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자간전증과 자간전증은 심각한 이환율과 사망의 흔한 원인입니다. 칼슘 보충제는 자간전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조산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2014년에 마지막으로 출판된 리뷰의 업데이트입니다.

목표

임신 중 칼슘 보충이 임신성 고혈압 장애와 관련된 산모와 아동의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합니다.

검색 방법

우리는 Cochrane Pregnancy and Childbirth의 임상 시험 등록부, ClinicalTrials.gov, WHO 국제 임상 시험 등록 플랫폼(ICTRP)(2017년 9월 18일) 및 검색된 연구의 참고문헌 목록을 검색했습니다.

선택 기준

우리는 임신 중 고용량 칼슘 보충제(최소 1g의 칼슘)를 위약과 비교하는 클러스터 무작위 시험을 포함한 무작위 대조 시험(RCT)을 포함했습니다. 저용량 칼슘의 경우 준 무작위 시험, 위약이 없는 시험, 공동 개입이 있는 시험 및 용량 비교 시험을 포함했습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포함 및 편향 위험에 대한 시험을 평가하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확성을 확인했습니다. 두 명의 연구자가 GRADE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증거를 평가했습니다.

주요 결과

우리는 27개 연구(18,064명의 여성)를 포함했습니다. 우리는 포함된 연구가 편향 위험이 낮다고 평가했지만, 보고가 부족하고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편향을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고용량 칼슘 보충( ≥ 1 g/일) 대 위약

14개 연구에서 이 비교를 조사했지만, 한 연구에서는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13개 연구에서 15,730명의 여성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메타분석에 제공했습니다. 고혈압(BP)의 평균 위험은 위약과 비교하여 칼슘 보충제로 감소했습니다(12개 시험, 15,470명의 여성: 위험 비율(RR) 0.65, 95% 신뢰 구간(CI) 0.53~0.81; I² = 74%). 또한 칼슘 보충제와 관련된 전산증 위험도 감소했습니다(13개 시험, 15,730명의 여성: 평균 RR 0.45, 95% CI 0.31~0.65; I² = 70%; 낮은 품질의 증거). 이 효과는 칼슘 섭취량이 적은 여성(8건의 시험, 10,678명의 여성: 평균 RR 0.36, 95% CI 0.20~0.65; I² = 76%)에게는 분명했지만 칼슘 섭취량이 충분한 여성에게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이 효과는 자간전증 위험이 높은 여성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소규모 연구 효과 때문일 수 있습니다(5건의 시험, 587명의 여성: 평균 RR 0.22, 95% CI 0.12~0.42). 이 데이터는 소규모 연구 효과 또는 출판 편향의 가능성 때문에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가장 큰 규모의 시험에서 자간전증 감소는 미미했고(8%) CI에는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포함되었습니다.

복합 결과인 산모 사망 또는 중증 이환율은 칼슘 보충제로 감소했습니다(4건의 시험, 9732명의 여성; RR 0.80, 95% CI 0.66~0.98). 산모 사망은 다르지 않았습니다(831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1건의 시험: 칼슘 그룹에서 1건의 사망 대 위약 그룹에서 6건). 칼슘 그룹에서 HELLP 증후군 위험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했습니다(2건의 시험, 12,901명의 여성: RR 2.67, 95% CI 1.05~6.82, 고품질 증거). 그러나 사건의 절대적 수는 낮았습니다(16건 대 6건).

조기 출산의 평균 위험은 칼슘 보충군에서 감소했습니다(11건의 시험, 15,275명의 여성: RR 0.76, 95% CI 0.60~0.97; I² = 60%; 낮은 품질의 증거). 이 감소는 자간전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은 여성에서 가장 컸습니다(4건의 시험, 568명의 여성: 평균 RR 0.45, 95% CI 0.24~0.83; I² = 60%). 다시 말하지만, 이 데이터는 소규모 연구 효과나 출판 편향의 가능성 때문에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에 대한 명확한 효과는 없었습니다. 또한 퇴원 전 사산이나 유아 사망 위험에 대한 명확한 효과도 없었습니다(11건의 시험, 15,665명의 아기: RR 0.90, 95% CI 0.74~1.09).

한 연구에 따르면 자궁 내 칼슘 보충제에 노출된 어린이의 경우 소아 수축기 혈압이 95%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14명의 어린이: RR 0.59, 95% CI 0.39~0.91). 이 어린이 중 일부에서는 12세 때 충치도 감소했습니다(195명의 어린이, RR 0.73, 95% CI 0.62~0.87).

저용량 칼슘 보충(< 1g/일)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12건의 시험(2334명의 여성)에서 저용량(일반적으로 매일 500mg) 칼슘만을 보충하는 것(4건의 시험) 또는 비타민 D(5건의 시험), 리놀레산(2건의 시험) 또는 항산화제(1건의 시험)와 함께 보충하는 것을 평가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자간전증 위험이 높은 여성을 모집했으며 편향 위험이 높았으므로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저용량 칼슘을 보충하면 자간전증 위험이 감소했습니다(9건의 시험, 2234명의 여성: RR 0.38, 95% CI 0.28~0.52). 고혈압(5개 시험, 여성 665명: RR 0.53, 95% CI 0.38~0.74)과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1개 시험, 여성 422명, RR 0.44, 95% CI 0.20~0.99)도 감소했지만, 조산(6개 시험, 여성 1,290명, 평균 RR 0.83, 95% CI 0.34~2.03)과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5개 시험, 아기 1,025명, RR 0.48, 95% CI 0.14~1.67)은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고용량(=/> 1 g) 대 저용량(< 1 g) 칼슘 보충

우리는 26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 가지 시험을 포함시켰는데, 그 결과는 편향 위험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주의해서 해석해야 합니다. 전산증 위험은 고용량 그룹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상대 위험 0.42, 95% CI 0.18~0.96). 다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조산: RR 0.31, 95% CI 0.09~1.08; 자간전증: RR 0.32, 95% CI 0.07~1.53; 사산: RR 0.48, 95% CI 0.13~1.83).

저자의 결론

고용량 칼슘 보충제(≥ 1g/일)는 특히 칼슘 섭취가 적은 여성의 경우 전산증과 조산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저품질 증거). 소규모 연구 효과나 출판 편향으로 인해 치료 효과가 과대평가될 수 있습니다. 복합 결과인 '산모 사망 또는 심각한 이환'의 발생은 줄이지만 사산이나 신생아 고치료 입원은 줄지 않습니다. 칼슘 보충제를 복용하면 HELLP 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했지만 절대 수치는 작았습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제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며, 자간전증, 고혈압 및 신생아 전문 치료 시설 입원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지만, 더 큰 규모의 고품질 시험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 언어 요약

혈압 장애 및 관련 문제 예방을 위한 임신 중 칼슘 보충

문제가 무엇인가요?

자간전증은 고혈압과 소변에 단백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전 세계적으로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요 사망 원인입니다. 조산(37주 전 출산)은 종종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생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그렇습니다.

왜 이것이 중요한가요?

무작위 대조 시험의 증거에 따르면 칼슘 보충제는 자간전증과 조산을 예방하고 여성이 임신 중 고혈압과 관련된 심각한 문제를 겪거나 사망할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특히 저칼슘 식단을 하는 여성에게 해당됩니다.

우리는 어떤 증거를 찾았는가?

우리는 2017년 9월 18일에 증거를 검색했고, 27건의 시험을 찾았습니다. 우리는 13건의 연구(15,730명의 여성 참여)에서 임신 중에 고용량(최소 1g/일)의 칼슘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전산증 위험을 줄이는 안전한 방법일 수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는데, 특히 식이 칼슘이 부족한 지역의 여성과 전산증 위험이 높은 여성의 경우에 그렇습니다. 칼슘 보충제를 섭취하는 여성은 전산증(낮은 품질의 증거)과 고혈압과 관련된 사망이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아기가 조산으로 태어날 가능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낮은 품질의 증거). 용혈, 간 효소 상승, 혈소판 감소 증후군은 칼슘과 함께 증가했지만 절대적인 수치는 적었습니다(높은 품질의 증거). 고용량 칼슘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나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수에 명확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보충제의 이상적인 복용량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12건의 시험(2334명의 여성)에서 나온 제한된 증거에 따르면 비교적 낮은 용량의 칼슘이 자간전증, 고혈압, 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를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합니다(그러나 칼슘 단독에 대한 증거의 질은 포함된 시험 중 8건에서 비타민 D, 리놀레산 또는 항산화제와 같은 다른 약물을 칼슘과 함께 투여했기 때문에 감소했습니다). 낮은 용량의 칼슘은 조산, 사산 또는 퇴원 전 사망에 명확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한 소규모 연구에서는 고용량 칼슘과 저용량 칼슘을 비교했습니다. 고용량 그룹에서는 전산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산이나 사산에서는 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식이성 칼슘이 낮은 환경에서는 보충제가 전산증의 심각한 결과를 줄이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고용량 보충제가 실행 불가능한 경우, 보충제를 전혀 섭취하지 않는 것보다 저용량 보충제(매일 500밀리그램(mg)에서 600mg)를 섭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 요약

배경

상태 설명

단백뇨가 있든 없든 고혈압은 전 세계적으로 산모 사망 및 이환율( Betrán 2005 ; Clark 2008 ; HMSO 1994 ; Khan 2006 ; NHMRC 1993 )과 주산기 이환율 및 사망률( Langenveld 2011 ; Ozkan 2011 )의 주요 원인입니다. 고혈압은 모든 임신의 5%와 첫 임신의 11%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으로 추산되며, 이 중 절반은 전산증과 관련이 있고 매년 최대 40,000건의 산모 사망을 초래합니다( Villar 2004 ). 이러한 이유로 임신성 고혈압 장애의 위험을 줄이는 전략이 상당한 주목을 받았습니다( Bucher 1996 ; Carroli 1994 ; CLASP 1994 ; ECCPA 1996 ).

자발적 또는 의학적으로 유도된 조산은 일반적으로 고혈압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특히 저소득 국가에서 신생아 조기 사망 및 유아 사망률의 주요 원인입니다( Villar 1994 ). 조산 생존자는 상당한 이환율, 특히 호흡기 질환 및 그 후유증, 장기적인 신경학적 이환율의 위험이 높습니다( Johnson 1993 ). 조산을 줄이기 위한 개입은 Villar와 동료들에 의해 검토되었습니다( Villar 1998 ).

임신 초기에는 혈압이 정상적으로 떨어지지만 임신 후반에는 천천히 상승하여 만삭 시 임신 전 수준으로 돌아옵니다( Villar 1989 ). 이러한 정상적인 혈압 변화로 인해 임신 중 고혈압 진단이 어렵습니다. 임상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도 상당히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Villar 2004 ). 그러나 널리 받아들여진 정의는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거나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인 것입니다( NHBPEP 2000 ). 단백뇨가 동반되면 고혈압의 결과가 더 심각해집니다. 고혈압과 상당한 단백뇨(딥스틱 검사로 1+, 24시간당 300mg 이상 또는 데시리터(dL)당 30mg 이상)( NHBPEP 2000 )는 일반적으로 전산증의 존재를 나타냅니다. 소변 단백질 대 크레아티닌 비율은 단백뇨 측정 방법으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Yamasmit 2004 ). 불량한 결과의 예측 요인에는 낮은 임신 연령과 높은 수준의 단백뇨가 포함됩니다( von Dadelszen 2004 ).

개입에 대한 설명

칼슘 보충제는 경구 식이 보충제로, 보통 탄산칼슘이나 글루콘산칼슘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복용량은 제제에 들어 있는 원소 칼슘의 양으로 표현됩니다.

