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3 추천 수 0 댓글 0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주차 1차시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이해
1.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이해
1) 인간의 이해
(1) 미시적 접근
- 인간 자체에 초점
- 유기체의 구성 요인과 유기체적 기능
- 예) 현미경으로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 / 게놈연구와 생명공학
(2) 거시적 접근
- 환경과 인간 사이의 관계
- 사회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
- 예) 망원경으로 우주 천제를 관찰하는 방법 / 인간과 포플러의 유전자 차이
2) 인간행동의 이해
(1) 환경 속의 인간 (person-in-environment)
· 인간행동은 내면의 사고 및 감정과 외부 환경의 의해 영향 받음
·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이해
- 개인을 둘러싼 환경 내에서 이해
- 복잡한 체계 내에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특정한 행동이 유발
- 능동적 주체로서의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관계를 통합된 주체로 파악
(2) 인간발달의 이해
· 신체-심리-사회적 요인이 통합된 전체로서의 인간으로 이해
· 수정에서 사망까지의 전 생애에 걸친 성장, 성숙, 노화의 발달과정
(3) 인간성격의 이해
· 인간행동은 인간의 성격에서 비롯됨
· 행동의 사실적인 기술(description), 원인의 설명(explanation), 미래의 예측(prediction)
· 행동의 바람직한 변화와 통제의 대안
3) 인간행동 이해의 필요성
(1) 인간관계를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유지시키는 역할 향상
· 효율적이고 질적인 인간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로서의 기능
(2) 집단성원의 만족도와 자발적인 참여를 증대
· 집단의 목표달성과 집단의 효율성을 극대화
(3) 국가 사회복지정책이나 사회복지서비스 개혁의 효율성을 증대
· 사회정의와 공동체의 복지증진에 기여
(4) 사회병리현상의 사전예방
· 사회문제와 개인문제의 사전예방 및 해결
- 1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에 대한 사회복지의 관련성
1) 전문적인 업무 수행
· 전문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인간의 욕구, 문제예방 및 해결
· 인간의 질 높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원조
· 정의롭고 공평한 사회변화를 위한 역할 및 사명
2) 정확한 이해
· 환경의 분리된 존재보다 환경 속에 있는 존재(person in environment)로 이해
·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이해
3) 인간과 환경의 통합된 주체로서 인식
· 능동적 주체로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을 파악
4) 전문 지식과 이론에 의한 영향
· 욕구와 문제를 어떤 이론에 근거하여 규정과 개입하는가에 따라 영향 받음
·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에 대한 기초지식과 기술을 학습
· 자신이 활용하는 특정이론의 유용성을 비판적으로 평가 · 수용해야 함
· 다양한 이론과 기술을 학습 및 절충 사용
- 2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주차 2차시 인간발달과 성격의 이해
1. 인간발달의 이해
1) 발달의 정의
① 신체, 정서, 지능 따위가 성장하거나 성숙
② 수정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변화의 양상과 과정
③ 전 생애의 신체, 심리, 사회적 측면에서 나타난 체계적, 연속적, 상승적, 퇴행적 변화과정
2) 인간발달의 주요개념
① 성장 (growth) : 신체크기, 근육의 세기 등의 양적증가
② 성숙 (maturation) :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달하는 생물학적 과정
③ 학습 (learning) : 직접, 간접의 경험의 산물, 경험과 훈련에 의해 영향 받는다
④ 발달 :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 전반적인 변화
3) 발달의 특성
① 일생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체계적인 변화
② 신체, 심리, 사회적 영역에서 일어나는 전체적 변화
③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동시에 포함
- 발달의 양적변화는 크기 또는 양의 변화
- 발달의 질적 변화는 본질, 구조, 비율, 기능의 변화
④ 상승적 변화와 퇴행적 변화를 모두 포함
⑤ 안정성과 변화를 동시에 포괄하는 과정
- 변화를 전제로 한 안정과 안정을 전제로 한 변화가 역동적으로 발생
4) 인간발달의 원리
①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짐
② 전생애에 걸쳐 이루어짐
③ 민감기 또는 결정적시기가 있음
④ 일정한 순서와 방향이 있음
- 상부, 두부(head)에서 하부, 미부(tail)의 방향
- 중심부위에서 말초부위로 진행
⑤ 연속 또는 불연속과정을 거쳐 이루어짐
⑥ 점성적 원리를 따름
⑦ 속도는 일정하지 않으며, 개인차가 존재함
⑧ 신체, 심리, 사회영역에서 총체적으로 일어남
- 3 -


발달 단계
발달 과업
영유아기
(출생~7세)
① 보행 학습, ② 고형분의 음식 섭취 학습, ③ 언어학습, ④ 배설통제 학습, ⑤
성차 인식, ⑥ 생리적 안정 유지, ⑦ 환경에 대한 단순 개념 형성, ⑧ 타인과의
정서적 관계 형성 학습, ⑨ 양심의 발달
아동기
(7~13세)
① 놀이에 필요한 신체기술 학습, ② 자신에 대한 건전한 태도 형성, ③ 또래친구
사귀는 법 학습, ④ 성역할 연습, ⑤ 일상생활에 필요한 개념 학습, ⑥양심, 도덕,
가치체계의 발달, ⑦ 사회집단과 사회제도에 대한 태도 발달
청소년기
(13~19세)
①자신의 신체 및 성역할 수용, ② 동성 또는 이성 친구와의 새로운 관계 형성,
③ 부모와 다른 성인으로부터의 정서적 독립, ④ 경제적 독립의 필요성 의식, ⑤
직업 선택 및 준비, ⑥ 유능한 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지적 기능과 개념 획득, ⑦
사회적 책임에 적합한 행동, ⑧ 결혼 및 가정생활의 준비, ⑨ 과학적 세계관에 근
거한 가치체계의 발달
성인기
(19~40세)
① 배우자 선택, ② 배우자와의 생활방법 학습, ③ 가정 형성, ④ 자녀양육과 관
리, ⑤ 시민으로서의 의무 완수, ⑥ 친밀한 사회집단 형성
중⋅장년기
(40~65세)
① 사회적 의무의 완수, ② 경제적 표준생활 확립과 유지, ③ 10대 자녀의 훈육
과 선도, ④ 적절한 여가 활용, ⑤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 유지, ⑥ 중년기의 생
리적 변화 인정 및 적응, ⑦ 노년기 부모에의 적응
노년기
(65세~)
① 신체적 건강 쇠퇴에의 적응, ② 은퇴와 수입 감소에의 적응, ③ 배우자의 사망
에 대한 적응, ④ 동년배와의 유대관계 재형성, ⑤ 사회적 시민의 의무 수행, ⑥
생활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의 조성

발달 단계
세부 단계
연령 구분
태내기
수정~출생 전
영아기
신생아기
출생~1개월
영아기
1개월~3세
유아기
걸음마기
3~5세
학령전기
5~7세
아동기
7~13세
청소년기
13~19세
성인기
청년기
19~30세
성년기
30~40세
중⋅장년기
40~65세
노년기
65세 이상


인간행동과사회환경
5) 인간발달 단계
6) 발달과업 : 인간 발달 단계별 주요 발달 과업
7)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
(1) 인간발달의 공통적인 주제
① 태아기로부터 노년기까지의 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생의 각 단계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4 -


구분
인간 발달 단계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중⋅장년기
노년기
사회
복지
분야
사회
보장
공적
부조
국민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기초연금


사회
보험
연금보험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고용보험


사회
서비

영⋅유아보육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여성복지
- 17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주차 2차시 심리사회이론
1. 심리사회이론의 주요개념
1)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관점
(1) 전생애 발달 강조
- 영아기, 유아기 중심에서 청소년기, 성인기, 노년
④ 독자
- 형제가 없어 응석받이 자랄 수 있음
- 자기중심적, 소심, 의존성이 강함
- 노력 없이도 관심받기 때문에 자신에 대해 과장됨
- 성장하면서 관심의 주요대상이 아니라는 것 깨닫게 됨
(5) 사회적 관심
- 인간의 행복과 성공은 사회와 관련됨
- 사회 일원이고 소속에 욕구가 인간행동의 기본
- 소속되지 못하면 불안 발생,
- 자신의 가치를 타인이 수용하지 못한 경우 두려움 발생
- 사회적 관심에 따라 열등감과 소외감이 감소
(6) 창조적 존재
- 개인은 유전과 환경의 그 이상의 산물
- 자신의 도식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계하며 살아감
(7) 가상적 목적
- 한스 바힌거(Hans Vaihinger), 믿음의 철학


“과거의 경험보다는 미래에 대한 믿음에 대한 기대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 개인의 행동을 이끄는 마음속의 중심 목표


- 현실에서 검증되거나 확인될 수 없는 가상의 목표
- 주관적, 정신적으로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이상
- 우월성의 추구 및 생활양식의 지침이 됨.
- 가상의 목표
① 자기 결정적


② 자신의 창조력에 의해 형성
③ 각 개인에게 독특한 것임


2) 애들러 개인심리학의 성격발달


(1) 생활양식의 형성


- 열등감과 보상에 의해 결정


- 4세~5세경에 생활양식이 주입되어 후에는 거의 변하지 않음
- 열등에 대한 보상적 노력을 하여 열등감을 극복하고 우월성을 추구
-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 긍정적 생활양식 : 실패를 무릎 쓰고 노력하고 훈련에 열중하여 독립적인 존재가


