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17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김정운 교수의 창의성 특강은 예술, 디자인, 그리고 산업 혁명과 연관된 독창적인 사고를 반영하는 내용을 다룹니다. 교수는 바우하우스와 같은 학교의 중요성 및 디자인, 기술, 예술의 융합을 강조하며, 특히 창조적인 사고의 본질을 탐구합니다. 창의를 기르는 과정에서는 편집의 중요성을 잊지 말아야 하며, 이는 다양한 시각적 사고와 결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합니다.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의 창조성과 산업 혁명의 본질적인 관계를 명확히 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지식을 얻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특강을 통해 일상 속에서 창조성을 적용하는 방법과 그 중요성에 대해 되새길 수 있습니다.

핵심 용어

  • 김정운: 김정운 교수는 한국의 유명한 문화심리학자로, 창의성과 디자인, 산업 혁명 관련 주제를 깊이 있게 연구합니다. 그는 예술과 디자인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

1. 🎤 특별한 게스트 소개: 김정운 교수

captureSource

  • 오늘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으로 투자 및 금융 전문가들을 초대하지만, 이번에는 특별히 김정운 교수를 초청하였다.

  • 김정운 교수는 자유로운 영혼을 지닌 인물로 묘사된다.

  • 겉모습과 달리 깊이가 있는 인물로 기억되며, 오랜만에 등장해 반갑다는 인사를 받는다.

 

2. 🏛️ 바우하우스의 정체성과 역사적 중요성

captureSource

  • 바우하우스는 '집을 짓다'라는 의미로, 정체성이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으며, 건축학교로 명명되었지만 실제로 건축 수업이 진행된 시간은 많지 않다.

  •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산업디자인의 출발점을 바우하우스로 보고 있으며, 이는 디자인 학교로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바우하우스는 바이마르, 대싸우, 베를린 등에서 여러 차례의 이사를 겪으며, 국립학교로 시작했으나 정치적 혼란 속에서 좌파적인 성향을 띠는 학생들이 많았다.

  • 이 학교는 14년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2019년 창립 100주년을 맞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화적 이슈로 부각되었다.

  • 바우하우스를 단순한 건축학이나 디자인 학교로 해석하는 것을 넘어, '창조학교'로 규정하는 것이 인류의 창조성을 탐구하는 데에 크게 기여한다.

 

3. 🏢 바우하우스와 현대 아파트의 연결

captureSource

  • 한국은 세계에서 독특한 '아파트 공화국'으로, 바우하우스의 디자인이 현대 아파트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 현대 아파트 단지의 개념은 르 꼬르비르그루피우스의 이념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루피우스는 바우하우스의 교장으로서 독일의 '그로피우스 슈타트'를 처음 계획했다.

  • 독일에서 아파트 단지는 슬럼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지만, 한국에서는 이는 부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다.

  • 70~80년대 양옥집과 같은 디자인 특성은 바우하우스에서 유래되었고, 특히 평평한 지붕의 디자인이 그러한 영향을 보여준다.

  • 독일에서 바우하우스는 건축 자재 체인점과 연결되며, 이는 바우하우스 폰트와도 관련이 있어 문화적 인식을 나타낸다.

 

4. ✨ 창조성의 본질과 바우하우스의 중요성

captureSource

  • 바우하우스의 중요성은 창조성의 편집적 과정에 있으며, 창조는 기존의 것들과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로 정의된다.

  • 애플의 디자인과 창조적 접근에는 바우하우스의 원칙이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스티브 잡스가 소니와의 디자인 유사성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창조성에 대한 현대적 이해는 편집적 사고에 기반하며, 과거의 지식과 기술이 융합되어 새로운 결과물을 창출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 '크리에이티비티'라는 개념은 20세기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창조성의 새로운 측면을 규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 결과적으로, 창조성과 바우하우스는 현대 디자인 및 기술 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통해 보다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사고가 요구된다.

 

 

4.1. 바우하우스와 개인적 창작 경험의 중요성

  • 바우하우스가 저자에게 중요한 이유는 '에디톨로지'라는 책에서 창조의 본질인 편집을 탐구했기 때문이다.

