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아연은 생물체의 중요한 요소로, 많은 기본적인 생리적 과정(주로 300개 이상의 효소의 보조 인자)에 관여합니다. 이 양이온은 전사, 번역, DNA 복구, 세포의 증식과 성숙, 세포 사멸, 신경 발생, 시냅스 형성, 뉴런 성장 또는 산화적 및 질산화적 산화 환원 전위의 균형 유지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리뷰는 (Jurowski et al. 2014 및 Szewczyk et al. 2011 ) 참조). 아연 이온은 또한 면역 체계와 염증 과정의 조절에 역할을 하며, 일부 염증성 사이토카인(예: 인터루킨 6, IL-6; 종양괴사인자 α, TNFα; 또는 인터루킨 1β, IL-1β)의 수준에 영향을 미칩니다(Szewczyk et al. 2011 ; Gapys et al. 2014 ; Maes et al. 1994 , 1997 , 1999 ; Maret and Sandstead 2006 ; Maserejian et al. 2012 ; Ranjbar et al. 2013 ; Russo 2011 ). 또한 염증 상태에서는 Zn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onaventura et al. 2015 ).
뇌는 다른 장기와 비교했을 때 신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아연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뇌 내에서 Zn 2+ 는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해마, 편도체, 대뇌 피질, 후각구에 가장 풍부합니다(Frederickson 1989 , Frederickson et al. 2000 ; Paoletti et al. 2009 ). 아연 결핍은 중추 신경계(CNS) 기능, 특히 변연계와 대뇌 피질의 글루타메르그 전달에 변화를 초래한다는 증거가 있으며, 이는 우울증의 병인 발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리뷰는 (Mlyniec 2015 ) 참조). 아연 이온은 감마 아미노뷰티르산(GABA A )(Frederickson 1989 ; Marchetti 2014 ), N-메틸-D-아스파르트(NMDA)(Chen et al. 1997 ; Szewczyk et al. 2012 ), α-아미노-3-하이드록시-5-메틸-4-이소옥사졸프로피온산(AMPA) 및 카이네이트(KA) 수용체와 같은 다수의 리간드 및 전압 개폐 이온 채널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세로토닌 수용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Kalappa et al. 2015 ; Veran et al. 2012 ; Satała et al. 2015 ). Zn 2+ 는 특정 뇌 영역의 수용체에 영향을 미쳐 시냅스 가소성을 간접적으로 조절하고, 신경 신호 전달 및 기억과 학습과 같은 다른 과정을 조절합니다(Paoletti et al. 2009 ; Yu et al. 2013 ; Grabrucker 2014 ). 나아가 아연은 감정적 불안정성, 정신 운동 기능, 주의(Szewczyk et al. 2011 ; Swardfager et al. 2013a ), 과민성(Russo 2011 ) 및 기타 감정적, 실행적 및 인지적 기능(Szewczyk et al. 2011 ; Maes et al. 1994 , 1997 ; Swardfager et al. 2013a ; McLoughlin and Hodge 1990 ; Narang et al. 1991 ; Salari et al. 2015 )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많은 임상 연구에서 주요 우울 장애(MDD)의 과정에서 우울증 증상의 발달에 아연 결핍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Szewczyk et al. 2011 ; Gapys et al. 2014 ; Maes et al. 1994 , 1997 ; Russo 2011 ; Swardfager et al. 2013a , b ; McLoughlin and Hodge 1990 ; Narang et al. 1991 ; Gronli et al. 2013 ; Siwek et al. 2010 ; Nguyen et al. 2009 ; Schlegel-Zawadzka et al. 2000 ; Siwek et al. 2013 ). 이 중 일부는 환자의 아연 결핍과 약물 저항성 사이의 상관 관계를 보여줍니다(Ranjbar et al. 2013 ; Russo 2011 ; Swardfager et al. 2013a ). 또한 일부 항우울제가 혈액과 뇌 아연 수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도 입증되었습니다(Siwek et al. 2010 ; Nowak et al. 2005 ). 반면, 여러 사례 대조 시험에서 우울증 환자에서 아연 보충제의 항우울 활성이 확인되었습니다(Szewczyk et al. 2011 ; Maserejian et al. 2012 ; Ranjbar et al. 2013 ; Lehto et al. 2013 ; Siwek et al. 2009 ; Nowak et al. 2003 ; Salari et al. 2015 ; LAi et al.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MDD의 증상과 혈청 아연 농도 변화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것이었습니다. 제시된 결과는 De-Me-Ter(“우울증 – 메커니즘 – 치료”, 과제 3.2 - 우울증의 내인성 마커와 치료 효과의 식별)라는 대규모 임상 연구의 일부입니다(Siwek et al. 2016a , b ; Siwek et al. 2015 ; Styczeń et al. 2015 ).