되려는 경향


㉯ 부정적 생활양식 : 용기 상실, 깊은 열등감, 상식무시, 삶의 중요과제 회피 등을 보이는


경우


(2) 유아기의 성격발달

- 가족 성원들 사이의 관계와 분위기


등이 매우 중요


- 아동의 출생 순위에 따라 독특한 성격 형성


- 병적 열등감 유년기 때 시작됨 : 보상시도가 성공하지 못하였을 때


- 30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어릴 적 병적 열등감의 3가지 환경 : 기관의 결함, 응석받이, 방임된 아이
(3) 우월적 추구
- 각 개인에게 달려 있고 5세부터 시작
- 환경을 잘 통제할 수 있도록 권력, 힘을 성취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남
① 긍정적인 경향 : 공익에 관한 관심이나 타인을 행복하게 하려는 이타적인 목표
② 부정적인 경향 : 배타적 이기주의, 권력집착, 허세 등
(4) 환경의 영향
- 사회적 관심의 발달은 어머니, 가족, 타인 순서의 진실한 관심으로부터 발달함.
- 개인은 환경을 주관적으로 파악하여 주관적 신조나 믿음에 따라 행동
(5) 창조적 자아 형성
-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성격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있다고 봄
- 개인은 창조적 힘을 가지고 능동적 선택에 의해 자기 삶을 결정


- 환경이 그들에게 반응하도록


만드는 창조적 존재


- 지각, 기억, 상상, 환상, 꿈에 영향을 주어 자기 결정적(자주적) 사람이 되게 만듦


3) 개인심리학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1) 개인심리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 사회복지실천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


- 인간을 통합된 전체로 보고 개인은 가족, 공동체와 관련됨
- 사회적 관심


① 사회적 상황에 반응하려는 타고난 성향
② 긍정인 사회적 적응의 주요근거
③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


- 생활양식을 바꾸도록 원조 (재정향 reorientation)
①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의 동등하게 친밀 관계형성
② 생활양식과 목표 발견


- 가족구도, 초기회상, 역설적 의도, 단추 누르기, 자기 간파 등 활용 : 치료적 통찰
- 클라이언트의 해석을 통해 자기이해와 통찰 축진 : 재정향
-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방향을 갖도록 원조


(2) 상담 및 실천기법


① 수프 엎지르기 (수프에 침 뱉기)


- 클라이언트의 문제행동에 대해 대가를 보여주는 것


- 자기 패배적 행동의 감추어진 동기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그 유용성을 감소시킴
클라이언트 : 모든 것을 다 바쳤는데 승진에서 탈락시키다니 그만 두어야 겠어요.
사회복지사 : 자기 결정권이 있으니 그렇게 해 보세요
클라이언트 : 저더라 그만 두라고요?


사회복지사 : “그만두면 안되죠?” 라는 말을 듣고 싶어 하는 것 같아요 그러다 결과가 나쁘


면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돌릴 수 있으니까요.


- 31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② “마치 그런 것처럼” 행동하기
- 특정 상황에 처해 있다고 행동하게 만드는 기법


- “만일~할 수만 있다면”라고 말할 때


“마치 그런 것처럼” 역할연기를 하도록 지시


클라이언트 : 아버지에게 말을 걸기가 너무 힘들어요. 아버지의 나쁜 점을 말해주고 싶은데


너무 떨려요


사회복지사 : 아버지에게 말을 거는 일이 힘든가 보네요. 다음 상담 때까지 아버지에게 나쁜


점을 찾아내는 일에 자신감이 넘치고 아버지에게 그런 점에 대해 자연스럽게 설
명할 수 있는 아들처럼 행동해보세요


③ 즉시성


- 이 순간에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다루는 기법


- 사회복지사가 현재의 느끼는 점을 표현함으로서 클라이언트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
- 여기, 지금에서 일어나는 클라이언트의 말과 행동의 모순점을 즉시 지적하는 기법


클라이언트 : 남편에게 제 말에 귀 좀 기울이고 제가 말하는 것에 관심 좀 가져달라고 말하고


싶어요. 그렇지만 들은 척도 안할 거예요


사회복지사 : 남편에게 자신의 말에 귀 기울려 달라고 말하고 싶다고 하시지만 작은 목소리와


시선은 아래와 향하고 있어서 남편이 당신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을 거라고 믿
는 것을 전달하려는 것처럼 보여지네요


④ 격려


- 자신감을 갖도록 용기를 불어 넣어 주는 것


- 우울, 불행, 분노를 겪는 것은 성할 수 있다는 능력과 자기 신뢰가 부족하기 때문
클라이언트 : 제가 하는 일이 잘 안되어서 요즘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요. 어떻게 하면


잘되는지 잘 알고 있는데 주변 사람들 때문에 잘 안되거든요


사회복지사 : 하고 있는 일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계신가 보네요 그 방법을 들어보


고 싶어요


⑤ 역설적 의도


- 특정한 사고나 행동을 과장하게 만들어 봄으로써 증상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함
-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자신의 행동을 덜 매력적으로 만들어 버림


클라이언트 : 제가 아내로부터 가장의 대접을 받으면 별 문제가 안 되겠지만 아내가 잔소리를


하면 나를 무시하는 것 같아서 화기 치밀어 올라요


사회복지사 : 근데 왜 화가 계속적으로 나지 않을 까요 ? 가장으로 인정받을 때에도 한번 화를


내어보세요 자 시작해볼까요?