  • 저자는 처음에 대중의 관심을 얻기 위해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한다'라는 베스트셀러를 집필했으며, 그 이후에도 여러 책이 큰 인기를 끌었다.

  • 그러나 저자는 대중의 우습게 여김을 받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학문적 역량을 더 발휘하고자 결심하였다.

  • ‘에디톨로지’에서는 창조가 편집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여러 역사적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독자들의 구체적인 예 요청에 부응하고자 했다.

 

 

4.2. 창조와 바우하우스의 연결

  • 창조는 단순히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아니라, 서로 다른 요소의 편집 과정에서 새롭게 탄생하는 것이라고 설명된다.

  • 편집의 과정에서는 관련된 것들 간의 비교와 연결이 필요하며, 이는 전혀 다른 구석에 있는 것들을 연결시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낸다.

  • 이러한 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결과물이나 언어는 메타언어라고 불리며, 이것이 바로 창조라고 정의된다.

  • 바우하우스와 같은 역사적 맥락을 통해 이러한 창조의 개념을 더욱 구체적으로 탐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 따라서 바우하우스는 창조적 과정과 그 중요성을 논의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주제가 될 수 있다.

 

 

4.3. ️ 애플 제품 디자인과 바우하우스의 연결

  • 바우하우스의 영향력이 애플 디자인의 출발점이 되었음을 강조하면서, 애플의 기초가 되는 창의적 사고를 이야기한다.

  • 개인적으로 모든 애플 기기를 사용해왔으며, 매킨토시 컴퓨터부터 시작하여 현재 여러 애플 제품을 소유하고 있음을 언급한다.

  • 애플의 키노트 프로그램을 높이 평가하며, 그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다른 소프트웨어와 비교하며 설명한다.

  • 삼성의 기기와 비교했을 때, 애플 제품의 디자인적 우수성을 강조하며, 삼성의 디자인이 애플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를 성찰한다.

  • 애플의 기능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미학적 측면에서 애플의 디자인 독창성이 특별하다고 강조한다.

 

 

4.4. 소니 디자인 철학과 애플의 상호작용

  • 소니는 1983년 에스폰 디자인 컨퍼런스에서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철학을 반영하며 자신들의 디자인 방향을 정립하겠다고 선언했다.

  • 스티브 잡스는 애플 디자이너들에게 소니의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 스마트폰 개발을 지시하며, 그 과정에서 디자인적으로 뛰어난 소니 제품들을 참고했다고 알려져 있다.

  • 잡스는 성공적으로 디자인된 아이폰을 통해 과거 소니의 디자인을 재해석했으며, 이에 대한 호불호도 존재했다.

  • 소니의 아이덴티티를 갖고 있는 디자인 요소가 잡스에게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일화로, 잡스가 소니 매장에서 자료를 보며 영감을 얻었다고 언급되었다.

  • 그러나 잡스는 소니의 디자인을 벗어나 자신만의 정체성을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디자이너들을 영입하며 변화를 시도하였고, 이는 후에 애플의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이어졌다.

 

 

4.5. 바우하우스의 영향과 디자인 혁신

  • 바우하우스의 설계자 헤르베르트 바이어는 에스폰 리조트를 바우하우스 식으로 디자인했으며, 폰트 디자인까지 관여하여 스티브 잡스에게 큰 감명을 주었다.

  • 바우하우스 출신의 디자이너들이 미국으로 이주하여 현대 디자인의 기초를 다졌으며, 이들의 작업이 애플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디자인의 저작권 문제가 덜 중시되던 과거, 애플의 조나단 아이브는 브라운公司的 디자인을 흉내내며 혁신적으로 변형하였고, 이는 현대 디자인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 바우하우스가 단순히 디자인 및 건축 학교에 국한되지 않고, 그 뒤에 숨겨진 잠재력과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 2019년 바우하우스의 100주년을 기념하여 디자인과 건축 분야에서 큰 이슈로 떠올랐지만, 여전히 이 학교가 가진 다양한 가치와 철학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다.

 

 

4.6. 산업혁명과 지식 혁명의 관계

  • 한국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갑자기 유행했지만, 이는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는 덜 사용된다.

  • 독일에서는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용어가 2011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이는 제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 제시되었다.