재료 및 방법
연구 참여자 모집
연구 참여자(백인 남성과 여성)는 2009년 9월 21일부터 2013년 8월 30일까지 폴란드 크라쿠프 대학 병원 정신과 입원 및 외래 환자 중에서 모집되었습니다.
주요 우울 장애(MDD)에 대한 DSM-IV-TR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우울증의 활성기에 있고 완화를 달성한 환자)가 사례 대조 연구에 모집되었습니다. 모든 연구 참여자는 정보 제공 동의서에 서명하고 이 임상 연구의 목적과 규칙에 대한 자세한 정보(구두 및 서면)를 제공받았습니다. 각 잠재적 연구 참여자는 동의서에 서명하기 전에 연구에 대해 질문할 기회가 있었고 모든 질문에는 모집을 담당한 의사가 답변했습니다. 야기에우로니아 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가 이 연구를 승인했습니다(결정 번호 KBET /77/B/2009; 2009년 6월 25일자).
가장 중요한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MDD(우울증, 분열정동 장애, 양극성 장애 등) 이외의 심각한 정신 장애 진단, 약물 사용 장애(니코틴 및 카페인 중독 제외), 심각한 신체 질환(급성 또는 만성 모두)의 동반 질환, 심각한 성격 장애, 모유 수유, 임신 또는 혈중 아연 농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 진단. 연구에서 제외할 심각한 체세포 질환(De-Me-Ter 연구에서 조사한 바이오마커 농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 가능성으로 인해)으로 저자는 다음을 고려했습니다. 만성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연구에 모집되기 한 달 전에 존재했던 급성 염증 또는 감염, 원발성 부신피질 기능 부전, 신부전, 만성 췌장염, 저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 원발성 저알도스테론증, 암, 철분 결핍으로 인한 거대적혈구빈혈, 지중해빈혈, 혈색소침착증, 간경변, 윌슨병, 신염 증후군 및 화상. 추가 제외 기준은 참가자가 다음 약물을 사용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히드랄라진,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아세틸살리실산,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테트라사이클린, 플로로키놀론, 칼슘, 철, 킬레이트제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모든 환자는 MDD에 대한 최신 치료 지침에 따라, 효과가 입증된 약물 치료(단일 치료 또는 다중 치료)를 받고 있었습니다.
건강한 자원봉사자 그룹은 중증 및 만성 신체성 또는 정신 질환의 현재 및 과거 병력이 없고, 물질 사용 장애 병력이 없으며(카페인 및 니코틴 남용 제외), 1급 친인척에게 정신 질환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그룹은 병원 게시판의 광고를 통해 모집되었고, 병원 직원이나 그들의 친인척 및 친구의 추천을 받았습니다.
검사 대상 인구의 자세한 사회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은 이전에 제시되었습니다(Styczeń et al. 2015 ).
진단 도구
우울증 증상의 심각도 측정을 위해 Montgomery-Asberg 우울증 평가 척도(MADRS)(Montgomery and Asberg 1979 )와 Hamilton 우울증 평가 척도(HDRS)(Hamilton 1960 )가 사용되었습니다.
