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심리학
-----------------------------------------------------Page 1-----------------------------------------------------
사이버심리학
< 차 례 >
1. 사이버 심리학 기초 ····························································································································· 1
가. 인터넷의 개념과 기능 ································································································ 2 나. 인터넷의 탄생과 역사 ································································································ 3 다. 인터넷의 특성 ·············································································································· 4 라. 사이버 스페이스(Cyberspace)의 개념과 이해 ······················································· 5
2. 사이버 심리학 기본이해 ······················································································································ 6
가. 테크놀로지가 미치는 뇌의 진화 ··············································································· 7
3. 사이버와 개인 심리 ··························································································································· 10
가. 사이버 심리학의 정의와 이해 ················································································· 11
4. 사이버에서의 정체성 ························································································································· 13
가. 사이버에서 정체성의 문제 ······················································································ 14 나. 사이버환경이 실제 뇌에 미치는 영향 ··································································· 15
5. 사이버에서의 개인심리(1) ·············································································································· 18
가. 사이버 상에서 심리상태 ·························································································· 19 나. 오프라인과의 차이 ···································································································· 20
6. 사이버에서의 개인심리(2) ················································································································ 22
가. 사이버 상에서 타인에 대한 인상 형성 ································································· 23 나. 개인의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력 ············································································· 24
7. 사이버 대인관계(1) ··························································································································· 26
가. 사이버상에서 타인에 대한 매력 ············································································· 27 나. 오프라인과의 차이점 ································································································ 27
8. 사이버 대인관계(2) ··························································································································· 30
가. 온라인상에서의 관계 ································································································ 31
9. 청소년의 전반적인 심리적 특성 ······································································································ 36
가.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 37
10. 사이버상에서의 청소년 ··················································································································· 39
가. 온라인상에서의 청소년 행동 양식 ········································································· 40
11. 사이버 심리학의 구조 ····················································································································· 43
가. 사이버스페이스의 심리학적 측면과 전체 맥락의 재점검 ··································· 44
12. 심리학에서의 정체성과 사이버 정체성의 통합 ··········································································· 48
가. 심리학적 정체성과 사이버 정체성의 비교와 통합 ·············································· 49
13. 사이버와 공동체(1) ························································································································· 53
가. 가상공동체 개념에 대한 이해 ················································································· 54 나. 공동체의 집단 역학과 동조 및 심리현상에 대한 이해 ······································· 55
14. 사이버와 공동체(2) ························································································································· 57
가. 사이버 상의 집단역학과 집단 간의 갈등과 협동에 대해 이해 ························· 58
메모 :
-----------------------------------------------------Page 2-----------------------------------------------------
사이버심리학
15. 사이버와 집단역학(1) ····················································································································· 61
가. 집단의 여러 심리 현상과 행동 통제의 이해 ························································ 62
