 43b, 50, 57, 71, 73, 87, 108, 110, 112, 120, 121, 123, 129, 133, 135, 142 I, II, III, IV, IVa, Va, Vb, VI, VII, X, XIV
Kilty et al. (2019) [] Cross sectional study 6 Home and nursing home Young onset dementia 65 n/a n/a n/a n/a
Koopmans et al. (2015) [] Editorial n/a n/a Young-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30–44, 45–65 1 n/a
Kurz et al. (2016) [] Protocol paper n/a n/a Young-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n/a
Liddell (1958) [] Cohort study 11 Hospital Presenile dementia n/a n/a n/a n/a n/a
Maiovis et al. (2015) [] Cross sectional study 491 Hospital Early 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2, 2a, 2c-i, 2c-ii, 3, 5, 6 I, II, III, IV, Va, Vb, IXc, XIII
McMurtray et al. (2006) [] Cross sectional study 1683 Hospital Early-onset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45, 45–65 1, 2, 3, 4, 6, 7, 8, 29, 39, 57, 58a, 60, 73, 73c, 86, 134, 135 n/a
Nordstrom et al. (2013) [] Case-control study 497844 Hospital Young-onset dementia, early-onset dementia 65 n/a n/a 1, 3, 4, 29, 73 Exclusion: 162, stroke, myocardinfarct n/a Exclusion: Va
Phuapradit et al. (1978) [] Comment n/a n/a Presenile dementia n/a n/a n/a 1 n/a
Rizzo et al. (1984) [] Cross sectional study 8 Hospital Presenile dementia n/a n/a n/a n/a n/a
Rogers and Lippa (2012) [] Review n/a n/a Early-onset dementia 65 n/a n/a 1, 2, 2a, 2c-i, 2c-ii, 110, 112 n/a
Ron et al. (1979) [] Cross sectional study 52 Hospital Presenile dementia 65 at diagnosis n/a n/a n/a Exclusion: 73, 77, 134, 147, space-occupying lesion, intracranial infection n/a Exclusion: II, Vb, XI
Sansoni et al. (2016) [] Review n/a n/a Younger onset dementia, early onset dementia 60, 65 at diagnosis n/a n/a 1, 2, 3, 4, 8, 29, 57, 73, 161 n/a
Smith et al. (1966) [] Cross sectional study 59 Hospital Presenile dementia 65 at symptom onset n/a n/a 1, 2, 29, 41, 58 n/a
Spreadbury and Kipps (2019) [] Review n/a n/a Presenile dementia, young onset dementia, younger onset dementia 65 n/a n/a 1, 1a, 2, 2a, 2c, 2c-i, 2c-ii, 2c-iii, 3, 4, 6, 8, 29 IVa
Torvik (1970) [] Review n/a n/a Presenile dementia n/a n/a n/a 1, 2, 29, 30, 32, 73, 58a n/a
Vafeas et al. (2020) [] Quasi-experimental study n/a n/a Younger onset dementia n/a n/a n/a n/a n/a
Vieira et al. (2013) [] Review n/a n/a Early-onset dementia, presenile dementia 45, 60, 65 17 <45, 45–65 1, 2, 2c-i, 2c-ii, 3, 4, 8, 29, 31, 57, 58a, 73, 134, 135, 161 I
Wawrzicznyet al. (2018) [  ] 사례 관리 연구 150 가정 및 요양원 조기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3 해당사항 없음
위드올(2013) [  ] 사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젊은 발병 치매 증상 시작 시 65 20 30~45, 45~65 1, 2, 3, 4, 8, 39, 57, 73, 134, 145, 161 해당사항 없음
우드번과 존스톤(1999) [  ] 단면 연구 126 가정 및 요양원 조기 발병 치매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31, 73 해당사항 없음
Wrightet al. (1984) [  ] 실험적 34 병원 노인성 치매 증상 시작 시 70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2, 8, 58a 해당사항 없음

 보다표 4.

