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행정론
-----------------------------------------------------Page 1-----------------------------------------------------
사회복지행정론
- 사회복지행정론 목차 -
필요성 1
1주차 2차시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 사회복지행정의 특성과 기능 8
2주차 1차시 사회복지행정의 역사와 발전과정: 미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5
2주차 2차시 사회복지행정의 역사와 발전과정 : 한국사회복지행정의
3주차 1차시 사회복지행정의 기반 이론: 사회복지조직이론 1 29 3주차 2차시 사회복지행정의 기반 이론 : 사회복지조직이론 2 38
4주차 1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적 특성 47 4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사회복지조직의 유형 55
5주차 1차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념 5주차 2차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과정, 개발 78
6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 : 인적자원 동기부여와 유지 86
7주차 1차시 리더십과 조직문화 :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개념과 이론 96
조직문화 103
8주차 중간고사
-----------------------------------------------------Page 2-----------------------------------------------------
사회복지행정론
9주차 1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재정관리: 예산 수립 및 관리 112
9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재정관리:
예산 집행 및 결산, 회계관리 120
10주차 1차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기획과 의사결정: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기획 127 10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기획과 의사결정: 의사결정과 의사소통 136
11주차 1차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프로그램 개발 143 11주차 2차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 프로그램 평가 151
12주차 1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정보관리: 정보관리시스템(MIS) 158
12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정보관리:
사회복지분야의 정보관리체계 164
13주차 1차시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과 홍보 :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171
13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과 홍보: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기법과 홍보 179
14주차 1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성과관리와 환경관리: 사회복지조직의 성과관리 185 14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성과관리와 환경관리: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관리 193
15주차 기말고사
-----------------------------------------------------Page 3-----------------------------------------------------
사회복지행정론
1주차 1차시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및 필요성
Ⅰ.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정의 및 구분 1. 사회복지행정의 일반적 개념
1) 사회복지(Social Welfare) + 행정(Administration)
2) 사회복지행정
(1)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서비스대상자나 국민의 복지증진을 위해 어떠한 목적을 설정 ·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나가는 조직 내에서 이뤄지는 합리적인 협동행위
3) 인간의 욕구충족과 관련된 정책의 결정 · 조직 관리 · 서비스 제공 등에 관한 모든 활동을 관리하는 것 = 가장 최종적이며 핵심적인 내용
(1) 인간의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욕구 충족이라는 서비스 활동임
2. 관점에 따른 사회복지행정의 개념적 구분
1) 협의의 관점, 광의의 관점 : 사회복지의 개입 범위와 수준에 따라 구분됨 → 사회복지행정의 개념적 구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구분 협의의 사회복지행정 광의의 사회복지행정
개념
민간기관 및 시설에서 조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하는 활동으로 행정관리자 에 의한 행정관리 활동
공공 · 민간기관을 포함해 모든 사회복지조 직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총체적 활동
특징 •미시적 접근
•사회사업의 3대 방법과 같은 사회복지실천 방법
•거시적 접근
•사회과학적 이론과 관리를 통해 사회정책
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개함
주요문제
•서비스 전달의 효과성과 효율성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전문성 •서비스 중복과 조정 •재정의 불확실성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연계 •공공기관과 민간단체의 연계
출처 : 김영종(2001), 사회복지행정론
- 1 -
-----------------------------------------------------Page 4-----------------------------------------------------
사회복지행정론
3. 사회복지행정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 1) Kidneigh
(1) 사회복지정책 ↔ 사회복지서비스
양방향적 과정
(2) 사회복지조직을 개방 체계로 이해함
(3) 조직을 둘러싼 환경적 요소 중 정책적 측면을 강조함
2) Stein
(1) 사회복지조직이 조정과 협력활동의 체계를 통해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과정 (2) 목표의 설정과 달성 과정에서 내부적 조정과 협력을 강조함
3) Patti
(1)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관리자가 수행하는 상호의존적인 과업 · 기능 · 활동 등의 체계적인 개입 과정
(2) 조직의 관리자가 수행하는 특정한 과업과 기능을 강조함 (3) 행정을 실천의 일종으로 봄
4) Trecker
(1)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사업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동으로 활동하는 과정
5) Skidmore
(1) 사회정책을 서비스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사회적 과정을 활용하는 활동
6) Titmuss
(1) 사회복지 서비스를 관리·운영하는 활동
(2) 단순한 기관, 시설의 행정 차원과는 달리 사회적 서비스를 관리 · 운영하는 것
(3) 사회복지서비스가 대상자들에게 전달되도록 인적 조직과 기구 및 서비스 선택과 관련된 문제들을 검토 하는 것
7) 김영종
(1) 사회복지의 이념이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행정적 방법
8) 이준영
(1)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사회복지정책을 개별적 · 구체적 서비스로 전환하는 일련의 과정에 있는 활동
- 2 -
-----------------------------------------------------Page 5-----------------------------------------------------
사회복지행정론
4. 사회복지행정의 유사개념
1) 각 사회 여건과, 사회복지전문직과의 관계는 달리 설정될 수 있음 (1) 독립적 개념이 아닌 일종의 연관된 흐름으로 존재함 (2) 긴밀한 연관성을 가짐
2) 사회복지행정의 유사개념
거시
주요특징 관점 기능 개인과 환경
(macro)
복지행정
(사회행정)
행정학 관점에서 출발
공공부분의 행정
거시적 복지행정
전체
사회적 시각
외부사회
제도적 기능
(사회책임, 개혁) 구조, 환경변화에 관심
제도적
사회복지
행정
+
미시적 사회사업행정
+
전문성
+
잔여적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심
미시
사회사업
행정
사회사업학에서 출발함
사회복지시설 행정 실천적 전문성
잔여적 기능
(보충적) 개인 치료에 관심
(micro)
출처 : 이준영(2015), 사회복지행정론
(1) 복지행정
① 복지행정(사회행정)(Welfare Administration)
② 행정학의 한 분과로서 사회복지에 관한 행정을 복지행정으로 파악함
③ 사회복지 정책이 수립되고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화된 정부기관이 사회복지 정책을 결정하고 사회복지 업무를 관리함
④ 거시적 관점에서의 관리를 의미함 ⑤ 주체는 정부기관임
⑥ 불특정 다수를 위한 복지정책에 대해 가장 합리적인 규칙을 만들고 집행함 ⑦ 표준화와 일반화를 추구함
(2) 사회사업행정
① 사회사업행정(Social Work Administration)
② 사회복지시설(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전달하는 조직)에서 일어나는 활동에 관한 것임 ③ 미시적 관점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관리에 초점을 둠
④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자원 획득에 관한 논의가 상대적으로 미흡함
⑤ 사회사업 전문직의 관점(3대 사회사업방법론에 기초)에서 사회사업실천을 관리하는 것에 주된 관심을 가
- 3 -
-----------------------------------------------------Page 6-----------------------------------------------------
사회복지행정론
짐
⑥ 개인의 문제해결에 치우쳐 잔여적 사회복지 이념을 지지하는 입장임
(3) 사회복지행정
① 사회복지행정(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② 개방적이고 동태적 관점
③ 휴먼서비스조직의 경영에 필요한 사회과학적 지식을 필요로 함 ④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봄
Ⅱ.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이념과 가치 1. 사회복지행정의 이념이란?
1) 사회복지행정이 추구하는 기본적 방향과 궁극적 가치 2) 사회복지행정가에게 요구되는 활동규범 또는 행동규범
2.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이념(가치) 1) 합법성
(1) 행정활동은 법률을 준수하여 합법적으로 실행되어야 함 (2) 합법성의 범위 내에서 전문가의 재량권이 인정됨
(3) 합법성이 강조될수록 행정의 예측성과 안정성이 도모됨 ① 예 : 사회복지사업법 , 사회복지법인 재무회계규칙
2) 효율성
(1) 최소한의 자원(Input)을 투입해 최대의 산출(Output)과 성과(Outcomes)를 거두어야 함 (2) 자원의 유한성을 전제로 최적의 자원분배를 해야 함 (3) 업무의 전문화
(4) 경제성의 원리를 적용함
3) 효과성
(1)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통한 산출과 성과가 원래 목적을 충족해야 함
(2)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해결에 있어 제공된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적절하였는가 → 목표를 달성하였는 가를 판단하는 가치임
- 4 -
-----------------------------------------------------Page 7-----------------------------------------------------
사회복지행정론
4) 민주성
(1) 클라이언트의 의사와 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하여 그에 따라 서비스가 전달되어야 함 ① 예 : 주민참여, 사회복지시설 운영위원회 설치
5) 형평성
(1) 동일한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서비스를 받아야 함 (2) 서비스 내용, 비용, 혜택이 여러 집단에 평등하게 배분돼야 함 ① 예 : 서비스 공급 지역, 성별, 계층 간 평등
(3) 우선적으로는 사회적/경제적으로 열악한 계층에게 보다 많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6) 대응성
(1) 정책결과는 특정 집단의 욕구, 선호, 가치에 부합되어야 함
(2) 정책목표가 달성되어도 수혜자 만족도가 떨어지면 대응성은 떨어짐
7) 접근성(편익성)
(1)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람이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함 (2) 물리적, 심리적, 정보적 측면을 모두 포함함
① 예 : 교통 불편, 까다로운 접수 절차, 서비스 제공 인력 부족, 서비스 비용, 서비스에 대한 홍보, 사회복 지사와의 관계
8) 책임성
(1) 효율성과 효과성을 포괄하는 동시에 조직의 활동 및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해야 함
3. 사회복지제공 기준에 관한 가치 1) 선별주의, 보편주의
→ 사회복지정책 활동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자격, 범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 음
2) 선별주의(잔여적 모형)
(1) 개인적 욕구에 근거를 두고 제공함
(2) 자산조사(Means Test)에 의해 사회적•경제적 기준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① 예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의료급여 (3) 장점
① 자원의 낭비가 적으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 ② 효율의 측면에서 긍정적임
- 5 -
-----------------------------------------------------Page 8-----------------------------------------------------
사회복지행정론
(4) 단점
① 사회적 낙인의 문제 발생함
②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여 공평성, 편익성의 가치에 위배됨
3) 보편주의(제도적 모형) (1) 하나의 사회적 권리임
(2) 전 국민을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자로 포괄함
① 예 : 의무교육 , 모든 65세 이상 노인에게 교통비 지급, 국민연금 , 건강보험 (3) 장점
① 최저소득 보장을 통한 빈곤 예방 ② 심리적/사회적 낙인이 없음
③ 사회복지서비스의 혜택을 균일하게 유지하며 국민의 경제적 안정과 성장에 기여함 (4) 단점
①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함 ② 효율적 관점에서의 한계
Ⅲ.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1. 사회환경적 측면에서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1) 산업화 및 후기산업사회
(1)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동원함
(2)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조직적 활동이 필요함
(3) 현대사회적 양식은 상호의존적 사회관계의 규모와 맥락이 매우 복잡하여 사회복지는 확대된 규모의 공 식적 메커니즘을 필요로 함
(4) 개별화되고 분화된 사회복지 활동들이 전체 사회적 목표 추구에 기여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통제하는 역할이 필요함
2. 조직 운영 및 관리적 측면에서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1) 사회복지조직에 투입되는 공적자원(재원)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함 2) 사회로부터 인가된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 이행을 위함
3) 사회복지조직이 환경과의 상호 교환적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하기 위함
4) 조직에 변화를 가하여 조직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 5) 복잡화되고 다양해지는 사회복지 조직의 관리 운영을 위함 6) 무분별한 서비스의 중복을 방지와 합리적 조정을 위함
- 6 -
-----------------------------------------------------Page 9-----------------------------------------------------