⑥ 단추 누르기


-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통제하도록 하는 기법


- 긍정과 부정의 단추를 누를 것은 자기 자신에게 달렸다는 법


- 32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사회복지사 : 눈을 감고 즐거웠던 일을 생각하면서 감정을 느껴보세요. 이번에는 불쾌했던
기억을 떠올리면서 어떤 느낌이 드는지 주목해 보세요. 자 두 가지 일에 드는
느낌의 차이점을 느껴보세요 어떤 것을 선택하고 싶으세요?
⑦ 자기모습 파악하기 (자기 간파)
- 원치 않는 행동할 때 “그만” 외치며 자기경멸 없이 패배적 행동과 비합리적 사고 중단
- 행동의 선택권이 자신에게 있음을 깨닫고 자기 패배적 행동을 제거가 유익함을 알게 됨
클라이언트 : 화가 나면 눈에 아무거도 보이지 않아요. 이성을 잃고 사고칠까봐 염려되고요.
사회복지사 : 눈에 아무 거도 안보이고 이성을 잃을 때 마음속으로 “난 어떤 일이 벌어질 수
있으니 난 다르게 행동할거야”하면서“그만”이라고 외쳐 보세요
2. 분석심리이론
1) 융의 분석심리이론의 주요개념
- 프로이드와 융은 무의식을 강조하나 약간의 입장 차이 보임
- 무의식의 균형과 조화를 강조
- 개인적/사회문화적 원형이 갖는 힘의 상호작용을 고려
- 내향성-외향성 개념을 통하여 성격에 대한 이해.
- MBTI 등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
(1) 자아 (ego)
- 의식적 지각, 기억, 감정, 사고 등으로 구성
- 자신에 대한 의식뿐 아니라 외부에 대한 지각까지도 포함
- 의식의 개성화 과정에서 생겨남
① 의식 : 개인이 직접적으로 알 수 있는 정신의 부분
② 개성화
- 타인과 구분되거나 개별화되는 과정
- 고유한 자기만의 모습을 갖추어 나가는 것
-개성화와 자아가 협력 ⇒ 개별적 성격 발달
(2) 개인적 무의식(personal unconsciousness)과 콤플렉스(complex)
① 개인적 무의식
- 상실된 기억, 억압된 불쾌함 등 의식에 올려지지 않은 것
- 자아와 작용되어 꿈으로 나타남.
② 콤플렉스
- 개인적 무의식 속의 공통된 주제를 가진 감정, 사고, 기억 등의 조직된 덩어리
- 전적으로 무의식이거나, 의식 못하게 되는 상대적 무의식임.
- 의식의 질서를 일시적이나 장기적으로 교란
- 자아는 콤플렉스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모름.
-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해 발견, 중요한 영감과 충동의 근원이 됨.
- Mother complex(연상의 여인) : 성격이 어머니에 의해 지배됨
- 신 콤플렉스 : 광신도(콤플렉스가 인격을 점령),
- 33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과 원형(archetypes)
① 집단무의식
- 유전되어 잠재된 기억의 저장소로 모든 사람이 공유
- 조상의 방식을 세계를 경험하고 반응하는 소질, 잠재가능성을 전달하는 무의식
예) 뱀 공포, 어둠에 대한 공포, 여러 민족의 공통된 신화, 예술, 종교
- 무의식의 잠재적 이미지는 세계 속의 대상들과 동일시되어 의식화됨.
② 원형
- 동류의 것들이 만들어지게 되는 근본모델
- 집합무의식의 내용물, 원시적 잠재적 이미지
- 내용이 없는 형태로서 존재
예) 출생, 재생, 죽음, 권력, 어린이, 신, 나무, 태양, 달, 반지, 무기
- 전 세계 모든 유아에게는 공통된 어머니의 원형이 유전됨
- 어머니의 원형은 어머니의 모습과 행동, 경험에 따라 변화
(4) 페르소나 (persona)
- 자아의 가면으로 개인이 외부세계에 내 보이는 이미지
- 개인이 대중에게 보여주는 겉모습
- 사회의 인정을 받기 위하여 좋은 인상을 주려는 의도가 내포됨
- 개인은 페르소나에 의해 자기 자신의 것이 아닌 성격을 연출
- 자아와 페르소나를 동일시하면 내면세계로부터 유리될 위험.
(5)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
- 인간은 생물학적/심리적으로 양성적 특질을 가지고 있음
- 유전적인 성차와 사회화로 반대 성의 특질이 억압, 무의식속에 존재
① 아니마 : 무의식속에 감추어진 남성의 여성적 특질
② 아니무스 : 무의식속에 감추어진 여성의 남성적 특질
- Anima/ Animus의 위축⇒ 페르소나를 우선시 한 결과
- 아니마의 최초의 투사 → 어머니. 아니무스 →아버지
- 여성상이나 남성상을 형성하여 이성을 선택하는 기준
- 성숙되기 위해서는 내부의 여성성이나 남성성을 이해하고 개발
(6) 그림자 (Shadow)
- 자신의 성을 대표하며 동성인 사람과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원형
- 동물적 본성을 많이 포함, 가장 강하며 가장 위험한 원형
- 길들이기 위해서는 강한 페르소나가 필요함
- 즉각적 결단과 반응이 필요한 경우 그림자가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
- 생명력, 활기, 창조력, 강인성의 원천
- 그림자를 거부하면 무미건조한 성격이 됨.
(7) 자기 (self)
- 집단무의식 속의 중심 원형
- self는 질서, 조직, 통일의 원형임.
- 자기 원형은 중년이 되어야 드러남(개성화를 통하여 성격이 충분히 발달한 후에)
- 자아가 의식세계의 중심이라면 자기는 의식과 무의식의 전체속에서 중심
- 34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 융의 생물학적 발달단계
(1) 아동기 : 출생~사춘기
- 유아기는 본능에 의해 지배되며 자아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시기
- 초년의 생존을 위한 활동에 리비도의 영향을 중요시
- 5세 이전 성적 리비도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청년기에 최고로 도달
(2) 청년 및 성인초기 : 사춘기~약40세 전후
- 외적/신체적으로 팽창하는 시기
- 자아가 발달하고 외부세계에 대처하는 능력 발휘
(3) 중년기
- 잘 적응하고 만족감을 얻는 시기
- 가정과 사회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고 경제적으로 안정
- 절망과 비참함을 경험 할 수 있는 시기
- 개성화 : 중년기 자아를 외적/물리적 차원에서 내적/정신적으로 전환
- 페르소나, 아니마, 아니무스 등 나타남
(4) 노년기
- 명상과 회고가 많아지고 내면적 이미지가 큰 비중을 차지
- 죽음 앞에서 생의 본질을 이해하는 시기
- 죽음의 불가피성을 받아들이고 온정을 베풀고 보람 있는 삶을 위해 노력하는 시기
- 내세에 대한 원형적인 이미지에 대한 어떤 모습을 얻으려고 노력
3) 분석심리이론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1) 정신건강에 대한 관점
① 건강한 사람
- 자기인식을 통해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자기실현을 이룸
- 건강한 사람과 정신병리자는 심리상태가 서로 다르지 않다고 봄
② 정신병리
- 자기실현을 향한 개인의 성장이 멈춘 것
- 자기 자신을 모르는 상태이고 정신의 전체성에서 벗어난 상태
- 개성화 과정이 진행되지 않아 무의식적인 자기의 본능을 이해 못해 자기소외현상 경험
(2) 치료목적
- 정신을 자기조절체계로 보고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봄
- 내면세계의 목소리와 요구를 듣고 내면의 삶을 탐색하여 성격을 확장
- 자기인식의 증진과 무의식의 의식화를 도모하는 개성화에 목적을 가짐.
- 상담자의 확실한 목적, 목표보다 클라이언트의 내면속의 창조의 싹을 분화, 발전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가 클라이언트의 자기 인식과 치유를 촉진하는 역할
- 사회복지사는 행동주체보다 클라이언트의 발전과정을 함께 체험
- 분석심리치료과정 : 고백 ⇒ 명료화 ⇒ 교육 ⇒ 변형
(4) 치료적 기법
① 단어연상검사
- 35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머리, 푸른, 개구리, 씻는다 ’등의 100개의 자극단어를 불러줌
㉯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를 대답 하게 하여 반응시간과 반응하는 단어를 기록
㉰ 검사가 끝난 후 내담자가 느낀 감정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 기법
② 생애사 재구성기법
- 과거경험을 회상하도록 하여 증상, 병리의 발달유형을 파악하여 생애를 재구성한 기법
③ 전이분석
- 사회복지사에게 투사한 전이감정을 분석하여 개인사, 무의식 원형의 집단무의식을 파악
- 클라이언트의 자기지각과 자기실현을 조장 하는 치료기법
④ 확충법
- 어떤 주제가 탐색될 때까지 같은 상징들을 계속해서 재평가하고 재해석하는 기법
- 36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4주차 1차시 인지이론
1. 피아제의 인지이론
1) 피아제의 인지이론의 주요개념
(1) 인지이론의 인간관
- 장 피아제(Jean Piaget, 1896-1980), 스위스 발달심리학자
•인간은 매우 주관적 존재이며 개인이 나름대로 의미하는 주관적 현실만이 존재
•개인의 행동이나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개인의 주관적 현실을 이해하여야 함
① 인지 (cognition)
-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고, 활용하는 높은 수준의 정신과정
- 일정한 자극을 조직하여 지식을 얻는 심리적 과정
- 사고, 지각, 기억, 지능, 언어 따위를 포함하는 정신과정
② 인지이론의 인간관
-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존재 (성장가능성)
- 사고하는 합리적 존재 (인간의 의식에 초점)
- 인간이 환경을 어떻게 지각하고 인식하는가에 중점
(2) 주요개념
① 도식 (schema)
-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이나 개념
- 주어진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체계
- 환경과 접촉하는 행동과 경험 속에서 정신적 발달과 함께 변화
- 최초의 도식은 반사적 행동(빨기, 잡기, 보기 등)
- 아동의 도식은 성장함에 따라 조금씩 확대되고 분화되어 어른 인지적 도식에 도달
② 순응 (adaptation)
-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도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
- 동화와 조절의 두 하위과정을 가짐
③ 동화 (assimilation)
- 새로운 사물, 사건을 자신의 이해의 틀에 맞춰 해석하고 받아들인 인지과정
- 동화란 도식의 양적인 변화
④ 조절 (accommodation)
- 기존의 도식으로서는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기존의 도식을 변경하는 것.
- 도식의 형태에 질적인 변화
⑤ 평형 (eguilibrium)
- 동화와 조절의 균형
- 개인의 인지구조와 환경간의 균형상태
- 생득적인 경향성, 피아제의 주요한 동기 개념
⑥ 조직화 (organization)
- 신체적 또는 심리적인 과정들을 일관된 전체로 조합하려는 경향 (도식의 결합)
- 쥐어주면 잡기 ⇒ 팔을 뻗어서 잡기
- 37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대상에 초점 맞추기 ⇒ 대상을 따라 눈을 움직이기
- 유목화 : 하위범주를 상위범주로 통합
2) 피아제 인지이론의 발달단계
- 인지발달은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적응과정
- 단계적으로 성취되며 발달의 순서는 불변하나 속도차이는 존재
- 4단계 :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1) 감각운동기
① 제1단계 : 반사기 (0~1개월)
- 빨기, 울기 등 반사활동이 주요 도식
- 입에 닿는 물체를 빪으로써 빨기 도식 연습 및 대상을 동화
- 젖을 찾기 위해 머리를 움직이는 등 조절도 시작
② 제2단계 (1~4개월 : 1차 순환반응)
- 1차 : 유아의 관심은 자신의 신체에 있음
- 순환반응 (circular reaction) : 아기가 우연히 일어난 흥미를 끄는 행위를 반복
- 도식간의 연합이 이루어짐(조직화)
- 손가락 빨기, 소리 나는 방향으로 눈을 돌림(눈, 귀 협응)
- 변별 : 우유는 힘차게 빨지만 아닌 것은 거부
- 순환반응의 목적은 기존도식의 수정
③ 제3단계 (4~10개월 : 2차 순환반응)
- 2차 순환반응 (secondary circular reaction)
: 아기가 외부의 흥미로운 사건을 발견하고 반복하려 하는 것
- 자신의 행동이 외부에 미친 영향에 관심(사회적, 인지적으로 외향적이 됨)
- 물체에 따라 시선이 움직임
- 대상영속성 개념이 발달
※ 대상영속성: 특정대상이 관찰되지 않아도 계속 존재, 시야에서 사라진 것을 찾으려 함
④ 제4단계 (10~12개월 : 2차 도식의 협응)
- 하나의 결과를 얻기 위해 두 개의 분리된 도식을 협응
- 수단-목적적 행동 : 알고 있는 도식을 새로운 문제에 적용, 결과를 예견함
- 얼굴표정 모방, 미리 사태를 예견
예) 치우고 잡기
⑤ 제5단계 (12~18개월 : 3차 순환반응)
- 새로운 결과를 얻기 위해 행동을 반복
- 외부세계에 대한 실험적이고 탐색적인 접근
- 높은 수준의 조작을 통해 새로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새로운 도식을 형성
⇒ 불가능하면 사건을 관찰, 실험, 시행착오를 거쳐 새로운 도식을 발달시킴
⑥ 제6단계 (18개월~2세 : 사고의 시작)
- 머릿속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을 구성
- 개념적 상징적 영역이 발달(모래를 먹는 흉내 ⇒ 맛있다고 함)
- 지연모방 : 이전에 관찰하였던 성인의 행동을 모방하여 문제해결
- 38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전조작기에 일어나는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의 초석
- 연합성(associativity) 원리와 가역성(reversibility) 원리
※ 연합성 : 상호 연결된 여러 길을 통하여 한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
※ 가역성 : 물질이 어떤 상태로 변하였다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성질.
예) 의자, 소파를 돌아가서 밑의 공을 찾음
(2) 전조작기
- 2~7세 사이
- 개념적, 상징적 양식으로 전환되는 시기이나 조작능력에는 한계가 있음.
- 정신수준은 비체계적, 비논리적
① 보존개념 형성되지 않음.(동일성, 보상, 역조작의 개념 미발달)
※ 보존개념 : 수·양·길이·면적·부피 등이 바뀌어도 그 속성을 유지한다는 이해능력
② 유목화 개념 부족
※ 유목화 :사물을 기준에 따라 위계적으로 분류
③ 자아중심성 : 자신의 관점에서 사물이나 사태를 파악
④ 상징놀이 : 베게 ⇒ 아기, 나무토막 ⇒ 자동차
⑤ 물활론 : 모든 것이 살아있다고 생각
⑥ 타율적도덕론 : 정의와 규칙은 변하지 않는 것, 의도보다는 결과를 중시
⑦ 조작 : 정보의 전환을 이해하는 능력이며, 추리의 출발점으로 돌아갈 수 있는 가역적
사고능력
⑧ 비가역성: 어떤 일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 보는 논리적 능력
(3) 구체적 조작기
- 6-11세 사이
- 구체적 대상에 대한 논리적 조작 가능
- 추상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논리적용 불가
- 보존개념의 획득
- 두 가지 차원을 고려하여 판단하고 통합할 수 있는 능력
- 자아중심성 극복
- 자율적 도덕관 : 규칙은 상호합의 하에 변화할 수 있음.
- 유목화 가능
(4) 형식적 조작기
- 11세에서 성인기까지
- 직접 경험 없이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음.
- 가설을 설정하고 연역적 추론을 통해 검증할 수 있음
예) A>B이고 B>C이면 A>C이다.
예) 석탄이 흰색이라고 가정하자
- 문제해결을 위해 체계적으로 가능한 조합을 차례로 시도
예) 진자문제 : 진자무게(3가지), 실의 길이(3가지)의 진동요인 찾기
- 39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진자운동(문제): 고정된 한 축이나 점의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운동
-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면 지각적 경험, 과거와 미래의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
- 자아중심성의 형태가 다시 나타남, 이상에 심취하여 현실 무시
예) 자신에게 환경을 맞추려 함, 자신의 관점과 환경집단의 관점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함.
2. 엘리스의 인지이론
1) 엘리스 인지이론의 주요개념
(1) 엘리스이론의  기본가정
-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투스(Epictetus)
“우리를 당황하게 하는 것은 우리에게 일어난 사건보다 그 사건을 보는 우리의 관점”
- 인지치료 창시자 앨버트 앨리스(Albert Ellis)
“인간의 감정, 행동은 일어난 사건에 대한 인간이 갖는 신념의 결과”
① 인간은 합리적일 수도 있고 비합리적일 수도 있음
② 인간들은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 
③ 인간의 감정과 문제는 개인의 비합리적인 사고의 산물
④ 성격발달이란 합리적인 신념에 좌우
(2) 주요개념
- 인간은 외부자극에 의해 수동적 반응과 심리내적인 힘에 의해 결정되지 않음
- 인간행동은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의 결과
예) 3분도 집중 못한 과잉행동장애 아이의 부모에게 지적보다 교사의 칭찬(“3분씩이나”)
① 자기대화 (self-talk)
- 모든 정서문제의 원인은 그 상황에 대해 자신의 자기대화에 영향 받음
- 외부사건의 변화 없이 자기대화로 정서와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음
② 합리적신념 (rational belief)
- 우리의 행동을 객관적 현실에 근거하여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통제
- 다른 사람과의 불필요한 갈등을 피하고, 편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사고
③ 비합리적신념 (irrational belief)
- 우리의 안정된 삶을 방해하고 많은 정서적․사회적 문제를 야기
- 어린 시절부터 부모나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
④ 성격형성
- 성격을 형성하는 기본요소가 일상적인 일련의 자기대화로 봄.
-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자동으로 자기대화를 통해 새로운 신념으로 형성하고 감정과 행동
사건 → 자기언어 → 감정 → 행동
2) 엘리스 인지이론의 발달단계
(1) 합리적 정서치료
- 인간의 부정적 감정 및 행동은 비합리적 신념에서 비롯됨.
- 인간의 사고와 정서(감정)은 상호관계
- 인간의 정서와 행동은 사고에서 비롯됨.
- 40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인간의 절대적인 평가를 하려는 경향
예) 반드시 ~해야 한다, ~가 아니면 안 된다 ~해서는 안 된다
- 비합리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비합리적인 사고를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짐
① 왜곡된 사고