연령 관련 측면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이와 후기 치매를 앓고 있는 개인을 구별하기 위해 거의 모든 문헌에서 기준 연령을 정의했습니다. 카테고리 1과 카테고리 2 문헌의 표본 모두 대부분 65세를 연령 상한선으로 간주했습니다(표 3). 언급된 다른 연령 상한선에는 45세(  ), 50세(  ), 55세(  ), 60세(  ), 70세[  ]가 포함되었습니다. 치매를 앓고 있는 45세 미만과 65세 미만의 사람들 사이의 병인 차이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연령 상한선인 45세를 65세와 비교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다른 저자들은 구체적인 연령 상한선을 선택하는 이유를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구분 연령 외에도 카테고리 1 문헌의 절반에서 발병 연령과 진단 연령을 구분했습니다. 이 문헌의 2/3에서는 증상 발현 연령이 언급된 반면, 4개의 문헌에서는 진단 시 연령이 기준으로 언급되었다[  ]. 유사한 비율이 카테고리 2 문헌 샘플에서도 관찰되었으며, 18개 출판물은 증상 발병 연령을 사용하고 6개 출판물은 진단 당시 연령을 사용했습니다. 저자 중 어느 누구도 자신의 결정을 뒷받침하는 명시적인 근거를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두 개의 출판물에서 두 가지 추가 기준이 확인되었습니다. 즉, 진단 당시 연령과 어느 정도 유사한 '의료 서비스를 받은 연령'[  ]입니다. 사후 연구에 사용되었습니다.

모든 범주 1 문헌의 3분의 1에서는 치매를 앓고 있는 청소년과 아동기 또는 발달 장애가 있는 청소년을 구별하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저자는 더 낮은 연령 제한을 정의합니다. 그러나 어떤 출판물에도 그러한 낮은 연령 제한을 사용하는 이유가 나와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낮은 연령 제한이 언급되는 방식은 명시적인 연령을 사용하는 것부터 좀 더 서술적인 설명까지 다양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저자는 16~20세(  ) 또는 30~45세(  )의 연령을 언급한 반면, 다른 저자는 더 암묵적으로 설명을 사용했습니다. "성인 초기부터"와 같은 용어는 [  ], "부터의 기간을 포함합니다. . . ” [  ] 및 “일반적으로 환자 사이에 고통을 줍니다. . . ” [  ]. 또한 카테고리 2 문헌의 샘플에서는 21세라는 하한 연령 제한이 두 출판물에서 발견되었지만 이 연령 제한에 대한 설명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간행물에서는 방법론 섹션에서 구체적인 하한 연령 제한을 언급하지 않고 연구에서 가장 어린 환자를 하한 연령 제한으로 언급했습니다[  ].

마지막으로, 7개의 출판물에서는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이 그룹 내 하위 분류를 설명했습니다. 7명 모두 2개의 연령 그룹, 즉 45세 이상과 젊은 사람으로 구분된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세분화는 주로 이 두 그룹 간의 병인학적 차이(예: 가장 어린 그룹의 알츠하이머병 유병률이 낮음)를 기반으로 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한 출판물에서는 45세 미만의 사람들을 35세 이상과 35세 이상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 이들 저자에 따르면, 대사 및 아동기 병인이 가장 어린 그룹의 특징인 반면, 퇴행성 장애는 3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대부분의 경우 치매를 유발했습니다. 카테고리 2 문헌의 무작위 표본을 이용한 검증 과정에서 45세에 세분을 사용한 출판물이 7편 발견되었다.

병인학

치매의 원인은 총 251가지로 확인되었습니다.표 4). 가장 많이 언급되는 원인으로는 알츠하이머병(35건), 전두측두엽 치매(30), 헌팅턴병(22), 알코올 관련 치매(21),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프리온 등 감염성 질환(26) 등이 있습니다. 질병. 6개의 문헌 검토에서 매우 다양한 병인이 논의되었습니다[  ]. 이들 리뷰 중 5개에서는 "치매 플러스 증후군"으로 정의된 어린 나이의 치매 진단에 추가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었습니다[  ]. 이들 저자에 따르면 인지 장애를 일으키고 추가적인 신경학적 또는 전신적 특징을 보이는 증후군도 병인으로 포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척수소뇌 운동실조와 같은 질병과 피라미드 징후와 같은 신경학적 특징이 이러한 증후군에 포함됩니다[  ]. 관례적인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잠재적 병인으로 언급되는 질병 및 장애[  ]에는 다운증후군 또는 삼염색체성 21[  ], 간질[  ], 가역적이거나 치료 가능한 원인 [  ], 우울증 [  ] 및 정신 장애 [  ].