  •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은 실제로 인간의 지식 혁명에 의해 발생한 변화라며, 사람들의 창조적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된다.

  • 창조는 편집이라는 접근법을 통해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며, 편집을 통해 개인이 할 수 있는 일로 인식해야 한다.

  • 전반적으로 산업혁명 개념이 좋은 개념이 아니며, 지금까지의 담론이 사람들을 창조적이 되기 어렵게 만든다고 비판하고 있다.

 

 

4.7. 과학과 기술의 결합, 창조적 혁신의 기초

  • 산업혁명은 과학과 기술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지식이 가능하게 했음을 설명한다. 이는 이전에 전혀 다른 종류의 지식으로 분리되어 있었던 과학과 기술이 합쳐져 실용적 지식을 생성했기 때문이다.

  • 이 실용적 지식의 결합이 증기기관과 같은 혁신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며, 지식의 편집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 역사적 관점에서, 서양과 동양의 산업혁명 차이는 지식의 축적과 활용에서 비롯되며, 서양이 갑자기 앞서기 시작한 기원과 과정을 분석한다.

  • 프란시스 베이컨과 같은 인물들은 지식의 공유와 협력이 산업계몽주의의 토대가 되었다고 언급되며, 당시의 지식 공동체는 현대의 인터넷과 유사한 역할을 했음을 강조한다.

  • 또, 동양과 서양의 지혜의 차이를 언급하며, 고대인들과의 지식적 대결이 서양에서의 혁신을 이끌어냈다고 주장한다.

 

 

4.8. 동양과 서양의 과학적 발전 비교

  • 왜 동양에서는 산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았는지, 그 질문은 여전히 중요한 주제로 남아 있다.

  • 동양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결합이 어려웠고, 이는 실용적인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또한, 과거제도가 사람들의 비판적 사고를 저해하면서 발전을 방해한 것으로 분석된다.

  • 창조성과 관련된 단어들이 190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 따라서, 창조성이라는 개념이 생겨난 배경에 대해 탐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시대의 변화와 요구를 반영한다.

 

 

4.9. 창조적 사고와 교육의 가능성

  • 창조성의 이해는 1900년대 초 윌리엄 제임스의 '의식의 흐름'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인간 의식이 비자발적으로 흘러가는 본질에 대해 이야기한다.

  • '무의식'이라는 프로이드의 이론은 인간의 복잡한 생각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창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사람들이 멍할 때 가장 창조적인 사고를 하며, 천재와 비천재의 차이는 그 사고를 다시 현실로 가져올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

  • 우리의 생각은 문장과 회화적 사고의 두 차원으로 구분되며, 회화적 사고가 본질적이라는 점에서 창조성은 교육을 통해 일부 계발될 수 있다.

  • 조형적 사고 개념을 제안한 파울 클랜은 창조성을 교육 가능한 영역으로 추정하며, 교육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5. 🎨 추상화와 창의성의 관계

captureSource

  • 칸딘스키의 추상화는 인류 최초의 추상화 예술로, 1910년에 창작된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대상의 모방을 넘어 표현의 중요성을 알리는 전환점을 제시한다.

  • 사진의 발명 이후, 화가들은 대상의 묘사에서 벗어나 리프레젠테이션과 창의적인 표현으로 나아가게 되었고, 이는 음악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 창조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표현할 수 있는 상상력과 창의력이 필수적이며, 이는 칸딘스키의 추상화 예술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 바우하우스는 예술, 기술, 디자인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지식과 창조성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산업혁명과 현대사회에서의 창의력의 관계를 변혁시킨다.

  • 현대의 디자인과 기술, 그리고 창의성의 발전은 과거의 예술 운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특히 바우하우스의 전통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5.1. 칸딘스키와 추상화 예술의 탄생

  • 칸딘스키는 인류 최초의 추상화를 1910년에 제작하였으며, 이는 불과 천 년 전의 작품이 아니다.

  • 그는 러시아 출신으로 독일 뮌헨에서 활동하며, 미술의 기존 규범인 대상을 똑같이 그리는 것에서 벗어나 리프레젠테이션(표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사진의 등장은 화가들이 기존의 묘사 방식에서 벗어나도록 하였고, 이는 조형적 표현의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 음악에서도 초기 표현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무조음악의 출현으로 음악가들은 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창조할 수 있었다.