사회복지행정론
3. 행정 없는 사회복지 활동의 어려움 1) Weinbach
(1) 클라이언트와 직원들은 기분 내키는 대로 나타나기도 하고 사라질 수도 있음
(2) 직원들은 매일 업무를 시작할 때가 되어서야 무엇을 할지 결정할 것이며, 그 업무는 다른 직원들의 활 동과 아무런 유기적 관련 없이 이루어질 것임
(3) 아무도 자신의 업무 또는 다른 사람의 업무에 대해 책임지려 하지 않을 것임
(4) 아무도 지역사회 내에서 조직의 현재 역할에 대해 알지 못할 것이고 조직의 미래에도 관심을 갖지 않을 것임
(5) 뚜렷한 리더도 없을 것이며 직원들에 대해 분명한 역할 기대도 할 수 없을 것임 (6) 행동을 지도할 목표도 사명도 없을 것이고, 모든 행동은 제멋대로 될 것임 (7) 직원들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어떤 수단도 없을 것임
- 7 -
-----------------------------------------------------Page 10-----------------------------------------------------
사회복지행정론
1주차 2차시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 사회복지행정의 특성과 기능
Ⅰ. 일반행정과 사회복지행정의 구분
u 행정은 정부 · 기업 · 학교 · 병원 등 다른 여러 조직에서도 존재함 u 제한된 자원으로 조직의 효과적 ․ 효율적 관리를 목표로 함 → 경영(Management)과 유사성이 있음
u ‘휴먼 서비스 제공’을 주된 활동으로 하는 고유의 특성을 가짐
→ 사회복지조직에서 일반행정의 원리와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함
1. 일반행정과 사회복지행정의 공통점 1) 문제해결의 과정
(1) 인력, 재정,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전달하며 대안을 모색하고 평가하는 문제해결 과정
2) 상호 관련되고 상호 작용하는 부문들의 기능적인 체계임 (1) 개인 및 집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지원하는 과정
3) 가치판단을 필요로 하는 대안 선택 과정 (1) 창의적 지식 및 활용으로 이루어짐
4)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고 조직화 함 (1) 최적의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
(2) 인력을 배치하고 예산을 관리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함
5) 모든 부문에서 공공 의지(Public Will)를 실현하는 체계임
6) 미래의 바람직한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
2. 일반행정과 사회복지행정의 차이점 1) 사회복지 행정의 주된 활동 대상이 사람임
(1) 변화되어야 할 속성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와 접촉하여 활동함 (2) 도덕적 · 윤리적 판단이 강조됨
- 8 -
-----------------------------------------------------Page 11-----------------------------------------------------
사회복지행정론
2)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관계가 효율성 · 효과성의 중요한 요인이 됨
3) 사회복지행정은 독특한 성격의 서비스를 산출함 (1) 지역사회 내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을 위함
(2) 일반행정과는 다른 지식과 환경관리의 문제가 중요함
4) 사회복지행정은 전문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역량에 크게 의존적임 (1) 행정전문가와 조직관리자 외에 모든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해야 함
5) 사회복지행정은 지역사회에 대한 책임을 갖고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야 함 (1) 지역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에 대한 민감성과 다양한 지식, 관리기술을 요함
3. 사회복지행정의 특성(특수성) 1) 도덕적 가치 지향
(1) 사회복지행정은 정치와 제도에 영향을 받음
(2) 행정가는 다수의 어려운 도덕적 딜레마와 선택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음 (3) 사회복지행정의 대상은 도덕적 가치를 갖는 인간인 클라이언트임 → 도덕적 정당성을 갖춰야 함
2) 인간의 상호작용
(1) 사회복지조직의 핵심적 활동은 기관의 직원과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짐 → 양자 간의 관계가 서비스 성과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
(2)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 관계 내에서도 전문분야에 대한 강조점이 다르므로 차이와 갈등을 조정해야 함
3) 사회적 책임성
(1) 대다수의 사회복지조직은 비영리를 원칙으로 운영됨
(2) 후원금, 기부금품, 자원봉사자 등 외부로부터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활용함 (3) 사회복지조직은 사회적 문제에 처한 클라이언트를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함 (4) 자원의 동원과 활용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을 확보해야만 함
4) 전문가의 중요성
(1) 사회복지조직은 다양한 진단 방식과 치료 방식을 토대로 복합적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함
→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의 전문적 판단과 기술에 의존함
- 9 -
-----------------------------------------------------Page 12-----------------------------------------------------
사회복지행정론
5) 목표의 모호성
(1) 사회복지조직은 여러 이해관계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됨 → 합의된 목표를 정하기 어려움 (2) 목표가 모호해질 가능성이 높음 (3) 클라이언트의 욕구도 다양함
→ 사회복지행정이 추구하는 목표가 다양할 수밖에 없음
6) 결과(성과)의 무형성
(1)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과 문제해결, 변화를 주된 목적으로 제공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특성상 결과가 성공 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설정이 어려움 (2) 측정이 어려움
7) 효과성·효율성 척도의 부족 (1) 인간을 원료로 함
(2) 도덕적 가치를 고려함
(3)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명확한 기준 설정이 어려움
→ 서비스 제공에 대한 효과성·효율성을 평가하기 어렵고 부정확함
8) 행정 영역의 포괄성
(1) 사회복지는 이윤추구나 권력을 목적으로 하는 것 아님
(2) 욕구충족의 우선순위와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일련의 과정임
(3) 클라이언트, 지역사회 주민의 권리, 공공의 책임, 전문인력 관리 등의 포괄적 영역을 포함함
Ⅱ. 사회복지행정의 기능과 과정 1. 사회복지행정의 기능
단순한 정책 집행
전문적 서비스 제공 지원을 위한 보조 영역
인식되지 않음
임상의 하위분야
1) 사회복지행정이 담당하는 기능
(1) 조직을 통해 사회복지정책에서 제시하는 방향과 목적달성을 위한 집행체계로서 보다 효과적이며 효율적 인 전달체계가 되기 위한 기능
- 10 -
-----------------------------------------------------Page 13-----------------------------------------------------
사회복지행정론
(2) 대상자 또는 이용자에 대한 절차와 구조를 통해 문제해결과 욕구충족을 지원하는 기능
2) 외부환경과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 목표와 전략을 수립함 (1) 조직관리의 기능을 수행함 ① 인적자원관리 ② 재정관리
③ 홍보와 마케팅 ④ 정보관리
2. 사회복지행정의 과정(L. Gulick) 1) 루터 굴릭(L. Gulick)
(1) 행정행위를 통해 조직을 유지하는 기술 ① 기획 ② 조직 ③ 인사 ④ 지시 ⑤ 조정 ⑥ 보고 ⑦ 재정 ⑧ 평가
→ POSDCoRBE로 명명함
(2) Planning(기획)
① 기관(또는 사회복지조직)의 목표설정 ② 목표달성을 위한 과업이나 활동
③ 과업 수행을 위한 방법을 결정하는 것
→ 변화하는 목표에 맞춰 과업을 계획하고 방법과 기술을 결정해야 함
(3) Organizing(조직)
① 조직 구조를 설정하는 과정 ② 과업이 할당되고 조정됨
③ 사회복지기관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정관의 규정, 운영지침에 의해 기술됨
④ 책임이 분명하지 않을 경우 직원들 간의 갈등이 초래되며 비효율적·비효과적 조직이 될 수 있음
- 11 -
-----------------------------------------------------Page 14-----------------------------------------------------
사회복지행정론
(4) Staffing(인사)
① 직원의 채용과 훈련, 근무조건, 교육, 동기부여, 업적평가, 해고 등 인사관리를 진행하는 기능
② 행정책임자는 직원의 임면에 대한 책임과 교육훈련, 적절한 업무 여건 조성, 의사소통 창구 마련에 대해 서도 책임을 져야 함
(5) Directing(지시)
①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의한 업무지시와 책임, 권한을 효과적으로 위임하는 것 ② 행정책임자는 합리적 결정, 기관목적에 대한 능동적 관심, 헌신적 태도를 지녀야 함
③ 직원의 공헌에 대해 칭찬하고, 책임과 권한을 효과적으로 위임하며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을 고취하도록 해야 함
(6) Coordinating(조정)
① 사회복지조직의 부서와 사업 등 기관 활동의 다양한 요소를 상호 연결·조정하며 효과적 의사소통을 원활 하게 하는 기능
② 기관 활동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중요한 기능으로 기관 내 여러 부서와 구성원 간에 효과적인 의사소통 통로를 확보해야 함
(7) Reporting(보고)
① 사회복지기관의 의사결정사항, 회계관리, 업무 등 기관 내 활동에 대한 기록의 유지 및 보고기능 ② 행정책임자는 직원, 이사회, 지역사회, 행정기관, 후원자 등에게 조직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알려야 함 ③ 주요활동 : 기록, 정기적 감사, 조사연구
(8) Budgeting(재정)
① 사회복지기관 운영에 필요한 재정규모의 예측과 재원마련, 예산계획, 예산의 할당, 예산집행 및 회계 등 의 기능을 관리함
② 사회복지조직은 재정을 투명하게 사용해야 하며 현재를 포함한 중장기적 재정계획을 수립하고, 회계 규 정에 따라 재정 운영에 대한 책임성을 지님
(9) Evaluation(평가)
① 사회복지기관의 목표와 사업 및 활동목표에 비추어 결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측정하는 기 능
② 효과성 평가 : 클라이언트의 욕구가 충족되고 문제가 해결되었는가
③ 효율성 평가 : 자원(인적자원, 물적자원)의 투입 대비 최적의 산출과 성과가 도출되었는가
- 12 -
-----------------------------------------------------Page 15-----------------------------------------------------
사회복지행정론
3. 관리자의 수준과 관리 기술
1) 관리수준별로 관리자에게 필요한 기술이 매우 다름
2) 이들이 수행하는 관리 활동과 영역은 상호 중첩되기도 하지만 확연히 구별되는 각자 영역을 가짐 (1) 최고관리자(Top Manager) (2) 중간관리자(Middle Manager) (3) 일선관리자(Supervisor)
관리자 수준 사회복지 조직의 영역 활동내용
정부의 정책 이행, 최고관리자 정책(Policy), 환경과의 관계 이사회 관련 활동,
지역사회 관리
필요한 기술
개념적 기술
(Conceptual skills)
중간관리자 관리(Management)
조정, 통제
인사 및 재무관리(인적 ・ 물적 자원), 프로그램 관리
인간기술
(Human Skills)
일선관리자 서비스 제공 및 전달 클라이언트 관리,
문서 및 기록 관리
기능적 기술
(technical Skills)
출처 : 이준영(2015), 사회복지행정론
Ⅲ. 사회복지행정가의 기본요소 및 갖추어야 할 지식 1. 사회복지행정가의 기본요소 1) 수용
(1) 직원, 클라이언트, 전문가, 지역사회 관계자 등 다양한 협력관계에 있는 사람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개인으로 존중해야 함
2) 관심
(1) 친절함, 소속감을 통해 직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함
3) 창의성 발휘
(1) 조직의 목표 달성에 있어 정책, 서비스 내용, 방법, 절차 등을 창의적으로 개발하고 시행할 수 있어야 함
4) 민주성 발휘
(1) 가능한 모든 직원을 의사결정에 참여시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야 함
5) 신뢰
(1) 직원과 클라이언트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활동을 수행해야 함
- 13 -
-----------------------------------------------------Page 16-----------------------------------------------------
사회복지행정론
6) 인정(동기부여)
(1) 직원의 사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칭찬, 적절한 보상, 인정을 적극 활용해야 함
7) 기획
(1) 정교한 기획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조직의 목적과 비전을 달성하도록 해야 함
8) 조직화
(1)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정립해야 하며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역할에 대한 유지·관리 능력이 필요함
9) 우선순위 결정
(1) 기관 목표달성에 필요한 활동들의 중요성을 토대로 대안을 수립하고 가치평가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 해야 함
10) 권한의 위임
(1) 직원 간 과업과 권한에 대한 적절한 위임이 필요함
11) 의사결정
(1) 기관과 지역사회에 유익한 결정을 하고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어 야 함
2. 사회복지행정가에게 요구되는 지식
1) 조직의 목표에 대한 이해,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지식 2) 인간발달, 정신역동, 인간행동 등 인간 속성에 관한 지식
3) 공공·민간 조직, 각종 단체나 협회 등 다양한 외부 자원 및 협력 조직에 관한 지식 4) 전문사회사업실천 지식(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 조직화) 5) 사회복지행정 지식(기획, 조직, 인사, 재무, 세무 등 조직관리) 6) 사회복지 성과관리 및 평가기법
7) 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윤리에 관한 지식
- 14 -
-----------------------------------------------------Page 17-----------------------------------------------------
사회복지행정론
2주차 1차시 사회복지행정의 역사와 발전과정: 미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
Ⅰ. 미국사회복지행정 발전과정과 특성
u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시기별 주요 특징 • 출현기(인식기)
- 19세기중반~1930년대 초반 • 정립기
- 1930년대 중후반~1950년대 • 정체기
- 1960년대
• 발전기(확립기)
- 1970년대~1980년대 • 도전기와 모색기 - 1990년대 이후
1. 출현기(19세기 중후반~1930년대 초반)
1) 남북전쟁 이후 가속화된 산업화, 대규모 유럽 이민자들 유입, 노예해방 이후 인종문제 → 빈곤, 실업, 범 죄, 위생, 아동유기 → 사회문제 급증
2) 민간복지사업 확충에 주력함
3) 1877년
(1) 자선조직협회(COS : Charity of Society)
4) 1886년 (1) 인보관
→ 사회복지행정의 시작임
5) 자선조직협회(COS)가 사회복지행정에서 갖는 의미
(1) 자선단체들 간의 조정과 협력을 도모함으로써 낭비와 비효율 방지함 (2) 협회 직원들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발전시킴
- 15 -
-----------------------------------------------------Page 18-----------------------------------------------------
사회복지행정론
6) 20세기 초
(1) 1차 세계대전 이후 경제대공황 이전까지 미국의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나타난 문제에 효과적 대처를 위해 COS의 역할이 더욱 강화됨
(2) 지역공동모금회(Community Chest), 지역사회복지기관협의회(Council of Society Agencies)가 20세기 초 에 창설되어 행정가 역할 증대함 (3) 1914년
① 사회사업 교과과정에 등장함 (4) 1923년
① 미국 사회사업대학협의회가 사회복지행정을 사회사업 교과목에 선택과목으로 포함함 (5) 1929년
① 밀포드(Milford)회의에서 사회복지행정이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복지 등과 함께 기본적 실천방법으로 인정받게 됨
