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7 추천 수 0 댓글 0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  차 례 >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 ···················································································································· 1
가.  사회복지의 개념 ················································································································ 2
나.  정책의 개념 ······················································································································· 4
다.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 5
라.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 7
2.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2) ·················································································································· 10
가.  사회복지정책의 특징 ······································································································ 11
나.  사회복지정책의 주체와 객체 ························································································· 12
다.  사회복지정책의 필요성 ·································································································· 13
3.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1) ·················································································································· 17
가.  사회복지정책 역사의 단계 ···························································································· 18
나.  빈민법 시대(1600~1800년대) ···················································································· 19
다.  사회보험 시대(1800~1930년대) ················································································· 21
4.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2) ·················································································································· 24
가.  복지국가 시대(1930~1970년대) ················································································· 25
나.  복지국가의 후퇴기(1970년대 이후) ············································································ 27
다.  복지국가의 재편(1970년대 말 이후) ·········································································· 29
5.  사회복지정책이론 ······························································································································· 30
가.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 31
나.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이론 ······················································································· 34
6.  복지국가이론 ······································································································································· 37
가.  복지국가의 정의 ············································································································· 38
나.  복지국가의 유형 ············································································································· 38
7.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1) ·················································································································· 43
가.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개념 ···························································································· 44
나.  보편주의(universalism)와 선택주의(selectivity) ························································ 44
다.  대상자 선정의 네 가지 원칙 ························································································ 46
라.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사회적 욕구의 개념 ·································································· 47
마.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사회문제의 개념 ········································································ 50
8.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2) ·················································································································· 52
가.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할당원칙 ····················································································· 53
나.  대상 자격조건의 형태 ···································································································· 53
다.  급여 형태 ························································································································· 55
라.  사회적 급여의 여섯 가지 형태 ····················································································· 57
9.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1) ·················································································································· 59
메모 :


사회복지정책론
가.  사회복지재원의 개념 ······································································································ 60
나.  공공부문의 재원 ············································································································· 60
10.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2) ··············································································································· 66
가.  민간부문의 재원 ············································································································· 67
나.  재원조달정책 선택의 기준 ···························································································· 72
다.  민간재원조달의 장점 및 한계 ······················································································· 72
11.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 74
가.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 75
나.  전달체계의 원칙 ············································································································· 75
다.  전달체계의 종류 ············································································································· 76
라.  전달체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9
마.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발전전략 ····················································································· 80
12.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 82
가.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 83
나.  사회복지정책의 과정이론 ······························································································ 83
다.  정책과정의 이해당사자 ·································································································· 85
라.  사회복지정책과정 모형 ·································································································· 89
13.  사회복지정책분석 ····························································································································· 91
가.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 92
나.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 ·································································································· 94
14.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 (1) ·························································································· 98
가.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 99
나.  사회복지정책 형성의 3단계 ·························································································· 99
15.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 (2) ························································································ 106
가.  사회복지정책의 집행 ··································································································· 107
나.  사회복지정책의 평가 ································································································· 108
다.  사회복지와 근로유인정책 평가 사례 ······································································· 110
16.  사회정책과 사회보장 ···················································································································· 113
가.  사회보장과 사회정책 ··································································································· 114
나.  사회보장 ························································································································ 114
17.  사회정책과 사회보험 ···················································································································· 120
가.  사회보험의 개념과 특징 ······························································································ 121
나.  사회보험과 민간보험 ··································································································· 122
다.  사회보험의 원리 ··········································································································· 124
라.  사회보험의 한계성 ······································································································· 125
18.  사회보험정책과 국민연금법 ········································································································· 128
가.  국민연금법의 개념과 특징 ·························································································· 129
나.  국민연금법의 주요 내용 ······························································································ 129
메모 :


사회복지정책론
19.  사회보험정책과 국민건강보험 ····································································································· 135
가.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개념 ···························································································· 136
나.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특징 ···························································································· 137
다.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주요 내용 ·················································································· 138
20.  사회보험정책과 산업재해보상보험 ······························································································ 143
가.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개념과 특성 ··············································································· 144
나.  산업재해보상보험의 특성 ···························································································· 144
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내용 ···························································································· 145
라.  보험료의 산정 ··············································································································· 149
21.  사회보험정책과 고용보험 ············································································································· 150
가.  고용보험제도의 개요 ··································································································· 151
나.  고용보험법의 주요 내용 ······························································································ 152
22.  사회보험정책과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기초연금 ······································································· 158
가.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 ································································································ 159
나.  기초연금 ························································································································ 162
다.  주요 내용 ······················································································································ 164
23.  공공부조정책 (1) ·························································································································· 167
가.  절대빈곤과 상대빈곤의 개념 ······················································································ 168
나.  빈곤의 측정방식 ··········································································································· 169
다.  공공부조정책의 개념 ··································································································· 171
라.  공공부조정책의 원리와 원칙 ······················································································ 172
마.  공공부조와 사회보험개념의 관계 ··············································································· 174
24.  공공부조정책 (2) ·························································································································· 176
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정책의 개념 ···················································································· 177
나.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의 주요내용 ··········································································· 179
다.  자활사업 ························································································································ 184
25.  공공부조정책과 의료급여정책 및 보장시설정책 ······································································· 185
가.  의료급여정책 ················································································································· 186
나.  보장시설정책 ················································································································· 189
26.  사회복지서비스정책 ······················································································································ 192
가.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념 ································································································ 193
나.  영유아 보육서비스정책 ································································································ 193
다.  아동 ·  청소년복지정책 ································································································ 194
라.  장애인복지정책 ············································································································· 196
마.  여성복지정책 ················································································································· 198
바.  노인복지정책 ················································································································· 198
메모 :


1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
가. 사회복지의 개념
1) 어의적 의미
­ 어의적으로 사회복지는 사회(social)와 복지(welfare)의 합성어이다.  ‘social’이라는 단어는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성을 강조한다.  ‘welfare’는 ‘well’과 ‘fare’를 합친 단어이다.  ‘well’은
‘satisfactorily(만족스럽게)’,  ‘successfully(성공적으로)’,  ‘properly(적절하게)’  등의 의미를
가지고,  ‘fare’는 ‘state  of  things(상태)’를 의미한다.  ‘welfare’는 만족스러운 상태,  적절한
상태,  평안한 상태 등의 의미이다. 
­ 사회복지는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모두가 평안하고 만족스러운 상태를 추구한다는
의미 이다.  사회 구성원들이 더불어 행복하게 사는 상태를 의미한다.   
­ 복지(welfare)를 의미하는 평안하고 만족스런 상태는 결코 물질적인 조건이나 환경적인
상황에 의해서만 충족되는 것은 아니다.  신체적·사회적·심리적·정신적·영적 조건 등의 복잡한
요인들에 의해 총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는 부자와 가난한 자 모두를 포함하여 다양한 연령 대상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람들의 사회적·경제적·건강적 욕구뿐만 아니라 여가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자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학자들의 다양한 개념
① Friedlander  :  “사회복지란 인간관계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에 기반을 둔 전문직업적
봉사활동이며,  개인이나 집단 속의 개인을 도와서 그들의 사회적 내지는 개인적 만족과
독립을 성취하도록 하는 서비스와 체계”라고 정의함
② Loewenberg  :  “사회복지는 인간의 정서적 ·  지적 ·  신체적 ·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는 것을 1차적 임무로 하는 사회제도”라고 정의함
③ Bell  :  “사회복지란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대책으로서 법,  프로그램, 
급여 및 서비스이다.”라고 정의함
④ Zastrow  :  “사회복지란 정책과 법에 의거해 있는 사회제도로서 사회복지제도는 개인,  집단, 
가족,  조직,  공동체의 복지(Well-Being)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완화시키며, 
그것의 해결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라고 정의함
⑤ Gilbert와 Terrell  :  “사회복지는 6개의 기본적인 사회제도 즉,  친척,  종교,  직장,  시장, 
상호부조조직,  정부 등의 기능이다.”라고 정의함
l 친척의 부양,  가족간 경제적 지원 기능
l 종교의 신념에 입각한 건강,  교육,  사회복지서비스 기능
l 직장의 고용관련 급여 기능
l 시장의 상업적인 사회복지 상품과 서비스 기능
l 상호부조조직의 자조,  자원봉사,  비영리 사회복지서비스 기능
l 정부의 빈곤정책,  경제적 보장,  보건의료,  교육,  사회복지서비스 기능 등
3) Wilensky와 Lebeaux의 개념
메모 :
2

잔여적 개념
제도적 개념
개인의 욕구는 가정이나 시장에서 충족되므로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됨
개인의 욕구는 산업화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사회경제적 구조의 문제임
문제가 되는 상황은 긴급상황 또는
위기상황임(구호적 성격)
현대사회에서 문제상황은 항상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음
개인이 가진 자원이 모두 소진된 이후에야
사회복지가 제공됨(사후적)
사회복지 급여는 문제가 심각해지기 전에
제공됨(사전적,  예방적)


사회복지정책론
­ 미국의 Wilensky와 Lebeaux(1965)는 사회복지를 잔여적(residual)  개념과
제도적(institutional) 개념으로 구분하였다.  이 두 개념은 철학적으로 정반대의 위치에 있다.   
(1) 잔여적 개념의 사회복지
l 자유주의자들이 지지하는 개념
l 개인의 욕구가 1차적으로 가족이나 시장을 통해 개인의 욕구가
적절히 충족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함
l 구호적 성격 :  가족이나 시장의 기능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그 기능을 대신함
§ 예)  국가가 개입함
ü 가장이 실직이나 병고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ü 시장체계나 경기침체,  그 밖의 요인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l 보충적,  일시적,  혹은 대체적인 성격 :  사회복지는 비상대책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므로
정상적인 사회조직이 다시 제 기능을 발휘하기 시작할 때에는 개입을 중단함
l 사회복지 수혜자는 수혜나 자선을 받는 사람이라는 낙인(Stigma)이 찍힘
l 사회복지의 혜택을 받는 사람은 매우 적은 수가 선별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다른
사람보다 약하고 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비정상적이고 병리적인 사람으로 간주함
l 잔여적 개념의 사회복지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
§ 예)  공공부조 프로그램
(2) 제도적 개념의 사회복지
l 보편주의적 서비스를 지칭함 :  사회복지가 사회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가족과
시장경제의 기능 등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보편적으로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개념
l 사회적 평등에 관한 이론에 근거를 둠
l 그 사회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삶과 건강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제일선의 기능(First 
Line  Function)’을 수행함
l 잔여적 개념의 사회복지가 지니고 있는 자선이나 시혜가 수반하는 낙인이나 수치, 
응급처치적인 요소를 수반하지 않음
l 제도적 개념의 사회복지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
§ 예)  연금제도나 건강보험제도와 같은 사회보험제도
(3) 사회복지의 잔여적 개념과 제도적 개념
메모 :
3

사회복지에는 낙인(Stigma)이 뒤따름
사회복지에 낙인(Stigma)은 없음
사회복지 급여는 문제를 일시적으로 완화시킬
뿐이며,  최후로 기댈 수 있는 자선이나
시혜로서 가급적 단기간에 종결됨(단기적)
사회복지에는 예방과 재활이 제도화되어
있으며,  항구적으로 제공됨(장기적)
자유주의 이념
보편주의 이념

학자
정의
Titmuss(1974)
정책은 주어진 목적을 지향하는 행동을 결정하는 원칙
Pressman  &  Wildavsky(1984)
정책이란 목표 및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지침
Gilbert  &Specht(1974)
정책은 공 ·  사의 기관에 있어 행동의 방향이나 계획의
기초를 이루는 결정과 선택


사회복지정책론
4) Gilbert와 Specht의 사회복지의 개념과 사회제도
(1) Gilbert와 Specht의 사회복지의 개념
l 사회를 유지하는 기본 제도
<제도의 주요 기능>


가족
종교
경제
정치


사회복지







사회화


사회통합


생산․분배․소비


사회통제
상부상조


l 사회가 발전하면서 사회의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사회제도들이 발전함
l 안정된 사회에서 사회제도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킴


(2) 사회제도의 변화


l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의 일반화,  전통적 가족제도의 약화,  지역사회 기반의 소속감의
감소로 인해 사회문제가 증가되어 이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사회제도가 필요하게 됨
l 증가하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복지는 잔여적 개념의 소극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적극적 입장에서의 제도적 관점으로 변화되어 감


나. 정책의 개념


1)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


­ 정책의 개념 또한 사회복지와 마찬가지로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하고 있음


­ 정책이란 ‘공공문제를 해결하거나 목표달성을 위해 정부에 의해 결정된 행동방침’이라고 할 수


있음


2) 정책의 의미


­ 정책의 의미는 다섯 가지로 정의될 수 있음


① 정책결정과 집행의 주체는 정부이다


l 정부란 단순히 행정부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관련해서


메모 :


4

사회복지정책론
국민들로부터 어떠한 형태로든 권위를 부여 받은 모든 국가기관을 말함
l 최근에는 준 정부기관,  시민단체,  자발적 조직 등이 정책결정 및 집행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음
② ‘권위 있는 결정’의 산물이다
l 이 권위는 주권자들에 의해 여러 형태로 부여됨
§ 예)  법,  투표,  묵시적 승인에 의해 부여됨
l 개인이나 민간조직에서는 갖지 못한 합법적 강제력을 수반함
③ ‘행동방침’이다
l 정책내용이라고 하는데 정책,  사업,  사업계획,  정부방침,  정책지침 등과 같이 여러
가지로 표현됨
l 이 행동방침은 정부가 ‘어떤 일을 하겠다’,  또는 ‘하지 않겠다’는 의사표명을 의미
④ ‘공공문제 해결이나 목표달성’과 관련이 있다
l 정부의 중요한 역할은 개인이나 집단수준에서는 해결하기 곤란한 공공문제의 해결에
있음
l 공공문제 해결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지향점이 곧 정책목표
§ 정책은 공공문제의 해결을 통해 정책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행동방침
⑤ ‘미래지향성’을 띈다
l 앞으로 취할 정부의 행동방침으로서 어떤 대상에 의해 의도적 변화를 추구하는 것임
다.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 사회복지정책에 관한 학자들의 여러 가지 정의들을 종합하면 두 가지 입장으로 대별됨
l ‘사회복지’와 ‘정책’의 복합 개념으로 파악하는 입장
l 국가별 차이점에 초점을 두고 사회복지정책을 이해하는 입장
§ 사회복지정책을 시행한 주요 국가들이 사회복지정책을 조금씩 다르게 이해하는 입장
l 사회복지정책에 관한 학자들의 의견이 두 가지 입장으로 대별되기 때문에 사회복지정책을
한마디로 정의하기 힘듦
1)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 +  정책’으로 보는 입장
(1) Titmuss의 정의
l 사회정책이란 사회복지의 체계(A  System  Of  Social  Welfare)로서 ‘국민복지의
증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부의 활동,  정부의 사회복지제도
l 사회복지정책이란 시혜적(Beneficient)이고,  재분배적(Redistributive)이며,  경제적
목적뿐만 아니라 비경제적 목적을 가진 정책
§ 시혜적 사회정책 :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보다 많은 복지혜택을 부여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을 말하는 것
ü 예)  가난한 노동자,  노령연금 수급자,  여성,  박탈된 아동,  빈민 등
§ 재분배적 사회정책 :  물질적 ·  비물질적 자원을 다른 계층에게 이전하는 데 중점을 둔

메모 :
5


사회복지정책론
ü 예) 
v 한 인종집단 → 다른 인종집단
v 일하는 연령층 → 은퇴한 연령층
v 부자 → 빈민
l 재분배적 사회정책을 중시하고,  이타주의와 평등과 같은 진보적 가치를 높이 평가함
(2) Gilbert와 Terrell의 정의
l 미국의 학자인 Gilbert와 Terrell은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와 정책의 복합개념으로
간주함
l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복지에 대한 정책을 의미함
l 사회복지정책의 목적은 사회생활을 영위해 나가는 데 필요한 인간의 기본적 욕구충족과
사회문제 해결
l 사회복지제도 및 프로그램을 만들고 가치를 배분하는 활동을 의미
2) 국가별 사회복지정책의 범위에 대한 차이점
­ 국가마다 사회복지정책의 범위에 대한 차이점은 사회복지정책의 정의를 어렵게 만들고 있음
­ 독일 :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보험과 같은 것으로 보고 있고 있음
­ 영국 :  사회보험은 물론 보건의료정책,  교육정책,  주택정책까지 사회복지정책에 포함시키고
있음
­ 미국 :  사회보장을 사회복지정책의 핵심으로 간주하면서도 민간 사회복지기관의 정책을 매우
중시함
(1) 독일의 사회정책
l 독일은 세계 최초로 사회정책을 시행한 국가이며,  사회정책이라는 용어도 처음 사용함
l Bismarck  사회입법
§ Bismarck(1815~1898)  재상이 주도하여 1880년대 제정한 일련의 사회입법
ü 예)  1883년의 건강보험,  1884년의 산재보험,  1889년의 노령 및 폐질연금 등
§ 국가의 개입을 통해 계급갈등을 예방하고 양자의 조화와 타협을 강조함
l 자본주의의 체제 유지 또는 사회적 질서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권위주의적 국가정책의
성격이 강함
l 독일 사회정책의 목적
§ 계급간의 우호적 관계의 형성
§ 부(不)정의의 배제 또는 경감
§ 분배정의 원리의 실현
§ 하층 및 중간계급의 도덕적 ·  윤리적 향상을 위한 사회입법
l 오늘날에도 독일에서는 노동조건을 규제하는 노동법이 사회복지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l 독일의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보험의 비중이 큼
메모 :
6

독일과 영국의 사회복지정책
미국의 사회복지정책
사회정책을 ‘국가정책’의 하나로 간주함
사회정책으로 서 사회복지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되,  공공(국가)복지뿐만 아니라
민간복지를 강조함

독일의 사회정책
영국의 사회정책
계급정책 ·  노동정책을 강조함
시민의 복지를 중시함


사회복지정책론
(2) 영국의 사회정책
l 유럽대륙 국가들이 사회정책의 ‘정치성’을 강조하는 것과 달리 영국에서는 정치색이 약함
l 사회정책의 범위를 독일이나 미국보다 훨씬 포괄적으로 넓게 봄
§ 사회정책은 소득보장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주택,  교육까지의 사회보장을 포함
l 학문적 독자성을 특징으로 들 수 있음
§ 영국
ü 학문적 연구를 사회복지행정학(Social  Administration)으로 대학에 독립된 학과로
개설되어 있음
§ 유럽대륙 국가
ü 대학에서 사회정책을 독립된 학과에서 다루는 곳은 거의 없고,  사회학과에서
전공과목의 하나로 다루거나 공공보건,  사회사업,  교육 등 전문직업학교에서
다루고 있음
ü 미국에서는 사회복지행정(Social  Welfare  Administration)이란 용어를 사용함
(3) 미국의 사회복지정책
l 민간기관을 강조하는 입장 :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  1995)
§ 사회복지정책이란 정부와 민간기관의 공식적으로 명시된 법,  시행규칙,  조례에 근거를
두고,  법적 판결로 뒷받침되는 활동 원칙,  계획,  절차
l 사회복지정책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입장 :  Dolgoff와 Feldstein
§ 사회복지정책이란 공공부문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을 포함하지만,  대부분은 정부가
결정하며,  정부는 사회복지 관련자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관료조직과 프로그램을
조직하며,  급여를 배분하고 재정에 필요한 세금을 징수함
라.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1) 학자들의 견해
­ Townsend 
l 사회복지정책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소득보장,  건강,  교육,  주택,  그리고 대인적
사회서비스 등으로 봄
­ Marshall
l 사회정책이란 “시민들에게 소득이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의 정책”
l 사회복지정책의 다섯 가지 영역:  소득보장,  보건․의료,  대인적 사회서비스,  교육,  주택
메모 :
7

소극적 노동시장정책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노동시장에서 일자리를 잃은 실업자를
대상으로 소득을 보장해주는 정책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취업알선,  교육,  훈련 등의 정책

사회보험방식
국민보건서비스 방식
한국,  독일,  일본,  브라질,  오스트리아, 
스페인,  벨기에 등에서 채택하고 있음
영국 및 유럽 여러 나라에서 채택하고
있음


