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25 추천 수 0 댓글 0

   

대인관계의

심리학

 

-----------------------------------------------------Page 1-----------------------------------------------------

대인관계의심리학

<  차 례 >

1.  대인관계 심리학의 개관 ······················································································································ 1

가.  현대인의 외로움 ·········································································································· 2 나.  대인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 ····················································································· 3 다.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의 욕구 ··················································································· 3 라.  인생의 동반자로서의 관계 ························································································· 4

2.  다양한 대인관계의 특징 ······················································································································ 7

가.  대인관계의 다양한 분류 ···························································································· 8 나.  발달 시기에 따른 관계 특징 ·················································································· 11 다.  의미 있는 타인 ········································································································· 15

3.  자기(Self)와 대인관계 ······················································································································· 16

가.  자기개념의 형성 ······································································································· 17 나.  자존감의 중요성 ······································································································· 18 다.  자기와 대인관계의 상호작용 ··················································································· 19

4.  개인의 성격과 대인관계 ··················································································································· 22

가.  성격의 5요인 ············································································································ 23 나.  인간의 기본적 욕구 :  독립성과 연결성 ································································ 25 다.  대인관계 관련 성격 특질 ························································································ 26 라.  성격의 변화와 환경의 중요성 ················································································· 28

5.  지각과 대인관계 ································································································································· 30

가.  지각과정 ····················································································································· 31 나.  지각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 ···················································································· 33 다.  지각을 하는 여러 공통적 특징,  지각점검 ···························································· 35

6.  대인지각과 대인사고 ························································································································· 37

가.  인상형성 과정과 경향성 ·························································································· 38 나.  귀인과 오류 ··············································································································· 40 다.  의미평가 ····················································································································· 43

7.  대인관계 동기 ····································································································································· 45

가.  동기의 정의와 기능 ·································································································· 46 나.  다양한 대인동기 유형들 ·························································································· 48 다.  대인동기에서 나타나는 개인차 ··············································································· 50 라.  부적응적 대인동기와 극복 ······················································································ 53

8.  사회적 지지 ········································································································································ 55

가.  사회적 지지의 정의 ·································································································· 56 나.  사회적 지지의 특성 ·································································································· 58 다.  사회적 지지의 효과 ·································································································· 61

9.  정서와 대인관계 ································································································································· 63

메모 :

-----------------------------------------------------Page 2-----------------------------------------------------

대인관계의심리학

가.  정서의 개념 ··············································································································· 64 나.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화,  성별 ······················································· 66 다.  힘든 정서 관리하기 ·································································································· 67

10.  대인감정 및 대인행동 ····················································································································· 72

가.  대인감정,  대인행동 ·································································································· 73 나.  긍정적 대인감정:  애정,  기쁨,  자기가치감,  감사 ················································· 75 다.  부정적 대인감정:  분노,  불안,  슬픔,  외로움,  죄책감과 수치감,  질투 등 ········· 77

11.  언어와 대인관계 ······························································································································ 81

가.  상징으로서의 언어 ···································································································· 82 나.  언어의 이해와 오해의 발생 ···················································································· 82 다.  언어의 영향력 ··········································································································· 84 라.  성별과 문화가 미치는 영향 ···················································································· 89

12.  비언어적 소통과 대인관계 ············································································································· 92

가.  비언어적 소통의 특징 ······························································································ 93 나.  성별과 문화가 비언어소통에 미치는 영향 ···························································· 95 다.  몸의 움직임,  목소리,  접촉,  물리적 공간과 환경,  시간 등 다양한 소통의 유형 · ··········································································································································· 97

13.  듣기와 대인관계 ···························································································································· 104

가.  듣기의 정의 :  자동적 듣기와 숙고적 듣기 ························································ 105 나.  듣기 과정의 여러 요소들 ······················································································ 105 다.  듣기의 어려움 ········································································································· 106 라.  듣기반응의 유형 ····································································································· 109

14.  대인관계의 기술 ···························································································································· 114

가.  대인기술의 정의 ····································································································· 115 나.  대인기술 유형들 ····································································································· 115 다.  부적응적 대인기술 :  대인기술 미숙과 억제 ······················································ 119 라.  대인기술 향상법 :  인지적 재구성법 ··································································· 119

15.  친밀한 관계:  친구관계 ················································································································· 121

가.  친구의 의미 ············································································································ 122 나.  친구관계의 다양성 ································································································· 123 다.  친교대상의 선택 ····································································································· 124 라.  친구관계의 역동 ····································································································· 126

16.  친밀한 관계:  이성관계(1) ············································································································ 130

가.  사랑의 의미와 다양한 유형 ·················································································· 131 나.  사랑의 삼각형 이론 ······························································································· 132 다.  낭만적 사랑의 특성 ······························································································· 134

17.  친밀한 관계:  이성관계(2) ············································································································ 139

가.  사랑의 발전과 심화 ······························································································· 140

메모 :

-----------------------------------------------------Page 3-----------------------------------------------------

대인관계의심리학

나.  사랑의 종결과 실연 ······························································································· 142

18.  친밀한 관계:  가족관계(1) ············································································································ 149

가.  가족의 의미 ············································································································ 150 나.  가족관계의 결정요인 ····························································································· 151 다.  건강한 가족의 특징 ······························································································· 157

19.  친밀한 관계:  가족관계(2) ············································································································ 158

가.  부모자녀 관계 ········································································································· 159 나.  형제자매 관계 ········································································································· 161 다.  부부관계 ·················································································································· 164

20.  직업과 인간관계 ···························································································································· 169

가.  직업의 의미와 직업선택 ························································································ 170 나.  직업사회와 직장의 이해 ························································································ 173 다.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 176

21.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 180

가.  스트레스이론 ··········································································································· 181 나.  대인간 갈등 ············································································································ 183

22.  대인간 갈등 해결 방법 ················································································································ 188

가.  메시지의 존중 수준 ······························································································· 189 나.  방어의 원인과 예방 ······························································································· 193 다.  체면세우기:  자기 주장하기,  비방어적 반응 ······················································· 195

23.  부적응적 인간관계(1) ··················································································································· 198

가.  인간관계 부적응과 부적응적 관계유형 ······························································· 199 나.  부적응적 인간관계와 성격장애 ············································································ 205

24.  부적응적 인간관계(2) ··················································································································· 208

가.  우울증 ······················································································································ 209 나.  사회불안장애 ··········································································································· 212 다.  알코올성 사용장애 ································································································· 212 라.  인터넷 게임장애 ····································································································· 213 마.  은둔형 외톨이 증후군 ··························································································· 214 바.  신체증상 장애 ········································································································· 214 사.  섭식장애 ·················································································································· 215

25.  자기의 성장과 대인관계 ··············································································································· 218

가.  성격의 변화와 그 원인 ························································································· 219 나.  변화의 심리적 과정 ······························································································· 221 다.  역경 후 성장 ·········································································································· 223 라.  인생이야기와 인생의 의미 ···················································································· 224

26.  행복하고 성숙한 인간관계 ··········································································································· 227

가.  행복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들 ·············································································· 228

메모 :

-----------------------------------------------------Page 4-----------------------------------------------------

대인관계의심리학

나.  올포트,  프롬,  매슬로우의 성숙인격론 ································································ 230 다.  심리적 안녕의 6가지 요소 ··················································································· 236

메모 :

-----------------------------------------------------Page 5-----------------------------------------------------

대인관계의 심리학

1주차 1차시            대인관계 심리학의 개관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6-----------------------------------------------------

대인관계의 심리학

1. 대인관계 심리학의 개관

가. 현대인의 외로움

                          •혼자서 생활하는 1인 가구의 비율 급증(혼족,  혼밥,  혼술 등)                           •2015년 조사된 전국의 1인가구수(통계청,  2017a)                       -  전체 가구의 27%에 해당하는 520만명을 넘어섬

                      -  1인가구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가장 큰 걱정거리라고 응답한 심리적 문제는                           외로움

                          •실존심리학자인 롤로 메이(May,  1953)

                      -  “현대인들이 산업문명에의 중독으로 거대한 사회구조의 노예가 되어                             인간상실과 자아상실의 이중적 고통 속에서                                   외로움과 공허감을 경험하고 있다.“

                      -  소외감에 휩싸이게 되면 우울증과 자살에까지 이를 위험에 노출

1) 현대사회의 특징 가) 조직화와 거대화

                      -  거대한 조직사회에서 개인의 역할은 더 왜소해지고 개인의 존재가치와 의미는                           미약해짐

나) 효율성과 신속성을 강조하는 경쟁사회

                      -  늘 바쁘고 여유없이 업무에 쫓기며 살아감

                      -  타인에게 관심을 갖고 애정과 정성을 기울일 시간적 여유를 찾기 어려움                       -  주변인들은 모두 잠재적인 경쟁상대이기 때문에 속마음을 나누기 어려움

다) 다원화된 사회

                      -  사람마다 추구하는 가치관,  사회정치적 신념,  생활양식 등이 다양해짐

                                  :  함께 나눌 수 있는 공통성이 줄어들게 됨

라) 자본주의 사회

                      -  물질적 가치가 강조되고 정신적 가치가 경시됨

                      -  물질적 가치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인간을 보는 경향이 있음

마) 전자통신기술로 인한 연결망의 발전

                      -  여러 전자통신수단은 사람 간 접촉의 양을 증가시킴

                                  :  접촉의 질은 피상적이 되게 함

                      -  외로움은 주관적인 고립감으로서 사회적 접촉의 양보다는 질에 의해서 더 많은                             영향을 받음

메모 :

2

-----------------------------------------------------Page 7-----------------------------------------------------

대인관계의 심리학

나. 대인관계의 필요성과 중요성

                          •우리는 어느 정도 혼자만의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어느 시점이 지나면 더 이상                               혼자 있기를 원하지 않음

                          •인간은 누구나 독립성에 대한 욕구와 연결감에 대한 욕구 모두를 가지고 있음

                      -  이러한 변증법적 긴장 속에서 살아감

1)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충족하는 욕구들

가) 신체적 욕구

                          •친밀한 관계망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평균 수명이 더 높음                           •사회적 관계가 결여된 사람들은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관상동맥의 건강위협에                               노출되며 감기에 걸릴 확률이 높아짐

                          •사교를 통해 지적 기능이 향상되기도 하며,  스트레스 호르몬이 감소함

나) 정체성 욕구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보이는 반응에 근거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해 감                           •인간은 태어날 때 어느 정도 존재에 대한 선천적인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지만,                                  나머지는 타인과의 관계 및 소통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게 됨

                      -  타인의 존재가 없이 나의 존재에 대한 규명이 어려워짐

다) 사회적 욕구                           •Maslow

                      -  “  인간은 선천적으로 신체적 욕구,  안전에 대한 욕구,  그리고 그 다음으로                               소속과 관계에 대한 욕구를 가진다.  소속에 대한 욕구는 타인과 사랑을                               나누고 소속감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이다.”

                          •행복한 사람들은 풍부한 사회적 활동을 갖고 있음

                      -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커플은 그렇지 않은 커플에 비하여 관계 만족도가 더                           높은 경향이 있음

                          •타인과의 관계가 삶의 만족과 정서적 행복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라는 것은 모든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것

다.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의 욕구

1) 사회적 존재

                          •인간관계는 삶의 가장 중요한 바탕

                          •인간의 삶은 인간관계의 바탕 위에서 펼쳐짐

                          •인간은 진화과정에서 집단을 이루며 협동적 관계를 통해 의식주 해결 및 다양한                               위협에 대응하며 생존함

                          •약육강식의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것

메모 :

3

-----------------------------------------------------Page 8-----------------------------------------------------

대인관계의 심리학

                          •인간은 대인관계를 추구하는 유전자를 지니고 태어남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통해서 사랑과 우정을 나누고자 하는 내적 욕구를 지님                           •사회적 존재인 인간에게 고독과 분리됨은 두려운 것이며,  이는 인간이 죽음                               다음으로 두려워하는 것

                      -  고독이 두려운 이유는 인간이 근본적으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

2) 발달적 관점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다른 어떤 동물들보다 무력한 상태로 태어남                           •독립적 생활을 하기까지 가장 오랜 양육 기간을 필요로 하는 존재                           •인간은 장기간 부모의 보호 아래 양육되어야 하는 의존적인 존재

                          •선천적인 행동패턴 중 부모의 관심을 끌고 보호와 애정을 얻으려는 목적과                               관련된 것들이 있음

① 잡기반사(Grasping  Reflex)

                      -  양육자를 붙잡아 매달리고 떨어지지 않으려는 생존가치를 지닌 본능적 행동

② 배냇웃음

                      -  부모나 양육자의 보호본능을 자극하는 본능적 행동

3) 사회화 관점

                          •인간은 어린시절의 성장과정에서 사회적 존재로 학습되고 교육됨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여러 가지 공동체에 소속됨

                          •모든 공동체는 응집력 있는 강력한 공동체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 구성원                               개개인에게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상호의존적인 협동적 관계를 강조하고                               교육해 나감

                      -  그 공동체의 양육방식과 교육체계를 통해 타인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중요한                           가치관으로 습득

                          •삶에 있어서 타인의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가 중요함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내면화

                      -  집단에 대한 안정된 소속감과 타인의 애정을 추구하는 사회적 존재가 되어감

라. 인생의 동반자로서의 관계

                          •인간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관계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음

메모 :

4

-----------------------------------------------------Page 9-----------------------------------------------------

대인관계의 심리학

                      -  만족스러운 삶을 위해서는 네 가지 유형의 동반자가 있는 것이 좋음

1) 가족 동반자

                          •가족 동반자

                      -  부모와 형제자매,  가까운 친척과 같이 가족애를 나눌 수 있는 혈연으로 구성된                           동반자

                      -  가정의 모든 것을 공유하며 서로를 신뢰하는 가족애를 느낄 수 있는 동반자

                                  :  가족은 우리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동반자

2) 사회적 동반자

                          •사회적 동반자

                      -  친구관계를 통해 우정을 느낄 수 있는 친구로 우리의 삶을 즐겁고 풍요롭게 해                           주는 동반자

                      -  혈연 또는 직업적 이해관계보다 개인적 친근감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며                           긍정적인 정서적 교류를 하는 관계

                      -  친구관계를 통해 우정을 느낄 수 있는 친구로 우리의 삶을                           즐겁고 풍요롭게 해 주는 동반자                       -  “친구관계”

                                  :  서로에 대한 호감과 공통적 관심사에서 시작하여 서로의                                       중요한 사적인 정보를 노출하고 서로를 이해함으로써                                       친밀감을 느끼는 편한 관계 ① 즐거움을 공유하고 아픔을 함께 나누는 관계 ② 서로 돕는 인생의 중요한 동반자

3) 낭만적 동반자

                          •낭만적 동반자

                      -  가장 뜨거운 감정을 느끼고 친밀하고 열정적인 관계를 맺는 대상                           (사랑을 나누는 연인)

                      -  사랑과 연애감정을 느낄 수 있고 육체적 친밀감을 통해 성적 욕구를

                                나눌 수 있는 상대(부부관계,  연인관계)

                      -  인간은 보편적으로 낭만적 사랑에 대한 욕구 및 성적 욕구를 지니므로

메모 :

5

-----------------------------------------------------Page 10-----------------------------------------------------

대인관계의 심리학

                              이러한 관계 충족 역시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침

4) 직업적 동반자

                          •직업적 동반자

                      -  목표지향적 활동을 협력적으로 하게 되는 동반자

                      -  인간은 추구하고자 하는 공동의 목표 실현을 위하여 목표지향적인 공동체에                           속하게 됨

① 직장동료

② 함께 공부하는 학우

③ 가치 및 이념 실현을 위해 함께 활동하는 동지

                      -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지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사회적 동반자와 구분

                      -  추구하는 목표가 달성되면 관계가 해체되는 업무중심적 인간관계

메모 :

6

-----------------------------------------------------Page 11-----------------------------------------------------

대인관계의심리학

1주차 2차시            다양한 대인관계의 특징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12-----------------------------------------------------

