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조회 수 88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는 미국 국립보건원 NIH에서

 

체중감량 영양제 관련 글 그냥 긁어와봤다

 

논문이나 자세한 설명은 위에 링크에 다 있음 (★빼고 링크사용)

 

 

 

 

1. 아프리카 망고( Irvingia gabonensis )

- 지방 생성을 억제하고 렙틴 수치를 감소시킵니다.

- 효능의 증거 : 소수의 임상 시험, 모두 작은 표본 크기 (연구 결과 : 체중 및 허리 둘레의 적당한 감소 가능)

- 안전성 : 10주 동안 최대 3,150mg/일에 대해 안전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두통, 수면 장애, 고창 및 가스

 

 

2. 베타글루칸

- 포만감과 위장 통과 시간을 늘리고 포도당 흡수를 느리게 합니다.

- 효능 임상시험 : 2차 결과로 체중 감소를 다룬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중에 영향 없음)

- 안전성 : 12주 동안 최대 10g/일에 대해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고창

 

 

3. 비터 오렌지( Citrus aurantium L.)

- 에너지 소비와 지방 분해를 증가시킵니다. 가벼운 식욕억제제 역할을 합니다. 시네프린은 제안된 활성 성분입니다.

- 효능 임상시험 : 방법론적 질이 낮은 소규모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안정시 대사율 및 에너지 소비 증가 가능성; 체중 감량에 대한 결정적이지 않은 효과)

- 안전성 : 특히 다른 각성제와의 병용에 대해 일부 안전 문제가 보고되었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흉통, 불안, 두통, 근골격계 질환, 혈압 및 심박수 증가

 

 

4. 카페인 (카페인 첨가 또는 과라나, 콜라 너트, 예르바 마테 또는 기타 허브에서 추출)

- 중추신경계를 자극합니다. 열 발생과 지방 산화를 증가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복합제품에 대한 단기 임상시험 (연구 결과 : 체중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중 증가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 안전성 : 성인의 경우 하루 400~500mg 미만 섭취 시 일반적으로 안전 문제가 보고되지 않습니다. 더 높은 용량에서 심각한 안전성 문제

- 보고된 부작용 : 신경과민, 불안감, 구토 및 빈맥

 

 

5. 칼슘

- 지방 분해를 증가시킵니다. 지방 축적과 지방 흡수를 감소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여러 대규모 임상시험 (연구 결과 : 임상시험 결과 체중, 체중 감소 또는 체중 증가 예방에 효과가 없음)

- 안전성 : 권장 섭취량(성인의 경우 1,000~1,200mg/일)에서는 안전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성인의 경우 2,000~2,500mg 이상 섭취 시 변비, 신장 결석, 아연 및 철분 흡수 방해

 

 

6. 캡사이신 및 기타 캡사이시노이드

- 에너지 소비 및 지질 산화 증가, 포만감 증가, 에너지 섭취 감소

- 효능 임상시험 : 주로 에너지 섭취와 식욕에 초점을 맞춘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에너지 섭취를 줄일 수 있지만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안전성 : 4주 동안 최대 33mg/일 또는 12주 동안 4mg/일의 경우 안전성 문제가 거의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위장 장애, 인슐린 수치 증가,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수치 감소

 

 

7. 카르니틴

-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체중 감량을 부차적인 결과로 삼은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적당한 체중 감소가 가능함)

- 안전성 : 1년 동안 하루 최대 2g 또는 56일 동안 하루 4g까지 안전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부 경련 및 비린내 체취; 트리메틸아민 N-산화물(TMAO)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8. 키토산

- 소화관에서 식이지방을 결합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소규모 임상시험, 대부분 방법론적 질이 낮음 (연구 결과 : 체중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함)

- 안전성 : 최대 6개월 동안 0.24~15g/일에 대해 보고된 안전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 보고된 부작용 : 고창, 복부 팽만감, 변비, 소화불량, 메스꺼움, 가슴쓰림

 

 

9. 크롬

- 순수 근육량을 증가시킵니다. 지방 감소를 촉진합니다. 음식 섭취량, 배고픔 수준, 지방에 대한 갈망을 줄입니다.

- 효능 임상시험 : 다양한 방법론적 질의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중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됨)

- 안전성 : 권장 섭취량(성인의 경우 20~45mcg/일)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두통, 묽은 변, 변비, 쇠약, 현기증, 메스꺼움, 구토 및 두드러기(두드러기)

 

 

10. 콜레우스 포스콜리

- 지방 분해를 강화하고 식욕을 감소시킵니다. Forskolin은 제안된 활성 성분입니다.