사회복지정책론
2) 사회복지정책의 의미
(1) 광의의 의미
l 사회적 약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조세정책, 
노동정책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
l 조세정책의 목적 :  조세의 징수규모와 징수방식을 조절하여 재원확보와 경제의 안정 및
성장을 그 목적으로 함
l 노동정책의 목적 :  노동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노동시장과 관련된 불이익을
해소하고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하는 것
§ 예)  고용정책,  노사정책,  임금정책,  사회보장,  산업복지 등
l 노동정책 :  소극적 노동시장정책과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2) 협의의 의미
l 가난한 사람,  노인,  병자들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소득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5가지 영역이 포함됨(소득보장,  건강보장,  대인적 사회서비스,  교육, 
주택정책 등) 
l 소득보장정책
§ 노령 ·  사망 ·  장애 ·  실업 ·  질병과 사고,  저임금의 위험 등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소득원이 상실되었을 경우,  국민이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소득을 국가가
일부 또는 전부를 보장해주는 것
§ 예)  사회보험,  공공부조와 각종 수당제도 등
l 건강보장정책
§ 국민이 겪을 수 있는 사회적 위험으로서의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포괄적
의료서비스를 국가 책임 하에 실시하여 국민의 건강한 삶의 유지를 돕는 것
§ 예)  국민건강보험,  의료보호 및 부조,  보건의료서비스 등
§ 건강보장의 유형
l 주택보장정책
§ 주거권은 인간다운 기본적 생활을 위한 인간의 필수 권리임
§ 주택문제의 가장 큰 피해자는 저소득층이 주 대상이며,  공적인 개입으로 국가가
주거권을 보장함
§ 예)  철거정비 및 재개발,  주택구입을 지원하는 주택담보대출제도,  공공임대주택, 
국민주택,  보금자리주택 제공,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
메모 :
8

정책영역
사회복지정책의 내용
광의
영역
조세정책
소득공제,  조세감면,  부의 소득세 등
노동정책
고용정책,  노사정책,  임금정책,  교육․훈련정책 등
협의
영역
소득보장정책
사회보험,  공공부조,  각종 수당제도 등
건강보장정책
국민건강보험,  의료보호 및 부조,  보건의료서비스 등
주택정책
주택담보대출제도,  공공임대주택,  국민주택,  보금자리주택 등
대인적
사회서비스 정책
아동복지,  여성복지,  장애인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 
다문화가정복지 등
교육정책
영․유아보육,  학비지원,  학교급식 지원,  사회적 배려자 지원 전형 등


사회복지정책론
l 대인적 사회서비스
§ 예)  사회적 약자(아동 ·  청소년 ·  노인 ·  여성 ·  장애인 ·  다문화가족)  등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정책 등
l 교육정책
§ 국민의 인적자원으로서의 잠재력과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적절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교육받을 기회,  과정,  결과 등을 보장함으로써 교육의 불평등을 해소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함
§ 예)  교육접근 기회의 확대,  교육환경의 개선,  정부의 교육재정 확대,  특수교육 활성화, 
사회 교육의 활성화,  영 ·  유아보육,  저소득 중 ·  고등학생의 학비지원,  사회적 배려자
지원 전형,  학교급식,  산업체 부설학교 지원 및 각종 장학제도 등
(3)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메모 :
9


1주차 2차시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2)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단기적 재분배
장기적 재분배
현재를 기준으로 사회적 욕구의 충족을 위해
자원에 대한 소득재분배
생애에 걸쳐 발생하는 재분배

경제정책의 목표
사회복지정책의 목표
재화의 생산을 통한 소득의 증대
소득의 재분배


사회복지정책론
2.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2)
가. 사회복지정책의 특징
1) 인간의 존엄성 존중
­ 인간의 존엄성을 기본 가치로 하는 인간지향적인 정책임
­ 사회복지정책의 목적 :  누구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켜나가면서 인간으로서 대우받을 수
있는 생활을 보장하는 데 있음
­ 사회복지정책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당하거나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
2) 정치적 사상에 기초
­ 사회복지정책은 국가에 의해서 사회의 자원을 배분하는 일련의 행위
l 배분행위는 그 사회가 기초한 사상은 어떠한가에 따라 좌우됨
­ 그 사회에서 자원을 갖게 되는 것은 시장논리에 의해서라기보다
정치논리에 달려 있음
l 예)
§ 자본주의 경제체계 → 시장논리,  이익 추구
§ 사회복지 ≠  시장논리
­ 사회복지정책은 시장논리보다는 정치적논리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음
l 예)
§ 자유주의 → 개인의 이익과 권리를 중시하고,  시장논리에 의해 좌우되고 최소한의
정부의 개입이 있음
§ 사회주의 → 개인보다는 전체 사회의 이익을 중시하고,  적극적인 정부의 개입에 의해
좌우됨
3) 소득의 재분배
­ 사회복지정책은 소득의 재분배 정책으로서의 성격을 지님
l 경제정책과 사회복지정책의 비교
l 소득의 일방적 이전 :  경제시장의 원리는 대등교환에 의한 쌍방적 이전을 전제로 한
교환관계가 성립하나,  사회시장에서는 능력이 없는 자에 대한 급부에 의한 분배 즉,  ‘가진
자(The  Haves)’로부터 ‘못 가진 자(The  Have  Not)’로의 소득의 일방적 이전을 주요
내용으로 함
­ 소득 재분배의 구분1  :  일어나는 시간 기준
메모 :
11

수직적 재분배
수평적 재분배
상위 소득계층으로부터 하위 소득계층으로의
재분배
동일 소득계층 내에서의 재분배

분류
성향
제도
세대 간 재분배(장기적 재분배)
근로세대 → 노령세대
부과방식의 연금제도
세대 내 재분배
수직적 재분배
고소득층 → 저소득층
공공부조제도
수평적 재분배
위험미발생세대
→ 위험발생세대
사회보험제도


사회복지정책론
l 예)
§ 단기적 재분배 :  공공부조
§ 장기적 재분배 :  적립방식의 연금
→ 개인이 생산능력이 있을 때,  소득의 일부를 적립해 놓았다가 정년퇴직 후 적립한
돈을 연금으로 되돌려 받는 방식으로,  개인으로 보면 청년기에서 노년기로 소득을
재분배하는 것임
­ 소득 재분배의 구분2  :  사회계층구조의 흐름에 따라
l 예) 
§ 수직적 재분배 :  공공부조
→ 국민이 부담하는 조세로 재정을 충당하고,  빈민에게만 급여를 제공함
§ 수평적 재분배 :  가족수당
→ 재원은 조세로 전 국민이 공동으로 재원을 부담하되 급여는 부양가족이 있는
가족에게만 제공함
→ 동일 소득계층 내에서 자녀가 없는 사람으로부터 자녀가 있는 사람으로 소득이
이전됨
­ 소득 재분배 유형
4) 경제성장과 안정에 기여
­ 사회복지정책은 경제성장과 안정에 기여함
­ 일반적으로 사회복지는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음
l 예) 
§ 건강과 보건,  교육,  주택,  사회복지서비스 → 빈민계층,  노동자의 복지수준 향상에 의해
노동의 질이 제고되고 경제성장과 안정에 기여함
§ 지역개발정책 → 정부가 특정 지역을 개발하면 그 지역의 고용률을 증가시켜
경제성장에 기여함
나. 사회복지정책의 주체와 객체
1) 사회복지정책의 주체
­ 사회복지정책의 주체란 사회복지정책을 형성하고 집행하는 기관
­ 국가를 비롯하여 지방자치단체,  공공 사회복지기관,  민간 사회복지기관,  비정부단체(NGO), 
메모 :
12

좁은 의미의 사회복지 대상
넓은 의미의 사회복지대상
기초적인 생활능력이 없는 저소득층,  아동, 
노인,  장애인,  실업자,  부랑인 등을 의미함
현재 기본적인 생활능력이 없는 계층 뿐
아니라 앞으로 생활의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대상까지 포함함 → 모든
국민


사회복지정책론
협동조합,  종교조직,  민간단체,  기업,  개인 등이 포함됨
l 각각의 개별 주체들이 단독으로 주체가 될 수도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 등이
공동으로 주체가 되기도 함
­ 사회복지정책의 주체를 정의하는데 있어 정책결정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지,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지에 따라 권위적 가치배분활동의 범위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
­ 사회복지정책 형성의 일부 단계까지는 비정부기구의 영향력이 작용할 수 있으나,  정책 의제가
형성된 후 정책결정과정에서는 합법적인 권위가 부여된 정부의 역할이 매우 큼
­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이 사회복지 주체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
l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과 같은 공공적 성격을 갖는 민간법인이나 단체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을 받아 사회복지사업의 직접적 담당자가 되고 있음
­ 최근 사회복지정책의 주체
l 주체와 재정의 측면에서 공공과 민간을 나누지 않고 다양한 주체들이 개발되고 있음
l 협력하는 복지 혼합주의 또는 복지 다원주의가 점차 강조되고 있음
§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혼합된 형태인 제3부문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2) 사회복지정책의 객체
­ 사회복지정책은 다음과 같은 개인 또는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문제상황을 예방하거나 사후
문제상황의 극복을 지원하는 사업체계임
l 정상적인 일반생활의 수준에서 일탈하였거나 또는 그러한 위험이 있는 불특정 개인 또는
가족
l 즉,  빈곤 ·  실업 ·  장애 등이 원인이 되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없거나 그러한
위험이 있는 사람 또는 가족
­ 사회복지사업의 대상은 모든 국민
l 사회복지사업의 대상에 대한 문제는 국가가 사회복지의 대상으로 ‘국민의 어떠한 상태’를
설정하느냐 하는 데에 있음
l 대상을 전 국민으로 규정할지라도 국가가 각  개인의 복지 전체를 책임져야 하는 것은 아님
­ 사회복지정책의 객체란 복지정책이나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하고 정책이나 프로그램으로부터
혜택을 받아야 할 대상임(Target  Group)
­ 사회복지정책의 대상을 일률적으로 규정하기는 어려움
l 일반적으로 각각의 사회복지정책이나 프로그램의 성격,  목적에 따라 그 대상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음
다. 사회복지정책의 필요성
메모 :
13


사회복지정책론
1) 국가 주도의 사회복지정책의 배경
­ 복지국가는 평등,  소득의 재분배,  인간의 존엄성,  사회구성원의 유대 등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사회복지의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
­ 사회적 재화나 사회복지서비스는 시장이나 가족에 의한 제공보다 국가가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
l 시장에서는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합리적 선택을 바탕으로 하는 자유경쟁의 기제에 의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지만,  시장에서 재화는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기 때문임
­ 시장에서 재화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조건
① 재화가 공공재(Public  Goods)가  아닌 사유재(Private  Goods)여야 함
② 그 재화의 외부효과가 발생하지 않아야 함
→ 경제활동의 효과가 당사자 간에 국한되어야 함
③ 그 재화에 대해 수요자와 공급자가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함
④ ‘규모의 경제’  효과가 적어야 함
l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
§ 각종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익이 증가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대량생산에 의하여 단위 당 비용을 줄이고 이익을 늘리는 방법임
§ 대량생산하는 대기업에 유리하여 효율적 배분을 방해함
­ 시장에서 재화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하는 한계
l 시장에서 재화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재화의 배분이
비효율적으로 되어 사회구성원들이 원하는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음
­ 국가가 개입하여 이러한 ‘시장의 실패(생산-소비-분배의 실패)’를 해결할 수 있고 이 결과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자원의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음
­ 사회복지의 재화나 서비스는 공공재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제공함으로 인한
외부효과가 큼
l 외부효과 :  경제활동에 관련하여 경제 주체가 시장을 통하지 않고 대가의 교환 없이
무상으로 다른 경제 주체에 이득이나 손해를 끼치는 것
l 외부효과의 구분 :  긍정적 외부효과 /  부정적 외부효과
§ 예
ü 긍정적 외부효과 :  주변에 공장이 철거되고 공원이나 도서관이 들어서면 이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쾌적한 주거권을 보장 받고,  집값 상승의 이득을 볼 수 있음
ü 부정적 외부효과 :  폐수방류나 매연에 의한 공기오염 등
2) 국가 주도의 사회복지정책의 필요성
­ 국가 주도 사회복지정책 필요성의 6가지 측면
① 공공재(Public  Goods)
l 정부재정에 의하여 공급되어 모든 개인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
l 사회구성원 각자가 생산에 기여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모든 구성원들이 공공재를
메모 :
14

비경합성
­ 추가적인 소비에 대하여 다른 사람의 소비 가능성이 줄어들지 않는

­ 소비하는 사람이 아무리 많아도 한 사람이 소비할 수 있는 양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비배제성
­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사람이라 하여 사용에서 배제할 수 없는 것
­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똑같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요금을 지불하지 않았다 해도 그 서비스를 받지 않도록
제외시킬 수 없음
­ 공공재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무임승차가 가능할 수도 있음

긍정적
외부효과
­ 경제 주체의 행위가 의도와 관계 없이 다른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경우
­ 어떤 사람의 행위를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어떤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도 이득을 보는 것
­ 예)  사회간접자본인 도로나 주변의 녹지시설,  가로등 등
부정적
외부효과
­ 경제 주체의 행위가 의도하지 않게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
­ 예)  자동차 대기오염,  수질오염,  공공재 남용 등


사회복지정책론
활용할 수 있음
l 공공재의 특성
l 공공재는 자발적 시장구조에 의해 제공되기는 어려움
→ 국가가 세금을 징수하여 공공재로 국민 모두에게 제공하여야 함
②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
l 대규모 경영에 따른 관리비 절감의 이익 등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의미
l 사회복지정책에서는 재화나 서비스를 국가가 직접 제공하는 것이 단위당 비용이 적게
들어 효율적임
l 민간부문의 여러 공급자들에 의하여 사회복지재화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보다,  국가가
개입하는 것이 거래 비용을 줄일 수 있음
③ 외부효과(External  Effect)
l 어떤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게 의도하지 않은 혜택이나 손해를 가져다
주면서도 이에 대한 대가를 받지도 않고 비용을 지불하지도 않는 상태
l 외부효과의 구분
l 긍정적 외부효과가 큰 경우 국가가 직접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음
l 부정적 외부효과는 국가가 규제하거나 별도의 세금으로 그 비용을 거두는 것이
일반적임
④ 역의 선택(Adverse  Selection)
l 시장 참가자들에 대한 정보가 불완전한 것을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속이거나
위장 사고를 일으켜 보험금을 타내려는 의도로 보험에 가입하는 행위 등을 말함
l 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사람만 보험에 집중적으로 가입하게 됨
§ 위험확률이 높아지고 보험료가 인상되는 악순환이 발생함
§ 위험이 분산되지 않게 됨
메모 :
15


사회복지정책론
l 역의 선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 국가가 나서서 국가구성원 전부를 강제로 가입하게 함 → 사회보험의 형태로 실시함
⑤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l 어떤 행위에 관해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현상
§ 예)  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위험 발생을 예방하고 회피하는 행위를 적게 하여
위험발생률이 높아지며 결과적으로 보험료는 높아질 수 밖에 없음
l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  서로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행위를 조정 · 
통제해야 함
l 시장기제에서는 정보를 구하기도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국가가 집단적 혹은
강제적으로 사회복지정책을 실시함
l 건강보험,  산업재해보험에서 고의행위 ·  자해행위 ·  범죄행위 등의 경우에는 보험급여를
지급하지 않음
⑥ 정보의 비대칭성(Asymmetry  of  Information)
l 시장에서의 각  거래주체가 보유한 정보에 차이가 있을 때,  불균등한 정보구조를 뜻함
l 시장에서 특정 재화가 효율적으로 교환되기 위해서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함
§ 어느 한쪽이 상대방보다 정보가 많으면 한쪽은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음
l 보험가입자 입장에서 사고가 날 확률이 높은 사람만 보험에 가입한다면?
§ 도덕적 해이와 역의 선택 문제를 유발함
l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l 국가가 정책적으로 개입 → 사회보험을 임의가입이 아닌 강제가입 형태로 제도화함
메모 :
16


2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1)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단계
대상자
복지 주체
대상 욕구
빈민법
걸인,  부랑자,  구제
가치가 있는 빈민
국가,  교회, 
봉건영주
최소한의 생존
사회보험
노동자 계급
국가,  노동조합
산업화 ·  도시화로 인한 사회적 위험에
대한 최소한의 지원

정책의 대상
정책의 시행 주체
걸인과 부랑자 및 생계능력이 없는 빈민
국가,  교회,  봉건영주

정책의 대상
정책의 시행 주체
노동자 계급
행정 책임자인 국가와 대상자들의
대변자인 노동조합

정책의 대상
정책의 시행 주체
전 국민으로 확대
국가와 시민단체


사회복지정책론
3.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1)
가. 사회복지정책 역사의 단계
1) Ferge의 사회복지정책 역사 3단계 :  빈민법 단계 ­  사회보험 단계 ­  복지국가 단계
(1) 빈민법 단계
l 빈민법은 유럽 중세 절대왕정시대의 국가정책임
l 대상자와 주체
l 대상자의 욕구는 최소한의 생존에 국한되었음
l 부랑자와 빈민을 시설(구빈원,  작업장)에 수용하였고 주거가 있는 빈민에게는 구호금품을
제공함
(2) 사회보험 단계
l 1880년대 독일 비스마르크 ‘사회입법’에서 시작됨
l 대상자와 주체
l 대상이 되는 욕구는 산업화 ·  도시화로 인한 사회적 위험,  즉 산업재해,  실업,  질병, 
노령화 등이 해당됨
l 사회보험에 가입하여 보험료를 부담함으로써 수급권을 보장받았음
(3) 복지국가 단계
l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에서부터 시작됨
l 대상자와 주체
l 대상이 되는 욕구 역시 국민최저생계비 이상으로 확장됨
l 직업보장,  즉 완전고용과 복지의 관련성이 중시됨
l 시민들의 복지수급권,  즉 시민권이 완전히 보장됨
(4) 사회복지정책의 3단계
메모 :
18

복지국가
시민,  개인
국가,  시민단체
국민최저생계비 이상, 
직업보장(완전고용)과 복지의 관련성 중시

노동능력이
있는 빈민
교정원이나 작업장에서 일정한 노동에 종사시키고,  거부 시에는
처벌 혹은 투옥함
노동능력이
없는 빈민
노인,  만성병자,  맹인,  정신병자 등과 같이 노동능력이 없는 빈민은
구빈원에 수용함
요보호
아동
돌보아 줄 사람이 없는 요보호 아동은 가정에 위탁하거나
도제생활을 함


사회복지정책론
나. 빈민법 시대(1600~1800년대)
1) 영국의 구빈정책
(1) 영국 구빈법 제정의 시대적 배경
l 16세기 전반부터 영국에서 빈민문제가 사회문제로 나타나게 됨
§ 14세기 중엽 전 유럽을 휩쓴 흑사병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감소되고,  그 결과
노동력이 부족해짐
§ 영국 양모산업의 발달에 따라 경작지를 목축지로 전환하는 엔클로저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농촌의 농노들이 빈민화됨
§ 산업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한 봉건사회의 붕괴와 사회적 무질서가 초래됨
l 영국 최초의 구빈법적 통제 :  노동자 조례(1349년 제정)
§ 노동자 조례
ü 당시 유럽을 휩쓴 흑사병과 흉작으로 인한 인구감소로 임금이 상승함
ü 교구의 노동력 확보를 위하여 자신의 교구를 벗어나는 사람들에게는 가혹한
체벌을 가하여 빈민들의 지리적 이동을 감소시킴
l 1388년 제정된 빈민법은 구걸행위에 대한 일종의 면허제를 실시함
(2) 엘리자베스 구빈법(1601)
l 구빈법이란
§ 14세기부터 나타난 영국의 빈민에 대한 제반법령을 체계화시킨 것
§ 구빈의 책임을 교회가 아닌 국가가 복지의 책임을 인정하기 시작한 것이
사회복지정책의 효시임
l 구민법의 특징
§ 교구단위로 구빈행정을 담당하는 2~4명의 빈민 감독관을 배치함
§ 목적세의 성격을 갖는 별도의 구빈세를 과세하여 빈민구제의 재원을 국가의 조세로
충당함
§ 노동능력을 기준으로 빈민을 분류함
l 엘리자베스 구빈법 이전에는 빈민은 자선의 대상이었으나 이후에는 통제와 억압의
대상이 됨
l 빈곤은 개인적 결함에서 비롯된다는 ‘개인주의적 죄악관’에 근거하여 빈민을 징벌적
메모 :
19