개입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칼슘 섭취와 임신성 고혈압 장애 사이의 역상관 관계는 1980년에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Belizan 1980 ). 이는 전통적으로 옥수수를 요리하기 전에 석회에 담가두는 과테말라의 마야 인디언이 칼슘 섭취량이 많고 자간전증과 자간전증의 발생률이 낮다는 관찰에 근거한 것입니다. 식단을 비롯한 여러 특징에 칼슘 수치가 높은 에티오피아에서는 자간전증 유병률이 매우 낮다고 보고되었습니다( Hamlin 1962 ). 이러한 관찰은 다른 역학 및 임상 연구( Belizan 1988 ; Hamlin 1952 ; Repke 1991 ; Villar 1983 ; Villar 1987 ; Villar 1993 )에서도 뒷받침되었으며, 임신 중 칼슘 섭취가 적은 여성의 고혈압과 자간전증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전산증과 저칼슘뇨증( Segovia 2004 ), 낮은 소변 내 칼슘 대 크레아티닌 비율( Kazerooni 2003 ), 저칼슘혈증( Kumru 2003 ), 낮은 혈장 칼슘과 높은 막 칼슘( Kisters 2000 ), 낮은 식이 우유 섭취량( Duvekot 2002 ), 그리고 전산증과 저칼슘혈증( Isezuo 2004 ) 사이에 연관성이 발견되었습니다.

낮은 칼슘 섭취는 부갑상선 호르몬이나 레닌 방출을 자극하여 혈관 평활근의 세포 내 칼슘을 증가시키고( Belizan 1988 ) 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칼슘 보충의 가능한 작용 모드는 부갑상선 방출과 세포 내 칼슘을 감소시켜 평활근 수축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입니다.비슷한 메커니즘으로 칼슘 보충은 자궁 평활근 수축성을 감소시키고 조산과 분만을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Villar 1990 ).칼슘은 또한 마그네슘 수치를 증가시켜 평활근 기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Repke 1989 ).최근 증거에 따르면 칼슘 보충은 자궁-태반 혈류에 영향을 미칩니다(자궁과 배꼽 동맥의 저항 지수를 낮춤)( Carroli 2010 ).임신 후반기에 보충하면 전산증과 관련된 내피 손상을 예방하기보다는 혈압을 직접 낮추는 것으로 보입니다( Hofmeyr 2008 ).

칼슘 보충제는 여성이 전산증에 걸릴 위험을 줄이는 잠재적인 개입으로 매력적입니다. 칼슘 보충제는 쉽게 구할 수 있고 여성과 아이에게 안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손의 고혈압 위험에 예방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Belizan 1997 ). 신장 결석 형성 증가 또는 칼슘 보충제와 관련된 다른 부작용 발생의 이론적 위험은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이 리뷰를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칼슘 보충제는 1980년대 후반에 시작된 여러 무작위 시험에서 테스트되었으며, 고혈압 장애 및 관련 문제에 유망한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시사했습니다.최초의 체계적 고찰은 전산증 및 조산 외에 주산기 사망률과 같은 중요한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대규모 시험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Carroli 1994 ; Duley 1995 ).그후의 체계적 고찰은 더 유망한 결론에 도달했지만( Bucher 1996 ), 이러한 결과는 미국에서 실시된 대규모 시험( CPEP 1997 )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불일치는 논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Villar 2000 ).그후, 식이 칼슘 섭취가 낮은 지역 사회에서 수행된 대규모 시험이 보고되었습니다( WHO 2006 ).2012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식이 칼슘이 낮은 임산부에게 매일 1.5g~2g의 원소 칼슘을 보충할 것을 권장하는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이 권장 사항은 칼슘의 최적 복용량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1. WHO의 권고는 무작위 시험에서 얻은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검토된 고품질 시험의 대부분은 매일 1.5g에서 2g의 칼슘을 사용했으며, 더 작은 용량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거의 없었습니다.
  2. 하루 1.5g~2g의 칼슘을 섭취하는 것은 권장 일일 칼슘 섭취량 1g~1.2g보다 훨씬 높습니다.
  3. 물류적으로 이 용량의 칼슘은 운반하기 무겁습니다. 매일 1.5g의 원소 칼슘과 글리신을 함유한 탄산칼슘 플러스 글리신 정제(= 3750mg 탄산칼슘 플러스 글리신)는 4주 분(84정)으로 약 200g입니다. 이는 20주 동안 약 1kg의 정제에 해당하므로, 1년에 1000명의 임산부를 진료하는 병원은 매년 1000kg의 정제를 받아야 합니다.
  4. 칼슘의 가격은 (철분이나 엽산과 같은 보충제와 비교했을 때) 적당히 비싼 편이며, 따라서 복용량에 따라 비용에 큰 영향이 있습니다.
  5. 감비아 연구( Jarjou 2004 )의 2010년 보고서는 임신 중 매일 1.5g의 칼슘을 섭취하면 산모의 칼슘 보존 능력이 손상되어 임신 후 뼈 탈회가 재발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연구에는 한계가 있지만(결론은 원래 시험에 참여한 일부 여성을 대상으로 했으며 가설은 미리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다중 종결점 검정) 이전에 낮은 식이 칼슘 섭취에 적응한 여성의 고용량 칼슘 보충 중단으로 인한 부작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리뷰를 업데이트할 때, 우리는 임신 중 칼슘 보충제의 저용량에 대한 증거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원래, 우리는 일일 1g 미만의 용량을 사용한 무작위 대조 시험이 이 리뷰의 후속 업데이트에서 검토될 것이라고 명시했습니다. 그러나 저용량의 고품질 시험이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저용량 연구에 대한 저품질 연구(예: 준무작위 시험)만 포함하도록 리뷰를 수정했습니다.

이 글은 2014년에 마지막으로 게시된 리뷰를 업데이트한 것입니다.

목표

임신 중 칼슘 보충이 임신성 고혈압 장애와 관련된 산모와 아동의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합니다.

하위 그룹 분석은 다음 사항이 이러한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테스트했습니다.

  1. 여성들은 실험에 참여하기 전에 식이에서 칼슘 섭취량이 낮거나 충분했습니다.
  2. 여성은 고혈압 질환에 걸릴 위험이 낮거나 보통 수준이거나, 위험이 높습니다.

 

행동 양식

이 리뷰에 대한 연구를 고려하기 위한 기준

 

연구 유형

모든 출판, 미출판 및 진행 중인 무작위 대조 시험. 자격을 확인하기에 충분한 세부 정보(출판 및 미출판)가 있는 경우에만 초록으로 제시된 시험을 포함했습니다. 고용량 칼슘 보충제에 대한 원래 검토의 경우 준무작위 설계를 제외했습니다. 그러나 2012년 업데이트의 경우 이러한 약한 연구 설계(예: 교대, 미명시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한 준무작위화)를 사용하는 시험을 일일 1g 미만(저용량)의 칼슘 보충 시험 하위 그룹에만 포함했으며 결과 해석에 적절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고용량 시험과 저용량 시험 간의 불일치 이유는 고용량 칼슘 보충의 적절하게 무작위화된 위약 대조 시험에서 검토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있지만 저용량 칼슘 보충의 데이터가 없기 때문입니다. 클러스터 무작위 시험도 포함할 수 있었습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제에 대한 시험 비교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고용량과 저용량 보충제를 비교하는 시험을 포함하는 것도 흥미로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토콜과 검토의 차이점을 참조하십시오 .

 

참가자 유형

임신 여성, 임신성 고혈압 장애의 위험과 무관. 우리는 진단된 임신성 고혈압 장애가 있는 여성을 제외했습니다. 우리는 다태 임신 여성을 제외하지 않았습니다.

비교할 사전 지정된 하위 그룹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임신성 고혈압 장애의 위험이 낮거나 보통인 여성(선택되지 않음)
  2. 임신성 고혈압 장애의 평균 이상 위험이 있는 여성. 여기에는 임신성 고혈압 장애의 위험이 증가한 것을 기준으로 시험 저자가 선택한 여성(예: 10대 또는 40세 이상 여성, 이전에 자간전증이 있었던 여성, 앙지오텐신 II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한 여성, 기존 고혈압이 있는 여성)이 포함됩니다. 초산만으로는 고위험 요인으로 간주되지 않았습니다.
  3. 여성 또는 기준 식이 칼슘 섭취량이 낮은 집단(시험 저자가 정의한 대로 또는 정의되지 않은 경우 하루 평균 섭취량이 900mg 미만)
  4. 충분한 식이 칼슘 섭취량을 가진 여성 또는 인구(시험 저자가 정의한 대로 또는 정의되지 않은 경우 하루 평균 섭취량이 900mg 이상)

 

 

개입 유형

1. 고용량 보충제 ( 매일 1g 이상의 원소칼슘)

늦어도 임신 34주부터 칼슘 보충과 위약 치료를 비교했습니다. 위약이 없는 연구는 제외했습니다.

2. 저용량 보충제 (< 1g 원소 칼슘 매일)

늦어도 임신 34주부터 칼슘을 보충하고, 공동 개입(예: 비타민 D, 리놀레산, 항산화제 또는 항혈소판제)을 하거나 하지 않고, 위약이나 치료 없음과 비교했습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에 대한 연구 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고용량 칼슘 비교보다 포함 기준을 덜 제한적으로 사전 지정했습니다. 공동 개입에 따라 결과를 하위 그룹화했습니다. 이는 이 검토의 2013년 개정에서 추가되었습니다.

3. 2018년 본 리뷰 개정판에 추가된 칼슘의 다양한 복용량 비교.

 

결과 측정 유형

원래 프로토콜에서 우리는 산모와 태아 또는 신생아의 이환율과 사망률에 대한 15가지 임상적 측정을 미리 지정했습니다. 2004년 10월에 우리는 7가지 추가 결과(아래 *로 표시)를 추가했습니다. 2013년 업데이트에서 우리는 새로 출판된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해 아래 **로 표시된 두 가지 결과 측정을 추가했습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사후 분석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1차 결과

 

여성을 위해
  1. 시험 저자가 정의한 고혈압(단백뇨 유무와 관계 없음). 이상적으로는 고혈압은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거나, 수축기 혈압이 30mmHg 이상 증가하거나, 확장기 혈압이 15mmHg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2. 시험 저자가 정의한 대로 상당한 단백뇨가 있는 고혈압. 이상적으로 단백뇨는 딥스틱 검사로 2+, 24시간당 300mg 이상 또는 리터당 500mg 이상으로 정의됩니다. 전산증의 엄격한 정의에는 임신 외에 고혈압이나 단백뇨가 없다는 확인이 포함되지만, 편의상 이 리뷰에서는 위의 정의를 전산증 이라고 합니다 .

 

 

아이를 위해
  1. 조산(임신 예정일로부터 37주 전에 출산)
  2.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3.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2차 결과

 

여성을 위해
  1. 산모 사망 또는 중증 이환. 중증 이환에는 자간전증, 신부전, 용혈 증후군, 간 효소 상승 및 혈소판 감소(HELLP 증후군) 및 중환자실 입원이 포함됩니다. 이는 사망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증 이환 측정의 복합 결과입니다. 또한 우리는 각 개별 결과를 제시할 계획이었습니다.
  2. 태반 박리
  3. 제왕절개
  4. *단백뇨증
  5. *시험 저자가 정의한 심각한 전산증
  6. *경련
  7. *HELLP 증후군
  8. *중환자실 입원
  9. * 산모 사망
  10. 어머니의 병원 체류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
  11. **유산

 

 

아이를 위해
  1. 저체중아(출생 후 첫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
  2. 시험 저자가 정의한 태아기 소형(small-for-gestational age)
  3. 7일 이상 중환자실에 있는 신생아
  4. * 사망 또는 심각한 신생아 질병
  5. 어린 시절 장애
  6. 어린 시절 수축기 혈압이 95백분위수 이상
  7. 어린 시절 이완기 혈압이 95백분위수 이상인 경우
  8. **어린 시절의 치아우식증(하나 이상의 충치, 빠진 치아 또는 충전된 치아, 또는 시험 저자가 정의한 대로)

 

분석 표에는 데이터가 있는 결과만 나타납니다.

 

'조사 결과 요약' 표의 결과

다음의 GRADE 결과는 '결과 요약' 표에 포함되었습니다.

  1. 전산증
  2. 조산아 ​​출산
  3. HELLP 증후군

 

연구 식별을 위한 검색 방법

이 리뷰의 다음 방법 섹션은 Cochrane Pregnancy and Childbirth에서 사용하는 표준 템플릿을 기반으로 합니다.

 

전자 검색

우리는 Cochrane Pregnancy and Childbirth의 임상 시험 등록부를 검색하기 위해 정보 전문가에게 연락했습니다(2017년 9월 18일).