16. 사이버와 집단역학(2) ····················································································································· 64
가. 공동체적인 정체감의 정의와 내용, 집단성 및 동조 현상의 이해 ···················· 65 나. 사이버공간에서의 집단 간의 갈등과 협동의 이해 ·············································· 66
17. 사이버 문화, 사이버 펑크(1) ········································································································ 68
가. 테크놀로지와 사이버 문화의 이해 ········································································· 69 나. 사이버 펑크의 등장과 배경, 특징 ·········································································· 70
18. 사이버 문화, 사이버 펑크(2) ········································································································ 72
가. 사이버의 탈육화 및 포스트 휴먼의 이해 ······························································ 73
19. 인터넷에서의 여성과 성(1) ············································································································ 77
가. 컴퓨터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가상공간에서의 젠더에 대한 이해 ········· 78
20. 인터넷에서의 여성과 성(2) ············································································································ 82
가. 가상공간에서 성차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차이에 대한 설명 ·························· 83 나. 여성과 인터넷 문화 및 인터넷 방송에서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설명 ············ 85
21. 사이버 정신병리(1) ························································································································· 87
가. 사이버 섹스의 개념과 역사에 대한 설명 ······························································ 88 나. 포르노의 심리적 특성상 사이버 포르노와 여성에 대한 이해 ··························· 89
22. 사이버 정신병리(2) ························································································································· 94
가. 미래의 사이버 섹스는 어떤지에 대한 이해 ·························································· 95
23. 사이버 중독과 윤리(1) ··················································································································· 97
가. 중독이란 무엇이며 인터넷 중독의 개념에 대한 이해 ········································· 98
24. 사이버 중독과 윤리(2) ················································································································· 101
가. 인터넷에서의 중독 행동에 대한 내용 및 일탈에 대한 설명 ··························· 102 나. 올바른 인터넷 발전을 위한 인터넷의 윤리에 대한 설명 ································· 103
25. 사이버 공동체의 집단역학적 이해 ······························································································ 107
가. 심리학의 집단역학적 이해 ···················································································· 108 나. 사이버 병리이론에 근거한 윤리적 문제의 탐색 ················································ 110
26. 미래의 사이버 심리학 ·················································································································· 114
가. 인공지능의 개념과 이해 ························································································ 115 나. Big Data의 이해와 심리학 ·················································································· 117 다. 미래의 심리학 ········································································································· 119
메모 :
-----------------------------------------------------Page 3-----------------------------------------------------
사이버심리학
1주차 1차시 사이버 심리학 기초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4-----------------------------------------------------
사이버심리학
1. 사이버 심리학 기초
가. 인터넷의 개념과 기능
1) 인터넷의 4가지 측면
①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② 네트워크들을 이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사람들의 공동체 내지 집합체 ③ 네트워크들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들의 집합 ④ 커뮤니케이션으로 볼 때 전세계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
- 컴퓨터 상호간에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규약 - 통신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 통신규약 - 정보의 교환형식과 송수신방법 등을 규정하는 규칙이 있음 -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 시
: 기종·모델·운영체제·프로그램이 달라도 컴퓨터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고,
데이터의 의미를 일치시켜 원하는 동작을 시킬 수 있게 됨
- [프로토콜](다음사전)
: http(Hyper Transfer Protocol) : ftp(File Transfer Protocol)
: smtp(simple Mail Transmition Protocol) : https(Secure HTTP)
: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TCP(Transport Layer Protocol) : IP(Inter Protocol)
: UDP(User Datagram Protocol) : PPP(point-to-point protocol)
: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가) TCP/IP
•네트워크 전송 프로토콜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쓰는 컴퓨터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쓰임 •TCP
- 전송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나누고 포장하는 것에 관한 규약
•IP