사회복지정책론
방법으로 관리함
(3) 정주법(1662)
l 정주법의 제정목적 :  빈민의 소속교구를 명확히 하고 도시로 유입하는 빈민을 막기 위해
제정함
l 빈민들의 거주지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고,  해당 교구에서만 구호를 받을 자격을 부여함
l 낮은 임금으로 노동력을 얻고자 한 자본가들의 이익을 대변한 법으로 노동력이 부족한
지방의 산업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4) 작업장법(1722)
l 작업장법의 제정목적 :  노동능력이 있는 빈민을 구제하는 대신 강제노동을 통하여
국가적인 부를 증대하고자 함이며 거부 시 구제를 중단함
l 구빈감독관과 교회 집사들에게 민간이 작업장을 건립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함
l 민간 작업장은 적은 시설투자로 많은 이윤을 내려고 하였기 때문에 작업장 시설이
비위생적이고 열악하였음
l 오늘날의 직업보도 프로그램이나 자활 프로그램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제도임
(5) 길버트법(1782)
l 길버트법의 제정목적 :  구빈행정의 합리화와 빈민처우의 개선을 목적으로 길버트가
제안함(인도주의적 구빈제도임)
l 작업장보다는 원외구호를 실시하여 거택구호제도의 효시가 되었음
l 소득이 있더라도 생활이 어려운 경우,  필요한 만큼의 액수를 지원함으로써 노동자의
저임금을 보충해 주는 ‘임금보조제도’의 법적 기초가 되었음
(6) 스핀햄랜드법(1795)
l 스핀햄랜드법의 제정목적 :  버커셔 주 스핀햄랜드 지역에서 제정된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함(최초의 가족수당제도임)
§ 빵 가격과 가족의 수에 따른 생활비를 고려하여 노동임금의 부족분을 보충해 주었기
때문에 ‘버커셔 빵 법’이라고도 함
l 임금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임금의 인상 대신 구빈세로부터 보조금이 지급되어
결과적으로 고용주의 저임금 지불을 합법화함
l 무거운 구빈세를 부담해야 했던 소규모 소작농과 영세토지보유자에게 큰 부담을 줌
l 오늘 날의 가족수당 또는 최저생활보장의 기반이 되었음
(7) 개정구빈법(1834)
l 개정구빈법의 제정목적 :  증가하는 구빈비용을 감소시키고자 제정함
l 빈민의 구제는 도덕심의 퇴폐현상을 가져온다고 보고 빈곤의 문제는 개인의 도덕적
문제나 나태에 있으므로 개인이 책임지도록 자율에 맡겨야 함
메모 :
20


사회복지정책론
l 개정구빈법의 구빈행정체제 3원칙
① 열등처우의 원칙
§ 자활의 최하급 노동자의 생활조건 보다 높지 않은 수준에서 보호함
§ 최저임금 >  빈민구제의 수준
§ 오늘날의 공공부조제도의 급여방식과 같음
② 작업장제의 원칙
§ 노약자,  질병자 등인 경우 이외에는 원외구호를 폐지하고 원칙적으로 작업장을
수용함
③ 전국통일의 원칙
§ 런던에 중앙감독청을 두고 교구단위의 구호행정을 구빈연합구로 통합함
§ 전국적으로 빈민구제는 균일처우의 원칙을 적용함
2) 독일의 구빈정책
­ 독일은 영국 다음으로 사회복지의 역사가 오래 되었음
l 독일은 중세시대인 15세기 말~16세기 초부터 사회복지정책이 실시되었음
l 구빈제도는 교회나 수도원에 위임하여 이루어졌음
(1) 노동의 집(1630년 경)
l 노동의 집의 설립목적 :  걸인과 부랑자들에게 노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의
목적으로 설립됨
§ 사회통제정책으로써 아동,  빈민,  병자,  장애인,  범죄자 등을 수용함
(2) 함부르크 구빈정책(1788년)
l 함부르크 구빈정책의 시행목적 :  교회의 무질서한 자선활동을 배제하고,  효과적 지원을
통하여 걸인 및 부랑자의 감소를 목적으로 함
§ 독일 함부르크 시에서 시작된 구빈제도임
§ 구빈자의 욕구와 자원에 대한 개별화된 조사에 근거하여 노동 가능한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함
(3) 엘버펠드 구빈정책(1852년)
l 함부르크 구빈정책의 시행목적 :  엘버펠드 시에서 함부르크 구빈정책의 미비점을 수정 · 
보완하여 시행함
§ 구빈정책의 필요한 재원은 공공조세에 의해 마련함
§ 이 제도는 장차 영국의 자선조직협회에 영향을 주었음
다. 사회보험 시대(1800~1930년대)
1) 영국의 사회보험정책
­ 실업노동자법(1905년)
메모 :
21


사회복지정책론
l 실업자에 대하여 급여를 실시함
­ 노령연금법(1908년)
l 70세 이상 고령자 중 자산조사와 도덕성 조사를 통해
대상자를 선정함
l 중앙정부가 조세를 통해 기여분 없이 생계비를 지급하였다는 점에서 파격적인 입법임
l 낙인을 없애기 위해 연금은 우체국을 통해 지불함
­ 구빈법 보고서(1909년)
l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영국은 사회주의 사상이 대두되어 노동운동이 전개됨
§ 빈곤으로부터 해방하기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확립이 필요하게 됨
l 자립하여 살아가려고 노력하는 빈민이 건달,  취업불능자 등으로 전락하여 사회혁명적
투쟁에 동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유인책으로 사회보험정책이 수립됨
­ 국민보험법(1911년)
l 영국 최초의 사회보험법
l 전국 단일 국가보험 형태로 정착함
l 국민보험은 건강보험과 실업보험으로 구성됨
l 보험료는 기여제로 노동자와 고용주,  국가가 나누어 부담함
2) 독일의 사회보험정책
­ 1870년에서 1920년까지 각종 사회복지정책의 기본적 틀을 형성함
­ 비스마르크는 사회주의 운동 가담자들을 엄하게 진압하기 위해 ‘사회주의자탄압법’을
제정함(1878)
l 철혈재상으로 불리는 비스마르크는 ‘채찍과 당근’  정책을 시행함
§ 채찍과 당근 정책 :  강경책과 회유책으로 국가가 보호자로 자처하고 경제적 약자인
노동자 계급을 체제 내로 끌어들이고자 사회보험제도들을 도입함
­ 구제의 대상이 되었던 과거의 정책들과는 달리 사회보험료를 납부하고 법적 청구권을 가지게
된다는 점에서 자선이 아닌 권리로서의 복지제도를 도입함
­ 세계 최초의 사회보험법인 질병보험법(1883)이 제정되었으며,  산업재해보험(1884), 
연금보험(1889)  등의 사회보험제도가 도입
① 질병보험법(1883년)
l 비스마르크의 사회보험 입법 가운데 가장 먼저 제정된 사회보험으로 세계 최초의
사회보험임
l 질병에 걸린 노동자에 대해 치료하여 주고 질병수당을 지급하는 의료보험제도임
l 광산이나 공장,  철도,  수공업 등에 종사하는 모든 저소득 노동자에게 강제적으로 적용함
② 재해보험법(1884년)
l 노동자에게 발생하는 재해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질 것을 규정함
l 가입 대상 :  광산,  공장,  건설업 등에 종사하는 저소득 노동자들에게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함
③ 폐질 및 노령연금법(1889년)
메모 :
22


사회복지정책론
l 가입 대상 :  모든 저소득 노동자들에게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함
l 노동이 불가능하게 된 노동자에게는 폐질연금을,  70세에 달하는 노동자에게는
노령연금을 지급함
④ 제국보험법(1911년)
l 질병보험법,  재해보험법,  폐질 및 노령연금법을 통합함
l 가입대상을 확대함
메모 :
23


2주차 2차시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2)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4.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2)
가. 복지국가 시대(1930~1970년대)
1) 복지국가 시대로의 진입
­ ‘복지국가’라는 용어의 탄생 :  영국의 켄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템플(William  Temple)의 저서
「시민과 성직자」(1941)에서 가장 먼저 사용함
­ 복지국가로의 진입
l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노동자 계급과 시민 계급의 힘이 강해짐
l 이들의 다양한 요구를 국가가 수용하게 되면서 복지국가로 진입함
­ 복지국가의 팽창기
l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1970년대 중반까지는 복지국가의 팽창기에 해당함
l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에서 처음 등장하여 점차 서유럽 전체로 확산됨
§ 복지국가
ü 복지국가는 사회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사회적 연대,  소득과 부의 평등, 
사회보장을 추구함
ü 복지를 시혜가 아닌 시민의 권리로 인정하였고,  시민들의 복지 수급권이 보장됨
ü 사회문제의 해결보다는 욕구 충족을 중요시 하게 되어 소득보장,  보건의료,  주택, 
교육에 이르기까지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다양화됨
­ 복지국가의 황금기(영국)
l 2차 세계대전 후 특히 1951년부터 1970년까지는 영국 복지국가의 황금기였음
l 세계 경제의 유례없는 호황 국면 → 노령연금,  의료보험,  산재보험,  실업보험,  아동수당, 
국민부조 등 사회보장제도의 수혜범위와 급여수준이 확대되고 체계화 됨
2) 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
(1) 배경
l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으로 인해 심각한 주택문제,  식량문제,  연료문제 등
사회문제가 일어남
l 사회보장정책의 확립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이루게 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전후의
사회발전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영국에서는 베버리지 보고서가 출현하였음
(2) 베버리지 보고서(1942년)
l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발표되었으며,  영국 사회복지제도의 기반이 됨
l 1946년의 국민보험법과 1948년의 국민부조법의 기초가 되었고 영국의 사회보장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종합계획이었다.
l 영국의 발전을 가로막는 사회문제의 5대 악으로 빈곤,  질병,  무지,  불결,  나태를
제시하고 이 5대 사회악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빈곤을 제거하기 위한 계획의
필요성을 강조
l 핵심 이념 :  보편주의와 국민최저선(A  National  Minimum)
메모 :
25

보편주의
국민최저선
모든 시민을 포함하여,  동일한 급여를
제공하여 빈민에 대한 자산조사를 없애자는
관념
최저생계비 원칙으로 국민들의 자조를
위해서 사회보장 급여는 기본적 욕구만
충족시켜야 하고,  그 이상은 개인과 가족의
노력에 달려 있음


사회복지정책론
l 사회보험제도의 개혁을 주장하며,  6개의 운영원칙을 제시함
① 균일급여의 원칙 :  실업 ·  질병 ·  퇴직 등 소득중단을 야기하는 사회적 위험의 성격에
관계 없이,  과거 소득이 많고 적음에 상관 없이,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국민최저선은 모든 국민에게 동일함
② 균일기여의 원칙 :  소득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보험료가 동일함
③ 행정책임통합의 원칙 :  사회보장성을 신설하고 지방마다 단일한 행정국을 설치하여
행정책임을 통합함
④ 급여의 적절성의 원칙 :  급여 수준과 급여 지급기간은 충분한 정도가 되어야 함
⑤ 적용 범위의 포괄성의 원칙 :  사회보험은 노동자 집단 뿐만이 아니라 자영업자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사회적 위험을 모두 포괄해야 함
⑥ 피보험자 구분의 원칙 :  노인,  아동,  자영업,  피용자,  주부,  무직자 등 6가지 범주로
대상을 나눔
l 사회보험의 성공을 위해서는 3가지 기본 전제조건이 필요하다고 주장함
§ 가족 수당,  포괄적인 보건서비스,  완전고용
l 베버리지 사회보장 계획은 ‘요람에서 무덤까지’의 사회보장이라고 표현되며,  베버리지
보고서는 서유럽 복지국가의 청사진이 되었음
3) 미국의 뉴딜정책
(1) 사회적 배경
l 미국은 경제의 자동회복력 관념에 입각한 자유주의 경제사상이 지배하였음
→ 국가가 국민 개개인의 사회경제생활에 관여하지 못함
l 대공황 촉발(1929)  :  시민들의 경제적 생존권을 심각하게 위협했으나,  총체적 위기에
대응하는데 개인주의적 자유경제체제는 매우 무기력하다는 관념의 변화가 일어남
l 1935년 6월,  사회보장법(Social  Security  Act)을 제정함
§ 대공황으로 인한 심각한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제정됨
§ 세계 최초로 ‘사회보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 루스벨트 정부의 사회보장법은 국가의 사회경제적 간섭을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미국의 사회복지 역사에 분수령이 됨
l 사회보장법은 미국 사회복지정책의 근간이 됨
§ 사회보장법의 구성
ü 연방정부가 관장하는 노령보험
ü 주정부가 관장하고 연방정부가 재정을 보조하는 실업보험
ü 주정부가 관장하고 연방정부가 재정을 보조하는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
메모 :
26


사회복지정책론
l 연금제도에 있어 노령연금과 실업보험(1935년),  유족연금(1939년),  장해연금(1956년)이
각각  추가되어 완벽한 종합보험 형태를 가지게 됨
l 미국은 1960년대에 빈곤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함
§ 존슨 대통령의 ‘빈곤에 대한 전쟁’  선언
ü 공적부조제도에 대한 개혁을 추진함
ü 빈곤가정 어린이의 조기 두뇌개발을 위한 헤드 스타트(Head  Start)  프로그램을
도입함
(2) 미국 뉴딜정책의 특징
l 미국 32대 대통령 루즈벨트(F.  D.  Roosevelt)가  1933년~1936년 동안 대공황으로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뉴딜(New  Deal)  정책의 일환으로 사회복지정책을 전개함
l ‘뉴딜(New  Deal)’이라는 용어는 1932년에 출판된 스튜어트 체이스의 저서 「뉴딜」에서
따온 것으로 카드게임에서 카드를 바꾸어 새로 친다는 의미임
§ 전통적으로 지배해온 자유방임주의의 원칙을 포기하고,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경제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을 의미함
l 대공황으로 온 경제적 위기 대책으로 ‘산업부흥법(1933)’,  ‘연방긴급구제법(1933)’  과
아울러 테네시 강 유역 개발과 같은 종합적인 지역개발로 사회 간접자본을 확충하면서
실업자를 구제하는 계획 등을 추진함
l 뉴딜(New  Deal)정책은 구제 ·  부흥 ·  개혁 등을 목적으로 하였음
§ 적극적으로 구제정책을 전개하며,  대공황으로 마비상태에 빠진 경제사회를 재건하여
부흥시키고,  미국의 전통적 자유방임주의를 개혁하여 연방정부의 기능과 대통령의
권한을 확대함
l 케인즈의 경제학을 받아들여 미국 자본주의를 수정하게 되었음
l 7년간의 장기간에 걸친 뉴딜은 단순한 경제정책에 그치지 않고,  정치 ·  사회 전체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새로운 정책을 잇달아 실험하였음
(3) 미국 사회보험제도의 특징
l 개인 책임의 원칙을 우선시하고 사회복지가 보충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잔여적
복지모형’에 입각함 → 선진국 중 복지문제에 대하여 비교적 소극적 입장임
l 개인의 능력을 중시하는 개인주의 영향으로 평등보다는 능력주의 입장을 취함
l 지방분권주의의 영향으로 주정부가 운영하는 제도들이 많으며,  주에 따라 편차가 심하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
나. 복지국가의 후퇴기(1970년대 이후)
1) 사회적 배경
­ 1973년 중동전으로 인해 유가폭등을 일으킨 오일쇼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속되어 온
복지국가의 체계를 뒤흔드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음
­ 오일쇼크 이후
메모 :
27


사회복지정책론
l 경제성장률은 크게 떨어지고 물가는 빠르게 상승하였으며,  실업률도 크게 증가함
l 정치적으로 국가부문의 영역 확대에 따른 비효율성이 증가되었으며,  정부의 정치적 파산
가능성이 제기되었음
­ 1973년,  1979년 두 차례에 걸친 오일쇼크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이 야기됨
l 제2차 세계대전 후 복지국가의 이념적 ·  이론적 기반이 되었던 ‘케인스주의’를 무력화시킴
­ 사회복지 수요가 증가하고 지출이 증대됨에 따라 문제점이 발생함
l 국민의 조세 부담이 높아짐
l 정부재정에 적자가 발생함
­ 당시 경제위기가 무리한 복지정책과 공공부문의 확대,  자본에 있어서의 정부의 지나친
개입으로 초래되었다고 비난함
­ 경제혼란은 그 동안 자본주의의 팽창과 합의된 정치구도 속에 안정적으로 추진되었던
복지국가에 위기를 불러옴
2) 복지국가 위기의 특징
(1) 복지국가의 위기를 맞아 OECD  주요 국가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복지정책을 개편함
l 사회민주주의적인 복지국가는 관료화,  비효율,  의존성 증대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했고 경제발전의 활력을 상당 부분 소진시킴
§ 1970년대 말부터 시민들로부터 외면당하기 시작함
§ 복지국가의 가장 큰 수혜자인 동시에 지지자였던 노동자계급,  특히 고소득 ·  숙련기술
노동자들마저 반대를 표명함으로써 복지국가는 체계적으로 축소됨
(2) 신자유주의의 부상
l 원인
§ 장기불황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케인스주의’  경제정책의 무능력에 대한 비판
§ 시장에 대한 초국가적 자본의 개입에 대한 비판
l 신자유주의의 대표적인 정책 :  대처리즘과 레이거노믹스
§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영국의 대처리즘(1979년)과 미국의 레이거노믹스(1980년)가 
거의 동시에 등장함
(3) 현재 전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가 강세를 보임
l 유럽에서는 3가지의 복지노선으로 나뉨
§ 제1의 길 :  사회민주주의 가치를 지지함
ü 복지,  평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배려함
§ 제2의 길 :  시장자유주의 가치를 지지함
ü 시장의 자유,  경제적 효율,  노동 인센티브 등을 강조함
§ 제3의 길 :  사회민주주의 가치와 시장자유주의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면서 노선의
일정 부분을 조정함
ü 대표적 정책 :  영국 노동당 정부의 토니 블레어 총리,  독일 사민당 정부의 슈뢰더
메모 :
28

스칸디나비아의 길
신자유주의의 길
노동 감축의 길
적극적 노동시장정책과 사회
서비스의 확대,  남녀평등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주의적’ 
복지정책과 ‘사회투자전략’
시장원칙에 따라
기존의 복지를 축소하고
긴축재정을 실시함
사회보장 수준을 유지하면서
노동공급 감축을 유도함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
스칸디나비아 등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대륙 국가


사회복지정책론
총리,  미국 클린턴 정부의 사회경제정책
다. 복지국가의 재편(1970년대 말 이후)
1) 영국의 대처리즘(1979년)
­ 영국의 대처 수상은 비효율적인 국영기업을 민영화함
l 경제 및 사회 모든 영역에서 시장원리를 도입하고,  공공부문을 민영화함
­ 교육,  의료,  복지 등 사회 공공서비스의 복지예산을 감축함
­ 권력을 지방으로 이양하고,  정부의 규모를 축소함
­ 자유시장 질서를 가로막는 모든 규제를 철폐함
­ 감세를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와 산업의 구조를 조정함
­ 노동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시장 활성화를 시행함
2) 미국의 레이거노믹스(1980년)
­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은 ‘강한 미국’을 주장함
l 보수주의 경제정책,  이른바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를 추진함
l 연방정부의 지출 삭감과 사회복지 지출과 환경예산의 억제정책을 추진함
l 세금을 감면해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함
l 노동 중심의 복지개혁(WTW)을 통해 근로 연계복지를 강화함
­ 레이건 행정부는 기존의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축소하여,  1970년대 말까지 지속적으로
감소되던 빈곤율을 다시 상승시켜 최악의 ‘복지국가의 위기’에 봉착하게 됨
3) 복지국가의 재편
­ 복지국가의 재편은 정치적 투쟁과 합의의 과정을 거쳐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됨
­ 에스핑 앤더슨의 3가지 복지국가의 재편방식 :  재정의 확보를 기반으로 함
메모 :
29


3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이론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5. 사회복지정책이론
가.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이란 무엇일까?
l 사회복지정책이론이란,  사회복지정책의 원동력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이론체계이다
1) 사회양심론(The  Social  Conscience  Theory) 
(1) 사회양심론의 주요 내용 및 특징
l 1950년대 영국 사회정책학에서 받아들여졌던 이론임
l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타인에 대한 사랑,  사회적 의무감 등 사회적 양심이
사회복지정책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음
l 인도주의에 기초하여 사람은 타인에 대한 기본적인 연민과 동정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
역시 이타주의에 기반하는 사회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함
l 사회복지정책을 국가의 자선활동으로 간주하고,  동정주의적 관점으로 봄
l 사회복지제도를 도입하고 확장하는 이유 :  시민들에 대한 인도주의적 가치의 구현으로

l 사회복지의 발달은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 사회적 양심이 성장한 결과로,  국민들의
열악한 사회생활과 경제적 상태가 알려지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정책이 발달한다고

l 발달은 보다 좋은 사회정책으로 변해가는 진화적 성격을 갖고 있음
l 사회정책의 의도와 결과는 항상 복지수혜자에게 이익을 주는 순기능을 갖고 있다고
낙관적으로 해석함
l 사회복지정책의 자비적 특성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국가의 역할과 사회복지의 형성 및
변화의 과정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음
(2) 영국의 사회복지학자 바커(Barker)의 사회양심론에 관한 핵심 내용
l 사회복지정책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타인에 대한 사랑을 국가를 통해 실현하는
것임
l 사회복지는 사회적 의무감의 확대와 욕구에 대한 국민들의 지식향상이라는 두 요인에
의해 변화됨
l 변화는 지속되며,  사회복지는 균일하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보다 범위를 확장하며 계속
발전함
l 보다 나은 사회복지정책의 실현을 위해 정책의 개선은 불가피하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서비스는 지금까지의 것 중 최선의 것으로 발전된 형태의 것임
l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는 불완전하고 결점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사회복지의
주된 문제는 장차 해결될 것이며,  앞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2) 음모이론(Conspiracy  Theory) 
메모 :
31