2. 정립기(1930년대 중후반~1960년대 초반) 1) 공공복지행정의 대규모 확충
(1)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사회복지사를 채용하여 정부에서 본격적 공공복지행정을 시작함
2) 1934년
(1) 연방정부에서 연방긴급구호청 설립함
(2) 경제대공황에 따른 대량실업과 빈곤문제 해결함 ① 지방정부의 소극적 빈민구호 프로그램의 한계 인식함
3) 1935년
(1) 사회보장법(Social Security Act) 제정함 (2)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프로그램 제도화함
(3) 프로그램 기획 ・ 지도 ・ 감독 ・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 및 조직구성에 대한 관심 증대 및 행정에 대 한 교육 확대함
4) 1930년대 말
(1) 민간사회복지기관 행정가, 공공복지행정가 모델 확립함
(2) 민간사회복지기관행정가대학원에서 수여하는 전문자격증과 개별사회사업 실천 경험을 보유하여 중·소규 모 사회복지관 운영 및 관리함
(3) 공공복지행정가실천경험이 없는 일반행정가 출신으로 대규모 조직을 이끌고 인사권과 재정권 행사함
- 16 -
-----------------------------------------------------Page 19-----------------------------------------------------
사회복지행정론
5) 1950년대
(1) 공동모금을 전국적 범위로 확대함
(2) 미국사회복지공동모금협의회로 발전함
6) 1952년
(1) 미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대학원 교과과정에 사회복지조직과 행정절차에 관한 교육 포함함 → 학문적으로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기초, 이론, 원칙의 정립 등 독립적 영역으로 자리매김함
7) 1960년
(1)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 :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에서 사회복지행정에 관한 보고 서 출간함
(2) 1963년 산하기구인 사회복지행정위원회 설립함
8) 1961년
(1) 사회복지행정을 교과과정으로 인정함
→ 사회복지행정의 확립은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교육기반 형성과 함께 사회사업방법론에서 사회복지행정이 자리 잡는데 공헌함
3. 사회복지행정의 정체기(1960년대)
1) 빈곤문제, 인종차별, 도시문제가 증가하였음에도 낙관주의적 인식(경제적 풍요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해 결할 것이라 인식함)에 따라 대규모 사회복지프로그램 계획함
2) 베트남 전쟁 개입에 따라 인명피해와 더불어 국가적 재정 부족을 경험함
3) 1965년 빈곤과의 전쟁(War on Poverty) 정책
(1) 중앙정부의 민간기관에 대한 각종 지원, 지방정부의 후원으로 다양한 기관이 생겨남 (2) 새로운 조직방식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획 · 관리 · 운영됐음
4) 사회복지행정의 실천 및 이론적 기초가 정립되었음에도 사회복지기관들이 빈곤문제를 비롯한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에 대해 국민들의 불신과 비판이 일어남
5) 사회복지조직 및 기관에 대한 불신 → 사회복지행정가에 대한 불신 → 사회복지행정의 정체
6) 사회복지행정의 정체에 대한 대안 (1) 지역사회조직사업이 등장함
① 사회문제 해결에 직접 응용되고 많은 성과를 거둠
- 17 -
-----------------------------------------------------Page 20-----------------------------------------------------
사회복지행정론
4. 사회복지행정의 발전기(확립기)(1970년~1980년대) 1) 1960년대
(1) 기관 및 프로그램의 급격한 양적 팽창에 따라 지적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 ・ 민간 기관 및 프로 그램에 대한 효과성· 효율성·책임성에 대한 문제 대두됨 (2) 관리 ・ 운영에 관한 행정적 발달이 본격화됨 (3) 사회복지행정가의 역할 증대함
(4) 사례관리를 통한 서비스 통합과 효율화 방식 등장함
2) 1970년
(1) 미국사회복지교육위원회(CSWE: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에서 『Social Work Administration: A Resource Book』을 출간하여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이론이 체계화됨
3) 1975년
(1) 전체 84개 사회복지대학 중 19개가 사회복지행정에 관한 교과과정을 운영함
4) 1976년
(1) 최초의 전문 학술지인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출간함
5) 1980년
(1) 신자유주의의 태동과 함께 레이건 정부(1981~1989)에서 ‘작은 정부’를 표방함 (2) 사회복지분야에 대한 연방 정부의 역할 축소함 (3) 공공 서비스의 민영화가 시작됨
6) 1985년
(1)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에서 사회복지관리자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전문사회복지관리자 자격증 부여 함
7) 사회복지프로그램 민영화의 심화
(1) 직무수행 능력의 초점이 정부 지원 유치에 맞추어짐 ① 효율성과 효과성을 더욱 강조함
② 기존 사회복지학에 더하여 프로그램 평가, 비용-효과분석, 자원 동원 분야 능력을 갖춘 관리자가 각광받 음
5. 도전과 모색기(1990년대 이후) 1) 1990년대
- 18 -
-----------------------------------------------------Page 21-----------------------------------------------------
사회복지행정론
(1)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저하됨
(2) 사회계층 간 소득불평등이 더욱 확대됨
→ 다양한 복지 욕구 대응을 위한 자원부족 현상 경험함
2) 복지의존도 감소 + 정책 기조
↳ 개인 책임 및 근로를 통한 자립 강조함
→ 민영화 · 지방화 · 시장화(영리화)하려는 신자유주의적 기조를 유지함
3) 사회복지서비스의 민영화와 상업화 더욱 강화
4) 사회복지기관 관리자들
(1) 자원획득 통로 다변화에 대한 요구에 직면함 ① 재정관리와 마케팅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됨 ② 비용절감 경영 강조함
③ 공격적 마케팅과 홍보를 강화함
5)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다원화, 복잡화
(1) 서비스 전달체계에서 공공과 민간 조직이라는 전통적 구분이 파괴됨 (2) 공공관료조직
① 기능적, 지리적으로 탈집중화함 (1) 민간기관들
① 규모가 점차 증가함
② 외부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과 서비스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
6)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
(1) 사회복지행정 영역에 있어 복지정보체계 개발 및 활용이 점차 증가됨
Ⅱ. 1990년대 이후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특징
1. 공공 관료조직들의 퇴조
1) 신자유주의적 기조가 유지되면서 보수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 기획에서 서비스까지 직접 담당했던 공공 관료조직들이 퇴조함
2. 복지의존 감소 및 자립 강조
1) 정책적으로 복지의존을 감소시키고, 개인의 책임과 근로를 통한 자립이 강조됨
- 19 -
-----------------------------------------------------Page 22-----------------------------------------------------
사회복지행정론
3. 민간 역할 증대
1) 계약이나 서비스 구매 등의 방법이 활성화되면서 직접서비스 전달 부분에서의 민간 역할이 증대함
4. 민간과 공공 조직들 간에 엄격한 조직적 구분이 약해짐
5. 다양한 서비스 조직의 연계
1) 느슨한 연결로 이루어진 다양한 서비스 조직의 연계를 위해 서비스 전달 체계 통합의 필요성에 대한 공 감과 네트워크 방법이 확산됨
6. 사회복지서비스 책임성을 구체화할 수 있는 행정실천 노력 강화
- 20 -
-----------------------------------------------------Page 23-----------------------------------------------------
사회복지행정론
2주차 2차시 사회복지행정의 역사와 발전과정 :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
Ⅰ. 한국사회복지행정의 발전과정과 특성
u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시기별 주요 특징 • 도입기(형성기) : 1950년~1970년대
• 발달기(성장기) : 1980년대~1990년대 초중반 • 재편기(전환기) : 1990년대 후반~ 현재
1. 도입기(형성기)(1950년~1970년대) 1) 1950년 이전 (1) 1905년
- 경성고아원 설립(유학자 이필화) (2) 1906년
- 미국 감리교선교사가 ‘반열방( 班列房 =The Class Rooms)’이라는 인보관을 설립하여 여성을 위한 계몽사
업을 시작함 (3) 1910년
- 조선총독부 내무부 지방국 지방과에서 구휼 및 자선사업을 관할함 (4) 1921년
- 조선사회사업연구회 조직함
- 태화여자관(현재 태화종합사회복지관) 설립함 (5) 1927년
- 자선조직협회의 우애방문과 유사한 방면위원제도를 도입하여 지역 내 빈민들에 대한 구빈제도를 시작함 (6) 1944년
- 조선구호령 제정함(군사적 목적과 식민 정책의 일부로 65세 이상의 노인, 13세 이하 유아, 정신 ・ 신체 장 애로 노동할 수 없는 한정 대상에게 생활부조, 의료, 생업 및 장제부조 등을 지급함)(형식적 수준) (7) 1948년
-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께 보건위생부와 노동부 업무를 합하여 사회부를 설립함 → 1955년 보건사회부로 통합됨
2) 1950년대 한국전쟁 전후
(1) 전쟁으로 인해 초래된 막대한 수의 난민과 빈민 문제 (2) 가족과 지역공동체의 상호의존 기능 상실 → 농경사회 자체의 기반이 붕괴됨
(3) 인구에 대한 의식주, 의료, 교육, 생업지원이 절대적 사회문제로 대두됨
- 21 -
-----------------------------------------------------Page 24-----------------------------------------------------
사회복지행정론
(4) 막대한 구호자금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자체 여력이 없었음 - 대부분 미국 등 외국 정보와 외원단체들로부터의 지원에 의존함 (5) 1960년대까지 외국원조단체(외원)의 활동이 활발했음
- 1950-60년대까지 약 123개의 단체가 등록할 정도로 그 수가 증가함 (6) 1952년
- 한국 내 외국민간원조단체들이 KAVA(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라는 연합체를 결성함 → 서비스 중복과 누락 방지하고 서비스 제공자 간 협력체계 구축 강화함 - 한국사회사업연합회 창립함 (7) 1961년
- 한국사회복지사업연합회로 명칭 변경함 (8) 외원들
- 구호 활동과 관련한 조직 체제와 기술을 들여옴(서구식 전문 사회사업 개념과 실천방법) → 사회사업이 곧 사회복지로 인식되도록 함
(9) 외원들의 공식적 조직을 통한 구호 방법을 선호함 → 대량의 민간 사회복지시설이 만들어짐 → 사회복 지시설의 구성과 운영방식이 자연스럽게 외원의 요구에 지배 받게 됨 (10) 사회복지의 가치에 기반한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은 인식되기 어려웠음
(11) 외국으로부터의 구호물자 배분과 사회통제 목적이 강한 수용시설의 유지와 운영에 초점을 둠
3) 학문으로서의 사회복지행정학의 발전 (1) 1947년
- 이화여자대학교에 기독교사회사업학과 설립함 (2) 1953년
- 중앙신학교(현재 강남대학교)에 사회사업학과 설치함 (3) 1956년
- 사회복지전문인력 단기 양성소인 국립중앙사회사업종사자훈련소 창설함(현재 보건사회연구원) (4) 1957년
- 이화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 사회사업학과 설치함
4) 1960년대
(1) 군사정부의 경제개발정책을 강력히 추진한 시기임 (2) 사회복지에 투자할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음 (3) 외원의 의존도가 높음 (4) 1961년
➀ 생활 무능력자에 대한 생계보호 시행을 위한 ‘생활보호법’ 제정함
• 근로능력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18세 미만 아동, 장애인 등의 공적부조를 위주로 하는 생활보호행정중 심의 사회복지행정이 이루어짐
- 22 -
-----------------------------------------------------Page 25-----------------------------------------------------
사회복지행정론
(5) 1965년
- 한국사회사업학교협의회 창립함 (6) 1967년
- 한국사회사업가협회 창립함
① 7개 대학이 새로 사회사업학과 설치함
② 신설된 학과에서 대부분 사회복지행정을 교과목으로 채택함
5) 1970년대
(1) 정부의 경제개발정책 효과가 서서히 나타남 (2) 국가 재정능력이 향상되었음
(3) 외원들의 원조 감소 또는 철수를 시작함 (4) 1970년
➀ 사회복지사업법이 제정됨
② 사회복지사업의 정의와 범위를 명문화함
③ 사회복지법인 제도 도입을 통한 민간사회복지사업의 체계를 확립함
(5)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법인 보조 및 지도감독 권한 강화로 민관 사회복지행정발전의 토대를 마련함 (6) 1970년대에 사회복지행정이 대학교과목으로 채택되면서 행정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인정함 - BUT 조직운영이나 관리가 체계화 되지는 못함
6) 1950-70년대가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발달에서 차지하는 의미 (1) 한국 사회복지조직의 주요한 특성적 원형이 형성되었음
(2) 오늘날까지도 한국사회복지행정의 흐름에 일정한 영향을 주고 있음
2. 발달기(성장기)(1980년~1990년대 초중반) 1) 1980년대 이후
(1) 새로운 사회문제와 정치적 상황(민주화 운동 등)으로 사회복지관련 법률이 신설 또는 개정됨 → 사회복 지 욕구가 분출되는 계기가 마련됨 → 사회복지 전반에 큰 변화가 나타남
2) 경제개발 위주의 국가정책이 사회복지에 투자되는 정부자원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아지고 복지 공급량이 증가함
3) 지역사회복지관 등 이용시설의 건립이 활발해짐
4) 상담이나 치료 전문 사회복지 기관의 개념이 적극적으로 도입됨 → 과거 수용보호 시설 위주의 개념에서 전환됨
- 23 -
-----------------------------------------------------Page 26-----------------------------------------------------
사회복지행정론
(1) 1983년
-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른 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가 확립됨
5) 외원의 원조가 거의 중단됨, 사회복지기관들의 새로운 자원 모색이 필요함 → 재정자원 원천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조직 운영 방식에 대한 변화를 의미함
6) 공공재원의 민간 조직 투입
(1)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공적 통제와 감시 강화 + 시설개방화를 통한 기관 운영의 책임성, 투명성 요구 증 대함
(2) 사회복지서비스 조직의 관리와 행정에 대한 필요성 유발됨
7) 사회복지관의 민간 위탁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함 → 다원화된 재원 운영체계를 갖게 됨 → 자원동원과 서비스전달체계에 대한 새로운 구상이 필요함
8) 1988~1993년(6공화국) 동안 사회복지가 주요 현안으로 떠오름 (1) 1988년
➀ 국민연금제도, 최저임금제도 실시됨 (2) 1989년
➀ 전국민의료보험제도 실시 (3) 1991년
➀ 영유아보육법 제정
② 재가복지센터의 급격한 증가 (4) 1995년
➀ 고용보험제도 실시 (5) 1987년
➀ 사회복지전문요원제도 도입됨
② 사회복지학 전공자를 공무원으로 채용해 생활보호 업무를 전담하도록 함 → 의의 : 공적 서비스에 사회복지 전문 인력을 배치함 (6) 1988년
➀ 장애인올림픽 이후 장애인종합대책 마련함 ②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 제정함
9) 1990년대
(1) 지방자치 실시라는 중대한 정치질서의 변화
-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의 체계적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한층 높아짐 (2) 사회복지서비스의 제반 과정의 전환 - 중앙집중식 획일구조 → 다원적 구조
- 24 -
-----------------------------------------------------Page 27-----------------------------------------------------
사회복지행정론
(3) 민간 사회복지 기관에 대한 공공 자원 투입이 증가함
(4)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자의 역할에서 공공 ・ 민간 구분이 약해짐
- 다원적 공공체계로의 변화와 함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관리에 관심을 높임
3. 재편기(전환기)(1990년대 후반~ 현재) 1) 1990년대 (1) 1997년