-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에 관한 규약
메모 :
2
-----------------------------------------------------Page 5-----------------------------------------------------
사이버심리학
•인터넷에 물려 있는 모든 컴퓨터는 인터넷 표준 위원회에서 제정한 규약을 따르고 있는데,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 TCP/IP
•프로토콜은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완전하게 보내기 위한 장치 •TCP/IP에서 IP는 출발과 도착 주소를 가지는 헤더를 참조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달함
-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잘못 전달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음 - 보내진 순서대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수도 있음
: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TCP
- TCP가 에러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호스트에서는 에러 없이 순서대로 데이터를 전송 받음
- 다음사전
2) 인터넷의 기능
① 일대일, 다대다 커뮤니케이션
- 이메일, 유즈넷, 메일링 리스트
② 게임 및 학습의 기능
- 사회적 활동, 온라인 게임
③ 정보의 전파와 습득
- WWW. Gopher, FTP
•WWW(World Wide Web) - 가장 보편화된 인터넷 서비스
-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등이 통합된 형태의 서버들 전체를 지칭
- 1989년 스위스의 제네바,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팀 러버스-리에 의해 개발되어 1991년 배포된 것
- 모자익(Mosaic)이라는 웹 브라우저가 개발되면서 폭발적으로 발전 - 컴퓨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됨
-인터넷과 사이버사회
나. 인터넷의 탄생과 역사
1) 1962
•MIT 교수 존 리클라이더(John C.R. Licklider)의 ‘은하 네트워크’ 라는 전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하고자 하는 구상으로 현재의 인터넷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을
메모 :
3
-----------------------------------------------------Page 6-----------------------------------------------------
사이버심리학
제시함
•RAND(비영리 정책연구 및 자문기관)의 폴 배런 팀에서 ‘분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를 발표함
- 연구의 목적 : ‘미군이 적의 공격으로부터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가’
2) 1967
•로렌스 로버츠(Lawrence G. Roberts)는 국제학술회의에서 ‘ARPANET’ 계획 발표하며 컴퓨터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개념 제시 - 이후 인터넷으로 발달하는데 모태가 됨
다. 인터넷의 특성
•멀티미디어 정보로 구성
- 텍스트, 음성, 그림, 애니메이션, 비디오, 심지어 냄새까지 하이퍼미디어 •하이퍼텍스트성
- 송신자와 수신자 구분이 없는 그물망 구조 •동시성과 비동시성의 공존 - 온라인 게임 : 동시성 - 이메일, www : 비동시성 •상호작용의 매체
- 발신자와 수신자의 일방적 관계가 아닌 서로 영향을 미치는 매체
1) 하이퍼텍스트(Hypertext)
•파생텍스트라고도 함
•1960년대 컴퓨터 개척자 테오도르 넬슨(Theodore Nelson)이 'hyper(건너 편의, 초월, 과도한)'와 'text'를 합성하여 만든 컴퓨터 및 인터넷 관련 용어
•문장 중의 어구, 단어, 표제어를 모은 목차 등이 서로 관련된 문자데이터 파일 •각 노드(node)들이 연결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효율적인 정보검색에 적당함 •“노드(node)”
- 하이퍼텍스트의 가장 기초적인 정보단위
- 네이버 백과사전
메모 :
4
-----------------------------------------------------Page 7-----------------------------------------------------
사이버심리학
2)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테드 넬슨이 만든 용어(1964년)
•복잡한 것, 바뀌는 것, 확실치 않은 것을 위한
파일 구조 논리 확장으로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가 쓰이며 그 안에서 그래픽, 오디오, 영상, 완전한 텍스트, 하이퍼링크가 보통 비선형 매체의 정보를 만들기 위해 모여 있음
•이것은 더 넓은 용어의 멀티미디어와는 대조됨
- 하이퍼미디어와 더불어 상호 작용하지 않는 선형 관념을 말할 때 쓰일 수 있음
• www는 하이퍼미디어의 기본 예
•반면, 상호 작용을 하지 않는 영화관의 관념은 하이퍼링크의 부재 때문에 비롯되는 표준 멀티미디어의 예
- 위키백과
라. 사이버 스페이스(Cyberspace)의 개념과 이해
•사이버 스페이스(Cyberspace)
- 디지털 컴퓨터를 매개로 형성된 공간으로 물리적 거리를 넘어서는 현존감을 형성하게 하는 가상의 세계
: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에서 처음 사용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자적인 환경 시뮬레이션 : 재론 래니어의 의해 처음 고안됨
메모 :
5
-----------------------------------------------------Page 8-----------------------------------------------------
사이버심리학
1주차 2차시 사이버 심리학 기본이해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9-----------------------------------------------------
사이버심리학
2. 사이버 심리학 기본이해
가. 테크놀로지가 미치는 뇌의 진화
1) 인터넷 검색과 뇌
•5시간 정도 인터넷 사용
- 컴퓨터 문외한의 뇌에 새로운 신경망 생성 •5일 동안 연습
- 컴퓨터 문외한의 뇌 앞부분이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는 피실험자와 동일하게 활성화
•하이테크와 디지털 문명은 생물학적인 수준에서도 뇌에 영향을 미침
2) 뇌격차
•테크놀로지가 세대를 나누는 현상
① 성장하는 젊은 세대가 디지털 자극 영향을 좀 더 빠르게 받는 현상 발생 ② 청소년들은 이전에 비해 여가 시간에 독서를 하지 않음
•학습 방법의 변화
- 인터넷 검색에 맞는 신경망 형성
- 전통적 학습에 관여하던 뇌 신경망 퇴화 •과부하 상태에 있는 20대의 뇌 - 전두엽
: 만족 자제
: 타인의 감정 고려
: 장기적 관점을 판단하고 미래에 생길 수 있는 위험을 이해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과 밀접함
- 청소년기 컴퓨터 기술 및 비디오 게임 중독 : 전두엽 기능을 마비시킴
: 사회성과 논리성의 발달을 막을 수 있음 •멀티테스킹
- 10대들은 멀티테스킹을 선호함! - 지속적이며 지나친 멀티테스킹 : 전두엽의 정상적인 발달 저해 : 추상적인 사고 능력 떨어뜨림 : 작업 효율 떨어뜨림 : 스트레스 유발
3) 테크놀로지 중독
- 인터넷중독 - 이메일중독
- 인터넷 게임중독
메모 :
7
-----------------------------------------------------Page 10-----------------------------------------------------
사이버심리학
- 인터넷 포르노중독 - 모바일 폰중독 - 인터넷 도박중독 - 인터넷 쇼핑중독
•Brain Fog
- 뇌가 몽롱한 상태에 빠져 만성적인 가려움증을 느끼게 됨 - 정신적인 원인에 의해 발병함 •사이버 자살
- 집단 자살 현상
•매일 8시간 이상 테크놀로지에 노출되는 경우 과잉행동, 산만함, 우울증 증상의 야기
4) 시사점
(가) 하버드 대학의 토머스 패터슨의 연구
•미래의 뉴스는 온라인 디지털 미디어 형태로 고려됨
나)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진화한 뇌
•문화는 유전자 뿐만 아니라 뇌를 통한 학습을 통해서도 전달됨 •디지털 문화 환경 → 뇌의 반응과 기능에 영향!