- 가족문화, 양육태도에 의해


획득


- 사실보다 더 나쁘게 평가하여 과장되고 허황된 결론
예) 시험에 낙방하여 앞으로 성공할 수 없다는 생각


- 발생해서는 안 되는 일이 발생하면 행복할 수 없는 생각
예) 그 사람과 헤어지면 내 인생은 끝장이야


- 자기 판단에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했을 경우 자신, 타인을 비난, 매도
예) 내가 그런 일을 하다니 나는 정말 못난 인간이야...
② 비합리적 신념


- 인정의 욕구 : 모든 사람으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받아야만 한다는 믿음
- 과도한 자기 기대감 : 모든 영역에서 완벽하게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는 믿음
- 비난 성향 : 해를 주는 사람은 나쁘고 야비해서 반드시 처벌해야 한다는 믿음
- 좌절적인 반응 : 일이 뜻대로 안될 때 인생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는 믿음


- 정서적인 무책임 : 인간의 불행은 외부환경 비롯되며 그것을 통제할 수 없다는 믿음
- 과도한 불안 : 위험하고 두려운 일은 항상 신경 써야하고 발생 가능하다는 믿음
- 문제를 회피 : 어려움이나 책임을 직면하기보다는 회피하는 것이 더 쉽다는 믿음
- 의존 : 자신이 의존할 수 있는 강한 누군가가 필요하다는 믿음
- 무력감 : 과거의 영향에 벗어날 수 없다는 믿음


- 지나치게 다른 사람을 염려하기 : 다른 사람의 어려움에 매우 신경 써야한다는 믿음
- 완전 무결주의 : 모든 문제는 완전한 해결책이 있으며 찾지 못하면 파멸이라는 믿음


(2) 인지치료


- 벡(A Beck)은 우울증 환자는 왜곡된 사고, 인지적 오류에 의해 발생
- Ct가 가지고 있는 특정한 믿음과 사고는 미래에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
① 자동적 사고


- 순간순간 머리에 떠오르는 사고, 이미지
예) “이건 너무 어려워 ”
② 핵심믿음체계


- 개인의 왜곡된 편견을 형성하는 근간
예): “나는 무능해“
③ 도식 (schema)


- 정보를 받아들이고 조직화하는 인지구조로써 개인 발달 초기단계의 패턴
④ 인지적 오류


- 임의적 추론 : 충분하고 적절한 증거부족임에도 불구하고 결론을 도달
예) 이번 여행에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거라는 확신


- 선택적 요약 : 맥락에서 벗어나 세부사항에서 초점을 두는 것
예) 저녁외출이 즐거웠으나 외출 중 15분간 다툰 것을 중요시함


- 41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과잉 일반화 : 연관되지 않은 것을 결론으로 끄집어 내는 것
예) 개똥이만 나를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이 나를 싫어한다는 생각
- 극대화, 과소화 : 사건을 축소, 확대함
예) 내가 지금까지 이 자리에 오른 것 10년 걸렸지만 누구나 이정도 할 수 있어
- 개인화 : 적절한 원인 없이, 부정적인 상황/사건을 개인에게 연결시키는 것
예) 만약 내가 했더라면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을
- 이분법적 사고 : 실패, 성공을 흑/백으로 구분하는 경향
예) 이일이 실패하면 나는 완전히 가치 없는 사람이야
3) 개입과정 : ABC 모델


Accident


(실제사건)



Belief


(신념체계)



Consequence


(결과)



Dispute


(논박)



Effect
(효과)

마음에 든
소개팅


남자로부터
전화가 오지
않음


내 마음에 든
남자로부터


전화가 없는 건
있을 수 없다
여자 먼저


전화하면 만만한
여자로 봄


화나고,


불안하고,


신경질적임.


-왜 끔직한지?
-왜 일어나서는
안되는지


-내가 먼저
전화하면
안되는지


실망스럽고


화나고 기분이
나쁘지만


재앙은 아니다


4) 사회복지실천 기술


(1) 인지적 기법


①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기


- 상황, 사건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지각과 자기진술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여줌
㉠ 당신의 신념에 대한 증거는 어디에서 근거하는지?


㉡ 삶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다고 해서 왜 무섭고 끔찍한지?
㉢ 당신이 그 상황을 참아낼 수 없다는 것이 어디에 쓰여 있는가?


㉣ 당신이 행동하는 방식 때문에 왜 자신이 잘못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지?
㉤ 당신이 생각하는 나쁜 상황이 일어난다고 해서 그것이 파국적인 상황인가?
② 인지적 과제주기


- 자신의 절대론적 신념과 문제 목록표를 만들어 줄이기 운동
㉠ “~ 해야만 한다” 줄이기 과제


㉡ “~ 하지 않으면 안된다” 줄이기 과제
③ 내담자 언어변화 시키기


- 내담자의 언어패턴이 왜곡된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중의 하나다.


- 42 -


~ 해야만 한다.


당연히 해야 한다.


하지 않으면 안된다.


만약 00한다면 그것은 정말 끔찍한 것이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그렇게 되면 더 낫겠다.


~하고 싶다.