혈액 샘플 수집 및 처리. 혈청 샘플의 아연 정량 분석
연구 프로토콜에 따라 각 연구 참가자에게서 하루 중 같은 시간(오전 8시에서 9시 사이)에 최대 9.8ml의 혈액을 채취했습니다. 혈액은 Monovette 시스템(Sarstedt, Germany)을 사용하여 상완정맥에서 채취했습니다. 천을 형성한 후 혈액을 1800 x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 혈청(용혈되지 않은 혈청만)은 분석할 때까지 80°C에서 냉동 보관했습니다. 샘플은 최대 4개월 동안 아연이 없는 튜브에 보관했습니다. 아연 평가는 크라쿠프 과학 기술 대학교 분석 화학과의 미량 원소 분석 전문 실험실에서 수행했습니다. 혈청 아연 수치는 PerkinElmer 분광기 모델 3110(미국)을 사용하여 전열 원자 흡광 분광법(ET AAS)으로 측정했습니다. 다음 측정 조건이 사용되었습니다: 공기-아세틸렌 화염, 285.2nm 파장, 0.7nm 슬릿 및 단일 원소 HCL 램프. 높은 감도를 달성하기 위해 측정 전에 가스 흐름과 버너 위치를 최적화했습니다. 샘플은 교정 곡선의 선형 범위(1–50ng/ml)에 맞게 적절히 희석했습니다. 표준(아연 표준 용액; Merck Millipore Corp., Darmstadt, Germany) 및 샘플은 수용액으로 준비했습니다. 희석된 샘플은 초음파 처리를 통해 균질화했습니다. 극히 적은 용량(몇 마이크로리터)의 샘플의 경우 샘플 미량 희석의 첨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아연의 가장 낮은 농도 추적성은 0.5μg/L였습니다. 희석에도 불구하고 정량적 원소 결정 전에 샘플 전처리 절차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전체 샘플 용량에 따라 3회 반복하여 결정했습니다. ET AAS 기술의 정확도는 회수 분석을 통해 테스트되었으며, Zn의 경우 94–99% 범위였습니다. 사용된 모든 시약은 분석 등급이었습니다. Zn의 시험관은 철저히 산 세척(0.1% 질산)하고 이중 증류 탈이온수로 헹구었습니다.
통계적 방법
검정 χ2 는 품질 변수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Shapiro-Wilk 검정은 양적 데이터의 정규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데이터의 정규 분포가 없기 때문에 Kruskal-Wallis ANOVA 또는 Mann-Whitney U-검정을 사용했습니다. 정규 분포가 없기 때문에 양적 변수 간의 상관 관계는 Spearman's Rank 상관 관계로 분석했습니다.
결과
DSM-IV-TR의 MDD 기준을 충족하는 114명의 환자(남성 28명, 여성 86명 포함)가 De-Me-Ter 사례 대조 연구에 등록되었습니다(69명의 환자가 우울증 에피소드를 겪고 45명이 완화기를 겪고 있었습니다).모집된 참여자 그룹 중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63명의 환자),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34명의 환자), 삼환계 항우울제(TCA; 15명의 환자), 미르타자핀(5명의 환자)을 사용하는 환자가 있었고, 항우울제 치료를 강화하기 위해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올란자핀 또는 퀘티아핀; 15명의 환자), 리튬 및 라모트리진(총 5명의 환자)도 복용하고 있었습니다(Styczeń et al. 2015 ). 대조군은 건강한 자원봉사자 50명(남성 14명, 여성 36명 포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환자 그룹의 평균 연령(49.4±10.7세)은 대조군(45.8±12.4세)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64; Mann-Whitney U-검정). 두 그룹의 성별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검정 χ2 ; p = 0.64). 검사 대상 환자 집단에서 여성의 비율은 75%, 대조군에서는 72%였다. 환자 그룹에서 여성과 남성 하위 그룹 간 평균 아연 농도에 차이가 없었다( p =0.91, Mann Whitney U-검정)(Styczeń et al. 2015 ).