사회복지정책론
­ 음모이론의 목적
l 사회복지정책은 인도주의적 이타심이나 양심의 실현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안정과 질서
유지를 위한 사회통제와 현상 유지에 목적을 둠
l 사회양심론과는 정반대 입장을 주장하는 이론임
l 사회복지정책을 사회의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봄
­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주장
l “자본주의와 복지는 양립이 불가능하므로 사유재산제도가 폐지되고 생산수단이
사회화되어야 진정한 의미의 복지가 성립한다.”
l 자본주의 제도를 그대로 두고 사회복지정책을 통해 사회 안정과 통합 ·  질서를 유지한다는
것은 허상이며,  음모일 뿐이라고 주장함
­ 피븐과 클로와드의 주장
l “미국의 사회복지 발전을 분석한 결과 대량실업으로 인해 공공복지제도가 확대되고,  사회가
안정되면 공공복지제도는 폐지되거나 감축된다.”
l 공공복지제도는 중상층계급의 자비심에서가 아니라 빈민들을 규제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빈민규제론을 주장함
­ 비스마르크의 사회보험 입법을 음모이론의 시각으로 본다면?  당시 극심했던 사회운동을
저지시켜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대책이라고 볼 수도 있음
­ 음모이론의 한계 :  정책목표가 계획한 의도대로 일관성 있게 진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간과함
3) 수렴이론(Convergence  Theory) 
(1) 수렴이론이란
l 대립하는 두 현상이 점차 동질화된다는 이론적 관점을 말함
l 국제정치에서 대립하는 동 ·  서 양 진영의 사회를 서서히 동질화시킴으로써 평화를
실현하고자 함
l 사회복지 측면에서 경제발전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사회복지가 유사한 형태로
수렴된다고 주장함
l 예)
§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사회복지가 유사해짐
§ 선진 자본주의 국가와 선진 사회주의 국가의 사회복지까지도 점차적으로 비슷해짐
(2) 수렴이론의 특징
l 경제발전론에 기반을 두고 경제가 성장하면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사회복지도
발전하며,  경제성장이 복지비 지출에 필요한 자원인 자본이 있어야 복지를 실현할 수
있다고 봄
l 윌렌스키와 르보는 복지국가의 발전은 산업화로 인해 나타난 ‘욕구’를 산업화로 인해
가능해진 ‘자원’  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함
l 사회복지정책은 산업화의 산물로 볼 수 있으며,  산업화는 새로운 사회적 욕구를 만들고
메모 :
32

위계적 전파
공간적 전파
새로운 제도가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전파되는 경우
새로운 제도나 프로그램이 우선 인접
주변국을 중심으로 하여 전파되는 경우


사회복지정책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를 확대시킨다는 견해를 가짐
l 사회복지의 발달수준이 산업화의 정도,  경제성장의 수준과 같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l 정치 ·  경제적 사회체계가 다를지라도 산업화나 경제성장의 정도가 유사하면 사회복지도
발달한다는 의미에서 산업화이론이라고도 함
l 마샬은 현대사회는 산업화를 통해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각종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복지제도가 형성되었다고 설명하면서,  이는 새로운 산업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등장하게 된다고 주장함
(3) 수렴이론의 한계
l 제도의 도입과정에서 사회구성원들의 갈등과 정치적 상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음
§ 수렴이론에서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욕구만 있으면 제도가 출현한다고 보기 때문임
4) 확산이론(Diffusion  Theory,  전파이론) 
­ 확산이론이란 한 국가의 사회복지정책은 인접하거나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복지정책의 확대과정을 국제적 모방과정으로 보는 이론
l 현대사회는 과거와 달리 국제교류가 빈번하며,  국가 간 교류를 통해 한 국가의 제도적
혁신이 인근국가로 확산되는 동시에 선진국으로부터 후진국으로 이전되기 때문임
­ 타이라와 킬비
l “사회보장의 발전과 국가의 지리적 위치는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다.”
§ 예) 
ü 독일에서 처음 도입된 사회보험이 유럽의 인접국가로 확산된 경우
ü 일본의 제도들이 우리나라로 도입된 경우
§ 그러나 한 국가에서 새로운 복지제도를 도입하려고 할 때에는 정치 ·  경제 ·  사회적인
다른 변수들이 많다는 점을 간과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음
­ 콜리어와 메식의 두 가지 전파유형
5) 시민권론(Citizenship  Theory)
­ 시민권론이란 사회복지정책 발달을 시민권적인 입장에서 시민에게 부여되는 권리와 향유할 수
있는 지위의 확립으로 보는 이론임
­ 마샬
l “시민권은 완전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되는 지위이다”
§ 시민권의 개념을 자본주의의 경제적 불평등과 양립하는 것으로 인식함
­ 시민권의 발전과정 :  공민권 → 참정권 → 복지권
메모 :
33


사회복지정책론
l 18세기 공민권 :  사유재산권 및 사상 등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권리
l 19세기 참정권 :  정치 유권자로서 정치권력에 행사할 수 있는 권리
l 20세기 복지권 :  복지와 보장에 대해 정부에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
­ 시민권론의 특징
l 현대사회에서 시민들로 하여금 연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하여 시민이라는
법적 자격을 가지고 사회복지 급여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함
l 다른 사회 구성원들이 사회적 약자인 그들을 돕는 근거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음
­ 시민권론의 한계
l 사회복지정책의 범위를 법 제도에 한정시키고,  민간사회복지 등의 다양한 형태를 제외함
l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을 영국의 분석틀에 맞추어 제3세계나 사회주의 국가에는 적용이
어려움
l 국가마다의 사회상황에 따른 사회권의 발달과정을 설명하는 데 미흡함
6) 국가중심론(State-Centered  Theory,  국가론) 
­ 국가가 문제를 인식하고 대안을 찾는 일련의 정책과정으로 보는 이론으로 국가의 리더역할을
강조하는 이론
l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에서 이익집단,  시민단체 등의 특정 집단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고
정부가 주체적으로 사회복지 문제의 대안으로서 정책을 산출시키려는 노력의 과정으로 봄
l 스카치폴 등이 대표적인 학자
­ 특징 :  현대사회의 패러다임인 다원주의 체제를 부정하는 이론
­ 한계 :  이익집단,  시민단체 등의 참여를 통해 시민들의 선호에 대한 정부의 반응성을 높이는
기제가 될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과 목표달성을 위한 기술을 터득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함
나.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이론
­ 사회복지정책은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고 결정된다.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고통을 받는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 정책형성과정에서 이 문제를 이슈화하는
행위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이론은 어떠한가?
1) 다원주의론(Pluralism)
­ 엘리트론(Elitism)과 대비되는 이론으로 사회정책을 여러 이익집단 간의 타협의 결과로
이해하는 것을 말함
­ 사회복지정책이란 개인과 집단의 이익대결과 갈등을 정부가 공정하고 종합적인 입장에서
조정한 결과로서의 균형을 의미
­ 특징
l 정책의 내용과 형태는 이익집단들과의 상대적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달라짐
l 집단의 영향력은 구성원의 수와 능력,  재원,  조직력,  지도자의 리더십,  정책결정자에의
접근 가능성,  내적 결속력 등에 의하여 결정
메모 :
34


사회복지정책론
2) 엘리트론(Elitism)
­ 사회는 엘리트집단을 정점으로 한 피라미드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회는 엘리트와 대중으로
구분됨
l 사회의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사회복지정책을 도입한다고 봄
­ 엘리트란 행정관료,  부자,  기술전문가,  지식인 등 사회적으로 힘을 가진 자
l 엘리트에 의한 대중의 지배는 역사적 필연적임
l 역사는 계급투쟁의 산물이 아니라 엘리트 간의 갈등이며,  교체과정일 뿐이라고 봄
­ 엘리트론이 보는 사회복지정책이란 엘리트로부터 대중에게 일방적으로 하향 전달되고 집행됨
l 그러나 엘리트에 대한 대중들의 요구와 비판은 수용되지 않는다고 봄
3) 이익집단론(Interest  Group)
­ 이익집단은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공공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들의 조직체’
l 관계집단․이익단체․관심집단 등으로도 부름
l 이익집단을 중심으로 집단행동을 통해 이익을 산출
l 정부에 압력을 행사하여 복지비 증대나 집단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하여 영향력을 행사함
l 이익집단의 형태는 비공식적인 소집단이나 조직,  국가적 규모의 단체나 조직 등 상당히
다양함
l 정당은 아니지만 일정한 정치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이해관계 집단을 특히 압력단체라고 함
­ 사회복지정책을 자본과 노동 간의 대립이 아닌 이익집단들 간의 갈등과 타협의 산물로 보고, 
국가의 조정역할을 중시하는 입장
4) 페미니즘(Feminism,  여성주의)
­ 페미니즘이란 19세기 중반에 시작된 여성 참정권 운동에서 시작된 이념으로 여성억압의
원인과 상태를 설명하고 여성해방을 궁극적 목표로 하는 운동을 말함
l 복지국가의 주요 목표와 역할은 남성이 여성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점을 가짐
l 기혼여성의 취업이 해방이라는데 의문을 제기하면서 기혼여성은 직장생활과 가정주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것을 강요당하는 것이라고 주장함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
l “복지국가는 여성의 전통적 역할,  즉 자녀를 양육하고 남편에게 봉사하는 일을 무보수로
해줌으로써 사회가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재생산하고 있다.”
5) 코포라티즘(Corporatism,  협동조합주의)
­ 코포라티즘은 자본과 노동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통제방식을 일컫는 용어
l 정책 형성과정에서 국가가 노․사․정 3자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주도권을 행사한다는
점이 특징
­ 사회복지정책이란 국가 전체의 이익 확대와 사회질서의 유지를 위해서 국가가 일정한
메모 :
35


사회복지정책론
방향으로 의도적으로 사회집단과 개인의 이익 및 가치를 통제․조정하는 수단으로 보는 관점
6) 마르크스주의(Marxism)
­ 마르크스가 엥겔스의 협력으로 만들어낸 사상과 이론의 체계
l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란 하나의 중립적인 기관이나 조직이 아니라 지배계급이나
부르조아 계급의 이익에 기여하는 도구로 간주
­ 사회복지정책은 국가의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형태로 정책형성과정보다는 사회
전체의 구조나 계급에 초점을 둠
­ 마르크시즘에 입각한 학자들은 밀리밴드,  오코너,  구흐,  풀란차스 등
l 국가 엘리트를 사회 내에서 강력한 힘을 가진 집단으로 보는 입장을 가지고 있음
메모 :
36


3주차 2차시
복지국가이론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6. 복지국가이론
가. 복지국가의 정의
­ 국가별로 사회복지제도를 둘러싼 정치 상황,  발전과정,  문화적 배경뿐 아니라 재정 및
운영방식도 서로 다르고,  복지국가의 본질과 목표도 서로 상이
l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복지국가에 대한 완벽한 정의는 없음
­ 복지국가를 좁게는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을 지칭하기도 하고,  정치체제 또는 자본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를 합하여 지칭하기도 함
1) 로웨의 정의
­ 복지국가는 좁게는 사회서비스를,  넓게는 시민의 복지를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모든
사회경제적 서비스를 의미한다.
­ 연대기적 관점
l 복지국가는 1940년대의 창조물임
l 1940년대 산업국가들은 국가와 시민 간의 관계를 전혀 다른 각도에서 보기 시작했음
§ 이는 베버리지 보고서에 잘 나타남
ü 베버리지 보고서
v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시민을 ‘요람에서 무덤까지(From  Cradle  To  Grave)’의
보장을 지향하며 탄생했음
v 이전까지는 부자들만의 특권이었던 자유를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부여하고 또
가난의 공포로부터 해방시켜 준다는 것을 의미함
­ 실용주의적인 입장에서 복지의 핵심 기능은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로 정의
2) 브릭스의 정의
­ 복지국가는 적어도 세 가지 방향에서 시장의 힘을 교정하려는 노력을 담고 있음
① 개인과 가족에게 노동이나 재산의 시장가치에 관계없이 최저 소득을 보장하는 것
② 개인과 가족이 사회적 위험(예:  질병,  노령,  실업 등)을 극복하도록 함으로써 비보장의
범위를 줄이는 것
③ 모든 시민이 지위와 계급과는 무관하게 합의된 사회서비스를 향유하도록 최선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
l 첫째와 둘째 목표는 제1․2차 세계대전 기간의 사회복지정책 목표와 같으나 셋째는
보편주의와 급여의 ‘최적 수준(적정 수준)’의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데,  복지국가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음
나. 복지국가의 유형
­ 현대사회에서는 복지국가 자체가 사회체제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음
­ 그런데 학자들은 복지국가를 다양한 관점에서 유형화시키고 있음
메모 :
38


사회복지정책론
1) 윌렌스키와 르보의 모형
­ 사회복지모형 중 대표적 모형이며 가장 오래되었다.
­ 윌렌스키와 르보가 1958년에 제시한 잔여적 모형과 제도적 모형이다.
l 잔여적 모형
§ 사회복지를 협의의 개념으로 이해하여 빈민이나 요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으로
최저한의 급부를 제공하는 역할만 수행한다고 봄
§ 국민 모두가 아닌 특정인을 상대로 자산조사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선별주의라고도 함
ü 그러므로 잔여적 모형에서는 빈곤의 책임을 개인의 책임으로 보며 가족이나
종교단체,  지역공동체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국가가
사회복지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보며,  주로 초기 산업사회와 자유주의 국가에서
나타났음
l 제도적 모형
§ 사회복지를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하여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법 제도로서 복지를
구현하고자 함
§ 사회 취약계층이 아닌 전체 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므로 보편주의라고도 함
ü 그러므로 제도적 모형은 빈곤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책임으로 보며,  국가의
사회복지제도를 통하여 항시적으로 전체 국민들이 최적의 삶을 영위하도록
사회복지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고 보며,  주로 후기 산업사회와 복지 국가에서 나타남
2) 티트머스의 모형
­ 1974년 사회정책학자인 티트머스 사회복지모형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 윌렌스키와 르보의 모형에 산업적 업적성취모형을 추가
l 잔여적 복지모형
§ 가족과 시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사회복지가 일시적으로 개입하게 되는 경우
§ 빈민이나 요보호자에게 최소한의 생활보장을 하게 됨
§ 주로 공공부조 프로그램을 통해 실현
l 산업적 업적성취모형
§ 사회복지를 기능주의의 입장에서 사회복지의 주요 역할을 경제의 부수적 차원으로 보기
때문에 개인의 욕구는 시장에서 성취한 자신의 경제적 기반에 따라 충족되어야 한다고
보아 ‘시녀적 모형’이라고 함
§ 사회보험 프로그램을 강조함
l 제도적 재분배 모형
§ 분배정책은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욕구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평등과
재분배정책을 강조함
§ 국가는 사회복지를 보편적으로 제공한다고 보고 보편적 프로그램을 강조함
메모 :
39

사회보장국가
­ 지방분권의 전통 아래 단지 국민 최저선만을 보장하는 국가
­ 예)  영국
사회복지국가
­ 유럽의 강력한 중앙집권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소득,  재산 및 권력의
불평등을 제거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국가
­ 예)  스웨덴


사회복지정책론
3) 퍼니스와 틸튼 모형
­ 사회보장국가와 사회복지국가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함
l 미국은 복지국가가 아니라 적극적 국가(Positive  State)로서 복지보다는 경제적 효율성과
시장을 중시하며 복지는 단지 시장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위한 시혜적 또는 통제적 장치일
따름이라고 말함
4) 파커의 모형
­ 정치이데올로기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함
l 자유방임주의형
§ 개인주의에 기초하며,  능력에 따른 배분을 강조하여 국가는 최소한 개입하고
사회복지는 개인적 교환력에 의존함
ü 사회복지는 개인 및 가족의 능력에 따라 유료의 자원에 의해 해결됨
ü 국가는 경제성장과 부의 극대화에 큰 가치를 부여함
l 자유주의형
§ 자유방임주의형과 사회주의형의 중간 형태로 기회의 평등과 개인의 자유를 중시함
§ 시장을 생활의 기회와 기회구조로서 개인과 가족의 욕구에 따른 서비스를 유료의
자원동원에 의해 해결하나 국가는 자신의 능력으로 생활이 곤란한 자에게 최저의
생활을 보장함
l 사회주의형
§ 자원의 분배는 능력보다 요구에 기초하여야 하며,  빈곤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보고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함
5) 죠지와 월딩의 복지모형
­ 정치적 이념의 차이에 따라 반집합주의,  소극적 집합주의,  페이비안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로
분류함
l 반집합주의
§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주장하는 집합주의에 반대하여 정부가 최소한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함
§ 자본주의 기본 이념에 입각하여,  개인주의와 불평등에 기초한 소극적 자유를 의미함
l 소극적 집합주의
§ 수정자유주의 모형으로 자본주의가 최선의 경제체제임을 믿지만 효율적이며 공정하게
기능하기 위해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주장함
l 페이비안 사회주의
메모 :
40

구분
반집합주의
소극적 자유주의
페이비안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념
­ 소극적 자유
­ 개인주의
­ 불평등 인정
­ 소극적 자유
­ 실용주의
­ 인본주의
­ 적극적 자유
­ 평등
­ 적극적 자유
­ 평등
­ 우애
시장경제
­ 시장경제 옹호
­ 불평등 인정
­ 자유계약 강조
시장경제의 보완
시장경제의
대폭 수정
시장경제의 부정
국가개입
시장경제의 효율성
저해,  근로동기 및
저축과 투자 약화, 
전통적 가족역할
훼손,  개인의
자유침해를 이유로
개입 반대
공공부문과 병행하여
민간부문의 사회복지
역할을 강조하고, 
자본주의에서
발생되는 특정한
문제만 해결하면
된다고 보아 국가의
개입을 인정함
공공부분이
절대적으로 강조되며
민간부분의 역할은
극소화된다고 보아
국가의 개입 인정
복지국가는 자본가의
이익을 위해
존재하고,  복지의
실천은 사회주의에서
멀어질 수 있다고
여기고 국가의 개입
적극 인정
복지국가
관점
복지는 개인적
문제이므로
복지국가에 반대함
국가에서 최저수준만
보장하는 것에 찬성함
국가에서 제도적
복지국가 실천을
찬성함
복지국가로는
빈곤제거가
불가능하므로
복지국가에 반대함


사회복지정책론
§ 1884년 영국 런던에서 결성된 페이비안 협회라는 단체에서
비롯된 이념으로 사회민주주의를 주창함
§ 사회가치로 적극적 자유와 평등을 중시함
§ 자유는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인하여 이룩되는 경제 영역에서의 자유를,  평등은
단순한 기회평등이 아니라 결과의 보장을 말함
§ 소극적 자유 :  경제적 불평등과 개인의 자유를 인정하는 경우


§ 적극적 자유 :  경제적


평등과 개인의 자유를 인정하는 경우


l 마르크스주의(사회주의 이론)


§ 자본주의에 대해 전면적으로 부정하며 적극적 자유와 평등,  우애를 중요시함


§ 균등한 분배는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가 소멸된 후에 가능하다고 보아 자본주의를 전면


부정함


6) 에스핑 앤더슨의 복지보형


­ 탈상품화와 계층화를 기준으로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함(1990)


l 자유주의 복지체제,  코포라티스트 복지국가(조합주의적 복지국가),  사회민주적 복지국가
l 탈상품화란 근로자가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내다 팔지 않고도 살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신이 노동시장에서 일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을 때 국가가 급여를
제공해주는지의 정도를 나타냄


① 자유주의 복지체제


l 탈상품화 효과와 복지의 재분배 효과는 미약하게 나타남


l 국가가 노동시장에서 적절한 소득을 획득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국민 최저