- 효능의 증거 : 단기 임상시험은 거의 없음 (연구 결과 : 체중에 영향 없음)

- 안전성 : 12주 동안 하루 500mg의 일반 용량에서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더 빈번한 배변, 묽은 변

 

 

11. 공액리놀레산 (CLA)

- 지방 분해를 증가시키고, 지방 생성을 감소시키며, 지방 조직의 세포사멸을 촉진합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여러 임상시험 (연구 결과 : 체중과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됨)

- 안전성 : 최대 12개월 동안 2.4-6g/일에 대해 보고된 안전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복부 불쾌감 및 통증, 변비, 설사, 묽은 변, 소화 불량 및 (아마도) 혈중 지질 및 포도당 항상성에 대한 부작용

 

 

12. 푸코잔틴

- 에너지 소비와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킵니다. 지방세포 분화와 지질 축적을 억제합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인간을 대상으로 한 한 번의 실험에서는 석류씨 오일과의 조합에 대해서만 연구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 확고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연구 부족)

- 안전성 : 16주 동안 2.4mg/일을 사용했지만 엄격하게 연구되지 않은 한 임상 시험에서는 안전성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알려진 바 없음

 

 

13.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히드록시구연산)

- 지방 생성을 억제하고 음식 섭취를 억제합니다. Hydroxycitric acid는 제안된 활성 성분입니다.

- 효능 임상시험 : 다양한 방법론적 질의 여러 단기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안전성 : 일부 안전성 문제 보고

- 보고된 부작용 : 두통, 메스꺼움, 상기도 증상, 위장관 증상, 조증, 간 손상

 

 

14. 글루코만난

- 포만감과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위 배출 시간을 연장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주로 지질과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방법론적 품질의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중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음)

- 안전성 : 식도 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정제 형태에 대해 심각한 안전 문제가 보고되었지만, 몇 주 동안 다른 형태의 최대 15.1g/일에 대해서는 안전성 문제가 거의 없었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묽은 변, 헛배부름, 설사, 변비, 복부 불쾌감

 

 

15. 녹색 커피콩 추출물( 코페아 아라비카, 코페아 카네포라, 코페아 로부스타 )

-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포도당 대사를 조절합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임상시험이 적고 방법론적 질이 모두 낮음 (연구 결과 : 체중에 약간의 효과가 있을 수 있음)

- 안전성 : 12주 동안 하루 최대 200mg을 투여하는 경우 안전성 문제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지만 엄격하게 연구되지는 않았습니다. 카페인 함유

- 보고된 부작용 : 두통 및 요로 감염

 

 

16. 녹차( Camellia sinensis ) 및 녹차추출물

- 에너지 소비와 지방 산화를 증가시킵니다. 지방 생성과 지방 흡수를 감소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카페인이 포함된 녹차 카테킨과 카페인이 포함되지 않은 녹차 카테킨에 대한 방법론적 품질이 우수한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중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안전성 : 음료로 사용 시 안전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으며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녹차 추출물에 대해 일부 안전성 우려가 보고됨

- 보고된 부작용(녹차 추출물의 경우) : 변비, 복부 불쾌감, 메스꺼움, 혈압 상승 및 간 손상

 

 

17. 구아검

- 장내 팽창제 역할을 하고, 위 배출을 지연시키며, 포만감을 증가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방법론적 품질이 우수한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중에 영향 없음)

- 안전성 : 최대 6개월 동안 하루 최대 30g을 함유하는 현재 사용 가능한 제제에 대해 보고된 안전성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복통, 고창, 설사, 메스꺼움 및 경련

 

 

18. 후디아 ( Hoodia gordonii )

- 식욕을 억제하고 음식 섭취를 줄입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인간에 대한 발표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 (연구 결과 : 한 연구에 따르면 에너지 섭취량이나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안전성 : 일부 안전 문제가 보고되었습니다. 심박수 및 혈압 증가

- 보고된 부작용 :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구토

 

 

19. 프로바이오틱스

- 장내 미생물총을 변경하여 음식에서 영양분과 에너지 추출에 영향을 미치고 에너지 소비를 변경합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지방, 허리 및 엉덩이 둘레, 체중에 대한 효과가 일관되지 않음)

- 안전성 : 건강한 사람에 대한 안전성 우려는 보고되지 않음

- 보고된 부작용 : 가스 등 위장관 증상

 

 

20. 피루브산염

- 지방 분해 및 에너지 소비 증가

- 임상시험이 적고 방법론적 질이 모두 낮음 (연구 결과 : 체중 및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음)

- 최대 6주 동안 하루 최대 30g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지만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설사, 가스, 팽만감 및 (아마도) HDL 수치 감소

 

 

21. 라즈베리 케톤

- 지질 대사를 변화시킵니다.

- 효능 임상시험 : 다른 성분과의 조합에 대해서만 연구됨 (연구 결과 : 확고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연구 부족)

- 안전성 : 8주간의 한 연구에서는 안전성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잘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알려진 바 없음

 

 

22. 비타민 D

- 제안된 바 없음; 낮은 비타민 D 상태와 비만 사이에는 연관성이 존재합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여러 임상시험 (연구 결과 : 체중에 영향 없음)

- 안전성 : 15~20mcg(성인의 경우 600~800 국제 단위(IU)/일) 권장 섭취량에서는 안전 문제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매우 많이 섭취하면 독성이 있음; 성인의 경우 허용 가능한 상한 섭취량은 100mcg(4,000IU)/일입니다

- 보고된 부작용 : 식욕부진, 체중 감소, 다뇨증, 심장 부정맥, 혈관 및 조직 석회화를 초래하는 칼슘 수치 증가

 

 

23. 흰 강낭콩( Phaseolus vulgaris )

- 전분 차단제 역할을 하여 탄수화물의 분해 및 흡수를 방해합니다.