대인관계의 심리학

2. 다양한 대인관계의 특징

가. 대인관계의 다양한 분류

                          •인간은 누구나 평생에 걸쳐 다양한 인간관계를 경험하게 됨                           •인생의 각  시기마다 새로운 인간관계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때마다 새로운 위치에서 새로운 역할을 부여 받음                           •여러 가지 인연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인간관계를 맺고                               그 관계 속에서 희로애락을 경험하며 인생을 채워 감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인간관계는

                              그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1) 일차적 인간관계와 이차적 인간관계                           •형성 요인에 따른 분류

① 일차적 인간관계 ② 이차적 인간관계

                가)  일차적 인간관계

                          •혈연,  지연,  학연 등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관계                       -  부모,  형제자매,  친척,  동문,  동향 사람들과의 관계

                          •본인의 선택이나 의사와 상관없이 부여되는 인간관계로 운명적으로 부여된                               인간관계

                          •가입과 탈퇴가 자유롭지 못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번 일차적 인간관계 속에                               들어가면 평생 그 관계 속에서 지내게 됨

                          •공식적이고 집단적인 관계로서,  일가족,  친인척,  종친회,  동문회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의 소속원으로 관계를 맺게 됨

나) 이차적 인간관계

                          •개인적 매력,  직업적 이해관계,  가치(또는 이념,  사상,  신념,  종교,  취미 등)의                               공유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관계

                      -  직장동료,  애인,  친구,  친목단체의 구성원 등

                          •이차적 관계의 대상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

                          •가입과 탈퇴가 비교적 자유로우며 일차적 인간관계에 비해 그 관계가 일시적임

2)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                           •동등성 여부에 따른 분류

                      -  구성원의 나이,  촌수,  학번,  계급,  지위,  권한 등

① 수직적 인간관계 ② 수평적 인간관계

메모 :

8

-----------------------------------------------------Page 13-----------------------------------------------------

대인관계의 심리학

                가)  수직적 인간관계

                          •윗사람과 아랫사람 간의 불평등 관계

                      -  가정에서의 부모와 자녀의 관계, 

                          학교에서 스승과 제자 관계 또는 선배와 후배 관계,                            직장에서의 상사와 부하 관계

                          •윗사람에게 아랫사람에 대한 지휘,  통솔,  명령,  책임,  보살핌 등의 역할이                               기대되는 반면,  아랫사람에게는 윗사람에 대한 복종,  순응,  존경,  지지의 역할이                                 기대됨

                          •동양문화권에 발달되어 있음

                      -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행동규범으로서 ‘예의’가  잘 체계화 되어 있음

나) 수평적 인간관계

                          •서로 동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 간의 평등한 관계

                      -  교우관계,  연인관계,  부부관계

                          •한국사회의 인간관계는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음

                      -  유교적 전통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회적 상하관계가 명백한 수직적인                           위계질서가 있고,  그 위계질서 속의 지위와 신분에 따라 행동규범이 결정됨                           •서구의 개인주의적 가치관이 확산됨에 따라서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갈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기도 함

3) 우호적 인간관계와 적대적 인간관계

                          •인간관계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  대인관계가 대물관계와 다른 점은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

                                  :  내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또 상대방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계

                      -  인간관계는 상호작용의 내용과 질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음

                          •상대방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태도의 우호성 여부에 따른 분류

① 우호적 인간관계 ② 적대적 인간관계

                가)  우호적 인간관계

                          •서로에 대해서 우호적인 호감을 갖고 서로를 도우며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하는 협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남

                          •경쟁과 갈등보다는 서로에 대한 긍정적이고 따뜻한 태도를 가지고 공동의 선을                                 위해 노력함

메모 :

9

-----------------------------------------------------Page 14-----------------------------------------------------

대인관계의 심리학

나) 적대적 인간관계

                          •서로를 적이나 경쟁상대로 인식하여 적대감정을 갖고 일을 방해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를 나타냄

                          •인간적인 호감보다는 갈등과 긴장관계로 서로를 대하고 ‘우리’의 인식이 없는                               파괴적인 관계가 될 수 있음

4) 애정 중심적 인간관계와 업무 중심적 인간관계                           •형성과 유지 요인에 따른 분류

① 애정 중심적 인간관계 ② 업무 중심적 인간관계

                가)  애정 중심적 인간관계

                          •상대방에 대한 매력이나 호감에 의해서 관계가 형성되며,  상대방과 사랑이나                               친밀감을 주고받는 것이 관계 유지에 중요한 요인이자 목적이 됨                           •애정교환의 만족도에 의해 관계가 유지되며 사람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는                               인간관계

나) 업무 중심적 인간관계

                          •어떤 사람이든 상관없이 그와 함께하는 작업이나 업무 때문에 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되는 인간관계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게 되는 이득과 성과가 주요한 목적이 됨

5) 공유적 인간관계와 교환적 인간관계                           •클락(Clark,  1985)

                      -  “현대인의 인간관계는 공유적 관계와 교환적 관계로 구분된다.

가) 공유적 인간관계

                          •상호성의 원칙이 무시되고 초월 됨                           •“상호성의 원칙”

                      -  관계를 맺고 있는 각자가 상대방의 행복과 불행에 각별한 관심과 책임감을                           느끼며,  서로의 관계에서 주는 것만큼 받고 받는 것만큼 되돌려 줌

                          •두사람이 서로를 별개의 독립적 개체로 지각하기보다 ‘우리는 하나’라고 느끼는                               상호의존적 존재로 인식

                      -  상대방을 자신의 이기적 목적에 이용하는 관계가 아니라 만족스러운 친교의                           경험을 함께 나누는 관계

                          •내면적 특성이 공유되어 상호의존성이 높고 강한 친밀감을 느끼게 됨                       -  타인의 행복이 자신의 행복이며 타인의 고통이 자신의 고통으로 경험됨                           •가족과 연인 또는 매우 친밀한 친구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인간관계의 유형

메모 :

10

-----------------------------------------------------Page 15-----------------------------------------------------

대인관계의 심리학

나) 교환적 인간관계

                          •자신의 행복을 타인에게 의탁하지 않으며 타인의 행복에 특별한 책임감을                               느끼지 않음

                          •서로 필요한 것을 주고받는 거래적이고 교환적인 성격,  거래와 교환의 공정성,                                    즉 이득과 손실의 균형이 중요함

                      -  주는 만큼 받고,  받는 만큼 주어야 하는 형평성의 원칙이 적용됨

                      -  이득과 손실의 불균형은 갈등과 대립을 초래하여 지속적인 관계를 위협함

                          •상호성과 형평성의 원칙은 경제적인 이윤추구를 지향하는 자본주의 체제와                               개인의 독립성을 강조하는 개인주의 사회의 인간관계를 설명하는 원리                           •우리의 삶 속에서는 공유적 관계와 교환적 관계가 얽혀 있지만 현대인이                                 경험하는 고독의 문제는 현대사회의 인간관계에 교환적 관계가 만연해 있다는                                 점과 관련됨

                      -  공유적 관계와 교환적 관계에 적용되는 원칙이 다름에도 모든 관계에 교환적                           관계의 원칙을 적용한다면 공허함과 외로움이라는 심리적 문제에 직면하게 됨

나. 발달 시기에 따른 관계 특징

                          •우리의 인간관계는 인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변화함                           •인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만나는 사람이 달라지고,                                그와 함께 경험하게 되는 관계의 양상도 달라지기 때문!                           •인간 발달의 기본적인 특징을 이해하고

                              그 시기의 주요한 관계의 특징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

1) 유아기의 인간관계

                          •인간은 태어나면서 가장 먼저 가족관계를 맺게 됨

                      -  출생과 더불어 한 가족의 구성원이 됨                       -  무력한 존재로 태어난 탓에 신생아는                           전적으로 부모의 보호와 양육을 받게 됨

                          •부모자녀 관계는 인간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바탕이 되며,  태어날 당시의                               가족적 상황,  부모의 성격적 특성과 양육방식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유아기 부모 자녀 관계는 유아의 기질적 특성과 부모의 성격적 특성이                           상호작용하는 매우 미묘한 관계

                      -  부모의 반응방식이 유아의 성격형성에 주요 영향을 미치고                           성장 후의 부모자녀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침

                          •형제 자매관계는 한 인간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오래 지속되는 관계                       -  같은 부모의 피를 나눈 가장 친밀한 혈연관계로서 다른 인간관계보다 더 강한

메모 :

11

-----------------------------------------------------Page 16-----------------------------------------------------

대인관계의 심리학

                          정서적 유대와 친밀감을 형성함

                      -  부모의 애정과 관심을 나누어 가져야 하는 경쟁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  형제간 경쟁(Sibling  Rivalry)은 형제의 수,  서열,  부모의 태도에 따라 복잡한                           양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성격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출생과 더불어 친족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 소속됨

                      -  가족의 형태가 핵가족화 되어 가는 경향이 강하고 집안마다 친인척과의                           친밀도가 다르지만,  한국사회에서 친인척 관계는 중요한 인간관계의                           영역이기도 함

2) 학령 전 아동기의 인간관계

                          •3~4세경이 되면 신체적인 운동기능의 발달과 더불어 활동반경이 확대됨

                      -  언어능력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이 증대됨

                      -  아동은 집 밖으로 나가 놀게 되고 동네의 같은 또래 아동들과 초보적인                           교우관계를 맺기 시작함

                          •같은 또래에게 많은 관심을 보임

                      -  같은 또래와 여러 가지 놀이를 하게 되고 간단한 의사소통을 하며 최초의                           교우관계를 형성하며 발달함

3) 아동기:  초등학생의 인간관계

                          •초등학교 입학은 아동의 인간관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옴

                      -  친구관계가 양적으로 급격하게 증대될 뿐만 아니라 질적인 변화도 일어남                       -  인지적 능력이 발달하고 감정의 세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친구관계가 이전                           시기에 비해 한층 복잡한 양상을 보임

                          •친구를 외모,  운동능력,  학업성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선별하여 사귀고                               함께 어울리는 또래 집단을 형성함

① 저학년 시기

                      -  동성 간의 친구관계가 이루어짐

② 고학년 시기

                      -  이성친구에 대한 관심 증대

                      -  학업능력이 평가되는 학교상황에서는 학업성적에 따라 우월감과 열등감을                           경험하게 되며 자의식이 생겨나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끼게 됨

메모 :

12

-----------------------------------------------------Page 17-----------------------------------------------------

대인관계의 심리학

4) 청소년기:  중·고등학생의 인간관계

                          •중·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친구관계는 한층 성숙하고 활발해 짐

                      -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이 일어나는 시기로서 가족관계보다 친구관계가 주요한                             인간관계로 자리 잡음

                          •친구를 선택하는 기준이 외적 기준에서 심리적 특성으로 옮겨감

                      -  “외적 기준”

                                  :  외모,  운동능력,  학업성적,  사회경제적 지위 등

                      -  “심리적 특성”

                                  :  성격,  인간성,  가치관,  종교,  취미,  관심사 등                           •사춘기에 해당하며,  신체적 성징이 뚜렷이 나타나고                               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초보적인 이성관계가 시작됨

                          •우리나라의 과도한 교육열과 입시위주의 교육시스템으로 진정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데 제약이 있음

                      -  중요한 인간관계 기술을 습득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음

5) 청년 전기:  대학생의 인간관계

                          •대학에 진학하거나 직장으로 진출하게 되는 시기로 청년기에 해당함                           •인간관계의 양상이 현저하게 달라짐

                      -  인간관계의 폭이 넓어짐

                      -  입시준비로 인해 억눌렸던 관계가 학과,  동아리,  동문회 등 다양한 통로를                           통해 많은 사람들과 활발한 관계를 시작할 수 있음

                          •학창 시절에 주어진 인간관계를 협소하게 이루었던 것에 비해 관계를 맺음에                               있어서 선택권이 증가하기 때문에 스스로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 않으면                               인간관계 형성과 유지가 어려움

                          •낭만적 사랑 관계를 맺기도 하고 남성의 경우 군복무라는 특수한 조직에 속해서                               인간관계를 경험함

6) 청년 후기:  직장인의 인간관계

                          •직장인으로서 새로운 사회에 들어가면 대학시절에 비해 인간관계의 폭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음

                      -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지내야하기 때문에 직장에서의 인간관계가 매우                           중요해 지는 반면,  친구관계는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경향이 있음

                          •직장의 큰 특징은 잘 짜인 조직사회라는 점!

                      -  위계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

                      -  업무수행 능력과 성과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협동적이고 효율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함

메모 :

13

-----------------------------------------------------Page 18-----------------------------------------------------

대인관계의 심리학

                      -  경쟁과 갈등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기도 함

                          •보편적으로 배우자를 선택하고 결혼을 하는 시기

                      -  친밀감을 형성하고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일이 중요한 발달과업이기도 함

7) 중년기의 인간관계

                          •45세 이후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개인의 인생에서 사회경제적 능력이 최고                               수준에 오르는 발달적으로 절정기에 이름

                      -  직장 내에서 지위가 높아지고 상급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시기이기도 함

                          •가정에서는 청소년기 자녀들과의 갈등이 생기기도 하고,  자녀들이 결혼적령기에                               접어들어 독립하게 되면 부부 둘만 남게 되는

                              빈 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을 겪으며 심리적으로 텅 빈 상실감을                               경험함

                      -  특히 전업주부의 경우 자녀의 독립은 더욱 큰 상실감으로 오기도 함

                          •자녀의 결혼과 출산으로 인해 조부모가 되기도 하는 등 가정 내외적으로 많은                               역할 변화가 생김

8) 노년기의 인간관계

                          •우리 사회에서는 60세를 전후해 직장에서 은퇴하게 되는데,  65세 이후                               노년기의 개인은 활발했던 직업생활에서 물러나 인생을 마무리하는 시기임                             -  일반적으로 신체적 노쇠와 더불어 경제적 능력이 감퇴되고 인간관계의 폭도                                 좁아지게 됨

                      -  직업생활을 하지 않음으로써 시간적 여유가 늘어나                           여러 심리적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함

                          •사회적 인간관계는 감소하는 대신 가족관계에 대한 의존도가 증대됨                       -  특히 부부 간에 함께 지낼 시간이 많아져 서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                       -  자녀에게 경제적·심리적으로 의존성이 증가하기도 함

                          •친구,  친척,  그리고 배우자와의 영원한 이별을 하게 됨

                      -  죽음을 피할 수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친밀한 관계의 사람과 사별을 하는                           것은 극심한 심리적 고통이 될 수 있음

                      -  타인의 죽음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죽음을 잘 준비하는                           발달적 과업을 이룰 필요가 있음

메모 :

14

-----------------------------------------------------Page 19-----------------------------------------------------

대인관계의 심리학

다. 의미 있는 타인

                          •우리는 평생 동안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인간관계를 맺고 살아감                           •우리가 인간관계를 맺은 사람들은 각기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

                          •우리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일수록 의미 있는 타인(Significant                                        Others)이 됨

                          •의미 있는 타인의 4가지 역할

(가) 나에 대한 사회적 지지자의 역할

                          •내가 어려움에 처하거나 도움이 필요할 때,  정서적 및 재정적 지원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제공함

                          •변함없이 일관성 있게 지원을 해주는 사람일수록 나에게 의미 있는 타인이 됨

(나) 자기평가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

                          •인간은 타인의 눈을 통해서 자신을 가늠함

                          •나에 대한 타인의 의견과 평가를 통해서 자기 평가를 하게 됨

                          •우리가 진정으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이며 우리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

(다) 서로 유사성이 많을수록 더 의미 있는 타인으로 여겨지는 경향                           •성격이나 가치관 등에서 유사성을 많이 지닌 사람일수록                               의미 있는 타인으로 여겨지게 됨

(라) 영향력의 상호성이 의미 있는 타인의 기준이 될 수 있음

                          •영향력을 주고받는 상호적 영향력이 큰 사람일수록 더 의미 있는 타인으로                               느껴지게 됨

                          •우리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사람은

                              강한 상호의존적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음

메모 :

15

-----------------------------------------------------Page 20-----------------------------------------------------

대인관계의심리학

2주차 1차시             자기(Self)와 대인관계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21-----------------------------------------------------

대인관계의 심리학

3. 자기(Self)와 대인관계

가. 자기개념의 형성

                          •자기(Self)는 사회화,  문화,  성별 등 많은 요인들에 영향을 받아 형성됨                           •자기에 대한 느낌은 자기에 대한 생각에 큰 비중을 차지함                       -  자기에 대한 생각과 느낌은 자기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되며

                                자기가 누구인지에 대한 지식은 타인과의 관계,                                  타인과의 소통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자기개념(Self-Concept)

                      -  자신을 바라보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관점

                                  :  자기 자신의 신체적 특징만이 아니라    감정상태,  재능,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가치,  역할 등 다양한 영역들이 존재함

1) 자기개념의 특징

가) 자기개념은 주관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자기평가는 제3자의 객관적인 평가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음                           •대부분은 자신을 객관적인 현실보다 더 가혹하게 바라봄

                          •기분이 긍정적일 때보다 부정적일 때 자신을 더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음

                          •과도한 자기의심 및 자기비판은 개인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

나) 자기개념은 변화에 저항한다.

