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18 추천 수 0 댓글 0


I. 경제 이론(30문제 중 23문제 복기)

 

 

1. 서로 무관한 경제용어와 속담

정답 : 시장실패 - 금강산도 식후경

다른 선지 : 현재가치와 미래 가치 - 조삼모사

2. 물가 변화 방향이 다른 하나

정답 : 생산성 증가(물가 하락)

다른 선지 : 원자재 가격 증가(물가 상승), 기대인플레이션율 증가(물가 상승)

3. 독점 시장 그래프에서 후생손실의 크기

정답 : C+E

4. "파산 위기 은행에서 저축한 돈을 빼내야 하지 않음?" →  "국가가 일정 금액은 줄 거임"

정답 : 도덕적 해이

다른 선지 : 구축효과, 롱테일 법칙, 하이퍼 마켓

5. 기회비용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

정답 : 과거 투자 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사업을 과감히 중단(기회비용이 아닌 매몰비용에 관한 설명)

6. 환율 상승의 효과로 옳은 것

정답 : 해외여행 감소(하나 더 있었는데 기억이 안 남)

7. 계절별 전기요금 변화를 설명하는 용어

정답 : 가격차별

8. GDP에 포함되지 않는 것

정답 : 세금

다른 선지 : 정부지출, 수출

9. 짐바브웨에서 코끼리 소유자에게 부여하는 것

정답 : 재산권

다른 선지 : 저작권, 상표권

10. 통화승수 공식

정답 : 통화량 ÷ 본원통화

11.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정답 : 자본 이동이 자유롭다고 가정하면 변동환율제도에서 독자적인 통화 정책 가능

12. OPEC과 같은 과점 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

정답 : 상품이 동질적(과점 시장은 상품이 이질적)

13. 긍정적인 경제로 볼 수 있는 것

정답 : CDS 프리미엄 낮아지는 것

14. 관세를 높일 때 나타나는 효과로 틀린 것

정답 : 자원의 효율적 분배(효율적 분배가 아닌 비효율적 분배)

15. 외부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정답 : 독감 예방주사는 사회적 편익이 사적 편익보다 큼(독감 예방주사는 긍정적 외부효과)

16.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대상 지표가 근원물가지수(대상 지표는 소비자물가지수)

17. 장기적 관점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의 결과로 옳은 것

정답 : 물가 증가, 산출량 일정

18. 주주행동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단기이익추구가 아닌 장기 성장을 목표(장기 성장이 아닌 단기이익추구)

다른 선지 : 경영투명성 제고, 부실책임 추궁, 자사주 매입 및 매각 요구

19. 규모의 경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생산물이 다양함(규모의 경제가 아닌 범위의 경제에 관한 설명)

20. 필립스 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이 모두 줄어듦(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모두 변화하지 않음)

21. 광의통화(M2)의 값

정답 : 1400(표 위에서부터 4개 더한 값)

22. 주식과 채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회사 입장에서 주식은 부채에 해당(부채에 해당하지 않음)

다른 선지 : 주식에는 만기가 없음, 채권이 주식보다 안정, 채권은 확정이자 확보 가능, 주식과 채권 모두 시세 차익 확보 가능

23. 단기비용함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조업중단점에서 정상이윤 발생

II. 시사 경제•경영(30문제 중 29문제 복기)

1. EU 탈퇴 국가

정답 : 영국

2. 최근 3개월 실업률의 이동평균, 지난 12개월과 비교, 경기 침체

정답 : 삼의 법칙

다른 선지 : 2080법칙

3. 2025년 최저임금

정답 : 10,030원

다른 선지 : 10,150원

4. 금리 낮은 일본 엔화 활용

정답 : 엔 케리 트레이드

5. 미국 지도 북동부

정답 : 러스트 벨트

6. 국가와 주가지수를 잘못 연결한 것

정답 : 독일 – CAC 40(독일이 아니라 프랑스)

다른 선지 : 영국 - FTSE 100, 미국 - S&P 500, 일본 - 닛케이지수, 홍콩 – 항셍지수

7. 한국에서 원전을 수출한 국가로 남부에 두코바니가 있는 곳

정답 : 체코

다른 선지 : 호주, 폴란드, 헝가리, 오스트리아

8. 경제 역사 순서 맞히기

정답 : A형 기준 ㄱ. 대공황(1929) → ㄴ. 달러화 금태환 정지(1971) → ㄹ. 플라자 합의(1985) → ㄷ.동아시아 경제위기(1997)