등록은 임신과 출산 분야의 통제된 시험에 대한 24,000건 이상의 보고서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CENTRAL, MEDLINE, Embase 및 CINAHL에 대한 자세한 검색 전략을 포함하여 임신과 출산의 시험 등록을 채우는 데 사용된 전체 검색 방법, 수동으로 검색한 저널 및 회의록 목록, 현재 인식 서비스를 통해 검토한 저널 목록을 보려면 Cochrane Library에서 Cochrane 임신과 출산에 대한 편집 정보로 가는 이 링크를 따라가 화면 왼쪽에 있는 옵션에서 '특수 등록' 섹션을 선택하십시오.

간단히 말해서, Cochrane Pregnancy and Childbirth의 시험 등록부는 정보 전문가가 관리하며 다음에서 식별된 시험을 포함합니다.

  1. Cochrane 중앙 통제 시험 등록부(CENTRAL)의 월별 검색
  2. MEDLINE(Ovid)의 주간 검색
  3. Embase(Ovid)의 주간 검색
  4. CINAHL(EBSCO)의 월별 검색
  5. 30개 저널과 주요 학술대회의 회의록을 수작업으로 검색함.
  6. 주간 및 월간 BioMed Central 이메일 알림 외에도 44개 저널에 대한 최신 인식 알림이 제공됩니다.

 

검색 결과는 두 사람이 검토하고 위에 설명된 검색 활동을 통해 식별된 모든 관련 시험 보고서의 전체 텍스트를 검토합니다. 설명된 개입에 따라 각 시험 보고서에는 특정 임신 및 출산 검토 주제(또는 주제들)에 해당하는 번호가 지정되고 그런 다음 등록부에 추가됩니다. 정보 전문가는 키워드가 아닌 이 주제 번호를 사용하여 각 검토에 대한 등록부를 검색합니다. 이를 통해 관련 검토 섹션( 포함된 연구 ; 제외된 연구 ; 분류 대기 중인 연구 ; 진행 중인 연구 )에서 완전히 설명된 보다 구체적인 검색 세트가 생성됩니다.

또한, 부록 1 에 나와 있는 용어를 사용하여 ClinicalTrials.gov와 WHO 국제 임상시험 등록 플랫폼(ICTRP)(2017년 9월 18일)에서 미공개, 계획 및 진행 중인 임상시험 보고서를 검색했습니다 .

 

다른 리소스 검색

우리는 검색된 연구의 참고문헌 목록을 검색했습니다.

우리는 언어나 날짜 제한을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이 리뷰의 이전 버전에서 사용된 방법은 Hofmeyr 2014를 참조하세요 .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업데이트된 검색 결과로 식별된 보고서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이 리뷰의 다음 방법 섹션은 Cochrane Pregnancy and Childbirth에서 사용하는 표준 템플릿을 기반으로 합니다.

 

연구 선택

두 명의 리뷰 저자가 검색 전략의 결과로 식별된 모든 잠재적 연구를 포함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우리는 토론을 통해 의견 불일치를 해결했거나 필요한 경우 세 번째 리뷰 저자와 상의했습니다.

 

데이터 추출 및 관리

우리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양식을 설계했습니다. 적격 연구의 경우, 두 명의 리뷰 저자가 합의된 양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했습니다. 우리는 논의를 통해 불일치 사항을 해결하거나 필요한 경우 세 번째 리뷰 저자와 상의했습니다. 데이터는 Review Manager 5 소프트웨어( RevMan 2014 )에 입력하여 정확성을 확인했습니다.

위에 언급된 내용 중 어느 것에 대한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우리는 추가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원래 보고서의 작성자에게 연락할 계획이었습니다.

 

포함된 연구에서 편향 위험 평가

두 명의 검토 저자가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 Higgins 2011 ) 에 명시된 기준을 사용하여 각 연구의 편향 ​​위험을 독립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의견 불일치는 토론이나 세 번째 평가자를 참여시켜 해결했습니다.

 

(1) 무작위 시퀀스 생성(선택 편향 가능성 확인)

우리는 할당 순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 방법을 충분히 자세하게 설명하여, 그것이 비교 가능한 그룹을 생성하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포함된 각 연구에 대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평가했습니다.

  1. 편향 위험이 낮음(실제로 무작위적인 프로세스, 예: 난수표, 컴퓨터 난수 생성기)
  2. 편견의 높은 위험(무작위적이지 않은 프로세스, 예: 생년월일이 홀수 또는 짝수일 경우, 병원이나 진료소 기록 번호)
  3. 편견의 위험이 불분명함.

 

 

(2) 할당 은폐(선택 편향 가능성 확인)

포함된 각 연구에 대해 배정 전에 개입 할당을 은폐하는 데 사용된 방법을 설명하고, 개입 할당이 모집 전이나 모집 중에 예측될 수 있었는지, 아니면 배정 후에 변경될 수 있었는지 평가했습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평가했습니다.

  1. 편견 위험이 낮음(예: 전화 또는 중앙 무작위 추출, 연속 번호가 매겨진 밀봉된 불투명 봉투)
  2. 편향 위험이 높음(개방형 무작위 할당, 밀봉되지 않은 봉투 또는 불투명하지 않은 봉투, 교체, 생년월일)
  3. 편견의 위험이 불분명함.

 

 

(3.1) 참가자 및 인력의 블라인드 처리(성능 편향 가능성 확인)

포함된 각 연구에 대해 참가자와 연구 인력을 참가자가 받은 개입에 대한 지식에서 블라인드하는 데 사용된 방법(있는 경우)을 설명했습니다. 블라인드가 적용되었거나 블라인드가 없어도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구가 편향될 위험이 낮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결과 또는 결과 클래스에 대해 블라인드를 별도로 평가했습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평가했습니다.

  1. 참가자에 대한 편견 위험이 낮음, 높음 또는 불분명함
  2. 인사에 대한 편견 위험이 낮음, 높음 또는 불분명함.

 

 

(3.2) 결과 평가의 블라인딩(가능한 감지 편향 확인)

포함된 각 연구에 대해 참가자가 받은 개입에 대한 지식에서 결과 평가자를 블라인드하는 데 사용된 방법(있는 경우)을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다른 결과 또는 결과 클래스에 대해 별도로 블라인드를 평가했습니다.

우리는 맹검 결과 평가에 사용된 방법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1. 편견 위험이 낮음, 높음 또는 불분명함.

 

 

(4) 불완전한 결과 데이터(불완전한 결과 데이터의 양, 특성 및 처리로 인한 잠재적 이탈 편향 확인)

포함된 각 연구와 각 결과 또는 결과 클래스에 대해 탈락 및 분석 제외를 포함한 데이터의 완전성을 설명했습니다. 탈락 및 제외가 보고되었는지 여부와 각 단계에서 분석에 포함된 숫자(전체 무작위 참가자와 비교), 보고된 탈락 또는 제외 이유, 누락된 데이터가 그룹 간에 균형을 이루었는지 또는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설명했습니다. 충분한 정보가 보고되었거나 시험 저자가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수행한 분석에 누락된 데이터를 다시 포함할 계획이었습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평가했습니다.

  1. 편향 위험이 낮음(예: 누락된 결과 데이터 없음, 누락된 결과 데이터가 그룹 전체에 걸쳐 균형을 이룸)
  2. 편향 위험이 높음(예: 누락된 데이터의 수 또는 이유, 그룹 간 불균형, '처치된 대로' 분석 수행 시 무작위 배정 시 배정된 개입과 실제 개입이 크게 다름)
  3. 편견의 위험이 불분명함.

 

 

(5) 선택적 보고(보고 편향 확인)

포함된 각 연구에 대해 우리는 선택적 결과 보고 편향의 가능성을 조사한 방법과 그 결과를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평가했습니다.

  1. 편향 위험이 낮음(연구의 모든 사전 지정된 결과와 검토에서 관심 있는 모든 예상 결과가 보고된 것이 명확한 경우)
  2. 편향 위험이 높음(연구의 모든 사전 지정된 결과가 보고되지 않은 경우, 보고된 1개 이상의 주요 결과가 사전 지정되지 않은 경우, 관심 있는 결과가 불완전하게 보고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보고되었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주요 결과의 결과가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3. 편견의 위험이 불분명함.

 

 

(6) 기타 편향 (위 (1)~(5)에 포함되지 않은 문제로 인한 편향 확인)

포함된 각 연구에 대해 우리는 편견의 다른 가능한 원인에 대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중요한 우려 사항을 설명했습니다.

 

(7) 전반적인 편향 위험

우리는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 Higgins 2011 ) 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연구가 편향 위험이 높은지 여부에 대해 명시적으로 판단했습니다. 위의 (1)~(6)을 참조하여 편향의 가능성 있는 규모와 방향을 평가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고려했습니다. 향후 업데이트에서는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 을 수행하여 편향 수준의 영향을 살펴볼 것입니다 .

 

GRADE 접근 방식을 사용한 증거 품질 평가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GRADE 핸드북에 설명된 대로 GRADE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증거의 질을 평가하여 주요 비교를 위한 다음 결과와 관련된 증거 본문의 질을 평가했습니다.

  1. 전산증
  2. 조산아 ​​출산
  3. HELLP 증후군

 

우리는 GRADEpro 지침 개발 도구를 사용하여 Review Manager 5.3( RevMan 2014 ) 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결과 요약' 표를 만들었습니다. GRADE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개입 효과 요약과 위의 각 결과에 대한 품질 측정치를 생성했습니다. GRADE 접근 방식은 5가지 고려 사항(연구 제한, 효과의 일관성, 부정확성, 간접성 및 출판 편향)을 사용하여 각 결과에 대한 증거 본문의 품질을 평가합니다. 증거는 편향 위험, 증거의 간접성, 심각한 불일치, 효과 추정의 부정확성 또는 잠재적 출판 편향에 대한 평가에 따라 심각한 제한의 경우 '높은 품질'에서 한 단계(또는 매우 심각한 경우 두 단계)로 다운그레이드될 수 있습니다.

 

치료 효과 측정

 

이분형 데이터

이분형 자료에 대해서는 95% 신뢰 구간을 포함한 요약 위험 비율의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연속 데이터

결과가 시험 간에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 경우 평균 차이를 사용했습니다. 향후 업데이트에서 적절한 경우 표준화된 평균 차이를 사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측정하지만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시험을 결합합니다.

 

분석 단위 문제

 

클러스터 무작위 시험

우리는 지금까지 클러스터 무작위 시험을 식별하지 못했습니다. 우리는 개별 무작위 시험과 함께 분석에 미래의 클러스터 무작위 시험을 포함할 것입니다. 우리는 Cochrane Handbook 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표본 크기를 조정할 것입니다 . 가능한 경우 시험, 유사한 시험 또는 유사한 인구에 대한 연구에서 얻은 클러스터 내 상관 계수(ICC) 추정치를 사용합니다. 다른 출처의 ICC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보고하고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ICC 변화의 영향을 조사합니다. 개별 무작위 시험 외에 클러스터 무작위 시험을 식별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종합할 계획입니다. 연구 설계 간에 이질성이 거의 없고 개입 효과와 무작위 단위 선택 간의 상호 작용이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두 가지의 결과를 결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또한 무작위 배정 단위의 이질성을 파악하고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무작위 배정 단위의 효과를 조사할 것입니다.

 

교차 시험

교차 시험은 이 리뷰와 관련이 없습니다.

 

기타 분석 단위 문제

다중군 시험의 경우 검토 비교와 관련된 두 군만 포함했습니다. 다중 임신이 포함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 검토의 향후 업데이트에 다중 임신이 포함되는 경우 신생아를 개별 참가자로 분석합니다. 다중 임신의 수가 통계적 조정을 정당화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만 클러스터 효과에 대한 조정을 합니다.

 

누락된 데이터 처리

포함된 연구에 대해 우리는 탈락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업데이트에서 더 많은 적격 연구가 포함되면, 우리는 민감도 분석을 사용하여 치료 효과의 전반적인 평가에서 누락된 데이터 수준이 높은 연구를 포함하는 영향을 탐구할 것입니다.

