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8 추천 수 0 댓글 0

자원봉사론

<  차 례 >

1.  자원봉사의 기본적 개념 ······················································································································ 1

가.  자원봉사의 개념 및 정의 ································································································· 2 나.  자원봉사의 철학적 배경 ··································································································· 5

2.  자원봉사의 필요성과 동기 ·················································································································· 6

가.  자원봉사의 특성 ················································································································ 7 나.  자원봉사의 필요성 ············································································································ 8 다.  자원봉사의 동기와 참여 ································································································ 10

3.  한국 자원봉사의 역사Ⅰ ··················································································································· 13

가.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 발전 과정 ················································································· 14 나.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 현황 ·························································································· 15

4.  한국 자원봉사의 역사Ⅱ ··················································································································· 18

가.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 지원체계 ··················································································· 19 나.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 과제와 전망 ············································································· 23

5.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Ⅰ ···································································································· 25

가.  영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 26 나.  일본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 29

6.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Ⅱ ···································································································· 32

가.  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 33 나.  외국의 자원봉사활동의 시사점 ····················································································· 36

7.  대상별 자원봉사 활동 Ⅰ ················································································································· 37

가.  아동 대상 자원봉사활동 ································································································ 38 나.  청소년 대상 자원봉사활동 ···························································································· 40 다.  노인 대상 자원봉사활동 ································································································ 41

8.  대상별 자원봉사 활동 Ⅱ ················································································································· 44

가.  장애인 대상 자원봉사활동 ···························································································· 45 나.  다문화 대상 자원봉사활동 ···························································································· 47 다.  재난 대상 자원봉사활동 ································································································ 48

9.  자원봉사 관리와 프로그램 기획 ······································································································ 50

가.  자원봉사관리의 개념과 과정 ························································································· 51 나.  자원봉사관리자의 의미와 역할 ····················································································· 51 다.  프로그램 기획 ················································································································· 52

10.  자원봉사 업무 설계 ························································································································· 57

가.  직원참여 ··························································································································· 58 나.  결과 지향적 자원봉사자 업무의 설계 ········································································· 59 다.  자원봉사 직무 규정 ········································································································ 61

메모 :

-----------------------------------------------------Page 2-----------------------------------------------------

자원봉사론

라.  협상과 수정 ····················································································································· 61

11.  자원봉사자 모집 ······························································································································ 63

가.  잠재적 자원봉사자의 욕구 확인 ··················································································· 64 나.  자원봉사자 모집 과정 ···································································································· 64 다.  모집 계획의 평가 ··········································································································· 68 라.  자원봉사자 모집의 기본 원칙 ······················································································· 68

12.  자원봉사자 선발과 면접 ················································································································· 70

가.  선발의 목적 ····················································································································· 71 나.  선발 과정의 고려사항 ···································································································· 71 다.  면접장소 ··························································································································· 72 라.  면접 시 유의할 점 ········································································································· 73 마.  면접 과정 ························································································································· 73 바.  계약 ·································································································································· 74

13.  자원봉사자 오리엔테이션과 훈련 ·································································································· 75

가.  오리엔테이션 ··················································································································· 76 나.  훈련 ·································································································································· 77

14.  자원봉사자 역량강화 ······················································································································· 82

가.  동기화를 돕는 환경의 창출 ·························································································· 83 나.  동기부여와 자기 업무 결정 권한 ················································································· 85 다.  점검사항 ··························································································································· 87 라.  역량강화를 위한 통제와 권한의 부여 ········································································· 87

15.  자원봉사 슈퍼비전 체계 Ⅰ ··········································································································· 88

가.  효과적인 위임 ················································································································· 89 나.  지지적 의사소통의 유지 ································································································ 89 다.  평가와 피드백 ················································································································· 91 라.  자원봉사자의 해고 ·········································································································· 91 마.  슈퍼비전의 주요 원칙 ···································································································· 93

16.  자원봉사 슈퍼비전 체계 Ⅱ ··········································································································· 94

가.  동기 ·································································································································· 95 나.  자원봉사자의 유지 ·········································································································· 98 다.  인정과 보상 ····················································································································· 99

17.  자원봉사자와 직원의 관계 Ⅰ ····································································································· 101

가.  직원과의 관계 ··············································································································· 102 나.  직원의 관심과 우려에 대한 직면과 대처 ································································· 102 다.  직원에 대한 자문 제공 실례 ······················································································ 103 라.  직원의 지지 구축 ········································································································· 104

18.  자원봉사자와 직원의 관계 Ⅱ ····································································································· 107

가.  상급자로부터의 지지 창출과 획득 ············································································· 108

메모 :

-----------------------------------------------------Page 3-----------------------------------------------------

자원봉사론

나.  직원과의 업무 협조 시 주요 원칙 ············································································ 110 다.  제언 ································································································································ 111

19.  자원봉사활동과 갈등 Ⅰ ··············································································································· 113

가.  갈등의 정의와 원인 ····································································································· 114 나.  갈등의 유형 ··················································································································· 115 다.  갈등에 대한 관점 ········································································································· 115

20.  자원봉사활동과 갈등 Ⅱ ··············································································································· 118

가.  갈등수준 평가 및 관리 ······························································································· 119 나.  자원봉사 조직에서의 갈등 ·························································································· 119 다.  갈등반응과 해소기법 ··································································································· 121 라.  갈등관리 방안 ··············································································································· 123

21.  국제자원봉사 Ⅰ ···························································································································· 125

가.  국제자원봉사의 개념과 역사 ······················································································ 126 나.  국제자원봉사 유형과 영역 ·························································································· 128

22.  국제자원봉사 Ⅱ ···························································································································· 132

가.  국제자원봉사의 동기와 기대 ······················································································ 133 나.  국제자원봉사에서의 생각해 볼 점 ············································································· 135

23.  기업의 자원봉사 Ⅰ ······················································································································ 137

가.  기업 자원봉사의 개념과 역사 ···················································································· 138 나.  기업 자원봉사의 유형과 현황 ···················································································· 141

24.  기업의 자원봉사 Ⅱ ······················································································································ 144

가.  기업사회공헌의 동기 ··································································································· 145 나.  기업사회공헌의 뉴 패러다임 ······················································································ 148

25.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의 제정과 향후과제 그리고 전망 ··························································· 150

가.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의 주요 항목 ············································································· 151 나.  우리나라 자원봉사 영역의 과제와 전망 ··································································· 154

26.  새로운 자원봉사 패러다임 ··········································································································· 155

가.  새로운 개념의 자원봉사 ······························································································ 156 나.  새로운 패러다임 ··········································································································· 159 다.  SNS를 통한 자원봉사 사례 ························································································ 160

메모 :

-----------------------------------------------------Page 4-----------------------------------------------------

자원봉사론

 

1주차 1차시            자원봉사의 기본적 개념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5-----------------------------------------------------

자원봉사론

1. 자원봉사의 기본적 개념

가. 자원봉사의 개념 및 정의

1) 개요

(1) 자원봉사활동의 개요

l 최근 우리 사회에서 활발히 거론되고 있으며,  누구나 한 번쯤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을 것임

l 대표적 자원봉사 활동:  2018  평창올림픽,  2014  세월호 참사,  2007  태안 기름

유출사고 등

l 자원봉사활동 이유

§ 지역사회의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 § 지구온난화와 생태 위기에 대처 § 종교적 혹은 도덕적 동기 § 자아실현이나 여가선용 § 진학이나 취업 등

l 국제연합(UN):  2001년 ‘세계자원봉사의 해’  지정-“자원봉사활동이 모든 사람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사회로 변화하기 위한 견인차가 될 수 있다”고 강조

l 유럽연합(EU):  2011년 ‘유럽자원봉사의 해’  지정 l 우리나라:  2005년 「자원봉사활동기본법」제정

(2) 자원봉사활동 추이

①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 연구(2004)결과 (37개국)

l 자원봉사자의 수:  1억 4천만 명

l 상근일자리로 환산할 경우 약 2천 80만 명에 해당하는 수치

② 미국 (2013년)

l 성인 인구의 25.4%(6천 260만 명)가  총 77억 시간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l 금전적 가치:  1천 730억 달러의 경제적 가치