메모 :


41

사회복지정책론
수준의 복지급여를 제공으로 저소득층에 초점을 두고,  자격기준은 까다롭고,  낙인효과가
나타남
l 복지 대상자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
l 기준 :  구제가치가 있는 빈민과 구제가치가 없는 빈민의 구분
§ 복지 대상자의 노동 동기를 강화하기 위한 데 있기 때문임
l 소득조사에 의한 공공부조 프로그램이 중요시됨
l 대표적인 국가 :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② 코포라티스트 복지국가(조합주의적 복지국가)
l 사회복지의 제공을 통해 사회계층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함
l 복지대상자가 공직자,  사무직,  노동자와 같은 직업 범주에 따라 구분됨
l 직업별,  계층별로 다른 종류의 복지급여가 제공됨
l 소득보장은 주로 보험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사회보험이 강조됨
l 탈상품화 효과 :  자유주의적 복지국가보다는 크다고 할 수 있음
l 소득보장 수준 :  국민 최저 이상임
l 대표적인 국가 :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등
③ 사회민주적 복지국가
l 사회적 평등과 전 국가적인 사회연대성의 제고를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함
§ 조세
§ 임금격차 축소 정책(임금 연대성)
§ 각종 복지급여
§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직업훈련,  실업자를 내지 않는 기업에 대한 임금 보조 등)
l 각종 국가정책을 통해 소득의 평등이 확대되고 모든 시민들이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향유함
l 복지급여는 보편주의적이고 높은 수준을 유지함
l 세 가지 유형 중 탈상품화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
l 대표적인 국가 :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 등 주로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 탈상품화 점수
l 가장 높음 :  사회 민주적 복지국가
§ 오스트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
l 중간 :  코포라티스트 복지국가
§ 이탈리아,  일본,  프랑스,  독일,  핀란드,  스위스
l 가장 낮음 :  자유주의 복지체제
§ 호주,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아일랜드,  영국
메모 :
42


4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1)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7.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1)
가.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개념
­ 사회복지정책을 인간의 욕구에 대응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장치라고
정의한다면,  사회복지정책의 대상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l 자신의 복지를 위하여 충족해야 할 욕구를 가지고 있는 사람
§ 예)  교육에 대한 욕구,  여가생활,  돌봄 욕구
l 자신의 복지에 대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
§ 예)  질병,  실업
l 자신의 복지에 대한 문제를 일으킬 조건을 가지고 있는 사람
§ 예)  부적응
→ 그러나 욕구와 문제가 존재한다고 해도 모두가 사회복지정책의 대상이 될 수는 없음
­ 사회복지정책의 대상자 선정의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
l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 사회복지급여나 서비스는 국가로부터 일방적 이전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요보다
공급이 적은 경향이 있음
§ 단,  시장에서의 교환은 쌍방교환임
l 국가의 사회적 자원 또한 한정되어 있음
l 자원의 적정한 배분을 위해서는 특정한 자격조건으로 대상자를 제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함
l 사회복지급여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자격기준이 중요한 쟁점
나. 보편주의(universalism)와 선택주의(selectivity)
­ 사회복지정책의 급여대상을 선정하는 것은 보편주의와 선택주의의 두 가지 원칙에서 출발
1) 보편주의(Universalism)
(1) 보편주의의 특징
l 전 국민을 사회복지의 대상자로 삼는 것을 함
l 사회복지 수급권을 국민의 기본권의 하나로 인정함
l 복지수혜의 자격과 기준을 균등화함
l 복지서비스의 수급자들은 낙인감,  열등감,  굴욕감을 느끼지 못함
l 사회적 비용들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함
§ 예)  보편적 무상교육,  보건의료서비스 등은 청소년비행,  정신적․신체적 장애 등의 문제
예방할 수 있음
(2) 길버트와 테렐의 네 가지 보편주의 원칙 
①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 프로그램
l 빈민과 부자,  장애인과 비장애인,  남성과 여성과 같은 사회적 범주에 따라 차등을
두지 않고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인 사회적 프로그램임
메모 :
44


사회복지정책론
l 예)  의무교육,  국민연금
② 권리보장
l 모든 시민들에게 그들의 수입에 관계없이 복지권을 보장함
l 예)  청소년을 위한 교육,  환자를 위한 보건의료,  실업자를 위한 소득보장 등
③ 사회통합
l 기여자와 수혜자를 구별하는 것은 사회적 통합과 인간존엄성의 가치를 손상시키므로
구별하지 않음
④ 정치적 장점
l 포괄성의 원칙을 중시함
(3) 보편주의의 장점과 단점 
l 보편주의의 장점 
§ 최저소득을 보장함으로써 빈곤을 예방할 수 있음
§ 수혜자에게 심리적 ·  사회적 낙인이 없음
§ 행정절차가 용이하고,  시혜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음
§ 모든 시민의 구매력을 일정 수준에서 유지함으로써 경제적 안정과 성장에 기여한다고
주장함
§ 인간존엄성의 유지와 사회통합의 이점이 있고,  이를 통해 ‘사회적 효과성’을 가질 수
있음
ü 사회적 효과성
v 복지 수혜자격과 기준을 균등화하여 복지서비스의 수혜자들이 낙인감,  굴욕감, 
열등감 등을 가지지 않도록 함
v 비용의 효율적인 측면은 떨어질 수 있으나 사회통합과 같은 사회적 효과를
기대하는 것을 말함
l 보편주의의 단점 
§ 한정된 자원을 꼭 필요한 부분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음
2) 선택주의(Selectivity) 
(1) 선택주의의 특징
l 사회복지 대상자들을 사회적 ·  신체적 ·  교육적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복지서비스를
제공함
l 연령 ·  성별 ·  장애 정도 ·  부양 의무자의 유무 ·  자산조사 등에 따라 원조의 필요가
있다고 인정된 사람들만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한함
§ 예)  결손가정,  장애인,  무능력자,  노인,  빈민 등
l 개인이나 가족의 드러난 욕구가 대상자 선정에서 최우선시 되어야 함
§ 예) 
ü 공공부조 -  기초생계비 지원
ü 공공임대주택 -  가족의 주거생활 지원
메모 :
45


사회복지정책론
l 자신의 욕구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은 정부의 사회복지 급여를 받아서는 안
된다고 봄
l 사회복지 수급자는 자활이 불가능한 주변집단만으로 제한해야 함
l 자산조사 과정과 조세를 통해 복지비용을 부담하는 일반시민들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낙인이 있음
l 사회적 평등성을 추구함
§ 사회복지 급여를 욕구가 있는 사람에게만 집중시키면,  모든 사람에게 배분하는
것보다 평등을 제고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함
(2) 선택주의의 장점과 단점 
l 선택주의의 장점
§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서비스를 집중시킬 수 있음
§ 자원의 낭비가 없음
§ 사회복지 급여의 비용이 적게 듦
§ 사회적 급여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사회의 비용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음
ü 비용 효과성 :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급여를 집중하여 제공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원칙
l 선택주의의 단점 
§ 자산조사 과정과 일반 시민들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낙인을 피할 수 없음
§ 대상 선정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기 때문에 사회복지 수급자와 비수급자,  빈민과
빈민이 아닌 자로 사회를 분리하는 결과를 야기함
§ 행정절차가 복잡하여 행정의 비용이 보편주의에 비하여 많이 듦
다. 대상자 선정의 네 가지 원칙
­ 보편주의 ·  선택주의 이분법은 사회복지정책의 대상자 선정 문제를 단순화시켜 이해를 편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음
­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런 이분법으로 대상자 선정 문제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움
1) 길버트와 테렐의 사회복지대상자 선정 기준
­ 욕구판단기준을 기준으로 대상자 선정의 원칙을 나눔
① 귀속 욕구
l 전문가의 규범적 판단 기준에 따라 특정한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조건을 갖춘 사람을
선정함
l 예)  전 국민,  맞벌이 부부,  노인,  빈곤층,  농어촌지역 학생 등 특정 계층이나 지역주민
② 보상
l 사회복지급여가 하나의 보상으로 주어짐
l 선정 기준
§ 사회보험제도의 가입조건과 보험료 납부실적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메모 :
46

구 분
대상자
욕구판단기준
귀속 욕구
집단
규범적 판단
보상
집단
형평성에 입각한 규범적 판단
등급분류
개인
기술적 등급 분류
자산조사 욕구
개인
경제적 기준


사회복지정책론
선정함
§ 사회적 희생자(인종차별과 성차별의 희생자)를 대상으로 선정함
§ 형평성에 맞춰 전문가가 규범적으로 판단한   특정한 집단을 대상자로 선정함
③ 등급 분류
l 신체적 혹은 정신적 손상을 입은 사람과 같이 특정한 재화와 서비스가 필요한 개인을
대상자로 선정함
l 전문가의 분류심사에 의거하여 대상자로 선정함
§ 예)  장애연금의 등급 분류
l 등급 분류 원칙에서 중요한 조건은 욕구에 대한 기술적 분류 기준임
④ 자산조사 욕구
l 자산조사에 의해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할 능력을 상실했다는 명백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함
l 사회복지급여의 수급 여부는 개인의 경제적 여건에 좌우됨
l 욕구의 경제적 기준에 따라 개별적으로 대상자를 선정하는 것이 기본 원칙임 
[대상자 선정과 욕구판단기준]
라.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사회적 욕구의 개념
1) 사회적 욕구의 개념
­ 사회적 욕구란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생리적 ·  심리적 부족상태를 보충하고 과잉상태를
배제하려는 과정
­ 사회적 욕구의 특징
l 대다수의 사람들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목표를 이루는 데 필요한 전제조건 혹은 합의적
수단임
l 사회적 욕구에 의한 해결은 개인적 이득을 제공하기보다는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고 혹은
경험할 수 있는 해악을 줄이려는 데 그 목표가 있음
l 사회적 욕구가 늦게 충족될 경우 충족된 가치가 이전보다 크게 줄어들거나 아예 없어지는
특성이 있음
l 사회적 욕구의 만족은 사회복지정책에서 자원배분의 기준이 됨
2) 매슬로우(Maslow)의 인간의 욕구
(1) 매슬로우 욕구설의 특징
l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분류함
메모 :
47


사회복지정책론
§ 그 욕구에 대한 충족이 실패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역기능적이거나 혼란상태가 유발됨
§ 그 욕구를 충족을 시켜 회복됨으로써 역기능을 치유할 수 있음
§ 자유로운 상태에서 하나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면 상위단계의 욕구 충족으로
옮겨감
§ 매슬로우는 ‘인간은 항상 무언가를 갈구하는 만족함이 없는 존재’라고 규정함
§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존재인 인간에게 있어서 완전한 욕구충족은 있을 수 없음
(2) 매슬로우의 욕구체계
① 생존의 욕구
l 생리적 욕구라고도 함
l 인간이 최소한의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족되어야 할 생물학적 욕구임
l 인간의 가장 낮은 단계의 욕구임
§ 예)  의식주,  성,  수면 등과 같은 욕구
l 욕구가 결핍된다면?  배고픔,  갈증,  성적인 좌절,  긴장,  피로,  질병 등이 발생함
② 안전의 욕구
l 충족된 생리적 욕구를 박탈당하지 않으려는 욕구를 말함
l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신체적 ·  정서적 ·  정신적인 안전과 안락,  안정 등을 얻고
싶어하는 욕구임
l 욕구가 결핍된다면?  불안,  상실감,  두려움,  강박감 등을 느끼게 됨
③ 사랑과 소속의 욕구
l 사회적 존재로서 어떤 집단에 소속하거나 수용되고,  타인과의 의미 있는 사랑의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욕구를 말함
l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  자애로운 감정,  수용과 친밀함 등을 느끼고 싶어 하는 욕구임
l 욕구가 결핍된다면?  무가치한 느낌이 들고 공허함,  고립감 등을 느끼게 됨
④ 자아존중의 욕구
l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임
l 자기존중과 타인존중의 욕구를 말함
메모 :
48


사회복지정책론
l 긍정적인 자아상,  자기계발,  신뢰감,  자신감을 통해 나타남
l 욕구가 결핍된다면?  무능력한 감정과 열등감 등에 휩싸이게 됨
⑤ 자아실현의 욕구
l 인간의 욕구단계 중 가장 높은 단계의 욕구임
l 자신의 잠재적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을 이루려는
욕구임
l 자아실현이란 자신을 믿고 자신의 재능,  능력,  잠재력 등을 발휘함으로써 진정으로
바라는 자기가 되는 것을 말함
l 욕구가 결핍된다면?  삶의 의미를 상실하고 권태나 소외감 등을 느끼게 됨
(3) 매슬로우 욕구설이 사회복지학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 이유
l 인간의 욕구가 위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만큼 욕구충족을 위한 사회복지급여나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욕구충족에서부터 시작하여 높은 수준의 욕구충족을
위해 지향됨
l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비교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기준이 될 수 있음
l 인간의 욕구가 현실사회에서 완전하게 충족될 수는 없고,  끊임없이 보다 높은 수준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저마다 일생 동안 노력하는 것이 삶이라는 것을 보여줌
l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욕구의 내용을 적절하게 제시하였음
3) 브래드쇼(Bradshaw)의 사회적 욕구
(1) 브래드쇼의 사회적 욕구설의 특징
l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 욕구는 개인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발생한다고

l 누구에 의해 기본적 욕구가 사회적 욕구로 규정되었는가에 따라 욕구를 분류함
l 브래드쇼는 사회적 욕구를 네 가지로 구분함 :  규범적 욕구,  감지된 욕구,  표현된 욕구, 
비교적 욕구
(2) 브래드쇼의 사회적 욕구설
l 규범적 욕구
§ 전문가의 판단에 의해 규정된 욕구임
§ 전문가가 기준을 정하고 실제 비율이 특정 기준에 미치지 못한 상태를 욕구가 있는
상태라고 규정함
§ 욕구가 전문가가 기준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욕구의 목표가 기존의 서비스 수준 등과
비교 가능함
l 감지된 욕구
§ 인지적 욕구라고도 함
§ 개개인이 인지하거나 느끼는 욕구임
§ 주로 선호를 묻는 사회조사를 통해 파악하게 됨
메모 :
49


사회복지정책론
§ 사람,  환경,  상황에 따라 각각의 기준이 변할 수 있음
l 표현된 욕구
§ 서비스 수요조사에 기초한 욕구임
§ 사회복지정책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욕구의 개념임
§ 복지수혜자가 필요하다고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임
§ 감지된 욕구를 실제로 행동에 옮기게 되는 상황을 강조함
l 비교적 욕구
§ 특정 집단 성원의 욕구를 그 집단과 유사한 다른 집단 성원의 욕구와 비교할 때
나타나는 욕구임
§ 전혀 욕구가 없었는데 타인과 비교한 후 상대적으로 욕구가 생기게 된 것임
마.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사회문제의 개념
1) 사회문제의 개념
­ 사회문제는 사회 ·  경제 ·  문화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 발생하며,  개선이 필요한 모든 상황은
사회문제임
­ 개인 또는 사회에 피해를 주는 유해조건으로서 사회구성원들의 가치와 모순될 경우에는
사회문제로 간주함
l 유해조건 :  해로움의 정도가 통계자료의 제시 등 객관적으로 드러날 때 사회문제로 간주함
­ 문제에 관련된 사람이 사회적 다수이고 표출의 강도가 강할수록 사회문제로 규정되는
영향력이 큼
­ 사회적인 권력집단이 자신들의 복지를 위협한다고 생각되는 조건들을 사회문제로 규정함
­ 사회문제는 여론지도층이 여론을 조작하여 만들어지기도 함
­ 인간의 능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만이 사회문제가 될 수 있음
­ 지진,  태풍,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는 사회문제가 될 수 없음
­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가 발전시킨 주된 제도적 장치라 할 수 있음
2) 사회문제의 이론적 관점
­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기능주의적 관점,  갈등주의적 관점,  상호작용주의적 관점, 
교환주의적 관점
l 기능주의적 관점 :  사회문제가 존재하는 이유는 사회가 계속 변화하고 사회구성원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데 성공적으로 적응을 하지 못할 때에 사회문제가 발생한다고

§ 해결방법 :  개인이나 가족에 대해서는 그 병리적 현상을 치료하는 서비스를
강화시키도록 사회제도를 개선함
l 갈등주의적 관점 :  사회문제는 계급,  인종,  성별,  연령 등 다양한 집단 간의 경쟁에서
자원의 불평등한 분배가 발생함으로써 생겨난다고 봄
§ 해결방법 :  개자원의 배분에 있어 소외와 착취를 당하는 집단들의 몫을 증대시킴
l 상호작용주의적 관점 :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
메모 :
50


사회복지정책론
또는 행동으로 낙인을 찍음으로써 사회문제가 발생한다고 봄
§ 해결방법 :  일탈자들이 사회가 용납하는 행동양태에 접촉을 증대시킴으로써 재사회화를
추구하며,  사회제도의 엄격성을 유연하게 하고 일탈에 대한 사회의 규정을 완화시킴
l 교환주의적 관점 :  인간관계는 부,  권력,  명예와 같은 교환자원의 균형으로써 사회질서가
유지되는데 교환자원의 부족,  가치저하 등으로 불균형이 생겨날 때 사회문제가 발생함
§ 해결방법 :  교환자원을 보충해 줌으로써 교환관계가 균형을 이루도록 변화를 도모함
메모 :
51


4주차 2차시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2)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8.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2)
가. 사회복지정책 대상의 할당원칙
1) 대상할당의 개념
­ 대상할당이란 어떤 사람이나 집단 혹은 어떤 문제를 대상으로 할 것인가를 말함
l 할당은 사회복지급여를 누구에게 제공할 것이냐 하는 문제로 ‘자격요건’과 관계가 있음
­ 사회적 할당이란
l 길버트 :  “사회급여를 받을 자격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결정하는 조건이다”
­ 자격조건과 할당조건
l 예)
§ 자격조건 :  결혼여부,  고용상의 지위,  거주,  가계규모,  건강,  연령,  교육수준, 
군복무기간,  소득 등
§ 유럽공동체의 할당조건 :  수급자의 수,  일반조건으로서 거주기간,  국적,  거주조건,  연령, 
노동의사,  다른 급여와의 관계,  자산조사,  지역 간의 차이 등
2) 길버트와 스펙트의 할당원칙
­ 자격조건의 할당원칙을 네 가지로 제시함
① 귀속적 욕구
l 특정 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욕구에 따라서 수급자를 결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속성주의라고도 함
l 일정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만 하면 수급자격을 갖게 됨
l 할당조건 :  전문가의 규범적 기준에 따라 결정됨
② 보상
l 어느 집단에 속하느냐에 따라 결정됨
§ 사회적 ·  경제적으로 공헌한 기여자 집단 혹은 사회로부터 부당한 피해를 입은
희생자 집단,  이 두 가지 조건은 형평을 회복하기 위한 규범적 기준에 기반을 둔
범주적 할당이라 할 수 있음
③ 진단적 구분
l 기능별로 전문가의 진단적 판단에 기초한 할당원칙임
l 전문가의 판단을 기준으로 신체적 정서적 장애로 인해 특정한 상품이나 서비스가
필요한 수급자를 선정함
l 할당조건 :  욕구의 기술적 진단기준에 기반을 둔 개인적인 할당에 기초함
④ 자산조사 욕구
l 개인이나 또는 부양가족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능력이 없음을 증명하는 조사에
근거함
l 할당조건 :  욕구의 경제적 기준에 근거를 둔 개인적 할당에 기초함
나. 대상 자격조건의 형태
1) 거주여부,  거주기간,  그리고 시민권
메모 :
53

거주여부
­ 자격조건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것임
거주기간
­ 특정 국가 혹은 특정 지역에는 일정한 거주기간이 요구됨
­ 여행자나 단기간 거주자에게는 급여자격을 제한함
시민권
­ 특정 국가 혹은 특정 지역의 영주권자 혹은 시민권자를 급여의 대상으로
선정함