- ‘(신)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 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규정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변경됨 → 사회복지서비스시장이 개방됨
- 사회복지 시설평가 제도를 도입함
-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관한 규정을 마련함
(2) 1998년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설립함
- 민간 재단이 일정 부분 정부 조직과 유사한 정도의 영향력을 가진 자원 공급자로 등장함 → · 서비스 전달체계 자원 수급 과정에 전략적 변화가 일어남 · 기존 시설 보조금 지원에서 프로그램 지원 방식으로 전환됨
(3) 1999년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기존의 ‘생활보호법’ 대체)
‣ 공공부조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보호’에서 ‘보장’으로 강화함 ‣ 급여 내용
· 현금, 현물 + 사회복지서비스(자활서비스)
‣ 소득과 재산에 대한 명확한 파악, 자활지원계획과 연계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복지행정 체계를 필요로 함
- 사회복지행정학회 창립 및 전문 학술지 발간함
2) 사회복지 공급 방식의 변화
• 사회복지 공급 방식에 대한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진 시기임 - ‘복지국가’ 지향 + ‘신자유주의’ 지향 → 공존하며 충돌함
3) 신사회적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사회복지 전략의 모색 필요성 증대 • 저출산 · 고령화, 소득 양극화, 고용불안, 다문화 등
• 신자유주의적 기초에 바탕을 두고 사회복지공급이 시장화 · 민영화 · 지방화 · 다원화 되고 있음 • 복지혼합(Welfare Mix)
- 사회복지 수행체계의 다선화와 복잡화를 초래함
- 25 -
-----------------------------------------------------Page 28-----------------------------------------------------
사회복지행정론
① 2003년 인력의 전문성 강화
- 사회복지 담당 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국가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1급 자격증을 교부함 ②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의 다원화 - 2007년 : 사회서비스 바우처
- 2008년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질서 변화, 사회복지행정 지식 확대 요구됨
4) 사회복지서비스의 지방화
• 사회복지서비스 업무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함 - 분권교부세를 시행(2005년) 하면서 지역복지에 대해 강조함
- 지자체의 지역보장계획 수립과 기초지자체의 지역복지협의체 설치를 의무화함 - 주민참여를 강조함
- 지역중심의 서비스공급자 간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함 - 서비스들의 통합화
- 지역 차원의 통합적 사례관리를 강조함
(1) 2010년
-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 시행 ‣ 사회복지시설의 신고•변동관리 ‣ 온라인 보고
‣ 보조금 및 각종 복지급여 지급의 전자 처리
(2) 2012년
- 희망복지지원단 출범
‣ 지역 내 자원 및 방문형서비스사업을 총괄 관리
‣ 지역단위 통합서비스 제공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전담조직
(3) 2013년
- 사회보장정보시스템(범정부) 개통 ‣ 부처 복지사업 정보 연계
‣ 개인별 · 가구별 복지서비스 이력 관리 ‣ 중복 · 부정 수급 방지
‣ 중앙부처 복지사업 정보 제공 및 업무 처리
(4) 2015년
- 찾아가는 복지사업 실시
‣ 읍 · 면 · 동 단위를 복지허브화 함
- 26 -
-----------------------------------------------------Page 29-----------------------------------------------------
사회복지행정론
‣ 당해년도에 시범사업을 실시함 ‣ 2016년 : 933개소로 확대함 ‣ 2017년 : 2,100개소로 확대함 ‣ 2018년 : 3,502개소로 확대함
- 찾아가는 복지사업의 목적 및 특성
‣ 잠재적 취약계층 사각지대에 대한 발굴 및 지원에 초점을 둠 ‣ 지자체 복지기능 강화를 통한 위기가구를 적극 발굴함 ‣ 지역사회 내 공공, 민간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통합함 ‣ 찾아가는 복지 전담팀을 구성하여 서비스를 활성화함
(5) 2018년
- 2018년 문재인 정부의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 (‘19~’23) ‘포용적 사회보장체계 구축’
- 2019년 6월~2년간 전국 8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커뮤니티케어) 선도 사업 실시
Ⅱ. 최근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흐름 1. 시설평가 강화
1) 시설평가가 점점 강화됨 (1) 기관의 효율성 요구 (2) 기관의 효과성 요구
(3) 시설 및 서비스의 적절성 (4) 재정의 투명성
2. 지역 중심 서비스 강조
1) 지방분권화 도입 강조, 지역사회 특성에 기반한 욕구와 문제해결 강조
→ 지역사회 내에서의 네트워크와 서비스 통합, 통합적 사례 관리, 자원과 정보의 공유가 중요시 됨
3. 경쟁 조직 활성화
1) 사회복지법인 수의 증가와 더불어 사단법인이 증가함 2) 자원 또는 이용자 부족을 겪는 등의 문제가 발생함 (1) 조직의 경쟁력이 중요함
3) 조직의 홍보, 마케팅이 강조되며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됨 4) 유사목적의 조직 간 네트워크 형성 및 합병 등 또 다른 전략 구상이 필요함
- 27 -
-----------------------------------------------------Page 30-----------------------------------------------------
사회복지행정론
4. 사회복지사 전문성 강화
1) 사회복지사 전문성이 더욱 강조됨
2) 서비스 제공 당사자인 사회복지사의 역량이 큰 변수가 됨
5. 클라이언트 중심
1)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 제공 강화 (1) 클라이언트 욕구와 이용 선택권 존중 등
2) 모든 차원에서 클라이언트 중심적 관점 강조 (2) 서비스 기획, 제공, 홍보, 평가 등
- 28 -
-----------------------------------------------------Page 31-----------------------------------------------------
사회복지행정론
3주차 1차시 사회복지행정의 기반 이론: 사회복지조직이론 1
Ⅰ. 사회복지조직이론의 개요
1. 조직의 정의와 조직 이해의 필요성 1) 조직이란 무엇인가? (1) 조직
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화된 구조에 따라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며,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경계를 갖고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인간의 사회집단
(2) 사회복지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Y. Hasenfeld) → 인간봉사조직(Human Service Organization)
2) 조직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1) 사회복지 행정
➀ 조직을 통해 사회복지적 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간봉사조직에서 수행하는 활동들을 관리하는 것
2. 조직이론의 비교
1) 조직이론이 관심을 갖는 세 가지 관점 (1) 조직 구성원인 인간의 성향에 대한 가정
(2) 인간이 무엇에 의해 동기부여를 받는가에 대한 가정 (3)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
2) 조직이론들의 관점 비교
고전이론 인간관계 이론 (신고전이론) 구조주의 이론
인간의 성향과 의지 수동적(과업수행) 능동적
(과업수행)
조직(리더)과 구성원 조화 갈등 동기부여 물질적 비물질적 혼합 개방/폐쇄(환경요구) 폐쇄 개방
출처 : 이준영(2015), 사회복지행정론
- 29 -
-----------------------------------------------------Page 32-----------------------------------------------------
사회복지행정론
Ⅱ. 전통(고전)이론
1. 과학적 관리이론(Scientific Management) 1) 특성 및 주요내용
(1) 테일러(F. W. Taylor)가 산업현장에서 일어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당시 새로 대두 되었던 경영 및 생산 기술을 종합하면서 만들어짐 ① 경영학 분야에서 발전함
(2) 기본관점(전제)
① 근대 자본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인간관임 ② 기업에서 인간(노동자)의 가장 큰 관심사 → 높은 보수
③ 사용자의 가장 큰 관심사 → 높은 생산성을 통한 최대 이익을 창출함 ④ 기획과 실행의 분리를 전제로 함 • 기획 : 관리자의 몫 • 실행 : 노동자의 몫
⑤ 권한과 책임이 행정관리자에게만 주어짐
(3) 조직의 최상목표로써 합리성과 효율성을 강조함 (4) 노동은 집단적인 것이 아닌 개인적 활동으로 봄 (5) 기능적 관리를 주장함
① 기본동작 형태 및 소요시간
② 적정 일일 작업량 단위 세분화 및 표준화 → 성과와 임금 연계
2) 조직관리의 기본단계
(1)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객관적 기준과 목표를 규정함
(2) 목표 성취에 필요한 조직 내 활동을 분석하여 최적의 모델을 구축함 (3) 조직 내 목표달성을 가능케 하는 요소 결정을 위해 수학적 방법으로 분석함 (4) 목표 달성을 위한 최선의 해결책과 일치하도록 조직활동을 재구성함
3) 과학적 관리 이론의 장점
(1) 기업조직 문제를 연구 · 분석 · 해결함에 있어서 과학적 방법을 적용함 (2) 단순 체계와 기법을 사용하여 생산성 향상 및 조직 능률을 개선함
4) 과학적 관리 이론의 단점
(1) 인간이 금전적 요인에 의해서 동기부여 된다는 측면만 지나치게 강조함 ① 인간을 단순한 기계적 부품으로 취급함
(2) 조직을 폐쇄적으로 바라보아 환경 변화 대처에 소홀함
- 30 -
-----------------------------------------------------Page 33-----------------------------------------------------
사회복지행정론
(3) 권위주의적 조직관을 발전시킴
(4) 권력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 외적 · 정치적 과정을 무시함
5)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1) 유용성
① 업무부담과 과업분석의 영역에 적용해볼 수 있음
② 업무부담이 많은 공공복지기관에서 과학적 관리이론에 입각하여 직원의 능력, 과업기대, 보상체계 검토에 효과적임
(2) 문제점
①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이해집단의 상이한 규범 · 가치체계에 따라 목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회복지조 직의 모든 활동에서 규범적 선택이 모호해질 수 있음
② 상의하달식 의사결정 특성으로 인해 민주적 절차를 지향하는 사회복지조직의 의사결정 방식에 어긋날 수 있음
③ 사회복지조직이 외부환경으로부터 받는 많은 외적 영향을 무시함(지역사회 내 다른 조직 및 사람들과의 관계)
2. 행정관리론(Administrative Management)
1)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를 고도로 세분화하는 분업이 중요하다는 입장임
2) 과업의 세분화 정도에 따라 통제의 범위가 달라진다고 보았음
3) 주요특징
(1) 과업 분류, 통제의 통일
- 분업과 가장 단순한 형태로의 과업 분류, 통제의 통일을 강조함 (2) 중앙집중적 통제의 필요성
- 성과를 감독하고 조정하기 위해 중앙집중적 통제의 필요성을 주장함 (3) 통제의 범위
- 한 사람의 상관이 지도•감독할 수 있는 부하의 수를 제한함 (4) 조직 단위 간 전문화
- 목적, 과정, 수혜자, 지리적 영역에 따른 조직 단위 간 전문화를 강조함
4) 행정관리론 관점에서 제시된 주요 기능 및 원칙 1)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학적 관리의 원칙’을 제시함
- 31 -
-----------------------------------------------------Page 34-----------------------------------------------------
사회복지행정론
2) Fayol(1916) - 작업의 분배 - 명령의 통일 - 중앙집중화 - 공평성
- 단체정신
- 권한과 책임 - 지시의 통일 - 위계계통
- 인사의 안정성
- 개인적 이익을 일반적 이익에 종속 - 기강 - 보상 - 질서
- 창의성
3) ‘조직행정의 관리기능’을 제시함
4) Gulick(1937) - 기획(Planning) - 인사(Staffing)
- 조정(Coordinating ) - 재정(Budgeting) - 조직(Organizing) - 지시(Directing) - 보고(Reporting ) - 평가(Evaluation)
5) 행정관리론에 대한 비판 (1) 개인적 동기 (2) 리더십
(3) 비공식집단
→ 조직 내 인간적 요소를 무시함
(4) 사회복지조직에 있어 통제 및 조정 및 슈퍼비전의 지나친 강조는 불필요함
- 32 -
-----------------------------------------------------Page 35-----------------------------------------------------
사회복지행정론
3. 관료제 이론(Bureaucracy Theory) 1) 관료제 이론
(1) 베버(M. Weber)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분석됨
(2) 합리적 · 합법적 규칙과 최대한의 효율성을 목적으로 한 조직구조 이론
(3) 행정의 관료화를 사회체계 내에서 자원과 권력을 동원하는 가장 효율적 도구로 인식함
2) 주요 특징
(1) 인간의 개성보다 공적인 지위에 기반을 둔 위계적(계층적) 권위구조임 (2) 명확하고 고도로 전문화된 분업체계임 (3) 인간관계에 대한 무관심함
(4) 기술적 자격(실적이나 기술)에 기반을 둔 신분보장과 유급직 관료 충원이 이루어짐 (5) 노동은 규정된 권위 및 책임에 따라 구분, 공식적 임무로 합법화됨 (6) 직책과 직위는 권위 서열에 따라 조직되어 명령체계를 이룸
(7) 구성원은 공식 시험, 훈련, 교육을 통해 획득한 전문적 자격을 기준으로 선발함 (8) 관리(단위조직의 소유자는 아님)들은 임명됨
(9) 행정관리들은 공식적 임무 수행에 있어 엄격한 규칙, 규율 및 통제를 받음
3) 관료제의 특성에 따른 순기능과 역기능
순기능 관료제의 특성 역기능
엄격한 지시이행과 조정 권위의 위계구조 의사소통의 저해 지속성과 통일성 규칙과 규정 경직성과 목표전치 합리성 확보 사적 감정 배제 직원의 사기저하 전문성 강화 분업 직무에 대한 권태 유인체계 경력지향성 연공과 업적 간 갈등 출처 : Hoy & Miskel(1987)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1) 유용성
➀ 서비스 합리성 · 효율성이 증대됨 ② 서비스 기술 개선에 이바지함
(2) 문제점
➀ 법칙과 규제에 대해 과도하게 의존함
②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조직 구성원과 클라이언트 간의 비인간적 관계(클라이언트 소외) ③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융통성 결여돼 있음
④ 다양한 욕구를 지닌 클라이언트에게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움 • 관료제는 획일적이고 일률적 업무를 강조함
- 33 -
-----------------------------------------------------Page 36-----------------------------------------------------
사회복지행정론
Ⅲ. 인간관계이론
1. 고전이론과의 비교 1) 유사성
• 조직의 목표와 구성원의 목표를 일치시킬 수 있음
2) 차이점
• 조직의 목표를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
3) 인간관계 이론
• 감정적 · 비물질적 보상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서적 인간을 가정함 • 상사나 동료와의 유대감, 소속감, 조직과의 일체감 등을 중시함
4) 고전이론
•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을 가정함 • 경제적 보상을 통해 동기 부여함
2. 형성배경
1) 과학적 관리이론이 인간의 감정적 · 정서적 요소를 무시하고 경제적 동기를 위해서만 일하는 것으로 이 해함 → 장기적으로 노동의욕 감퇴, 목표 지향적 협력체계 확립의 어려움, 능률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 함
2) 인간 행동 및 욕구에 부합하는 동기 고려, 개인 차이를 전제로 함 → 상호 이해의 합리적 조정, 인간의 존엄성을 인정함 → 목표지향적 협력 체계를 확립하는 인간관계이론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됨
3. 메이요(G. E. Mayo)의 호손(Hawthorne)실험 1) 개요
(1) 미국 시카고 교외에 있는 서부전기회사의 호손(Hawthorne) 공장실험을 통해 이론이 전개됨 (2) 공장의 작업조건에 관심을 가짐
(예) · 불의 밝기가 작업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사이좋은 직원과 일반직원 중 어느 직원과 작업할 때 능률이 큰가?