                          •기존 자기개념에 맞게 정보를 추구하고 처리하는 경향성을 인지적 보수주의                               (Cognitive  Conservatism)라 함

                          •우리는 자신의 자기개념을 지지해 주는 사람을 찾아서 그들과 상호작용 하려는                                 경향이 있음

                          •사람들은 대부분 진짜 자기를 아는 것 보다는 친숙한 자기개념을 강화하는데                                 관심이 있음

2) 생물학과 자기개념

                          •성격(Personality)

                      -  평생 동안 안정적인 경향이 있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점 더 분명해짐                       -  성격은 부분적으로 유전에 의해 만들어짐

                      -  생물학적 측면이 외향성,  수줍음,  자기주장,  언어적 공격성과 같은

                                성격특질을 절반정도 설명함

                            :  자기개념은 어느 정도는 생물학적으로 프로그래밍 되어 있음

메모 :

17

-----------------------------------------------------Page 22-----------------------------------------------------

대인관계의 심리학

3) 사회화와 자기

                          •반영평가

                      -  Reflected  Appraisal

                      -  다른 사람이 우리를 보는 방식을 반영하여 자기개념이 발달한다는 것

① 인간은 정해진 정체성을 가지고 태어나지 않음

② 아이들은 주변의 의미 있는 중요한 타인들의 긍정적·부정적 평가를 그대로 받아

들임

                      -  “증요한 타인들”  → 가장 확실한 유형은 ‘가족’

                          •사회비교(Social  Comparison)

                      -  사회비교 과정을 통해 자기개념을 형성하기도 함

                      -  많은 사람들은 비합리적인 기준을 비교준거로 두고 자신을 판단하여 우울증,                                섭식장애 등 심각한 문제를 경험하기도 함

                      -  보다 건강한 자기개념을 형성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

4) 자기개념과 관련된 동기들

가) 자기고양편향(Self-Enhancement  Bias)

                      -  사람들이 자기관(Self-Views)을 최대한 긍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  지나치지 않으면 개인의 정신건강 및 대인관계 등의                                     사회적 기능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

나) 자기효능감(Self-Efficacy)

                      -  사람들이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고 긍정적으로 승화하는데 필요한 동기로서                           인지적 자원 및 행동을 최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특성                                 :  자신의 수행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 믿음으로써

                                    목표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시도할 가능성을 높이는 심리적 특성

다) 자기조절(Self-Regulation)

                      -  환경의 요구에 따라 행동을 시작하고 멈추는 것에서부터 사회적·교육적 활동에                           이르기까지 자기행동의 강도,  빈도와 지속성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  사람들은 자신의 현재 욕구를 억제하고 미래를 위해 자신의 감정 및 행동을                                     사회적으로 더 바람직하게 조절할 때 집단에서 인정받을 수 있음

나. 자존감의중요성

                          •자존감(Self-Esteem)

                      -  자기의 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  자기개념에는 조용한,  논쟁적인,  자제력 있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자존감은 이러한 특성을 자신이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결정됨

메모 :

18

-----------------------------------------------------Page 23-----------------------------------------------------

대인관계의 심리학

                      -  타인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사람들은 높은 자존감을 갖게 됨                       -  사회비교의 과정을 통해서 자존감을 높일 수 있음

                                  :  자신의 우월성을 추구하기 위해 상향비교 혹은 하향비교의                                       전략을 사용하기도 함

① 자존감이 높은 사람

                      -  문제 상황에서도 그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

                      -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음                       -  정신적으로 더 건강함

                      -  대인관계에서도 더 뛰어날 가능성이 높음

② 자존감이 낮은 사람

                      -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좋아하지 않을 것으로 믿는 경향이 있음                       -  다른 사람들에 대한 적대감을 나타내기도 함

                          •자존감의 순환

                          •자존감이 높다고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하는 것은 아님                       -  극대화된 자존감은 자기의 자존감을 위협하는 정보나 사건을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강하고 그것에 대해                                 분노를 표출하거나 외집단을 비난할 가능성이 더 큼                           •자존감의 불안정성 역시 문제행동을 야기할 수 있음                       -  자존감이 불안정한 사람은 외부 자극에 대해 쉽게 위협받고                                 손상입기 쉬운 자기를 가지고 있으며,  자기에 대한 이미지나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더 예민하고 위협으로 인한 손상을                                 회복하기 위해 적대적인 방식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음

다. 자기와 대인관계의 상호작용

1) 자기와 정체성의 대인관계적 기원

                          •애착이론(Bowlby,  1969)

메모 :

19

-----------------------------------------------------Page 24-----------------------------------------------------

대인관계의 심리학

                      -  영아들은 자기 인식을 가지기 전(즉,  생애초기)에 자신이 사랑받는 존재인지                           혹은 가치있는 존재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도식(혹은 작동모델)을 형성하기                           시작

                          •작동모델(Working  Models)

                      -  영아들은 자신의 주 양육자로부터 받는 반응성과 일관성을 반영함

                      -  영아기 동안 발달한 작동모델

                                  :  아동들이 자신에 대한 타인의 반응을 해석하는 렌즈를 제공

                                  :  성인이 된 후까지도 사회적 피드백에 대한 해석을 하는데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침

2) 관계에서의 자기노출                           •자기노출

                      -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고 자신에게 중요한 정보를 의도적으로                           노출하는 과정

                      -  사회적 침투 모형에 따르면 자기노출은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① 자기를 개방하는 폭(Breadth) ② 개방하는 정보의 깊이(Depth)

                      -  공유하는 정보의 폭과 깊이에 따라 관계가 가볍거나 친밀할 수 있음

                      -  깊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기노출을 해야 함

메모 :

20

-----------------------------------------------------Page 25-----------------------------------------------------

대인관계의 심리학

                          •건설적인 자기노출을 위한 지침                       -  나에게 중요한 사람에게 해야 함                       -  자기노출의 양과 유형이 적절해야 함                       -  자기노출의 위험이 합리적어야 함                       -  자기노출의 효과가 건설적이어야 함                       -  자기노출이 상호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메모 :

21

-----------------------------------------------------Page 26-----------------------------------------------------

대인관계의심리학

2주차 2차시            개인의 성격과 대인관계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27-----------------------------------------------------

대인관계의 심리학

4. 개인의 성격과 대인관계

가. 성격의 5요인

1) 성격의 정의

                          •성격은

(가) 개인이 나타내는 행동의 독특성(Uniqueness)을 설명하는 개념

                      -  개인의 성격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그 사람만의 고유성,  독특성,  특이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성격은 개인차(개인들 간의 심리적 차이)를 설명하는 개념

(나) 개인이 나타내는 다양한 행동을 관통하는 일관성(Consistency)을 설명하는 개념                       -  성격은 개인이 여러 상황에서 나타내는 다양한 행동들의 공통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성격은 다양한 구체적 행동들에 포함된 일관된 속성을 추상화하여 설명하는                           개념

(다) 시간과 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관성 있게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개인행동의

안정성(Stability)을 반영하는 개념

                      -  시간과 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행동 패턴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나타날 때,  그러한 패턴을 성격이라 할 수 있음

(라) 구조를 지니고 역동적으로 기능하는 내면적 조직체(Organization)

                      -  인간의 다양한 행동은 외부자극에 대한 반사적 반응이 아니라 내면적 조직체의                           심리적 과정을 통해서 표출된 것

                            -  안정된 구조를 지닌 내면적 조직체로 인해서 개인의 행동이 일관성 있게                                 안정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

(마) 성격은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반응을 다양한 측면(동기,  인지,  정서,  행동의 측

면)에서 설명하는 개념

                            -  성격은 다양한 생활사건에 반응하는 개인의 독특성을 동기,  인지,  정서,  행동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메모 :

23

-----------------------------------------------------Page 28-----------------------------------------------------

대인관계의 심리학

2) 성격의 5요인

가) 신경과민성(Neuroticism)

                          •불안,  우울,  분노를 비롯한 부정정서를 잘 느끼는 성격특성                           •부정 정서성 또는 정서적 불안정성                           •신경과민성이 높은 사람

                            -  정서적으로 예민하고 불안정함                             -  사소한 일에도 스트레스를 잘 받음

                            -  인간관계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성격특질

                            -  다양한 인간관계의 만족도 및 결혼생활 안정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냄                             -  관계지속기간의 단축 및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 귀인과 밀접히 관련됨

나) 외향성(Extraversion)

                          •다른 사람과 함께 교류하는 인간관계적 자극을 추구하는 성향                           •외향성이 강한 사람

                            -  심리적 에너지의 방향이 외부를 향해 있음                             -  활동수준이 높아서 사교적                             -  자기주장을 잘함

                            -  긍정적인 정서를 잘 느끼는 경향

                          •인간관계 만족도,  결혼성공,  친밀감과 같은 긍정적인 관계 변인과 관련되어                               있음

                                  :  언제나 긍정적인 것은 아닐 수 있음

                          •많은 사회적 관계를 추구하고자 한다면 양적으로는 많은 사람과 교류하더라도                                 깊이 있는 관계를 맺는 것에는 취약할 수 있음

다)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체험을 좋아하며 다양한 경험과 가치에 대해서 열린 자세                           •개방성이 높은 사람                             -  모험적

                            -  미적 감수성이 뛰어남                             -  상상력이 풍부함

메모 :

24

-----------------------------------------------------Page 29-----------------------------------------------------

대인관계의 심리학

                            -  지적인 탐구심이 강함

                          •결혼생활 안정성이나 관계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나타냄                           •관계 지속기간의 단축과 연관

                            -  부부간의 부정적인 상호작용과 부적인 상관을                                 나타낸다는 상반되는 연구 결과 역시 존재

라) 우호성(Agreeableness)

                          •다른 사람에 대해서 우호적이고,  협동적인 성향                           •우호성이 높은 사람                             -  따뜻하고 부드러움

                            -  공감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을 나타냄                           •인간관계의 질을 높여주는 성격변인

                          •인간관계 만족도 뿐만 아니라 결혼생활 안정성과도 정적상관을 나타냄

마) 성실성(Conscientiousness)

                          •자기조절을 잘하고,  책임감이 강한 성취지향적인 성향                           •성실성이 높은 사람

                            -  주어진 일을 잘 처리하고 계획적이고 신중함                             -  질서정연한 것을 좋아함

                          •인간관계 만족도,  관계안정성,  관계 지속기간과 정적 상관을 나타냄

① 성실성이 높은 개인

                            -  의도적인 자기 통제 능력이 높으므로 자신의 행동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음

② 성실성이 낮은 개인

                            -  화가 날 때 더 공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고 낮은 자기통제력 수준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배척을 당할 가능성이 있음

나. 인간의 기본적 욕구 :  독립성과 연결성

                          •David  Bakan  (1966)에 따르면,  인간이 영위하는 삶의 근본적인 두가지 양상을                               주체성과 연대성으로 설명

(가) “주체성”

                            -  독립적인 존재로서 자기보호와 자기강화를 위해서 유능성과 권력을 추구하는                                 개인적 성향

                            -  개인이 생활 속에서 지위와 성취를 추구하려는 삶의 방식

                            -  세상과 분리된 자율적 존재로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광범위한 성향                             -  독립성,  자율성,  유능성,  권력,  지위,  성취,  책임감,  환경 지배력 등의 개념과                                 관련

                            -  독립적인 개체가 되려는 분화의 경향성으로 주도적이고 지배적인 행동을

메모 :

25

-----------------------------------------------------Page 30-----------------------------------------------------

대인관계의 심리학

                                나타내는 사람들에게서 관찰됨

                            -  유능성과 권력을 추구하는(고정관념적인 성역할로서)  남성적 성향

나) “연대성”

                            -  개인이 자신보다 더 큰 어떤 것과 연결하여 친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성향

                            -  개인이 생활 속에서 사랑과 소속감을 추구하는 상호의존적 삶의 방식                             -  자신을 타인이나 세상과 연결된 존재로 인식하면서 타인과의 친밀감과                                 소속감을 강화하려는 전반적인 경향성

                            -  사랑,  우정,  친밀감,  협동성,  소속감,  대화,  공유,  돌봄 등의 개념과 연결                             -  우호적이고 협동적인 행동을 나타내는(고정관념적인 성역할로서)  여성적인                                 성향을 반영

                          •Wiggins(1982,  1991)와 Kiesler(1982,  1996)는 주체성(권력)과

                              연대성(사랑)이라는 개념을 대인행동을 기술하는 용어로 구체화하여 지배성과                               친화성이라고 지칭하고 다양한 대인행동이 지배성과 친화성의 두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

① “지배성”

                            -  타인의 행동을 자신의 뜻대로 통제하려 하는 정도                             -  지배성-순종성의 연속선상에서 대인행동을 평가

② “친화성”

                            -  타인을 호의적으로 대하는 정도                             -  친화성-적대성의 연속선 상에서 평가

다. 대인관계 관련 성격 특질

                          •사람들은 사회적 거절과 고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

                          •소속감은 인간의 근본적인 동기이며,  개인으로 하여금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행동에 관여하도록 함

                            -  많은 인간 행동들은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고 대인간 상호작용에서 성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짐

                          •성격은

                            -  사회적 상황에서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

                            -  그들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타인과 어울리는지에 영향을 미침

                            -  집단 내에서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할지 그 가능성에도 영향을 미침

메모 :

26

-----------------------------------------------------Page 31-----------------------------------------------------

대인관계의 심리학

1) 사회 지배성(Social  Dominance)                           •주체성(Agency)

                            -  집단 내에서 사회적 지배성을 가지며,  권력,  지배,  독특성,  자기주장 등의                                 동기를 포함하는 개념

                            -  높은 주체성을 가진 사람들은 낮은 주체성을 가진 사람들보다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으며,  리더십을 즐김

① 높은 지배특질의 사람들

                            -  자기주장이 강함

                            -  더 강하게 자기 확신적으로 행동하는 경향

                                  :  이러한 경향성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도 나타남

② 사회지배성이 높은 사람들

                            -  친사회적 전략 혹은 강압적인 전략을 채택할 수 있음

③ 친사회적 전략을 사용하는 지배적인 사람들

                            -  사회적 단서에 더 잘 주의를 기울일 뿐만 아니라 공격성과 적대감이 낮음

④ 주로 강압적 전략을 사용하는 사회적 지배성의 사람들                             -  종종 타인으로부터 거절을 받기도 함

2) 친화성(Affiliation)                           •사회적 유대

                            -  자녀들이 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하게 함

                            -  가까운 친구들로 하여금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게 함

                            -  로맨틱 파트너로 하여금 장기간의 헌신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함                           •친화

                            -  가까운 대인간 유대를 가치롭게 여기고 보다 온화해지고 다정해지도록 함

                          •누군가와 가까워지는 것과 관련된 긍정적인 기쁨

                          •친화성이 더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타인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더 찾는 경향이 있음

                            -  높은 친화성의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에 대해 과도하게 논의하기 위해 타인을                               찾을 가능성이 높아 오히려 관계에서 역효과를 야기할 수 있음