모든 결과에 대해 가능한 한 의도-치료 기준으로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즉, 각 그룹에 무작위로 배정된 모든 참가자를 분석에 포함하려고 했습니다. 각 시험의 각 결과에 대한 분모는 무작위로 배정된 참가자 수에서 결과가 누락된 것으로 알려진 참가자를 뺀 수입니다.

 

이질성 평가

우리는 Tau², I², Chi² 통계를 사용하여 각 메타분석의 통계적 이질성을 평가했습니다. I²가 30%보다 크고 Tau²가 0보다 크거나 이질성에 대한 Chi² 검정에서 낮은 P값(0.10 미만)이 있는 경우 이질성이 상당한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상당한 이질성(30% 이상)을 확인한 경우 사전 지정된 하위 그룹 분석을 통해 이를 탐색할 계획이었습니다.

 

보고 편향 평가

우리는 퍼널 플롯을 사용하여 보고 편향(예: 출판 편향)을 조사했습니다. 우리는 퍼널 플롯 비대칭을 시각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시각적 평가에서 비대칭이 시사된 경우, 우리는 탐색 분석을 수행하여 조사했습니다.

 

데이터 합성

우리는 Review Manager 5 소프트웨어( RevMan 2014 ) 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 우리는 연구가 동일한 기본 치료 효과를 추정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인 경우, 즉 시험이 동일한 개입을 조사하고 시험의 모집단과 방법이 충분히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해 고정 효과 메타 분석을 사용했습니다.

임상적 이질성이 시험 간에 기본 치료 효과가 다를 것으로 예상할 만큼 충분하거나 상당한 통계적 이질성이 감지된 경우, 시험 전체에 걸친 평균 치료 효과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임의 효과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요약을 작성했습니다. 임의 효과 요약은 가능한 치료 효과 범위의 평균으로 처리되며 시험 간에 치료 효과가 다른 것의 임상적 의미에 대해 논의합니다. 평균 치료 효과가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는 경우 시험을 결합하지 않기로 계획했습니다. 임의 효과 분석을 사용한 경우 결과는 95% 신뢰 구간과 Tau² 및 I²의 추정치를 사용하여 평균 치료 효과로 제시되었습니다.

 

하위 그룹 분석 및 이질성 조사

상당한 이질성을 발견한 경우, 하위 그룹 분석과 민감도 분석을 사용하여 조사했습니다. 전체 요약이 의미 있는지 고려했고, 그렇다면 임의 효과 분석을 사용하여 요약을 생성했습니다.

 

고용량 칼슘 보충

우리는 다음과 같은 하위 그룹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1. 식이 칼슘 섭취량이 적정 수준과 낮은 집단에서의 시험
  2. 낮음/보통 대비 고혈압 위험이 높은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시험
  3. 작은 표본 크기 대 큰 표본 크기를 사용한 시험
  4. 또한 두 하위 그룹 간의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원래 프로토콜에는 미리 지정되어 있지 않음) 식이 칼슘 섭취량과 시험 규모에 따라 시험을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우리는 위의 하위 그룹 분석 2, 3, 4에서 1차 결과만을 사용했습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

우리는 공동 개입에 의한 하위 그룹 분석을 수행했습니다(비교 6). 공동 개입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용량 칼슘 비교에서는 이를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Review Manager( RevMan 2014 )에서 사용 가능한 상호 작용 검정을 통해 하위 그룹 차이를 평가했습니다. 우리는 카이제곱 통계량과 P 값, 상호 작용 검정 I² 값을 인용하여 하위 그룹 분석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민감도 분석

우리는 할당 은폐, 높은 이탈률 또는 둘 다에 의해 평가된 편향 위험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계획된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으며, 편향 위험이 높은 연구는 분석에서 제외하여 이것이 전반적인 결과에 어떤 차이를 만드는지 평가했습니다. 이 민감도 분석은 고용량 칼슘 대 위약을 비교하는 경우에만 가능했습니다(저용량 칼슘 대 보충 없음을 비교하는 연구는 너무 적었습니다).

결과

연구 설명

 

검색 결과

보다:그림 1.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1.jpg 입니다.

연구 흐름도.

2017년 검색에서 46개 보고서가 검색되었습니다. 또한 이전 버전의 검토( Hofmeyr 2014 )에서 추가 분류를 기다리는 7개 보고서와 진행 중인 1개 연구를 재평가했습니다. 이 버전의 검토에서 1개 연구가 추가 평가를 기다리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연구가 4개(보고서 5개)입니다. 검토에서 이미 제외된 2개 연구와 관련된 추가 보고서 5개( Diogenes 2011 ; Ettinger 2011 )와 검토에 이미 포함된 3개 연구와 관련된 추가 보고서 10개가 있었습니다. 검토에 새로운 연구 3개(보고서 4개)를 포함했고( Asemi 2012 ; Asemi 2016 ; Khan 2013 ) 추가로 19개 연구(보고서 29개)를 제외했습니다. 검토에는 총 27개 연구가 포함되었고 44개가 제외되었습니다.

 

포함된 연구

연구는 전 세계 국가에서 수행되었습니다: 필리핀( Almirante 1998 ); 이란( Asemi 2012 ; Asemi 2016 ; Niromanesh 2001 ; Taherian 2002 ); 트리니다드( Bassaw 1998 ); 아르헨티나( Belizan 1991 ); 중국( Cong 1995 ; Li 2000 ); 호주( Crowther 1999 ); 콜롬비아( Herrera 1998 ); 감비아( Jarjou 2004 ); 인도( Khan 2013 ; Kumar 2009 ; Marya 1987 ; Purwar 1996 ); 에콰도르( L‐Jaramillo 1989 ; L‐Jaramillo 1990 ; L‐Jaramillo 1997 ); 홍콩( Rogers 1999 ); 인도네시아( Rumiris 2006 ); 미국( CPEP 1997 ; S‐Ramos 1994 ; Villar 1990 ). 또한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수행된 다기관 연구가 있었습니다( Herrera 2006 ; Villar 1987 ; WHO 2006 ).

6개 연구에서는 모집 날짜가 명확하지 않거나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Almirante 1998 ; Cong 1995 ; CPEP 1997 ; L-Jaramillo 1990 ; Marya 1987 ; Niromanesh 2001 ). 5개 연구( Belizan 1991 ; L-Jaramillo 1989 ; S-Ramos 1994 ; Villar 1987 ; Villar 1990 ) 에서는 1980년대에 모집이 시작되었습니다 . 1990년대 9개 연구( Bassaw 1998 ; Crowther 1999 ; Herrera 1998 ; Jarjou 2004 ; Li 2000 ; L‐Jaramillo 1997 ; Purwar 1996 ; Rogers 1999 ; Taherian 2002 ); 2000년대에는 7개 연구( Asemi 2012 ; Asemi 2016 ; Herrera 2006 ; Khan 2013 ; Kumar 2009 ; Rumiris 2006 ; WHO 2006 )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중 다수는 자금 출처와 이해 상충 선언을 출판된 보고서에 보고하도록 요구되기 전에 수행되었습니다. 10개 연구에서는 자금 출처를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두 연구에서는 시험 자금이 보고되지 않았지만 연구 약물이 제약 회사에서 제공되었다고 명시되었습니다( Niromanesh 2001 ; Purwar 1996 ). 제약 회사는 또한 정부, 의료 서비스 또는 대학에서 자금을 지원받는 다른 시험에 약물을 제공했습니다( Asemi 2012 ; Asemi 2016 ; CPEP 1997 ; Jarjou 2004 ). 다른 시험자들도 연구가 대학, 정부 또는 병원 자금으로 지원되었다고 진술했습니다( Crowther 1999 ; Herrera 1998 ; Herrera 2006 ; Jarjou 2004 ; Kumar 2009 ; L‐Jaramillo 1989 ; Taherian 2002 ). 두 연구는 WHO에서 자금을 지원받았고( L‐Jaramillo 1997 ; WHO 2006 ) 두 연구는 국가 유제품 기구에서 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Villar 1987 ; Villar 1990 ).

연구 중 저자에게 알려진 이해 상충이 없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연구는 두 건뿐이었습니다( Asemi 2016 ; Jarjou 2004 ).

보고된 준수율은 일반적으로 80% 이상이었습니다( Belizan 1991 에서 칼슘과 위약의 경우 84%와 86%, WHO 2006 에서는 84.5%와 86.2% , S-Ramos 1994 에서는 79%와 81% ). 그러나 한 연구에서는 각 그룹의 준수율이 64%와 67%였고( CPEP 1997 ),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각 그룹의 여성의 31%와 24%가 시험이 끝나기 전에 정제 복용을 중단했습니다( Crowther 1999 ). L-Jaramillo 1997 에서는 두 명의 여성이 준수하지 않아 철수했습니다.

 

고용량 칼슘 보충 (1일 1g 이상)

우리는 고용량 보충제를 조사한 14개 연구를 검토에 포함했습니다. 한 연구는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았지만 저자들에게 연락했고 다음 업데이트에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Jarjou 2004 ). 나머지 13개 연구 중 4개는 다기관 연구였습니다. 하나는 아르헨티나에서 수행되었고( Belizan 1991 ), 다른 하나는 미국에서 수행되었고( CPEP 1997 ), 또 다른 하나는 호주에서 수행되었고( Crowther 1999 ), 네 번째는 국제적이었습니다( WHO 2006 ). 이 연구에 모집된 15,730명의 여성 대부분은 저위험(15,143명)이었고 식이에서 칼슘 섭취량이 낮았습니다(10,678명). 대부분의 연구는 미산부 또는 초산부인 여성만 모집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모집된 여성의 출산 횟수를 명시하지 않았고( Niromanesh 2001 ), 다른 연구에서는 대부분 여성이 미산부라고 언급했습니다( Villar 1990 ). 대부분 연구에서 개입은 하루에 1.5g에서 2g의 칼슘이었습니다. 이 모든 연구는 고용량 보충제를 위약과 비교했습니다.

5개 연구에는 전산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여성이 참여했습니다. 높은 위험의 정의와 실제 위험(위약군의 전산증 비율)은 다양했습니다. 28~30주에 양성 '롤오버' 검사(8/34)( L-Jaramillo 1990 ); 17세 이하 청소년(3/88)( Villar 1990 ); 28~32주에 양성 '롤오버' 검사와 임상적 위험 요소 1개(7/15)( Niromanesh 2001 ); 양성 '롤오버' 검사와 양성 앙지오텐신 II 주입 검사(15/34)( S-Ramos 1994 ); 17.5세 이하 미산 청소년(21/135)( L-Jaramillo 1997 ). 따라서 이 하위 그룹에서 통합된 결과의 임상적 유용성은 제한적입니다.

포함된 두 연구는 이 실험에 모집된 어머니의 아이들을 장기간 추적 조사했습니다( Belizan 1991 ; Hiller 2007 ). Belizan 1991 에서는 사립 병원에서 모집된 여성 하위 집합에만 연락했고, Hiller 2007 에서는 보고된 결과가 이 검토와 달랐습니다(하지만 미공개 데이터는 나중에 저자가 제공할 수 있음).

다른 연구에서는 소수의 여성에 대한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CPEP 1997 : Hatton 2003 ; WHO 2006 : Zhang 2007 ).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는 이 검토의 포함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 (1일 1g 미만)

우리는 12개의 연구를 포함했습니다. 4개의 연구는 칼슘 보충만을 조사했습니다( Almirante 1998 ; Bassaw 1998 ; Cong 1995 ; Rogers 1999 ). 5개의 연구는 칼슘과 비타민 D를 조사했습니다( Asemi 2012 ; Asemi 2016 ; Li 2000 ; Marya 1987 ; Taherian 2002 ). 같은 그룹의 두 연구는 칼슘과 리놀레산을 조사했습니다( Herrera 1998 ; Herrera 2006 ). 그리고 1개의 연구는 칼슘과 항산화제를 조사했습니다( Rumiris 2006 ).

연구마다 비교가 다양했습니다. 5건은 위약을 사용했습니다( Asemi 2012 ; Asemi 2016 ; Herrera 1998 ; Herrera 2006 ; Rumiris 2006 ). 1건은 아스피린 정제를 사용했습니다( Bassaw 1998 ). 4건은 치료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했습니다( Cong 1995 ; Li 2000 ; Marya 1987 ; Taherian 2002 ). 그리고 2건은 대조군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Almirante 1998 ; Rogers 1999 ).