③ 한국

l 자원봉사 참여율:  2011년 21.4%  → 2014년 22.5% l 2005년 이후 21~22%  수준을 유지

      

2) 자원봉사의 사전적 개념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2016)

l 자원(⾃願)+봉사(奉仕)

l 자원:  어떤 일을 자기 스스로 하고자 하여 나선다.

l 봉사:  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씀

l 자원봉사:  자기 스스로 타인이나 이웃,  사회 또는 국가를 위하여 유익한 일을 행하는 것

(2) Webster(2016)

l Volunteer,  Volunteerism,  Voluntarism

l 사람이 자신의 의지로 보수를 받지 않고 일이나 활동,  특별하게 지역사회 봉사와 같은

메모 :

2

-----------------------------------------------------Page 6-----------------------------------------------------

자원봉사론

활동에 참여하는 것

l Volunteer(자원봉사자):  개인이 자유의사로 재정적인 보상 없이 봉사를 제공하는

사람(사회사업사전,  Barker,  1996)

l Volunteerism(자원봉사주의):  정부기관의 원조 밖의 휴먼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보수로 일하는 개인과 집단을 동원하고,  그리고 이들을 이용하는 것(사회사업사전,  Barker,  1996)

3) 자원봉사의 개념과 정의

역사적 ·  사회적으로 다르게 해석되고 학자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정의

(1) UN  세계자원봉사 현황 보고서(2011)

l 자원봉사활동은 개인이 속한 지역사회에 함께 참여하는 의사표현이다.  참여,  신뢰,  연대, 

호혜 그리고 공동책임의식은 거버넌스와 세계시민의 덕목이다. 

l 자원봉사는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유물이 아니며 이것은 세계화가 가속되는

가운데 사회문제의 최전방에서 대응하는 우리의 노력이다. 

§ 과거의 어느 때보다 오늘날에는 자선행위보다는 나눔과 돌봄이 필수적이다 (2) 국제자원봉사협의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Volunteer  Effort:  IAVE)

l 자원봉사는 모든 사회의 필수요소이다.

l 자원봉사는 시민사회를 지탱해 주는 기본 구성물로서 모든 사람을 위한 평화,  자유,  기회,  안전,  정의의 추구를 통해 인류가 열망하는 삶의 고귀한 가치를 제공한다.

(3) 자원봉사의 의미

l 공동체,  돌봄 그리고 헌신과 같은 인간적 가치들의 지속과 강화

l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은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행사함과 동시에 일생에 걸쳐

교육과 성장의 기회를 통해 전인적인 잠재력 실현

l 인간 사회를 분리시키는 차이점을 해소하고 연결시켜,  건강하고 지속가능하며 협동하는 공동체에서 함께 생활하여 인류가 직면한 위협들에 대해 혁신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공동의 운명을 가꿈

(4) 좋은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컴팩트 규정(The  Compact  Code  of  Good  Practice  on 

Volunteering)(영국,  2005)

l 자원봉사활동은 시민의식과 민주주의의 근간이 되는 활동

l 자원봉사활동은 공공기관,  민간,  자발적 조직에서의 공식적 활동을 비롯하여 비공식적

주민참여와 캠페인을 포함

(5) 호주의 자원봉사 기관(Volunteer  Victoria:  2015)

l 공식적 자원봉사란 비영리기관이나 비영리적 목적의 행사에서 수행되는 활동

①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자에게 유익

② 어떠한 강요도 없이 자원봉사자의 순수한 자유의지에 의해 수행 ③ 금전적 보상을 받지 않음.

④ 자원봉사자의 활동으로 지정된 활동만 수행

(6) 우리나라

메모 :

3

-----------------------------------------------------Page 7-----------------------------------------------------

자원봉사론

l 자원봉사란 용어가 사용되기 이전 적선,  적선자,  선행,  선행자로 사용

l 1987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산하 사회봉사안내소에서 ‘Volunteer’를 ‘자원봉사자’로 결정 l 한국사회복지협의회(1987)

§ “사회문제의 예방 및 해결 또는 국가의 공익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공사의 공식조직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영리적 보상을 받지 않고서도 인간존중의 정신과 민주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낯선 타인들을 상대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의 공동선을 고양시킴과 동시에 이타심의 구현을 통해 자기실현을 성취하고자 하는 활동”으로 정의

l 자원봉사활동기본법:  개인 또는 단체가 지역사회,  국가 및 인류사회를 위하여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제공하는 행위

l 자원봉사활동의 기본방향

① 국민의 협동적인 참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② 무보수성,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  비정파성,  비종파성의 원칙 아래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 모든 국민은 나이,  성별,  장애,  지역,  학력 등 사회적 배경에 관계없이 누구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④ 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정책은 민·관 협력의 기본정신을 바탕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7) 종합 정의

l 자원봉사란 ‘물질적인 보상 없이 개인의 자발적 의사에 따라 수행되는 타인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활동’

4) 자원봉사와 비슷하지만 구별되는 개념

(1) 사회봉사

l 자원봉사는 주로 개인의 자유의지를 통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l 사회봉사는 공익을 추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정부나 기업 혹은 교육기관을 통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합적으로 기획되고 수행되는 봉사활동

l 사회봉사명령:  유죄가 인정된 범죄자에게 일정 시간을 무보수로 사회에 유익한 근로를

하도록 명하는 제도 (2) 자발적 참여주의

l 자발적 참여주의:  사회 내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것을 지칭하는 용어 l 자원봉사주의:  구체적으로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행동과 관련된 모든 것을 의미하는

용어

l 자원봉사보다는 보다 일반적 용어 l 실제 사회에서 혼용되어 사용

(3) 자선사업

l 자원봉사활동을 박애정신에 의한 자선활동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있음. § 박애정신(philanthrophy):  개인적 자비심에서 비롯한 행동으로 금전이나 물품을

메모 :

4

-----------------------------------------------------Page 8-----------------------------------------------------

자원봉사론

타인에게 주는 행위를 의미

§ 단순한 자선이나 선행에는 아무런 가치도 부여되지 않으며 특별한 기술이 필요로

하지 않음.

