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10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https://en.m.wikipedia.org/wiki/1138_Aleppo_earthquake

1138 Aleppo earthquake - Wikipedia The 1138 Aleppo earthquake was among the deadliest earthquakes in history. Its name was taken from the city of Aleppo, in northern Syria, where the most casualties were sustained. The earthquake also caused damage and chaos to many other places in the area around Aleppo.[2] The quake occurred on 11 October 1138 and was preceded by a smaller quake on the 10th.[3] It is frequently listed as the third deadliest earthquake in history,[4] following on from the Shensi and Tangshan earthquakes in China.[5] However, the figure of 230,000 deaths reported by Ibn Taghribirdi in the fifteenth century is most likely based on a historical conflation of this earthquake with earthquakes in November 1137 on the Jazira plain and the large seismic event of 30 September 1139 in the Transcaucasian city of Ganja.[6] from EN.M.WIKIPEDIA.ORG

67f7fd2be5809b619a8b48b5f1d90899ee9e4eb8fac0287bffde7481b4b7091b.jpg

Syria_physical_location_map.svg.png.jpg

 

1138년에 일어난 알레포 대지진은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준 지진 중 하나이다. 도시 이름은 사상자가 가장 많았던 시리아 북부의 알레포(Aleppo, Halab)에서 따왔다. 이 지진은 알레포 주변 지역까지 피해와 혼돈을 야기했다. 지진은 1138년 10월 11일에 발생했고 10일 동안 여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중국의 섬서 대지진과 당산 대지진에 이어 역사상 세 번째로 사상자를 기록한 지진으로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이집트 맘루크 왕조 시대의 역사학자 이븐 타그리비르디(Ibn Tagribirdi)가 15세기에 기록한 23만 명의 사망자 수는 1137년 11월 자지라 평원(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일어난 지진과 1139년 9월 30일에 일어난 현재의 아제르바이잔 간자(Ganja)에서 일어난 대규모 지진 사건의 역사적인 연관성에 근거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배경

 

알레포는 아라비아판과 아프리카판을 가로지르는 사해 단층 경계에 속해 있으며 이 지진은 두 차례의 강력한 지진 중 첫 번째 지진의 시작이었다. 1138년 10월부터 1139년 6월까지, 1156년 9월부터 1159년 5월까지 훨씬 더 강력한 2차 지진이었다.

 

첫 번째 지진은 알레포 주변 지역과 에데사 지역(오늘날 터키 샨르우르파 주)의 서부 일대에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기간 동안 시리아 북서부, 레바논 북부, 안티오키아(오늘날 터키 남부 하타이 주 안타키아)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은 파괴적인 지진의 영향을 받았다.

 

12세기 중반 시리아 북부는 십자군 전쟁의 여파로 황폐해진 땅이었다. 안티오키아 공국과 같은 서유럽인들이 세운 십자군 국가들은 알레포와 모술을 중심으로 한 북시리아와 자지라 일대의 무슬림 국가들과 지속적인 전쟁 상태에 있었다.

 

지질학적 배경

 

중동 지역은 아라비아판, 아프리카판, 유라시아판 사이에 위치한다.

세계에서 가장 지질학적으로 활발한 지역 중 하나이다.

 

아라비아판은 유라시아판 아래로 가라앉아 코카서스 산맥과 아나톨리아 고원의 침식을 일으키고 있다.

 

북쪽을 따라 섭입대를 보완하는 것은 홍해와 아라비아해 근처의 서로 다른 경계일 뿐만 아니라 시나이 반도에서 시리아-터키 국경까지 대략 지중해 연안을 따라 서쪽으로 경계를 전환하는 것이다.

 

사해 단층과 그 북쪽의 수렴 경계는 알레포 지진 전후로 수많은 지진을 일으켰다.

이들 중 일부는 너무나 충격적이어서 고대인들의 신화와 신학으로 단서를 찾았는데, 예를 들면 기원전 1500년에 일어난 예리코 성의 파괴나 예수의 십자가형 이후에 일어났다고 전해지는 지진이 그것이다.

1927년 예리코 지진으로 팔레스타인에서 약 5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특히 종교적 성지들이 파괴되었다.