만약 00한다면 좀 불편할 것이다


(2) 정서적 기법


① 합리적 정서 상상 : 최악의 상황중 하나를 상상하게 하여 그 상황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감정을 적절한 감정으로 변화시킴


② 유머사용 : 긴장감을 해소하고 너무 진지하게 생각하여 유머감각을 상실하여 정서적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박하고 논박


3.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1)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강조 : ‘상황 속의 인간’에 대한 개입
(2) 인지를 정서와 행동의 매개요인으로 이해


- 아동과 가족, 부모훈련, 아동학대, 물질남용에서 회복된 사람들


- 부부스트레스, 이혼상담치료, 불안장애, 기술훈련, 스트레스관리, 건강문제에 적용
(3) 위축되고 박탈된 집단의 권한부여 접근의 근거


(4) 우울증, 낮은 자존감, 자아고갈 된 사고와 행동의 클라이언트에게 유용
- 불안장애의 심리상담 및 치료와 조사를 다룬 광범위한 연구에 사용


(5) 교육적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인 신념으로 바꾸도록 원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4주차 2차시 행동주의이론
1. 행동주의이론의 주요개념
1) 행동주의 인간관
① 환경적, 기계론적 존재
- 내적인 힘보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행동 (정신분석과 반대)
예) 유전적 요인은 행동예측이 가능하나 조작은 불가능
- 인간행동은 결과(보상, 처벌)에 의해 유지 됨(기계론적)
- 예측가능 및 통제될 수 있다고 가설
② 학습이론
- 인간행동의 대부분은 학습에 의해 수정된다는 기본전제
- 자극과 반응에 의해 학습, 수정되는 인간행동이 연구의 초점
예) 인지, 감각, 본능은 내성적, 관념적이므로 과학적 연구대상이 될 수 없음
- 선행하는 사건(선행요인) 뒤이어 일어나는 사건(결과)에 발생
예) 선행요인의 자극을 조정함으로 결과인 반응(행동)을 통제할 수 있음.
2) Skinner의 행동주의의 기본가정
① ABC 패러다임
- 인간의 행동은 환경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 되고, 강화에 의해 결정됨
•A : 행동 이전에 일어나는 사건
•B : 관찰가능 행동(심리 생리적 반응, 인지, 감정 포함)
•C : 특정 행동의 결과
* 사건 ⇒ 행동 ⇒ 결과
② 인간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없음.
③ 외적강화에 의해 행동이 학습되고 수정됨.
3)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기본가정
① 인간행동은 환경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 됨
- 개인의 인지적 요인과 다른 내적 사건들에 의해 중재되어 최종행동이 결정
② 자기효율성을 성취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규제
③ 본보기 행동이나 대리적 강화에 의해 새로운 행동의 학습(창출)
- 외적강화 없이 새로운 행동의 학습이 힘듦
4) 행동주의 이론의 주요개념
(1) 강화 (reinforcement)
- 이전의 행동을 늘리는 것
- 강화는 행동재현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
① 정적강화
- 특정 행동 뒤에 그 행동에 강화하는 긍정적인 사건, 결과
- 44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즐거운 결과를 낳게 하여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강화
- 바람직한 행동을 한 후 보상(강화물) 주어 그 행동을 강화시키는 방법
예) 방을 깨끗이 청소한 아이에게 엄마가 칭찬하는 것
예) 말을 잘 들으면 맛있는 과자를 주는 것
- 강화의 원리








강화물은 조건 없이 준다.


강화물은 계획된 행동에 직접 준다.
강화물은 일관성 있게 준다.
강화물은 즉각적으로 준다.


강화물을 필요한 만큼 충분하게 준다.
강화물은 과학적인 관점이 있어야 한다.


② 부적 강화


- 행동에 수반되는 불쾌한 자극을 없애는 것


- 혐오적 결과를 제거하여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강화
- 어떤 행동을 한 후 나쁜 상태를 제거


- 어떤 행동을 한 후 회피하고자 한 자극을 피할 수 있다면 그 행동은 증가 됨
예) 과제를 잘 수행한 사람은 오늘 대청소에서 빼주겠다
예) 무더울 때 옷을 벗으면 더위를 피하는 경우


예) 안전벨트의 부저가 차 문이 열리면 시끄러운 소리 낸 경우


(2) 일차 및 이차 강화물
① 일차 강화물


- 배고픈 사람에게 음식, 목마른 사람에게 물(강화물은 학습과 무관)
예) 돈, 음식, 사탕, 성행위, 옷, 등으로 제공되는 강화물
② 이차 강화물


- 일차적 강화물과 연결되어 강화력을 가지게 된 자극
예) 갓난아이에게 젖을 주면서 보여 주는 엄마의 웃음
※ 사회적 강화물과 물질적 강화물


- 사회적 강화물 : 사회적 승인, 미소, 타이의 관심, 칭찬 등으로 제공되는 강화물
- 물질적 강화물 : 사회적 강화물과 연결된 점수, 돈, 선물 등


(3) 처벌 (Punishment)


- 특정 행동에 뒤따르는 결과 중에서 행동재현 가능성을 낮추는 것
① 혐오적 자극의 제시 (제시 벌)


- 혐오적인 자극을 제시함으로 행동재현 가능성을 낮추는 것
- 불쾌한 자극을 가하는 것


예) 아이가 한 말에 대해 엄마가 얼굴을 찌푸리는 것
예) 신호위반에 부과된 범칙금
② 유쾌한 자극의 철회 (제거 벌)
- 유쾌한 자극을 없애는 것


- 45 -

자극의 종류
제시
철회
유쾌한 자극
정적강화

음식, 칭찬, 상, 안아주기
기쁨과 만족을 주는 것을 제거
혐오적 자극

부적강화
신체적 고통 , 야단치기
고통스런 결과를 주는 것을 철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유쾌한 자극을 철회시킴으로 행동재현 가능성을 낮추는 것
예) 학교과제를 마치지 못했을 때 약속된 컴퓨터 게임을 할 수 없게 하는 것
예) 타임아웃(time out)
(4) 처벌의 종류
① 정적처벌 : 반응 후에 혐오적 자극이 제시되는 것
예) 동생을 때리면 엄마한테 맞음
② 부적처벌 : 반응 후에 매력적인 자극이 제거되는 것
예) 동생을 때리면 용돈을 뺏거나 밥을 굶김
(5) 강화와 벌
(6) 강화계획
- 행동증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강화물을 제시하는 빈도
① 연속적 강화계획
-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강화물을 주는 것(초기 단계에 유용)
- 처벌, 소거의 영향을 받아 행동을 유지하기에 좋지 않음
② 간헐적 강화계획
-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그 행동을 강화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강화
㉮ 고정비율 강화계획
- 어떤 특정한 행동이 일정한 수만큼 일어날 때 강화를 주는 것
- 규칙적으로 보상을 주기 위해 정해진 수의 반응이 일어날 때 강화
예) 100만개 돌파 성과급
㉯ 가변비율 강화계획
- 평균 몇 번의 반응이 일어난 후 강화를 주는 것
예) 카지노 자동도박기계, 로또, 제비뽑기 등
㉰ 고정간격 강화계획
-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에 일어나는 특정한 순서에 강화 하는 것
- 반응에 대해 정해진 시간간격이 지난 후 강화
예) 주급, 월급, 정기적 시험
예) 자녀에게 한 과목 문제풀이를 끝낼 때마다 한 번의 간식을 제공
㉱ 가변간격 강화계획
- 일정한 시간 간격이 없이 평균을 중심으로 변화시킴
예) 지정된 날이 없는 한달 용돈, 한 학기 2번의 불시 시험
- 46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7) 행동조성 (행동형성)
- 복잡한 행동, 기술을 학습시키는 과정
- 점진적으로 행동을 만들어 가는 과정
- 바람직한 행동을 확립하고자 할 때 사용
예) 유아 대소변 훈련 시 “응아” 소리 ⇒ 바지내리기 ⇒ 변기앉기 ⇒ 배설하기 ⇒ 물내리기
(8) 모방
- 다른 사람이 행동하는 것을 보고, 들으면서 그 행동을 따라한 것
- 공격적 행동, 이타적 행동, 불쾌감을 주는 행동은 관찰을 통해 학습
- 모방의 원리 (반두라)
① 위대하다고 생각되지 않은 사람보다 위대한 사람을 더 모방한다.
② 이성보다 동성을 더 모방
③ 돈, 명예, 명성이 높은 사람을 더 모방
④ 벌을 받은 모델은 거의 모방하지 않다
⑤ 연령, 지위, 자기와 비슷한 모델이 상의모델보다 더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
(9) 관찰학습
- 한 사람(관찰자)의 행동이 다른 사람(모델)의 행동을 관찰한 후 변화하는 학습
① 주의집중단계
- 어느 것을 선택적으로 지각하고 어느 것을 습득할 것인가를 결정
- 주의집중이 없으면 관찰학습은 일어나지 않음
예) 칵테일파티 효과
- 주의집중의 결정요인






자기 자신과 가까운 정도


모델의 행동의 기능적 가치(functional value)
모델의 개인적 매력


대중매체에서 제시되는 모델


② 파지단계


- 기억할 수 없다면 행동변화 일어나지 않음.