§ 이에 반해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과 가치를 부여하여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변화의 활동임

(4) 자원봉사와 유사한 개념들 간의 차이비교표

사회봉사               자발적 참여주의                 자선사업

특징      집합적으로

기획 및 수행

사회 내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

박애정신에 비롯된 행위, 가치를 부여,

특별한 기술 필요 없음

자원봉사가 가지고 있는

차이점

자유의지를 통한 자발적 활동

자원봉사주의는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것을 지칭
 문제의식과 가치를 부여,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활동

나. 자원봉사의 철학적 배경

① 종교적 윤리

l 자비롭게 베푸는 행위로서 소외된 이웃들의 당면한 욕구에 대응하여 주고 베푸는 행위 l 이기적이지 않고 직접적인 도움의 행위

② 박애정신

l 인도주의적 도덕과 윤리에 기초하여 소외되고 곤궁한 이웃을 차별 없이 두루 사랑하고

원조하려는 생각

③ 상호부조의 정신

l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이나 연대의식의 바탕에서 이루어짐. l 제한적으로 폐쇄성을 갖기 쉬움(ex:  공통된 신앙이나 같은 직업)

④ 시민참여의 정신

l 민주사회의 생존 및 발전을 위해 자발적인 시민참여의 정신이 중요

⑤ 자발적 참여주의

l 역사적으로 볼 때,  동서양을 막론하고 자발적 참여주의는 중요한 가치

⑥ 그 밖의 특성

l 이타성,  자발성,  무보수성,  자아실현성,  조직성,  교육성,  복지성,  민주성,  개척성,  공공성, 

민감성,  창의성,  공동체성,  지속성,  공익성,  무급성,  헌신성,  협동성,  전문성 등

메모 :

5

-----------------------------------------------------Page 9-----------------------------------------------------

자원봉사론

 

1주차 2차시           자원봉사의 필요성과 동기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10-----------------------------------------------------

자원봉사론

2. 자원봉사의 필요성과 동기

가. 자원봉사의 특성

1) UN의 3대 원칙

­ 자유의지 ­ 무보수성 ­ 공익추구

2) 자원봉사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1) 국제노동기구가 제시한 요소(ILO,  2011)

l 일과의 관련성:  그 행위가 이루어지는 대상에게 물질적인 이득이나 잠재적 가치를 지닌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위 포함

l 무보수성:  급여나 보상 없이 행해지는 활동

l 비강제성:  자원봉사활동은 자발적 선택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행위 l 공식적 활동 +  비공식적 활동 l 가족이나 친척을 위한 일 배제 l 특정 대상에 제한되지 않음

(2) 자원봉사 범주 내·외의 활동 예시

자원봉사 범주 내의 활동                      자원봉사 범주 밖의 활동

이웃 노인을 위해서 대신 쇼핑을 다녀오는 행위        식구를 위해 쇼핑을 다녀오는 행위 노숙인을 위한 무료 식사 제공 기관에서의 활동    자신의 식구를 위해 식사를 준비하는 행위 공립학교에서 자원봉사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행위      집에서 자녀의 숙제를 도와주는 행위 지역환경위원회에서 청소봉사를 하는 행위          자신의 집과 정원을 청소하는 행위

투표참여를 위한 유권자등록 봉사활동                     투표참여 행위

노숙자 쉼터에 음식,  약품,  생활용품 등을

나눠주는 행위                      가족을 의료기관에 데려다 주는 행위

지역 종교기관에서 봉사임무를 수행함                 종교행사(예배)에 참석함

지역 환경단체에서 샘플로 사용할 물을 무보수로

전해주는 활동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조사활동

법률단체에 법률 자원을 제공함                비용을 받고 법적 조언을 제공함 마을 어린이 축구팀에서 코치로 활동함             자신의 자녀에게 축구를 가르침 가난한 가정의 아동에게 옷을 지어 줌                자신의자녀의 옷을 수선함 노숙인을 위한 쉼터 건설을 도움                     자신의 집을 수리함

출처 :  ILO(2011)

3) 자원봉사의 원칙

① 자원봉사는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자에게 도움이 된다. ② 자원봉사는 언제든지 선택사항이다.

메모 :

7

-----------------------------------------------------Page 11-----------------------------------------------------

자원봉사론

③ 자원봉사는 보수를 받지 않는 활동이다.

④ 자원봉사는 직장급여,  연금,  사회복지 보조금 혹은 포상금의 대가로 행해지는 활동이 아니다. ⑤ 자원봉사는 주민이 합법적으로 지역사회의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다. ⑥ 자원봉사는 개인이나 그룹이 인간적·환경적·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수단이다. ⑦ 자원봉사는 반드시 비영리 분야에서만 수행되는 활동이다.

⑧ 자원봉사는 유급노동을 대체할 수 없으며 근로자가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강제사항으로

악용되어서는 안 된다.

⑨ 자원봉사는 다른 사람의 권리,  존엄성과 문화적 특성을 존중한다. ⑩ 자원봉사는 인권과 평등을 촉진한다.

출처 :  Volunteer  Victoria(2015)

4) 자원봉사자의 권리 ① 기관에 대한 정보 ② 직무기술서

③ 책임자와 보고 대상에 대한 알 권리 ④ 기여의 인정과 일원으로서의 인정 ⑤ 도움 및 감독을 받을 권리

⑥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 및 상해보험

⑦ 착취를 당할 때는 언제나 중단할 수 있음 ⑧ 활동으로 인한 경비를 배상 받을 권리 ⑨ 기관의 방침에 대한 조언을 받을 권리

⑩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정보 및 자문 ⑪ 예비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 출처 :  Volunteer  Victoria(2015)

5) 자원봉사자의 책무

① 신뢰받을 수 있어야 함 ② 사생활 보호,  비밀유지 ③ 직무기술서 이행

④ 스스로 수행한 일에 대한 책임 ⑤ 업무에 열성으로 임해야 함

⑥ 요청된 예비교육이나 훈련프로그램 참석 ⑦ 활동 장소 이탈 전 보고 ⑧ 다른 일원 존중과 협조

⑨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수행 출처 :  Volunteer  Victoria(2015)

나. 자원봉사의 필요성

메모 :

8

-----------------------------------------------------Page 12-----------------------------------------------------

자원봉사론

1) 사회문제 해결

­ 다양한 사회문제(소득양극화,  저출산·고령화,  가족구조의 변화,  다문화 사회 유입,  빈곤,  실업, 

각종 재해와 재난 등)에 노출된 우리 현실

­ 정부나 관련 기관의 역할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움

­ 자원봉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인적·물적 자원으로 기여

2) 사회복지부문에서 민간 영역의 확대

­ 사회복지의 책임과 주체에 관한 논쟁 속에서 민간 영역의 책임과 권한이 확대 ­ 제3섹터의 등장:  공공부문(제1섹터)과 시장경제부문(제2섹터)의 한계에 대한 대안 ­ 지역사회복지 모델의 확대(지역사회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이 필수적)

­ 제3섹터는 시민들의 자발적 조직과 노동의 가치를 중요시하고 공동체 정신 강조 ­ 책임의식과 연대의식에 바탕을 둔 자원봉사활동이 중요시 됨.

3) 공적 서비스의 한계성 및 사회복지의 사각지대

­ 국가에서 제공하는 사회안전망과 지역 곳곳에 다양한 이름의 사회복지기관이 존재하고 있으나

아직도 복지의 공적 서비스가 미치지 못하는 복지의 사각지대가 존재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자원봉사자 활동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기대가 더욱 증가됨 ­ 자원봉사활동의 육성이 사회복지의 확대를 위해서도 필수적

4) 글로벌 거버넌스 참여

­ 새롭게 부각되는 사회문제는 개별국가나 관련 민간 기업들이 해결하기에는 불가능한 수준으로

악화

­ 세계 각국의 시민들의 자원봉사활동은 전 세계 곳곳의 환경,  인권,  전쟁,  기아,  난민문제 등

인류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분야에서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두드러짐.

5) 여가선용 및 자아실현

­ 노동시간의 단축 등으로 현대인의 일상생활의 많은 영역에서 여가시간이 증가

­ 인간성과 공동체의식이 결여된 기술문명의 발달과 방향성을 잃고 복잡하게만 돌아가는 삭막한

일상은 현대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 자원봉사를 통해 건전한 방법으로 여가를 선용하고 지역사회에서 공동체의 의미와 더불어

사는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중요성은 증가

6) 교육과 성장의 기회

­ 자원봉사는 그 활동 자체만으로도 자원봉사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교육관 훈련의 기회 제공 ­ 자원봉사활동은 타인과 사회의 발전뿐만 아니라 자기 발전과 성장에도 유익한 기능을

수행해야함

­ 특히 청소년에게 있어서 자원봉사는 교육의 사회성을 키우고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육의

메모 :

9

-----------------------------------------------------Page 13-----------------------------------------------------

자원봉사론

장으로 활용 가능

­ 개인의 자아실현과 성장의 기회를 가짐

7) 사회적 자본의 증대

­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적 자본을 생산하는 주요한 원천

l 사회적 자본은 신뢰,  유대,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사회통합에 기여함.