- 효능 임상시험 : 다양한 방법론적 질의 여러 임상 시험 (연구 결과 : 체중과 체지방에 적당한 효과가 있을 수 있음)

- 안전성 : 12주 동안 하루 최대 3,000mg을 투여할 경우 안전성 문제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두통, 묽은 변, 고창, 변비

 

 

24. 요힘베( Pausinystalia yohimbe )

- 고아드레날린 효과가 있습니다. 요힘빈은 제안된 활성 성분입니다.

- 효능 임상시험 : 체중 감량을 위한 요힘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 (연구 결과 :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확고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연구가 부족함)

- 안전성 : 특히 요힘빈 20mg 이상의 용량에서 심각한 안전성 문제가 보고되었습니다.

- 보고된 부작용 : 두통, 불안, 초조, 고혈압, 빈맥, 심근경색, 심부전, 사망

 

 

 

 

 

 

 

미국 국립 보건원이 말하는 "체중 감량에 대한 합리적인 접근 방식 선택"

 

이 사실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체중을 줄이고 체중 감량을 자극하기 위한 식이 보충제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결정적이지 않고 설득력이 없으며 이러한 제품의 비용은 상당할 수 있습니다

 

체중을 감량하고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자의 지도에 따라 건강한 식사 계획, 칼로리 섭취 감소, 적당한 신체 활동을 포함하는 합리적인 접근 방식을 따르는 것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그냥 소식하고 운동하자는게 NIH의 결론..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345 0 2024.04.01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1 25822 53 2024.11.04
공지 클릭만 해도 포인트 만렙! 도전 4565 72 2025.03.19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11 42 2025.01.21
473 잡담 후두암의 초기 증상과 원인, 대처 방법 완벽 가이드 582 0 2025.05.09
472 잡담 외이도염 초기증상과 원인, 두통 대처법 총정리 562 0 2025.05.09
471 잡담 장꼬임(장폐색) 증상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576 0 2025.05.09
470 잡담 소화불량 증상과 소화에 좋은 음식 540 0 2025.05.09
469 잡담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음식과 정상수치 가이드 573 0 2025.05.09
468 잡담 다들 제발제발제발 이 3개만 매일 해줘... 진짜 삶이 달라진다 file 555 0 2025.05.09
467 잡담 너무아파서 자다깼는데 근육통에 무슨약이 잘들어? 2 567 0 2025.03.19
466 잡담 약사가 실제로 먹고 효과 본 영양제 조합! 눈 피로, 근육통, 장 건강부터 암 예방까지 file 9926 0 2025.03.07
465 잡담 다이소 영양제 총정리: 가성비 좋은 제품 vs. 돈값 안 하는 제품 file 9857 0 2025.03.07
464 잡담 Vitamin B-Complex (Pure vs Thorne) 총평 1 file 9952 0 2025.03.05
463 잡담 장누수,피부트러블,두피염,무좀 다 말살시킴 1 9917 0 2025.03.05
462 잡담 영양제 26종 챙겨먹는 사람인데 9705 0 2025.03.05
461 잡담 레이 커즈와일 평소 사진.jpg file 9760 0 2025.03.05
460 잡담 여드름쟁이들 보시길 9730 0 2025.03.05
459 잡담 항산화제의 두얼굴 그리고 근육키우기 file 9908 0 2025.03.05
458 정보📰 OptiMSM Flake 와 Powder 차이에 관한 제품 설명 file 9743 0 2025.03.05
457 잡담 오메가3 ALA -> EPA DHA 전환률 3 file 9785 0 2025.03.05
456 잡담 다이소 건기식 철수는 진짜 약사들의 집단 이기주의다 file 9753 0 2025.03.05
455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4) file 9715 0 2025.03.05
454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3) file 10004 0 2025.03.05
453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2) file 9900 0 2025.03.05
452 정보📰 다이소 영양제 목록 (1) file 9854 0 2025.03.05
451 잡담 대한약사회에서 입장문 발표햇엇네 1 file 9852 0 2025.03.05
450 잡담 요즘 핫하다는 다이소 영양제 찐 약사가 리뷰 했던데 1 file 9783 0 2025.03.05
449 잡담 다이소 영양제 판매 근황 file 9794 0 2025.03.05
448 잡담 다이소에서 파는...영양제 종류 ㄹㅇ...jpg file 9767 0 2025.03.05
447 잡담 요즘 독감이 유행이라던데...🤧 명의가 알려주는 감기와 독감의 차이 #명의 #독감 #감기 file 348 0 2025.01.22
446 잡담 제로콜라 의학리뷰: 과연 문제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file 3256 0 2024.12.01
445 잡담 30대 이후 여성분들이 챙겨 드시면 극적인 삶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양제 file 3639 0 2024.12.01
444 잡담 진짜 지루성피부염 환자 이틀만에 완치시킨 영양제(구라아님,망간아님) 2 3840 0 2024.11.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