3) 기질적 공감(Dispositional  Empathy)

                          •한 개인이 타인의 정서를 동일시하고 공유하는 것                             -  타인의 입장으로 들어가는 것

                          •사회적 파트너의 감정적인 상태를 공유하는 것은 대인관계에서 중요하며 사회적                               관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

                          •냉담-비정서적 기질은 낮은 공감,  둔감함,  무신경함 등을 포함                             -  이러한 기질이 높은 사람들은 자기 뜻대로 하기 위해

메모 :

27

-----------------------------------------------------Page 32-----------------------------------------------------

대인관계의 심리학

                                타인을 해치거나 조작할 가능성이 높으며,  타인을 해칠 때도                                 낮은 수준의 불안과 죄책감을 보임

                          •유전적이며,  아동기에서부터 성인기까지 상대적으로 안정적                             -  성인기 정신병질(Psychopathy)을 예측함

4) 거절민감성(Rejection  Sensitivity)

                          •신경증적인 개인은 부정적인 대인간 행동에 더욱 민감하고 타인의 행동에 대해                               더 부정적인 편향을 갖기 쉬움

                          •신경증과 관련된 하위 특질은 거절민감성                           •“거절민감성”

                            -  관계에서 거절에 대한 개인의 민감성에서 차이에 초점을 맞추는 보다 협소한                                 개념

                            -  앞선 거절 경험으로부터 발달할 수 있으며,  관계로부터의                                 거절경험이 이후 관계에서 거절에 대한 민감성에 영향을 미침

                          •높은 거절민감성의 사람

                            -  타인이 자신을 거절할 것이라 불안해 함                             -  쉽게 거절 단서들을 지각함

                            -  거절이 실제이든 지각된 것이든 거절 단서들에 과하게 반응함                           •높은 거절민감성으로 상대방에게 공격적인 반응을 할 수 있음

5) 사회불안(Social  Anxiety)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

                            -  타인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하는 것에 많은 중요도 부여                                   :  실제로 그런 인상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음

                            -  사회적 또는 수행 상황에서 누군가가 자신을 살펴보는 것과 부정적 평가를                                 받게 되는 것에 공포를 보임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심리적 고통과 불안을 더 많이 느낌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를 제시하고자 하는 욕구,  과도하고                                 지속적인 불안을 포함함

                            -  사람들과 상호작용 후에 더 부정적인 자기 관련 사고를 함                             -  상호작용 하는 중에 증가된 심장박동과 혈압을 보임

라. 성격의 변화와 환경의 중요성

                          •사회적 경험은 대인관계 특질 발달에 영향을 미침

                            -  개인의 대인관계 특질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지라도, 

                                관계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인관계 특질 발달에 영향을 미침

                          •사회화 모델은 아이와 부모의 성격 모두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메모 :

28

-----------------------------------------------------Page 33-----------------------------------------------------

대인관계의 심리학

                              보여줌

                            -  아이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 스타일은 양방향적

                            -  부모의 지지 역시 공감적 특질,  공감적 관심과 같은 변화와 관련됨

                          •또래 관계 역시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아동기에 또래에게 따돌림을 당하는 것은 성인 초기에 더 높은 거절민감성과                                 관련됨

                            -  또래에 의해 따돌림을 당하는 것 역시 사회 불안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음                           •최근 연구들은 대인간 특질을 포함해서 성격이 성인기에 변한다는 것을 보여줌                             -  18세에서 30세 사이에 이러한 변화가 나타남

                            -  특히 이 연령 집단의 개인들은 18세 이전 집단보다 더 사회적이고,  증가된                                 성실성,  더 낮은 수준의 신경증을 보임

                            -  단순히 성격에서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숙이기보다는                               사람들이 선택한 사회적 환경이라는 것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경험은 연령 관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됨                             -  성실성과 정서적 안정성은 성인기에 증가함

                            -  오직 만족스러운 관계를 경험한 사람만이 이러한 예측된 증가를 보임                             -  성인기 성격 내에서 안정성(지속성)은 안정적인 환경의 직접적인 결과로 보임                                   :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새로운 경험을 거의 하지 않음

                            -  초기 성인들은 노인들보다 변화하는 경험을 더 많이 가지며 이것은 대인간                                   특질에서 더 큰 변화를 야기함

                          •성격이 사회적 관계와 환경에 영향을 미칠지라도,  개인이 처한 사회적 맥락                               역시 인생 주기를 걸쳐 성격 특질에 영향을 미침

메모 :

29

-----------------------------------------------------Page 34-----------------------------------------------------

대인관계의심리학

3주차 1차시               지각과 대인관계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35-----------------------------------------------------

대인관계의 심리학

5. 지각과 대인관계

가. 지각과정

                          •주변 세계에 대한 지각은 사람에 따라 다름

                          •지각 차이는 관계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향상시킬 수도 있음

                          •지각을 조직화하는 능력은 우리의 능력이 기능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

1) 선택

                          •우리가 어떤 느낌에 주의를 기울일 것인지 선택하는 것

① 강력한 자극

                            -  소리가 더 크거나 규모가 더 큰 혹은 빛깔이 더 밝은 사물이 두드러짐

② 반복적 자극

                            -  반복적인 자극에 빈번하게 노출되면 주목하게 됨

③ 자극의 대조나 변화

                            -  자극의 대조나 변화와 관련되어 있음

④ 동기

                            -  환경으로부터 우리가 선택하는 정보를 결정함

2) 조직화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선택하면서 그것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배열하는 것                           •전경과 배경

                          •많은 도식들(사회과학자들이 지각적 도식이라 부르는)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                               대한 인상을 조직화할 수 있음                             -  외모에 따라서 사람들을 분류함

                            -  사회적 역할에 따라서 사람들을 분류함                             -  상호작용 스타일에 따라서 사람들을 분류함                             -  심리적 특성에 따라 사람들을 분류함

                            -  다른 사람의 멤버십을 이용하여 사람들을 분류함

가) 고정관념

메모 :

31

-----------------------------------------------------Page 36-----------------------------------------------------

대인관계의 심리학

                          •사람들을 분류하기 위해 특정 도식 선택

                              → 도식을 이용해서 그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을 일반화하고 그들의 행동 예측                             -  이러한 일반화가 현실과 다를 경우 고정관념 야기

                          •고정관념을 형성하면 부정확한 신념을 지지하는 행동들을 찾아내곤 함                           •고정관념이 언제나 나쁜 의도에서 출발하는 것은 아님                             -  어떤 경우는 부주의한 일반화가 좋은 의도나                                 지식의 부족으로 생길 수 있음

                          •지나친 고정관념으로부터 발생하는 의사소통 문제를 피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다른 사람을 탈범주화하는 것

나) 구두점

                          •타인과의 상호작용 순서를 다르게 할 수 있고,  이것이 타인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의사소통 이론은 일련의 상호작용에서 원인과 결과에 대한 결정을 기술하기                               위해 구두점(Punctuation)이라는 용어 사용

                          •구두점을 다르게 하는 것은 다양한 의사소통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3) 해석

                          •감각자료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  모든 대인간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상대방에 대한 몰입정도

① 두명의 동료가 자신들이 왜 일에 늦었는지 동일한 변명을 당신에게 한다.  ② 한 명은 가까운 친구이고,  다른 한 명은 당신이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③ 당신은 친한 친구의 변명을 훨씬 더 너그럽게 해석할 것이다. 

                          •개인적인 경험

                            -  유사한 사건을 경험했는지의 여부                           •인간행동에 대한 가정들

                            -  이러한 신념들은 우리가 다른 사람의 행동을 해석하는 방식을 형성함

                          •기대

                            -  기대는 해석을 형성함

메모 :

32

-----------------------------------------------------Page 37-----------------------------------------------------

대인관계의 심리학

                            -  기대는 우리가 주변 사람들을 어떻게 지각하고 행동하는지에 영향을 미침                           •지식

                            -  어떤 상황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그것을 알지 못했을 때와 다르게 한 행동들을                                 해석하게 됨                           •자기-개념

                            -  스스로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방식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해석하는데 강하게                                 영향을 미침                           •관계만족

                            -  어떤 파트너와 행복할 때 보이는 긍정적인 행동은 동일한 파트너와                                 불만족스러울 때와는 완전히 다름

                          •선택,  조화,  해석의 지각의 3단계는 다른 연속적 사건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모든 의사소통,  지각이 지속적인 과정이므로 시작과 끝을 분명히 정의하기란                                 어려움

4) 협상

                          •사람들은 서로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공유된 지각을 얻고자 노력하는 과정                               속에서 지각의 상당 부분이 만들어짐

                          •어떻게 협상이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이야기 교환으로서 대인간 의사소통을 보는 것

                            -  학자들은 우리의 개인적 세계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야기들을                                 내러티브(Narratives)라고 함

                          •우리의 이야기가 다른 사람의 이야기와 충돌할 때,  우리의 관점을 고수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거절할 수 있음

                            -  합의점을 찾기 위해 이야기에서 협상을 시도할 수 있음

                          •공유된 이야기는 순조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좋은 기회를 제공함                             -  공유된 이야기가 반드시 정확할 필요는 없음

나. 지각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

1) 생리적 영향

가) 감각

                          •우리가 자극을 어떻게 보고,  듣고,  맛보고,  만지고,                                냄새 맡는데서 나타나는 개인차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침

메모 :

33

-----------------------------------------------------Page 38-----------------------------------------------------

대인관계의 심리학

                          •우리가 수신하는 감각 자료는 개인마다 다름

                            -  시각과 청각에서의 차이는 인지하기 비교적 쉽지만,  다른 것의 차이 역시                                 존재함

                            -  이러한 차이를 인지하여 다른 사람의 선호가 이상한 것이 아니라 단지 다를                                 뿐이라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함

나) 심리적 문제

                          •지각에서 몇몇 차이들은 신경학에 뿌리를 둠                             -  예)  ADHD(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의 사람들은                                       과제로부터 쉽게 주의가 흩어지고 만족감을                                         지연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느낌

                            -  예2)  동일한 강의를 듣고 다른 사람들이 감명을 받는 동안,                                            ADHD의 사람들이 얼마나 지루하고 따분했을지                                             상상하기란 어렵지 않음

다) 연령

                          •명확한 신체적 변화 외에 연령 역시 지각을 변화시킨

라) 건강과 피로

                          •건강과 피로 여부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강한 영향을 미침                           •질병 때문에 다른 누군가가 다르게 행동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함

마) 생리적 사이클

                          •신체 온도,  성적인 추동,  각성 정도,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  기분을 포함하여                                 일상의 사이클에서 모든 종류의 변화가 끊임없이 발생함

                          •우리의 일상 사이클과 다른 사람의 사이클이 감정과 행동을 지배한다는 것을                               인식하면?

① 효과적인 시간대에 중요한 문제를 다룰 수 있음 ② 우리의 삶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 짐

2) 문화 차이

메모 :

34

-----------------------------------------------------Page 39-----------------------------------------------------

대인관계의 심리학

                          •모든 문화는 그들만의 세계관이 있고,  세계를 바라보는 그들만의 방식이 있음                           •말의 가치에 관한 신념도 문화마다 차이가 있음

3) 사회적 역할 가) 직업적 역할

                          •종사하는 직업의 종류는 우리의 세계관에 영향을 미침                           •우리의 직업적인 역할이 우리의 지각을 형성함

나) 관계적 역할

                          •친밀감이 상대방을 지각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침

다. 지각을 하는 여러 공통적 특징,  지각점검

1) 관대한 자기지각

                          •자기본위적 편향(Self-Serving  Bias)

                            -  자신의 긍정적 모습이 사실이라고 자기 자신과 타인을                                 납득시키고자 하며 스스로를 가장 관대하게 판단하는 경향

                                  :  타인이 고통 받을 때는 그들의 개인적인 특징의 문제를 비난하고 자기                                       자신이 고통 받을 때는 외부요인을 비난함

2) 첫 인상에 대한 집착

                          •후광효과(Halo  Effect)

                            -  하나의 긍정적인 특징에 기초하여 개인의 전반적인 긍정적 인상을 형성하는                                 경향성

                                  :  우리는 누군가에 대한 견해를 형성한 후에,  그것에 의존하고 충돌하는                                       정보들을 우리의 의견에 맞추는 경향이 있음                             -  누군가에 대한 견해 형성 후 그것이 잘못된 경우에는                                 기꺼이 의견을 바꿀 수 있는 개방된 사고를 유지해야 함

3) 가정된 유사성

메모 :

35

-----------------------------------------------------Page 40-----------------------------------------------------

대인관계의 심리학

                          •다른 사람의 관점이 우리의 것과 유사하다는 잘못된 가정은 다양한 상황에                               적용됨

4) 기대의 영향

                          •기대가 어떤 상황 및 사물을 지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                           •기대가 언제나 더 긍정적인 평가를 야기하는 것은 아님

5) 지각점검

                          •나의 첫 번째 해석이 옳다고 가정하는 대신에 다른 사람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돕는 도구

                          •지각 점검하기는 의사소통에 협력적인 접근이 됨

                          •지각점검의 요소들

① 당신이 알아챈 행동의 묘사

② 그 행동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가능한 해석들

③ 어떻게 그 행동을 해석할지에 관한 설명에 대한 요구

메모 :

36

-----------------------------------------------------Page 41-----------------------------------------------------

대인관계의심리학

3주차 2차시            다대인지각과 대인사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42-----------------------------------------------------

대인관계의 심리학

6. 대인지각과 대인사고

가. 인상형성 과정과 경향성

1) 대인지각과 인상형성

                          •우리는 누군가를 만날 때 마다 그 사람의 내면적 속성을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근거하여 그 사람의 행동을 예측하고 자신의 행동을 결정함                           •대인지각

                            -  다른 사람의 속성에 대한 지각으로 대인행동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심리적 요인                           •대인지각의 특징

① 대인지각에서는 그 지각내용이 정확한 것인지 판단할 기준이 없음

                            -  인간의 심리적 속성은 다른 사람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되기 어려움

② 대인지각의 대상인 사람은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임

                            -  사람은 자신을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지각,  판단의 근거가 되는 단서를 조작해                                 지각자의 판단을 오도할 수 있음

                          •인상형성

                            -  상대방에 대한 첫인상을 형성하는 일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리고 순식간에                                 일어남

2) 인상형성의 단서

가) 얼굴생김새

                          •얼굴 생김새와 얼굴표정은 그 사람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단서                           •4~5세경의 아이는 잘생기고 못생긴 것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음                             -  그들의 판단은 매우 높은 일치율을 보임

                          •얼굴 생김새에 근거하여 개인의 지능이나 성격과 같은 내면적 특성에 대한                               인상을 형성함

                          •같은 얼굴이라도 웃는 얼굴과 찡그린 얼굴 표정은 매우 다른 인상을 주게 됨

나) 옷차림새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 수준,  직업,  성격,  가치관,  흥미 등과 같은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인상형성에 영향

메모 :

38

-----------------------------------------------------Page 43-----------------------------------------------------

대인관계의 심리학

                          •옷의 스타일 및 색깔,  유행의 정도,  깨끗하고 단정한 정도,                                품질 및 추정가격 등은 인상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줌                           •상황의 특성 및 적절성에 따라 인상형성에 다른 영향을 줌                           •일시적인 기분 및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옷차림새는 어떤 사람의 매우 내면적 심리적 특징을 판단하는 좋은 단서가 될                                 수 없음

다) 행동단서

                          •몸의 움직임,  제스처,  몸의 자세,  타인과의 거리 등 다양한 비언어적 단서가                               포함됨

                          •사람의 성격,  능력,  가치관,  사고방식 등을 추론하는 단서

                            -  행동단서는 사람의 고정적 성격적 특징보다는 기분,  의도,  태도와 같은 일시적                                 특성을 알아내는데 이용됨

                          •행동단서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나타낼 수도 있음                             -  인상형성의 단서로 한계가 있음

                          •언어적 행동은 말의 내용에 비해서 의도적 조절이 어려우므로 인상형성을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됨