­ 자원봉사활동은 개인차원에서 자아실현과 시민들의 민주적인 생활방식의 체득에 기여 ­ 자원봉사활동은 공동체 차원에서 타인과의 신뢰와 유대 강화 등 사회자본의 형성에 기여 ­ 자원봉사활동은 정부차원에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민주주의 공고화 및 정부 신뢰의

질적 향상에 기여

­ 자원봉사활동은 개인이 속한 공동체의 이익과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개성과 이익을

조화롭게 드러낼 수 있게 하는 사회적 규범을 형성하는데 효과적

8) 지역 공동체의 중요성 강조

­ 최근 마을 공동체와 관련하여 상호 호혜적인 사회적 경제운동이 유행처럼 퍼짐 ­ 마을 공동체는 주민들 스스로 자신이 보다 인간답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안에서 공동의 가치를 추구해 나가는 과정을 포함하며,  지역사회의 문제를 찾고 이를 주민들이 나서서 해결할 수 있도록 능력을 신장시켜 나가는 과정 전반을 포함

­ 신자유주의 가속화,  글로벌 자본주의의 탈지역화의 부작용의 대안으로 강조

­ 공동성과 연대성이 상실된 사회는 인간을 고립시키고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을 상실케 하므로

지역사회의 재형성이 필요함

l 이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필수적임

­ 지역사회 회복과 재형성을 위해서는 복지성,  자발성,  연대성,  책임감,  무보수성 및 민주주의

철학을 가치로 삼는 자원봉사활동이 요청됨

9) 자원봉사의 필요성 구분

개인적 수준                      사회적 수준                       세계적 수준

­ 사회문제 해결

­ 여가선용 및

자아실현

­ 교육과 성장의

기회

­ 사회복지 부분에서의 민간 영역의 확대 ­ 사회복지 확대

­ 제3섹터의 역할 증대 ­ 사회적 자본 증대

­ 환경,  인권,전쟁

등에의 글로벌 거버넌스 참여

­ 지역 공동체의 중요성 강조

다. 자원봉사의 동기와 참여

1) 동기에 대한 이해

(1) 동기

l 개인이 일정한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근원

메모 :

10

-----------------------------------------------------Page 14-----------------------------------------------------

자원봉사론

(2) 자원봉사의 동기

l 개인이 자원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행동을 유발하고 지속시키는 원동력 l 일반적으로 박애정신이나 종교적 신념의 실행,  시민참여 정신의 구현 등으로 설명

2) 일반적인 자원봉사 참여 동기 ① 자신·친인척의 불행의 경험 ② 자신이 타인의 온정을 받고 ③ 가족이나 친구의 권유 ④ 타인의 봉사활동의 영향

⑤ 가족,  학교친구,  사회 동료들로부터 영향 ·  압력 ⑥ 강연,  서적,  대중매체 등의 영향

⑦ 자신이 속해 있는 집단이나 단체의 활동에 동참하기 위해 ⑧ 자원봉사활동을 요청하는 주변의 단체

⑨ 강좌나 연수과정에 동참하는 등의 외적 요인

⑩ 자기능력을 실현함으로써 삶의 의미와 보람을 찾고자 ⑪ 사회의 구성원으로 감당해야 할 의무와 책임감을 느낌

3) 자원봉사 참여 동기 조사결과

출처 :  한국자원봉사문화 (2014)

4) 활동주체에 따른 동기

(1) 개인적 동기

l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람의 내적 동기

(2) 민간기관의 동기

메모 :

11

-----------------------------------------------------Page 15-----------------------------------------------------

자원봉사론

l 기관이나 조직이 가진 동기

l 설립되고 운영되는 특별한 목적이 선행

(3) 공공기관의 동기

l 지역사회,  지방자치,  전국적 수준에서의 동기      (출처:  현외성(2004)) 

5) 자원봉사 참여의 단계

(1) 동기

l 이타주의,  대인관계,  종교적·사회적 신념의 실천,  소속감,  경력·훈련·여가의 선용 등 l 가족,  지인과의 관계나 단체활동 경험,  지역사회의 문화와도 관계

(2) 계기

l 다양한 계기가 주어질 때 참여 행동으로 이어짐

(3) 자원

① 개인의 시간,  금전적 여유,  건강 등의 실천적 자원 ② 지식,  기술,  경험 등의 학습된 자원

③ 자원봉사에 대한 관심,  확신,  자기 효능감 같은 정서적 자원

④ 친구,  동료들과의 관계,  단체 활동의 지지 같은 거시적 차원의 자원

(4) 기회

l 미시적 차원의 기회:  일차적 사회관계망

l 거시적 차원의 기회:  자원봉사활동을 촉진시키는 여건을 만듦

메모 :

12

-----------------------------------------------------Page 16-----------------------------------------------------

자원봉사론

 

2주차 1차시            한국 자원봉사의 역사Ⅰ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17-----------------------------------------------------

자원봉사론

3. 한국 자원봉사의 역사Ⅰ

가.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 발전 과정

­ 우리나라는 짧은 자원봉사의 역사를 가짐

­ 한국의 자원봉사를 구분하자면,  태동기,  형성기,  확산기,  재정립기로 구분해 볼 수 있음

1) 태동기

(1) 계(契)  조직

l 상부상조가 목적 l 삼한시대부터 시작

(2) 품앗이

l 농촌부락 단위의 공동 경작

(3) 두레

l 신라시대부터

l 촌락단위의 주민협동체

(4) 향약

l 지역사회 발전,  지역주민의 순화,  덕화,  교화 목적 l 지식인 간의 자치적 협동조직

(5) 태동기 특성

l 상호부조하는 경제적 보상의 측면을 지니고 있음

l 현대적 의미의 자원봉사와는 다르나,  이러한 정신이 이후 자원봉사 활동에 영향을 미침

2) 형성기

(1) 근대화 시작 무렵

l 현대적 의미의 자원봉사활동 실천 l 기독교 전파와 민주주의 철학 유입

l 교회 및 관련 단체의 활동(예,  YMCA,  태화여자관)

(2) 일제강점기

l 관 주도의 교화사업(인보관:  조선총독부에서 설립) l 구국운동(학생운동)

(3) 해방 이후

l 학생운동이 사회 개량적 성격으로의 전환(문맹퇴치를 위한 야학,  농촌봉사활동,  질병구제

등)

l 1947년 대한적십자가 적십자 부대봉사대 조직(자원봉사활동을 보다 조직화)

(4) 새마을 운동

l 지역주민들의 생산기반과 생활능력을 개발

l 소득수준향상,  의식계발,  사회개발,  자원봉사 정신의 확신 및 고취

(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l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사회봉사 안내소를 개설(1978년)

l 사회봉사안내소:  자원봉사자 교육훈련 실시,  사회복지 분야에 배치

메모 :

14

-----------------------------------------------------Page 18-----------------------------------------------------

자원봉사론

l 각종 사회복지 단체를 중심으로 자원봉사 활동 전개

3) 확산기

(1) 1980년대

l 경제수준 향상,  국민의식 증대,  가족구조의 변화 등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기인 l 1985년 올림픽조직위원회의 자원봉사단

l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올림픽 → 자원봉사를 인식시키고 확산시키는 데 기여, 