2) 실험을 통해 얻은 주요한 결과
(1) 비공식집단이 집단 규범을 만들어 구성원 태도와 작업행동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생산성을 좌우함 (2) 생산능률에 관여하는 요소
➀ 종업원의 태도나 감정 · 인간적 반응(→ 종업원이 속한 집단 내 분위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34 -
-----------------------------------------------------Page 37-----------------------------------------------------
사회복지행정론
(3) 생산성에 관여하는 요소 ➀ 팀워크와 협동의 정도
② 생산성 수준은 감독자의 집단에 대한 관심
(4) 조직에서 개인은 경제적 동기 보다는 비경제적 동기인 심리 · 사회적 욕구 등에 따라 행동함 (5) 근로자는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집단의 일원으로서 행동함
3) 실험의 한계점
(1) 조사연구 방법이 비과학적이며, 실험결과를 지나치게 일반화함 ➀ 실험결과가 과학적 · 객관적 자료에 의해 충분히 뒷받침 되지 못 함
(2) 조직의 외적 환경적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으며, 인간의 일면성만을 강조함 (3) 인간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보상을 중시하는 부분을 지나치게 부정하고 공식 조직을 경시함
4. 맥그리거(D. Macgregor)의 X이론과 Y이론 1) X이론과 Y이론
(1) 조직 내에서 개인과 직무를 보는 태도성향과 직무수행 자세에 따라 전혀 다른 관리방법이 고안될 수 있 다는 이론
(2) X이론과 Y이론으로 구분함
X이론 Y이론
인간의 권리와 제안이 고무되고 지지됨
지시와 통제가 행해지는 전통적 관리이론 구조화 · 통제 · 엄격한 감독이 필요함
- 피동성, 저항성, 무책임의 결과임
민주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작업상황과 분위기가
강조됨
적절한 동기부여 자율적 조직운영 개방적 조직운영
2) X이론 기본 가정
(1) 일은 고통스러운 것으로 사람은 본래 일하는 것을 싫어함
(2) 대부분의 사람은 야망이 없고 책임지지 않으며 지휘 받기를 좋아함 (3) 대부분의 사람은 조직문제 해결에 창의적이지 못 함 (4) 동기부여는 생리적 욕구 · 안정의 욕구 영역에만 적용됨
(5) 대부분의 사람은 엄격히 통제되어야 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강제되어야 함
3) Y이론 기본 가정
(1) 작업에서 육체적 · 정신적 노력의 지출은 놀이나 휴식처럼 자연스러운 것임 (2) 인간은 자신이 헌신하고 있는 목표에 기여하기 위해 자기통제와 자기지시를 행함 (3) 평범한 인간은 적절한 조건 하에서 자기 책임을 인정하며 스스로 추구함
(4) 대부분의 사람들은 조직문제 해결을 위한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음 (5) 자기실현 욕구와 자아 만족은 조직 목표를 지향하는 노력의 직접적 산물이 될 수 있음
- 35 -
-----------------------------------------------------Page 38-----------------------------------------------------
사회복지행정론
4) X · Y이론의 유용성과 한계 (1) 유용성
➀ 조직이 복잡한 사회적 체제임을 밝히고 조직 내 인간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함
(2) 한계
➀ 조직에 미치는 환경의 중요성 간과 및 인간의 정서적 측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함
② 경험적 연구결과에서는 사회 · 심리적 욕구의 실효성이 경제적 요인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5)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1) 유용성
➀ 조직 내 개인행동을 이해하는 데 기여함 ② 인간관계, 민주적 의사결정, 리더십을 중시함
③ 사회복지조직에서 중요시 하는 여러 요소들과 기본관점이 부합됨 ④ 서비스에 영향, 서비스 기술의 기초 • 대인관계 기술
• 클라이언트의 노력과 동기부여
⑤ 직원의 조직에 대한 태도, 동료직원의 관계 • 직접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영향을 줌
(2) 문제점
➀ 편협한 인간관 → 인간의 비합리적 · 정서적 측면만 강조함 ② 조직에 미치는 환경의 중요성을 간과함 (예) 조직 내 정치 · 경제적 과정 등
③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에만 치중함 → 조직 전체 문제에 소홀함
④ 사회 · 심리적 요인 외에 자원, 조직 목표, 조직의 크기, 클라이언트 욕구 및 속성, 서비스, 기술, 직원능 력, 급여 등을 고려하지 못함
Ⅳ. 구조주의이론
1. 구조주의 이론의 특성
1) 조직의 목표와 구성원의 목표가 항상 일치할 수는 없다는 점을 전제로 함 2) 고전이론과 인간관계이론의 절충 또는 종합
• 인간관계이론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하며 개인과 조직의 목표가 당연히 일치한다고 가정하지 않음 3) 조직이 처한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함
• 조직의 목표나 자원 동원에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의 필요성을 인정함
- 36 -
-----------------------------------------------------Page 39-----------------------------------------------------
사회복지행정론
2. Etziotni(1964)
1) 조직과 개인의 관계에 의한 갈등 가능성 (1) 공식적 · 비공식적 요인 (2) 비공식적 집단의 범위
(3) 조직 내 비공식적 집단들 간의 관계 (4) 하위자 · 상위자
(5) 사회적 보수 · 물질적 보수 및 그 상호 간의 영향 (6) 조직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7) 업무조직 · 비업무조직
2) 조직을 사회집단들이 상호작용하는 크고 복잡한 사회적 단위로 바라봄
3) 갈등은 역기능적이기 보다는 갈등 문제를 노출시키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찾게 함으로써 사회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음
→ 갈등의 인위적 은폐를 반대함
3. 구조주의 이론의 문제점
1) 인간적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음
2) 자기표현, 창의성, 독립성과 같은 인간 욕구를 충족시킬 여지를 충분히 주지 않음 • 비효율 및 조직의 경직화를 초래함
3) 갈등 시 인간의 의사소통과 신뢰로써 해결됨을 무시함
4.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1) 갈등
• 사회복지 분야에서 문제해결 전략으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음 →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갈등을 성격 상의 문제나 일종의 병리현상으로 봄
- 37 -
-----------------------------------------------------Page 40-----------------------------------------------------
사회복지행정론
3주차 2차시 사회복지행정의 기반 이론 : 사회복지조직이론 2
Ⅰ. 체계이론
1. 체계의 개념 및 분류 1) 체계 (1) 체계
① 정보, 에너지, 자원 등을 교환하면서 역동적으로 존재하는 실체
2) 체계의 분류
(1) 개방체계(조직환경이론)
① 다른 체계와 에너지, 정보, 자원 등을 상호 교류하는 체계 (예) 환경 또는 다른 체계들과 빈번한 상호작용
① 조직 외부환경, 조직 간 관계 관리, 네트워킹에 관심이 있음
(2) 폐쇄체계(고전이론, 인간관계이론)
(1) 다른 외부 체계들과 상호 교류가 없거나 혹은 교류할 수 없는 체계 (2) 폐쇄체계에서는 체계 안의 에너지 정보, 자원 등이 외부로 나갈 수가 없음 (3) 엄격한 조직의 경계 내에서 내부의 합리적 의사결정과 관리활동이 주된 관심임
(3) 체계는 개방적 속성이 있음
(4) 현실적으로는 완전한 개방체계나 완전한 폐쇄체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둘 간의 연속선 사이에 위치함
완전한
개방체계 체계
완전한
폐쇄체계
2. 체계이론의 개요
1)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고 가정함 (1) 고전이론
(2) 인간관계이론 (3) 구조주의이론
2) 사회를 하나의 체계로 볼 수 있음
- 38 -
-----------------------------------------------------Page 41-----------------------------------------------------
사회복지행정론
3) 체계는 다수의 하위체계로 구성됨
4) 하위체계들은 전체체계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 (1)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음
5) 조직의 상이한 여건을 모두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형임
3. 체계이론의 특성
1) 체계 - Katz & Kahn(1978)
(1) 체계는 조직의 다양한 역동성과 기제를 기초로 두고 구체적 기능을 수행하는 많은 하위체계로 구성된 복합체
2) 체계이론
(1) 관리자에게 조직 문제를 분석하고 진단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 (2) 조직 내 하위체계들의 기능과 역동성 ․ 기제의 수행 표준을 제시함 ① 조직 성과를 비교 및 평가할 수 있음
4. 하위체계 특성
① 각각의 하위체계는 생존과 발전을 위한 경쟁의 역동성 때문에 부단히 활동함 BUT 하위체계 간 갈등과 모순은 불가피하다고 가정함
② 조직이 처한 다양한 상황과 조직이 수행하는 여러 기능을 다수의 하위체계로 설명하여 가장 현실에 가까 운 조직이론이라 할 수 있음
1) 생산 하위체계(Production Subsystem) (1) 고전이론의 가정에 기초를 둠
(2) 주어진 목표에 따라 생산하는 체계임 (3) 핵심
① 효율적 산출, 과학적 관리나 관료제적 조직운영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
(4) 모든 조직은 그 조직의 생산과 관련된 과업을 수행하는데 이 과업은 생산하위체계 내에서 달성됨 (5) 조직의 역할과 과업을 설계하는 데 있어 숙련과 기술, 합리성 강조(전문화의 원리가 중요함) (6) 전문화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수단과 목적이 전치되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함 (7)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①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자원을 투입하여 서비스로 변환
2) 유지하위체계(Maintenance Subsystem)
(1)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욕구를 일치시키는 것을 강조한 인간관계이론으로부터 파생됨 ① 주요 목표 : 조직을 현재 상태로 유지하여 계속성 확보(조직 내 안정상태 유지)
- 39 -
-----------------------------------------------------Page 42-----------------------------------------------------
사회복지행정론
(2) 목표달성을 위한 기제
① 활동의 공식화, 보상체계 확립, 새로운 구성원의 사회화, 직원 선발과 훈련(구성원 간 유대감 ․ 소속감 강 화가 중요한 기능임)
(3)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① 직원 개개인의 목표를 조직의 목표에 통합되도록 촉진함 ② 직원 선발 및 훈련, 보상체계를 확립함 ③ 클라이언트 욕구 배제 가능(역기능)
• 계속성 확보와 안정 상태 유지 과정에서 직원들의 욕구 충족만 강조될 경우 발생 가능함
3) 경계 하위체계(Boundary Subsystem) (1) 경계 하위체계
① 조직의 존립을 위하여 환경과 관계를 맺는 것 (2) 구조주의이론에 기초함 (3) 주요 기능
① 환경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다른 조직들과 관계를 유지하는 것
(4) 조직을 둘러싼 환경과 조직에서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장치 마련을 강조함 (5)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① 사회복지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인지와 반응이 필요함 → 정치 ・ 경제적 환경 으로부터 큰 압력을 받고 있는 사회복지 분야에서 더욱 중요함
4) 적응 하위체계(Adaptive Subsystem) (1) 주요 기능
①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조직의 변화를 추구함
(2) 조직 내 목표 추구, 환경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변화를 모색함 ① 연구와 계획 강조
• 합리와 숙련을 강조하는 고전이론에 기초함 ② 환경 강조
• 구조주의 이론에 기초함 (3)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①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 요구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성 · 효율성 확보 ② 외부 전문가를 통한 객관적 평가를 실시함
5) 관리 하위체계(Managerial Subsystem)
(1) 다수의 하위체계 간 갈등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하위체계 (2) 조직의 통제를 위해 타협과 조정, 갈등의 해결을 시도하게 됨
① 고전이론(통제 강조), 인간관계이론(타협 강조), 구조주의 이론(외부환경 강조)을 모두 포괄함 (3) 주요 목적
① 다른 네 가지 하위체계를 조정하고 통합하기 위해 리더십을 제공하는 것임
- 40 -
-----------------------------------------------------Page 43-----------------------------------------------------
사회복지행정론
(4) 주요 기능
① 권한의 활용을 통해 계층 간 생겨나는 갈등을 해결하고, 타협과 심의를 통해 하위체계를 조정함 (5) 자원의 증진과 필요한 경우
① 조직 재구조화를 위한 체계적 관점 제공함
Ⅱ. 조직환경이론
1. 상황이론(개연성 이론)(Contingency Theory) 1) 주요 관점
(1) 조직을 둘러싼 상황(환경, 조건 등)이 달라지면 그에 적합한 조직의 구조도 달라짐 (2) 효과적 조직은 다양할 수 있음
(3) 조직환경과 조직구조의 적합성(Fit)이 조직의 성패를 좌우함
2) 특징
(1) 모든 상황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유일한 최선의 조직화 방법은 없음을 전제로 함 (2) 환경적 변수를 강조함
(3) 조직의 목적, 과업의 종류, 기술, 규모 등에 따라 적합한 조직구조는 달라짐 (4) 동일한 조직 내에서도 직무가 다르면 관리 기법도 달라져야 함
3) 한계
(1) 어떤 상황에서 어떤 조직구조가 적합한지 일정한 원칙을 제시하지 못함
(2) 상황이론에서 상정한 상황은 조직과 관련된 부분적인 것임 BUT 전체 사회 · 문화 · 정치적 변수를 고 려하지는 못함
(3) 환경결정론적 시각으로 인해 조직 내부 변화의 능동성을 간과함
2) 정치경제이론(Political Economy Theory) (1) 주요관점
① 권력의 상호작용
• 권력 행사자들이 성취하려는 목적 및 생산적 교환체계 ② 조직과 환경 간 상호작용
• 상호작용이 조직 내부의 역학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둠
(2) 환경과 조직
① 조직은 생존과 서비스 생산을 위해 자원을 과업환경과의 관계에서 획득함 • 정치적자원 : 합법성(조직의 존립기반), 세력(조직 내 권위와 영향력의 배분 수단) • 경제적 자원 : 물적자원, 클라이언트, 후원자 등 ↳ 조직 설치 및 운영에 필수적 조건 ② 조직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함