표 4

카테고리별로 세분화된 카테고리 1 문헌의 병인학

I. 원발성 신경퇴행성 장애
 1 알츠하이머병(1a 후피질 위축(PCA) 포함), 2 전두측두엽 변성(FTLD)/픽병(2a 행동 변이 전두측두엽 치매(bvFTD)/전두 변이, 2b 운동 신경 질환(mnFTD), 2c 원발성 다음을 포함하는 진행성 실어증(PPA): 2c-i 의미 치매(SD)/측두 변이, 2c-ii 진행성 비유창성 실어증(PNFA), 2c-iii 로고페닉 변이, 2d FTD 및 17번 염색체에 연결된 파킨슨증(FTDP-17), 2e 특유의 조직병리학이 결여된 치매(DLDH), 2f 파제트병 및 FTD와 관련된 봉입체 근병증(IBMPFTD)), 3가지 루이소체 치매(LBD), 4가지 파킨슨병 치매, 5가지 진행성 핵상 마비(PSP)/스틸-리차드슨- 올슈스키 증후군, 6가지 피질기저핵 변성(CBD), 7가지 다계통 위축(MSA), 8가지 헌팅턴병, 9가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10가지 판토테네이트 키나제 관련 변성 또는 철 축적을 동반한 신경변성(PKAN/NBIA/Hallervorden-Spatz 증후군) ), 11 아세룰로플라스민혈증, 12 신경세포증식증(맥레오드 증후군), 13a 헌팅턴 무도병 유사 1형(HDL1), 13b HDL2, 13c HDL3, 14 척수소뇌 운동실조(SCA)(포함: 14a 취약 X 진전 운동실조 증후군(FXTAS), 14b SCA 2형, 14c SCA 12형, 14d SCA 17형), 15번 뉴로세르핀 봉입체를 동반한 가족성 뇌병증(FENIB), 16번 신경중간섬유 봉입체 질환(NIFID)/신경미세섬유 봉입체 질환, 17번 미만성(피질) 신경섬유엉킴(질병) 석회화 동반(DCNTDC/DNTC)/코사카-시바야마병/파르 증후군, 18 유전성 혈색소증, 19 치아치근-팔리돌루이시안 위축(DRPLA), 20 라포라 신체 질환, 21 모흐-트라네브야에르그 증후군, 22 근긴장 이영양증 3형, 23 신경페리티노병증, 24 거대 축삭 신경병증(GAN), 25명 진행성 근간대성 간질 증후군(PME), 26명 핵내 봉입체 질환(INIBD)/신경핵내 봉입체 질환(NIID), 27명 페리 증후군, 28명 유전 감각 신경병증 IE형.
II. 뇌혈관성 치매
 29 혈관성 치매(29a 소혈관질환(SVD), 29b 대혈관질환 포함), 30 피질하 경색 및 백질뇌증을 동반한 대뇌 상염색체 우성 동맥병증(CADASIL)/빈스방거병, 31 다경색 치매, 32 미세경색, 33 전략적 경색 치매 (포함: 33a 시상 치매), 34 혈관 인지 장애, 35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CAA)(포함: 35a 가족성 영국 치매/영어형 아밀로이드 혈관병증, 35b 가족성 덴마크 치매, 35c 아밀로이드증을 동반한 유전성 뇌출혈의 네덜란드 변종, 35d 아이슬란드형 아밀로이드증을 동반한 유전성 뇌출혈, 35e 수막혈관 아밀로이드증, 35f 핀란드형 가족성 아밀로이드증, 35g 아밀로이드증을 동반한 유전성 뇌출혈), 36 스네돈 증후군, 37 항인지질 증후군, 38 수삭 증후군.
III. 염증성 질환
 39 Multiple sclerosis (MS), 40 Meningeal irritation, 41 chronic meningitis, 42 paraneoplastic syndromes (including: 42a limbic encephalitis, including 42a-i paraneoplastic limbic encephalitis (PNLE), 42a-ii non-paraneoplastic limbic encephalitis (NPLE), 42b anti-NMDA receptor-mediated limbic encephalitis), 43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vasculitis (PACNS)/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angiitis (including: 43a neuro-Behçet, 43b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43c systemic vasculitides, 43d autoimmune connective tissue disorders, 43e polyarteritis, 43f nodosa, 43g Wegener’s syndrome, 43h rheumatoid arthritis), 44 secondary central nervous system vasculitis, 45 neurosarcoidosis, 46 hepatic encephalopathy, 47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48 Bürger’s disease, 49 Hashimoto’s encephalopathy, 50 nonvasculitic autoimmune inflammatory meningoencephalitis, 51 celiac disease, 52 pancreatic encephalopathy, 53 antibasal ganglia antibodies (AGBA), 54 Sjögren syndrome, 55 cryoglobulinemia, 56 atrophic gastritis.
IV.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IVa Prion diseases)
 57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dementia complex, 58 prion diseases/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TSE) (including: 58a Creutzfeldt-Jakob disease (CJD), 58b new variant Creutzfeldt-Jacob disease (vCJD)/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58c Gerstmann-Sträussler-Scheinker syndrome, 58d Kuru), 59 fatal familial insomnia, 60 neurosyphilis (including: 60a general paresis of the insane, 60b luetic cerebrovascular disease), 61 cytomegalovirus encephalitis (including: 61a herpes simplex encephalitis, 61b herpes zoster), 62 Lyme disease, 63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64 tuberculosis, 65 fungal infection, 66 epidemic encephalitis/encephalitis lethargica, 67 Whipple’s disease, 68 infective endocarditis, 69 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SSPE), 70 neurocysticercosis, 71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72 toxoplasmosis.
Va. Toxic diseases/Vb. metabolic diseases/Vc. nutritional deficiencies