3) 인상형성의 과정

                          •외관적 단서에 근거하여 사람의 사회적 신분,  직업,  풍모 뿐만 아니라 그                               사람의 성격,  능력,  감정,  가치관,  취미 등을 짐작함

                            -  이러한 심리적 특성은 외관적 단서로부터 추론하여 판단되는 것

                          •암묵적 성격이론

                            -  여러 사람에 대한 직접적·간접적 경험에 근거하여 외모와 심리적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는 이론체계

                                  :  외관적 단서에 근거하여 성격특성을 추론하는 인지판단의 기초                             -  개인차를 무시하고 암묵적 성격이론이 융통성 없이 적용될 때                                 고정관념(Stereotype)이 생김

4) 인상형성의 경향성 가) 핵심특성의 중시

                          •핵심특성

                            -  전체 인상을 형성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특성

메모 :

39

-----------------------------------------------------Page 44-----------------------------------------------------

대인관계의 심리학

나) 나쁜 평의 중시

① 긍정성 편향

                            -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하기보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  관용효과(Leniency  Effect)

② 부정성 효과

                            -  한 사람에 대해 좋은 평가와 나쁜 평가를 동시에 접하게 되면 좋은 평보다는                                 나쁜 평이 전체 인상을 결정하는 것

다) 첫인상의 중시

                          •Asch(1946)

                            -  “어떤 사람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달받게 되면 전달되는                                   순서에 따라 인상형성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똑똑하다-부지런하다-충동적이다-비판적이다-고집스럽다-샘이                                   많다」의 단어를 이 순서대로 제시한 경우와 반대의 순서로 제시한 경우,                                              전자는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한 반면 후자는 부정적인 인상을 형성하였다.“                                   → 초두효과

                          •초두효과(Primacy  Effect)가  나타나는 이유

                            -  먼저 접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인상을 형성하게 되면 나중에 접하는 정보는 그                                 인상에 일치하도록 받아들여지기 때문

                            -  처음 제시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지만 나중에 들어오는                                 정보에 대해서는 주의를 덜 기울이기 때문

나. 귀인과 오류

1) 대인사고의 의미와 역할                           •대인사고

                            -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의 의미를 해석하고 대처행동을 결정하는                                 심리적 과정

                                  :  대인지각에 근거하여 진행되는 후속과정으로서 대인지각보다 더 복잡하고                                       상위수준의 인지기능이 관여하는 심리적 과정

                          •대인사고 과정은 매우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일어나므로 잘 자각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메모 :

40

-----------------------------------------------------Page 45-----------------------------------------------------

대인관계의 심리학

                            -  인지치료를 창시한 아론 벡(Beck)은 대인사고는 매우 자동적으로 처리되고                                 신속하게 마음속을 지나가므로 자동적사고(Automatic  Thought)라고 함                           •자동적 사고는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

가) 대인사고의 과정

                            -  특정한 사건이 발생하게 된 원인에 대해 귀인하거나 특정한 행동을 한 사람의                                 내면적 의도 파악

                            -  의미추론 과정에 다양한 인지적 오류가 개입되면 사건의 의미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과장 또는 왜곡될 수 있음

                            -  특정한 의미로 해석된 타인의 행동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평가하는 과정

                            -  개인이 지니고 있는 기준이나 기대와의 비교가 일어나게 됨                             -  비교 결과에 따라서 타인에 대한 대인감정이 결정됨

                            -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대처자원을 평가

                            -  가능한 대처방식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판단이 이루어짐

2) 귀인 :  사건의 원인 추론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의미를 추론하는 것은 여러 가지 사고과정이                               개입하는 매우 복잡한 인지적 작업

메모 :

41

-----------------------------------------------------Page 46-----------------------------------------------------

대인관계의 심리학

                          •의미추론 과정에서는 특정한 사건이 발생하게 된 원인에 대해

                              귀인하거나 특정한 행동을 한 사람의 내면적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개인이 의미추론 과정을 통해서 해석한 사건의 의미가 얼마나 사실에 가까운                               것이냐에 따라 대인관계의 적응 여부가 영향을 받게 됨

                            -  귀인을 잘못하거나 인지적 오류가 개입되면 사건의 의미가 왜곡됨으로써                                 개인의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음

가) 귀인의 정의

                          •귀인 (Attribution)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사건의 원인을 추론하는 심리적 과정                                 :  사건이 발생한 원인을 무엇에 돌리느냐는 판단                                     (사건의 원인을 귀속시키는 인지적 과정)

(1) 내부적-외부적 귀인

① 내부적 귀인

                            -  행동을 한 당사자,  즉 행위자의 내부적 요인(성격,  능력,  동기)에 그 원인을                                 돌리는 것

② 외부적 귀인

                            -  행위자의 밖에 있는 요소(환경,  상황,  타인,  우연 등)의 탓으로 돌리는 것

(2) 안정적-불안정적 귀인

① 안정적 귀인

                            -  원인이 내부적인 것이든 외부적인 것이든 비교적 변함없는 지속적인 요인에                                 원인을 돌리는 경우

② 불안정적 귀인

                            -  자주 변화될 수 있는 요인에 원인을 돌리는 것

(3) 전반적-특수적 귀인

                          •귀인요인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한정되어 있는지의 정도를 의미

메모 :

42

-----------------------------------------------------Page 47-----------------------------------------------------

대인관계의 심리학

나) 귀인의 일반적 경향

(1) 사람들은 행동의 원인을 외부적 요인보다 내부적 요인에 귀인 하는 경향이 강함 (2)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귀인과 타인의 행동에 대한 귀인에 있어

서 차이를 보임

(3)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이 외부압력에 의해 일어났다고 보게 되면 내부적 요인의 역

할을 삭감하는 경향이 있음

(4) 사람들은 자신이 행한 행동의 결과가 좋으면 내부적 귀인을 하는 반면,  행동의 결

과가 좋지 않으면 외부적 귀인을 함

다) 우울 유발적 귀인

                          •자신이 한 일의 실패나 성공에 대해서 어떤 방식의 귀인을 했느냐에 따라                               결과적인 감정상태가 달라질 수 있음                           •우울 유발적 귀인

                            -  우울한 사람들이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 내부적·안정적·전반적인 귀인을 하고,                                    긍정적 결과에 대해서는 외부적·불안정적·  특수적 귀인을 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                                  방어적 귀인과 반대되는 방향의 귀인방식

다. 의미평가

                          •의미평가 과정은 사건의 의미에 대한 긍정성과 부정성을 평가하여 대인감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대인사고 과정

1) 의미의 긍정성-부정성 평가                           •의미평가 과정

                            -  의미추론을 통해 파악된 의미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평가하는 과정                                   :  대인감정을 결정하는 주요한 심리적 과정

① 평가는 어떤 기준과의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짐 ② 판단기준은 우리가 대인관계에 임할 때 지니는 기대                             -  벡(Beck),  엘리스(Ellis)  등 인지치료자들

                                :  “정서장애를 나타내는 사람들은 현실 속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당위적이고

메모 :

43

-----------------------------------------------------Page 48-----------------------------------------------------

대인관계의 심리학

                                      절대적이며 완벽주의적인 신념과 기준을 가지고 있다.”

2) 일차적 평가와 이차적 평가

                          •의미평가 과정은 라자루스(Lazarus)가  주장하는

                              일차적 평가(Primary  Appraisal)와 매우 유사한 인지적 과정                           •라자루스(Lazarus)

                            -  “사람들은 어떤 사건에 직면하게 되면 그 사건이 자신에게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이로운 것인지 해로운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일차적 평가의 내용은 그에 상응하는 정서를 유발한다.“

3) 대처방식 선택과정

                          •라자루스는 불쾌감정을 느끼는 대인관계 상황에 대처하는 다양한 방식을                               문제초점적대처와 정서초점적대처로 구분

① “문제초점적 대처”

                            -  갈등이 발생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대처노력

                            -  갈등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변화시켜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현실적이고 직면적인 대처방식

                            -  흔히 자신이 문제해결이나 상황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적용함

② “정서초점적대처”

                            -  갈등으로 인해 발생된 정서적 불쾌감을 해소하기 위한 대처노력                             -  정서적 발산                             -  주의전환                             -  반추

                            -  환상추구

                            -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은 그 유형에 따라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효율성이 다름                           •갈등상황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대처방식도 달라짐

                            -  직면한 갈등상황에 대한 평가,  대처자원에 대한 평가,  특정한 대처방식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대처행동 선택

메모 :

44

-----------------------------------------------------Page 49-----------------------------------------------------

대인관계의심리학

4주차 1차시                대인관계 동기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50-----------------------------------------------------

대인관계의 심리학

7. 대인관계동기

가. 동기의 정의와 기능

1) 동기의 정의

                          •동기(Motive)

                            -  특정한 목표를 향해 행동하게 하는 내면적인 원동력

                                  :  개인이 특정한 목표를 원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하게 함

                          •사고과정의 개입 없이 일어나는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욕구,  충동,  본능이라는 용어로 불리기도 함

                            -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관계를 지향하게 하고 사회적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적 요인을 대인동기(Interpersonal  Motives)라고 함

2) 동기의 기능(Ford,  1992)

                          •목표지향적 행동 유발

                            -  목표의 달성을 위해 특정한 행동을 하도록 행동의 방향 결정                           •목표지향적 행동 지속

                            -  동기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추진력 제공                           •목표지향적 행동 조절

                            -  목표지향적 행동을 시작하고 지속하며 종결하게 함

3) 동기의 구분 ① 생리적 동기

                            -  태어날 때부터 갖추어진 동기로서 모든 인간들이 공유하는 동기                             -  개체와 종족의 보존에 기여하고 진화의 과정에서 선택되어 옴

② 심리적 동기

                            -  생리적 근거보다 학습의 영향이 더 뚜렷한 동기

                            -  개인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습득하기 때문에,  다른 종들과                                 공유되지도 않고 모든 개인들에서 발견되지도 않음

4) 동기의 위계와 발달

가) Maslow(1954,  1970)의 위계적 발달이론

메모 :

46

-----------------------------------------------------Page 51-----------------------------------------------------

대인관계의 심리학

①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  음식,  물,  산소 등 개체 생존의 기본적인 조건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가장                                 낮은 위계에 있으며 일차적 동기

② 안전 욕구(Safety  Needs)

                            -  안전하고 편안한 피난처를 갈구하는 욕구로 안전한 삶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안정의 욕구도 이에 속함

③ 애정 욕구(Love  Needs)

                            -  의미있고 강한 집단에 소속되어 사랑과 보호를 받고자 하는 욕구로 소속감과                                 애정의 동기는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충족될 수 있는 대인동기의                                 바탕이 됨 ④ 존중 욕구(Esteem  Needs)

                            -  자신이 가치있는 존재라는 것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로 자기긍지와 자기만족을                                 느끼기 위해 자신을 발전시키려는 욕구

⑤ 자기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

                            -  자신이 지닌 잠재능력을 충분히 표현하고 발현하려는 욕구로써 가장 높은                                 위계에 위치함

                          •낮은 위계의 하위동기로부터 높은 위계의 상위동기로 발달해간다고 봄                           •하위동기가 만족되지 않으면,  상위동기로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음                             -  상위동기로의 발달은 하위동기의 안정된 충족을 필요로 함

                            -  예)  배고프고 위험에 쫓기는 상황에서 애정욕구나 존중욕구는 뒤로 물러나며,                                            음식을 찾아 안전한 곳에 피신하려는 욕구와 행동이 우선적으로 나타남

나) Alderfer(1969,  1972)의 욕구위계이론

(1) 생존 욕구(Existence  Needs)

                          •생존에 필요한 물질적·생리적 욕구

                          •Maslow의 욕구위계에서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욕구(물리적 안전)가  포함됨

(2) 관계 욕구(Relatedness  Needs) 

                          •중요한 타인과 친밀하고 신뢰로운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하려는 욕구                           •매슬로우의 안전 욕구(대인관계에서의 안전),  애정 욕구, 

                              존중 욕구(대인관계에서의 자존심)  등과 같은 사회적 동기가 포함됨

(3) 성장 욕구(Growth  Needs) 

                          •개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능력이나 잠재력을 발전시키려는 욕구                           •Maslow의 자기실현 욕구와 유사

메모 :

47

-----------------------------------------------------Page 52-----------------------------------------------------

대인관계의 심리학

                          •이 세 가지 욕구에 대한 기본 전제

① 특정 욕구가 덜 충족될수록 그 욕구에 대한 갈망은 더욱 강해진다.  ② 한 욕구가 충족되면 상위 욕구가 일어난다. 

③ 상위욕구의 충족이 좌절되면 하위욕구가 일어난다. 

나. 다양한 대인동기 유형들

1) 생물학적 동기

                          •인간은 생존을 위해 영양분을 공급받고 환경의 위협으로부터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생물학적 동기를 지님

                            -  생물학적 동기의 충족을 위해 인간은 타인을 필요로 함

                          •현대사회에서는 타인과의 협동적 관계 속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동기가                               보다 용이하게 충족될 수 있음

                          •생물학적 조건은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됨

2) 의존동기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타인의 보호와 도움이 필요한 의존적인 존재                           •성인이 되어서도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얻고 보호와 보살핌을                               받으려는 주요한 대인동기로 발전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만 충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인간의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대인동기

3) 친애동기

                          •대등한 위치에 있거나 유사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과 가깝게 지내며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대인동기                           •친애동기의 적응적 기능

① 같은 또래와 가깝게 지냄으로써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음 ② 친애행동은 불안을 완화시켜 줌

4) 지배동기

                          •권력을 추구하는 욕구

                          •인간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동기를 지님

                          •인간은 권력을 얻기 위해 집단을 형성하기도 하고,  구성원 간에 권력투쟁을                               벌이기도 함

메모 :

48

-----------------------------------------------------Page 53-----------------------------------------------------

대인관계의 심리학

                          •지배동기는 타인을 대상으로 하여 충족될 수 있는 대인동기이며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나타남

                            -  예)  자녀의 진로를 좌지우지함으로써 지배동기를 충족시키는 부모                                         부하직원을 대상으로 지배동기를 충족시키는 상사

5) 성적동기

                          •이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나타내게 하고 이성에게 접근하여 구애행동을                               하게 됨

                            -  종족보존을 위해 필수적인 생물학적 동기                           •프로이드(Freud)를 위시한 정신분석학자들

                            -  “성적 동기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욕구이다. 

                                  성적 동기는 인간사회의 도덕적 규범에 의해 억압되기도 하지만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심리적 동기이다. 