- 41 -
-----------------------------------------------------Page 44-----------------------------------------------------
사회복지행정론
• 외부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 협력, 갈등, 계약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함
(3)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① 경쟁조직 증가
② 효율성 가치 강조 ③ 과업환경과의 연계
→ 외부환경과의 관계 설정 및 자원관리의 중요성과 부합됨
3) (신)제도이론(Institutional Theory) (1) 주요관점 ① 규범, 규칙
• 제도적 환경 속에 존재하는 규범이나 규칙에 의해 조직 성격이 결정된다고 봄 ② 제도환경에 순응함
• 조직활동에 대한 지원과 정당성을 얻기 위해 사회적 규범과 가치, 문화적 규칙 · 시스템과 같은 제도환 경에 대한 순응을 강조함 ③ 제도적 환경
• 행동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원천임
• 조직은 제도환경에서 기대하는 특성을 조직에 반영함으로써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음
(2) 조직에서 제도적 규칙이 받아들여지는 과정(제도적 동형화 과정) ① 정부나 법률의 규정에 의해 ‘강제’로 받아들여지는 규정
(예) 법률적 규정에 따라 특정 클라이언트를 의무적으로 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해야 하는 경우 ② 성공적 조직의 관행, 절차를 ‘모방’하여 규칙을 정하는 방법 (예) 우수기관의 조직체계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시행 ③ 전문직의 ‘규범’으로 자연스럽게 절차를 수용함 (예) · 과학적으로 효과성이 입증된 실천모델을 적용함 · 경험적 실천을 강조하는 전문직의 요구
4) 조직군 생태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Natural-selection Theory) (1) 주요관점 및 특징 ① 환경결정론적 시각
•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에서 환경적 요인들이 그에 가장 적합한 조직특성들을 선택한다고 봄 ② 다윈의 진화론(적자생존)에 영향을 받음
• 조직무리(조직군) 또는 특정 범주에 관심을 둠
③ 조직군을 둘러싼 환경적 욕구에 부합하는 조직만이 선택 및 생존하게 되는 원리가 조직과 환경 간의 관 계에서 적용됨
- 42 -
-----------------------------------------------------Page 45-----------------------------------------------------
사회복지행정론
④ 장기적 조직변동을 설명할 수 있음 ⑤ 정치 · 경제적 조건에 관심을 둠
⑥ 조직의 변화속도는 환경의 변화속도보다 느려 구조적 관성이 나타나며, 조직의 환경적응이 어려움 • 조직은 환경에 의해 선택을 당하게 됨 → 조직은 환경에 대해 무기력한 존재임 ⑦ 조직변동의 과정
• 변이 → 선택 → 보전
Ⅲ. 현대조직이론
1. 목표관리(MBO : Management By Objectives) 1) 개념정의 (1) 목표관리
① 참여의 과정을 통해 조직단위와 구성원들이 실천해야 할 생산활동의 단기 목표를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생산활동을 수행하며 활동의 결과를 평가 ・ 환류시키는 관리체계
② 명확한 목표설정, 책임한계 규정, 참여와 상하협조, 피드백을 통한 관리계획 개선, 조직구성원의 동기유 발, 업적평가 개선을 도모하고 조직효율성을 증진시키려는 총체적 관리체계
2) 3가지 기본요소 (1) 목표
① 기간과 목표는 수량적으로 표시 · 측정할 수 있어야 하며 현실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함 (2) 참여
① 조직의 상위관리자와 하위관리자가 모두 목표 설정에 참여함 ② 경우에 따라 조직 구성원 전체의 참여가 필요함 (3) 환류
① 목표 수행 및 종료 후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구성원들의 능력 신장과 조직 목표가 일 관성 있게 추진되도록 해야 함
3) 주요 특징
(1) 목표 달성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계획과 전체 조직, 부서, 개인의 목표를 통합함 (2) 목표를 향한 진행상황이 정기적으로 검토되어야 함 (3) 목표달성을 위한 피드백과 보상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 (4) 목표의 수량적 설정으로 객관적 평가 진행이 가능함
(5) 부서별 · 개인별 목표와 활동 내용이 명확하여 책임 한계가 뚜렷함 ① 조직의 효과성 · 효율성 제고
(6) 상위관리자의 주관적 견해에 치중하지 않음
- 43 -
-----------------------------------------------------Page 46-----------------------------------------------------
사회복지행정론
4) 사회복지조직 적용상의 한계
(1) 전체 구성원 참여 유도를 위한 시간과 노력이 과다 소요되며, 운영 · 관리가 복잡함
(2) 사회복지서비스는 인간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명확한 목표설정이 어렵고, 수량화하기 쉽 지 않음
→ 목표의 질적 측면을 간과함
(3) 가시적 성과를 위해 단기적 · 계량화가 가능한 업무에만 주력하게 될 수 있음 (4) 결과(성과)를 중요시하여 수단 · 과정에 소홀할 수 있음
2. 총체적 품질관리(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1) 개념정의
(1) 총체적 품질관리
① 조직의 문화를 정의하는 것
② 도구 · 기법 · 훈련 등의 통합시스템을 통해 상시적으로 고객 만족을 추구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것 ③ 고객의 욕구나 필요에 따라 조직의 목표가 설정된다는 고객중심의 관리를 강조함 → 조직 구성원 전체의 참여가 가능한 경영 시스템을 갖추도록 함 ④ 서비스의 지속적 개선, 양질의 서비스 산출을 통한 조직 경쟁력 증대 ⑤ ‘품질’은 지속적 개선을 통한 결함 없는 서비스
⑥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
2) TQM의 주요 특징
(1) 리더의 강력한 의지로 주도 (2) 지속적 학습 · 개선 강조 (3) 신뢰관리
(4) 총체적 관리과정
(5) 장기적 관점, 예방적 통제 (6) 고객 요구 존중 (7) 집단적 노력 강조 (8) 과학적 방법 사용 (9) 인간의 존중 (10) 분권적 조직
3) TQM 7대 원칙
(1) 고객은 최초의 그리고 가장 중요한 품질 판정자임
(2) 품질은 생산 초기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성요소가 되어야 함(상향식) (3) 변동 가능성을 방지하는 것이 고품질을 확보하는 비결임
- 44 -
-----------------------------------------------------Page 47-----------------------------------------------------
사회복지행정론
(4) 품질은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시스템 내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서 나옴 (5) 품질은 투입과 과정상의 지속적 개선을 요함 (6) 질적 개선은 강력한 작업자의 참여를 요함 (7) 품질은 조직 전체의 책임을 요함
4) 주요 품질 차원 (1) 신뢰성 (2) 대응성 (3) 확신성
(4) 감정이입 (5) 쾌적성
5) 사회복지서비스의 속성과 품질관리 (1) 서비스의 속성
① 무형성 : 눈에 보이지 않고 만질 수 없음 ② 이질성 : 표준화와 품질통제가 어려움
③ 소멸성 : 저장할 수 없어 재고로 남길 수 없음 ④ 비분리성 : 생산과 소비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짐
6) 사회복지행정에서 서비스의 질 (1) 서비스의 우수성 (2) 이용자 만족도 (3) 비용효과성
(4)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와 제공량 (5) 서비스 제공 과정
7) 사회복지조직 적용상의 한계
(1) 사회복지서비스 효과성과 질을 측정할 객관적 척도의 부족 (2) 조직환경에 따라 리더와 직원의 자발적 참여가 어려움 (3) 다양한 관리기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부족
3. 전략적 관리(SM : Strategic Management) 1) 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변혁적 관리임
(1)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의 효율적 관리를 지향함
2) 역동적 환경에 처하여 변화를 겪고 있는 조직에 새로운 노선 제시함
(1) 전략 · 기술 개발 및 집행을 통해 조직이 활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함
- 45 -
-----------------------------------------------------Page 48-----------------------------------------------------
사회복지행정론
3) 목표지향적 · 개혁적 관리, 장기적 시간관리, 환경분석 · 조직역량분석 · 전략개발 · 조직활동 통합을 강 조함
4. 학습조직이론
1) 개념정의 및 특징 (1) 학습조직이론
① 벤치마킹의 체질화와 조직 · 인력의 역량강화를 강조하여 서비스 효과성,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제시됨 ② 개인적 통제감, 사고의 틀, 비전 공유, 팀 학습, 체계적 사고 → 조직의 주요 영역 → 역량강화 (2) 학습조직
① 조직 구성원인 개인, 팀, 조직이 지속적으로 학습을 권장하는 분위기를 통해 조직을 변형, 발전시키는 결 과를 가져옴 (3) 학습
① 조직이 성공적일 때(조직의 목표와 성과가 일치함) 또는 시정조치(조직의 목표와 성과 불일치함)가 이루 어질 때 나타남
2)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 (1) 장점
① 학습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리더십을 갖추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축적해 활용할 수 있음 ② 조직의 역량 및 경쟁력 강화 (2) 단점
① 조직을 학습조직화하기 위한 시간과 많은 자원이 소요될 수 있음
- 46 -
-----------------------------------------------------Page 49-----------------------------------------------------
사회복지행정론
4주차 1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적 특성
Ⅰ. 조직의 개념과 조직의 유형 1. 사회복지조직의 개념
1) ‘조직’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
학자 정의
Etzioni 일정한 환경 하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할 목적으로 구조화된 계획적 단위
Skidmore 사람, 과정, 자원을 가장 질서 있고 효율적으로 배열하는 활동으로서 공동
목표를 향한 사람들의 활동과정
Weber 계속적이고 의도적인 특정한 종류의 활동체계
Barker 결정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제도화된 전략들을 동원하는 것 둘 이상의 사람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 일정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이덕희 외
의도적으로 구성한 사회체제로서 목표달성을 위한 특정한 과업, 역할, 권한, 의사소통, 지원구조 등을 갖는 체계
2) 사회복지조직 • 사회복지조직
-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일정한 구조를 지닌 사회적 단위 • 공동의 목적 = 사회복지
2. 조직의 구분
1) 조직을 구분하는 세 가지 기준 • 권력과 복종형태에 따라 • 수혜자의 종류에 따라 • 업무의 통제성에 따라
2) 권력과 복종 형태에 따른 조직(Etzioni) • 권력 형태에 따른 구분
- 강제적 · 보수적(공리적) · 규범적 권력 • 관여유형에 따른 구분
- 소외적 · 타산적 · 도덕적 관여
• 권력과 복종 형태에 따른 조직 유형
복종
권력 소외적 타산적 도덕적
강제적 강제적 - - 보수적 - 공리적 - 규범적 - - 규범적
- 47 -
-----------------------------------------------------Page 50-----------------------------------------------------
사회복지행정론
① 강제적 조직
- 규범과 규정에 의해 강제성을 통제수단으로 함
- 권력의 강제적 행사로 위협, 신체적 탄압이 이루어지기도 함 - 예 : 수용 정신병원, 구치소, 교도소 등 ② 공리적 조직
- 사회 · 경제단체와 같이 보수를 통제의 수단으로 하는 조직임 - 서로 주고받는 계약관계임
- 금전과 같은 물질적 보상에 기반함
- 예 : 산업조직-기업체, 경제단체, 농민조직 등 ③ 규범적 조직
- 문화, 도덕 이념을 내세우는 조직으로 지위, 존엄, 위신 등 상징적 보상에 기반함 - 예 : 정치조직, 병원, 학교, 종교조직, 사회복지조직 등
3) 수혜자의 종류에 따른 조직(Blau & Scott)
• 일차적 수혜자가 누구냐에 따라 조직을 유형화함 - 상호수혜조직
‣ 구성원이 일차적 수혜자
‣ 예 : 정당, 노동조합, 농협, 수협 등 - 사업조직
‣ 조직의 소유자, 경영자가 일차적 수혜자 ‣ 예 : 주식회사, 은행 등 - 서비스조직
‣ 조직의 클라이언트가 일차적 수혜자
‣ 예 : 병원, 학교, 사회복지기관, 상담소 등 - 공공조직
‣ 일반 대중이 일차적 수혜자 ‣ 예 : 군대, 경찰, 행정조직
- 사회복지조직은 클라이언트가 바로 일차적 수혜자 →서비스조직의 성격 - 사회복지를 제공하는 정부조직의 수혜자는 일반시민 → 공공조직의 성격
4) 업무의 통제성에 따른 조직(Gilbert Smith) • 업무의 통제성에 따라 조직을 유형화 - 관료조직
‣ 공식적 조직과 규정, 위계적 권위구조, 명확하고 전문화된 분업, 문서에 의한 업무처리, 기술적 자격에 기 초한 신분보장의 특성을 지닌 합리적 통제체제의 조직
- 48 -
-----------------------------------------------------Page 51-----------------------------------------------------
사회복지행정론
‣ 예 : 정부조직, 지방자치단체
‣ 목표와 수단의 전도(Displacement)현상
‣ 형식주의(Red-tape), 개인의 불안정감, 변화에 대한 저항 등의 병리현상, 크리밍(Creaming)현상 발생함 ‣ 크리밍 현상 : 서비스 조직들이 접근성 메커니즘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유순하고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클 라이언트를 선발하고 비협조적이거나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클라이언트들을 배척하고자 하는 것 - 일선조직
‣ 공식적 위계제도가 있음에도 실제적으로는 권한의 분산이 행해지는 조직
‣ 조직의 주도권이 일선업무단위에 있고, 각 업무단위는 자율성을 가지고 상호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함 ‣ 예 : 기업-각 부서, 사회복지기관, 연구소 등 ‣ 사무단위의 직접적 감독과 통제가 쉽지 않음 - 전면적 통제조직
‣ 클라이언트의 유지관리 과정에서 엄격한 규칙에 의해 전반적 통제를 가하는 조직 ‣ 관리자가 수용자에 대한 강한 통제권을 지님
‣ 강제적 수용, 철저히 계획된 활동, 일반사회의 기본적 생활 형태와 차이, 수용자와 직원 간의 근본적 차 이, 문화적 차이로 인한 고통, 개인의 개조, 특수문화 형성 ‣ 예 : 정신병원, 기숙사, 교도소, 요양시설 등 - 투과성 조직
‣ 조직의 구성원(참여자)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개인의 가정과 사적인 생활에 침해를 받지 않음 ‣ 조직의 문화나 규정에 의한 통제성이 약하고 조직 활동이 거의 노출되는 조직
‣ 자발적 참여, 영역유지구조가 약함, 역할구조의 복잡성, 개인의 주체성, 업무활동의 자율성 ‣ 예 : 자원봉사활동조직
5) 수혜자의 상태와 조직기술에 따른 사회복지조직 구분(Hasenfeld)
