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3 추천 수 0 댓글 0

시바 이거 일은 벌려놨는데 보통 힘든게 아니네.
괜히 시작 했다 이거;
도움이 되는지도 모르겠고




어찌 됬든간에 그 뒤로 양난(임진왜란,병자호란)때문에 토지 황폐화같은 이유로 농촌 사회가
겁나 힘들어지는데 그것때문에 나온게 대동법과 균역법이다.
대동법은 방납의 폐단과 모순을 막기 위해서 생겨난 제도인데, 이것 덕분에 민생이 그나마 안정됬고,
균역법은 군역의 부담이 과중되서 군역의 폐단을 막기 위해서 생겨난 제도인데

대동법과 균역법은 꼭 필수로 외워야한다.
대동법은 방납의 폐단과 모순을 막기위함. 이라고 외우고 만약 민생이 안정됬다라는 얘기 나와도 대동법임.
군역의 부담이 과중됬다는 얘기 나오면 균역법이란거 떠올려야하고.
이 두개는 주관식 객관식 할거 없이 자주 나온다. 필수 암기

조선후기에 대해서는 암기 요소만 얘기해서 될게 아니라 전체적인 뉘앙스를 알아야함.
조선 후기에 대한 전체적인 사화 배경에 대해서 묻는 문제도 많기떄문에 그렇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신분제도 자체가 흔들리기 시작하는데 다들 아는 공명첩이 이때부터 생겨남.
양반들은 주구장창 책만 읽고 하다보니 가난했고 중인이나 농민중에서도 부자 농민인 부농이 그 양반들에게서
양반 족보를 사들이기 시작한거임. 그렇다보니 후기에 가서 신분제도가 그때 양반이 많아지기 시작했음.

그와 동시에 "세도 정치"가 이뤄지는데 이게 무엇이냐면 특정 가문의 정권 독점으로 인해
정치가 매우 편파적으로 흘러갔어.민생이 어지러웠던건 덤이고.
특정 가문, 안동 김씨, 풍양 조씨가 독점적으로 왕위를 차지했는데 철종까지.
다 외워 둘 필요는 없고 "특정 가문이 왕을 정치에서 배제하고 권력을 행사 했던 정치형태"라고
물어본다면 그게 바로 "세도 정치"라는걸 기억해라.
특정 가문~~~ 정치 형태 이러면 바로 세도 정치.

그 후에 고종때 개화기가 오는데, 고종의 업적보다는 흥선대원군의 역할이 중요하다.
왕보다 더 왕같은 역할을 한 왕의 아버지인데,흥선대원권이 한 일로써는
경복궁 증건,비변사 철폐하고 의정부의 기능 회복. 서원을 철폐 그리고 서양과의 통상 수교를 거부한 쇄국정책 정도 있겠다.
->흥선대원군 역할중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건 경복궁 증건,의정부 회복. 쇄국정책은 흥선대원군하면 딱 떠오르는거니까.

개화기때 쯤에 일본과 서양들이 자꾸 교류를 외쳤는데 거절하면서 펼쳤던게 위정척사운동.
그런데 그 후 서양인들이 일으킨 병인양요-프랑스 와 신미양요-미국 이 일으킨 전쟁때문에
우리의 전통적인 사상->동도를 지키면서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자는 동도서기론이 제기됨.
->자잘한게 필요없고 위정척사운동은 서양과 교류를 거절한거.
동도서기론은 서구의 문물을 수용하는 운동. 이거 두개중 하나 고르라는 문제가
나올 수 도 있다.

그렇게 갑오개혁으로 인해 개화기가 오는데 갑오 개혁의 내용을 좀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갑오개혁에 여러가지 내용이 있겠지만 제일 중요한건 문벌차별과 계급을 타파 하는것.이게 아마 제일 중요한거 같다.