 

고용량 대 저용량 칼슘 보충 (1g/일 이상 대 1g/일 미만)

한 연구에서는 인도 서베갈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인구의 선별되지 않은 정상 혈압 임산부를 대상으로 최소 임신 34주부터 고용량(2g)과 저용량(500mg) 칼슘 보충제를 비교했습니다( Khan 2013 ). 각 그룹의 숫자 차이는 고려되지 않았으며, 우리는 편향 위험을 불분명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함된 연구의 특성을 참조하세요 .

 

제외된 연구

우리는 검토에서 44개 연구를 제외했습니다( 제외된 연구의 특성 ).

제외 사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으며, 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일부 연구를 제외했습니다. 5개 연구에서 참가자가 그룹에 어떻게 배정되었는지 명확하지 않았고, 어떤 경우에는 배정 방법이 무작위적이지 않았습니다( Felix 1991 ; Karandish 2003 ; Kawasaki 1985 ; Raman 1978 ; Salzano 2001 ). 방법론적 문제로 인해 다른 두 연구를 제외했습니다. 지정된 결과가 보고되지 않았거나( Boggess 1997 ) 설명할 수 없는 그룹 불일치가 있었습니다( Dizavandy 1998 ). 초록으로 보고된 7개 연구에서 편향 위험을 판단하고 데이터를 포함하기에는 방법과 결과에 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했습니다( Aghamohammady 2010 ; 2002년 8월 ; Belizan 1983 ; Chames 2002 ; Prada 2001 ; Prada 2002 ; Repke 1989 ). 연구가 시작되었는지 또는 완료되었는지 명확하지 않은 시험 등록에서 보고된 연구가 4개 있었습니다( Anumba 2006 ; Bhatia 2010 ; Fung 2010 ; Lavin 1986 ). 한 연구에서 개입은 칼슘이 아니라 유제품이었고( Chan, 2006 ), 여덟 가지 연구에서 개입은 칼슘만이 아니라 칼슘과 의미 있게 포함될 수 없는 다른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었습니다( Asemi, 2017 ; Azami, 2017 (시험 절차 불분명); de Souza, 2006 (고용량 칼슘과 아스피린); Diogenes, 2011 (고혈압 데이터 없음); MacDonald, 1986 (방법 및 결과 없음); Mosalanejad, 2016 (두 그룹 모두 칼슘, 비타민 D 용량은 다름); Nooripour, 2016 (두 그룹 모두 칼슘, 비타민 D는 다름); Souza, 2014 (고용량 칼슘과 아스피린)). 7개 연구에서 위약은 없었고 칼슘은 다른 활성 개입과 비교되었을 수 있습니다( Anu 2017 ; Knight 1992 ; Montanaro 1990 ; Subprabha 2017 ; Suzuki 1996 ; Wanchu 2001 ; Zheng 2000 ). 3개 연구에서 개입의 목적은 모성 고혈압과 관련이 없었고( Ettinger 2011 ; Herrera 2006a ; Karamali 2016 ), 나머지 3개 연구에서는 참여자가 적격하지 않았습니다(예: 모집 시 이미 고혈압이 있었음)(NCT00000543 ; S‐Ramos 1995 ; Tamas 1997 ). Hofmeyr 2015 에서 여성은 모집 당시 임신 중이 아니었습니다. 한 연구는 용량 비교( Martin 2017 )였고, 한 연구는 고용량 칼슘(1g)과 비타민 D( Samimi 2016 )를 조사했으며, 또 다른 연구는 칼슘 보충제의 장용 코팅이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Roth 2014 ).

포함된 연구에 대한 편향 위험

포함된 연구의 특성을 참조하세요 .그림 2그리고그림 3.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2.jpg 입니다.

'편견 위험' 요약: 포함된 각 연구에 대한 각 편향 위험 항목에 대한 검토 저자의 판단입니다.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3.jpg 입니다.

'편견 위험' 그래프: 검토 저자가 편향 위험 항목 각각에 대해 내린 판단을 포함된 모든 연구에서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배당

검토에 포함된 연구의 대부분은 편향 위험이 낮은 것으로 평가한 시퀀스 생성 및 할당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16건의 시험은 난수표, 컴퓨터 생성 또는 중앙 무작위화 방법을 사용하여 무작위화 시퀀스를 생성했습니다. 9건의 시험은 시퀀스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고 2건의 연구는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Marya 1987 ; Rogers 1999 ). 무작위화 시점에 할당을 숨기는 방법은 16건의 시험에서 편향 위험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9건의 시험에서 편향 위험이 불분명했으며, 2건의 시험에서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눈부심

시험이 위약 대조였고, 치료를 제공하는 여성과 직원이 치료 할당에 대해 맹검인 것이 분명했을 때, 우리는 성과 편향 위험이 낮은 것으로 연구를 평가했습니다. 이는 14개 시험에 적용되었습니다. 6개 시험에서 맹검을 달성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았고, 여성이나 직원이 치료 그룹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7개 시험이 성과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탐지 편향의 경우, 우리는 15개 연구가 편향 위험이 낮고, 6개 연구가 편향 위험이 불분명하고, 6개 연구가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불완전한 결과 데이터

6개 연구에서 무작위 배정 후 제외 또는 추적 손실이 발생하여 이 연구가 탈락 편향 위험이 높다고 생각했습니다. 7개 연구에서 샘플 손실이 설명되지 않았거나 추적 손실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신할 수 없었습니다. 나머지 14개 시험에서 추적 손실이 낮고 그룹 간에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에 이 연구들은 편향 위험이 낮다고 평가했습니다.

 

선택적 보고

16건의 시험에서 우리는 결과 보고 편향의 위험을 평가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했습니다. 많은 시험에서 프로토콜이 공개되지 않았거나 예상 결과를 완전히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11건의 시험을 결과 보고 편향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편견의 다른 잠재적 소스

우리는 8건의 시험을 다른 편향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는데, 주로 방법이 매우 형편없이 설명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다른 8건의 시험을 다른 편향의 위험이 높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고, 11건의 연구에 대해서는 불확실했는데, 이는 종종 보고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주요 비교에서의 편향의 전반적인 위험

 

고용량 칼슘 보충

전반적인 편향 위험에 대해, 모든 시험은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시험이었습니다. 모든 시험에서 사전 지정된 결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모든 결과가 일관되게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일부 시험에서 편향을 보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L-Jaramillo 1990 에서는 각 그룹에 할당된 숫자의 큰 불일치가 설명되지 않았습니다. Kumar 2009 의 경우, 저희는 저자에게 연락하여 연구에서 발생한 그룹 크기의 불균형을 명확히 했습니다. 그들은 설명을 제공했지만( 포함된 연구의 특성 에 대한 참고 사항 참조 ), 불균형은 편향 가능성을 증가시킵니다.

일부 시험에서는 특정 결과에 대한 개별 분모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결과가 전체 그룹에서 측정되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한 경우, 우리는 분모를 그에 맞게 조정했습니다. 다른 측면에서는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이 타당해 보입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

우리는 이 연구들 중 4개는 편향 위험이 낮은 것으로 간주했고( Bassaw 1998 ; Herrera 1998 ; Herrera 2006 ; Rumiris 2006 ), 6개는 위약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난수 생성 및 할당 은폐가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Almirante 1998 ; Cong 1995 ; Li 2000 ), 연속 시리즈를 사용했거나( Marya 1987 ), 개방형 봉투 방법을 사용했거나( Rogers 1999 ), '난수 표'를 사용했다고 보고했지만 할당 은폐에 대한 보고는 없었기 때문에( Taherian 2002 )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개입의 효과

보다:표 1

주요 비교를 위해

임신 중 고혈압 장애 및 관련 문제 예방을 위한 위약과 비교한 칼슘 보충제
환자 또는 인구: 임산부
환경: 외래 환자
개입: 고용량 칼슘(≥ 1g/일)
비교: 위약
결과 예시 비교 위험* (95% CI) 상대적 효과
(95% CI)
참가자 수
(연구)
증거의 질
(GRADE)
댓글
가정된 위험 상응하는 위험
칼슘 없음 칼슘
전산증 전반적인 RR 0.45 (0.31~0.65)
RR 0.36 (0.20~0.65)
RR 0.22 (0.12~0.42)
15,730
(13)
10,678
(8)
587
(5)
⊕⊕⊝⊝
낮음 1
⊕⊕⊝⊝
낮음 1
⊕⊕⊝⊝
낮음 1
 
1000당 65 1000당 29명
(20~42명)
저칼슘 식단
1000당 57개 1000당 21명
(11~37명)
고위험 여성
1000당 176 1000당 38명
(21~74명)
조산아 ​​출산 전반적인 RR 0.76 (0.60~0.97) 15,275
(11)
⊕⊕⊝⊝
낮음 1
 
1000당 104개 1000당 79명
(62~101명)
HELLP 증후군 1000당 1개 1000당 3개 RR 2.67 (1.05~6.82) 12,901
(2)
⊕⊕⊕⊕
높음
 
GRADE 워킹그룹 증거 등급
고품질: 추가 연구가 효과 추정치에 대한 우리의 확신을 바꿀 가능성은 매우 낮음.
중간 품질: 추가 연구가 효과 추정치에 대한 우리의 확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으며 추정치를 변경할 수 있음.
낮은 품질: 추가 연구가 효과 추정치에 대한 우리의 확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추정치를 변경할 가능성이 높음.
매우 낮은 품질: 우리는 추정치에 대해 매우 불확실함.

1 이질성 및 연구 효과의 부족으로 인해 2단계 하향 조정(‐2)

CI: 신뢰 구간
HELLP: 용혈, 간 효소 증가 및 혈소판 감소
RR: 위험 비율

 

고용량 칼슘 보충제 대 위약

메타분석에 포함된 13개 연구에서, 자간전증, 고혈압, 조산 및 출생 체중 2500g 미만이라는 4가지 결과에 대해 유의미한 결과 이질성이 발생했습니다. 이질성을 설명하는 요인은 시험 참여 시 모성 위험, 식이 칼슘 및 시험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규모 시험은 대규모 시험보다 효과 크기가 더 큽니다. 그러나 모든 소규모 시험에서 고위험 여성을 모집했기 때문에 이는 위험 상태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질성을 고려하여 이 4가지 결과에 임의 효과 모형을 사용했습니다. 민감도 분석의 일환으로, 탈락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연구( L-Jaramillo 1989 )에서 데이터를 제거했습니다.

다음의 2차 결과에 대한 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산모의 7일 이상 병원 체류; 유산; 신생아가 7일 이상 집중 치료실에 입원; 사망 또는 심각한 신생아 이환; 소아 장애.

 

1차 결과

 

(1) 단백뇨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고혈압

결과는 전산증의 경우와 유사한 패턴을 따릅니다(아래 참조). 전반적으로 위약과 비교하여 칼슘 보충제를 복용한 고혈압 여성이 적었습니다(12건의 시험, 15,470명의 여성: 평균 위험 비율(RR) 0.65, 95% 신뢰 구간(CI) 0.53~0.81; 이질성: Tau² = 0.06; Chi² = 42.40, df = 11, P < 0.0001; I² = 74%;분석 1.1). RR 감소는 소규모 시험, 즉 여성이 400명 미만인 시험에서 가장 컸습니다(7개 시험, 여성 675명: 평균 RR 0.38, 95% CI 0.21~0.68; 이질성: Tau² = 0.38; Chi² = 18.26, df = 6, P = 0.006; I² = 67%; 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6.20, df = 1(P = 0.01), I² = 83.9%;분석 3.1.1), 기준 식이 칼슘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7개 시험, 10,418명의 여성: 평균 RR 0.44, 95% CI 0.28~0.70; 이질성: Tau² = 0.26; Chi² = 39.35, df = 6; 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8.78, df = 2 (P = 0.01), I² = 77.2%;분석 1.1.2). 이러한 분석에 대한 비대칭 깔때기 플롯은 소규모 연구 효과 또는 출판 편향으로 인해 치료 효과가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그림 4,그림 5,그림 6).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4.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2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과 고혈압 위험 간의 관계, 결과: 2.1 고혈압(단백뇨 유무와 관계 없음).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5.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1 고혈압(단백뇨 유무와 관계 없음).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6.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3 연구 표본 크기에 따른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3.1 고혈압(단백뇨가 있거나 없음).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 고혈압(단백뇨 유무에 관계 없음).