참여 자원봉사자들의 자부심 증대

(2) 1990년대

l 민·관 참여로 발전

l 1994년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 → 자원봉사의 저변 확대 l 1995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활동 등장

l 1979년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전공선택과목으로 채택 → 1995년 보다 많은 대학에서 교양과목 개설 →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총장들의 모임)  발족

l 대기업 신입사원 채용에서 반영 등

4) 재정립기

­ 정부 정책으로 자원봉사 활동 영역 확대(복지 → 환경,  문화 등 전 사회영역) ­ 2002년 세계자원봉사대회를 한국에서 개최 ­ 2005년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정

­ 2006년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한 자원봉사 진흥위원회를 둠

나.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 현황

1) 우리나라 자원봉사 활동의 현황

(1)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국조사 결과

① 자원봉사자 비율

l 공동체 의식의 재발견과 시민의식의 향상에 따라 빠르게 성장 l 연도별 자원봉사자 비율

연도                                        비율 1999                                       14.0% 2005                                     20%  이상 2014                                       22.5%

② 문제점

효과성 측면        l 지원하고 정착시켜 나갈 제도적 장치 미비

l 자원봉사 참여자들의 중도탈락

효율성 측면        l 자원봉사자 육성 ž 지지하는 각종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미흡

l 정부지원의 미흡

메모 :

15

-----------------------------------------------------Page 19-----------------------------------------------------

자원봉사론

(2)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정(2005년) l 앞선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제정

l 우리 상황에 맞는 사회적 ž 행정적 지원체계를 구축

l 자원봉사 활동이 법적으로 지원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대 l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고 정립하는 계기

l 한계:  미등록 단체가 여전히 존재,  실제 활동 인원과 등록 활동 인원의 차이 존재

(3) 자원봉사센터 현황

① 주요 자원봉사센터 현황

센터 명     자원봉사센터    여성자원활동센터    사회복지자원

봉사센터

청소년활동

진흥센터

학생봉사활동 정보안내센터

설치 근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여성발전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청소년기본법        지침

설치 단위      시 ž 군 ž 구          시 ž 군 ž 구            시 ž 도            시 ž 도        198개 대학 담당 부서     행정자치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출처 :  행정안전부(2008),  안전행정부(2015)

② 행정안전부의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현황

§    행정안전부:  137개 §    보건복지부:  140개 §    환경부:  100개

§    문화체육관광부:  96개 §    외교통상부:  770개

§    총 33개 중앙부처에 845개 비영리단체 등록

출처 :  김승용 외,  2012

(4)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통계자료

l 2015년 12월 31일자 자원봉사센터에 등록한 자원봉사자:  1,138만 명(전체 인구의

22.1%)

l 실질적 활동한 인원 375만 명(등록인원 1,138만 명의 33.0%)

l 민간단체에 의한 봉사활동을 제외한 숫자로 실제 자원봉사활동 참여인구는 이보다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

2) 우리나라 자원봉사 단체의 활동평가

(1) 긍정적 평가

l 자원봉사 단체의 고른 지리적 분포

l 자원봉사 단체의 각  분야에 걸친 고른 분포 l 비교적 많은 수의 자원봉사자 참여

l 자원봉사활동 분야와 대상 집단의 포괄성 및 다양성 등

(2) 부정적 평가

메모 :

16

-----------------------------------------------------Page 20-----------------------------------------------------

자원봉사론

l 짧은 역사적 전통

l 정부 역할에의 지나친 의존 l 열악한 인력과 재원

l 비지속적이며 학생층에 편중된 참여 l 비체계적인 자원봉사 업무추진 등

출처 :  김동배,  2005

메모 :

17

-----------------------------------------------------Page 21-----------------------------------------------------

자원봉사론

 

2주차 2차시            한국 자원봉사의 역사Ⅱ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22-----------------------------------------------------

(1) 설립 목적

l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자원봉사를 위한 정보관리 체계의 구축 및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고 자원봉사 단체의 교류협력과 자원봉사 활동의 홍보 및 교육체계화에 이바지(1994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부설)

(2) 설립 과정

l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 사업기금에서 1억 1천만 원을,  삼성복지재단에서 7천만원을

지원받음

메모 :

19

-----------------------------------------------------Page 23-----------------------------------------------------

자원봉사론

l 사회복지 분야의 자원봉사 활동만을 전담 관리하는 기관

l 전국 1천여 개의 사회복지시설·기관을 연결할 자원봉사 전산망시스템의 개발을 추진

(3) 주요 사업

l 자원봉사자 관리업무 전산화 소프트웨어 개발 l 자원봉사 전산망(VT-NET)  구축

l 자원봉사 관련 각종 자료 수집 및 정보 제공 l 각종 안내 상담,  교육·훈련 및 교육교재 개발 l 조사·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l 시·도 자원봉사 정보안내센터 운영 등

(4) 자원봉사 전산망(VT-NET)

l 한국사회복지협의회와 삼성복지재단이 공동 운영

l 자원봉사 활동을 원하는 사람과 자원봉사자를 필요로 하는 기관을 신속·적절하게 연결 l 자원봉사 및 사회복지 관련 각종 정보를 가장 빠르고 쉽게 전달 l 1995년 전국적으로 개통

l 운영기금의 부족과 유사한 타 자원봉사센터의 설립 등으로 많이 위축

(5)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https://www.vms.or.kr)

① 소개

l 전국 자원봉사단체 ž 기관 상호간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여 자원봉사자의 봉사실적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누적관리하고 나아가 봉사실적에 대한 인정,  보상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제도

§ 전국 사회복지자원봉사의 체계적인 조직 관리를 통한 자원봉사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시·도사회복지협의회,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가 ‘01년도부터 국내 최초의 자원봉사 실적 인증사업을 추진함

§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센터”  상호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사회복지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소속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실적을 데이터 베이스에 누적·관리하여,  국가·사회적 다양한 인정프로그램을 발굴·제공하고 있음

§ 봉사단별 활동성과 및 봉사실적을 인증관리시스템(VMS)에서 공정하게 관리하여 우수봉사단 및 봉사자에 대하여는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표창 대상자로 추천하여 동기를 부여하고 격려함

② 사업목적

l 사회복지자원봉사 실적의 인증관리를 통한 신뢰성 구축 l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련단체 상호간 협력체계 구축

l 사회복지자원봉사의 체계적·조직적 관리를 통한 활성화 기반조성

③ 사업근거

l 사회복지사업법 제9조 및 동법 시행령 제25조 제3항 l 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규정

메모 :

20

-----------------------------------------------------Page 24-----------------------------------------------------

자원봉사론

l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4조

④ 사업주체

l 주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시·도 사회복지협의회 l 주체:  보건복지부

l 사업수행:  사회복지자원봉사관리센터(시설·법인·단체,  보건·의료,  기업 등)

4) 재가복지봉사센터

(1) 설립

l 1980년대에 노인분야와 장애인복지의 민간분야에서 처음으로 시도

l 한국노인복지회에서 노인결연사업과 상담사업을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으로 확대하여 실시 l 장애인재활협회,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중심 재활을 실시

(2) 경과

l 1990년대 재가복지는 정부지원을 받아 종합적인 프로그램으로 발전

l 1992년부터 재가복지봉사센터를 설치·운영,  기존의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등에 전담인력,  장비 등 사업비를 추가하여 복지관의 부설형태로 설치,  운영

(3) 기능

기능                                        내용

조사 ž 진단의 역할     재가복지서비스 대상자 ž 가정의 욕구조사와 문제 진단 등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의 종류를 선정