 

다른 보고서들은 알레포의 북쪽에 있는 아즈랍(Azrab)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르면 땅이 중간에서 갈라져 마을을 집어삼켰다고 한다. 아마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의 결과였을 것이다. 또한 본진과 여진이 다마스쿠스에서 감지되었지만 예루살렘에서는 감지되지 않았다고 말한다. 라카의 땅에 구멍이 뚫린 구멍에 사람들이 삼켜졌다는 이야기는 알레포 지진으로 와전되기도 했는데, 이는 12세기 말 시리아 정교회의 총대주교였던 미카엘(Michael The Syrian)의 혼란스러운 이야기에 기초하고 있다.

 

정치적-경제적 영향

 

지진의 여파는 충격에 의한 직접적인 파괴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알레포의 경제와 행정에 도미노 효과를 야기했다.

첫째, 대다수의 민가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재산도 함께 파괴되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떠나야 했고, 다수는 사막으로 도망쳤다.

 

 

성채는 황폐화되었고 도시 전체의 약 60%가 파괴되었다.

이 대규모 파괴를 재건하려면 예산이 많이 들었고, 그에 따라가지 못하는 부족한 형편 때문에 재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도시의 사람들의 직업과 삶은 영구적으로 바뀌었다.

또한, 건축물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었다. 이것은 사람들을 도시로 다시 끌어들이고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한 그들의 시도였지만, 그럼에도 예전 같지 않았다.

 

알레포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통하는 육로 무역로의 거점을 따라 자리잡았기 때문에 알레포는 부유하고 모두가 노리는 도시가 되었다.

지진으로 파괴된 이후 동서간 무역은 도시가 재건될 때까지 더디게 진행되었다. 이는 제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플 약탈과 함께 베네치아, 피사, 제노바와 같은 이탈리아의 도시 국가 출신 상인들이 무역에 진출하여 육로 무역을 지중해-흑해 해로 무역으로 대체할 수 있게 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2024.04.14 5218
공지 K-POP 초보를 위한 필수 앱/사이트 목록 file 😀컴덕871 2024.04.14 460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2024.02.14 5206
734 여호와의 증인에대해서 말이 많군요ㅋ제경험을 이야기하자면 😀익명804 2017.08.14 49
733 조선 최고의지식인 명언 😀익명146 2017.09.10 58
732 1 .이명박 가카의 100가지 망언(001~100) **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 ** 😀익명765 2017.10.08 40
731 언젠가는 반드시 승리한다. 마더 러시아의 자부심 😀익명719 2018.12.10 35
730 근데 척 배우 연기 존나 잘하는듯슈내 😀익명967 2021.01.07 42
729 정인이 가해자측 교회 : "정인이 사건은 공산당 정부가 인민재판으로 조작한것" file 😀익명683 2021.01.25 108
728 요즘교회를 본 어느유저의 한탄.. jpg file 😀익명592 2021.01.26 70
727 [속보] 대전 코로나 집단 감염 127명 발생, 선교사 교육시설 file 😀익명830 2021.01.26 78
726 이정도면 일부교회가 아니라 교회자체가 문제야 file 😀익명411 2021.01.26 74
725 코로나19 이후 개신교 인식 ‘싸늘’ file 😀익명559 2021.01.26 86
724 IM선교회 '수백명 수련회, 학교 만드니 안 걸려' file 😀익명630 2021.01.27 87
723 tcs개신교 마스크 안쓰고 춤추고 통성기도.jpg file 😀익명718 2021.01.27 90
722 광주 TCS국제학교 향한 분노 '폭발'..계란 투척한 자영업자 file 😀익명286 2021.01.27 76
721 그 교회 코로나는 앞으로 얼마나 더 터질까.jpg file 😀익명383 2021.01.28 73
720 무려 2020년 사진 ㄷ ㄷ ㄷ ( 그 교회 ) file 😀익명077 2021.01.28 74
719 예수가 아니라 목사가 문제 file 😀익명059 2021.01.28 84
718 기독교 유튜브 댓글 근황 file 😀익명953 2021.01.29 61
717 광주상황) 삿대질, 폭언.. 문재인이 교회 죽이려... file 😀익명101 2021.01.29 68
716 한국 개신교 아동학대 논란 file 😀익명886 2021.01.30 71
715 '그 종교' 드디어 사과 file 😀익명904 2021.01.30 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