- 언젠가 모델로부터 본받은(modeled) 내용을 장기간 기억하는 것.
- 2가지의 내적표상체계- 심상, 언어


- 모델행동을 기억하며 다음 행동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수단.
- 시연(리허설)은 검토와 실천을 포함한 효과적 기억법




기호적 부호화 :모델자극을 관찰 후 모델행동을 상징적 기호로 부호화하는 것
인지적 조작화 : 언어적 부호화를 통해 사상들을 기억하는 것


기호적(운동적) 연습 : 심리적이고 행동적으로 모델자극을 사전에 연습해두는 것


③ 운동재생단계


- 모델행동의 상징적 표상을 주의 깊게 형성 기억


- 일정 수준의 운동재생능력요구 (운동발달, 근육발달이 중요)
- 기억을 완전한 행동으로 전환하려면 반복과 조정이 필수적


- 47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예) 자동차 운전연습
(9) 대리적 조건화
① 대리적 강화
- 모델이 하는 행동을 관찰하고 강화 받는 것
예) 안전벨트 미착용자 에게 범칙금 부과하는 장면을 목격하면 안전벨트 착용
② 대리적 조건화
- 모델을 관찰함으로써 이미 알고 있는 행동들을 강화 받는 경우
예) 팁을 주고 좋은 서비스를 받는 것을 보았을 때 좋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 팁을 줌
(10) 자아효능감
-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기대와 신념
예) 부모들의 학업적 열망이 아이들의 학업 성취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끼침
2.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
1) 고전적 조건화 (Classical Conditioning)
(1) 고전적 조건화 : Pavlov의 개실험
- 고전적 조건화 : 수동적임


전) 개 →


음식 +벨소리→ 타액분비

후) 개 → 벨소리 →


타액분비


① 획득 (acquisition)


- 조건반응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과정


- 조건자극(CS)과 무조건자극(UCS)의 연합 반복 → 조건반응(CR) 점차 증가함
② 변별자극 (discriminative stimulus)


- 어떤 행동이 강화를 받을 것임을 신호하는 자극


예) 특정 자극에 반응하면 강화를 주고 특정 자극에 반응이 없을 땐 강화를 주어지지 않으면
자극을 구별하게 함


예) 학생이 낙서할 때 선생님이 화난 얼굴 표정은 처벌을 예측함
③ 일반화 (generalization)


- 조건화된 자극과 비슷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자극에도 조건반응이 나타나는 것
예) 11개월 Albert의 실험


예)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④ 소거 (extinction)


- 어떤 자극이 있는 후에 특정행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


(2) 반응적 행동


- 구체적 자극에 의해 구체적 행동


- 어떤 자극에 유기체가 자동적으로 형성된 행동


예) 옆에 지나가는 사람 어깨에 부딪히면 움짓 피하는 행동


예) 타액분비, 눈물, 재채기, 수업시간에 교수가 질문을 하면 초조해 하는 행동


- 48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예) 눈 깜박임, 타액분비 반응 , 공포반응 등
2) 조작적 조건화 (Operant Conditioning)
(1) 스키너 상자 실험
- 배고픈 쥐 ⇒ 우연히 지렛대 누르면 ⇒ 음식
- 배고픈 쥐 ⇒ 지렛대를 자주 누름 ⇒ 음식 섭취


(조작적 조건)


(강화)


(2) 조작적 행동


① 왓슨(watson) 실험


- 꼬마 + 흰쥐+ 자극 → 흰쥐를 보면 반응
- 환경을 조작해서 어떤 결과를 낳게 되는 행동
- 조작적 조건화에 의해 습득된 행동


-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선택적으로 환경에 작용하는 과정
예) 상의하려고 얘기할 때 마다 딴청을 부리면 상의하려고 하지 않게 된다.
예) ‘우는 아기 젖 준다.’


② 손다이크(Thorndike) 실험


-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반응 후 결과가 바람직하면 그 반응이 나타날 확률이 증가
되고, 그 결과가 바람직하지 않으면 그 확률이 감소됨.


3.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1)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


① 경험적 실증


- 과학과 실천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의 실용성을 보여 줌


② 환경의 중요성


- 인간을 이해하는 데 환경의 중요성을 부각시킴


- 신체적, 심리적 발달에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제시


③ 문제행동의 사정과 개입


- 문제행동의 선행요인과 선행조건을 사정


- 문제행동을 사정하고 빈도와 강도에 따라 치료 개입


④ 부적응 행동의 개선


- 적응은 개인의 경험적 조건화와 강화와 벌에 의해 형성됨
- 특정자극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이 문제
- 잘못 학습된 부적응 행동의 제거





행동결여, 행동과다


환경적 자극에 대한 부적절한 통제
자극에 대한 부적절한 자기 규제
부적절한 강화 유관


⑤ 자아강화 및 자아효능감의 중시


- 특정 행동이 부적 강화, 벌을 가져오면 회피행동으로 바뀜


- 49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회피행동, 방어행동은 자아강화, 자아효능감을 저하시킴
2) 사회복지실천적 기술
① 이완훈련
-  클라이언트의 중요한 근육부위를 점진적으로 이완
② 토큰 경제(token economy)
- 조작적 조건화의 원리를 활용한 기법
③ 체계적 둔감화
- 불안이나 공포로 인해 야기되는 부적응적 행동이나 회피행동을 수정하는 기법.
④ 격리(time out)기법
- 부적응적 행동을 했을 때 긍정적 강화를 받을  있는 기회를 박탈→ 부적응적 행동 소거
⑤ 과잉교정(overcorrection)기법
- 부적응적 행동을 한 후 즉각 정상적 상황으로 회복시키도록 요구하는 기법.
⑥ 반응대가(response cost)기법
- 부적응 행동 유발→ 자신에게 유리한 물건, 권리를 내놓게 하여 대가 치름
⑦ 혐오기법(aversive technigues)
- 부적응적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고통스런 혐오자극을 가하여 문제 행동 소거.
⑧ 자극변별훈련
- 적절한 행동에는 강화, 그렇지 않을 때는 그 행동을 소거.
- 50 -


객관적인 현실
사람
주관적 경험
(느끼는 방식)
행동이 다르다
큰 개가 접근
A
두려운 개
벌벌 떨며 뒷걸음치며 뒤로 숨는다.
B
대수롭지 않는 개
그런“A”를 보고 ‘왜 그래’
C
멋진 개
개에게 다가가 쓰다듬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5주차 1차시 인본주의이론
1. 현상학적이론의 주요개념
1) 현상학의 주요 개념
(1) 유기체
- 인간은 경험에 대해 한 유기체로 반응
- 신체+정신+지식
(2) 현상학
- 개인의 주관적 경험, 감정, 세계와 나 자신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연구하는 것.
- 개인의 사적이며 주관적인 경험의 세계
“현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느끼는지”
(3) 현상학적 장
- 유기체가 경험하는 모든 것
- 개인은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자신이 경험하고 지각하는 장에 반응
- 경험적 세계 또는 주관적 경험
- 특정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
- 개인이 ‘체험하고 의식하는 현실’ 모든 것의 총체
예) 주관적 경험과 행동
2) 현상학적 이론의 특징
(1) 주관적인 경험
- 각 개인이 어떻게 경험하고 느끼는지 대해 관심
- 인간 행동은 객관적 현실보다 주관적인 현실에 따라 영향을 미침
- 클라이언트 중심 치료 (인간중심치료)의 선구자.
(2) 창조적인 존재
- 주관적 경험이 자신의 독특한 성격유형을 형성
- 정해진, 고정된 성격발달 패턴은 없음
- 각 개인의 성격이 달라 질 수 있음
- 각 사람이 갖는 성격의 독특성을 강조
(3) 인간의 선한 존재
- 이상적 충동, 반사회적 행동은 진정한 인간의 내적 본능과 화합하지 못한 결과
-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존중
⇒ 인간의 성장과 자기실현을 강조하는 긍정적.
- 51 -


본질적으로
선하고 신뢰할 수
있는 존재
미래지향
자기실현의 경향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인간은 누구나 다 사랑받고 존중되어야 하며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존중이 필요
⇒ 건강한 성격은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과 존경이 필요
(4) 합리적인 존재
- 합목적적(Purposive), 전진적(forward-moving), 건설적, 현실적이고 신뢰할 만함
2. 칼 로저스의 성격발달
1) 칼 로저스(Carl Rogers)의 인간관
- 정신분석, 행동주의 이론을 비판


- 인본주의에 기반을 둔


비지시적인 인간중심


- 인간의 자기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경향성


- 클라이언트에게 허용적, 비간섭적이며 공감적인 환경 제공


“인간은 현실을 각기 달리 지각하고 주관적 경험이 행동을 지배한다”


인간의 자유의지



2)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


(1) 자기개념


- 자신과 세계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자기개념이 발달
- 유아는 “나”와 “나 아닌 대상”을 구분하지 못함


- 모든 인간은 분화하면서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세계와 구분함
① 현실적 자아 (real self) : 현재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인식


② 이상적 자아 (ideal self) : 어떤 존재가 되기를 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③ 현상학적 자기


- 각 개인이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지각하고 있는 자기 이미지(self image)
- 주체로서의 나 (I), 객체로서의 나 (me)
④ 성격 형성


- 정해진 성격 패턴은 없고 삶의 경험에 따라 개인 성격이 달라질 수 있음


(2) 조건적 가치 부여


- 아동기 때 타인의 기준에 맞추어 행동하고 타인의 긍정적 관심을 받으려 함
- 자신의 욕구보다 조건적 가치에 맞도록 행동하고 느끼며 긍정적 관심을 받으려고 함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받을 때
(3) 심리적 부적응


- 자신의 중요한 경험을 부인하거나 왜곡할 때 발생


① 왜곡 : 받아들이기 어려운 경험을 자신의 현재 자아상으로 변형


예) 진급하는 사람을 보고 사장이 진급하게 해 주었다고 왜곡시킴으로써 자신의 현재의 자


- 52 -

현상학적 장
현상학적 자기
부모가 원하는 결혼을 하여 부모를 기쁘게 해주는“착한 딸”
자기개념, 이성적 자기
유학을 가서 자신이 원하는 연극공부를 하는 것
경험, 현실적인 자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아상을 유지하는 경우
② 부인 : 위험한 경험을 회피
예) 부당한 대우를 받은 여사원이 화를 내지 못하는 것은 화를 내면 사랑받지 못한다는 부
모님의 믿음이 내재되었기 때문.
(4) 자기실현의 동기
① 성격발달의 추진 힘
② 성장하면서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나타남
③ 다른 사람이 가치를 부여하는 “긍정적인 관심에 대한 욕구”에 영향 받음
예) 불면증에 걸린 여자 환자의 사례
(5)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관심)
- 인간은 누구나 모두 다 사랑받고 존중
- 건강한 성격으로 발달하려면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이 중요
(6) 건강한 성격
- 자기에 대한 개념과 자기의 경험이 일치하는 것
(7)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 (good life)
- 자신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능력을 발휘
- 자신의 완벽한 이해와 경험 풍부히 하는 방향으로 이동해 나가는 개인.
①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지님.
② 실존적인 삶을 살아감
③ 자기 자신에 대해 신뢰하는 사람 (organismic trusting)
④ 경험적 자유(experiential freedom)를 가진 사람
⑤ 창조성 (creativity)   
(8) 심리적 문제의 발생


유기체적 경험과
자기개념 사이의


불일치


위험 · 불안의


⇨ 경험과 이에 대한


방어의 실태



유기체적 경험에


대한 의식 및 이에
대한 자기개념 붕괴



이상행동


괴리된 행동


3) 칼 로저스의 상담과정
(1) 도움을 받으러 온다.