• 사회복지조직이 대상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와 조직 기술에 따라 사회복지조직을 여섯 가지로 분류함 • 클라이언트 구분
- 정상기능 클라이언트 - 비정상기능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에게 사용하는 기술유형 - 인간식별기술 - 인간유지기술 - 인간변화기술 ① 인간식별기술
- 클라이언트의 개인적 속성은 변화시키지 않고 다른 사회적 집단으로부터 바람직한 반응을 야기하는 사회 적 명칭 부여(Labelling)와 공식적 지위 부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시도함
② 인간유지기술
- 클라이언트의 개인적 상태의 악화, 약화, 퇴보를 예방하고 현 상태로 유지하며 위험요소를 완화함
- 49 -
-----------------------------------------------------Page 52-----------------------------------------------------
사회복지행정론
③ 인간변화기술
- 클라이언트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직접적으로 클라이언트의 개인적 속성에 직접 변화를 가함
클라이언트
유형
사용기술유형
인간식별기술 인간유지기술 인간변화기술
정상 기능
비정상
<유형1>
대학, 신용카드회사
<유형2>
<유형3>
사회보험관리기구
<유형4>
<유형5>
공립학교, YMCA
<유형6>
기능 소년법원, 진료소
공공부조사무소, 요양시설
병원, 수용치료센터
출처 : 이준영(2015), 사회복지행정론
3. 사회복지조직의 특성 1) 사회복지조직의 원료
• 사회적 도덕적 정체성을 지닌 인간
2) 사회복지조직의 목표 • 불확실하며 애매모호함
3) 사회복지조직의 기술 • 불확실함
4) 사회복지조직에서의 핵심적 활동 → 직원-클라이언트의 관계로 구성됨
5) 사회복지조직
•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직원에게 의존함
• 효과성을 측정할 신뢰성 있는 척도가 부족함
Ⅱ. 조직의 구조
1. 조직구조의 유형 1) 조직구조란? • 조직구조
- 조직의 각 부분들 사이에 성립되어 있는 관계의 유형
- 노동의 분화, 위계, 과업수행과 관련된 규칙, 통제와 조정, 의사결정의 권한 등이 어떻게 배분되고 조정되 는지와 관련됨
2) 조직구조의 내용
- 50 -
-----------------------------------------------------Page 53-----------------------------------------------------
사회복지행정론
• 복잡성
- 과업이나 위계구조의 분화 • 공식화
- 과업의 표준화 • 집권화
- 의사결정의 공식적 권한
3) 조직구조의 선택 • 기준
- 환경의 단순성 · 복잡성 - 안정성 · 불안정성
- 기술의 명확성 · 불명확성
• 집권화-분권화, 공식화-비공식화
2. 조직구조의 기본유형 1) 기계적 구조-유기적 구조
기계적 구조 구분 유기적 구조
•엄격하게 규정된 직무(직무설계) •많은 규칙과 절차(공식화) •집권적 의사결정(집권성)
•좁은 통솔범위(높은 계층제)
구조적 특징
•복합적 직무 설계
•규칙과 절차가 단순함 •분권적 의사결정
•많은 통솔범위(저층구조)
•공식적, 몰인간적 대면관계 •분업과 전문화 강조함
•내적 통제에 따른 예측가능성과 안정
성(표준화된 통제) 장점
•비공식적, 인간적 대면관계 •팀워크 중시함
•환경에 대한 신속 대응
•환경 대응능력 부족 단점 •내적 통제 부족
•신뢰성 우려
•관료제 모형 대표적 모형 •학습조직
3. 조직구조의 유형 1) 전통적 조직 ① 기능적 조직
• 각각의 업무단위를 병렬로 나열한 조직구조
• 표준화된 서비스를 위주로 하는 사회보험 관료조직, 정신보건서비스조직
② 수직(계층화, 집권화)-수평조직(전문화, 특화) ③ 위원회 조직
- 51 -
-----------------------------------------------------Page 54-----------------------------------------------------
사회복지행정론
• 특별한 과업이나 문제해결을 위해 조직의 일상업무수행 이외에 별도로 구성한 활동 조직 - 예 : 전문가 또는 과업 관련자로 구성, 상임 · 임시위원회 • 전문가 집단 역량 결집으로 신속한 대응과 혁신
• 상하관계가 분명하지 않아 모호성과 갈등 발생의 여지가 있음
2) 사업부제 조직
• 대규모 조직에서 사업부 단위로 조직을 수평적으로 편성함 - 각 사업부는 독자적 생산과 마케팅, 관리 권한을 행사함 • 사업부별 독립채산제를 실시함
• 각 사업부는 모든 과업의 계획과 집행, 성과분석까지 개별조직처럼 운영하는 구조임 • 장점
- 환경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 - 성과에 대한 책임감 향상 • 단점
- 사업별로 분리된 업무 진행으로 인한 자원 중복이 발생함 - 실제 수평적 조정의 어려움
3) 동태적 조직
① 프로젝트(Project) 조직
• 특별한 과업에 따라 관련 부서에서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인력을 파견하고 수평적 접촉을 통해 프로젝트 를 해결한 후 원래 부서로 복귀하는 조직
• 조직 구성이 유지되는 동안 대량의 자원과 재능을 집중 투입
•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구성으로 프로젝트 업무에만 전념함
• 프로젝트 팀의 팀장은 위계적 상급자가 아닌 의사결정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함
→ 매트릭스 조직 관리자에 비해 의사결정 권한이 더 많이 주어지며 공식적 권한의 폭도 더 넓은 편임 ② 매트릭스(Matrix)조직
• 전통적 조직기능과 프로젝트조직을 결합하여 구성원이 각자 기능부서에 속하는 동시에 프로젝트조직에도 속하도록 구성한 조직
• 두 개 이상의 권한 계통이 중첩되는 이중 권한구조를 가지고 있음 • 조직구성원의 능력과 재능을 최대한 이용함 • 개별 팀의 프로젝트 간 이동이 가능함
• 시간배분과 성과측정의 문제, 프로그램 관리자 불만이나 역할갈등을 초래함 • 긴축을 요하는 불황기에 활용이 어려움 ③ 팀(Team)조직
• 과거의 전통적인 조직체인 부 · 과 · 계 등의 조직을 업무재편을 통해 통합 · 분할하여 하나의 팀으로 전 환하여 팀장을 중심으로 업무를 하도록 만든 조직구조
- 52 -
-----------------------------------------------------Page 55-----------------------------------------------------
사회복지행정론
• 신속한 의사결정, 자율적 책임제제, 조직 간 유연성, 성과 중심의 생산성 비교가 가능함
• 단기적 안목 중심의 목표에 치우침, 동일한 목표의식에 따른 개별적 창의성 약화, 팀 간 갈등을 심화함 • 효과적인 팀의 특성 - 동일한 목표의식 공유
- 팀의 능력에 대한 신뢰(임파워먼트) - 소통, 신뢰, 수용, 화합, 피드백 등 - 책임과 리더십의 분담 - 생산의 질적 수준 제고 - 개인과 팀 실적의 인정
- 팀워크에 대한 열의, 자부심 • 팀제의 성공요건
- 관리층의 이해와 지지
- 조직 목표에 대한 명확한 인식 - 상 · 하층 간 신뢰
- 목표 성취를 위한 팀의 모험과 결과에 대한 책임 - 훈련과 능력개발을 위한 투자 ④ 네트워크(Network) 조직
• 환경변화에 보다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외부자원의 효과적 활용을 도모하는 조직구조 • 보유자원을 핵심사업에 집중하고 핵심 이외의 부문은 아웃소싱임
• 다른 기업과 제휴 등을 통해 강점을 결합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상호 네트워크 구축 효과의 극대화 와 상호 신뢰를 꾀하는 것이 중요함 ⑤ 프로세스(Process) 조직
• 기본 조직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여 획기적 경영성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기본단위로 설계된 조직
• 고객의 가치를 가장 이상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조직 구조를 재설계함
• 전체 조직구조, 직무수행에 필요한 인적 요건, 인적자원관리, 조직문화 등 전반적 조직 시스템의 완전히 새로운 사례임
• 상급자는 각 프로세스가 잘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함
• 구성원은 각자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라 직무 수행을 함 • 가치창출 · 자산창출 · 조정 · 통제 · 지원 프로세스 ⑥ 공동관리 조직
• 모든 주요 결정에 전 구성원이 참여하는 완전 민주주의 구조 • 예 : 대학의 학과 운영, 교육과 훈련의 참여 ⑦ 자율적 작업 조직(Self-directed Work Group)
• 해야 할 업무를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관리하도록 의사결정 권한을 부여 받은 사람들로 구성된 소규모 조 직
- 53 -
-----------------------------------------------------Page 56-----------------------------------------------------
사회복지행정론
• 조직의 상층부로부터 광범위한 자율권 이양, 그에 따른 지원과 책임이 수반됨 • 성공요건
- 팀의 임파워먼트
- 구성원의 효과적 관리
- 개인성과와 팀 성과의 연계 - 지원을 위한 교육 및 보상체계
4. 사회복지조직의 모형과 조직화 방법
1) 생산일선조직(Production Line Organization) • 각각의 업무단위를 병렬식으로 나열한 조직 • 업무가 표준화된 조직에 가능함
• 대부분의 사회복지조직은 서비스 특성상 표준화의 여지가 크지 않고, 서비스에 대한 합의를 이루기 어려 워 생산일선조직 모형 적용에 한계가 존재함
• 사회복지학 분야의 과학화가 점차 발전함에 따라 향후 적용의 여지가 큼
2) 연계조직(Linkage Organization)
• 조직의 1차적 기능이 중계자의 역할인 조직 • 지역사회자원 수집,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연계 • 예 : 입양기관, 사회복지서비스 안내기관
3) 고객서비스조직(Custom Service Organization)
• 클라이언트의 특성과 욕구, 문제에 맞춰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 • 사회복지조직에서 가장 일반적 형태의 조직
- 54 -
-----------------------------------------------------Page 57-----------------------------------------------------
사회복지행정론
4주차 2차시 사회복지조직의 이해: 사회복지조직의 유형
Ⅰ.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적 유형 1. 공식성에 따른 구분 1) 공식조직 vs 비공식조직
• 조직에 대한 규율, 규칙이 명문화된 형태로 존재하는가에 따라 구분됨
2) 공식조직
• 공식조직의 특징
- 분업과 권한, 책임의 계층제를 통하여 일정한 목표를 달성하려는 조직 - 법률, 규칙이나 직제에 의해 형성된 인위적 조직
- 인간관계를 규제하는 데 중점을 두는 구조가 명확한 조직 - 기구, 도표 상으로 나타나는 가시적이고 계획적 구조 - 4가지 기본 요소 ‣ 업무의 분화
☞ 구성원 간 업무를 분담하여 각 전문성을 증진하고, 효율성을 달성하도록 함 ‣ 위계
☞ 조직의 구조적 요소로 명령계통, 권한 위임 등을 의미함 ‣ 구조
☞ 조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업무의 역할과 범위를 구분하여 권한과 책임을 부여한 조직의 배열임 ‣ 통제의 범위
☞ 한 명의 상관이 효과적으로 통솔할 수 있는 부하직원의 수 직무성질, 시·공간적 요인, 감독과 부하의 능력과 성격, ↵ 의사소통 기술 등을 고려함
3) 비공식조직
• 비공식조직의 특징
- 작은 조직 내 빈번하게 접촉하는 구성원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소규모 집단 ‣ 예 :독서모임, 스터디모임, 직장인 밴드, 조기축구회 등 - 인간 상호관계나 인간의 욕구를 기반으로 함 - 비합리적, 능률보다 감정의 논리를 우선함
- 구조가 명확하지 않지만 공식조직에 비해 신축성을 가짐 • 장점
① 생각과 감정을 나누는 의사소통이 용이하고, 집단의 응집력이 향상됨 ② 구성원에 대한 인정과 지지를 통해 자기존중감이 향상됨
③ 공식조직의 약점을 보완하고 구성원의 새로운 욕구를 발견할 수 있음
- 55 -
-----------------------------------------------------Page 58-----------------------------------------------------
사회복지행정론
④ 공식조직에서 일어나는 긴장과 압박감을 해소함
• 단점
① 조직 규모가 커질수록 비합리적 의사결정을 초래할 수 있음 ② 조직의 목적 전치 가능성이 있음
③ 파벌이 조성될 경우 공식조직의 분열을 초래함
4) 공식 · 비공식조직의 적용
• 현실의 조직에서는 공식 · 비공식조직을 구별하기 어려움 • 양자가 공존하여 협동적 관계 또는 대립적 관계에 있기도 함 • 적정 수준의 비공식조직의 활용과 통제가 조직 운영에 있어 중요함 • 공식조직과 비공식 조직 간에 불협화음이 발생할 경우(Williams) - 소외의 원인 제거 - 설득
- 직위부여
- 전보발령 또는 해직
2. 복잡성에 따른 구분 1) 수직조직 vs 수평조직
• 조직 내 분화의 형태에 따른 구분임
2) 수직조직(=계선조직) • 특징
- 명령-복종 관계를 가진 수직적 ․ 계층적 구조를 형성함 ‣ 예 : 관장-부장-과장-팀장
- 법령 집행 및 정책 결정 등을 통해 조직의 목표달성에 직접적으로 공헌함 • 장점
- 위계적 구조의 권한과 책임이 분명함
- 결정권과 집행권을 가짐으로써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음 - 강력한 통솔력 행사와 조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 • 단점
- 책임자에게 총괄적 지휘 · 감독권이 발생하여 대규모 조직에서는 책임자에게 업무량이 과중될 수 있음 - 책임자가 독단적이고 주관적 의사결정을 내릴 우려가 존재함
- 각 부문 간 효과적 조정이 곤란하여 조직운영의 비능률성 초래의 우려가 있음 - 특수분야에 전문적 지식을 활용하기 어려움 - 조직이 경직될 우려가 있음
- 56 -
-----------------------------------------------------Page 59-----------------------------------------------------
사회복지행정론
3) 수평조직(=막료조직, 참모조직) • 특징
- 수직조직이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 · 조성 · 촉진함으로써 조직목표 달성에 간접적으로 공헌하 는 구조
- 자문, 권고, 조언, 조정, 연구, 기획, 통제, 인사, 예산, 홍보, 조달 등의 기능을 수행함 ‣ 예 : 기획관리실, 총무과, 자료실, 경리과, 홍보실, 비서실, 자문위원회 등 • 장점
- 책임자의 통솔범위 확대,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함 - 참여적이고 객관적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함 - 수평적 업무 조정과 협조를 가능하게 함
- 조직의 융통성과 신축성을 부여하며 대규모 조직에 유리함 • 단점
- 조직 내 인사관계가 복잡하며 수평조직 간 권한과 책임한계를 둘러싼 갈등이 야기될 수 있음 - 수평조직에 소요되는 지출이 증가하고 운영과 행정이 지연될 수 있음
- 조직의 상층부를 지원하기 때문에 수평조직 권한 확대에 따른 권력 집중의 폐단이 나타날 수 있음 - 의사소통의 경로가 혼란에 빠질 수 있음
4) 수직조직과 수평조직의 적용
• 실제로 그 기능이 엄격하게 구분되지 않고 기능이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음 • 공식적 구조상의 위치보다 갈등을 해소하고 원만한 협조를 통해 통합되어야 함 • 상호간 불화와 갈등 해결을 위한 방법 - 책임한계 명확화
- 상호 간 인사교류와 접촉 추진
- 교육훈련 등을 통한 상호 협조와 활용 도모
3. 집권성에 따른 구분
1) 의사결정의 권한이 어디에 있는가에 따른 구분 • 집권화 조직
- 중요한 의사결정 권한이 상부에 집중되어 있는 조직 • 분권화 조직
- 의사결정 권한이 각 계층에 위임되어 있는 조직 • 집권화 조직의 장점
- 단순 반복적이고 획일적 업무임 - 위기 시 유리함
• 분권화 조직의 장점
- 57 -
-----------------------------------------------------Page 60-----------------------------------------------------
사회복지행정론
- 환경에 대한 반응과 유연성이 높고 신속한 행동이 가능함 - 정보수집에 유리함