 73 Alcohol-related dementias/alcohol abuse (including: 73a Wernicke syndrome, 73b Korsakoff syndrome, 73c Wernicke-Korsakoff syndrome, 73d presbyophrenia, 73e niacin deficiency/pellagra, 73f vitamin B12/thiamine deficiency, 73g Marchiafava-Bignami disease), 74 vitamin D deficiency, 75 vitamin E deficiency, 76 vitamin B9/folate deficiency, 77 drug-related dementias (including: 77a hashish, 77b barbiturates, 77c lithium, 77d interferon, 77e anti-cholinergic medication, 77f cocaine abuse, 77g methotrexate, 77h psychotropic drugs, 77i bromide, 77j phenothiazines, 77k valproate, 77l antiparkinson medication, 77m ceftazidime toxicity), 78 heavy metal poisoning (including: 78a lead, 78b mercury, 78c arsenic, 78d manganese, 78e aluminium), 79 subacute combined degeneration of the cord/Lichtheim’s disease/Putnam-Dana syndrome, 80 uraemia, 81 metabolic encephalopathy, 82 carbon monoxide poisoning, 83 hyperammonaemic encephalopathy/ citrullinemia, 84 renal failure and dialysis dementia, 85 citrullinemia, 86 obstructive sleep apnoea-hypnoea syndrome, 87 Wilson’s disease, 88 porphyria, 89 electrolyte abnormalities, 90 Bismuth toxicity, 91 homocystinuria, 92 superficial siderosis, 93 mucopolysaccharidosis III, 94 ornithine transcobalamine deficiency, 95 ceftazidime toxicity, 96 abetalipoproteinemia, 97 galactosialidosis, 98 mannosidosis, 99 phenylketonuria (PKU), 100 hereditary spastic paraparesis (HSP/SPG4), 101 Lesch-Nyhan syndrome, 102 anti-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 antibody syndrome (VGKC-Ab), 103 Leigh syndrome/subacute necrotizing encephalomeylopathy.
VI. Mitochondrial disorders
 104 Mitochondrial myopathy encephalopathy lactic acidosis and stroke (MELAS), 105 myoclonic epilepsy with ragged-red fibers (MERRF), 106 Kearns-Sayre syndrome, 107 DNA polymerase subunit gamma (POLG)-related disease.
VII. Lysosomal storage disorders
 108 Tay-Sachs disease, 109 Gaucher’s disease (including: 109a type 2, 109b type 3), 110 Niemann-Pick disease type C, 111 Fabry’s disease, 112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Kuf’s disease or Batten disease), 113 GM 1 gangliosidosis, 114 GM2 gangliosidosis, 115 alpha mannosidosis, 116 adult Chediak-Higashi syndrome, 117 sialidosis (mucolipidosis I), 118 aspartylglucosaminuria.
VIII. Leukodystrophies
 119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120 adrenoleukodystrophy, 121 metachromatic leukodystrophy, 122 Alexander’s disease, 123 leukoencephalopathy with vanishing white matter, 124 Pelizaeus-Merzbacher disease, 125 adult polyglucosan body disease, 126 cerebrotendineous xanthomatosis, 127 pigmentary orthochromatic leukodystrophy (POLD), 128 hereditary endotheliopathy with retinopathy nephropathy stroke (HERNS), 129 hereditary diffuse leukoencephalopathy with spheroids (HDLS), 130 Krabbe disease (globoid cell leukodystrophy), 131 polycystic lipomembranous leukodystrophy with sclerosing leukoencephalopathy (PLOSL/Nasu-Hakola disease), 132 Canavan disease.
IXa. Structural disorders/IXb. head injury/IXc. (para)neoplastic/metastatic
 133 뇌종양 및 농양, 134 외상성 뇌손상/두부외상, 135 정상압수두증, 136 경막하혈종, 137 뇌열상의 후유증, 138 경막동정맥루, 139 뇌전이질환, 140 원발중추신경계림프종, 141 혈관내림프종, 142명 림프종성 육아종증, 143명 뇌교종증, 144명 악성 흑색종, 145명 만성 외상성 뇌병증/싸움꾼 치매, 146명 과호산구 증후군.
X. 가역적 장애/치료 가능한 원인
 147 간질성 치매(포함: 147a 측두엽 간질, 147b 근측두엽 간질), 148 의인성 장애/처방된 약물의 부작용(포함: 148a 방사선 조사 후 하부 운동 뉴런 증후군), 149 일과성 전역 기억상실(TGA).
XI. 내분비 장애
 150 당뇨병, 151 갑상선 질환, 152 부갑상선 질환(포함: 152a 부갑상선기능저하증, 152b 부갑상선기능항진증), 153 갑상선기능저하증, 154 갑상선항진증, 155 부신질환, 156 비케톤성 고삼투압성 고혈당증, 157 쿠싱병, 158 애디슨병, 159 가성부갑상선저하증, 160 뇌하수체저하증.
XII. 기타(XIIa 발달 장애, XIIb 정신 장애)
 161 다운증후군(3염색체성 21), 162 우울증, 163 불안, 164 전환장애, 165 조증, 166 정신분열증.
XIII. 유전질환, XIV. 유전 장애/유전변성, XV. (자가)면역, XVI. 운동 장애, XVII. 매독성 치매, XVIII. 이차성 치매, XIX. 만성질환을 합병한 치매, XX. 다중 시스템 오류, XXI. 대뇌 위축.
 167개 면역 매개 질환, 168개 소뇌 위축(포함: 168a 올리보폰토소뇌 위축), 169개 만성 저산소증, 170개 발작성 심부정맥, 171개 요관결장술, 172개 후천성 간뇌 변성.