• 문제해결의 주체를 주도적으로 바꾸어주는 과정
(2) 상담상황이 규정된다.


- 53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상담은 누구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마음통한 사람들과 문제해결하는 것
(3) 감정을 자유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시하도록 돕는다
(4) 부정적인 감정을 수용하고 인정하고 명확히 한다.
•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 유도
(5) 부정적인 감정이 완전히 표현된 후 성장의 도움이 되는 긍정적 감정을 표현 유도
• 긍정적인 감정을 표출 유도
(6) 긍정적으로 표현되는 감정도 수용하고 인정한다.
• 긍정적 감정을 더욱 부각
(7) 통찰 유도
• 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은 전체 상담과정 중 이 단계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측면이다.
(8) 자신의 의사결정
• 가능한 선택과 행동방향을 명확히 해주는 과정
(9) 긍정적 행동 강화
• 긍정적 행동을 강화시키고 성숙하고 건강한 분위기 속에서 상담 종결
3. 매슬로의 욕구발달
1) 내적 본성
-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인간의 내적 본성은 기본적 욕구, 정서, 능력 등으로 이루어짐
2) 욕구이론의 인간관
- 인간의 본성은 본질적으로 선하고 못해도 중간의 위치에 있다고 주장
- 내적 본성에 따라 건강하고, 풍요로우며,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음
- 중요한 속성이 부인되거나 억제되면 병이 됨
3) 결핍동기와 성장동기
(1) 결핍동기
- 기본욕구
- 호흡, 배설, 수면, 식욕, 성욕, 안전, 애정, 자신존중 등의 욕구
(2) 성장동기
- 메타동기
- 삶을 창조하고자 하는 동기,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자기를 완성하고자 하는 동기
- 진, 선, 미, 독창성, 정의, 질서조화 등
- 결핍동기가 어느 정도 충족된 후에 작용
- 위계서열이 낮은 욕구일수록 강도와 우선순위가 높음
- 단계배열에 예외도 있을 수 있음.
- 욕구위계에서 상위 욕구일수록 충족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음.
- 54 -


동기
결핍동기
(deficit motivation)
성장동기
(growth motivation)
특징
긴장의 감소나 허전함을 채우려는 것으로
목표지향적 이며, 충족되면 긴장이 감소
과정 지향적, 충족될 때 긴장이 증가되는
경우가 많음
욕구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소속감과
애정욕구, 자존감 욕구
자기실현욕구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 인간욕구의 위계
(1) 생리적 욕구
- 음식, 물, 공기, 수면에 대한 욕구와 성욕.
- 인간의 욕구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강하며 분명한 욕구
- 유기체의 생물학적 유지와 직접적으로 관련 됨


(2) 안전의


욕구


- 안전, 안정, 보호, 질서, 불안과 공포로부터의 해방 등
- 생리적 욕구가 만족된 후 개인이 새롭게 관심을 갖는 욕구


- 환경내에서 확실성, 정돈, 질서, 예측성 등을 알맞게 보장받기 위한 동기
- 아동기는 성인에게 의존적임, 성인기는 재정적 수입확보, 저축 등
- 실업위기, 전쟁, 범죄, 사회조직의 해체, 자연적 재해 등 상황에서 발생


(3) 애정과 소속의 욕구


- 특정한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어떤 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망
- 생리적 욕구와 안전의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나타나는 욕구.
- 남들과 애정, 가족 내에서의 위치, 준거집단 등을 갈망
- 사랑을 받는 것뿐만 아니라 사랑을 주는 것을 모두 포함


- 모든 사람은 사랑을 받지 못할 때 공허감, 무가치함, 적대감 등을 갖게 됨


(4) 자아 존중감의 욕구


- 작은 성취나 칭찬 및 성공,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통해 충족
- 다른 사람이 자기를 존중해 주기 때문에 갖게 되는 자아존중감


- 충족되지 못할 경우 열등감, 자기비하, 무력감을 경험, 무용지물이라는 인식


(5) 자아실현의 욕구


- 자기가 원하는 종류의 사람이 되려는 것


- 자신의 능력, 재능,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 노력


4. 사회복지실천의 적용


1) 현상학적 이론의 사회복지실천적 적용


(1)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 어떤 가치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하고 존중하는 것


- 누구나 자신은 좋은 사람, 괜찮은 사람, 멋있는 사람으로 여기고 싶어 함


예) 망상 : 다른 사람에게 형편없는 사람취급 받는데도 스스로만 좋은 사람 여기는 것
- 누구나 인정, 수용받기 위해 자신을 억제하고 왜곡 함


- 55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심리적 생존을 위해 순종했던 가치조건에 벗어나 수 있도록 지지
예) “나는 당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겠다”
- 조건적 관심은 자기 불일치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2) 수용
- 개인의 행동을 용서하는 것과는 관계없이 인간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받아줌
예) “며느리가 내 말을 전혀 안 들어 주네요”


답변:


,


“그럴리가 있나요”, “말은 안 해도 며느리 마음은 그렇지 않을 겁니다”( X )
“그렇게 생각하지 마세요”( X )


“나중에 며느리의 상황을 이해하실 겁니다” (X)


“며느리가 어르신의 말씀을 전혀 안들어 주신다는 말씀이죠?( 0 )


(3) 진실성 (genuineness)


- 자기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


- 불안전함, 결점을 포함하여 자신이 있는 그대로의 인정하고 표현하는 것
- “자기 일치”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4) 공감적 이해 (empathic understanding)


- 상대방의 기분이나 감정에 몰입되어 동일한 기분을 느끼는 것
- 공감하기 위해 경청과 관찰이 필요


- 클라이언트의 공감과 경험을 상담자가 민감하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
- 클라이언트의 내면적 감정을 마치 자신의 감정인 것처럼
- 몸은 둘이데 감정은 하나


2) 욕구이론의 사회복지실천적 적용


(1) 적절한 환경 조성


-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환경조성


(2) 낮은 욕구에서 높은 욕구수준으로


- 사회복지 서비스는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욕구 충족으로 진행.


(3) 전 생애 욕구충족


- 발달단계가 구분되지 않아 전 생애 욕구를 충족
- 끊임없이 보다 높은 수준의욕구를 충족
- 현실사회에서 완전하게 충족될 수는 없음


(4) 일반적 욕구의 제시


- 인간의 일반적 욕구를 적절하게 제시하여 사회학 발전dp 기여 


- 56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5주차 2차시 교류분석이론
1. 교류분석이론의 주요개념
- 1957년 미국의 정신과의사인 에릭번(Eric bern)에 의해 창안
- 상호 계약을 통한 성장과 변화를 위한 심리학적, 사회학적 이론
1) 교류분석의 개념
- 성격기능의 강화를 통한 성격변화에 초점을 맞춤
- 인간의 긍정성과 책임감을 통해 사고, 감정, 행동을 조화롭게 통합
- 자기 분석을 통한 심리치료
2) 인간관
(1) 과거와 타인은 바뀌지 않음
(2) 바꿀 수 있는 것은 자신뿐임
(3) 지금 이 순간(Here and Now)라는 대원칙
(4) 사람은 누구나 ‘지금 이 순간’에 살고 있고 존재
(5) 사람들은 OK로 태어남
(6) 모든 사람들은 사고하는 능력을 갖고 있음
(7) 사람들은 자신의 운명을 결정하며, 이러한 결정들은 변경될 수 있음
3) 기본가정
(1) 자율적인 존재 : 자신의 힘으로 삶의 결정을 내림
(2) 자유로운 존재 : 자신을 신뢰하며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고 감정을 표현
(3) 선택할 수 있는 존재 : 자신의 삶에 대한 주도권을 가짐
(4) 책임질 수 있는 존재 : 초기의 결정을 이해하고 책임짐
4) 교류분석의 욕구이론
(1) 스트로크 이론 : 스트로크는 마음의 영양
(2) 시간의 구조화 이론 : 인생 또는 매일의 시간의 사용방법
예) 6가지: 폐쇄(틀어박힘), 의식, 잡담(심심풀이), 활동, 게임, 친밀
(3)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기본적 구조 이론 : 대인태도의 문제
5) 교류분석의 분석이론
(1) 구조분석
(2) 교류형태분석 - 주고받기의 분석
(3) 게임분석 - 게임이란 대인관계 중 반복되어 지는 나쁜 습관
(4) 각본분석 - 인생을 하나의 드라마로 보고 그 시나리오를 분석하는 방법
- 57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 교류분석이론의 성격발달
1) 자아상태 (Ego State)
- 사고, 감정과 관련된 일렬의 행동유형을 통합한 하나의 체계 (A. Berne 1961)
- 어버이 자아(Parent Ego: P), 어른 자아(Adult Ego: A), 어린이 자아 (Child Ego: C)
(1) 어버이 자아 (Parent Ego: P)
- 5세 이전 부모의 말과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수용 후 내면화 된 자아
- 부모의 “모방학습” 발달
① 비판적 어버이자아 (CP)
- 자신의 신념, 가치관이 강하며, 상대를 위압적 강압적으로 제압
- 권위적이고 엄격하여 상대의 가치관을 잘 받아들이려 하지 않음.
- ~해야한다 (Should),
- 대인관계 : I'm OK, You're Not OK
② 양육적 어버이자아(NP)
- 마음이 온화하고 따뜻하며 상대를 지지하고 격려
- 지나치게 보호하고 개입, 개인의 자주성을 무시, 지나치게 동정적임
- 대인관계 : I'm OK, You're OK.
 