서비스 제공의 역할    재가복지서비스 대상별로 측정된 욕구와 문제의 진단내용에 따라

직 ž 간접 서비스를 제공

지역사회자원

동원과 활용의 역할

사업평가의 역할

재가복지서비스의 내실화와 대상자 ž 가정의 욕구 및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의 인적 ž 물적 자원을 동원 ž 활용

재가복지서비스 사업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비스 기능 및 분야별 효과,  자원동원 및 활용 효과 등에 관하여 자체 평가하고 그 결과를 사업에

활용

교육기관의 역할     자원봉사자와 지역사회 주민에게 재가복지서비스사업,  사회복지사업

등에 관한 교육을 제공

지역사회 연대의

고취 역할        지역사회의 인적 ž 물적 자원의 연계를 통한 계층 간의 연대감을 고취

(4) 운영원칙

기능                                         내용

적극성의 원칙   서비스 대상자의 요청을 기다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서비스 욕구를 발굴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능률성의 원칙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낳기 위하여 인적 ž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연계성의 원칙 다양한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행정기관,  사회봉사단체 등 관련기관과

메모 :

21

-----------------------------------------------------Page 25-----------------------------------------------------

자원봉사론

수시 연계체계를 갖추고 알선,  의뢰,  자원봉사 등을 수행해야 한다.

자립성의 원칙   서비스는 보호대상자의 신체적 ž 정신적 ž 사회적 자립과 자활을 조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5) 자원봉사센터(https://www.1365.go.kr)

(1) 한국자원봉사센터

① 설립목적

l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및 동법시행령 제 19조에 의해 지역자원봉사센터를 설치 l 전문성 보완과 운영의 활성화 등 전국적인 자원봉사 활동의 허브역할을 위해

한국자원봉사센터 설립 (2016.  06  설립)

② 역할

l 자원봉사 정책개발 및 연구,  중앙단위 자원봉사기관 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지역 자원봉사센터 지원 및 협력,  지역 자원봉사센터 관리자 교육훈련,  지원봉사 프로그램 개발·보급,  자원봉사 아카이브 운영,  자원봉사 국제교류 및 협력,  1365자원봉사포털,  1365  자원봉사시스템 운영지원,  그밖에 자원봉사 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 추진

③ 핵심 가치

l 사람중심,  전문성 강화,  연대협력추구,  사회변화지향,  현장중심

(2) 지역자원봉사센터

① 역할

l 지역주민에게 자원봉사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  프로그램 개발,  자원봉사자

모집·교육·훈련,  지역사회 현장에 배치,  활동과정을 관리·평가

② 특징

l 지역 중심의 자원봉사단체를 대표하는 조직 l 정부전달체계로 조직(행안부)

l 자원봉사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거주지역에서 가장 먼저 정보를 입수해서 찾아갈 수

있는 곳

l 전국 자원봉사센터 246개,  등록자원봉사자 12,016,428명 (2017년 12월 기준)

6) 여성자원활동센터 (1) 설치(1991)  목적

l 여성 자원봉사의 분산된 창구를 지역 단위로 통합·운영,  정부의 공공서비스 분야에

여성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봉사의 기회를 적극 제공

(2) 경과

l 1998년에는 263개소 → 2002년에는 159개소 운영(점차 줄어들고 있음)

l 지방자치단체 직영 56%,  여성회관 등에 설치되어 혼합 직영 25%,  민간단체에 위탁

운영 13%

(3) 한계

l 인력문제가 가장 취약

메모 :

22

-----------------------------------------------------Page 26-----------------------------------------------------

자원봉사론

l 프로그램의 빈약과 예산지원의 미약(김동배,  2005)

l 관 주도의 봉사활동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 부족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역량부족 등의

이유로 활발하게 활동하지 못하고 있음

(4) 가능성

l 현재 정부 내 여성가족부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음

7) 한국자원봉사포럼

­ 설립(1995):  자원봉사 관련 전문학자 및 각계 각층의 중견급 관리자들이 모여, 

자원봉사운동에 대한 전략과 사회적 이슈들의 올바른 방향수립,  대안제시를 하기 위하여 설립

­ 구성:  대학,  기업,  사회단체의 자원봉사 관련 인사들 170여 명을 회원으로 확보

­ 활동:  정기적인 모임.  당시의 자원봉사 관련 이슈를 주제로 전국을 돌며 초청강연회,  토론회, 

세미나,  기념행사를 주관

­ 주요 주제:  ‘대학의 사회봉사와 중고생 자원봉사 협력방안’,  ‘자원봉사 헌장 제정을 위한 방향

제시’,  ‘국제자원봉사대회 대비 방안’  등

나. 한국 자원봉사 활동의 과제와 전망

1) 자원봉사의 전망

­ 정보,  기술,  자본의 불균형으로 빈부격차 더욱 심화,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팽배 ­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이 강조 됨 (1) 자원봉사 활동의 확대

l 현재의 자원봉사활동은 대부분 사회복지시설 또는 기관 중심,  스포츠가 박람회 같은

대규모 이벤트,  재난 ž 재해 활동과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활동 위주

l 앞으로의 자원봉사 활동은 다양한 분야로 확대

(2) 전문적 활동

l 최근의 자원봉사활동은 준전문가의 역할을 요구

l 준전문가의 역할을 수행하려면 전문적 교육과 훈련이 요구

2) 자원봉사 활동의 과제와 전망 (1) 현재의 자원봉사활동 상황

l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

l 자원봉사활동의 주된 영역이 사회서비스 일자리 영역으로 변환 l 사업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기업과 기부자의 증가 l 봉사단체들도 경쟁하는 시대

(2) 국제사회에서의 우리나라 자원봉사 활동

l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24번째 가입국 l 원조를 받던 수원국 → 공여국 l 국제개발 원조사업

§ 청년봉사 인력을 개도국 원조사업에 참여시켜 현지화를 통해 고급인력으로 성장시킴

메모 :

23

-----------------------------------------------------Page 27-----------------------------------------------------

자원봉사론

§ 다양한 경험으로 국제화의 넓은 시각을 가짐 § 국가적 차원으로 대외 이미지 제고

(3) 자원봉사활동의 의미 있는 발전을 위한 과제

①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 제고

l 더 많은 사람이 자원봉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

l 더 많은 홍보와 교육이 필요 ② 자원봉사활동 영역의 개척

l 자원봉사의 매력적인 요소를 새로이 개발하고 유지시키는 새로운 접근방법 필요 l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기에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

l 교육,  보건,  문화,  스포츠,  환경보호,  공공사업,  국제협력 등 모든 영역으로 확대

③ 볼런테인먼트의 활성화

l 자원봉사의 개념을 나눔,  희생,  헌신과 연관된 활동으로만 규정할 경우 한계가 있음 l 볼런테인먼트(voluntainment)는 국내에서 만든 신조어로 자원봉사(volunteerism)와

오락(entertainment)가  합쳐진 용어

l 재미있게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필요

④ 자원봉사단체의 체계적인 관리모델 개발

l 자원봉사 단체 등록율에 비해 실제 활동하는 회원이 적음 l 자원봉사 인력관리를 통한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추진해야 함

⑤ 자원봉사 관리자의 전문성 및 역량강화

l 자원봉사관리자가 경험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프로그램 개발 능력의 부족과 이를

보전하기 위한 관리자 대상 교육 기회의 부족 l 체계적인 교과과정,  관리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⑥ 자원봉사단체 운영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

l 정부는 민간부문의 자원봉사가 보다 짜임새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단체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예산과 인력의 지원을 강화해야 함 l 특히 교육,  연구 및 협력체계 구축 등을 위한 집중적인 지원 요청

메모 :

24

-----------------------------------------------------Page 28-----------------------------------------------------