카테고리 2 문헌에서는 어린 나이의 치매에 대한 추가적인 병인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병인이 포함되거나 제외되는 이유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6개 출판물의 방법론 섹션에서는 다른 병리학에 따른 인지 장애(예: 정신 질환 또는 진행 과정이 없는 신경 장애), 다른 서비스에 의해 조직된 전문 치료 등 총 36개의 병인이 배제 기준으로 명시적으로 언급되었습니다. 치매 진단을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기준에 부합합니다[  ]. 제외 기준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장애 및 질병에는 우울증 또는 정신 장애 [  ], 헌팅턴 무도병 [  ], 발달 장애 또는 다운 증후군 [  ], 알코올 남용 또는 코르사코프 증후군 [  ], 간질 [  ],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  ] 및 외상성 뇌 손상 [  ].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치매의 다양한 독특한 병인 외에도 27개의 포괄적인 범주가 확인되었습니다. 범주별 병인에 대한 설명은 많은 수의 병인에 대한 구조화된 개요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거나[  ] 병인을 구성하는 계층적 방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가장 자주 언급되는 범주는 독성 및 대사 장애(18개 출판물), 감염성 질환(15), 원발성 신경퇴행성 질환(14), 뇌혈관 치매(13), 구조적 및 신생물 주위 질환(11)이었습니다. 카테고리 2 문헌의 샘플에서는 추가 카테고리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논의