- 예) UCLA의 연구에 따르면 구글에서 정보를 탐색하는 동안 인터넷 문외한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비교에서 문외한과 비교하여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배외측 전전두피질의 뇌 좌측 앞부분의 신경망이 특별히 활성화 되었다고 함
다) 하이테크 혁명 : 지속적 주의력 분산 장애를 일으킴
•휴식 없이 여러 시간 동안 인터넷 작업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인 작업의 오류를 호소함
•새로운 유형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게리스몰이라는 정신과 의사는 ‘기술적 뇌 소모’라 부름
메모 :
8
-----------------------------------------------------Page 11-----------------------------------------------------
사이버심리학
라) 디지털 문명으로 인한 인지기능의 개선 효과 •신경과학자 폴키어니의 보고
- “한 주에 8시간 게임을 하는 피실험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멀티테스킹 방법을 알아낸다“
•하이테크와 디지털 문명은 생물학적인 수준에서도 뇌에 영향을 미침
메모 :
9
-----------------------------------------------------Page 12-----------------------------------------------------
사이버심리학
2주차 1차시 사이버와 개인 심리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13-----------------------------------------------------
사이버심리학
3. 사이버와 개인 심리
가. 사이버 심리학의 정의와 이해
1) 심리학이란?
2) 패러다임의 변화
•기존의 심리학 패러다임
-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주고 받는 실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연구의 대상으로 봄
•새로운 사이버 상의 심리학 패러다임 - 실제 환경과 다른 법칙에 의해 지배 받음
- 인간과 환경을 기존의 패러다임으로 설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 - 예1) 현실에서의 아이템과 사이버 상의 아이템을 대하는 아이들의 태도
- 예2) 현실에서의 욕구 충족 행동과 사이버상의 욕구 충족 행동 차이
3) 과학 패러다임의 전환 방향과 세부 특성
메모 :
11
-----------------------------------------------------Page 14-----------------------------------------------------
사이버심리학
- 사이버 공간에 또 다른 내가 있다. 황상민 저, 김영사2000
메모 :
12
-----------------------------------------------------Page 15-----------------------------------------------------
사이버심리학
2주차 2차시 사이버에서의 정체성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16-----------------------------------------------------
사이버심리학
4. 사이버에서의 정체성
가. 사이버에서 정체성과 문제점
1) 성격의 정의
•행동의 독특성
- 한 개인이 타인과 구별되는 점
- 특정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모두 다르게 행동함 •안정성 · 일관성
-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 •성격
- 개인이 환경에 따라 반응하는 특징적인 양식 - 타인과 구별되게 하는 독특하고 일관성이 있으며, 안정적인 사고·감정 및 행동 방식의 총체
2) 정체성
가) 심리 사회적 정체성(Psychosocial Identity)
•개인이 속한 집단에 대한 귀속감 또는 일체감을 의미하는 것 - 예) “나는 한국 사람이다”
나) 개별적 정체성(Individual Identity)
•자신이 집단 속의 타인과 다른 고유한 존재라는 의식
(1) 개인적 정체성(Personal Identity)
-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자기 자신이 동일한 존재라는
자기 동질성(Self-Sameness)과 자기 연속성(Self-Continuity)에 대한 자각
- 예) “나는 ○○○이다.”
(2) 자아 정체성(Ego Identity)
- 다양한 충동과 욕구, 능력, 역할, 가치 등을 통합하여 추출해 낸 통합된 자기구조(Self-Structure) 내지는 자기 참조적 심상들(Self-Referent images) - 예) 에릭슨
: “정체성이란 동일성과 연속성의 주관적 감각이다.”
3) 정체성 형성 과정
가) 마르샤의 자아 정체감의 4범주
① 정체감 성취
- 자아 정체감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것
② 정체감 유예
- 현재 정체감 위기의 상태에 있으면서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으나 아직 결정을
메모 :
14
-----------------------------------------------------Page 17-----------------------------------------------------
사이버심리학
못한 상태
③ 정체감 유실
- 자신의 신념이나 직업선택 등 중요한 의사결정에 앞서 수많은 대안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음
- 주변의 인물들의 가치나 기대를 그대로 수용함
④ 정체감 혼미
- 자아에 대해 안정되고 통합적인 견해를 갖는 데 실패한 상태
- 인간관계 심리학, 학지사, 권석남
•정체감 형성은 청소년기에 중요한 발달 과제 중 하나임
- 인간관계 심리학, 학지사, 권석남
- 인상형성이 비교적 빨리 이뤄짐 •사이버
- 매우 변덕스러움
- 매체에 따라 인상형성의 차이가 보임 - 매체에 따라 따라 차이가 남 : 예) 채팅 vs. 이메일
•힐츠(S. Hiliz)와 투로(M.Turoff)의 연구
- 컴퓨터 미팅과 대면 미팅의 비교에서 현실에 비해 컴퓨터 미팅에서는 동의를 나타내는 반응을 덜 하게 됨 - 온라인에서 타인에 대한 반대 의견을 더 많이 표현함 - 긴장된 상황을 풀어주는 표현을 거의 하지 않음 : 온라인상의 미팅이 서로 신경을 건드리거나 험악하게 만드는 상황으로 쉽게 변화됨을 시사함
2) 온라인에서 연인을 만나고 친구를 만드는 것?