                                  다른 심리적 동기는 성적 동기로부터 파생된 것이며 성적 동기가 사회적                                   규범에 맞도록 위장되거나 승화된 것이다.“

6) 공격동기

                          •타인을 해치고 손상시키려는 욕구

                          •개체보존과 종족보전을 위해 적응적 기능을 하는 주요한 동기

① 분노적 공격성(Angry  Aggression)

                            -  좌절을 유발한 대상에게 미움과 분노의 감정을 지니고 복수하려는 공격행동                             -  좌절을 유발한 대상을 직접 공격할 수 없을 때는 다른 대상에게 공격행동을                                 나타내기도 함

② 수단적 공격성(Instrumental  Aggression)

                            -  재물이나 권력과 같은 현실적인 이득을 얻기 위해 방편적으로 행해지는 공격성                             -  분노나 미움의 감정을 느끼지 않으며 얻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대를 공격할 뿐

7) 자기존중감과 자기정체성의 동기

                          •인간의 자기존중감은 긍정적인 자기평가에 근거함

                            -  긍정적인 자기평가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그들의 긍정적 반응을 통해                                 확인됨

                          •인간의 자기존중감은 타인과 구분되는 개성 있는 독특한 존재로 인식하려는                               자기정체감의 욕구를 지님

                          •이러한 자기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비교를 통해 자신의 독특성을 확인함으로써 가능함

메모 :

49

-----------------------------------------------------Page 54-----------------------------------------------------

대인관계의 심리학

다. 대인동기에서 나타나는 개인차

                          •동기는 지속성에 따라서 만성적 욕구와 일화적 욕구로 구분(Alderfer,  1972)

① 만성적 욕구

                            -  비교적 오랜기간 지속되는 욕구

                            -  욕구충족이라는 일관성 있는 목표를 향한 행동들을 유발

② 일화적 욕구

                            -  특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욕망상태                             -  상황이 변화하면 사라짐

                          •사람마다 대인관계방식에 차이가 나타나는 주요한 원인은

                              대인관계에서 충족시키고자 하는 만성적 동기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

                          •정신분석학자인 Horney(1937)는 대인동기와 관련해서 인간관계에 대한 세가지                               성향을 구분                     (1)  인간접근적성향

                            -  타인에게 접근하여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자 함

(2) 인간회피적성향

                            -  인간관계를 회피하며,  인간관계를 맺더라도 친밀한 관계를 불편해함

(3) 인간적대적성향

                            -  타인을 경쟁상대나 적으로 느끼게 되어

                                공격적·지배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타인에 대한 분노와 적개심을 자주                                 표출하여 다툼을 초래함

            1)  선천적 요인

                          •대인동기의 개인차는 유전적·선천적인 요인에 기인하기도 함                             -  예)  쌍생아 연구에 따르면,  특정한 성격특성은

                                        유전적으로 가까운 사람일수록 서로 유사한 경향을 보임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만 특정한 심리적 속성이 결정되는 경우는 드문 편                             -  대부분의 경우 후천적 경험과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

2) 욕구의 충족 경험

                          •오랜기간 충족되지 못한 대인동기는 더욱 강해져서 욕구충족을 위한 행동을                               유발함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드(Freud)

                            -  “인간의 모든 욕구는 발산되어 해소되기를 추구한다. 

                                  그러나 발산되지 못한 욕구는 내면적으로 축적되어 끊임없이 발산의 기회를                                   찾는다.  특정한 발달단계에서 욕구가 과도하게 좌절되면,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강한 경향이 지속되어 부적응적인 성격이나                                   대인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메모 :

50

-----------------------------------------------------Page 55-----------------------------------------------------

대인관계의 심리학

가) Freud의 성격의 삼원구조이론

                          •원초아

                            -  성적인 원초적 욕구를 충동적으로 발산하려고 하는 심리적 측면                           •초자아

                            -  도덕적인 사회문화적 규범이 내면화된 심리적 측면                           •자아

                            -  원초아와 초자아의 요구를 절충하며 환경의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하는                                 적응적 기능을 지닌 심리적 측면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자아가 성격의 중심적 역할을 하며 원초아가 강한                               사람은 매우 충동적이고 무책임한 행동을,  초자아가 강한 사람은 도덕적이며                               금욕적인 행동을 나타냄

나) 방어기제

                          •억압

                            -  성욕이나 공격욕과 같은 원초아적 욕구가 의식되는 것을 막음                           •부인

                            -  수용하기 힘든 욕망을 부정                           •반동형성

                            -  자신의 욕망과 반대되는 행동을 함                           •합리화

                            -  수용되기 어려운 욕망에 대해서 그럴듯한 현실적 이유를 붙여 불안을 회피                           •주지화

                            -  욕망충족을 위해 지적인 합리적 의미 부여                           •대치

                            -  한 대상에 대한 욕구를 다른 대상을 통해 대리적으로 충족                           •투사

                            -  자신이 지닌 욕구를 다른 대상이 지닌 것으로 간주

3) 부모와의 애착경험

                          •어린 시절의 양육자,  특히 어머니와의 관계가 이후의 대인동기에 중요함                           •인간의 애착행동을 연구한 Bowlby(1969)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애착관계가                               성장 후의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  어머니의 반응에 따라 아이는 안정된 애착(Stable  Attachment)  또는                                 불안정한 애착(Unstable  Attachment)을 형성하게 됨

                          •대인동기는 어머니 뿐만 아니라 아버지,  형제자매,  교사,  친구,  연인 등과의                               관계경험을 통해서 영향을 받게 됨

가) 안정된 애착(Stable  Attachment)

메모 :

51

-----------------------------------------------------Page 56-----------------------------------------------------

대인관계의 심리학

                          •아이의 애착행동에 대해 어머니가 일관성있게 수용적이고 우호적인 행동 반응을                               보여줄 때 형성

나) 불안정한 애착(Unstable  Attachment)

                          •아이의 애착행동에 대해 어머니가 적절하게 반응해주지 못해 아이의 애착욕구를                               좌절시키게 될 때 형성됨

① 불안한 또는 양가적인 애착 ② 회피적 애착

4) 대인동기의 목표 추구방식

가) 능동성-수동성 차원

                          •능동적인 사람

                            -  대인동기를 충족하기 위해 스스로 행동의 방향과 계획을 설정함                           •수동적인 사람

                            -  다른 사람에 의해 시작된 상황에 대해서 반응적으로 행동하며                                 순응적인 태도를 나타냄

나) 접근-회피의 차원

                          •접근지향적인 사람

                            -  대인행동을 통해 성취하게 될 결과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접근적인 태도를 나타냄                           •회피지향적인 사람

                            -  대인행동을 통해 초래될 결과의 부정적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에 회피하는 행동을 나타냄

다) 유지-변화의 차원

                          •유지지향적인 사람

                            -  현재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지속시키려는 현상유지적                                 태도를 취함

                          •변화지향적인 사람

메모 :

52

-----------------------------------------------------Page 57-----------------------------------------------------

대인관계의 심리학

                            -  현재 상태에 만족하지 않고 변화와 개선을 추구함

라. 부적응적 대인동기와 극복

1)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유형

가) 극단적인 대인동기

                          •대인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에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이                               나타남

                            -  예)  의존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주변 사람들에게                                         과도하게 집착함으로써 그들로부터 거부당하는 결과 초래                             -  예)  친애동기가 현저하게 부족한 사람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는 욕구,  의지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고립되고 소외된 대인관계 양상을 보임

나) 부적절한 대인동기

                          •특정한 대인관계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어긋나는 동기                             -  예)  나이 어린 후배와 일을 할 때는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는                                         반면,  부모나 선배와 일할 때는 좀 더 순종적이며 추종적인 역할을                                         하도록 기대됨

                          •함께 일하는 상대나 상황에 상관없이 항상 자신이 지배적인 위치에 서고자 하는                               사람은 인간관계에서 갈등을 겪게 됨

다) 비현실적 대인동기

                          •주어진 대인관계 상황에서 실현 불가능한 욕구를 갖는 것                           •결과적으로 좌절과 불만을 경험하게 됨                             -  예)  일시적인 모임에서 타인들과 깊이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들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이해를 받고자 하는 사람은 좌절감을 느끼기 쉬움

라) 불균형적인 대인동기

                          •인간은 의존동기,  친애동기,  지배동기,  공격동기,                                  자기존중감의 동기 등 다양한 대인동기를 지님

                            -  이 중 어느 하나에만 지나친 중요성을 부여할 경우 대인관계는 원활하게                                 지속되기 어려움

                            -  예)  타인에게 의존하기만 하거나 타인을 지배하려고만 하는 사람

2) 부적응적 대인동기와 극복

가)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대인동기를 충분히 충족시키기

                          •대인동기가 강한 사람은 현실생활 속에서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킬 기회를

메모 :

53

-----------------------------------------------------Page 58-----------------------------------------------------

대인관계의 심리학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음

                            -  예)  어린시절 부모로부터 충분히 애정을 받은 사람은                                         성장하여 애정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려 들지 않음

나) 의식적인 조절하기

                          •자신의 인간관계 방식을 스스로 잘 관찰하여 이러한 동기가 자신에게 내재해                               있음을 자각해야 함!

                          •부적절한 대인동기가 어떻게 불만족스러운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초래하는지에                               대한 이해 필요!

                          •대인동기 변화를 위한 개인적 노력이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에는                             -  심리상담전문가들은 인간관계의 문제를 야기하는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자각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대인동기의 충족과 변화를                                   위한 전문 지식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

메모 :

54

-----------------------------------------------------Page 59-----------------------------------------------------

대인관계의심리학

4주차 2차시                 사회적 지지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60-----------------------------------------------------

대인관계의 심리학

8. 사회적지지

가. 사회적 지지의 정의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단순한 도움행동                             -  Helping  Behavior

                            -  주로 비상시에 낯선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  보상(Reward)에 대한 논의가 오래도록 이루어지고 있는데,  보상의 이유는                                       여전히 논쟁이 되고 있음                           •사회적지지

                            -  Social  Support

                            -  서로 잘 아는 사람들이 지지가 기대되는 상황속에서 이루어지는 도움                             -  주로 도움을 주는 사람의 의무나 장기적으로 누군가를 도와줄 때의                                   부담에 주목

                          •많은 연구들은 단일한 개념으로 사회적 지지를 개념화 한 것이 아니라 여러                               다양한 개념들의 혼합으로서 개념화하기 시작함

① 지각된 지지

                            -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다고 지각하는 지지

② 실제적 지지

                            -  사회적 지지의 실제적인 발생

                                  :  특히 타인의 고통을 경감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행동될 때를 의미                             -  예)  남학생이 시험을 망친 누나를 격려하기 위해 커피를 사다주는 것                                         (≠단순한 친절함)

2) 사회적 지지의 동기

                          •도움 행동과 관련된 문헌들은 지지 제공에 있어서 두 개의 주요한 동기를 제시                             -  이타적 동기,  이기적 동기

                          •개인의 동기가 이타적이든 이기적이든 상관없이,  개인은 자기의 다양한 측면과                               서로 다른 사회적 역할들과 관련된 다양한 목표를 가짐

                            -  자기를 위한 목표(능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상대방을 위한                                 목표(상대방의 기분이 좋아지도록 하기 위해서),  관계를 위한 목표(행복한                                   결혼을 위해서)  등

가) 이타주의(Altruism)

(1) 공감(Empathy) 

                          •만약 고통받는 사람의 곤경에 공감한다면,  그들은 더 큰 지지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

                          •하지만 상대방의 자율성(Autonomy)에 대한 욕구에 공감을 한 경우,  개인은

메모 :

56

-----------------------------------------------------Page 61-----------------------------------------------------

대인관계의 심리학

                                상대방의 자율성을 보존하기 위해 지지를 철회하게 됨

(2) 관계의 안녕에 대한 관심

                          •파트너가 스트레스 사건에 잘 대처하도록 돕는 것은 관계의 질에 대한 고려를                               전제로 함

                          •잠재적으로 이기적으로 동기화 시키면서 관계에 이득이 되는 것이 제공자에게                               혜택이 됨

                            -  이타적 동기의 덜 순수한 형태

나) 이기주의(Egoism)

                          •타인이 아닌 자기에게 유익하도록 의도된 행동에 의해 나타남                           •개인의 부정정서(죄책감,  슬픔 등)는 도움 행동을 증진시킴

                          •타인을 돕는 것이 긍정적인 기분을 유지해 주는 한에 있어서 긍정 정서는 도움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음

                            -  누군가를 돕는 행동으로 인해 나의 죄책감이 감소하거나 행복감이 증가함

                          •형평성(Equity)  이론

                            -  개인은 불공정한 상태와 연관된 불편함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함

                            -  관계 내에서 상대방보다 개인이 더 많은 혜택을 받으면 개인은 형평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상대방에게 더 많이 주려고 함

                            -  지지를 받는 것은

① 관계 내에서 형평성의 항상성 균형을 깨트림 ② 개인으로 하여금 관계의 형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움을 제공하도록 동기화시킴

                            -  상대방보다 개인이 혜택을 덜 받게 되면

    :                              개인은 관계의 발전을 위해서 더는 노력하지 않고 지지를 주지 않는                                     경향을 보임

다) 이타주의(Altruism)  vs.  이기주의(Egoism)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를 완전히 분리할 수 없음                             -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이 곧 자신을 이롭게 하는 경우가 있음

                            -  지지를 받은 타인이 가까운 사람일 경우,  친밀한 타인이 자신의 자기개념으로                                 통합될 수 있음

                          •친밀한 타인을 돕는 것은 자신을 돕는 것과 유사하고 타인들을 향한 공감은                               오직 자신의 개념적 정체성과 타인이 통합될 때에만 도움 행동의 효과적인                                 예측변인!

메모 :

57

-----------------------------------------------------Page 62-----------------------------------------------------

대인관계의 심리학

나. 사회적 지지의 특성

1) 사회적 지지를 받는 사람의 특성

가) 외향성

                          •외향적인 사람들은 더 많은 지지를 받는다는 연구 결과들이 존재함                           •외향적인 사람들은 더 많은 외부 자극을 원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가능성이 높음                           •외부에 본인의 심리 상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노출시킴                           •내향적인 사람보다 고통스러운 때에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찾는 경향을 보임

나) 자존감

                          •자존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능동적인 대처를 할 가능성이 높음                           •“능동적인 대처”

                            -  능동적 대처 전략은 지지를 제공하는 사람들의 의지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됨                             -  수용자의 자존감은 그들이 보고한 능동적인 대처 전략 사용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

                          •사람들은 높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에게 더 지지를 제공하는 경향을 보임

2) 사회적 지지 제공자의 특성

가) 애착유형

                          •안정적 애착의 경우

                            -  타인에게 더 효과적이고 적절한 지지 행동을 하는 경향                           •회피애착의 경우

                            -  파트너의 고통이 증가할 때 지지를 하지 않는 경향                           •불안애착의 경우

                            -  파트너에게 정서적으로 과하게 관여되는 형향을 보이며                                 파트너가 얼마나 고통받는지에 상관없이 정서적 지지 제공

나) 공동(Communal)  /  교환(Exchange)  지향성

                          •공동체적으로 지향된 개인

                            -  타인의 안녕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음

                            -  단순히 관계를 사회교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보다 일반적으로 도움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음

                            -  잠재적인 지지의 수용자의 고통에 더 반응적임

다) 성격유형(외향성/친화성)                           •외향적인 사람

                            -  사회적 상호작용에 더 많이 관여할 가능성이 높음

메모 :

58

-----------------------------------------------------Page 63-----------------------------------------------------

대인관계의 심리학

                            -  타인에게 지지를 제공할 기회 역시 더 커짐                           •친화적인 사람

                            -  사회적 관심,  이타성과 타인에 대한 관심이 높음

                            -  덜 친화적인 사람보다 더 높은 차원의 지지를 제공한다고 생각하기 쉬움

3) 사회적 지지의 유형

                          •정서적 지지

                              -  상대방이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고 위로를 얻을 수 있도록                                   공감·경청·지지해 주는 것

                              -  실제적인 문제는 해결해 주지 못하지만 부정정서를 감소시켜 줄 수 있음                                     :  특별히 친밀한 관계에서 매우 중요함                           •도구적 실제적 지지

                              -  단순히 부정정서를 완화시키는 것 외에 상대방이 힘들어 하는 그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노력하는 것

                              -  예)  집안일로 힘들어하는 사람에게 실제적인 도움으로 청소하기를 도와주거나                                           집안일을 분담하는 것

가) 스트레스 모델(Cutrona,&  Russell,  1990)

                          •바람직성(Desirability)                           •기간(Duration)

                          •삶의 영역(Context  of  Life  Domain)

                          •통제가능성(the  Controllability  of  the  Stressor)

(1) 바람직성(Desirability)                           •eustress

                              -  그러한 경험을 함으로써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사건들(결혼,  임신,  승진 등)과                                   관련됨                           •distress

                              -  바람직하지 않은 것들과 관련됨 (암 선고,  이혼,  직장 해고 등)

(2) 기간(Duration)

                          •스트레스 요인의 기간은 그 심각성을 나타냄

                              -  예)  얼마나 오랫동안 스트레스 요인들이 개인에게 영향을 끼쳤는지?