우리가 아는 한, 이것은 어린 나이에 치매의 용어와 정의에 관한 주요 측면과 병인의 포괄적인 목록을 제시하는 첫 번째 검토입니다. 최근에는 젊은 치매라는 용어에 상대적인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치매를 안고 생활하는 청소년을 지칭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이 그룹을 노년기 치매 환자와 구별하기 위해 증상 발병 연령이 65세라는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어린 나이에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251개 이상의 다양한 병인이 확인되었습니다. 대부분의 병인과 중요한 범주가 자주 언급되었으며, 나머지 소수의 병인과 범주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령 관련 기준과 다양한 병인의 포함에 대해서는 큰 이질성과 여러 가지 논란이 관찰되었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젊은 발병 치매라는 용어가 가장 자주 사용되었다는 사실은 역사적 진화일 뿐만 아니라 내용에 따른 것이기도 합니다. 조기 발병 치매에는 노년기 치매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병인, 중년 치매에서 발견되는 드문 병인, 후기 발병 형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특정 용어를 사용하는 가장 빈번한 이유는 노년기 치매보다는 생물학적 기원이었습니다. 소아 신경퇴행성 질환의 경우. 특히 많은 저자들은 특정 용어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논증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2013년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조기발병치매라는 용어는 여전히 일부 저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 이는 일부 저자가 치매의 전형적인 노인 원인을 안고 살아가는 젊은이를 지칭하기 위해 이 특정 용어를 사용하는 반면, 다른 저자는 이 용어를 45세 미만의 사람들과 비교하여 45~65세 사이의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사실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

증상 발현 시 65세를 후기 발병 치매와의 구분 기준 및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이 특정 기준 연령을 사용하고 진단 연령 대신 증상 발병 연령을 사용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장은 은퇴 연령이었습니다. 일부 저자들은 비록 임의적이긴 하지만 드물지만 65세 미만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기준 연령에 대한 생물학적 주장을 언급했습니다.

또한 소수의 문헌에서는 발달 장애를 구별하기 위한 연령 제한이 관찰되었습니다. 연령 제한을 적용하면 치매와 발달 장애가 명확하게 구분됩니다. 반면에, 치매의 유병률은 젊은 연령에서 더 드물어진다[  ]. 문헌에서 제안된 연령 범위가 16세에서 45세 사이로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과 함께, 이는 그러한 기준을 설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연령으로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더 낮은 연령 제한을 언급하는 소수의 출판물은 이 기준에 대한 논쟁을 거의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특정 연령에 대한 결정은 '성인 초기부터'[  ] 또는 '나이가 많고 훨씬 젊은 환자에서 발생했다'[  ]와 같은 설명에 따르면 생물학적 또는 심리사회적 이론보다는 자신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한 소스에서 서로 다른 상한 및 하한 연령 제한을 사용하면 환자 그룹에 차이가 생겨 이러한 그룹을 서로 비교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7개의 간행물에서 저자는 치매가 특히 45세 미만의 사람들에서 희귀 질병 및 장애로 인해 더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두 연령 그룹으로 세분화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치료의 관점에서 이러한 개인은 매우 특정한 문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진단 지연, 심리사회적 문제, 유전 등이 더 일반적입니다. 이는 가장 어린 젊은이와 45세에서 65세 사이의 사람들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젊은 개인의 치매 원인에는 큰 이질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그러나 일부 병인과 범주는 병인의 클러스터링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범주가 중복될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질병 및 장애는 신경인지 장애에 대한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V) 기준을 모두 충족하지 않습니다[  ]. 실제로 일부 저자는 몇 가지 조건을 병인으로 언급했지만 다른 저자는 제외 기준으로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원인에는 다운 증후군 및 기타 (신경)발달 장애, 간질 및 기타 가역적이거나 치료 가능한 질병, 우울증 및 기타 정신 장애, 헌팅턴 무도병, 알코올 치매, 코르사코프 증후군,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및 외상성 뇌 손상이 포함됩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이러한 확인된 원인 외에도 아직 결정되지 않은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계통 위축은 더 진행된 단계에서 인지 저하를 유발할 수 있지만 주로 운동 장애로 간주되며, 다계통 위축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심각한 인지 증상이 시작되기 전에 사망합니다[  ]. 마지막으로, 포함 또는 제외에 대한 의학적 선택을 설명하는 저자는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다운증후군이나 헌팅턴 무도병을 포함한 대부분의 문헌에서 이러한 병인 자체가 치매를 유발했는지 또는 이러한 장애가 치매와 연관되어 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시사점