사회복지정책론
2) 인구학적 조건
­ 가족 수,  결혼 여부,  건강,  연령,  교육수준,  군복무기간,  소득,  특정한 인구학적 집단에
속하는지의 여부 등
l 인구학적인 조건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은 나이임
l 예)  아동수당 ·  국민연금,  기초노령연금 등은 일정한 연령에 속해 있을 때만 자격이 인정됨
3) 기여
­ 두 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음
l 사회보험료를 납부해야만 사회보험급여의 자격이 주어지는 수혜자의 기여인 경우
§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등 5대
사회보험
l 국가에 사회적 혹은 경제적으로 기여한 사람들에게 사회복지급여의 자격이 주어지는 경우
§ 국가를 방위하다가 죽거나 부상당한 군인이나 그 유가족들에 대한 보상인 경우
§ 철도나 광업과 같은 국가의 기간산업에 종사한 사람들이나 농어민의 경우 국가발전에
기여가 크다고 인정하는 차원에서 급여자격이나 급여수준에 유리한 적용을 하는 경우
§ 농어민을 위한 특별연금제도
4) 근로능력
­ 근로능력은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널리 사용된
자격조건임
l 근로능력이 없는 것이 자격의 유일한 조건이 되는 경우
§ 장애수당 :  장애로 근로능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l 근로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산조사,  전문가 혹은 행정적 판단 등과 같은 다른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경우
§ 공공부조 :  근로능력이 없어도 본인이나 부양가족의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상이거나
기준 이상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으면 급여대상이 될 수 없음
l 근로능력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자격이 주어지는 경우
§ 노동정책에 속한 정책들
5) 소득과 자산조사
­ 소득기준은 크게 보면 두 가지 형태로 결정됨
l 절대적 결정
메모 :
54


사회복지정책론
§ 급여자격의 소득수준을 최소한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절대적 수준으로
결정함
§ 예)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개별가구의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자를 수급권자의 범위로 규정함
l 상대적 수준으로 결정
§ 사회구성원 대다수가 누리는 생활수준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결정함
§ 예)  의료급여 :  중위소득 40%  /  교육급여 :  중위소득 50%
→ 자산조사는 개인의 재산과 소득을 조사하는 것으로 행정비용의 과다 현상을 초래하기도 함
6) 전문적 또는 행정적 판단
­ 사회복지가 발달되지 않은 국가에서 많이 이용되는 방법임
­ 수혜자가 되기 위한 방법 :  자산이나 소득조사 그리고 사회사업가,  의사 또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같은 행정 관료들의 판단이 동시에 필요함
다. 급여 형태
­ 사회복지급여의 유형은 사회복지정책의 가치지향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달라짐
­ 기본적 급여유형은 현물급여와 현금급여로 구분되며 급여형태의 확장으로서 사회적
급여유형인 증서,  기회,  서비스,  권력,  현금,  물질적 재화가 있음
1) 현금급여
(1) 현금급여란
l 수급자에게 복지서비스가 현금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말함
l 예)  사회보장연금,  공공부조의 현금급여 등
l 효용(행복)의 극대화를 중시하는 고전적 복지경제학 이론에 의하면 현금급여가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함
§ 즉,  자신에게 가장 큰 만족을 주는 곳에 그 돈을 소비할 것이고 따라서 개인의
행복(복지)이 극대화되기 때문임
l 개인의 자기결정권과 시장에서의 소비자주권론에 기반을 둠
(2) 현금급여의 장점과 단점
l 현금급여의 장점
§ 현금급여에는 물류비용이나 감독비용이 들지 않아 현물급여에 비해 관리운영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
§ 빈민이 지출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낙인도 줄일 수 있음
§ 빈민이 직접적으로 가계수입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함
§ 선택의 자유를 극대화하여,  효용(행복)의 극대화할 수 있음
l 현금급여의 단점
메모 :
55

구분
현물급여
현금급여
주요
내용
­ 복지서비스가 현물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함
­ 사회통제와 집합적 선을 중시함
­ 수급자에게 복지서비스가 현금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말함
­ 개인의 자유와 소비자 선택을 중시함
예시
­ 건강보험의 진료서비스
­ 장애인복지급여의 보장구 등
­ 사회보장연금
­ 공공부조의 현금급여 등


사회복지정책론
§ 현금지원은 그 소비처를 통제할 수 없음
§ 용도 외 사용을 막지 못해 목표 달성에 비효과적임
§ 예)  술,  도박 등
2) 현물급여
(1) 현물급여란
l 그것이 현물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함
l 예)  건강보험의 진료서비스,  장애인복지급여의 보장구 등
l 사회통제와 집합적 선(Collective  Good)에 기반을 둠
l 현물급여 찬성론자들은 기본적인 욕구인 음식,  보건의료,  학교급식 등은 소비를 개인의
자유에 맡길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주장함
l 알바미르달 :  “현물급여가 현금급여보다 더 효과적이다”
§ 예)  신발이나 의류 등 생필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기업은 그것들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음
(2) 현물급여의 장점과 단점
l 현물급여의 장점
§ 반드시 필요한 곳에 현물로 지급함으로써 용도 외 사용을 막을 수 있어 목표 달성에
효과적임
§ 현물급여는 수급자의 복지수준을 현금급여보다 더 많이 향상시킬 수 있음
ü 예)  건강보험급여,  노인요양급여
§ 대량생산과 분배를 통해 낭비를 줄일 수 있음
l 현물급여의 단점
§ 나쁜 선택(Bad  Choice)의 경우도 있음
ü 예)  1970년대와 1980년대 미국은 주택급여제도를 시행하였는데,  주택급여
수급자의 단지 10%  정도만이 주택급여를 원래 목적대로 사용하고 대부분의
수급자들은 주택급여를 세를 놓아 소득보조로 사용함
§ 현물급여는 빈민의 수입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는 못함
§ 생산물에 표준화를 적용하는 것은 현 시대에 맞지 않음
ü 예)  케이스워크나 직업상담과 같은 사회복지서비스
§ 공적으로 생산된 현물급여가 비용을 절감한다는 주장이 상당한 도전을 받고 있음
ü 예)  국가독점 품목인 담배 등
메모 :
56

장점
­ 대량생산과 분배를 통해 낭비를
줄이고,  꼭 필요한 곳에 현물로
지급함으로써 용도 외 사용을 막아
목표 달성에 효과적임
­ 선택의 자유를 극대화하고,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단점
­ 선택의 자유를 제한함
­ 관리비용이 많이 듦
­ 용도 외 사용이 가능함


사회복지정책론
라. 사회적 급여의 여섯 가지 형태
­ 사회적 급여의 형태는 실제에 있어서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l 예)  주택급여에는 주택보수서비스,  주택수당,  임대료 상환권 등
1) 길버트와 테럴의 사회적 급여의 여섯 가지 형태
(1) 기회(Opportunities)
l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만드는 유인과 제재(Incentives  And  Sanctions)를 말함
l 기회의 창출과 배분에 깊은 관련이 있음
l 기회급여는 시민권의 보장과 기타 기회(Extra  Chance)의 제공을 포함함
§ 예)  기타 기회
ü 공무원시험에서 제대군인에게 주는 가산점
ü 학교 입학 시 소수인종 학생에게 특혜를 주는 것
(2) 서비스(Services)
l 가정보호,  개인상담,  케이스매니지먼트,  직업훈련 등과 같이 수급자를 위한 제반 활동을
말함
l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시장에서 다른 재화와 교환할 수 없음
(3) 재화(Goods)
l 식품,  피복,  주택과 같은 상품을 말함
l 재화는 현금에 비해 교환가치가 낮아 유통경로가 매우 제한적임
§ 예)  벼룩시장,  전당포,  비공식적 물물교환 등
(4) 상환권 및 요금감면(Vouchers  And  Tax  Credits)
l 상환권과 요금감면은 교환가치만 있는 급여임
l 제한된 부문 안에서만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짐
§ 예) 
ü 탁아서비스의 요금감면 :  탁아비의 일부를 상쇄함
ü 식품교환권(Food  Stamp)  :  제한된 식료품과 교환됨
l 상환권은 개인주의자와 집합주의자 양쪽 모두 선호함
메모 :
57


사회복지정책론
§ 상환권의 장점
ü 재화와 서비스에 비해 선택의 폭이 넓음
v 예)  원하는 탁아소와 식료품을 선택할 수 있음
ü 사용되는 부문 안에서는 소비자선택권을 담보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부문
안에서만 사용이 제한되어 있어 사회적 통제(부문간)도 기할 수 있음
(5) 현금급여
l 구매력 행사에 제한이 없어 교환가치가 가장 크고,  소비자 선택의 범위가 가장 넓음
§ 예)  공공부조,  아동수당,  사회보험 등
(6) 권력(Powers)
l 재화와 자원을 통제할 수 있는 영향력을 의미함
l 의사결정권을 특정 집단에게 이양하는 정책을 통해 획득됨
§ 예)  우리나라 건강보험이나 국민연금의 가입자 대표(노동조합이나 시민단체의 추천을
받은)를 의사결정에 참여시킴
l 수급자가 직접적으로 소비 또는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경제 ·  사회적 선택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복지수급자에게는 대단히 중요함
l 유동적인 교환가치라고 말할 수 있음
메모 :
58


5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1)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9.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1)
가. 사회복지재원의 개념
1) 사회복지재원이란
­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의미함
­ 재원 :  자금이나 재화가 나올 원천
­ 사회복지재원의 확보는 사회복지정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기본적 전제조건이 되고, 
이는 사회복지정책 실천의 성공 여부가 달려있기 때문에 강조됨
­ 복지국가에서 사회복지재원을 위한 조세부담이나 보험료 부담 규모는 정치 ·  경제적으로
중요한 이슈임
­ 저개발국가에서는 사회복지정책이 국가재정의 압력요인이 되거나 경제성장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음
l 예)  EU  국가 중 그리스가 대표적 사례임.  이탈리아와 스페인도 문제를 안고 있음
­ 선진국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사회복지욕구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되는 재원 부족문제는 중요한
정책과제가 되고 있음
2) 사회복지정책에 있어서 재원에 대한 주요한 관심사
­ 사회복지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을 어떻게 얼마만큼 조달해야 하는가? 
l 예)  조세,  사회보험료,  이용료,  기부금
­ 조달된 재원을 어떻게 배분하는가?
l 예)  선별주의 Vs.  보편주의
나. 공공부문의 재원
­ 사회복지정책은 매우 다양하고,  제도가 다양한 만큼 그 재원구조도 다름
­ 사회복지정책의 재원은 크게 공공재원과 민간재원으로 나뉨
­ 공공재원으로는 조세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1) 조세
­ 조세란 조세(또는 세금)는 공권력을 가진 국가나 공공단체가 거두어들이며,  일반국민으로부터
강제적으로 획득되는 수입임
­ 조세의 목적 :  공공재의 공급,  소득의 재분배,  국민경제의 안정 및 성장과 같은 정책목적에
있음
­ 사회복지와 연관한 조세방식의 파급효과
l 조세는 개인이나 국가 전체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는
사회복지정책의 선택에서 매우 중요한 질문임
§ 예)  우리나라가 조세율을 40%까지 높인다면?
l 사회복지정책을 설계하고 수립하는 과정에서 조세의 선택이 사회복지정책의 재원뿐만
아니라 개인의 의사결정과 국가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해서 의도적으로 조세정책을
수립해야 함
메모 :
60


사회복지정책론
l 조세는 개인과 집단에게 특정방향으로 행위를 지향하게 하는 힘을 가짐
l 예)  하나의 정책방향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행동하도록 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금을 통한 유인책을 사용함
§ 조기퇴직을 할 것인가? 
§ 퇴직을 연장할 것인가? 
§ 자녀의 출산을 몇 명으로 결정할 것인가? 
§ 노후의 소득보장방식은 무엇으로 할 것인가?
l 예)  결정된 방향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행동하도록 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행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도함
§ 세금을 공제하거나 면제하는 긍정적 인센티브를 줌
§ 세금을 높게 부과함
§ 각국에서 사회복지관련 기부금에 대해서 면세하거나 공제하는 제도
(1) 일반세
l 조세의 지출용도를 정하지 않고 징수하는 세금임
l 예)  소득에 부과하는 소득세,  소비에 부과하는 소비세,  재산에 부과하는 재산세 등
① 소득세
l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을 말함
l 소득세의 종류와 특징
§ 개인 소득세 :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누진적 성격이 조세 중 가장 큼,  소득재분배
효과가 큼
§ 법인 소득세
l 개인 소득세가 소득재분배 효과가 큰 이유
§ 정부의 일반 수입과 관련된 조세항목 중에서 개인 소득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고소득층에게 부과되는 세율은 저소득층에게 부과되는
세율보다 높음
§ 개인소득세는 다른 조세에 비하여 저소득층에 대한 조세감면의 혜택이 상대적으로

§ 예)  소득과 가족 수에 따른 소득공제를 함으로써 소득재분배 효과에 기여함
② 소비세
l 상품을 소비할 때 부과되는 세금을 말함
l 소비세의 종류와 특징
§ 일반 소비세
ü 모든 상품에 단일 세율을 부과함
ü 소득에 관계없이 상품을 소비할 때 동일한 세금을 부담해야 하므로
소득역진성이 강함
§ 개별 소비세
메모 :
61

장점
단점
­ 사용목적이 정해져 있어 재원으로서의
안정성이 높음
­ 가장 안정된 세원이기 때문에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선호함
­ 과세대상의 방법 여하에 따라 재원의
확대가 어려움
­ 목적세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아무런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조세저항의 가능성이 있음


사회복지정책론
ü 특정한 상품에만 세금을 부과함
ü 주로 사치품에 부과되는데,  사치품의 주된 소비자가 중상위계층이기 때문에
소득재분배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어,  소득역진성이 일반소비세보다 작음
③ 부(富)세
l 부(富)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을 말함
l 부(富)세의 종류와 특징
§ 재산세 :  소유 재산에 부과되는 세금임
ü 단일 세율이 적용됨
ü 지방정부의 주요 재원임
§ 상속세,  증여세
ü 누진적인 세율이 적용됨
ü 그러나 과세자가 매우 소수이고,  액수도 적기 때문에 전체 일반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함
(2) 목적세
l 국가가 특정한 목적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달하게 되는 세원으로 일반적으로
특정한 소득원이나 상품에 대하여 부과됨
l 예)
§ 우리나라
ü 교육세,  교통세,  농어촌특별세
ü 목적세와 유사한 형태로서 국민건강증진기금
v 국민건강을 위한 사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목적으로 담배나
주류에 대하여 부과됨
§ 미국
ü 사회보장세(Social  Security  Tax)
(3) 조세비용
① 조세비용의 개념
l 세금을 거둬들여 직접적인 국가사업에 집행하는 대신 납부해야 할 세금을 각종
조세감면 방법을 통해 세금을 걷지 않거나 낸 세금을 되돌려주는 것을 말함
l 사회복지정책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으로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제도임
메모 :
62


사회복지정책론
l 실질적인 조세수입의 감소를 통해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에 공공부문 재원으로
분류함
l 정부의 입장에서는 조세비용만큼 조세수입이 줄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정부지출의
하나로 파악함
② 조세비용의 종류
l 조세감면 :  다양한 형태로 총소득에서 과세대상을 제외시켜 세금을 줄여주는 것을
말함
§ 예)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기부금을 개인의 소득에서 감면시켜 세금을 줄여주는
방법
l 인적공제 :  사회적 형평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인을 비롯한 배우자,  노인,  장애인, 
아동 등에 대한 세금을 줄여 주는 것을 말함
§ 예)  노인공제 :  가족 내의 노인을 부양할 비용을 국가가 지불하는 대신에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으로부터 세금을 적게 거두어들여 궁극적으로 가계소득의 일부를
노인부양에 사용하도록 유도함
l 소득공제 :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주택비 등의 지출액에 대해 총소득에서 공제하여
주는 것을 말함
l 세액공제 :  내야 할 세금액수를 줄여 주는 것을 말함
③ 조세비용의 특징
l 개인이나 조직에 대해서 호혜적인 세금률의 형태로 제공됨
l 조세감면 ·  공제 ·  면제는 그만큼 납세자의 구매력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
l 조세비용이라는 방법으로 행정비용을 줄이면서 국가와 민간의 다양한 영역으로부터
사회복지의 정책목표와 의도를 달성할 수 있음
④ 조세비용의 한계
l 많은 수의 저소득층은 과세대상에서 제외되어 저소득층은 조세비용의 수혜를 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소득역진적인 성격이 있음
l 누진적인 개인소득세 구조에서 소득이 높을수록 조세감면의 액수가 커지기 때문에
고소득층이 유리함
2) 사회보험료
(1) 사회보험료의 개념
l 사회보험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함
l 보편적인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는 사회보장제도로서 보험의 원리를 적용함
l 사회보험료의 종류 :  국민연금,  산재보험,  고용보험,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l 사회보험의 재정은 가입자가 일정기간 정기적으로 일정한 금액을 기여하는 사회보험료로
충당함
l 사회보험료는 사회보험이 갖는 사회성과 보험성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내포하고 있음
l 사회보험료의 사회성을 반영하여 부담능력에 따라 능력비례원칙에 의해 징수됨
메모 :
63

유형
예시
사용자가 전액을 부담하는 방법
산업재해보험
가입자가 전액을 부담하는 방법
국민연금에서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및
임의 계속 가입자
사용자와 근로자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방법
고용보험,  근로자의 국민건강보험료
국가,  사용자,  근로자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방법
교직원의 국민건강보험료 (국가 20%, 
학교 30%,  본인 50%  부담)


사회복지정책론
§ 예)  우리나라의 직장건강보험의 정률부담제
l 피보험자 전원의 평균적 사고발생확률을 고려하여 부과하는 보험료는 보험성의 측면을
나타내는 것임
l 사용자나 피고용자에게 강제로 부과하여 일종의 세금과 같은 기능을 함
(2) 사회보험료의 유형
l 사회보험료의 유형은 사회보험의 주체와 사회보험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3) 사회보험료의 장점
l 일반예산처럼 조세가 다양한 정부지출에 사용되는 것과 달리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사회보험료에 대한 거부감이 적음
l 사람들은 사회보장세를 납부함으로써 일반조세와 달리 미래에 받을 수 있는 급여액에
대한 권리를 갖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반조세의 방식으로 하는 것보다
사회보장세의 형식으로 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유리함
l 사회보험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노령,  실업,  장애 등의 위험에 당면하여 소득이 상실될
때 이전의 소득 수준을 유지하고자 하는데 있음
(4) 사회보험료의 소득재분배 효과
l 사회복지정책의 재원인 사회보험료가 일반예산에 비하여 소득재분배 효과가 작은 이유
§ 대부분의 사회보험료는 모든 소득계층의 근로소득에 동일한 비율로 부과되므로
명목적으로는 동률이라도 실질적으로는 총소득에 비하여 저소득층의 부담률이 높음
§ 사회보험료는 가족 수나 욕구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근로소득에 부과하기 때문에
저소득층의 부담률이 상대적으로 높음
§ 사회보험료는 소득의 일정한 상한액 내에서만 부과되는데 이 역시 고소득층의
부담률을 저소득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어 소득재분배에 역진적임
ü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한액을 상향 조정하거나 상한액을
없애고 있음
§ 사회보험료는 주로 근로소득에 부과되기 때문에 노동집약적인 산업에 고용되어 있는
저소득층 근로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메모 :
64


사회복지정책론
3) 사회보험료와 조세
(1) 사회보험료와 조세의 공통점
l 임금에 부과되는 조세라는 점에서 사회보험료와 조세는 본질적으로 같다고 봄
l 소득의 이전을 통해 빈민들에게 최저한의 소득을 제공함으로써 빈곤을 완화함
l 사회보험 급여에 의한 이전소득과 조세의 누진적 분배를 통해 소득의 불평등을 완화시킴
l 수지불상등의 원칙(사회보험에서 개인별로 부담한 보험료 총액과 급여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 적용됨
§ 자신이 낸 돈보다 많은 급여를 받는 사람도 있고,  반대로 적은 급여를 받는 사람도
있다는 것도 사회보험료와 조세의 유사성임
l 소득이 많은 사람이 더 많이 부담한다는 점에서 모두 누진성의 공통점이 있음
(2) 사회보험료와 조세의 차이점
① 조세와 사회보험료가 부과되는 대상에 차이가 있음
l 사회보험료의 대상 :  각각  규정되어 있음
l 조세의 대상 :  특정화되어 있지 않음
② 부과되는 기준이 다름
l 사회보험료의 기준 :  급여가치에 따라 부과됨(국민최저(National  Minimum)  보장)
l 조세의 대상 :  부담능력에 따라 부과됨
l 베버리지 보고서(1942)  :  “조세는 추정된 조세부담능력에 의거해 있고,  사회보험료는
지불능력이 아니라 급여가치에 관련되어 있다”
③ 사회보험료는 조세에 비해 역진적임
l 사회보험료 :  사회보험료율은 소득에 관계없이 정률제이며,  보험료에 상한선이 정해져
있음
l 조세 :  소득세는 누진세이며,  상한선이 없기 때문에 고소득자에게 유리함
④ 소득세와 사회보험료의 과세대상이 되는 임금의 범위가 다름
l 대체로 사회보험료의 기준이 되는 표준 보수월액이 근로소득세의 과세임금보다 적음
메모 :
65