분석

비교 3 연구 표본 크기에 따른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 고혈압(단백뇨 유무에 관계 없음).

 

(2) 전산증

전반적으로, 전산증의 평균 위험이 감소했습니다(13건의 시험, 15,730명의 여성: RR 0.45, 95% CI 0.31~0.65, 낮은 품질의 증거; 이질성: Tau² = 0.20; Chi² = 40.31, df = 12 (P < 0.0001; I² = 70%)).분석 1.2. RR의 감소는 전산증 위험이 높은 여성에서 가장 컸습니다(5개 시험, 여성 587명: 평균 RR 0.22, 95% CI 0.12~0.42; 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6.81, df = 1, P = 0.009, I² = 85.3%;분석 2.2). 충분한 식이 칼슘을 섭취한 하위 그룹에서는 전산증이 감소하지 않았지만 기준 칼슘 섭취량이 낮은 그룹에서는 감소했습니다(8건의 시험, 10,678명의 여성: 평균 RR 0.36, 95% CI 0.20~0.65; 이질성: Tau² = 0.44; Chi² = 29.35, df = 7, P = 0.0001; I² = 76%;분석 1.2). 이러한 분석에 대한 비대칭 깔때기 플롯은 소규모 연구 효과 또는 출판 편향으로 인해 치료 효과가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그림 7,그림 8). 또한 작은 표본 크기와 큰 표본 크기를 가진 연구 간에 하위 그룹 차이가 있다는 증거가 있었습니다(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15.20, df = 1(P < 0.0001), I² = 93.4%).분석 3.2.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7.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2 전산증.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8.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2 임신 중 고혈압 위험에 따른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2.2 전산증.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2 전산증.

분석

비교 2 임신 중 고혈압 위험에 따른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2 전산증.

분석

비교 3 연구 표본 크기에 따른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2 전산증.

식이 칼슘 섭취량과 연구 규모에 따라 하위 그룹화했을 때, 효과 크기는 연구 규모와 가장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소규모 연구에서 저칼슘 시험의 경우 RR 0.21, 적정 칼슘 시험의 경우 RR 0.26, 대규모 연구에서는 각각 RR 0.63, RR 0.70).분석 4.1; 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10.28, df = 4 (P = 0.04), I² = 61.1%)그림 9.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09.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4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과 연구 표본 크기(미지정)에 따른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4.1 전산증.

분석

비교 4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과 연구 표본 크기(미지정), 결과 1 전산증에 따른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단 하나의 연구에만 전산증 위험이 높고 충분한 식이 칼슘을 섭취하는 여성이 포함되었습니다( Villar 1990 ). 의미 있는 통계적 분석을 하기에는 숫자가 너무 적었습니다(칼슘을 섭취한 90명 중 0명의 전산증 환자와 위약을 섭취한 88명 중 3명의 환자).

 

(3) 조산아 출산

칼슘 보충은 전반적으로 조산아 출산의 평균 위험을 감소시켰습니다(11건의 시험, 15,275명의 여성: RR 0.76, 95% CI 0.60~0.97; 낮은 품질의 증거; 이질성: Tau² = 0.05; Chi² = 20.04, df = 8(P = 0.01); I² = 60%;분석 1.3), 그리고 전산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여성들 사이에서 4개의 소규모 시험에 모집되었습니다(568명의 여성: 평균 RR 0.45, 95% CI 0.24~0.83; 이질성: Tau² = 0.00; Chi² = 1.73, df = 2, P = 0.42; I² = 0%; 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3.48, df = 1 (P = 0.06), I² = 71.3%;분석 2.3). 그러나 이 감소는 2500g 미만으로 태어난 아기의 신생아 고치료 입원 감소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분석에 대한 비대칭 깔때기 플롯은 소규모 연구 효과 또는 출판 편향으로 인해 치료 효과가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그림 10,그림 11,그림 12). 또한 작은 표본 크기와 큰 표본 크기를 가진 연구 간에 하위 그룹 차이가 있다는 증거가 있었습니다(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4.90, df = 1(P = 0.03), I² = 79.6%,분석 3.3).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10.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3 조산.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11.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2 임신 중 고용량 칼슘 보충을 일상적으로 하는 것과 고혈압 위험 간의 관계, 결과: 2.3 조산.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입니다. 객체 이름은 nCD001059-AFig-FIG12.jpg 입니다.

비교를 위한 깔때기 모양 도표: 3 연구 표본 크기에 따른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3.3 조산.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3 조산.

분석

비교 2 임신 중 고용량 칼슘 보충의 일상적 투여와 고혈압 위험, 결과 3 조산.

분석

비교 3 연구 표본 크기에 따른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3 조산.

 

(4)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의 RR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는 없었습니다(4개 시험, 여성 13,406명: RR 1.05, 95% CI 0.94~1.18; 이질성: Chi² = 2.83, df = 3(P = 0.42); I² = 0%;분석 1.4).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4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5)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사산이나 병원에서 퇴원하기 전 사망한 아기의 RR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는 없었습니다(11건의 시험, 여성 15,665명: RR 0.90, 95% CI 0.74~1.09; 이질성: 카이제곱근 = 1.46, df = 5(P = 0.92); I² = 0%;분석 1.5).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5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2차 결과

 

(6) 산모 사망 또는 중증 질환

위약과 비교했을 때 칼슘 보충제를 복용한 여성은 산모 사망이나 심각한 질병의 위험이 감소했습니다(4건의 시험, 여성 9732명: RR 0.80, 95% CI 0.66~0.98).분석 1.6). 나머지 세 가지 시험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이벤트가 하나의 시험에만 국한되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WHO 2006 ).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6 산모 사망/중증 이환.

 

(7) 태반 박리

이 결과를 보고한 5건의 시험에서 그룹 간에 명확한 차이는 없었습니다(여성 14,336명: RR 0.86, 95% CI 0.55~1.34; 이질성: Chi² = 0.91, df = 2(P = 0.63); I² = 0%;분석 1.7).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7 태반 조기 박리.

 

(8) 제왕절개

칼슘군 여성의 경우 제왕절개율이 감소했습니다(8건의 시험, 여성 15,234명: RR 0.95, 95% CI 0.89~1.02; 이질성: Chi² = 5.21, df = 7(P = 0.63); I² = 0%;분석 1.8), 그러나 상한 신뢰 한계는 효과가 없는 선을 넘어섰습니다.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8 제왕 절개.

 

(9) *단백뇨증

단 하나의 시험에서만 단백뇨가 보고되었고( WHO 2006 ), 그룹 간에 전체적인 차이는 없었습니다(여성 8312명: RR 1.04, 95% CI 0.86~1.26;분석 1.9).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9 단백뇨(단백뇨가 없는 임신성 단백뇨).

 

(10) *시험 저자가 정의한 심각한 전산증

심각한 전산증을 보고한 시험은 단 하나뿐이었습니다( WHO 2006 ). 다시 말하지만, 두 그룹 간에 명확한 차이는 없었습니다(한 시험, 8302명의 여성: RR 0.74, 95% CI 0.48~1.15;분석 1.10).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0 중증 전산증.

 

(11) *간질

두 개의 가장 큰 시험에서 자간전증이 보고되었습니다( CPEP 1997 ; WHO 2006 ) 및 Kumar 2009. 그룹 간에 명확한 차이는 없었습니다(3개 시험, 여성 13,425명: RR 0.73, 95% CI 0.41~1.27;분석 1.11).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1 자간전증.

 

(12) *HELLP증후군

두 개의 가장 큰 연구에서만 HELLP 증후군이 보고되었습니다( CPEP 1997 ; WHO 2006 ). RR은 위약과 비교하여 칼슘 보충제를 할당받은 여성의 경우 더 높았습니다(두 가지 시험, 12,901명의 여성: RR 2.67, 95% CI 1.05~6.82; 고품질 증거; 이질성: Chi² = 0.19, df = 1(P = 0.66); I² = 0%;분석 1.12).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2 HELLP 증후군.

 

(13) *산모 중환자실 입원

영어: 단 하나의 시험에서만 중환자실 입원이 보고되었습니다( WHO 2006 ). 그룹 간에 명확한 차이는 없었습니다(한 시험, 8312명의 여성: RR 0.84, 95% CI 0.66~1.07;분석 1.13).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3 중환자실 입원.

 

(14) *모성사망

단 하나의 시험에서만 산모 사망이 보고되었습니다( WHO 2006 ). 어느 그룹에서도 사건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칼슘 그룹에서 1건, 위약 그룹에서 6건의 사망이 발생했습니다(한 시험, 8312명의 여성: RR 0.17, 95% CI 0.02~1.39;분석 1.14).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4 산모 사망.

 

(15) 저체중아(출생체중 2500g 미만)

칼슘 그룹의 여성은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아이를 가질 위험이 낮았습니다(9건의 시험, 14,883명의 여성: 평균 RR 0.85, 95% CI 0.72~1.01; 이질성: Tau² = 0.02; Chi² = 9.93, df = 5(P = 0.08); I² = 50%;분석 1.15), 전반적인 효과 추정치는 효과가 없다는 선을 조금 넘었습니다.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5 저체중 출생(출생 체중 < 2500g).

 

(16) 태아기 태아 연령에 비해 작은 신생아

태아 연령에 비해 작게 태어난 아기의 RR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는 없었습니다(4건의 시험, 여성 13,615명: RR 1.05, 95% CI 0.86~1.29; 이질성: Chi² = 2.74, df = 3(P = 0.43); I² = 0%;분석 1.16).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6 시험 저자가 정의한 대로 태아 연령에 비해 작은 신생아.

 

(17) 소아 수축기 혈압 > 95백분위수

한 시험에서는 자궁 내에 있는 동안 모집된 어린이의 하위 집단을 어린 시절에 평가했습니다( Belizan 1991 ). 약 7세가 되었을 때, 95번째 백분위수보다 높은 이완기 혈압이 감소했습니다(514명의 여성: RR 0.59, 95% CI 0.39~0.91;분석 1.17). 원래 연구에서 기준 칼슘 섭취량은 낮았지만(연구의 처음 4개월 동안 평가한 샘플에서 칼슘 그룹에서 평균 646mg, 표준 편차(SD) 396, 위약 그룹에서 평균 642mg, SD 448), 추적 조사한 그룹은 공립 병원의 580명이 아닌 사립 병원의 614명의 여성 중 한 명이었습니다. 이들의 식이 칼슘 섭취량은 평균과 달랐을 수 있습니다(즉, 더 부유한 여성일수록 더 높을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이 연구의 이 부분에서 여성의 기준 칼슘 상태를 분류할 수 없습니다.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7 어린 시절 수축기 혈압 > 95번째 백분위수.

Crowther 1999 에서 어머니와 자녀에 대한 추적 조사가 4~7년 후에 실시되었고(원래 참가자의 45%) Hiller 2007 에 보고되었습니다 . 소아 혈압은 연속 변수로 보고되었습니다. 임신 중 칼슘 보충제는 임신 중 고혈압이 있는 여성의 자녀의 평균 혈압을 낮출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저희는 저자에게서 다음 업데이트에 포함하기에 적합하거나 사용 가능할 수 있는 추가 미공개 데이터를 찾았습니다.

영어 : CPEP 1997 의 어머니와 영아에 대한 제한적인 추적 조사에서 칼슘 보충군에서 2세 때 수축기 혈압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평균 95.4mmHg, SD 7.6, n = 35 대 100.2, 7.9, n = 18). 우리는 이 검토에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았는데, 추적률이 낮고 불평등했기 때문입니다(참여 초대를 받은 497명 중 35명과 18명). 이는 결과의 신뢰성을 제한합니다. CPEP 1997 의 또 다른 보고서 ( Hatton 2003 )에서 칼슘 보충군의 자녀에서 2세 때 수축기 혈압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는 추적 조사 손실이 높기 때문에 이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감비아 시험에 대한 후속 보고서( Jarjou 2004 )에서는 5세에서 10세 사이에 원래 시험 대상 자녀의 64%에서 수축기 혈압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습니다. 이 분석은 만삭아로 태어난 어린이에게만 국한되었고 관련 데이터는 메타분석에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18) 소아 이완기 혈압 > 95백분위수

데이터는 단 하나의 연구( Belizan 1991 ) 에서만 사용 가능했습니다 .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습니다.분석 1.18).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8 유년기에 이완기 혈압 > 95번째 백분위수.