본 리뷰에서 우리는 어린 나이에 치매의 명명법과 정의에서 고려되는 많은 요소를 확인했습니다. 가장 큰 연구 격차는 다양한 출판물에서 어떤 관점(예: 심리사회적 또는 생물학적) 연령 관련 기준 및 포함된 병인이 정의되었는지와 같은 기본 고려 사항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주로 상호 교환 가능한 용어와 정의의 사용은 네 가지 주요 결과를 가져옵니다. 첫째, 생물학적 관점을 사용했는지, 심리사회적 관점을 사용했는지 여부가 용어 선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기 발병 치매라는 용어는 은퇴를 기준으로 심리사회적 관점에서 선택된 65세 미만의 전형적인 노인성 병인으로 인해 치매를 안고 살아가는 젊은 사람들을 지칭하기 위해 일부 저자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65세 미만~45세 이상의 치매 환자를 지칭하기 위해 조기 발병 치매를 유보했는데, 그 이유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선택되어 치매를 앓고 있는 45세 미만의 사람들과 비교하면 병인학적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증상 발병 연령과 진단 연령 사이의 선택은 초기 증상 발병과 최종 증상 사이에 최대 4.7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젊은 것으로 간주되는 치매 환자의 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치매 유형 진단 [  ]. 진단 후 서비스에 회부될 수 있는 사람들의 수 외에, 65세 정도의 모호한 발병 연령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개발해야 합니다. 셋째, 치매를 안고 살아가는 젊은이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매 서비스는 주로 치매를 안고 살아가는 노인들의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 하위 구분은 연령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양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이러한 세분화는 어린 나이에 발병하는 치매의 특정 질병 메커니즘을 식별하는 데 생물학적 또는 연구 관점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검토에서 발견된 모든 병인을 가능한 원인으로 포함하면 어린 나이에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이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크게 증가할 것이며, 이는 이에 필요한 진단 후 관리 시설의 수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특정 환자군. 한편으로는 어린 나이에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과 그 간병인이 병인에 관계없이 유사한 요구를 가질 수 있어 예를 들어 병인으로서 다계통 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반면, 다운증후군, 기타 발달 장애 또는 헌팅턴 무도병과 같은 병인 및 범주에 대한 전문 진료는 종종 이미 다른 진료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으며 다르게 재정 지원됩니다. 새로운 통찰력이 토론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은 전두측두엽 퇴행과 연관되어 있으며 잠재적인 병인일 수 있습니다[  ].

강점과 한계

이 통합 검토에는 몇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경험적 문헌과 회색문헌을 결합한 포괄적인 검색 전략이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이 연구는 구조화된 접근 방식과 맞춤형 품질 평가를 모두 포함하는 엄격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 할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첫째, 출판된 문헌만 선택했기 때문에 출판 편견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가능한 내부 문서나 출판되지 않은 출판물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연구가 과소표시되어 [  ] 잠재적인 지역별 질병과 같은 특정 측면이 누락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어나 네덜란드어로 작성된 출처만 포함했기 때문에 특정 지역 연령 관련 기준이 포함된 일부 국가 정책 문서가 누락되었거나 잠재적인 지역별 질병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 번째 제한 사항으로, 방법론적 성격은 아니지만 소수의 출판물만이 선택에 대한 입증된 주장을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많은 정의가 암묵적으로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이 의견이나 특정 경험적 ​​주장에 기초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었습니다.