(3) 삶의 영역(Context  of  Life  Domain)

                          •스트레스가 일어나는 삶의 맥락

                              -  예)  재정문제,  관계,  개인적 성취 등 (4) 통제가능성(the  Controllability  of  the  Stressor)

                          •개인이 스트레스 사건의 발생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는 것                           •그 사건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결정하지는 않음

메모 :

59

-----------------------------------------------------Page 64-----------------------------------------------------

대인관계의 심리학

                          •통제가능성은 스트레스 요인과 지지적 행동이 부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차원이므로 스트레스 모델의 핵심

                          •통제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스트레스 모델은 Lazarus의                               문제초점대처와 정서초점대처와 상통함

                          •조언

                              -  사람들은 주로 정서적 반응보다 조언을 더 많이 함

                              -  조언은 스트레스 요인들의 통제 불가능성 때문에 부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음                               -  사람들은 힘든 일이 발생했을 때 상대방의 정확한 분석과                                   조언보다는 정서적인 공감과 위로를 더 필요로 할 때가 더 많음

                              -  긍정적 사건에 대한 지지는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함이 아니라 사건의 긍정적                                   측면을 강화하는데 사용됨

                                    :  이러한 지지는 수용자의 안녕감과 친밀감,  관계 만족감 등을 향상시킴

                          •Capitalization

                              -  개인이 자신의 파트너와 긍정적인 사건을 나누고 상대방이 그에 대해                                     활발하고 건설적으로 반응할 때 발생

                                      :  상대방이 무미건조하게 반응하게 되면 개인은 수동적이고 파괴적인                                           지지를 받게 됨

                              -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축하하는 능력은 도전적인 일을 겪는 파트너를 돕는 일                                   만큼이나 개인과 그 관계의 건강을 위해서 중요함

                          •이 외에 의도적 거리두기,  부정적인 반추에 개입하기 위한 시도,  유머와 주의                               분산 등 역시 즉각적인 반응은 아닐지라도 충분히 사회적 지지가 될 수 있음

나) 공감 정확성(Empathic  Accuracy)

                          •파트너의 사고와 감정을 보다 잘 이해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함

① 파트너의 욕구에 맞춰 보다 잘 지지할 수 있고 ② 보다 효과적으로 파트너들의 고통을 완화시켜주고 ③ 건강한 대인관계를 촉진시킴

다) 보이지 않는 지지(Invisible  Support) 

                          •지지 수용자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지지 수용자들에게 긍정적인 결과와 연관이 됨

                              -  지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지지 수용자들은 그 지지의 유형과 내용에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

                          •보이지 않는 지지의 긍정적 효과 예시

메모 :

60

-----------------------------------------------------Page 65-----------------------------------------------------

대인관계의 심리학

                              -  어려운 발표를 하기 전에 실제적으로 또는 정서적으로                                   지지를 받은 학생들이 지지를 받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서                                   불안이 증가함

                              -  하지만 보이지 않는 지지를 받은 학생들은 직접적으로 지지를 받은                                   학생들보다 불안감이 적은 것을 확인

                          •지지의 특정 유형들은 감추기 어렵고,  지지 제공자들이 그들의 좋은 행동에                               대한 공로를 마다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움

라) 지지의 상호성(Support  Reciprocation)

                          •사람들은 대부분의 지지 교환에서 너무 많은 짐을 지거나                                 적은 짐을 지는 것을 피하고 공평한 관계를 선호함

                          •관계에서 지지의 형평성은 장기간의 관계유지에 이로우며,  개인의 기분과                               친밀한 관계형성에도 도움이 됨

                          •만성질환을 겪는 환자와 돌봄 제공자의 지지의 불균형 문제                               -  환자들의 경우 지지를 제공할 기회가 결핍되는 경우                                   부정적 반응을 보임

                          •“부정적인 반응”

① 지지를 받는 사람의 무능함에 대한 메시지 ② 지지를 받는 사람의 자존감 위협

③ 돌봄제공자에게 빚을 진 느낌을 갖게 함                           •제공자 또한 지지의 결핍으로 고통을 받음

                              -  수많은 연구들을 통해 불공평한 지지 관계를 경험한

                                  간병인들은 특히 정서적인 고갈을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다. 사회적 지지의 효과

                          •사회적 지지는 생리적으로 심혈관 건강,  면역 기능에 이로움                               -  정서적 지지는 건강에 긍정적인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가) 스트레스 완충 이론(Stress-Buffering  Effect)

                          •사회적 지지는 고통을 경감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

메모 :

61

-----------------------------------------------------Page 66-----------------------------------------------------

대인관계의 심리학

                          •좋은 지지 체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높은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 덜 고통                               받는 경향이 있음

나) 지지의 긍정적 효과

                          •지지를 제공하는 것 역시 긍정적이라는 의견은 사회적지지 문헌에서 최근에                               들어서야 주목을 받고 있음

                              -  예)  친구나 가족에게 실제적인 지지 또는 배우자에게 정서적인 지지 제공을                                           보고한 개인은 지지를 제공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서 더 낮은 죽음                                               위험을 경험함

                              -  예2)  뇌의 보상 영역에서도 복측 선조(Ventral  Striatum)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나타남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지지 제공자에게도 유익한 것

메모 :

62

-----------------------------------------------------Page 67-----------------------------------------------------

대인관계의심리학

5주차 1차시               정서와 대인관계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68-----------------------------------------------------

대인관계의 심리학

9. 정서와 대인관계

가. 정서의 개념

                          •정서는 우리가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 대단히 중요함                           •감사,  불안,  호기심,  짜증 등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느낌은 무수히 많음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  자신의 정서를 이해 및 관리하고 다른 사람의 느낌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                                   :  건강한 갈등관리,  건강한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자기수용과 정적인                                       상관관계

                                  :  개인적·관계적 성공 모두에서 매우 필수적

1) 생리적 요소

                          •강한 정서 상태에 있을 때 많은 신체적 변화가 일어남

                              -  공포의 신체적 구성요소는 심장박동의 증가,  혈압의 상승,  아드레날린 분비의                                   증가,  혈당수준의 증가,  소화부진,  동공팽창 등                           •신체적 변화는 극심한 갈등상황에서도 나타남                               -  문제해결을 방해!

                          •생리적 변화는 우리의 정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함

2) 비언어적 반응

                          •느낌은 종종 관찰 가능한 변화로 드러남

                              -  얼굴 붉어지기,  땀나기 등 사람들의 외모 변화와 관련                               -  뚜렷한 표정 변화,  자세,  몸짓,  다른 어조,  말의 속도 등                                   비언어적인 행동과 관련

                          •누군가가 강한 정서를 느끼고 있는지 식별하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그 감정이 정확히 무엇인지 아는 것은 어려움

                              -  비언어적 행동은 애매모호하여 행동을 정확히 읽을 수 있다고                                   추측하는 것은 위험함

                          •비언어적 행동이 정서 상태를 야기할 수도 있음                               -  한 연구에서!

                                    :  실험 참가자에게 자신의 얼굴 근육을 두려움,  분노,  역겨움,                                          즐거움,  슬픔,  놀람,  경멸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지시했을 때,  그들의 몸은 실제 이런 감정을 지닌 것처럼                                         반응했다. 

                                        또한 실험참가자들에게 미소를 짓도록 지시했을 때 실제로                                         더 좋은 기분을 보고했고,  표정을 불행하게 보이도록                                         바꿨을 때 전보다 더 나쁜 기분을 보고했다.

메모 :

64

-----------------------------------------------------Page 69-----------------------------------------------------

대인관계의 심리학

                          •언어와 비언어적 반응 사이에는 연관이 있음                               -  한 연구에서!

                                    :  자부심 및 실망과 연관된 단어를 말한 참가자들은 자세의                                         변화를 경험했다. 

                                        그들은 자부심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무의식적으로                                         더 곧은 자세로 있었고,  실망감에 대한 단어를 사용할 때는                                         축 처진 자세를 취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그들의 단어와 연관된 정서를 경험했다.                                         (가령,  그들이 실망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슬픔을 느꼈다.)

3) 인지적 해석

                          •Zimbardo

                              -  “  사건에 대한 해석의 변화는 그 사건을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사회과학자들은 이 과정을 재평가(Reappraisal)라고 한다.                                        즉,  재평가는 정서적으로 충전된 사건의 의미를

                                      다시 생각함으로써 그 사건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바꾸는 것이다.                                        재평가는 감정을 억압하는 것보다 훨씬 더 우수한 결과를 가져온다.“

                          •재평가는 자신의 느낌을 부정하는 것이 아님

                          •행복,  사랑,  분노,  상심,  슬픔과 같은 정서를 인지하고 인정하는 것은 심리적                               건강과 관계적 건강에 필수적

                          •과거 힘겨운 정서에서 벗어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재평가가 도움이 될 수 있음

4) 언어적 표현

                          •느낌을 표현하는데 단어가 필요하며,  더욱 효과적인 경우도 있음

가) 일차정서

                          •한 문화에서 일차적인 정서가 다른 문화에서는 일차적이지                               않을 수 있음

메모 :

65

-----------------------------------------------------Page 70-----------------------------------------------------

대인관계의 심리학

                          •특정 문화에서 나타나는 정서가 다른 문화에는 없을 수 있음                               -  예)  수치심의 경우

                                          중국인들에게는 중심적인 정서

                                          서구문화 사람들에게는 덜 친숙한 정서                           •대부분의 학자들은 분노,  즐거움,  두려움,  슬픔이                               인간의 일반적이고 전형적인 정서라고 인정함

나) 정서의 강도차

                          •우리가 대부분의 정서를 경험할 때 사람들마다 강도의 차이가 있음                           •정서의 강도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가 중요함

다) 부모의 대화방식

                          •정서를 건설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사회적 고립,  불만족스런                               관계,  불안과 우울,  잘못된 공격성과 같은 광범위한 문제들이 나타남                           •자녀에 대한 부모의 대화방식이 그들의 발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침

① 정서코칭

                              -  느낌에 대한 의사소통 기술을 자녀에게 알려주며                                   관계만족을 훨씬 더 증가시킴

② 정서무시

                              -  부모가 정서를 무시하는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행동상의 문제를 보일 위험이 더 높음

나.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화,  성별

1) 문화

                          •문화는 정서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영향력을 행사

                              -  예)  유럽계 미국인들은 (흥분과 같은)  높은 각성 수준의                                           긍정적 정서를 가치 있게 평가

                              -  예2)  아시아계 미국인과 홍콩의 중국인들은 (평온과 같은)                                              낮은 각성 수준의 긍정적 정서를 가치 있게 평가

                          •정서적 표현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에서 그 문화가 차지하는 위치

                              -  예)  개인주의적인 북미 사람들은 집단주의적인 아시아인들을 덜 솔직하다고                                           생각함

                              -  예2)  아시아 사람들은 북미 사람들이 감정을 너무                                             드러낸다고 생각함

2) 성별

메모 :

66

-----------------------------------------------------Page 71-----------------------------------------------------

대인관계의 심리학

                          •생물학적 성은 정서표현을 탐지·해석하는 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                               -  학문적 배경,  해외여행의 빈도,  문화적 유사성,  민족성보다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문화 간,  문화 내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에 더 민감                               -  예)  정서 이미지에 대한 회상검사 실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이미지를 10~15%  더 정확하게                                           기억했으며 정서유발 자극에 대한 여성의 반응 또한                                           남성의 반응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남

                          •남성은 표현력이 부족하고 여성은 표현을 더 잘한다는 문화적 고정관념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사실

                              -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자신의 정서를 더 숨김으로써                                   자녀들은 아버지의 정서표현을 읽는데 더 어려워함

                          •온라인 의사소통에서도 남성과 여성 사이에는 정서 표현상의 차이가 존재함                               -  예)  남성보다 여성은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와 같은 이모티콘을 더 많이                                           사용함

                              -  예2)  여성은 남성보다 페이스북에서 애정을 더 많이 표현함                           •남성과 여성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정서를 경험하더라도                               그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음

3) 성격

                          •정서를 경험하고 의사소통하는 방식과 성격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                               -  예)  외향적인 사람은 덜 외향적인 사람보다                                         평소에 긍정정서를 더 많이 보고함                               -  예2)  신경증적 성격의 사람들은 덜 신경증적                                             성향을 가진 사람보다 평소에 부정정서를                                             더 많이 보고함

다. 힘든 정서 관리하기

1) 촉진적 정서와 소모적 정서                           •촉진적 정서

                              -  정서를 느끼고 표현함으로써 대인관계의 질을 높여주는 정서                           •소모적 정서

                              -  정서를 느끼고 표현하는 기능을 훼손하는 정서

가) 강도

                          •어느 정도의 분노나 짜증은 불만족스러운 조건을 개선하는                               자극제 역할을 함

                          •지나친 분노는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음

메모 :

67

-----------------------------------------------------Page 72-----------------------------------------------------

대인관계의 심리학

                          •중요한 운동경기나 취업면접 전 약간의 두려움은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힘을 줌

                          •소모적인 정서는 개인적·사업적·교육적·의료적 상황에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나) 지속기간

                          •반추

                              -  부정적인 생각을 곱씹으면서 부정적인 느낌을 강화하는 것                                     :  반추는 슬픔,  불안,  우울을 증가시킴

                                    :  반추하는 사람은 무고한 행인에게 전이된 공격성으로 폭언을 할                                         가능성이 높음

2) 소모적 정서의 원천

가) 생리학

                          •생물학이 모든 것을 결정짓는 것은 아니며,  소모적 정서를                               극복하는 것은 가능

                          •인지과학자들은 몇몇 소모적인 정서의 원인은 편도체라                               불리는 뇌의 상호 연결된 조직에 있다고 말함

                              -  편도체는 심장박동의 증가,  혈압상승,  감각기능의 고조,                                    근육의 대응 준비 등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촉발함                           •사회적 상황에서 편도체는 실제 위험이 없는데도                               두려움과 분노와 같은 정서를 야기할 수 있음

나) 정서적 기억

                          •겉보기에는 해롭지 않은 사건이 과거에 경험한 골치 아픈

                              사건과 약간이라도 유사점이 있으면 소모적 정서를 야기할 수 있음

다) 혼잣말

                          •사람들이 혼잣말(Self-Talk)하는 과정에서 사건에 대해 해석하고 그러한 해석이                               정서를 결정함

메모 :

68

-----------------------------------------------------Page 73-----------------------------------------------------

대인관계의 심리학

3) 비합리적 사고와 소모적 정서

가) 완벽 오류(Fallacy  of  Perfection) 

                          •완벽 오류를 범하는 사람들은

① 완벽한 자신감과 기술을 가지고 모든 상황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믿음 ② 엄청난 심리적 에너지를 소모함

③ 인정을 받음으로써 얻는 보상 또한 완전하지 않음                           •완벽오류는 자존감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

나) 승인 오류(Fallacy  of  Approval) 

                          •모든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필수적이라는                               생각에 기반함

                          •모든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합리적

                          •승인오류는 몇 가지 터무니없는 상황을 야기함

                              -  예)  당신이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자신을 못마땅해 하는 것 같을 때                                         불안해하며 다른 사람에게 잘못이 있을 때조차 미안한 마음이 드는 경우                     

다) 의무 오류(Fallacy  of  Shoulds)

                          •선호와 의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

                          •선호와 의무를 혼동할 때,  비합리적인 사고를 함으로써 스스로를 괴롭히게 됨                           •“비합리적인 사고”

                              -  내 친구는 더 이해심이 있어야 해.                               -  그녀는 그렇게 사려가 부족해선 안 돼.                               -  그들은 더 우호적이어야 해.                               -  당신은 더 열심히 일해야 해.