우울증 에피소드 환자의 혈청 샘플에서 아연 농도는 건강한 자원 봉사자 그룹에서 얻은 농도보다 유의하게 낮았습니다( p = 0.003, Mann Whitney U-검정). 그러나 완화에 도달한 환자와 대조군( p = 0.348, Mann Whitney U-검정) 또는 우울증 단계와 완화( p = 0.096, Mann Whitney U-검정) 간에 아연 수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습니다(표(표11).
우울증 환자 그룹에서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특징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 간에 아연 수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우울증의 비정형적 또는 정신병적 증상, 우울증 증후군 또는 약물 저항성(표)(표2).2). 그러나 완화 상태의 환자 그룹에서는 이전 우울증 발병 시 약물 저항성이 있었던 환자와 없었던 환자 간에 아연 농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 p = 0.035, Mann Whitney U-test).
또한, 우리의 결과는 아연 수치와 환자의 연령 및 일부 임상적 특징(모든 환자: 우울증 단계, 완화 및 전체 그룹 인구)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장애 기간, 지난 1년 동안의 평균 입원 횟수, 지난 1년 동안의 평균 우울증 에피소드 횟수, 평생 동안의 총 입원 횟수, HDRS(총점) 또는 MADRS(총점 또는 발병 연령)로 측정한 우울증의 심각도 또는 현재 에피소드의 기간, 심한 우울증 또는 완화. 유일하게 유의한 상관관계는 완화를 달성한 환자의 아연 농도와 지난 1년 동안의 평균 우울증 에피소드 횟수 사이에서 얻어졌습니다(표(표33).
논의
제시된 사례 대조 연구는 우울증 에피소드가 있는 환자의 혈청 아연 수치가 건강한 자원봉사자 샘플에서 얻은 수치보다 상당히 낮았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게다가, 완화 환자와 건강한 자원봉사자 그룹 간에 Zn 2+ 농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환자의 평균 아연 농도는 거의 대조군 수준에 도달하는 완화를 달성했지만, 통계적으로 질병의 급성기와 완화 사이의 아연 수치는 다르지 않았습니다. 또한, 우울증의 비정형적 특징, 약물 내성, 정신병적 증상의 존재 또는 우울증 증후군과 같은 임상적 특징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 간에 아연 농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우울증 환자의 혈액(혈청, 혈장)에서 아연 농도가 감소한다는 대부분 보고서와 잘 일치합니다(Maes et al. 1994 , 1997 , 1999 ; Russo 2011 ; McLoughlin and Hodge 1990 ; Siwek et al. 2010 ; Schlegel-Zawadzka et al. 2000 ; Siwek et al. 2013 ; Roozbeh et al. 2011 ; Irmisch et al. 2010 ; Amani et al. 2010 ; Salimi et al. 2008 ; Wójcik et al. 2006 ; Little et al. 1989 ).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우울증 환자와 건강한 자원봉사자 그룹 간의 혈액 아연 농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anjbar et al. 2013 ; Narang et al. 1991 ; Gronli et al. 2013 ; Nguyen et al. 2009 ; Manser et al. 1989 ; Salustri et al. 2010 ).
아마도 임상 연구에서 아연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한 최초의 기사는 1983년에 출판되었고, 혈청 아연 수치가 낮은 주요 우울 장애의 사례를 입증했습니다(Hansen et al. 1983 ). 다음 기사는 1989년에 등장했습니다. Little et al.은 우울증 환자의 혈청과 소변에서 아연 농도를 조사했고 기분 장애가 있는 30명의 환자 중 9명에게 저아연혈증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는 대조군(건강한)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Little et al. 1989 ). 카라치 우울증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혈청 아연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그것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우울증 여성에서만(남성에서는 아님) 나타났습니다(Manser et al. 1989 ). 그 다음해(1990) McLoughlin과 Hodge는 14명의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치료하지 않은 우울증 환자 14명에서 저아연혈증을 명확히 입증했습니다(McLoughlin과 Hodge 1990 ).