- 교육기회 제공 등 구성원의 동기부여에 관심이 있음 • 집권화 조직의 단점 - 자율성과 창의성 저해
- 일상적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이 어려움 • 분권화 조직의 단점
- 계획과 조정 활동이 어려움
-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통제가 약함
Ⅱ.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조직화
1. 조직구조의 설계 1) 직무설계
• 구성원들의 직위에 따라 담당직무를 설계하는 것 - 최근의 흐름
‣ 세분화된 직무설계 → 복합적 직무설계 강조 • 직무설계 방안 - 직무확충
‣ 동일한 직무에 각기 다른 과업들을 병합함 ‣ 예 : 직무확대, 직무충실 - 직무순환
‣ 업무자들이 일정 주기를 두고, 교대로 각기 다른 직무를 수행함 - 직무공유
‣ 하나의 전일제(Full-time)직무를 둘 혹은 그 이상의 업무자가 나누어 수행함 - 근로시간 유연화
‣ 조직원들이 각자 편리하고 조직 업무에도 도움이 되는 시간을 선택해서 정해진 시간만큼 근무하도록 하는 것
2) 업무 세분화의 장점
① 업무와 기술이 단순화 되어 업무자의 역할도 단순화 됨 ② 자신이 맡은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전문성이 강화됨
③ 관리, 감독이 용이하고 개별업무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음
3) 업무 세분화의 단점
① 분화된 업무들의 통합이 안 될 경우 조직 차원의 효율성 저하
• 개별업무에 대한 조정과 통제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노력과 비용이 소요됨
- 58 -
-----------------------------------------------------Page 61-----------------------------------------------------
사회복지행정론
② 동일한 업무를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매너리즘에 빠질 수 있음
③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자신의 욕구 해결에 필요한 부서를 찾기 어려울 수 있음
4) 업무 재구조화 방안
• 직무확충, 직무순환 → 업무세분화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함 • 집단적 차원의 접근 - 사례관리
‣ 사정, 연계 및 의뢰, 옹호 등을 주된 서비스 내용으로 함
‣ 사례관리자의 책임 하에 개별 클라이언트의 문제들을 세분화된 서비스에 연결하고 최종 결과를 묶어서 클 라이언트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접근 - 사례옹호
‣ 클라이언트를 위한 옹호자적 입장에서 접근하는 방법 ‣ 옹호자로서 클라이언트의 권익을 대변함
☞ 사례관리와 유사하며, 사례관리의 한 부분으로 여겨짐 - 팀제 도입
‣ 세분화된 다양한 분야들이 모여 한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해나가기 위해 팀을 조직함
5) 조직 부문화 방법 • 수 기준
- 수에 의해 업무를 분화함
- 개인의 능력차를 고려하지 못함 • 시간 기준
- 2교대, 3교대, 격주 토요일 근무 등의 형태로 부문화됨 - 전문가 확보의 어려움
- 직원 간 업무인계 과정에서 불찰이 생길 수 있음 - 조직기능이 단편화됨 • 기능 기준
- 주요한 기능에 따라 부문화됨
‣ 예 : 모금, 홍보, 기획, 프로그램 개발
- 팀간, 부서간 업무 협조 부족, 자신의 업무단위에만 집중함 • 지리적 기준
- 클라이언트의 거주 지역에 따라 부문화됨 - 서비스 제공 영역이 광범위한 경우에 사용함 ‣ 각 지역에 지소나 지부를 두는 방식임 - 부서 간 업무량 고려하지 못함 - 비선호 지역은 회피함
- 59 -
-----------------------------------------------------Page 62-----------------------------------------------------
사회복지행정론
- 힘든 지역 담당자의 사기 저하 및 소진이 생길 수 있음 - 지역 간 서비스 불평등 문제가 우려됨 • 서비스 기준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사업 등 실천방법에 따라 부문화됨 - 전문화 촉진, 복잡하고 다양한 클라이언트 문제에 통합적 접근이 어려움 • 고객 기준
- 아동, 노인, 청소년 등으로 업무가 부문화됨
- 클라이언트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다룰 수 없음 • 서비스 접근통로 기준
- 클라이언트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기준으로 부문화 ‣ 예 : 유료 · 무료
2. 이사회와 위원회 1) 이사회
• 이사회의 개념
- 조직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법률적 책임을 지고 있는 조직의 의사결정 기구로서 조직 활동을 지도 하는 법적 의무를 가짐 • 이사회의 기능 - 조직 정책 결정
- 기관운영 방향 결정과 통제(정책개발) - 기관의 장 · 단기 계획(계획)
- 유능한 직원 고용 및 평가(인사) - 필요 자원 접근 활성화(재원확보) - 지역사회에 소개(홍보) - 운영평가(책임성)
• 사회복지조직 이사회의 규정
- 사회복지사업을 하려는 민법상의 법인은 법인종류를 불문(재단 · 사단), 이사를 두도록 되어 있으며 이사 의 수와 임기는 법인의 정관으로 규정함
- 사회복지법인에 대표이사를 포함해 이사7인 이상, 감사 2인 이상을 투고 특별한 관계에 있는 자가 이사 현원의 5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함
- 이사는 법인이 설치한 사회복지시설의 장을 제외하고 시설의 직원을 겸할 수 없음
2) 위원회
• 위원회의 개념 및 역할
- 사회복지조직이 목표달성을 위해 일상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 외에 특별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 60 -
-----------------------------------------------------Page 63-----------------------------------------------------
사회복지행정론
전문가로 구성된 기구
- 사회복지법인은 조직 효과성 달성과 외부환경과의 원활한 연계를 위해 위원회를 둠 - 상임위원회
‣ 정규업무-인사, 예산 관련 - 임시위원회
‣ 비정규업무-운영규정 개정 등 • 위원회 운영 장점
① 조직 전반의 문제에 관한 협조와 정보 제공에 효율적임 ② 제안 평가 등과 관련한 여러 전문가의 의견 수렴이 가능함 ③ 행정의 참여적 관리를 실현하여 지역주민 참여를 독려함 • 위원회 운영 단점
① 위원회 유지 및 문제 해결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 ② 위원의 책임감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실효성이 낮음
③ 이해관계가 있는 위원의 경우 사안에 대한 주관적 판단이 이루어짐
3) 이사회와 위원회의 차이
이사회 요소 위원회
조직 행정책임자의 참석 하에
가능함
행정책임자의
회의 참여 실무담당자가 참여함
직원 참여 X 직원의 이사 참여 담당 직원 참여 조직 운영 전반 영향력 특별 부분에만 행사 정책 결정 정책 결정 (의견)건의의 역할
3. 사회복지조직의 네트워크 1) 네트워크
• 네트워크의 개념
- 사람들을 연결시키고 사회적 지위나 집단, 조직을 연결시키는 관계의 묶음
- 사회복지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개인, 다른 기관, 지역 사회 등 다양한 주체 사이에 사회적 교환이 일어 나는 사회적 네트워크
2) 사회복지조직에서 네트워크의 필요성 • 이용자 관점에서 클라이언트 욕구 해결 -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들을 조직화함
• 지역사회 내 흩어져 있는 다양한 자원 활용 - 서비스의 차별적 분배 및 분절화 현상을 극복함 • 자원 공유를 통해 사회적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 - 기관 재정안정 확보에 도움을 줌
- 61 -
-----------------------------------------------------Page 64-----------------------------------------------------
사회복지행정론
3) 네트워크의 요건 • 공통된 관심사
- 조직들 사이에 통일된 목적과 관심사를 기반으로 하며, 공동의 인식과 합의를 통해 응집력이 강화되어 네 트워크의 활성화를 이끎 • 크기와 밀도
- 크기가 클수록 교환 관계가 많으며, 밀도가 높을수록 교환이 활성화됨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가 클수록 밀도는 낮아질 확률이 높음 • 호혜성
- 조직 간 상호 의존적이고 호혜적 관계가 유지되어야 함 • 개인적 유대관계
- 실무진을 중심으로 맺어지는 개인적 유대관계를 통해 네트워크가 강화될 수 있음 • 균형도
- 네트워크 내 자원 분배 및 교환이 균등하게 일어나야 함 • 중심성과 도달가능성
- 모든 참여조직에 중심이 균일하게 분배되어야 하고, 도달 가능성이 모두 높게 나타나도록 구조화하는 것 이 좋음
- 62 -
-----------------------------------------------------Page 65-----------------------------------------------------
사회복지행정론
5주차 1차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념 및 원칙
Ⅰ.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및 구분 1. 사회복지 전달체계(Delivery System)의 개념정의 1) 사회복지 전달체계
•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사회복지정책을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해 사회복지서비스 공급 자와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조직적 장치
• 서비스 전달과정의 행정조직 · 서비스 전달자 · 서비스 수급자 간의 조직적 배열(Organizational Arrangement)
• 사회복지서비스를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어떤 조직 체계를 통해 실천할 것인가의 전략을 선택하는 것
2. 전달체계의 구분
1) 전달체계 구분(분석)차원 • 구조 · 기능적 차원 • 운영주체적 차원
• 서비스별 네트워크 차원
2) 구조 · 기능적 구분 • 행정체계
- 서비스 기획, 지시, 지원 및 관리함 → 간접전달 • 집행체계
- 전달자가 클라이언트와 직접적 대면관계를 통해 서비스 전달함 → 상호 연계되고, 상호 보완적인 하나의 총체적 전달체계를 이룸
•기초생활보장서비스
- 행정
구조
기능
‣ 보건복지부 특별시 · 광역시 · 도 → 시 · 군 · 구
- 집행
‣ 읍 · 면 · 동 →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 행정기능
‣ 서비스 전달업무를 원활히 하기 위한 행정
- 서비스 제공기능
‣ 클라이언트나 소비자 욕구에 부응하여 서비스를 직접 제공함
- 63 -
-----------------------------------------------------Page 66-----------------------------------------------------
사회복지행정론
3) 운영주체적 구분 • 공적전달체계
- 정부(중앙 및 지방)나 공공기관이 직접 관리 · 운영하는 것 • 사적(민간) 전달체계
- 민간(또는 민간단체)이 직접 관리 · 운영하는 것 • 전달체계 주체의 역할
- 규제자, 재정공급자, 서비스생산자
공적 전달체계 구분 사적(민간) 전달체계
정부(보건복지부), 공공기관 운영주체 민간복지재단, 자원봉사단체, 개인 기관
위계적 체계망,
재정 안정적, 지속성, 보편성, 공공성, 관료
적, 복잡한 체계
특징
수평적 체계망,
재정적 불안정, 창의적, 융통성, 신속성, 유 연성, 클라이언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4) 서비스 네트워크에 따른 구분 • 서비스 네트워크에 따른 구분
-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서비스 이용자(수요자)의 관점에서의 분류
- 클라이언트의 특정 문제나 서비스 욕구와 관련하여 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내에서 어떻게 연계 되고 있는지,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연계인지 파악하는 것
‣ 예 : 아동복지, 노인복지, 정신보건서비스 , 국민기초생활보장서비스 등
Ⅱ.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 1. 전문성의 원칙
1) 사회복지서비스의 핵심 업무 → 반드시 전문가가 담당해야 함 • 전문가란?
- 자격요건이 자격시험 등에 의해 객관적으로 인정된 사람 - 자신의 업무에 대한 권위와 자율적
번호 | 분류 | 제목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 |
1320 | 2023.02.26 | |
공지 |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 4669 | 2025.03.19 | |
공지 |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 25850 | 2024.11.04 | |
공지 |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 20432 | 2025.01.21 | |
3418 | 휴학 -> 학은제 -> 학점 연계 편입 | 246 | 2023.02.26 | |
3417 | 잡담 | 휴학 -> 학은제 -> 학점 연계 편입 | 145 | 2023.03.27 |
3416 | 잡담 | 휴사평으로 강의 듣고 있는데 궁금한점 있어요(실습) | 135 | 2023.03.27 |
3415 | 휴사평으로 강의 듣고 있는데 궁금한점 있어요(실습) | 216 | 2023.02.26 | |
3414 | 잡담 | 휴사평듣는사람?? 1 | 317 | 2020.09.20 |
3413 | 잡담 | 휴사평듣는사람?? 1 | 321 | 2020.09.20 |
3412 |
휴사평 최종성적
![]() |
437 | 2023.02.26 | |
3411 | 잡담 |
휴사평 최종성적
![]() |
38 | 2023.03.27 |
3410 | 잡담 | 휴사평 자격증 발급비용 십만원 비싼거야?? | 32 | 2023.03.27 |
3409 | 휴사평 자격증 발급비용 십만원 비싼거야?? | 228 | 2023.02.26 | |
3408 | 휴사평 시험문제가 사람마다 다 다르네??? | 275 | 2023.02.26 | |
3407 | 잡담 | 휴사평 시험문제가 사람마다 다 다르네??? | 40 | 2023.03.27 |
3406 | 잡담 | 휴사평 수료기준 진짜쉬워 애들아 | 749 | 2020.11.30 |
3405 | 잡담 |
휴사평 수료기준 진짜쉬워 애들아
![]() |
89 | 2023.03.27 |
3404 | 잡담 | 휴사평 수료기준 진짜쉬워 애들아 | 696 | 2020.11.30 |
3403 | 잡담 | 휴사평 사회복지사2급 과목 시험난이도 어떰?? 2 | 426 | 2020.09.20 |
3402 | 잡담 | 휴사평 사회복지사2급 과목 시험난이도 어떰?? 2 | 329 | 2020.09.20 |
3401 | 휴사평 보육교사 진행하는분들?? | 214 | 2023.02.26 | |
3400 | 잡담 | 휴사평 보육교사 진행하는분들?? | 27 | 2023.03.27 |
3399 | 휴사평 들을건데 | 199 | 2023.02.26 | |
3398 | 잡담 | 휴사평 들을건데 | 128 | 2023.03.27 |
3397 | 잡담 | 휴사평 과락 게이다 | 916 | 2020.11.28 |
3396 | 잡담 |
휴사평 과락 게이다
![]() |
49 | 2023.03.27 |
3395 | 잡담 | 휴사평 과락 게이다 | 907 | 2020.11.28 |
3394 | 잡담 | 휴사평 경제학 없네 ㅋㅋ 2 | 90 | 2020.09.25 |
3393 | 잡담 | 휴사평 경제학 없네 ㅋㅋ 2 | 94 | 2020.09.25 |
3392 | 잡담 | 휴사평 경영학 중간고사 후기(주관식 제외) | 1363 | 2020.11.30 |
3391 | 잡담 | 휴사평 경영학 중간고사 후기(주관식 제외) | 1371 | 2020.11.30 |
3390 | 휴사평 경영학 점수잘나오나요? | 199 | 2023.02.26 | |
3389 | 잡담 | 휴사평 경영학 점수잘나오나요? | 67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