라) 과잉일반화 오류(Fallacy  of  Overgeneralization)

(1) 첫 번째 유형

                          •우리의 신념이 제한적인 증거에 기반할 때 생김

메모 :

69

-----------------------------------------------------Page 74-----------------------------------------------------

대인관계의 심리학

                              -  제한적인 한 유형의 단점이 우리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것처럼 생각함

(2) 두 번째 유형

                          •우리가 단점을 과장할 때 생김

                              -  이와 같은 절대적인 말은 거의 대부분 사실과 다르고 낙심이나 분노를 야기함

마) 인과 오류(Fallacy  of  Causation)

                          •타인에게 불편이나 고통을 주고 싶지 않아서 의사소통에 과도하게 신중한                               사람들을 괴롭힘

                              -  예)  진짜 보고 싶어서가 아니라 의무감 때문에 가족과 친구를 방문하는 것                               -  예2)  다른 사람의 행동이 당신을 귀찮게 할 때에도                                               침묵을 지키는 것

                                -  예3)    당신이 시간에 늦었거나 아플 때에도                                                 말하는 사람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척하기                           •다른 사람이 우리의 정서를 야기한다고 믿을 때 발생함

바) 무기력 오류(Fallacy  of  Helplessness)

                          •삶의 만족을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어떤 힘이                                 결정한다는 것을 시사

                          •대부분의 “할 수 없다”는 실제로는 변화에 대한 거부를 합리화하는 것

메모 :

70

-----------------------------------------------------Page 75-----------------------------------------------------

대인관계의 심리학

사) 파국적 기대 오류(Fallacy  of  Catastrophic  expectations)

                          •발생 가능성이 있는 나쁜 일은 일어난다는 가정에 기반함

                          •파국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시작한 후,  자기충족적 예언이 만들어질 수 있음

4) 소모적 정서 최소화하기

가) 자신의 정서적 반응 알아차리기

                          •언제 소모적 정서가 생기는지 파악하는 것

                          •정서를 인지하는 한 방법은 뱃속의 울렁거림,  심장박동,                                일과성 열감 등 생리적인 반응을 주시하는 것

                          •이러한 생리적 반응이 강력한 정서의 증상일 수 있음

나) 유발 사건 알아차리기

                          •어떤 사건이 자신의 반응을 유발시키는지 파악하는 것

                          •유발사건을 찾아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의 소모적 정서가 발생한 상황을                               파악하는 것

                                -  특정 나이,  역할 또는 배경을 가진 사람,  특정 환경,                                     대화의 주제 등

다) 혼잣말 기록하기

                          •유발사건과 자신의 정서를 연결하는 사고를 분석하는 것                           •자신의 생각을 쓰는 것은 그런 생각들이 타당한지                               살펴볼 수 있게 도와줌

                                -  내부의 독백을 인지하는데 익숙해지면 자신의 사고를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음

라)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 재평가하기

                          •비합리적 신념 재평가 3단계

① 기록한 각  신념이 합리적인지 혹은 비합리적인지 결정하라. ② 그 신념이 왜 합리적인지 혹은 비합리적인지 설명하라.

③ 그 신념이 비합리적이면,  더 합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대안을 적어라.

메모 :

71

-----------------------------------------------------Page 76-----------------------------------------------------

대인관계의심리학

5주차 2차시             대인감정 및 대인행동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77-----------------------------------------------------

대인관계의 심리학

10. 대인감정 및 대인행동

가. 대인감정,  대인행동

1) 인간의 감정

                          •감정 또는 정서(Emotion)는 외부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경험하게 되는 느낌                           •때로는 내부적 자극(기억,  상상,  생각 등)에 의해 유발되기도 함                           •정서적 체험,  생리적 반응,  행동준비성의 3가지 요소로 구성

가) 정서적 체험

                          •유쾌함-불쾌함 또는 좋음-싫음을 포함하는 주관적인 정서적 체험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와 관련된 사건에 대한 평가에 의해 유발됨

나) 생리적 반응

                          •감정은 생리적 반응을 수반함

                          •불안을 느끼면 근육이 긴장되고 심장이 빨리 뜀

다) 행동준비성

                          •특정 감정을 느끼게 되면,  그와 연관된 특정 행동들을 할 준비를 하게 됨                                 -  두려움을 느끼면 도망가는 행동을 준비하게 되는 반면,  분노를 느끼면                                     상대방을 공격하는 행동을 준비하게 됨

                          •Russell의 감정의 2차원과 개별정서들의 위치

2) 대인감정

                          •대인감정은 대인사고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지님                           •Lazarus(1991)

                                -  “정서가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의해 유발된다는 가정 하에,  평가과정을                                     일차적 평가와 이차적 평가로 구분한다. 

메모 :

73

-----------------------------------------------------Page 78-----------------------------------------------------

대인관계의 심리학

                                    일차적 평가(Primary  Appraisal)는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와 관련지어                                       사건의 의미를 평가하는 과정인 반면,  이차적 평가(Secondary                                                              Appraisal)는 사건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처방법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대인감정은 생리적 반응을 수반함

                                -  특히 자율신경계의 흥분반응이 수반되어 근육긴장,  심장박동,  소화액 분비,                                          피부의 온도와 습도가 변화함                           •대인감정은 행동을 촉진함

                          •대인감정은 얼굴표정을 통해서 가장 즉각적으로 표현                                 -  특정 감정 상태와 얼굴표정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

                          •감정표현은 문화에 따라,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

                          •여자는 대체로 외현형에,  남자는 내면형에 속하는 경향을 보임

3) 대인행동

                          •대인행동

                                -  인간관계상황에서 개인이 겉으로 드러내는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  타인에게 나의 감정이나 의도를 전달하는 통로인 동시에 타인의 감정과                                     의도를 전달받는 통로이므로 인간관계에서 특히 중요함

① 반응적 대인행동

                                -  타인의 행동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내는 행동                                 -  인간관계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행동!

② 자발적 대인행동

                                -  내면적 욕구나 의도에 의해 유발되며 타인에게 접근하여 특정반응을 얻기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

                          •대인행동은 상황적 요인과 성격적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                             ① 상황적 요인

                                -  개인이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내는 행동은 상황적 촉발자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음

                            ② 성격적 요인

                                -  개인은 다양한 상황에서 비교적 일관성 있는

메모 :

74

-----------------------------------------------------Page 79-----------------------------------------------------

대인관계의 심리학

                                    대인행동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음

                          •Wiggins(1985),  Kiesler(1996)  등의 연구자들은 대인행동들을 크게 지배성과                               우호성 차원으로 분류                             ① 지배성 차원

                                -  타인의 행동을 자신의 뜻대로 통제하려는 정도                                 -  지배-복종의 연속선상에서 대인행동 평가                             ② 우호성 차원

                                -  타인을 호의적으로 대하는 정도                                 -  사랑-미움의 연속선상에서 평가

                          •상대방에 대한 감정경험을 표현하는 시기에 따라 즉각적 행동과 유보적                               행동으로 나눌 수 있음                             ① 즉각적 행동

                                -  상대방에게 즉시 피드백을 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시킴                                 -  경솔하고 충동적 행동으로 비춰질 수 있음                             ② 유보적 행동

                                -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신중한 행동이 될 수 있음                                 -  표출되지 않은 불쾌감정이 내면에서 증폭되며

                                    감정표출 시기까지 긴장이 장기화되어 서로에게 부담이 될 수도 있음

                          •상대방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강도에 따라 적극적 행동과 소득적 행동으로                               나눌 수 있음                             ① 적극적 행동

                                -  상대방에 대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충분히 표현하는 행동                             ② 소극적 행동

                                -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간접적이며 모호하고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행동

나. 긍정적 대인감정:  애정,  기쁨,  자기가치감,  감사

1) 애정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의해 생겨남

                          •강도나 대상 및 맥락에 따라 호감,  친밀감,  좋아함,  우정,  사랑 등의 다양한                               용어로 기술됨

                          •사람에게 사랑과 애정을 느끼게 되면

                                -  초기단계에서 상대방에 대해 호감을 느낌                                 -  관계가 지속되면서 좋아함과 친밀감을 느낌                                 -  관계가 더욱 심화되면 애정과 사랑을 느낌

메모 :

75

-----------------------------------------------------Page 80-----------------------------------------------------

대인관계의 심리학

2) 기쁨(행복감과 환희)

                          •인간이 느끼는 가장 대표적인 긍정적 감정

                          •원하는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달성되어가고 있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감정

                                -  대인관계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느낄 수 있음                           •기쁨,  행복감,  환희 등의 긍정적 감정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는 긍정적 감정을 많이 경험하게 되는 관계

                          •행복감과 환희와 같은 긍정적 감정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심리학자도 있음

                                -  행복감을 느끼는 능력은 대인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변화의 긍정적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고,  여러 가지 사건의                                     의미를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사고방식과 깊은 관계

3) 자기가치감

                          •자신이 가치있는 존재라고 느낄 때 경험하는 긍정적 감정

                          •타인에 의한 인정과 평가가 자기평가의 중요한 근거가 되므로 자기가치감은                               대인관계에서 경험되고 강화됨

                          •자신에 대한 만족감과 존중감을 의미함

                          •자신감,  승리감,  성취감,  팽창감,  당당함 등의 감정을 수반

                          •자기가치감과 행복감

① 자기가치감

                                -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서 느껴지는 감정

② 행복감

                                -  인간관계 및 삶의 전반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서 느껴지는 감정

                          •자기가치 평가기준

                                -  자신의 성취와 업적에 대한 긍정적인 자기평가                                 -  다른 사람들이 나타내는 애정과 인정

4) 감사

                          •다른 사람의 수고와 배려를 인지하고 고마움을 느끼는 능력                           •감사함의 느낌은 타인으로부터 좋은 것을 얻었을 때 나타나는

메모 :

76

-----------------------------------------------------Page 81-----------------------------------------------------

대인관계의 심리학

                              반응으로서 느끼는 고마움과 기쁨

                          •다른 사람의 행위로 인해 이익을 얻었다는 인식에서 생겨남                           •행복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성격 감정

                          •감사는 부정정서를 줄이는 효과보다 긍정정서를 증진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다. 부정적 대인감정:  분노,  불안,  슬픔,  외로움,  죄책감과 수치감,  질투 등

1) 분노

가) 분노를 유발하는 공격적 행동

① 개인의 신체나 소유물을 손상하는 행동

② 비난,  무시,  모욕,  비하 등과 같이 개인의 인격을 손상시키는 인격 비하적 공격

행동

③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달성을 방해하고 좌절시키는 행동

나) 분노감정의 강도

                          •분노감정의 강도는 공격행동에 의한 손상정도에 비례

                          •공격행동이 의도적이고 악의적이었을 때 더욱 강한 분노를 느끼게 됨                           •분노감정이 강하고 상대방이 약할수록 공격충동은 행동화되는 경향이 있음

다) 분노감정의 표현

라) 분노감정을 잘 느끼는 사람의 심리적 특성 및 유발과정

① 우리는 옳고 그름,  또는 선함과 악함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의를 지니고 있음 ② 선악의 정의에 기초하여 행위적 계율을 타인에게 부과함 ③ 상대방이 계율을 어긴 것에 대해 과장된 평가를 함 ④ 계율을 어긴 사람에 대한 처벌을 하게 됨

마) 분노감정 조절방법(Ellis)

메모 :

77

-----------------------------------------------------Page 82-----------------------------------------------------

대인관계의 심리학

                          •선악에 대한 유연한 기준을 지님

                          •타인에게 과도한 당위적 계율을 엄격하게 부과하지 않음

                          •타인이 계율이나 기대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을 때 이에 대해 현실적 평가를 함                                 -  실질절으로 나에게 돌아온 피해와 손해에 대해 과장된 평가를 하지 않음                           •처벌보다는 방지에 초점을 맞춘 대응을 함

                                -  중요한 것은 내가 원치 않는 행동을 상대방이 더 이상 하지 않는 것

2) 불안

                          •위험에 대한 반응적 감정

                          •대인관계에서 가장 흔히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                           •불안을 경험하게 되는 상황

                                -  개인의 능력과 인격이 평가되는 상황

                                -  상대방의 반응을 예측할 수 없거나 적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될 때

                                  -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대처능력에 대한 자신이 없을 때

가) 불안에 대한 대응행동

                          •가장 일반적 대처행동은 회피와 도피

                                -  대인상황에서의 불안이 매우 심하여 이러한 상황을 지속적으로 회피하는                                     경우를 사회공포증(Social  Phobia)이라고 함                           •위험상황을 기다리며 경계하고 대비하는 것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동

                          •분노를 느끼고 선제공격을 가하는 것

나) 불안을 많이 느끼는 사람의 인지적 특성 ① 위험요소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에 예민함 ② 위험한 일이 일어날 확률을 과대평가함

③ 두려워하는 일이 실제로 일어날 경우에 초래될 부정적 결과를 과대평가함 ④ 부정적 결과가 실제로 발생할 경우,  자신의 대처능력에 대해 과소평가함

3) 슬픔

                          •상실에 대한 인간의 정서적 반응

                                  -  인간관계에서 흔히 경험되는 고통스런 감정

                          •인간관계의 상실이 미래에 예상될 때는 불안을 느끼고 상실이 이미 현실로                               나타났을 때 슬픔을 경험함

가) 슬픔이 경험되는 대인관계 상황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이별

메모 :

78

-----------------------------------------------------Page 83-----------------------------------------------------

대인관계의 심리학

                            •타인으로부터의 긍정적 관심과 애정을 상실했을 때                             •자신의 중요한 가치나 역할을 상실했을 때

나) 슬픔의 행동적 표현

                            •슬프고 괴로운 감정 표출

                            •외부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줄고 활동수준 감소

                            •상실한 사람에 대한 과거기억을 떠올리고 반추하는 행동

                            •슬픔을 혼자 감당하기 힘들 경우,  다른 사람의 도움이나 정서적 지지 추구                             •슬픔으로 인한 고통이 심할 경우,  고통을 주고 떠난 사람에 대한 분노와 원망                             •슬픔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우울 또는 절망의 상태로 이어질 수 있음

4) 외로움

                            •타인과 단절되어 고립되어 있는 상태에 대한 정서적 반응                             •매우 주관적인 불쾌감정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기인

                            •외로움은 경미한 수준에서는 불안감과 유사하지만 강도가 심하고 장기화되면                                 우울감으로 발전하게 됨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24 2023.02.26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79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51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학점따면 몇년까지 유지되나요? 82 2023.02.26
3417 메가 시험 진짜 쉽네 63 2023.02.26
3416 컴공 할려는데 김영 더 싸게 하는법 있냐? file 60 2023.02.26
3415 휴넷 경영통계 중간안봤는데 77 2023.02.26
3414 오늘부터 갤 두시간씩 정독한다 56 2023.02.26
3413 한울 , 위더스 수업참여도 46 2023.02.26
3412 학린인데 닥치고 뭘해야 합니까 47 2023.02.26
3411 정보보안학사 딸건데 얘네 전공이나 일반 넣을수있음? file 45 2023.02.26
3410 소방안전관리자 1급 은근히 빡세다 66 2023.02.26
3409 21년도 1학기 대면라이브수업 문의요 38 2023.02.26
3408 대면수업 관련 문의 33 2023.02.26
3407 청지사 면접 특강 관련 64 2023.02.26
3406 대면수업(보육교사론) 관련 문의 37 2023.02.26
3405 언제쯤 연락이 올까요? 66 2023.02.26
3404 2014 학사편입 축소에 대한 진실 .jpg 52 2023.02.26
3403 학점은행제 웬만하면 하지 말고, 대행기관은 절대 하지 마라.. 118 2023.02.26
3402 한성대 디자인 캠퍼스 진실은? 102 2023.02.26
3401 죄송한데 궁금해서그런데요 한사평교안이요 66 2023.02.26
3400 샘들..이것좀 알려주세요.. 63 2023.02.26
3399 왜 사이트에는 제적증명서를 떼오라는거죠? 35 2023.02.26
3398 학점은행제를 했으면 차라리 학사편입을 해라. 대학원은 존망의 길... 33 2023.02.26
3397 진심 전문학교 후회된다 52 2023.02.26
3396 대학 학점 개념좀 알려주세요~ 41 2023.02.26
3395 간호독학사 공부하면 차별이 없어질까요? 53 2023.02.26
3394 대행 사기 경험담(실제 경험담) 86 2023.02.26
3393 국사 개념 정리 해줌->끝 //시대 순으로 포탈 열어준다. 35 2023.02.26
3392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독립~현대화까지(마지막) 37 2023.02.26
3391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시대 말까지 33 2023.02.26
3390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초기~ 68 2023.02.26
3389 충고 하는데 전산원 , 전문학교 이런데 다니는거 아니다.... 47 2023.02.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