•익명성 즉 타인의 신체적 특징을 볼 수 없다는 것
혹은 왜곡이 가능하다는 점이 인터넷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아무 의미가 없는가?
- 온라인을 통한 대인관계 방식을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인 생활의 한 부분이 됨
나. 오프라인과의 차이점
1) 대인매력에 관련된 심리학적 시각
가) 상대방의 특성
•신체적 외모
① 후광효과
- 매력적인 사람은 성격도 좋아 보임
메모 :
27
번호 | 분류 | 제목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 |
1324 | 2023.02.26 | |
공지 |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 4680 | 2025.03.19 | |
공지 |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 25851 | 2024.11.04 | |
공지 |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 20432 | 2025.01.21 | |
3418 | 학점따면 몇년까지 유지되나요? | 82 | 2023.02.26 | |
3417 | 메가 시험 진짜 쉽네 | 63 | 2023.02.26 | |
3416 |
컴공 할려는데 김영 더 싸게 하는법 있냐?
![]() |
60 | 2023.02.26 | |
3415 | 휴넷 경영통계 중간안봤는데 | 77 | 2023.02.26 | |
3414 | 오늘부터 갤 두시간씩 정독한다 | 56 | 2023.02.26 | |
3413 | 한울 , 위더스 수업참여도 | 46 | 2023.02.26 | |
3412 | 학린인데 닥치고 뭘해야 합니까 | 47 | 2023.02.26 | |
3411 |
정보보안학사 딸건데 얘네 전공이나 일반 넣을수있음?
![]() |
45 | 2023.02.26 | |
3410 | 소방안전관리자 1급 은근히 빡세다 | 66 | 2023.02.26 | |
3409 | 21년도 1학기 대면라이브수업 문의요 | 38 | 2023.02.26 | |
3408 | 대면수업 관련 문의 | 33 | 2023.02.26 | |
3407 | 청지사 면접 특강 관련 | 64 | 2023.02.26 | |
3406 | 대면수업(보육교사론) 관련 문의 | 37 | 2023.02.26 | |
3405 | 언제쯤 연락이 올까요? | 66 | 2023.02.26 | |
3404 | 2014 학사편입 축소에 대한 진실 .jpg | 52 | 2023.02.26 | |
3403 | 학점은행제 웬만하면 하지 말고, 대행기관은 절대 하지 마라.. | 118 | 2023.02.26 | |
3402 | 한성대 디자인 캠퍼스 진실은? | 102 | 2023.02.26 | |
3401 | 죄송한데 궁금해서그런데요 한사평교안이요 | 66 | 2023.02.26 | |
3400 | 샘들..이것좀 알려주세요.. | 63 | 2023.02.26 | |
3399 | 왜 사이트에는 제적증명서를 떼오라는거죠? | 35 | 2023.02.26 | |
3398 | 학점은행제를 했으면 차라리 학사편입을 해라. 대학원은 존망의 길... | 33 | 2023.02.26 | |
3397 | 진심 전문학교 후회된다 | 52 | 2023.02.26 | |
3396 | 대학 학점 개념좀 알려주세요~ | 41 | 2023.02.26 | |
3395 | 간호독학사 공부하면 차별이 없어질까요? | 53 | 2023.02.26 | |
3394 | 대행 사기 경험담(실제 경험담) | 86 | 2023.02.26 | |
3393 | 국사 개념 정리 해줌->끝 //시대 순으로 포탈 열어준다. | 35 | 2023.02.26 | |
3392 |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독립~현대화까지(마지막) | 37 | 2023.02.26 | |
3391 |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시대 말까지 | 33 | 2023.02.26 | |
3390 |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초기~ | 68 | 2023.02.26 | |
3389 | 충고 하는데 전산원 , 전문학교 이런데 다니는거 아니다.... | 47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