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약학.영양제

의약·영양제 질문·잡담 환영!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피터 아티아 박사의 저서 '질병 해방'의 핵심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 현대인의 건강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느린 죽음과 네 가지 만성 질환:

    • 대부분의 현대인은 심혈관 질환, 암, 신경 퇴행성 질환 (알츠하이머병 등),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네 가지 만성 질환으로 인해 '느린 죽음'을 맞이합니다.
    • 이 질병들은 몸에 서서히 축적되고 복잡하게 얽히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누적적이고 상호 연결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으로 이어지는 대사 이상은 심장병, 암,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고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질병들은 대개 우리가 인지하기 훨씬 이전부터 시작되어 오랜 시간 진행됩니다. 만성 질환의 치료가 어려운 주된 이유는 질병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치료를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 의학 2.0의 한계와 의학 3.0의 필요성:

    • **의학 2.0 (표준 의학)**은 질병이 발병한 후에 개입하여 치료하며, 주로 **수명 자체 (얼마나 오래 사는지)**를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의학 2.0 덕분에 기대 수명이 늘어나 100세 시대가 되었지만, 이는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개선하지 않은 채 죽음을 늦추는 결과를 낳습니다. 즉, 노년기에 신체적·정신적 쇠퇴가 심해진 상태에서 수명만 연장되는 한계가 있습니다.
    • 의학 3.0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대안으로, 질병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는 건강 수명에 초점을 맞춥니다. 목표는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을 넘어, 노년기까지 활기차고 건강하게 사는 것입니다.
  • 건강 수명의 세 가지 핵심 요소:

    • 의학 3.0의 목표는 인지, 신체, 정서 세 가지 요소의 악화를 늦추거나 되돌리는 것입니다.
      • 인지 기능: 나이가 들면서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 기억력, 실행 기능 등이 쇠퇴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 신체 기능: 근육량, 근력, 뼈밀도, 지구력, 안정성, 균형 감각 등이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이는 낙상 위험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 정서 건강: 나이와 무관하게 악화될 수 있으며, 신체 건강, 행복, 생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게 다뤄야 합니다.
    • 이 세 가지 요소는 모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강 수명 증진을 위한 다섯 가지 항목 (오각형 항목):

    • 세 가지 핵심 요소의 악화를 막기 위해 다음 다섯 가지 항목을 균형 있게 관리해야 합니다. 이 항목들 또한 상호 연관성이 높습니다.
      • 운동 (가장 강조)
      • 영양
      • 수면
      • 정서 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
      • 나머지 하나는 '질병 해방' 책에 상세히 정리되어 있다고 언급됩니다.
    • 예를 들어, 운동은 정서 건강을 좋게 하고 스트레스를 풀어 수면의 질을 높이며, 잘 자면 식욕이 줄어들어 건강한 대사 기능을 유지하는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운동의 중요성:

    • 아티아 박사는 다섯 가지 항목 중 운동을 가장 중요하게 강조합니다.
    • 운동은 사망률을 낮출 뿐만 아니라, 인지 및 신체 쇠퇴를 다른 수단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정서 건강에도 강력한 효과를 미칩니다.
    • 건강 수명을 높이는 운동의 핵심 요소는 심폐 체력근력입니다.
      • 심폐 체력: 몸이 산소를 근육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근육이 산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장수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 근력: 근육량 자체보다 힘을 내는 능력이 중요하며, 근력이 높을수록 장수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근육량 감소는 노인 사망 및 장애의 주요 원인인 낙상 위험을 높입니다.
    • 아티아 박사는 노년기에도 유지하고 싶은 10가지 신체 과제를 시각화하고 이를 위한 운동을 꾸준히 할 것을 권장합니다.

결론적으로, 건강한 100세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질병 발생 후 치료하는 의학 2.0의 관점을 넘어,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인지, 신체, 정서 건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의학 3.0의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긍정적인 복리 효과를 가져오는 연결성과 누적 효과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o6Lh0wE5xpU

 


의학.약학.영양제

의약·영양제 질문·잡담 환영!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426 0 2024.04.01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2 29558 66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3445 44 2025.01.21
110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426 0 2024.04.01
109 전문정보 비타민 C(아스코르빈산)에 대해 알아보자 806 0 2024.04.01
108 전문정보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비타민 C: 개요 831 0 2024.04.01
107 전문정보 비타민 C 결핍 864 0 2024.04.01
106 전문정보 비타민 C 섭취가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임상 증거를 (잘못) 해석하는 방법 file 884 0 2024.04.01
105 전문정보 비타민 C와 면역 기능 file 868 0 2024.04.01
104 전문정보 비타민 C, 비타민 E, 셀레늄, 카로티노이드에 대한 식이 참고 섭취량. file 878 0 2024.04.01
103 전문정보 SARS-CoV-2 감염 및 전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포비돈 요오드의 용도 변경: 서사적 검토 file 910 0 2024.04.01
102 전문정보 .25% 포비돈-요오드를 이용한 수술 중 표면 세척을 통한 백내장 수술 file 1016 0 2024.04.01
101 전문정보 마스킹 5% 포비돈 요오드 치료의 성공: 아데노바이러스 환자 감염 일수 감소(RAPID) 연구 file 774 0 2024.04.01
100 전문정보 주요우울장애 및 범불안장애에 대한 심리치료: 건강 기술 평가 file 858 0 2024.04.01
99 전문정보 불안과 우울증에서 특성 불안의 특이성: 상태 특성 불안 목록의 메타 분석 file 963 0 2024.04.01
98 전문정보 치매에 대한 급성 병원 직원의 태도와 인지된 치매 지식: 아일랜드의 단면 조사 file 826 0 2024.04.01
97 전문정보 치매 웰빙과 코로나19: 현재 연구 및 지식 격차에 대한 검토 및 전문가 합의 file 866 0 2024.04.01
96 전문정보 경증 치매 환자와 가족 간병인을 위한 사전 돌봄 계획 정보 개입: 임종 돌봄 결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898 0 2024.04.01
95 전문정보 치매는 동반 질환의 영향을 넘어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국가 등록 기반 코호트 연구 file 860 0 2024.04.01
94 전문정보 중증/심도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의 방치된 치매 퍼즐: 관찰 가능한 증상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검토 file 920 0 2024.04.01
93 전문정보 젊은 나이에 치매의 명칭과 정의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file 1036 0 2024.04.01
92 전문정보 치매 예방, 중재 및 치료: Lancet Commission 보고서 file 884 0 2024.04.01
91 전문정보 비타민 C 생리학: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 그리고 골디락스 file 446 0 2024.04.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