우리의 결과는 Maes와 그의 동료들이 보여준 것과 유사합니다(Maes et al. 1994 ). 48명의 MD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연구에서 그들은 환자 그룹에서 아연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을 뿐만 아니라(건강한 자원봉사자와 비교했을 때) 우울증 증상의 심각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Maes et al. 1994 ). MDD 진단을 받은 31명과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두 가지 추가 연구에서 Maes et al.은 또한 이전의 관찰 결과를 확인했습니다(Maes et al. 1997 , 1999 ). 또한 그들은 약물 내성 환자에서 아연 수치가 훨씬 낮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Maes et al. 1997 ). 우리의 결과는 Siwek et al.( 2010 ); Salimi et al.( 2008 ) 및 Amani et al.( 2010 ) 에서 얻은 결과에서도 뒷받침됩니다 .
산전 및 산후 우울증에 관한 데이터는 아연과 우울증 상태(Wójcik et al. 2006 ; Roomruangwong et al. 2016 ) 간의 관련성을 입증했으며, 양극성 우울증의 경우 낮은 아연 수치가 우울증 발병의 특징이었다(Siwek et al. 2016b ; Stanley and Wakwe 2002 ).
또한, 임상 연구에서 아연 보조 요법의 귀중한 증강 효과에 대한 증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Ranjbar et al.( 2013 );Russo( 2011 );Siwek et al.( 2009 ) 및 Nowak et al.( 2003 )이 입증한 연구에 따르면 아연 보충은 우울증 심각도(우울증 평가 점수)를 상당히 감소시키고 특히 치료 저항성 환자에서 항우울제 치료의 결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또한 아연 단독 요법은 동반 비만이 있는 환자의 우울증 증상을 감소시켰습니다(Solati et al. 2015 ).
반면에 제시된 결과를 확증하지 못한 임상 연구도 몇 가지 있다. Gronli 등이 64세 이상의 100명의 환자(여성 62명, 남성 38명)를 대상으로 다양한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결과, 우울증이 없는 환자는 아연 결핍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2013). 마찬가지로 Nguyen 등은 369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관찰 연구에서 우울증 증상의 존재와 아연 수치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2009). 또한 일부 다른 그룹에서는 우울증 환자의 혈청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Narang et al. 1991 ; Irmisch et al. 2010 ; Salustri et al. 2010 ).
해당 보고서에 제시된 데이터 간의 차이점은 아연 측정 시점의 차이(예: 우울증/완화 단계, 우울증 진단 - 치료 저항성/비저항성, 이전/현재 약물 치료, 질병 기간, 성별 및 식이 다양성)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Swardfager et al. 2013a , b ; Siwek et al. 2013 ; Nowak 2015 ).
아연의 항우울 활성 메커니즘은 신경, 면역 및/또는 산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조절)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리뷰를 위해 (Szewczyk et al. 2011 ; Siwek et al. 2013 ; Nowak 2015 ; Maurya et al. 2016 ; Tyszka-Czochara et al. 2014 ) 참조).
제시된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우울증 에피소드에 존재하는 아연 결핍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며, 대부분의 이전 연구와 일치합니다. 제시된 결과는 아연 혈중 농도가 MDD의 생물학적 지표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DD 과정에서 아연 수치 데이터는 여전히 모호하며, MDD의 병리생리학에서 아연의 역할에 대한 지식을 넓히기 위해 더 많은 우울증 환자 집단에서 조사해야 합니다.