자원봉사론

 

3주차 1차시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Ⅰ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Page 29-----------------------------------------------------

자원봉사론

5.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Ⅰ

가. 영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1) 영국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정

(1) 영국 자원봉사의 유래(스튜어트 왕조 시기)

l 영국자원봉사의 시초:  명예혁명(1688)  등의 사회혼란을 마을 스스로 지키고자 결성된

자경단

l 자원봉사자:  자국의 이익을 위해 스스로 입대한 지원병

l 성격:  마을이나 국가의 이익을 지키려는 자경단 혹은 자위대의 성격을 지님 l 19세기 이전까지 자원봉사라는 용어는 일반화 되지 못함

l 사회를 위해 무상으로 시간을 제공하여 활동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 부재

(2) 빈민법 시대

l 영국의 자원봉사활동의 역사는 사회복지 발전의 역사와 흐름을 같이 함 l 빈민법의 제정 배경:

§ 중상주의 등장으로 인한 봉건제도 붕괴 § 종교개혁 이후의 가톨릭 수도원 쇠퇴

§ 인클로저 운동과 산업발전으로 인한 이농현상과 실업 및 사회적 빈곤 → 더 이상 개인과 교회의 힘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없어 엘리자베스 여왕이

구빈법(1601)제정

l 자선신탁법(Charitable  uses  act  of  1601)

§ 자선에 해당하는 단체 목적 심사 § 자선신탁과 업무의 오남용 방지 § 전통적 자선 관습을 법제화 § 자선의 범위와 방향성 명시 § 빈민 원조·교육의 진작

§ 신앙의 실천·공익 기여를 자선의 대전제로 제시

l 18세기 초의 변화: 

§ 다수의 정기후원자 그룹과 조직적 운영체계를 지닌 시민연대 자선기구의 등장 § 자선학교(빈민가정 아동의 교육을 목적)와 자선병원(빈민의 보건증진을 목적)이

설립되어 교육과 보건이라는 두 가지 주요 자선방식 운영

(3) 19세기 자선조직협회와 세틀먼트 운동

l 구빈법 관련 복지제도와 행정 수단만으로는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역부족,  오히려

부작용 양산

l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제도권 밖에서 사회봉사단체를 설립하는 조직적인 운동

발생

l 도덕적 복지운동(moral  welfare  movement)과 자선조직협회 및 세틀먼트운동은

성직자,  성직자 가족 그리고 기독교인들이 기독교 정신으로 전개한 대표적인 사회복지활동

l 19세기 초 영국 자선활동의 특징

메모 :

26

-----------------------------------------------------Page 30-----------------------------------------------------

자원봉사론

­ 조직과 연대성 ­ 중산층 주도

­ 계층 간 호혜적 관계 구축

① 자선조직협회

§ 영국의 자선조직화 운동에 대한 최초의 추진체로서의 역할을 담당

§ 우호방문단:  빈곤 가정들을 방문하여 빈곤의 원인을 파악하고 구호 및 교육활동

수행

§ 여러 나라에 전파,  지역사회조직과 사회복지전문성의 실천적,  학문적 기초 § 한계:  빈곤의 원인을 개인적 결함으로 인식,  도덕적 교화의 대상으로 삼음

② 세틀먼트 운동

§ 시작:  최초의 인보관(1884),  토인비홀 in  런던 by  Barnett

§ 활동주체:  대학생들이 직접 빈민지역에서 빈민들과 함께 다양한 교육과 빈곤퇴치

활동을 전개

§ 역사적 의미:  빈곤의 문제를 개인의 결함이 아닌,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파악하여

활동가와 빈민들이 상호협력을 통해 지역사회를 개선하려고 노력 → 이후 사회개혁의 운동으로 발전

(4) 전후 및 사회보장제도의 확립과 발전 시기

l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 개입:  19세기 후반 페이비안 사회주의(Fabian  Socialism)의

등장으로 인해 강조

l 새로운 박애주의 시대

§ 2차 세계대전 이후 전후 복구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 활동에 대한 요구 증가 § 베버리지 보고서(1942)는 국가의 적극적 개입강조(’요람에서 무덤까지’)+개인의

시민의 자발적인 노력 강조

l 자선법(Charity  Act,  1960)제정

§ 자원봉사활동을 지원,  민간단체 및 기관들의 자원봉사활동을 보호,  육성하는 최초의

법적 근거

§ 자선위원회에 등록된 민간자원봉사기관 및 단체들에게 모금 허가 및 조세 감면 + 

관리 및 감독

l 아베스 보고서(Aves  report-the  voluntary  worker  in  the  social  services)

§ 전문직원의 서비스를 보완,  사회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기 위해 자원봉사자의 참여

강조

→ 자원봉사센터와 전국자원봉사 네트워크 발족:  자원봉사 관리 표준 마련, 

자원봉사활동의 통합적 운영을 가능하게 함

→ 이후 지방정부 사회복지서비스법(1970)제정에 따라 사회복지서비스 행정체계가

통합되어 자원봉사활동도 통합 운영함

(5) 신자유주의 등장 이후

l 신자유주의 등장

§ 1970년 이후 두 차례의 석유파동으로 경제위기를 겪자 케인즈 경제학은 사라짐.

메모 :

27

-----------------------------------------------------Page 31-----------------------------------------------------

자원봉사론

§ ‘복지국가론’의 위기 → 사회복지분야에 있어서 국가의 개입은 축소,  민간 부문 역할

강조

ü 민간 영역:  자원봉사활동 증가

ü 영국 정부:  자선법 개정 이후 자원봉사단체들에게 면세 및 비과세,  자원봉사 활동

기부자에게는 세금공제 등의 혜택을 제공

l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

§ 1997년 총선 선거기간 중 민-관간의 협약을 공약,  국민들의 자원봉사 활동을 적극

지원할 것을 제시

§ 자원봉사전국단체들과 함께 ‘정부와 커뮤니티 자원영역 간의 계약’  체결,  대대적인

재정지원을 시작

§ 예)  내무성 산하의 ACU(Active  Community  Unit):  ‘활성화된 지역사회’  만들기

활동을 지원

l 영국 정부-민간 (자원)봉사 섹터 관계의 ‘협약’  원칙

① 자원봉사활동은 민주사회의 기본적 요소다.

② 독립적이고 다양한 자원 섹터와 공동체 섹터는 사회복리의 기초가 된다.

③ 공공정책과 서비스 개발,  전달에서 정부와 자원섹터는 각기 독특하지만 보완적 역할

분담한다.

④ 정부와 자원 섹터는 다른 이해당사자에게 책무를 가지나,  양자 모두 통합성,  객관성, 

책무성,  개방성,  정직 및 리더십이 필요하다.

⑤ 자원 섹터와 공동체 섹터는 목표달성을 위해 법의 범위에서 캠페인을 할 권리가

있다.

⑥ 정부는 자원 섹터의 재정 지원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⑦ 정부와 자원 섹터는 모든 사람의 기회의 균등을 증진시키는 중요성을 상호 인지한다.