 

(19) 소아의 치아우식증

한 연구( Belizan 1991 )에서, 등록된 사람들의 하위 집단에서 12세에 치아우식증을 평가했습니다. 이 하위 집단이 어떻게 무작위로 선정되었는지는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이 검토의 사후 결과이므로 데이터는 주의해서 해석해야 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치아우식증이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치아우식증은 적어도 1개의 충치, 충전 또는 결손 치아로 정의됩니다(1건의 시험, 195명의 어린이: RR 0.73, 95% CI 0.62~0.87;분석 1.19).

분석

비교 1 임신 중 기준 식이 칼슘을 통한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19 소아의 치아우식증.

(20) 미리 지정되지 않은 결과(비교 5)

WHO 2006 하위 연구에서는 32주차에 자궁이나 배꼽 동맥 저항 지수 또는 태아 성장의 초음파 추정치에 칼슘 보충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35주차에 혈소판 수, 요산 또는 소변 단백질/크레아티닌 비율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했습니다.

 

민감도 분석

이 분석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 연구는 탈락 편향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L-Jaramillo 1989 ). 고혈압(단백뇨가 있거나 없음)에 대한 분석에서 이 연구 데이터를 제거합니다(분석 1.1;분석 2.1;분석 3.1); 전산증(분석 1.2;분석 2.2;분석 3.2;분석 4.1); 병원에서 퇴원하기 전 사산 또는 사망 (분석 1.5;분석 2.5;분석 3.5); 그리고 저체중 출생아(분석 1.15)는 전반적인 효과 추정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거나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분석

비교 2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과 고혈압 위험, 결과 1 고혈압(단백뇨 유무에 관계 없음).

분석

비교 2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제 복용과 고혈압 위험, 결과 5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분석

비교 3 연구 표본 크기에 따른 임신 중 일상적인 고용량 칼슘 보충, 결과 5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공동개입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저용량 칼슘 보충과 칼슘 보충 없음

우리는 2234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9개 연구를 포함했습니다. 편향 위험은 다양했으며, 연구에는 공동 개입이 있는 연구와 없는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다음의 2차 결과에 대한 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산모 사망 또는 중증 이환율; 단백뇨; HELLP 증후군; 중환자실 입원; 산모의 7일 이상 병원 체류: 신생아가 7일 이상 중환자실에 입원; 사망 또는 중증 신생아 이환율; 소아 장애; 소아기에 수축기 혈압이 95백분위수 이상; 소아기에 확장기 혈압이 95백분위수 이상; 소아기의 충치.

 

1차 결과

 

(1) 단백뇨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고혈압

5개 연구(665명의 여성, RR 0.53, 95% CI 0.38~0.74; 이질성: Chi² = 2.55, df = 4(P = 0.64); I² = 0%; 하위 그룹 차이 검정: Chi² = 2.11, df = 2(P = 0.35), I² = 5.2%;)에서 칼슘 보충은 고혈압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분석 6.1), 칼슘 보충제만을 섭취한 연구 3건(여성 558명, RR 0.57, 95% CI 0.39~0.82)과 칼슘과 리놀레산을 함께 섭취한 연구 1건(여성 48명, RR 0.20, 95% CI 0.05~0.82)을 포함합니다.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제(< 1 g/일)와 보조제 복용 여부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1 고혈압(전산증 여부와 무관).

 

(2) 전산증

저용량 칼슘 보충으로 전산증이 감소했습니다(9개 연구, 여성 2234명, RR 0.38, 95% CI 0.28~0.52; I² = 0%;분석 6.2). 감소는 다음 하위 그룹에서도 일관적이었습니다. 칼슘 단독(4개 연구, 980명 여성, RR 0.36, 95% CI 0.23~0.57); 칼슘 플러스 리놀레산(2개 연구, 134명 여성, RR 0.23, 95% CI 0.09~0.60); 칼슘 플러스 비타민 D(2개 연구, 1060명 여성: RR 0.49, 95% CI 0.31~0.78; 1060명 여성; I² = 17%) 및 편향 위험이 낮은 칼슘 플러스 항산화제에 대한 한 시험(60명 여성, RR 0.24, 95% CI 0.06~1.01). 하위 그룹 차이에 대한 검정: Chi² = 2.55, df = 3(P = 0.47), I² = 0%.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제 복용 또는 단독 복용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2 전산증.

 

(3) 조산아 출산

전반적으로, 다른 보충제와 함께 칼슘을 섭취했을 때 조산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습니다(6개 연구, 여성 1290명: 평균 RR 0.83, 95% CI 0.34~2.03; I² = 64%;분석 6.3). 칼슘 보충만을 실시한 한 연구의 실험군에서는 조산이 감소했습니다(422명의 여성, 평균 RR 0.40, 95% CI 0.21~0.75;분석 6.3), 그러나 칼슘 보충제만을 사용한 다른 세 연구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출판 편향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칼슘과 비타민 D의 경우, 보충제를 사용하면 조산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세 연구, 760명의 여성: RR 1.59, 95% CI 1.03~2.45; I² = 0%;분석 6.3).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제(< 1 g/일)와 보조 보충제의 유무,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3 조산.

 

(4) 신생아 중환자실(ICU) 입원

칼슘 보충만을 실시한 한 시험에서만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이 보고되었으므로 칼슘군의 감소는 출판 편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여성 422명: RR 0.44; 95% CI 0.20~0.99;분석 6.4).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제 복용 여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4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5)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사산이나 병원에서 퇴원하기 전 아기 사망의 RR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는 없었습니다(5개 시험, 여성 1025명: RR 0.48, 95% CI 0.14~1.67; 이질성: Chi² = 0.99, df = 4(P = 0.91); I² = 0%;분석 6.5).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제(< 1 g/일)와 보조 보충제의 병용 또는 단독 투여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5 퇴원 전 사산 또는 사망.

 

2차 결과

 

(6) 태반 박리

3개 연구에서 이 결과가 보고되었으며, 이벤트 발생률이 의미 있는 분석에는 너무 작았습니다(참가자 160명: RR 1.00, 95% CI 0.14~6.90;분석 6.6).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제 복용 또는 단독 복용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6 태반 박리.

 

(7) 제왕절개

두 연구에서 칼슘과 리놀레산을 병용한 제왕절개 수술의 효과는 감소했습니다(134명의 여성: 평균 RR 0.55, 95% CI 0.35~0.87, 이질성: Tau² = 0.00, Chi² = 0.03, df = 1(P = 0.86), I² = 0%).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효과가 없었습니다(4개 연구, 521명의 여성, 평균 RR 0.73, 95% CI 0.46~1.15, 이질성: Tau² = 0.13, Chi² = 7.48, df = 3(P = 0.06), I² = 60%).분석 6.7.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제(< 1 g/일)와 보조제 복용 또는 단독 복용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7 제왕 절개.

 

(8) 중증 전산증

4건의 시험에서 심각한 전산증이 보고되었으며 그룹 간에 명확한 차이는 없었습니다(참가자 246명: RR 0.40, 95% CI 0.14~1.15; I 2 = 0%;분석 6.8).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제 복용 또는 단독 복용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8 중증 전산증.

 

(9) 자간전증

칼슘 보충제만을 투여한 한 시험에서 자간전증이 보고되었습니다. 그룹 간에는 명확한 차이가 없었습니다(여성 168명: RR 0.17, 95% CI 0.01~4.06;분석 6.9).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제 복용 또는 단독 복용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9 자간전증.

 

(10) 유산(미리 지정되지 않음)

임신 8~12주에 시작한 칼슘과 항산화제에 대한 소규모 시험에서 예상치 못한 발견은 칼슘과 항산화제 그룹에서 유산이 감소했다는 것입니다(여성 60명: RR 0.06, 95% CI 0.00~1.04;분석 6.10).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 보충제의 유무,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10 유산.

 

(11) 저체중아(출생체중 2500g 미만)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아기를 가질 위험은 칼슘 보충제와 리놀레산을 섭취했을 때 감소했습니다(연구 2건, 여성 134명: RR 0.20, 95% CI 0.05~0.88; 이질성: Chi² = 0.00, df = 1 (P = 1.00); I² = 0%;분석 6.11).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제 유무,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11 저체중 출생(출생 체중 < 2500 g).

 

(12) 태아기 태아 연령에 비해 작은 신생아

태아가 태아 연령에 비해 작게 태어날 위험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은 없었습니다(4건의 시험, 여성 854명: RR 0.81, 95% CI 0.54~1.21; 이질성: Chi² = 2.06, df = 3(P = 0.56); I² = 0%;분석 6.12).

분석

비교 6 저용량 칼슘 보충(< 1 g/일)과 보조제 복용 또는 단독 복용 대 위약 또는 치료 없음, 결과 12 태아 연령에 비해 작은 신생아.

 

민감도 분석

우리는 할당 은폐가 부적절하거나 이탈 편향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연구, 또는 둘 다를 제외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5개의 연구는 할당을 은폐하지 않았거나( Marya 1987 ), 이탈 수준이 높았거나( Asemi 2012 ; Asemi 2016 ; Bassaw 1998 ), 둘 다였으며( Rogers 1999 ) 이를 제거해도 의미 있는 분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향후 업데이트에서 추가 연구가 추가되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할 것입니다.

 

고용량(=/> 1 g) 대 저용량(< 1 g) 칼슘 보충제(26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 실험)

26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단일 시험만 이 용량 비교에 포함되었으며, 사전 지정된 결과 중 4가지에 대해서만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고용량 그룹에서 저용량 그룹에 비해 전산증 위험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상대 위험도 0.42, 95% CI 0.18~0.96;분석 7.1); 다른 결과에 대해서는 결과가 같은 방향이었지만 그룹 간에 명확한 차이를 입증할 만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조산 : RR 0.31, 95% CI 0.09~1.08,분석 7.2자간전증 : RR 0.32, 95% CI 0.07~1.53,분석 7.3사산 : RR 0.48, 95% CI 0.13~1.83,분석 7.4).

분석

비교 7 고용량(=/> 1 g) 대 저용량(< 1 g) 칼슘 보충제, 결과 1 전산증.

분석

비교 7 고용량(=/> 1 g) 대 저용량(< 1 g) 칼슘 보충제, 결과 2 조산.

분석

비교 7 고용량(=/> 1 g) 대 저용량(< 1 g) 칼슘 보충제, 결과 3 자간전증.

분석

비교 7 고용량(=/> 1 g) 대 저용량(< 1 g) 칼슘 보충제, 결과 4 사산.

논의

주요 결과 요약

 

고용량 칼슘 보충

저희의 메타분석에 따르면, 최소 1g의 칼슘을 보충한 칼슘은 위약과 비교하여 전산증 위험을 약 절반으로 줄였으며, 신뢰 구간은 실제 효과를 35%에서 69% 사이의 위험 감소로 추정했습니다. 적절한 양의 칼슘을 섭취한 여성은 신뢰 구간이 효과가 없는 선을 넘은 유일한 하위 그룹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여성 하위 그룹의 점 추정치는 38%의 위험 감소였습니다. 가장 큰 위험 감소는 전산증 위험이 높은 여성(가변적으로 정의됨; 78% 감소)의 경우였습니다. 깔때기 플롯 비대칭이 소규모 연구 효과 또는 출판 편향을 시사했기 때문에 메타분석은 과대평가되었을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연구에서 전산증의 8% 감소는 효과가 없는 선을 넘었습니다.

임신성 고혈압 위험도 35% 감소했으며, 저칼슘 식단을 하는 여성에게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이 데이터는 소규모 연구 효과나 출판 편향의 가능성 때문에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복합적인 결과인 '산모 사망이나 심각한 질병'의 위험은 칼슘 보충제를 섭취하면 20% 감소했고 조산 위험은 24% 감소했습니다.

