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운영자와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서버를 어떤걸 사용하느냐 라는 질문에
서버용을 사용하는 사람은 30%정도되시는것같고, 나머지사람들은 일반데탑이나 nas를 쓰는것 같습니다.
서버라는게, 사실 안정된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것이 정석입니다만,
굳이 서버용을 사용할 필요는 없는것같습니다.
저같은 경우 데스크탑용으로 나온 부품을 조립해서 3년째 굴리고있으니까요~
아직까지도 별탈없이 잘 돌아갑니다.
간혹, 문제가 생길지 모르는 부분이 있어서 3가지는 항상 염두해두고있어요
1.데이터 백업 (언제 죽을지 모르는 저장디스크)
2.파워는 주기적으로 2년에 한번씩 갈아줄 생각입니다.
3.다운타임/업타임 체크, 서버 에러로그 기록, 리퍼러 및 트래픽 조회
접속하는 사용자를 몇명으로 잡느냐에 따라 cpu와 메모리용량이 정해집니다..
아니면 그때그때 늘리셔도됩니다
100명대를 유지중이시라면 팬티엄 G3~4시리즈 혹은 i3 2~4세대면 충분할것같아요
메모리는 8GB로 시작하시구, 저장디스크는 도시바쪽 하드 1TB 아니면 SSD도 좋습니다
HDD는 서버용으로 분류된 제품을 쓰시는게 좋을것같구요. 안정성문제
SSD는 서버용은 따로 없지만 상세설명부분을보면 컨트롤러라는 부분에 마벨이라고 적혀있으면 서버용으로 적합한것으로 생각됩니다. 제가 이렇게 쓰고있어요.
이것저것 조합한 부품 전부 tdp (설계전력) 의 총합을 더하세요. 거기에 x2 정도 하시면
파워서플라이의 정격출력량이 정해집니다.
서버용으로 사용할 데탑이 정해지면, 리눅스를 쓸지 윈도우를 쓸지 정하셔야합니다
리눅스를 선택했다면 centos를 선택할지, 우분투를 선택할지, (이외에도 5개는 넘는 버전이..)
주로사용하는건 위 두가지입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정하셔야할게 원격으로 제어할지, 서버데탑 자체에 모니터를 달아서 사용할지 선택하셔야하구요.
저는 우분투를 사용중인데 GUI없이 터미널로만 하시는분도있고
GUI 환경에서 운용하는분도 계십니다.
----설치과정-----
서버용: http://studyforus.tistory.com/233
일반용 GUI: http://freeprog.tistory.com/19
우분투 서버 초기설정 가이드
http://www.shako.net/blog/ubuntu-server-14-04-initial-setup-guide/
이외에도 설치한 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이나
모니터링 툴도 설치해서 스마트폰과 연동을 하거나 하는 방법등등을 구글링을 통해 숙지하시면됩니다.
방법이 딱히 정해진게 아니고 제각각 사람마다 원하는 방법도 다르고 스타일도 다르기에...
중요한점은 이렇게 운용을 하는사람이 많지 않은것같습니다
외국 포럼자료실에서 영문자료를 찾아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많습니다 ㅜㅜ 저같은경우
정보 공유하실분들은 함꼐 나눠보아요
질문을 자세히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선에서는 도와드릴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