5주차 2차시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2)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0.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2)
가. 민간부문의 재원
­ 민간부문의 사회복지기관 :  재원을 조달하여 서비스 제공과 조직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고 있음
­ 최근 정부재정의 압박으로 민영화를 강조하는 상황에서 민간부문의 재정은 이전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민간부문은 공공기관과는 달리 재원의 유형이 다양함
1) 정부보조금
­ 전통적으로 정부는 비영리조직을 재정적으로 지원해 왔음
­ 지방정부가 관할 지역 내의 사회복지기관의 운영비를 지원하는 것이 오랜 관례임
­ 정부의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예산지원을 보조금(Grants)이라고 함
­ 정부보조금은 정부가 해야 할 사회복지사업을 민간사회복지기관에 위탁하면서 지불하는
자금임
­ 민간사회복지기관의 입장에서 정부보조금은 매우 안정적인 재원이므로 선호함
­ 정부보조금을 받게 되면 정부의 감사 등 상당한 제약과 통제를 받는데,  이는 정부예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불가피한 것임
­ 독립성과 자율성을 중시하는 사회복지기관은 정부보조금 신청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음
(1) 정부가 민간사회복지기관에 사업을 위탁하는 이유
l 정부조직의 관료주의를 피하기 위해서
l 민간조직의 장점인 전문성과 융통성을 살리기 위해서
(2) 우리나라의 정부보조금에 관한 법규
l 「보조금의 예산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의 규정
§ “보조금이란 국가 외의 자가 행하는 사무 또는 사업에 대하여 국가가 이를
조성하거나 재정상의 원조를 하기 위하여 교부하는 보조금(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것과
기타 법인 또는 개인의 시설자금이나 운영자금에 대한 것에 제외)  · 
부담금(국제조약에 의한 부담금은 제외)  기타 상당한 반대급부를 받지 아니하고
교부하는 급부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l 사회복지사업법(제42조)의 규정
§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정부보조금에 관한 규정
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자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에 대하여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보조금) 
ü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시 ·  도지사 및 시장 ·  군수 ·  구청장에게 사회복지사업의
수행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금)
2) 자발적 기여
메모 :
67


사회복지정책론
­ 민간영역에서 제공하는 강제성이 없는 기부금이나 후원금을 말함
­ 자발적 기여의 형태 :  개인,  재단,  법인,  유산
­ 개인 기여금은 공동모금기구,  종교단체,  자선단체,  대학,  병원 등에 기부함
­ 자발적 기여금은 자선이나 박애의 동기를 기초로 함
(1) 기부금
l 개인이나 단체가 사회복지기관이나 기관의 프로그램에 조건 없이 주는 증여를 말함
§ 사회복지조직들은 기부금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구함
§ 기부금은 오랫동안 사회복지기관의 주요 재원이었음
l 기부를 많이 하는 재단의 네 가지 유형
① 독립재단 또는 가족재단
§ 한 가족이나 집단이 운영하는 재단으로서 종교,  교육,  사회복지 부문의 단체나
조직에 일정한 기부를 함
§ 기부 여부를 결정하는 이사회는 대개 가족 구성원이나 친구로 구성됨
② 기업재단
§ 기업의 이윤을 재원으로 하여 만든 재단임
§ 이사회는 기업의 간부와 지역사회 주민으로 구성됨
§ 지역 기부금 위원회를 둔 기업도 있음
③ 운영재단
§ 기관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젝트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재단임
④ 지역사회재단
§ 기부자의 신탁으로 자금이 마련되는 재단임
§ 기부자의 지침에 따라 지원 여부가 결정됨
(2) 후원금
l 사회복지기관(사회복지법인의 대표이사와 시설의 장)이 후원자로부터 아무런 대가 없이
무상으로 받은 금품 기타의 자산을 말함(사회복지사업법 제45조)
l 후원금 관리
§ 사회복지기관의 후원금 관리는 「사회복지법인 재무 ·  회계 규칙」(제41조)에 규정되어
있음
ü 기관장은 후원금의 명확성을 확보해야 함
ü 후원자에게 영수증을 즉시 발급해야 함
ü 후원금의 사용 내용을 후원금을 낸 법인 ·  단체 또는 개인에게 통보해야 함
ü 후원금 수입 및 사용결과 보고서를 관할 시장 ·  군수 ·  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함
ü 후원금을 후원자가 지정한 사용용도 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못함
l 자발적 기여의 문제점
§ 조세감면 :  조세감면이 기여의 중요한 동기가 되기 때문에 조세감면을 줄인다면 거액
기부금의 주요 수혜기관들(대학,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는 엄청난 위협이 될 수 있음
메모 :
68


사회복지정책론
§ 역진적 소득재분배 효과 :  자발적 기여에 대한 조세감면의 혜택이 고소득층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기부자의 의도에 따라 편향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
§ 유동성 :  자발적 기여는 경제적 상황에 따라 변동이 심하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추진하기가 어려움
3) 이용료
­ 클라이언트와 제3자가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를 사용한 대가로 지불하는 돈을 말함
l 제3자 :  공공사회복지기관,  사회보장기관,  직업 재활,  보험회사 등
①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가인 이용료로 기관의 재정을 충당하는 것은 수익자부담이라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일반적 원칙에 부합됨
② 서비스 이용자인 클라이언트가 지불하는 이용료 수입은 사회복지기관이 해당 프로그램을
주체적 ·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만들기 때문에 기관으로서는 선호할 만한 재원임
③ 이용료를 재정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는 기관의 경우 가장 중시해야 하는 것은 이용료
수입총액에 대한 예측 가능성임
l 기관은 장기간 이용료를 지불하는 클라이언트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1) 사회복지기관의 이용료의 종류
① 참가비
l 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에 참가할 때 지불하는 일정액을 말함
② 고정이용료
l 프로그램 이용 시,  소득계층에 상관없이 단일률 혹은 일정액을 부과하는 형태
§ 역진성이 매우 큼
③ 슬라이딩-스케일 이용료(Sliding-Scale  Fees)
l 클라이언트의 지불능력을 고려한 이용료를 말함
l 경제사정에 따라 차등을 둠
§ 일정 소득이 없는 클라이언트는 이용료를 면제함
§ 그 이상의 소득을 가진 클라이언트는 누진적 이용료를 부과함
④ 공평 부담이용료
l 전체 비용을 참가자 수로 나눈 이용료를 말함
l 예)  주말 여행경비 총액을 참가자 수로 공평하게 나누어 개인 이용료를 책정하는
방식
⑤ 제3자 이용료 지불방식
l 제3자가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 이용료를 대신 지불하는 방식
l 예)  미국의 노인 의료보장제도(Medicare),  빈민을 위한 의료급여제도(Medicaid),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험 등과 같이 환자가 아닌 정부나 건강보험공단이 치료비를
병원에 지불함
(2) 이용료의 장점과 단점
메모 :
69


사회복지정책론
l 이용료의 장점
§ 이용료는 서비스 이용자가 요금을 부담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의
질에 대해 강한 책임감을 느끼게 되어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
§ 사용자 부담을 통하여 사회복지재원을 확충할 수 있음
§ 사회복지서비스의 남용 및 도덕적 해이를 막을 수 있고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음
ü 예)  건강보험의 경우,  사용자 부담은 불필요한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이 그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낙인감 없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점이 있음
§ 수혜자와 비수혜자 사이에 공평을 도모함
§ 수혜의 정도 및 부담 능력이 높고 낮음에 따른 부담을 요구함
l 이용료의 단점 
§ 이용료는 유동적이고 불안정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음
§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에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어 서비스
이용을 제한함
§ 이용료만으로 재정을 충당하는 경우,  참여 이용자의 수가 적으면 재정 적자라는
심각한 문제에 봉착함
§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부담이 커서 소득재분배상으로 역진적임
4) 모금
(1) 모금의 두 가지 목적
①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획득함
② 지역사회 주민을 모금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조직 목표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킴
→ 모금은 기관의 재원일 뿐만 아니라 기관을 홍보하는 수단임
(2) 모금은 4단계를 거침
① 제1단계 기획
l 기관은 어떻게,  언제,  누가 모금을 할 것인지를 기획해야 함
§ 모금방법의 결정은 필요한 자금의 총액,  모금에 걸리는 기간(모금의 속도),  기금의
목적 등에 달려있음
② 제2단계 조사
l 모금을 앞두고 기관의 회원들은 서비스 시장 또는 가능한 후원자를 조사해야 함
§ 후원자들,  후원자들의 재정 상태,  후원 실적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임
§ 재단이나 정부가 어떤 제안을 지원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도 중요함
③ 제3단계 프레젠테이션
l 가능성 있는 후원자를 대상으로 한 프레젠테이션임
§ 기관의 명칭과 목적,  과거의 실적,  현재 필요한 것,  후원의 필요성,  기금의 사용처
메모 :
70


사회복지정책론
및 그 결과에 대한 기술 등을 포함함
④ 제4단계 사후평가
l 후원 내용을 기록하여 주변에 알리고 모금 캠페인을 평가하는 것을 말함
§ 후원자와 기부자에게 기금이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프로젝트가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를 알려야 함
§ 모금 캠페인을 평가하는 일도 중요함
§ 평가 결과는 기관의 다음 모금에 큰 도움이 됨
5) 직업복지
­ 기업의 사용자가 근로자들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제공하는 임금 외 급여 또는 부가급여를 말함
­ 직업복지의 형태
l 예)  기업연금,  민간 건강보험,  자녀의 학비,  유급휴가,  주택구매비 지원,  사택 제공,  무이자
대출,  사내 후생시설,  출 ·  퇴근 버스운영,  사내 취미동아리 지원,  법률서비스 등 기업마다
다양함
(1) 직업복지의 개념
l 직업복지 대상은 피고용자나 그의 가족이 혜택의 대상이 됨
l 직업복지 급여는 일반적으로 임금과 함께 증가하게 되어 임금이 높을수록 혜택을 많이
받으므로 임시직이나 실업자는 전혀 받을 수 없으므로 소득재분배상으로 소득 역진성이
있음
l 대부분의 나라들은 직업복지로 지출되는 비용에 대해 세제상의 혜택을 부여하여
직업복지를 권장함
(2) 기업이 직업복지를 운영하는 이유
l 우수한 인력의 확보와 유지,  노사관계의 안정,  기업에 대한 근로자의 충성심 강화, 
생산성 향상 등
l 직업복지의 확대가 국가의 사회보장 수요를 감소시키기 때문임
l 기업 입장에서 세금이 부과되는 임금보다는 세제 혜택이 있는 직업복지 형태로
근로자에게 급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선호함
6) 가족 간 이전
­ 가족 간 이전은 크게 소득이전과 비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서비스 제공으로 나눌 수 있음
­ 가족 간에 비공식적으로 소득을 이전함으로써 사회복지의 기능을 수행함
­ 가족은 구성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함
l 예)  정부의 재가보호를 받을 수밖에 없는 노인들을 자식들이 부양함
­ 가족은 구성원이 위급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지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시간적 ·  공간적으로 복지욕구를 빨리 해결해 준다는 장점이 있음
메모 :
71


사회복지정책론
나. 재원조달정책 선택의 기준
① 중립성
­ 사회보장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재원조달이 국가의 경제활동을 저해하지 않아야 함
l 재원조달을 위한 높은 비용 부담이 개인 저축률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노동력
공급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
l 중립성의 관점에서 보험료에 의한 재원 구성 비율을 높임
→ 정부의 재정부담 중 일부를 누진성이 높은 직접세에서 부가가치세 또는 소비세 형태의
조세로 바꾸어 자원배분의 왜곡 가능성을 억제해가는 방향으로 재원조달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함
② 공평성
l 공평한 부담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계속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회보장지출의
재원조달은 어려움
§ 예)  사회보험료 미납자 적발
l 사회보장이라는 특정 정책 목적을 위한 재원조달을 위해서는 부담의 공평성 확보가 더욱
중요함
③ 안정성
l 사회보장제도를 장기적으로 유지 ·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재원의 안정성이 요구됨
l 일반재원에 의한 재원조달방식은 그 배분을 둘러싸고 정치적 대립상황이 초래되기 쉬움
§ 일반재원인 조세의 비율이 낮은 재원구조가 바람직함
l 급여의 증가에 따라 사회보장 재원도 확대되는 조달방식이 제도의 장기적인 안정화를
위해서 요구됨
④ 간소성
l 재원조달은 징수의 절차가 간편하고 징수비용이 낮은 방법이 요구됨
§ 이 기준에서 볼 때 원천징수에 의한 재원조달이 최적임
l 사회보장의 비용을 부담하는 사람들에게 이해를 얻는 데에 간소성의 기준에 맞는
조달방법이 좋음
다. 민간재원조달의 장점 및 한계
1) 민간재원조달의 장점
­ 민간재원 사용처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알려 줌으로써 재원조달을 유인할 수 있음
­ 기부금이나 후원금,  회비 등을 낸 사람은 자신이 제공한 재정이 구체적으로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하여 알 수 있기 때문에 재원조달의 유인책이 될 수 있음
­ 민간재원조달은 특정한 목적을 수행할 사업에 찬성하는 사람들로부터의 재원조달이 용이함
l 예)  종교적 교리와 목적에 맞는 사회복지사업의 경우 공공재원조달보다 재원조달이 수월함
­ 기업체 근로자와 임직원 전체가 특정 사업에 동참할 경우,  집단으로 재원조달이 쉬운 측면이
있음
l 예)  월급에서 10원 단위로 잔돈을 기부하는 것
­ 민간 사회복지기관은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보다 밀접함
메모 :
72


사회복지정책론
l 지역주민의 새로운 욕구해결에 있어 공적 사회복지기관 보다 재원조달이 쉬움
2) 민간재원조달의 한계
­ 경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동이 심함
l 장기적이고 일관성 있는 계획수립에서 장애가 될 수 있음
§ 사회 전반이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사회복지재정이 더욱 많이 필요하지만,  민간재원의
조달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규모도 축소될 수 있음
­ 민간재원조달이 개인이나 집단의 자발적 기부에 의존함
l 재원사용 시 책임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함
§ 예방을 위해서는 민간재원 사용과정에 있어 엄격한 기준과 관리 ·  감독이 요청됨
­ 민간재원으로 제공하는 경우
l 급여의 남용 또는 오용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비자격대상자가 민간 사회복지기관에서 제공하는 각종의 사회복지급여를
무임승차하거나 서비스를 남용하는 경우에도 엄격한 관리 ·  감독이 사실상 어려움
메모 :
73


6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1.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가.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의 개념
l 서비스 공급자 사이,  또는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존재하는 조직적 장치로서
복지정책을 집행하는 모든 과정을 말함
l 추상적 사회복지정책을 구체적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하여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관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음
l 사회복지 공급자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부문인 개인,  기업,  종교단체,  사회복지법인, 
시설 등 
l 사회복지 수요자 :  사회복지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로서 복지욕구를 지닌 모든 국민
l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의 목적 :  서비스가 필요한 개인이나 집단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되어 사회복지정책 목표를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것
나. 전달체계의 원칙
­ 공공과 민간의 사회복지 전달체계는 이용자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에 관한 조직적 혹은 구조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원칙과 전략이
있어야 함
1) 통합성
­ 클라이언트의 복잡하고 다양한 욕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복지급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
­ 통합성의 원칙은 주로 공적인 전달조직에 적용됨
­ 사회복지에 관련된 기능과 조직이 한 곳에 통합되어 수급자가 여러 곳을 다녀야 하는 불편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춤
­ 중앙부처 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간에 보건,  복지,  고용,  문화,  교육,  생활체육,  안전, 
주거 등의 사업별 연계는 중요한 과제임
l 예)  알코올 중독증에 걸린 여성 가장이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
어린이집,  알코올 재활치료,  자활센터에서의 직업훈련 프로그램 등이 상호연계되어
유기적인 통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2) 포괄성
­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 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보는 원칙
­ 클라이언트의 욕구나 문제를 동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해야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
l 예)  저소득층 소득보장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클라이언트를 둘러싸고 있는 경제적 지원, 
직업훈련,  취업 알선,  행동개선,  질병치료,  가족문제 등 각각의 다양한 전문가가 협력해서
포괄적 서비스가 실시되도록 해야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
메모 :
75


사회복지정책론
3) 지속성
­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욕구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비스의 종류와 질이 달라져야 하는 경우에
필요한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상호 연계되어야 한다는 원칙
l 예)  직업훈련 프로그램과 취업알선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소득증대의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
4) 접근 용이성
­ 사회복지 수요자가 서비스에 쉽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전달체계를 수요자 중심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원칙
­ 접근성이 낮아지도록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제도의 복잡성,  서비스에 관한 정보의 결여 또는
부족,  서비스 장소의 위치,  서비스 사용 시 사회적 낙인 여부,  심리적 장애,  선정절차상의
장애,  자원 부족,  서비스 인력의 태도,  소득,  연령,  성공의 잠재능력 등
­ 접근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  복지조직 간에 긴밀한 네트워크나 소통관계를 형성하여
접근 용이성을 낮추는 요인을 제거해야 함
5) 책임성
­ 사회복지 공급자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모든 절차를 규정에 따라서 수행할 책임이 있다는 원칙
­ 책임성의 주요내용
l 복지이용자의 욕구가 적절한가
l 복지이용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가
l 서비스 전달체계의 전달과정이 적합한가
l 서비스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가
l 서비스 전달과정에서의 불평과 불만의 수렴장치는 적합한가
6) 전문성
­ 사회복지서비스는 국가나 전문 직업단체의 시험이나 자격심사를 통해 인정된 전문가가 업무를
수행해야 자율적 결정권 및 책임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는 원칙
­ 특히 병원,  학교,  군대 등 사람들이 많은 집단에는 다양한 욕구와 문제가 발생하므로
사회복지사를 채용하여 집단 내의 문제와 욕구,  상담 등의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
다. 전달체계의 종류
­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l 공급주체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과 사회복지제도에 의한 구분 등이 있음
l 공급주체에 따라 크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눌 수 있음
­ 복지국가 위기 이후 국가중심에서 민간중심의 민영화의 흐름 속에서 정부와 민간부문의
혼합체계가 대두됨
1) 공공전달체계
메모 :
76


사회복지정책론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직접 운영의 주체가 되는 것을 말함
­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등은 공공전달체계를 통하여
수행됨
l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 중앙정부에서 제공함
l 사회복지서비스 등 → 지방정부에서 제공함
l 사회복지서비스의 일부분은 민간차원에서도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음
(1) 중앙정부
① 중앙정부의 특징
l 서구 복지국가들은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어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l 중앙정부에서 제공되는 것의 전반적인 것을 결정하여 실시함
§ 재화나 서비스의 급여자격과 급여수준,  재원,  세부적 전달체계 등
l 사회보험과 같이 대상이 많을수록 작은 단위인 지방정부에서 관리하는 것보다 가장
큰 단위인 중앙정부에서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함
l 사회복지정책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표를 구현하는데 유리함
§ 목표 :  소득 재분배와 사회적 적절성
l 정치적 저항이 적음
l 중앙정부에 의한 사회복지정책은 사회복지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체계화하여
프로그램을 통합 ·  조정하거나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유리함
② 중앙정부 제공 서비스의 단점
l 공급량이나 형태에 관해 수급자의 선택이 반영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급자들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음
l 공급자가 독점적이기 때문에 공급자가 다수인 경쟁적인 체계에 비하여 재화의 가격과
질에 있어 수급자에게 불리할 수 있음
l 정부조직의 관료성으로 인하여 수급자의 욕구에 대한 대응이 빠르지 못하고 지역의
특수적인 욕구에 대한 대응이 탄력적이지 못할 수 있음
l 중앙정부의 전달체계는 지방정부나 민간전달체계에 비해 수급자들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2) 지방정부
① 지방정부의 특징
l 공공부문에 해당하는 지방정부가 사회복지정책에 관여하는 역할은 결코 적지 않음
l 사회복지 재화나 서비스가 완전하게 지방정부 단독으로 제공되는 경우는 많지 않음
② 지방정부 제공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
l 지방정부 제공 서비스의 장점
§ 지역주민들의 욕구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
§ 지방정부들 간의 경쟁을 유발함으로써 경쟁논리에 의해 재화의 가격과 질적
메모 :
77

재정적 규제방법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 재정을 지원하는 방법임
프로그램
규제방법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 프로그램의 세부적 내용인 대상자 자격, 
급여의 형태와 금액,  세부적 전달방법 등에 관해서도 규제하는
것을 말함
수급자의 수와
욕구에 따른
규제방법
중앙정부가 지방정부 수급자의 수나 욕구를 차등 지원하는 방법임
(지방정부의 인구 수나 욕구가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더 많은
재정을 지원함) 
절차적 규제방법
중앙정부가 지방정부 일부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운영상의 일정한
절차를 규제함