그리고 천주교 사상이 도입되다보니 이곳저곳에서 평등 사상을 요구하는 운동이 생겼는데
이 운동중에 딱 두개만 외워.
홍경래의 난 과 동학 농민 운동.
홍경래의 난의 포인트는 몰락한 양반인 홍경래가 다른 농민,상인등등과 함께 일으킨 봉기라는거.
동학 농민 운동은 인내천 사상을 바탕으로 일어난 농민 운동이라는거.

대한제국 시대에서 일제강점기로 넘어가면. 강화도 조약부터 시작해서 일본이 존나 간섭을 함.
강화도 조약은 최초의 불평등 조약이란거 기억하고.
일본 새끼들이 그때 당시에 간섭질 했던걸 시대 순서로 나열해보면
방곡령->토지조사 사업->산미증식계획->병참기지화 정책 이런 순인데
방곡령은 신경 안써도 되는데 토지 사업부터는 좀 볼 필요가 있어.

1910년대 토지사업 조사는 일본 새끼들이 토지 조사한다면서 토지 약탈해간거고
1920년대 산미 증식 계획은 일본이 식량이 부족해서 식량 털어간거고
1930년대 병참기지화 정책은 일본이 군수 시설이라던지 군수 자원때문에 시행한 정책이라는거.


그외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겠지만 일제가 지랄한거는 이정도만 봐도 괜찮을듯.
이제 다음이 근대화및 현대화 시작인데, 그 부분은 내용 긴거 없음.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31 2023.02.26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3 updatefile 25860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ㅇㄷㅇ원격평생교육원 문의 1 362 2023.02.26
3417 고졸 학점은행제 경영학 전문학사 취득 도움 부탁드립니다! ㅠ.ㅠ 249 2023.02.26
3416 학교 휴학 후 학은제로 학점 인정 가능한가요? 297 2023.02.26
3415 군대 입영 연기 착잡합니다 도움이 필요해요.. file 281 2023.02.26
3414 행정관리사 3급 file 253 2023.02.26
3413 과제를 어떻게해야하나요 .. 274 2023.02.26
3412 학은제 처음 들어요 .. ㅎ 266 2023.02.26
3411 체육학 과목이 원래 이리 비싼가요??ㄷㄷ 플래너 상담받은 가격 268 2023.02.26
3410 결정하기 힘든데 도와주실분 232 2023.02.26
3409 안녕하세요 40대 기사자격 질문드립니다.고졸 210 2023.02.26
3408 학은제 도와주세요 ㅠㅠ 잘모르겠네요 278 2023.02.26
3407 선배님들 전기공학 플랜 질문있습니다 208 2023.02.26
3406 도와주세요ㅠㅠ 231 2023.02.26
3405 계산해보니까 학점 1점 부족한거 같은데 270 2023.02.26
3404 근데 이 사람들은 플래너야?? 317 2023.02.26
3403 제 학점은행제 지금 이런 상태입니다 266 2023.02.26
3402 독학사 1단계 교재 추천 가능할까요? 203 2023.02.26
3401 학점은행제 끝 243 2023.02.26
3400 형들 학점은행제 고민상담좀 해줘,... 188 2023.02.26
3399 위더스랑 휴사평같은 저렴한곳 혹은 플래너 없이 하는 사람들 242 2023.02.26
3398 플래너를 잘만나야 하는 이유 file 243 2023.02.26
3397 평점 4.5 받는 팁들 정리.txt 287 2023.02.26
3396 매경은 후기니 공부법이니 이딴거 올릴 가치도 없는 시험 214 2023.02.26
3395 독학사 순공 15시간 후기 220 2023.02.26
3394 평생교육원 직원이 말하는 평생교육원의 현실.txt 140 2023.02.26
3393 학은제로 연고대 편입 도전!! 374 2023.02.26
3392 학점은행자 학습자신청 정보 나중에 수정 되나요?? 214 2023.02.26
3391 출석률이 상관이 있음? 211 2023.02.26
3390 규르르 177 2023.02.26
3389 학은제 비용 245 2023.02.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