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뒤져도 쉽게 활성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가 없길래 여기에 조촐하게 올려봅니다.
저는 KDE Neon이 아닌 Kubuntu를 쓰고 있구요. (22.04)
ROS 때문에요... Neon은 우분투 계열로 VCS가 인식을 못하더라구요.. ;ㅂ;...
최근에 8845HS가 들어간 노트북을 받았는데,
클럭이 4기가를 안넘어가는 문제 때문에(!?) 저 amd_pstate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찾다가
포럼에서 리눅스 커널 커맨드 라인에 삽입하면 쓸 수 있다고 찾구, 고민하다가 방법을 찾게 되어서 남깁니다.
그게... 초보들은 저 말도 바로 보고 이해하기 힘들거든요.. ;ㅂ;...
아마 그럽이건 systemd건 커맨드 라인을 받는 위치가 있을태니, 거기에 amd_pstate=passive (zen2 이하)나 active(zen3 이상??)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CPPC 이후부터는 guided가 생겼는데, 이건 커널에서 지원해줘야해서 메인라인 커널을 직접 업데이트 하시거나
xanmod 같은 커스텀 커널을 쓰시면 됩니다.
근데, 이것도 조심해야할 게... xanmod 커널이랑 AMDGPU 드라이버랑 호환이 아직 안됩니다. 아직은 우분투 순정 커널에서 쓰시는 게 좋습니다. 인텔은 문제 없더라구요? 근데 인텔은 기본이 intel_pstate라서...
즉,
sudo nano /etc/default/grub
에서 첫번째 이미지처럼 수정하시구
sudo update-grub 하신 다음 재부팅하시면 활성화 됩니다.
다른 부트로더를 쓰는 배포판들(아치계열 등등)도 똑같이 커맨드 라인에 추가하시고 업데이트 해주시면 될 겁니다.
확인 방법은 아래의 명령줄을 입력하시고 2번째 이미지처럼 리턴이 나오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cat /sys/devices/system/cpu/cpu0/cpufreq/scaling_driver
확실히 고클럭으로 쭉쭉 올라가면서 발열이랑 팬소음이 줄어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