용혈, 간 효소 상승 및 혈소판 감소(HELLP) 증후군의 위험은 증가했지만, 사건의 절대 수는 낮았습니다(2.5/1000 대 0.9/1000). 퇴원 시 다른 관련 결과에 대한 명확한 효과는 없었습니다. 다른 결과에 대한 칼슘 보충제와 위약 사이에 명확한 차이는 없었지만, 여러 결과에 대한 신뢰 구간은 통계적 유의성에 접근했습니다. 예를 들어, 제왕 절개의 경우 칼슘 보충제와 관련된 위험이 약간(5%) 감소할 수 있습니다. 사산 및 퇴원 전 사망의 경우, 점 추정치는 10% 감소이지만, 효과가 없거나 위험이 약간 증가할 가능성은 배제되지 않았습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

저용량 칼슘 보충제만을 사용한 결과는 고용량 보충제를 사용한 소규모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며, 자간전증이 약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편향 위험이 낮고 높은 연구 간에 일관되었습니다. 단백뇨가 있거나 없는 고혈압은 약 50% 감소했습니다. 칼슘과 다른 개입의 결과는 칼슘만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했지만, 공동 개입이 자간전증에 미치는 영향에 기여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항산화제의 경우 항산화제가 자간전증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낮습니다( Rumbold 2008 ). 비타민 D의 경우 자간전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거가 아직 충분하지 않습니다( De‐Regil 2012 ). 리놀레산의 경우에도 증거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저용량 칼슘 보충제 군에서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과 저체중 출생아가 감소한 것 외에는 다른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1~2건의 연구에서만 보고되었으며, 이는 보고 편향을 시사합니다.

 

고용량 칼슘 보충제 대 저용량 칼슘 보충제

한계가 있긴 했지만, 한 소규모 연구에서는 매일 2g의 칼슘을 섭취하면 매일 500mg의 칼슘을 섭취하는 경우에 비해 전산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거의 전반적인 완전성 및 적용성

우리는 전산증 위험을 줄이는 측면에서 고용량 칼슘 보충제를 지지하는 증거가 완전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저칼슘 식단을 하는 여성과 고위험 여성에게 그렇습니다. 사망, 중증 전산증, 자간전증 또는 중환자실 입원 위험에 개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는 없었지만 이러한 결과에 대한 점 추정치는 칼슘 보충제를 선호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에 대한 적당한 감소는 여전히 가능합니다. 복합 결과 사망 또는 중증 이환율은 20%나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포함된 시험에서 부작용은 거의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두 시험에서 HELLP 증후군의 위험은 칼슘 보충으로 증가했습니다. 이 명백히 변칙적인 발견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임신 후반기에 칼슘을 보충하면 기저에 있는 전산증 과정이 아니라 혈압만 낮출 수 있다는 것입니다. 칼슘 그룹의 낮은 혈압은 전산증 진단을 줄이고, 따라서 임신을 단축하기 위한 의학적 개입을 줄여 전산증이 HELLP 증후군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시간을 더 많이 허용했을 수 있습니다( Hofmeyr 2007 ).

자궁 내 칼슘에 노출된 어린이의 장기 추적 조사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소아 수축기 고혈압과 치아 우식증을 평가했습니다. 이 두 가지 결과의 위험은 상당히 감소했지만, 후자의 효과는 어린이의 일부 하위 집단에서 관찰되었으며 이 연구는 원래 이 결과를 평가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는 입증이 필요합니다.

칼슘 보충제와 관련된 의료 자원 사용의 가능한 변화에 대한 정보는 없습니다. 임신성 고혈압과 자간전증이 감소하면 산전 방문이 줄어들고, 산전 입원이 줄어들고, 분만 유도가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포함된 시험은 이러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2018년 업데이트에는 매일 1g 미만의 칼슘(대부분 500mg~600mg)을 사용한 시험의 데이터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의 절반 이상이 편향 위험이 높았고 칼슘을 다른 보충제와 결합했습니다. 그러나 증거는 저용량 칼슘이 임신성 고혈압 장애를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저용량 연구의 결과는 불완전하며 더 큰 고품질 연구로 입증해야 합니다.

증거의 질

우리는 이질성과 연구 효과가 작기 때문에 고용량 칼슘 보충제가 전산증과 조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거가 낮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HELLP 증후군에 대한 증거가 고품질이라고 생각했습니다(참조표 1). 대규모 연구 하위 그룹의 증거 품질도 높았습니다.

일반적으로, 결과의 이질성은 연구 규모와 크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소규모 연구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습니다(참조).그림 4에게그림 12). 이러한 소규모 연구 효과는 출판 편향이나 기타 편향을 나타낼 수도 있고, 소규모 연구와 대규모 연구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소규모 연구는 고위험 여성을 모집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적어도 일부 이질성은 고위험 여성에게 칼슘이 더 큰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표본 크기와 관련된 이질성에 대한 이러한 데이터는 민감도 분석이 사후 분석이었고 표본 크기에 대한 차단점(400)이 임의적이었기 때문에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검토 프로세스의 잠재적 편견

우리는 연구 포함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정하고, 검토팀 구성원을 연구에 대한 결정에서 제외함으로써 검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향을 최소화하고자 했습니다. 사후 포함은 명확하게 식별되고, 잠재적 편향의 원인으로 인정됩니다.

다른 연구 또는 리뷰와의 동의 및 불일치

임신성 고혈압과 '산모 사망 및 심각한 이환율'에서 적당한 위험 감소에 대한 이러한 증거는 적절한 식이 칼슘 섭취와 낮은 식이 칼슘 섭취를 가진 인구 사이에서 이전에 확인된 큰 역학적 차이와 대조됩니다( Belizan 1980 ; Hamlin 1952 ; Hamlin 1962 ). 가능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식단에 함유된 칼슘은 다른 원인 요인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2. 임신 중반에 보충제 복용을 시작하면 효과가 너무 늦을 수 있습니다.

 

소아 고혈압 감소의 발견은 재현이 필요하지만, 확인된다면 공중 보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 연구( Belizan 1991 )에서 부분적인 추적 조사만을 기반으로 했지만, 이 발견은 다른 두 연구( CPEP 1997 ; Crowther 1999 ) 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추적 조사한 결과 와 관찰 연구( McGarvey 1991 ) 및 동물 연구( Bergel 2002 )에서도 뒷받침됩니다.

칼슘 보충제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 이는 복용량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노년기에 장기간 칼슘을 사용하면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연관성이 인과관계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Li 2012 ). 또한, 임신 중 여성이 1.5g의 칼슘 보충제를 복용한 감비아 연구의 2010년 간행물( Jarjou 2004 )에서 연구자들은 산후 여성의 골밀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들은 임신 중 고용량 칼슘이 장기간 저칼슘 식단에 대한 대사 적응을 역전시켜 중단 시 반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 발견은 선택된 추적 조사에 근거한 것이며 이전 가설과 반대이므로 전향적 연구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저자의 결론

실습에 대한 의미

임신 중 칼슘 보충제 사용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특히 식이 섭취량이 적거나 식이 섭취량이 높은 여성의 경우, 고용량 칼슘 보충제를 사용하면 고혈압, 전산증 및 조산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고(저품질 증거) 복합 결과인 '산모 사망 또는 중증 이환율'이 감소할 수 있다는 점(고품질 증거)을 고려해야 합니다. 고용량 칼슘 보충제에 국한되었던 이전 버전의 이 검토에 포함된 증거에 근거하여, 세계보건기구는 식이 섭취량이 낮은 여성의 경우 임신 중 1.5g~2g의 칼슘 복용량을 권장합니다( WHO 2011 ). 그러나 이 권장 사항은 저소득 국가에서 물류적 어려움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칼슘은 비교적 비싸고 정제가 크고 무겁습니다(탄산칼슘과 글리신을 20주 동안 공급하는 경우 약 1kg으로 매일 1.5g의 원소 칼슘 제공). 저소득 환경에서는 시행이 우선순위 충돌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업데이트된 검토에서는 낮은 칼슘 복용량의 효과에 대한 제한적인 데이터를 추가했는데, 이는 고용량 보충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실용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용혈, 간 효소 상승 및 혈소판 감소(HELLP) 증후군의 위험 증가는 절대 수치 면에서 작았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제한이 칼슘 보충과 관련된 사망 또는 중증 이환의 전반적인 감소보다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전산증 위험이 높은 여성을 대상으로 적절한 양의 칼슘을 섭취하도록 한 한 연구는 실제 적용을 위한 지침으로 사용하기에는 규모가 너무 작았습니다.

저용량 아스피린과 병용한 칼슘 보충제의 효과에 대한 증거(이 검토에 포함되지 않음)도 고려해야 합니다.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345 0 2024.04.01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1 25801 53 2024.11.04
공지 클릭만 해도 포인트 만렙! 도전 4536 72 2025.03.19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393 42 2025.01.21
473 잡담 후두암의 초기 증상과 원인, 대처 방법 완벽 가이드 581 0 2025.05.09
472 잡담 외이도염 초기증상과 원인, 두통 대처법 총정리 560 0 2025.05.09
471 잡담 장꼬임(장폐색) 증상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574 0 2025.05.09
470 잡담 소화불량 증상과 소화에 좋은 음식 540 0 2025.05.09
469 잡담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음식과 정상수치 가이드 573 0 2025.05.09
468 잡담 다들 제발제발제발 이 3개만 매일 해줘... 진짜 삶이 달라진다 file 555 0 2025.05.09
467 잡담 너무아파서 자다깼는데 근육통에 무슨약이 잘들어? 2 564 0 2025.03.19
466 잡담 약사가 실제로 먹고 효과 본 영양제 조합! 눈 피로, 근육통, 장 건강부터 암 예방까지 file 9925 0 2025.03.07
465 잡담 다이소 영양제 총정리: 가성비 좋은 제품 vs. 돈값 안 하는 제품 file 9857 0 2025.03.07
464 잡담 Vitamin B-Complex (Pure vs Thorne) 총평 1 file 9950 0 2025.03.05
463 잡담 장누수,피부트러블,두피염,무좀 다 말살시킴 1 9916 0 2025.03.05
462 잡담 영양제 26종 챙겨먹는 사람인데 9704 0 2025.03.05
461 잡담 레이 커즈와일 평소 사진.jpg file 9759 0 2025.03.05
460 잡담 여드름쟁이들 보시길 9727 0 2025.03.05
459 잡담 항산화제의 두얼굴 그리고 근육키우기 file 9907 0 2025.03.05
458 정보📰 OptiMSM Flake 와 Powder 차이에 관한 제품 설명 file 9743 0 2025.03.05
457 잡담 오메가3 ALA -> EPA DHA 전환률 3 file 9784 0 2025.03.05
456 잡담 다이소 건기식 철수는 진짜 약사들의 집단 이기주의다 file 9752 0 2025.03.05
455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4) file 9714 0 2025.03.05
454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3) file 10003 0 2025.03.05
453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2) file 9899 0 2025.03.05
452 정보📰 다이소 영양제 목록 (1) file 9853 0 2025.03.05
451 잡담 대한약사회에서 입장문 발표햇엇네 1 file 9851 0 2025.03.05
450 잡담 요즘 핫하다는 다이소 영양제 찐 약사가 리뷰 했던데 1 file 9783 0 2025.03.05
449 잡담 다이소 영양제 판매 근황 file 9793 0 2025.03.05
448 잡담 다이소에서 파는...영양제 종류 ㄹㅇ...jpg file 9765 0 2025.03.05
447 잡담 요즘 독감이 유행이라던데...🤧 명의가 알려주는 감기와 독감의 차이 #명의 #독감 #감기 file 347 0 2025.01.22
446 잡담 제로콜라 의학리뷰: 과연 문제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file 3256 0 2024.12.01
445 잡담 30대 이후 여성분들이 챙겨 드시면 극적인 삶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양제 file 3636 0 2024.12.01
444 잡담 진짜 지루성피부염 환자 이틀만에 완치시킨 영양제(구라아님,망간아님) 2 3839 0 2024.11.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