9.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업계의 판도를 뒤바꾸는 사람이나 기업

정답 : 게임 체인저

다른 선지 : 인프라스트럭처

10.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미리 짜는 계획

정답 : 컨틴전시 플랜

11.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시장 등에 상장되지 않은 주식

정답 : 장외주식

다른 선지 : 전환주식

12. 주가 폭락 방지제도

정답 : 사이드카, 서킷 브레이커

13. 75주년 기념사진, 소련에 대한 군사적 방어, 스웨덴이 32번째로 가입

정답 : NATO

다른 선지 : BRICS, NAFTA

14. 적대적 M&A에 관한 방어수단 아닌 것

정답 : 무상감자

다른 선지 : 황금주, 포이즌필, 백기사, 황금낙하산

15. 분산 투자를 하는 이유

정답 : 리스크 헤지

16. BDI, SCFI, CCFI, HRCI의 업종

정답 : 해상운임업

다른 선지 : 항공업, 제조업

17. 마켓 관련 학생들의 대화로 틀린 것

정답 : 주식 증가 - 베어 마켓(주식 증가가 아니라 하락)

다른 선지 : 니치마켓, 오픈마켓

18. 세제 그림, 화면에 속임수를 써서 소비자에게 착각을 일으키는 것

정답 : 다크 패턴

다른 선지 : 사이드 렉카, 인터플라넷

19. 스스로 회사 설립 후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상황

정답 : 간접금융, 상업은행

다른 선지 : 직접금융, 투자은행

20. 한정 수량 마케팅

정답 : 헝거 마케팅

21. [(지방세+세외수입)/일반회계 세입]×100의 의미

정답 : 재정자립도

다른 선지 : 재정자주도, 관리물가지수, 통합물가지수

22. 정치가 경제를 휘두르는 현상

정답 : 폴리코노미

23. 미국의 연방거래위원회에 대응되는 한국의 기관

​​

정답 : 공정거래위원회

24. 만 15세가 넘었지만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

정답 : 비경제활동(인구)

​​

25. 농업 관련 인플레이션

정답 : 애그플레이션

26. 법률과 기술을 결합한 것

정답 : 리걸테크

27. 외국인 사진, 세율이 증가한다고 세수가 항상 증가하지는 않는 것

정답 : 래퍼, 래퍼 곡선

28. 기업들이 서로 가격을 낮추는 것

정답 : 치킨 게임

29. 씨티그룹 관련 적절한 신문 기사 제목

정답 : 팻 핑거 클릭 - 씨티그룹 벌금 부과

III. 상황 추론•판단(20문제 중 17문제 복기)

1. 도산 위기 대기업을 계속 살리는 것

정답 : 대마불사(대마는 대기업, 불사는 죽이면 안 된다)

다른 선지 : 대기만성, 교각살우, 괄목상대

2. 서울교통공사에서 무단결석 노동업자 해고

정답 :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 본인•대리인 문제, 감시•감독

3. 상속세 찬반 견해에 관한 해석으로 틀린 것

정답 : 상속세 찬성은 비례세, 상속세 반대는 누진세(상속세 찬성은 누진세, 상속세 반대는 비례세)

4. Y재의 대체재 X재 가격 상승의 효과

정답 : Y재 수요 증가로 가격 증가, 거래량 증가

5. 포괄적 네거티브

선지(정답 모름) : 규제 샌드박스, 규제 그밖의 영역은 허용, 직무급제보다 호봉제가 유연, 연금 연령 인상시 사회재정이 좋아짐

6. 한강의 기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위주로 발전(중소기업이 아닌 대기업 위주로 발전)

7. 생애주기 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소득과 소비가 만나는 C점에서 소득이 0(소득이 아니라 저축이 0)

8. 2019년 2024년 부채비율 그래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부채비율이 80%이상인 국가 수가 늘어남(그래프에서는 2개에서 1개로 줄어듦)

9. 수요량 - 가격 - 공급량 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최저임금제 실시하고 나서 가격이 상승(가격 상승이 아니라 하락)

10. 변호사나 플랫폼 등이 다른 사업을 밀어내는 것과 비슷한 역사

정답 : 붉은 깃발법(마차 사업이 자동차 사업을 밀어냄)

11.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증여세 그래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2023년에는 법인세 비중이 가장 크고(법인세가 아닌 부가가치세 비중이 가장 큼), 2024년에는 부가가치세 비중이 가장 큼

