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약학.영양제

의약·영양제 질문·잡담 환영!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로버트 러프킨 박사의 저서 "내가 의대에서 가르친 거짓말들"을 참고하여 만들어진 유튜브 영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합니다. 로버트 러프킨 박사는 USC와 UCLA 의과대학 교수이자 의학 교과서를 집필하며 200편 이상의 동료 평가 논문을 발표한 현직 의사입니다. 그는 자신이 가르쳤던 의학 정보들에 의심을 품게 되었고, 오랜 연구 끝에 많은 의학 지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아 이 책을 출간했습니다.

 

이 영상의 핵심 메시지는 내 건강을 병원, 식품 회사 등 제3자에게 전적으로 의지하지 말고 스스로 챙기자는 것입니다. 우리는 스스로 공부하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다음은 영상에서 다루는 주요 잘못된 의학적 믿음과 그에 대한 설명입니다.

 

  • 비만에 대한 오해: '모든 칼로리는 동일하다'는 잘못된 믿음

    • 대다수 사람은 비만이 열량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원인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 중요한 것은 섭취한 열량 중 얼마나 태우고 얼마나 저장하느냐이며, 이를 좌우하는 중심적인 호르몬은 인슐린입니다.
    • 인슐린은 열량을 주로 지방으로 저장하도록 세포에 신호를 보냅니다. 즉, 인슐린을 얼마나 자극하고 자극하지 않느냐가 비만 문제를 푸는 열쇠입니다.
    • 저칼로리 다이어트 식품(예: 제로 콜라의 인공 감미료 수크랄로스)은 열량이나 당 성분이 없어도 인슐린 수치를 높일 수 있어 다이어트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식단의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각각 인슐린을 자극하는 정도가 다릅니다. 탄수화물은 인슐린을 강하게 자극하고, 단백질은 보통, 지방은 거의 자극하지 않습니다. 이는 모든 열량이 똑같이 체중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1970년대 심장 질환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탄수화물 섭취를 늘리고 지방 섭취를 줄이라는 지침이 나왔고, 이는 식품 피라미드로 이어져 정제 탄수화물 섭취를 권장했습니다.
    • 이 지침을 따른 많은 미국인들은 지방을 탄수화물로 대체했고,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인슐린 분비 자극으로 체내 지방 축적이 가속화되어 비만율이 급증했습니다.
    • 탄수화물 중심 식단으로의 변화는 가공식품 및 초가공식품 소비 증가와 연관되며, 이러한 제품들의 소비 급증은 만성 질환 발생률 증가와 함께 나타났습니다.
  • 신진대사와 질병의 근본 원인: '씨앗 이론'과 '토양 이론'의 대립

    • 현대 의학 교육 체계가 확립될 때, 감염병의 원인을 두고 루이 파스퇴르의 씨앗 이론(병원체 제거/억제)과 앙투안 베샹의 토양 이론(신체 환경 회복)이 대립했습니다.
    • 파스퇴르의 씨앗 이론이 승리하여 질병 설명의 표준이 되었고, 감염병 퇴치에는 큰 성과를 냈습니다.
    • 그러나 현대의 주요 사망 원인인 만성 질환은 단일 병원체가 아닌 복잡한 신체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씨앗 이론에 기반한 현대 의학은 만성 질환 치료에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 토양 이론은 신진대사 관리를 핵심으로 하며, 예방적 접근을 통해 만성 질환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러프킨 박사는 신진대사가 의대 수업이나 학술 토론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지만, 수많은 질병의 근본 원인을 해결할 열쇠라고 지적합니다.
  • 노화에 대한 오해: '마모 파손 가설'의 한계

    • 일반적으로 건강하게 장수하려면 신체의 마모와 파손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노화의 모든 현상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 현대인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질병과 증상의 근본 원인은 세포가 약해지고 마모되는 현상이 아니라, 세포와 대사의 과도한 활성화 때문입니다.
    • 세포와 대사의 과도한 활성화를 막으면 사망 위험 요인을 줄이고 건강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 건강 관리의 핵심: '토르 단백질'의 조절

    • 위에서 언급된 비만, 신진대사, 노화의 중심에는 인슐린, 토양 이론, 그리고 과도한 세포 증식이라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 이 키워드들의 중심에는 세포 성장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토르(TOR) 단백질이라는 컨트롤 타워가 있습니다.
    • 토르 단백질은 활성화되면 성장 모드에, 비활성화되면 절전 모드에 들어갑니다.
    • 25세 이전에는 건강한 성장을 주도하지만, 25세 이후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노화를 촉진하고,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암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유발합니다.
    • 건강한 삶을 위해 우리는 토르 단백질의 만성적인 활성 상태를 조절해야 합니다.
  • 건강한 삶을 위한 실천 방안 (식습관 개선이 가장 효과적)

