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현대인의 행복 추구
-
현대 사회에서 인간은 외부의 위협에서 벗어나고 내면의 목소리를 따라 행복을 추구하지만, 여전히 권태감과 허무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이 이성으로 행복을 쟁취하려 하지만, 실제로는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
-
이성의 한계
-
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의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이성은 본능적인 감정과 본능을 제어하지 못한다. 감정과 본능이 인간의 진정한 주인이다. 행복을 추구할 때도 감정이 큰 역할을 한다.
-
-
도파민의 역할
-
도파민은 단순한 쾌락과 행복과 연관되지 않으며, 예측된 보상에 대한 기대감과 관련이 있다. 도파민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을 때 더 크게 분비되며, 예측 불가능한 보상에 더 큰 변화를 일으킨다. 특히 유튜브 쇼츠와 같은 소폼 콘텐츠는 끊임없이 도파민을 자극하여 사람들을 중독시킬 수 있다.
-
-
도파민과 중독
-
도파민은 쾌락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기대감을 주는 물질이다. 과도한 자극은 중독을 유발하며, 결국 뇌는 자극에 점점 더 민감해지면서 과도한 자극을 계속 추구하게 된다. 이로 인해 행복은 더욱 멀어지고, 내면의 갈망은 심해진다.
-
-
진정한 행복을 위한 조언
-
도파민 디톡스는 일시적인 해결책일 수 있지만, 무조건적인 자극을 피하는 것보다 자기 절제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행복은 단기적인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과 자기 절제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
-
고통과 쾌락의 균형
-
사람들은 고통과 쾌락의 균형을 찾는 것을 선호한다. 극단적인 행복이나 고통은 불쾌하지만, 적당한 고통과 도전은 쾌락을 더 강하게 만든다. 이는 '온실에서 벗어나 고생을 해야 한다'는 말로 요약될 수 있다.
-
결론: 진정한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도파민의 자극에 의존하기보다는 자기 절제와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해야 한다.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0 | 2024.11.04 | 28533 | |
공지 |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 2025.01.21 | 22662 | |
753 | 일반 |
철학자 김재인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한권의책]
![]() |
2025.04.28 | 862 |
752 | 일반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제3부 12 #니체 #차라투스트라 #오디오북 #철학 #책읽기
![]() |
2025.04.28 | 870 |
» | 일반 |
내 맘대로 사는데 왜 사는 게 고통일까? | 행복의 역설 | 뇌과학
![]() |
2025.04.28 | 853 |
750 | 일반 |
“시골의사 박경철의 초 레전드 영상“ | 내 인생의 W를 찾아라 | 120만뷰 1+2+3편 통합 집대성
![]() |
2025.03.19 | 747 |
749 | 일반 | 시골의사 박경철의 독서공감 | 2025.03.19 | 744 |
748 | 일반 | 니체의 정신이 붕괴된 진짜 원인 | 19세기 의료기록 속의 충격적 진단 | 2025.03.14 | 1473 |
747 | 일반 | 자기계발서 끊임없이 읽는 덬? 4 | 2024.12.26 | 100 |
746 | 일반 | 유럽 인문학과의 만남 2 | 2024.12.12 | 81 |
745 | 일반 | 도갤에서 자주 언급되진 않지만 참 좋은 문학 몇편... | 2024.12.12 | 87 |
744 | 일반 | 불교 입문 서적 추천 좀 2 | 2024.12.12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