번호 | 분류 | 제목 | 조회 수 | 추천 수 | 날짜 |
---|---|---|---|---|---|
공지 | 전문정보 |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 |
1422 | 0 | 2024.04.01 |
공지 |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2 | 29288 | 64 | 2024.11.04 | |
공지 |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 23236 | 44 | 2025.01.21 | |
475 | 잡담 | 과자 고르듯이 약을... 창고형 약국 인기에 약사들 반발 3 | 1170 | 0 | 2025.06.19 |
474 | 잡담 |
국내 첫 '마트형 약국' 등장에…동네 약국들은 긴장
3 ![]() |
1195 | 0 | 2025.06.19 |
473 | 잡담 | 후두암의 초기 증상과 원인, 대처 방법 완벽 가이드 1 | 621 | 0 | 2025.05.09 |
472 | 잡담 | 외이도염 초기증상과 원인, 두통 대처법 총정리 | 593 | 0 | 2025.05.09 |
471 | 잡담 | 장꼬임(장폐색) 증상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1 | 611 | 0 | 2025.05.09 |
470 | 잡담 | 소화불량 증상과 소화에 좋은 음식 1 | 569 | 0 | 2025.05.09 |
469 | 잡담 |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음식과 정상수치 가이드 | 624 | 0 | 2025.05.09 |
468 | 잡담 |
다들 제발제발제발 이 3개만 매일 해줘... 진짜 삶이 달라진다
![]() |
577 | 0 | 2025.05.09 |
467 | 잡담 | 너무아파서 자다깼는데 근육통에 무슨약이 잘들어? 2 | 589 | 0 | 2025.03.19 |
466 | 잡담 |
약사가 실제로 먹고 효과 본 영양제 조합! 눈 피로, 근육통, 장 건강부터 암 예방까지
![]() |
9970 | 0 | 2025.03.07 |
465 | 잡담 |
다이소 영양제 총정리: 가성비 좋은 제품 vs. 돈값 안 하는 제품
![]() |
9906 | 0 | 2025.03.07 |
464 | 잡담 |
Vitamin B-Complex (Pure vs Thorne) 총평
1 ![]() |
10007 | 0 | 2025.03.05 |
463 | 잡담 | 장누수,피부트러블,두피염,무좀 다 말살시킴 1 | 9962 | 0 | 2025.03.05 |
462 | 잡담 | 영양제 26종 챙겨먹는 사람인데 | 9717 | 0 | 2025.03.05 |
461 | 잡담 |
레이 커즈와일 평소 사진.jpg
![]() |
9774 | 0 | 2025.03.05 |
460 | 잡담 | 여드름쟁이들 보시길 | 9755 | 0 | 2025.03.05 |
459 | 잡담 |
항산화제의 두얼굴 그리고 근육키우기
![]() |
9931 | 0 | 2025.03.05 |
458 | 정보📰 |
OptiMSM Flake 와 Powder 차이에 관한 제품 설명
![]() |
9774 | 0 | 2025.03.05 |
457 | 잡담 |
오메가3 ALA -> EPA DHA 전환률
3 ![]() |
9816 | 0 | 2025.03.05 |
456 | 잡담 |
다이소 건기식 철수는 진짜 약사들의 집단 이기주의다
![]() |
9768 | 0 | 2025.03.05 |
455 | 잡담 |
다이소 영양제 목록 (4)
![]() |
9733 | 0 | 2025.03.05 |
454 | 잡담 |
다이소 영양제 목록 (3)
![]() |
10020 | 0 | 2025.03.05 |
453 | 잡담 |
다이소 영양제 목록 (2)
![]() |
9928 | 0 | 2025.03.05 |
452 | 정보📰 |
다이소 영양제 목록 (1)
![]() |
9885 | 0 | 2025.03.05 |
451 | 잡담 |
대한약사회에서 입장문 발표햇엇네
1 ![]() |
9865 | 0 | 2025.03.05 |
450 | 잡담 |
요즘 핫하다는 다이소 영양제 찐 약사가 리뷰 했던데
1 ![]() |
9810 | 0 | 2025.03.05 |
449 | 잡담 |
다이소 영양제 판매 근황
![]() |
9813 | 0 | 2025.03.05 |
448 | 잡담 |
다이소에서 파는...영양제 종류 ㄹㅇ...jpg
![]() |
9780 | 0 | 2025.03.05 |
447 | 잡담 |
요즘 독감이 유행이라던데...🤧 명의가 알려주는 감기와 독감의 차이 #명의 #독감 #감기
![]() |
357 | 0 | 2025.01.22 |
446 | 잡담 |
제로콜라 의학리뷰: 과연 문제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 |
3273 |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