12. 실업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실망노동자가 생기면 실업률이 증가(경제활동인구와 실업자가 모두 줄면 실업률도 감소)

13. 미국의 최대 고용과 물가 상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정답 : 최대 고용을 달성하면 물가는 상승

14. 공공재 관련 투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공공재 비용 120, 갑의 효용 80, 을의 효용 35, 병의 효용 25)

정답 : 갑은 찬성•을과 병은 반대(공공재 비용을 3으로 나누면 40인데 40보다 효용이 큰 사람은 갑), 공공재 쓰면 순수 효용 20(총효용 140 - 총비용 120)

다른 선지 : 다수결 투표에 의하면 공공재가 도입됨(3명 중에 2명이 반대하므로 도입되지 않음)

15. 지니 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지니계수가 0.35에서 0.3으로 변한 것은 더 불공평한 소득 분배를 의미(지니계수는 작을수록 공평한 소득 분배를 의미)

다른 선지 : 5분위분배율은 1에서 무한대의 값을 가짐, 5분위분배율은 (최상위 20% 평균소득) ÷ (최하위 20% 평균소득)

16. 로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오답 선지(정답 선지가 기억 안 남) : 개인의 권리를 가장 중요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정부를 만듦,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

17. 건강보험 누적 적자 그래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정답 : 2036년~2042년 구간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음(증가율이 아니라 증가액)​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07 2023.02.26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51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46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1 2025.01.21
3418 잡담 매경 이번 난이도 170 2020.07.19
3417 잡담 매경 왜케 어렵냐 182 2020.07.19
3416 잡담 학점은행 중단하고 그냥 4년제 대학 늦었어도 가려고 하는데.. 3 406 2020.07.19
3415 잡담 학습자 등록 할때 말이야 공인인증서 범용이어야 해? 1 83 2020.07.19
3414 잡담 컴공 정처산기 소방2 컴활2 가능? 2 137 2020.07.19
3413 잡담 소방 1과목 2과목 차이가 뭐임? 2 44 2020.07.19
3412 잡담 와 메가 심리학 중간 헬이다 1 119 2020.07.19
3411 잡담 매경 어려웠어 ㅋㅋㅋ 구라아님 1 143 2020.07.19
3410 잡담 에라이 책구하기도 힘들고 그냥 책없이 시험볼란다 1 81 2020.07.19
3409 잡담 혹시 현역때 언어2등급, 외국어8등급 이렇게 극단적이었던사람있냐? 1 69 2020.07.19
3408 잡담 독학사 3단계는 확실히 난이도가 있다. 2 395 2020.07.19
3407 잡담 나 8월달에 한경 특시 볼껀데 서울밖에 없나? 1 34 2020.07.19
3406 잡담 테셋 매경 텔마중 어떤게 제일 쉬움? 2 211 2020.07.19
3405 잡담 학사님들앙 139학점에서 못따길바래요~~ 106 2020.07.19
3404 잡담 한울시험 컴한개로 교안이나 구글링가능함? 79 2020.07.19
3403 잡담 한울 교육심리학 망함 64 2020.07.19
3402 잡담 편입 정원 많이 준다고 들었는데 1 68 2020.07.19
3401 잡담 경영전문학사 전공 45학점 맞춰야 하는데 2 115 2020.07.19
3400 잡담 독학사 합격하고 싶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92 2020.07.19
3399 잡담 학은제로 의치한수 학사편입 되나요? 2 152 2020.07.19
3398 잡담 학은제 시작하려는데 플래너 고르는 법 좀 ㅠ 1 139 2020.07.19
3397 잡담 질문)학은제로 전문대 간호 신입학하려는데 2 133 2020.07.19
3396 잡담 학은제 한과목당 2만원 이하로 들을수 있는 곳 잇음? 2 144 2020.07.16
3395 잡담 학위취득 신청하고 바로 학위연계?이거 해도 상관없나요 1 40 2020.07.16
3394 잡담 학점은행제 처음인데 이렇게 하는거 맞아 형들??ㅠㅠ 1 180 2020.07.16
3393 잡담 한경테셋 500제 3 253 2020.07.16
3392 잡담 플래너들은 왜 계속 인정받으려고 하는지 모르겠음 1 97 2020.07.16
3391 잡담 플래너는 왜 끼는거임? 3 195 2020.07.16
3390 잡담 독학사3단계 지금 시작해도 가능? 3 264 2020.07.16
3389 잡담 독학사 3단계 이거 교재 개쓰레기네 2 188 2020.07.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