 

 

5.2. 추상화 예술과 창조적인 에너지의 중요성

  • 추상화 예술작품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상상력창의력이 필수적이다.

  •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그리기 위해서는 추상화 예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 이러한 과정은 창조적인 에너지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

  • 또한, 음악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식을 제안하며, 형태을 통해 작곡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언급한다.

  • 결국, 예술 창작에 있어 상상력창의력의 결합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5.3. 바우하우스의 예술과 기술 융합: 창조성의 새로운 패러다임

  • 바우하우스에서는 칸딘스키와 클레 등 최고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협력하여 실험적인 예술 형식을 창출했으며, 이는 문학,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경계를 허물었다.

  • 바그너는 독일어로 오페라를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예술 형식인 '음악극'을 도입하였고, 이는 바우하우스와 함께 더욱 발전되었다.

  • 바우하우스의 혁신적 접근은 재현에서 편집으로의 변화를 이끌었고, 창조성의 개념이 형성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 '취향'은 개인의 창조성과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창조성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감각의 경험이 필요하다.

  • 애플의 성공은 감각의 교차 편집과 바우하우스의 문화적 전통을 반영한 혁신적인 디자인 접근이 큰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준다.

 

 

5.4. 바우하우스의 예술과 기술 통합

  • 바우하우스는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통합을 주장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 생성된다고 설명된다.

  • 과학과 기술이 결합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점으로 언급되며, 이는 계층적인 트리 구조의 지식과 대조된다.

  • 추상화의 과정에서 편집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는 다양한 수준의 사고로 이어진다.

  • 또한, 예술가들은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기술과 예술을 융합하여 혁신적인 결과물을 창출한다고 주장된다.

  • 마지막으로, 현대 사회에서 젊은 세대는 전통적인 트리 구조의 사고보다는 더 다양한 사고방식을 추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5.5. ️ 마우스와 컴퓨터, 그리고 인터페이스의 발전

  • 마우스는 더글라스 앵글 바트에 의해 1968년에 발명되었으며, 제록스 연구소에서 실용화되었다. 이는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중요한 인터페이스로 자리잡았다.

  • 기존의 자판(쿼티 자판)은 1800년대의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있어 비합리적이며, 한국어 입력 시 불편함이 존재한다.

  • 이러한 불합리함을 해결하기 위해 마우스가 등장하였고, 그 결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개발되었다.

  • GUI의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 그래픽 처리에 GPU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인간의 조형적 사고를 잘 표현하는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 마우스는 조형적 사고를 컴퓨터 화면에서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만든 단초가 되었다.

 

 

5.6. 창조성과 감각의 교차 편집

  • 바우하우스의 감각은 현대 기술 발전에 있어 교차 편집의 토대를 제공하며, 이는 감각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소로 언급된다.

  • 현재의 네트워크 지식 혁명은 컴퓨터와 인간 사이의 인터페이스 혁명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바우하우스에서 시작된 흐름과 연결된다.

  •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음성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이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각적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 감정적인 호소는 차단해야 하며, 감각의 명확한 인지를 다루는 것이 필수적이다.

 

 

5.7. AI와 인간 상호작용의 한계

  • AI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터페이스 혁명의 관점에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은 언어와 터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언어적 신호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AI는 이러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 인간 간의 정보 전달에서 언어적 의미 구조는 7%에 불과하며, 비언어적 신호는 93%에 해당하므로 AI의 발전이 진정으로 이루어지려면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 현대의 AI는 비슷한 패턴을 반복하여 생성된 이미지나 정보에 지루함을 느끼게 되며, 이는 실제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디테일의 부족으로 이어진다.

  • 비언어적 신호와 디테일이 결여된 상호작용은 AI가 대면하는 한계로 작용하며, 이는 AI와 인간 사이의 의미 있는 관계 형성을 방해한다.