(2) 어른 자아상태(A)
- 생후 18개월부터 발달
- 독창적인 사고가 가능
- 합리적으로 생각, 행동하고 정보를 수집, 처리, 결정
- 이성적, 논리적인 사고로 접근
예) 재미보다는 기계적으로 일을 수행: 일중독
- 어린이 자아와 어버이 자아의 갈등을 완화시킴
(3) 어린이 자아상태(C)
- 5세 이전의 경험에 의해 형성, 내면화된 충동과 감정
① 자유로운 어린이 자아(FC)
- 감정의 자연스러운 표출, 상대에게 즐거움을 제공, 생각을 행동하며 창조적임
- 충동적이고 자기도취적임
- 감정의 절제가 부족하여 실수나 경솔한 행동이 발생
- 58 -


기능
언어적 표현
- 주장적, 차별적, 권위적
- 다른 사람을 가르치고 통제, 비판하는 기능
- 지나치게 높을 경우 : 지배적 태도, 명령적 말
투, 칭찬보다 질책
“그 정도 밖에 못하니”(비난)
“또 그러면 가만두지 않겠어"(처벌)
“당연하지”(편견)
“난 역시 안돼”(단정)

기능
언어적 표현
- 배려, 격려
- 도움, 긍정적인 인정자극
- 지나치게 높을 경우 : 과보호의 경향
“힘을 내라” (위안)
“내가 도와 줄게” (배려)
“잘 했어”(격려)

기능
언어적 표현
- 효율적, 적응적
- 자아 상태 간의 갈등 중재
- 지나치게 높을 경우 : 무미건조한 컴퓨터
“이렇게 하는 것이 매우 적절하겠어”(효율)
“어떻게 하는 것이 제일 좋을까?”

기능
언어적 표현
- 타인 배제, 자유로운 감정 표현
- 생산적, 즐거움
- 지나치게 높을 경우 : 질서나 규범 무시
“난 이게 좋아”(자기중심)
“좋아”(즐거움)

기능
언어적 표현
- 타인 수용, 순응적, 모범적 규범 준수
- 지나지게 놓을 경우 : 죄책감, 열등감
“알겠어요”(순응)
“그렇게 하는 것이 좋지 않아”(규범준수)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대인관계: I'm OK, You're OK
② 순응하는 어린이 자아(AC)
- 상대에게 순응적, 협조적
- 의사결정에 있어서 신중하고 조심성 있는 태도
- 상대방의 눈치를 보고 비위를 맞추려고 자신의 감정을 억제
- 자기비하와 열등감으로 억압된 감정이 분노와 반항으로 나타난다.
- 대인관계 : I'm Not OK, You're OK
2) 자아의 기능과 표현
(1) 비판적 어버이자아 (Critical Parent),
 
(2) 양육적 어버이자아 (Nurturing Parent)
(3) 어른 자아(Adult Ego)
(4) 자유로운 어린이자아 (Free Child)
(5) 순응하는 어린이자아-(Adapted Child) 
- 59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3) 교류분석의 특징
(1) 금지령과 대항금지령
① 금지령 (Injunction)
- 부모의 내면에 있는 어린이 자아에서 자녀에게 내리는 부모의 메시지.
- 자녀가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말해줌
- 부모의 실망, 좌절, 불안, 불행 등 고통을 표현하는 것으로 “하지 말라”의 내용을 지님
- 간접적으로 전달 ,
예) “하지 마라(Don't)”, 너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Don't Be)
가까이 하지 마라(Don't Be Close), 애들같이 굴지 말아라(Don't Be a Child)
② 대항금지령(Counterinjunction)
- 부모의 내면에 있는 어버이 자아(P)에서 나오는 메시지
- 부모의 기대를 표현하는 것
- 해야한다(Should), 해라, 하라 (Dos)의 형태를 취함
예) 강해져라(Be Tough), 완전해져라(Be Perfect), 서둘러라(Hurry Up), 열심히 해라(Try
Hard), 공손하라(Be Polite) 등
※ 자녀들이 대항금지령에 따라 생활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 
(2) 초기결정 및 재결정
① 초기결정
- 부모의 금지령에 반응하여 어떠한 선택을 하게 하는 것
- 부모에게 인정의 욕구, 애무(Stroke)의 욕구, 생존의 욕구에서 동기화됨
- 금지령과 그 금지령의 근거하여 내린 결정에 대한 희생물(Victim)
- 부모의 각본에 따라 자신들의 인생계획을 결정
② 재결정
- 초기결정을 바꿔서 새로운 결정을 내리는 것
- 아동기 때 금지령에 반응하여 결정한 것이 이후 부적절한 것이 될 수 있음
(3) 스트로크(애무)
- 부모와 대화를 통해 애무가 형성됨
- 신체적+정서적 의미 포함
① 긍정적 스트로크
- 아동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촉매
- 애정과 승인의 형태로 표현
“나는 너를 좋아한다.”
② 부정적 스트로크
- “나는 너를 좋아하지 않는다.”와 같은 말
- 언어적, 비언적으로 나타남
- 아동의 성장을 후퇴시킴
- 아동을 왜소화시키고, 무안을 주며, 존엄성을 짓밟게 될 수 있음
③ 조건적 스트로크
- 60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나는 네가 이러한 방식으로 행동하면, 너를 좋아할 것이다.”와 같은 말
- “당신이 이 일을 성공시킨다면 약간의 보상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와 같은 말
④ 무조건적 스트로크
“나는 네가 어떤 존재이든 간에 기꺼이 너를 수용한다.”와 같이 말하는 것
(4) 게임
- 최소한 한 사람에게 나뿐 감정을 갖게 하고 끝나는 일렬의 교류
- 나쁜 감정을 가지며 친밀감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
- 초기결정을 지지할 목적으로 이루어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20 2023.02.26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69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50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잡담 학은제 / 방통대 / 사이버대 후기 및 경험담 399 2024.09.21
3417 잡담 플래너가 보험팔이 폰팔이뷰다 더 심한놈들이였구나... 83 2024.09.21
3416 잡담 플래너 불법인거 모르는 사람들도 있네 file 123 2024.09.21
3415 잡담 테셋 기출만 보면 되냐는 질문에 명확한 답 세워준다 140 2024.09.21
3414 잡담 매경 우수 3일 공부법 (ㅈ문대 찐노베, 1회독, 기출X) file 257 2024.09.21
3413 잡담 학점은행제 웬만하면 하지 말고, 대행기관은 절대 하지 마라.. 2 346 2024.09.21
3412 잡담 한성대 디자인 캠퍼스 진실은? 2 318 2024.09.21
3411 잡담 학점은행제를 했으면 차라리 학사편입을 해라. 대학원은 존망의 길... 2 757 2024.09.21
3410 잡담 아놔 배움 개웃겨욬ㅋㅋㅋㅋㅋㅋ 필독!!!! 1 54 2024.09.21
3409 잡담 진심 전문학교 후회된다 1 51 2024.09.21
3408 잡담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독립~현대화까지(마지막) 1 59 2024.09.21
3407 잡담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시대 말까지 1 56 2024.09.21
3406 잡담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초기~ 1 75 2024.09.21
3405 잡담 충고 하는데 전산원 , 전문학교 이런데 다니는거 아니다.... 1 68 2024.09.21
3404 잡담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고려시대 2/2 마지막까지 1 54 2024.09.21
3403 잡담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통일 신라 ~ 고려시대 1/2 78 2024.09.21
3402 잡담 국사 개념 정리 해줌.신석기~삼국시대 1 96 2024.09.21
3401 잡담 원서접수 작성요령 정리 81 2024.09.21
3400 잡담 대행 사기 경험담(실제 경험담) 90 2024.09.21
3399 잡담 지금부터 남은 경영 인정 자격증 일부 시험일정! 61 2024.09.17
3398 잡담 한달동안플래너랑진행해본후기 txt 68 2024.09.17
3397 잡담 나처럼 할일없이 학은제만 하고 사는놈 있냐 49 2024.09.17
3396 잡담 매경은 어려운거 맞출 생각 말고 쉬운거만 잘 맞추면 됨 50 2024.09.17
3395 잡담 매경 97회가 씹레전드였다고 하는 이유 66 2024.09.17
3394 잡담 제90회 TESAT 복기(현재 86% 복기) 219 2024.09.17
3393 잡담 나무위키에서 경계선지능 읽다가 소오오름 61 2024.09.17
3392 잡담 학점은행제 요약 1056 2024.03.18
3391 잡담 학점은행제 정리해준다.txt 1075 2024.03.18
3390 잡담 학점은행제의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 알려준다 한번 꼭 읽고 쓰자 file 719 2024.03.18
3389 잡담 하루 전에 공부 시작한 전사들을 위한 테셋 공부법 file 782 2024.03.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