결론

역사 전반에 걸쳐 치매를 앓고 있는 젊은 사람들을 지칭하는 여러 가지 용어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 왔지만, 연령과 병인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부족합니다. 이로 인해 연구 비교와 치매 환자 수 결정이 복잡해지고 진단 후 지원 개선에 장애가 되는 모호함이 발생합니다. 각 연구에서 사용된 조작적 정의에 대한 설명은 향후 연구를 위해 권장됩니다. 현재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세 가지 주요 핵심 사항,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자주 사용되는 기준 연령,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치매 병인의 포괄적인 목록을 확인했습니다. 합의 연구는 용어 및 정의에 관한 국제적 합의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자세히 설명할 공간을 포함해야 하며, 이는 결국 치매를 앓고 있는 특정 그룹의 사람들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명확한 정의는 연구 수행 및 임상의(예: 연령에 적합한 진단 후 서비스 조직에 관한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2024.04.14 3801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건강덕441 2024.04.01 819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2024.02.14 4928
» 전문정보 젊은 나이에 치매의 명칭과 정의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file 😀건강덕496 2024.04.01 859
176 전문정보 중증/심도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의 방치된 치매 퍼즐: 관찰 가능한 증상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검토 file 😀건강덕788 2024.04.01 826
175 전문정보 불안과 우울증에서 특성 불안의 특이성: 상태 특성 불안 목록의 메타 분석 file 😀건강덕437 2024.04.01 825
174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건강덕441 2024.04.01 819
173 전문정보 SARS-CoV-2 감염 및 전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포비돈 요오드의 용도 변경: 서사적 검토 file 😀건강덕028 2024.04.01 811
172 전문정보 경증 치매 환자와 가족 간병인을 위한 사전 돌봄 계획 정보 개입: 임종 돌봄 결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건강덕959 2024.04.01 809
171 전문정보 비타민 C 결핍 😀건강덕371 2024.04.01 791
170 전문정보 .25% 포비돈-요오드를 이용한 수술 중 표면 세척을 통한 백내장 수술 file 😀건강덕596 2024.04.01 781
169 전문정보 치매는 동반 질환의 영향을 넘어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국가 등록 기반 코호트 연구 file 😀건강덕957 2024.04.01 780
168 전문정보 주요우울장애 및 범불안장애에 대한 심리치료: 건강 기술 평가 file 😀건강덕539 2024.04.01 762
167 전문정보 비타민 C와 면역 기능 file 😀건강덕726 2024.04.01 762
166 전문정보 비타민 C 섭취가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임상 증거를 (잘못) 해석하는 방법 file 😀건강덕789 2024.04.01 758
165 전문정보 치매에 대한 급성 병원 직원의 태도와 인지된 치매 지식: 아일랜드의 단면 조사 file 😀건강덕051 2024.04.01 757
164 전문정보 치매 예방, 중재 및 치료: Lancet Commission 보고서 file 😀건강덕869 2024.04.01 754
163 전문정보 치매 웰빙과 코로나19: 현재 연구 및 지식 격차에 대한 검토 및 전문가 합의 file 😀건강덕858 2024.04.01 753
162 전문정보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비타민 C: 개요 😀건강덕873 2024.04.01 745
161 전문정보 비타민 C, 비타민 E, 셀레늄, 카로티노이드에 대한 식이 참고 섭취량. file 😀건강덕928 2024.04.01 739
160 전문정보 비타민 C(아스코르빈산)에 대해 알아보자 😀건강덕814 2024.04.01 728
159 전문정보 마스킹 5% 포비돈 요오드 치료의 성공: 아데노바이러스 환자 감염 일수 감소(RAPID) 연구 file 😀건강덕169 2024.04.01 696
158 정보📰 파킨슨병의 병태생리학에서 비타민 A 대사의 역할과 메커니즘 file 😀건강덕732 2024.03.10 6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