 

6. 🎨 AI와 현대 사회에서의 창조성

captureSource

  • AI가 발전하면서 창조성의 개념이 과거 100년 사이에 폭증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는 지식 혁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 그러나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인물들이 강조한 예술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차편집이라는 감각을 이해해야 하며, 이는 창조적 사고에 필수적이다.

  • 한국인의 배경적 조건은 서양인과 다른 창조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러한 차별점을 이해해야 한다.

  • 김정운 교수의 저서인 <창조적 시선>은 창조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으며, 기존의 책들보다 더욱 독창적인 내용으로 평가받는다.

  • 현대 사회에서 AI와 창조성의 관계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사고를 기르는 방법은 필수적이며, 이는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결정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날짜
HOT글 공무원 인식 너무 별로라 기분이 안좋다 ㅠㅠ 4 525 2025.05.04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13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43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26 2025.01.21
233 [GMC풀강연] 나는 우리가 될 수있는가 - 이어령 교수 file 447 2025.05.12
232 공시생 직딩은 인강밖에 없나?ㅠㅠ 585 2025.05.10
231 직장인•학생 모두 환영! 시간제등록생 안내합니다. 1 file 1358 2025.05.09
230 공무원 인식 너무 별로라 기분이 안좋다 ㅠㅠ 4 525 2025.05.04
229 다들 공부 어떻게하나요 816 2025.04.30
228 이거 천재들은 보통아이들과 다른점이래. 멘사회장이 직접 유튭에서 말한거야 1 file 635 2025.04.04
227 경계선 지능, '이 증상' 보이는 사람이라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1 file 758 2025.04.03
226 내 능력을 확장시키는 '진짜 메타인지' 방법 | 리사 손 콜롬비아대학교 바너드칼리지 심리학과 교수 | 인생질문 273회 file 596 2025.04.02
225 요즘 컴활 2급 실기 많이 어려워..? 3 415 2025.03.24
224 IQ로 인간의 지능을 판단하면 안 되는 이유| 하워드 가드너 명강의 몰아보기 위대한수업 file 643 2025.03.22
223 대한민국 교수들은 뭘 전공한건데? / 김정운, 이어령, 최재천의 아마존 2 file 907 2025.03.21
» 김정운 교수의 창의성 특강 요약 file 917 2025.03.21
221 21학번인데 중동 지원했다... 2 10110 2025.03.07
220 공시나 중요한 시험 봐본 사람 있어? 3 10136 2025.03.07
219 헐 나 공부잘하는애들은 그런거없을줄알았는데 ㅋㅎ5 3 9994 2025.03.07
218 교수님들 1학년 과목에 3학년 있으면 좀 다르게 보는 거 있지…?ㅋㅠ 2 10042 2025.03.07
217 진짜 합격이 간절한 너에게 알려주는 1. 합격점수 세팅법 file 7759 2025.02.23
216 작년 합격생인데 혹시 질문 있니 2 7645 2025.02.23
215 나보다 아가리 공시생인 사람 못봤어..... 진지하게 조언 부탁해 3 7699 2025.02.23
214 덬들! 혹시 독서실/스카에서 뚱뚱하다는 소리 들은 적 있니? 2 7684 2025.02.23
213 덬들은 공시준비 왜 해? 3 7526 2025.02.23
212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부터 넥서스까지! 3 file 256 2025.01.26
211 ㅇㅂㅌ 좀 많이 먹어도 부담 안되는 간식 뭐가 있을까? 2 132 2025.01.26
210 자녀대학 선택고민 한양대 약대 & 카이스트 4 93 2024.12.27
209 혼자 독학으로 영어 프리토킹 뿌신 방법 알려줌 2 153 2024.12.10
208 노베이스에서 1년 안에 무.조.건 회화 외국인처럼 할 수 있는 법 공유함 2 file 89 2024.12.10
207 수리논술 최저 2합 4인곳은 실질경쟁률 어느정도 떨어져? 1 78 2024.09.21
206 고3이 재수 생각하면서 "재수하면 더 좋은 대학 갈 수 있겠지?” 라고 기대하는 심리 2 82 2024.09.21
205 수능 국어 고민(밑에 3줄요약 있습니다 2 71 2024.09.21
204 고대 공대 vs4년 장학금 이대 공대 4 80 2024.09.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