2) 영국 자원봉사활동 전달체계와 주요 조직 현황

(1) 영국 민간 자원봉사 전달체계

l 자원봉사센터(Volunteer  Bureaus)들이 중심이 된 전국-지역 전달체계 l 자원봉사 기관·단체들이 중심이 된 전국-지역 전달체계

(2) 전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National  Council  of  Voluntary  Organizations:  NCVO) l 전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는 1919년에 ‘전국사회서비스위원회’라는 명칭으로 시작 l 영국 민간 최대의 자원봉사 기구(600여 개의 전국 규모 단체들이 회원으로 가입) l 민간단체의 육성·발전,  민 ∙ 관 파트너십 정책 수립 등 보다 넓은 의미의 활동들에 집중 l 영국 자원봉사섹터(voluntary  sector)의 대표기구로 활동

(3) 기타 주요 단체

l 전국자원봉사섹터관리자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Voluntary  Service  Managers: 

NAVSM):  전국 150여 명의 자원봉사 섹터 관리자들의 모임 l 영국자원봉사포럼(UK  Volunteering  Forum):  전국포럼 단체

l 지역사회봉사자(Community  Service  Volunteers:  CSV):  6,000여 명의 노인 자원봉사자

메모 :

28

-----------------------------------------------------Page 32-----------------------------------------------------

자원봉사론

배치사업

3) 영국의 자원봉사 관련 법

­ 「자선법」(1993)  제정에서부터 2011년에 이르기까지:  기부와 자원봉사의 활성을 위해

수차례의 개정안을 제시,  사회변화와 욕구에 대응 ­ 자선법:  자선과 기부의 목적,  활동,  영역을 명시

­ 「자원봉사증진법」(2014)  개정:  자선법과 연동해서 시행

나. 일본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

1) 일본의 자원봉사활동의 역사 전개과정

(1) 도입기

l 메이지유신 이후 신분제 폐지,  교육보급 등 사회적 기반 정비 l 2차 세계대전 후

§ 지역 중심의 자생적 시민활동 대두 § 부상자 및 부랑자의 원호

§ 공동모금,  BBS  운동,  워크캠프 활동과 학생인보관 운동

(2) 형성기

l 경제적 여유와 생활 안정으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심

l 전국부모연락회,  전국중증심신장애인을 지키는 모임 등의 조직화

l 1962년부터 선의은행이 설치되고,  시민 주도의 자원봉사사무국 개설 ž 운영(오사카

자원봉사협회,  후지자원봉사협회,  일본청년봉사협회 등)

l 1968년 전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자원봉사자 육성 기본요강‘  책정,  전국선의은행연락

협의회 발족

(3) 확대기

l 지역주민의 유대관계 와해,  지역사회의 아동,  장애인,  노인 등의 사회문제로 인해 정부

중심의 복지정책

l 후생성,  문부성 등 중앙정부보직이 지원하는 전국자원봉사진흥센터 +  지방자치단체의

보조

(4) 재정립기

l 전국단위의 기본지침 마련 l 기업의 참여 확대

l 자원봉사활동 분야 확대

l 고베대지진의 계기로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와 민·관 협력의 패러다임 변화 l 자원봉사에 대한 사회적 평가 상승

(5) 일본자원봉사의 특징

l 특정 분야의 행정 당국에 의해 지명되어 활동하는 민생위원제도

l 행정 당국이 임명한 자원봉사자가 공공부조,  아동복지,  공중보건,  형 집행 유예자의 보호

및 청소년 업무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한 성격을 가짐

메모 :

29

-----------------------------------------------------Page 33-----------------------------------------------------

자원봉사론

l 일본 후생성은 「자원봉사법」  제정에서부터 자원봉사단체의 관리,  재정지원 등 중앙정부

차원에서 모든 행정업무를 전담

l 지역단위 자원봉사활동의 조정 및 연계 기능은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짐 l 일본 자원봉사는 행정당국의 노력과 민간단체의 활동 간에 유기적 관계를 가짐

2) 일본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1)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l 자원봉사센터 등록 연령:  60대>50대>40대 l 주부,  정년퇴직자 중심

l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증가

§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 경향:  최근 전임화,  상근체제,  유급으로 전환 중

§ 역할:  자원봉사활동의 소개,  정보제공,  상담,  조언,  연수의 소개,  지원 등

l 일본 자원봉사활동 현황

자원봉사

단체 수

단체소속

자원봉사자 수       개인 자원봉사자 수

자원봉사 총

1997년   4월       79.025          5,121,169             336,742 5,457,911 1998년   4월       83,416          5,877,770             341,149 6,218,919 1999년   4월       90,689          6,593,967             364,504 6,958,471 2000년   4월       95,741          6,758,381             362,569 7,120,950 2001년   4월       97,648          6,833,719             385,428 7,219,147

출처 :  이민창 외,  2006.

(2) 활성화 계획

l ‘제1차 자원봉사활동 추진 5개년 계획’ § 전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수립(1993)

§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등의 목표 제시,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확충과 어드바이서

육성 등의 사업 포함

l ‘제2차 자원봉사·시민활동 추진 7개년 계획’ 

§ 2001년 8월 수립

§ 자원봉사활동 추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  추진 방향성에 대한 입장과 구체적

프로그램 명시

§ 중점목표:  ① 시민의 주체적 역량 형성,  ② 친근감 있게,  즐겁게,  활력이 넘치는 활동과 이미지 만들기,  ③ 협동 촉진을 위한 제도 및 조직 만들기,  ④ 기부문화와 사회공헌 마케트 형성

3) 일본 자원봉사의 특징 및 시사점

(1) 특징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33 2023.02.26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3 updatefile 25860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잡담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기본교안 480 2020.07.13
3417 잡담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기본교안 125 2020.07.13
3416 잡담 사회복지정책론 기본교안 66 2020.07.13
3415 잡담 사회복지조사론 기본교안 124 2020.07.13
3414 잡담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기본교안 144 2020.07.13
3413 잡담 지역사회복지론 기본교안 93 2020.07.13
3412 잡담 학점은행제로 물리치료학과가 있다고 해서 알아보고있는데 55 2020.07.14
3411 잡담 학점은행제로 물리치료학과가 있다고 해서 알아보고있는데 56 2020.07.14
3410 잡담 학점은행제로 물리치료학과가 있다고 해서 알아보고있는데 65 2020.07.14
3409 잡담 사회복지학 학교사회사업론 이론 213 2020.07.15
3408 잡담 사회복지사 아동복지론 이론 223 2020.07.15
3407 잡담 사회복지사 학교사회사업론 이론 100 2020.07.15
3406 잡담 사회복지사 사회복지법제 이론 63 2020.07.15
3405 잡담 사회복지사 청소년복지 이론 140 2020.07.15
3404 잡담 이거 밑줄 안쳐져있다면 중복되도 학점인정된단뜻? 3 40 2020.07.16
3403 잡담 이거 밑줄 안쳐져있다면 중복되도 학점인정된단뜻? 3 36 2020.07.16
3402 잡담 이거 밑줄 안쳐져있다면 중복되도 학점인정된단뜻? 3 39 2020.07.16
3401 잡담 학점은행제 수강신청 3 85 2020.07.16
3400 잡담 학점은행제 수강신청 3 78 2020.07.16
3399 잡담 학점은행제 수강신청 3 91 2020.07.16
3398 잡담 매경 시사문제 어떡함? 1 39 2020.07.16
3397 잡담 매경 시사문제 어떡함? 1 37 2020.07.16
3396 잡담 매경 시사문제 어떡함? 1 41 2020.07.16
3395 잡담 네트워크1 컴퓨터네트워크 중복과목 질문 (오피셜) 1 61 2020.07.16
3394 잡담 네트워크1 컴퓨터네트워크 중복과목 질문 (오피셜) 1 55 2020.07.16
3393 잡담 네트워크1 컴퓨터네트워크 중복과목 질문 (오피셜) 1 55 2020.07.16
3392 잡담 대중퇴 산업기사관련 질문 1 59 2020.07.16
3391 잡담 대중퇴 산업기사관련 질문 1 54 2020.07.16
3390 잡담 대중퇴 산업기사관련 질문 1 70 2020.07.16
3389 잡담 낼 소방 시험보는 사람 1 28 2020.07.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