    • 토르 단백질은 포도당, 인슐린, IGF-1, 아미노산, 산소 등을 감지하면 활성화되는데, 음식이 주요 원인이며 특히 탄수화물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 현대인의 고탄수화물, 잦은 식사 습관은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고 토르 단백질을 상시적으로 활성화시켜 몸의 대사가 성장 쪽으로 치우치게 만듭니다.
    •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과 지방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 음식을 먹는 순서는 인슐린 자극이 낮은 순서(지방, 단백질 먼저, 그 다음 탄수화물)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 가공식품, 초가공식품 섭취를 최대한 줄이고 농경 이전의 자연식(비가공 식품, 채소)을 먹는 것을 제안합니다.
    • 인슐린 저항성을 다스리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단식(간헐적 단식)입니다.
      • 우리 조상들은 간헐적 섭식 방식을 통해 생존해 왔으며, 단식을 하는 동안 토르 활동이 억제되어 유익한 대사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자는 시간도 금식 시간에 포함되므로, 일찍 저녁을 먹고 늦게 아침을 먹거나 아침을 거르고 점심을 먹는 것도 좋은 단식 방법입니다.

요약하면, 탄수화물과 가공/초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고, 채소와 비가공 단백질 및 지방 섭취를 늘리며, 간헐적 단식을 실천하는 것이 토르 단백질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건강한 삶을 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러한 건강 관리는 결국 기본에 충실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단순히 결론에 집중하기보다는 다양한 상호 작용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내 몸을 내가 돌보고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하고 현실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 모든 실천의 중심에는 음식이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Prqlmd2pVQ4

 


의학.약학.영양제

의약·영양제 질문·잡담 환영!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426 0 2024.04.01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2 29526 66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3408 44 2025.01.21
110 전문정보 고통없는 100세 시대를 여는 유일한 방법 l 피터 아티아 file 329 0 2025.07.20
109 전문정보 혈관을 막고 성인병을 일으키는 ‘이런 음식’은 피하세요 (비만과 당뇨의 원인) file 340 0 2025.07.20
» 전문정보 굳게 믿던 현대 의학의 충격적인 배신 l 로버트 러프킨 file 357 0 2025.07.20
107 전문정보 열 화상 부상, 감염 및 패혈증에서 비타민 E의 역할 115 0 2024.08.16
106 전문정보 노령층을 위한 비타민 E 권장량을 늘려야 할까? 102 0 2024.08.16
105 전문정보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비타민 E 치료의 효과 86 0 2024.08.16
104 전문정보 비타민 E의 약리학 및 약동학: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 168 0 2024.08.16
103 전문정보 항산화제와 운동 성능: 비타민 E와 C 보충에 초점을 맞춰 130 0 2024.08.16
102 전문정보 비타민 E 보충제는 여성 부인과 건강과 질병에 유익할까? 208 0 2024.08.16
101 전문정보 신체 염증에 대한 비타민 E 보충제의 효과: 무작위 임상 시험 114 0 2024.08.16
100 전문정보 치매,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있어서 비타민 E의 역할 103 0 2024.08.16
99 전문정보 피부 건강에서 비타민 C의 역할 125 0 2024.08.16
98 전문정보 중증 환자의 비타민 C - 적응증 및 논란 130 0 2024.08.16
97 전문정보 통풍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비타민 C의 역할 - 문헌 검토 147 0 2024.08.16
96 전문정보 비타민 C: 대사증후군 관리에서의 역할에 대한 고찰 150 0 2024.08.16
95 전문정보 골다공증 발병 및 치료에 있어서 비타민 C의 역할 - 문헌 검토 168 0 2024.08.16
94 전문정보 비타민 C의 역할: 폐렴 예방부터 코로나19 치료까지 144 0 2024.08.16
93 전문정보 종양학 환자를 위한 고용량 비타민 C 요법의 의도치 않은 결과 121 0 2024.08.16
92 전문정보 고용량 비타민 C: 암 환자의 맞춤형 치료를 위한 전임상 증거 176 0 2024.08.16
91 전문정보 임신 중 흡연이 유아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비타민 C 174 0 2024.08.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