사회복지정책론
측면에서 수급자에게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음
§ 중앙정부에 비하여 비교적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서비스 개발이 용이하여
수급자들의 변화되는 욕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음
§ 수급자들이 정책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져서 수급자의 입장이 반영될 가능성이
높아짐
l 지방정부 제공 서비스의 단점
§ 지역 간 커다란 불평등을 야기시켜 사회통합에 부정적인 면이 있음
§ 중앙정부에 비해서 지방정부 제공 서비스는 규모의 경제에 있어 사회보험의 경우
기술적인 측면에서 불리함
§ 지방정부의 공공복지 전달체계에 전문인력이 부족함
§ 재정적 측면에서 서비스의 안정성과 지속성 확보가 불리함
(3)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혼합체계
l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많은 경우에 프로그램을 협력하여 운영함
l 중앙정부는 주로 재정이나 운영상의 규제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권한과 자율성에
영향력을 행사함
l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혼합체계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됨
2) 민간전달체계
­ 민간전달체계는 대부분 사회복지서비스 부문에 집중되어 있음
­ 대개 정부의 부분적인 재정지원과 행정적 지도 ·  감독 아래에서 민간은 다양한 전달체계를
운영하고 있음
­ 국가가 제공하는 사회복지 재화나 서비스 중,  순수민간전달체계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는 많지
않음
­ 순수 민간부문에 맡길 경우 자본주의의 취약점인 시장원리의 단점과 평등추구의 어려움
때문에 국가적 개입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음
­ 민간전달체계 종류
① 민영화
l 공공기관이 직영하던 사회복지서비스를 민간기관에게 이양하는 것과 일정한 계약 아래
민간기관 및 비영리단체에게 운영을 위탁하는 것을 말함
메모 :
78


사회복지정책론
l 자유시장 이데올로기의 확산,  시민참여의 확대 → 민영화
l 민영화의 장점
§ 시장에서의 경쟁이라는 장점이 있어 비용 효과적인 인센티브가 있음
§ 민간기관이 공공기관에 비해 서비스 대상자들에게 덜 관료적이며,  보다 책임감이
높음
l 사회복지서비스를 민영화할 경우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자는 민간 복지기관이 되고, 
서비스 수급자는 소비자가 되며,  정부는 재정을 부담하는 제3자가 됨
§ 제3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의 비용과 질의 보장이 약화됨
② 종교단체
l 사회복지의 민영화와 함께 종교단체의 사회복지 역할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
l 정부가 공공복지서비스를 민간기관에게 위임하고자 할 때 종교단체가 가장 신뢰할
만하고,  종교단체가 보유한 인적 ·  물적 자원이 운영의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음
l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종교기관은 정부와 계약을 맺어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위탁 공급자에 참여하게 되었음
l 현재 많은 종교단체들이 정부의 지원 아래 공공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음
§ 예)  직업훈련,  문맹퇴치,  후견인 프로그램,  약물 및 알코올중독 치료,  미혼모
지원사업 등
③ 상업화
l 최근 들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에 영리기관들의 참여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음
§ 그에 따라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 ‘사회복지 목적에 얼마나 잘
봉사하는가’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l 사회복지 주창자 :  “비영리기관은 영리 동기와 사회복지 정신이 양립할 수 없다”
l 비영리기관과 영리기관의 사회복지전달의 효과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비영리기관이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보다 민감하다는 보고가 있음
3) 정부와 민간부문의 혼합체계
­ 정부와 민간부문의 혼합체계는 ‘복지국가의 위기’의 시대에 ‘민영화’의 이름 하에 강조되고 있는
경향임
­ 정부와 민간부문의 혼합체계는 정부조직이 갖고 있는 관료제적 약점과 국민의 욕구에 대한
탄력적 대응이 미흡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민간부문의 장점인 효율성,  경쟁성,  선택의
자유,  접근성,  대응성,  융통성 등을 살려서 운영
­ 혼합체계는 정부가 민간부문에 재정을 지원하되,  정부가 민간부문에 일정한 규제를 하면서
민간부문이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운영을 맡도록 함
라. 전달체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복지정책을 계획하고 수립하는 과정에서 전달체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는
그 나라의 사회복지정책의 목표와 이념,  급여의 내용,  재정적 여건,  행정기술과 전문적 인력의
메모 :
79


사회복지정책론
능력 등이 있음
1) 사회복지정책목표와 이념
­ 예)  ‘빈곤’과 ‘청소년 비행문제의 해결’이란 두 가지 정책목표가 주어진 경우
l 빈곤문제 해결
§ 공공부조방식을 통해 해결함
§ 정부의 관료제적 조직을 통해 전달체계를 선택함
l 청소년 비행문제 해결
§ 집단상담,  개별상담 등 사회사업실천방법을 통해 해결함
§ 민간전달체계를 선택함
­ 예)  집단주의적 이념을 강조하는 사회와 개인주의적 이념을 강조하는 사회
l 집단주의적 이념을 강조하는 사회 :  거대조직이 선택될 가능성이 더욱 높음
l 개인주의적 이념을 강조하는 사회 :  사회지역조직이나 민간전달체계가 선택될 가능성이
더욱 높음
2) 급여의 내용
­ 길버트(Gilbert)와 스펙트(Specht)가  제시한 사회복지정책의 네 가지 분석틀 가운데 ‘무엇을
받는가?’가  전달체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급여 내용이 현금,  현물,  서비스,  증서,  기회,  권력 등 다양하기 때문에 유형에 따라
전달체계를 선택함
l 예)
§ 현금이나 현물급여 :  획일적이고 융통성이 없는 정부 관료제적 전달체계를 선택함
§ 기타의 비화폐적 서비스 :  개별성과 탄력성이 있는 민간전달체계를 선택함
3) 재정적 여건
­ 길버트(Gilbert)와 스펙트(Specht)가  제시한 사회복지정책의 네 가지 분석틀 중 ‘누가 급여를
지불하는가?’가  전달체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재정적 뒷받침이 없이는 그 목표달성이 어려우므로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를 선택할 때, 
인적 ·  물적 비용 등 자원 확보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함
4) 행정기술과 전문적 인력의 능력
­ 전달체계에 투입되어 있는 전문인력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도 전달체계 선택 시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
마.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발전전략
­ 길버트와 테럴(Gilbert  &  Terrell)은 정책결정 권한과 통제력을 재구조화하는 전략,  업무배치를


재조직하는 전략,  전달체계조직의 변화,  즉 단위조직의 수와 형태를 변화시키는 전략을


메모 :


제시


80


경쟁
기존의 전달체계 안에서 기관들이 서로 경쟁하도록 기관을 중복시키는 것
분리
기존의 전달체계 외부에 새로운 기관을 조직하는 것
→ 기존의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매 맞는 여성,  동성애자,  에이즈 환자 등을
위한 서비스를 분리하여 독립시킴


사회복지정책론
1) 정책결정 권한과 통제력을 재구조화하는 전략
(1) 조정
l 사회복지서비스의 통합성과 포괄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
l 집중화,  연합,  사례수준의 협력 등 세 가지가 있음
① 집중화
§ 가장 강력한 조정의 형태임
§ 행정적으로 여러 기관을 통합하고 단일화함으로써 서비스의 분열과 전달체계의
단편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예)  사회복지사무소의 설치를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복지관련 업무를 하나로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② 연합
§ 기술,  자원,  지식 등을 교환하는 상호협력관계를 구축하되 행정적으로 통합하지는
않는 것을 말함
§ 예)  참고 :  제휴
ü 제휴는 협력관계를 맺은 기관의 의사결정 권한을 공유하거나 변경시키지 않음
③ 사례수준의 협력
§ 다양한 사례에 대한 의견교환과 대안을 협의함
(2) 시민참여
l 시민참여의 목적 :  의사결정권한을 기관과 클라이언트에게 재분배하는 데 목적이 있음
l 시민참여의 전제 :  클라이언트가 영향력을 행사해야 보다 책임있고 효과적인 서비스가
보장된다는 데 있음
2) 업무배치를 재조직하는 전략
­ 역할연결 :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수급자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만드는 것을 말함
l 예)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대상자 간의 차이를 해소시키기 위해서 그 지역을 잘 아는
비전문직이 연계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으로 적합함
­ 전문가의 철수 :  사회복지사가 조직관료에서 기업가로 역할을 바꾸는 것을 말함
3) 전달체계조직을 변화시키는 전략
­ 접근구조의 전문화 :  전달체계의 구성 즉,  단위조직의 수와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목적임
­ 의도적인 중복
l 기존 서비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재창조하는 것을 말함
l 경쟁과 분리의 두 가지 형태가 있음
메모 :
81


6주차 2차시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좁은 범위의 이해집단
넓은 범위의 이해집단
노인,  여성,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집단
연금,  건강보험 등의 사회보험 이해집단과
전 국민


사회복지정책론
12.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가.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 사회복지정책 과정은 사회복지정책이 형성되는 일련의 과정을 지칭함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  집행 ­  평가의 세 단계
①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  사회복지정책이 하나의 독자적인 정책으로 만들어지는 과정
② 사회복지정책의 집행과정 :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사회복지정책을 실제로 시행하는 과정
③ 사회복지정책의 평가과정 :  실제 시행된 사회복지정책을 일정한 분석틀에 따라 평가하는
과정
­ 사회복지정책의 과정에 대한 이론으로는 대표적으로 정치체계이론,  집단이론,  엘리트이론, 
제도주의이론,  합리주의 선택이론,  거버넌스이론 등이 있음
나. 사회복지정책의 과정이론
1) 정치체계이론(Political  System  Theory) 
­ 정치체계이론에서 보는 사회복지정책이란 정치체계는 정치 환경에서 일어난 요구와 압력에
대한 반응이라고 봄
l 정치체계를 ‘가치의 권위적 배분’으로 정의함
­ 정치체계이론의 특성
l 개인,  집단,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들을 권위로써 배분하는 데 있음
§ 부,  권력,  지위,  명예 등 :  물질적 혹은 상징적 정책으로 나타나며,  공공재화 혹은
사적재화로 배분될 수 있음
l 정치체계이론에서는 정치체계에 대한 투입(inputs)은 정치체계에 대한 요구뿐 아니라
지지로 나타나며,  내부의 정책과정을 거쳐 정책으로 제시되는 산출(outputs)은  법과 규율, 
즉 공공정책으로 나타난다.
2) 집단이론(Group  Theory) 
­ 집단이론에서 보는 사회복지정책이란 집단 사이의 경쟁이나 갈등의 산물로 간주함
­ 집단이론의 특징
l 개인들은 자신들의 문제가 사적인 문제로 취급되어 혼자만의 것은 아니라는 것을 최소한
입증할 수 있는 집합체인 집단을 형성하여 정부에 대해 요구하며 압력을 행사함
l 집단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모두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집단들은 공공의 관심을 끌어
논쟁이 공론화되고 정책형성으로 이어지도록 서로 경쟁 혹은 갈등을 하게 됨
l 집단들의 문제가 공론화되는 일련의 과정을 정책과정으로 보는 것이 집단이론임
l 사회복지정책의 경우,  좁은 범위와 넓은 범위의 이해집단으로 나눌 수 있음
l 집단이론에서는 ‘접근(Access)’이라는 개념이 핵심개념임
메모 :
83

사익추구적인 이익집단들
공익추구적인 이익집단들
경제단체,  변호사협회,  의사협회 등
사회복지기관과 시설,  소비자단체, 
환경단체 등


사회복지정책론
l 정부관리,  입법의원,  정보 등에 대한 집단의 접근 여부와 빈도,  밀접도에 따라 집단 사이의
권력관계의 차이가 나타남
l 집단이론은 기업 등 전통적인 주요 이익집단들과 정부의 주요 행위자들에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음
l 기업 등 경제단체들의 접근이 가장 크게 조직화 혹은 제도화되어 있음
l 집단이론에 의한 집단들의 예
l 집단이론가 :  “정부의 역할은 집단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이 사회분열로 발전되지 않고
공정한 게임의 규칙에 의해 자유롭게 경쟁하도록 중재하고 심판의 역할을 맡는 데 있다”
3) 엘리트이론(Elite  Theory) 
­ 엘리트이론에서 보는 사회복지정책이란 사회복지정책은 지배층인 엘리트의 가치와 선호를
반영함
l 일반시민의 요구와 지지에 따른 산출이 아니라 엘리트의 이해와 선호를 반영한다는 것을
뜻함
­ 엘리트이론의 특징
l 사회는 다수 비(⾮)권력층과 소수 권력층으로 구분되어 있음
l 소수 권력층인 엘리트는 고학력,  부유층 등 특정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
l 비엘리트층이 엘리트층으로 이동하는 것은 사회안정을 위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함
l 일반시민이 엘리트에 대해서보다 엘리트가 일반시민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함
4) 제도주의이론(Institutionalism) 
­ 제도주의이론이란 1980년대 사회과학의 ‘신흥성장산업’으로 등장한 이론으로 제도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 ·  사회적 및 경제적 영향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이론을 말함
­ 제도주의이론에서 보는 사회복지정책이란 보다 공식적이고 구조적인 제도와 행위자가
사회복지정책결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사회복지정책의 내용을 결정짓는다고 주장함
l 제도란 규칙화된 행동의 유형들임
l 제도의 현황과 변화 또는 공식적 제도들 간 관계의 변화와 행위자들의 역할 등을 분석하면
공공정책의 특성과 누구의 이익을 도모하는지에 관한 분석이 가능함
­ 제도주의이론의 특징
l 앤더슨(Andersen)  :  “제도적 구조,  장치 및 절차들이 공공정책의 채택과 내용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
5) 합리적 선택이론(Rational  Choice  Theory) 
­ 합리적 선택이론에서 보는 사회복지정책이란 유권자와 정치인은 모두가 합리적 행위자로서, 
메모 :
84

공식적
정책결정자
­ 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정책과정의 주도적인 역할을 함
­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관례적
이해당사자
­ 법에 의한 이해당사자는 아니지만 정책과정에 참여해서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이해당사자를 말함
­ 정당과 이익집단
새로운
이해당사자
­ 거버넌스의 확대와 함께 ‘새로운 이해당사자’로 꼽히는 이해당사자를 말함
­ 사회복지기관,  NGO,  일반시민 등

장점
단점
매우 개방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복지정책 이해당사자들을 정책과정에
참여시킬 수 있음
정부와 정책 결정층의 입장에서 보면,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의견을 조율하거나
일률적인 정책추진을 위한 통제의 기능이
크게 약화되는 문제가 있음


사회복지정책론
자신들의 선호를 최대화하기 위해 사회복지정책에 참여함
l 분석과 설명의 대상을 집단이나 제도적 차원이 아닌 개인 차원에 둠
­ 합리적 선택이론의 특징
l 정책결정자인 정치인 :  “국익이나 공익과 같은 집합적 목표보다 다분히 사익추구의
동기에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복지정책을 이용한다고 봄”
l 개인과 집단들 :  사익추구 혹은 합리적 선택이라는 기본적인 동기에서 사회복지정책과정에
참여함“
6) 거버넌스이론(Governance  Theory) 
­ 거버넌스이론이란 사회복지정책과정에 관련된 이해당사자들에게 정책에 대한 접근과 참여를
개방하고 있음
l 전통적인 이해당사자인 기업 등 각종 이익집단뿐 아니라 노조와 다양한 사회복지기관들과
시민단체들도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접근의 기회가 개방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
이들은 정책결정자 혹은 정책집행자 역할도 함
­ 거버넌스이론의 특징 :  최근 시민사회의 발전과 공익단체로서의 NGO의 역할이 공식적인
정책과정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다는 추세를 반영함
­ 거버넌스이론의 장점과 단점
다. 정책과정의 이해당사자
­ 사회복지정책과정에는 많은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함
1) 공식적 정책결정자
­ 법적 권위에 의해 공공정책의 형성에 관여하는 사람들을 말함
­ 현대 입헌국가에서 공식적 정책결정자는 삼권분립을 대표하는 입법부 의원,  대통령과 행정
책임자들,  법원의 판사 등이 있음
­ 원칙적으로 삼권분립의 정신에 의해 견제와 균형이 이뤄지고 있지만 현실 정책과정에서는
메모 :
85


사회복지정책론
입법부의 권한이 축소되고 행정부와 사법부의 권한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음
(1) 입법부
l ‘입법’을 하는 법적 기관을 말함
§ 입법활동이란,  ‘정치체계에서 법률제정과 정책형성에 관한 핵심적인 정치적 임무’라고
볼 수 있음
l 현대 민주주의 국가는 정책결정에서 의회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
§ 그러나 입법부는 행정부와 이익집단,  또는 유권자로서의 일반시민의 기대와 영향력에
크게 의존하므로 독립적인 정책결정의 기능을 수행한다고는 볼 수 없음
l 사회복지정책결정을 위한 기본 자료와 정보의 수집에서부터,  정책 이해당사자들의
대립과 갈등을 수렴하기 위한 일련의 정치적 과정 등은 입법부가 입법단계에서 행하는
일반화된 과정임
l 소속정당의 정책,  의회 내 설치된 전문기관과 전문인력에 의해 의원들의 입법활동이
이뤄짐
(2) 행정부
l 대통령과 행정기관을 통칭함 :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정책결정과 집행이 대통령의
리더십과 행동에 크게 의존하는 ‘대통령 중심’임
l 공식적 정책결정자 중에서 입법부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대통령을 정점으로
하는 행정부의 정책결정 권한이 크게 늘고 있음
§ 행정부의 정책결정 권한이 늘고 있는 이유
ü 국내외 환경에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여 행정부가 정책결정과 집행을 동시에
추진해야 하는 사례가 증가함
ü 사회문제의 심화와 급진적인 과학기술로 인해 공공정책은 전문 관료에 의한
정책결정과 집행이 추진되고 있어 전문성에서 뒤진 입법부의 정책결정권이
상대적으로 위축되고 있음
ü 행정기관은 정치와 행정이 분리된 상황에서 정치적 중립을 지키며 일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뿐 아니라 지지세력을 동원하여
정책결정에서 확고한 입지를 가지고 있음
(3) 사법부
l 입법권 ·  행정권과 함께 국가의 3대 권력 가운데 하나인 사법권을 관장함
§ 사법부도 정책결정권을 확장해가는 추세에 있다고 볼 수 있음
§ 정책문제에 대한 판결뿐 아니라 법의 해석을 통해 정책과정 전반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함
§ 헌법재판소는 위헌판결을 통해 정부정책의 근본을 좌우함
l 입법부와 행정부가 대립하는 경우 정치적 이슈들이 법률적 이슈들로 변해서 사법부의
판결에 의존하는 추세
메모 :
86


사회복지정책론
l 앞으로도 사법부의 정책형성의 관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사법부의 정책형성의 관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
ü 시민에 대한 행정부의 영향력이 늘어남에 따라 시민과 행정부 사이의 대립상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ü 사회문제에 대한 입법부 대응의 부재 혹은 실패
ü 시민들 사이에서 소송이 늘어나는 추세 등
2) 관례적 이해당사자
­ 정책과정에 공식적으로 참여할 법률적 권위를 인정받지 않은 정책 이해당사자들을 ‘비공식
참여자’로 간주하는데,  이러한 비공식 참여자를 관례적 이해당사자라고 함
­ 정당,  기업,  이익집단,  언론매체,  연구기관 등이 포함
l 다만 정보를 제공하고,  압력을 행사하며,  설득하는 역할을 할 뿐,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아님
(1) 정당
l 선거에서 정치인을 당선시켜 권력을 장악하고 유지하는데 목적을 두는 기관임
l 정당에게 있어 정책은 권력을 쟁취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음
l 정책보다 유권자 접촉,  서비스,  언론 홍보,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 공격 등이 선거승리의
관건이 되고 있음
l 지지 세력의 이해를 정책결정의 대안으로 상정하는 ‘이익집약(Interest  Aggregation)’의
기능을 함
l 세계적으로 보수적 정당이 재산권 보호를 목적으로 국방과 치안정책을 더 중시하고, 
진보적 정당이 인권옹호를 위한 근로자와 소외계층 복지를 더 중시하는 것이 일반화된
경향임
(2) 기업
l 일반적으로 이익집단 중의 하나로 간주됨
l 린드블럼(Lindblom)  :  “기업이 이익집단과 구별되는 이유는 기업은 막강한 자금과
조직을 가진 최대의 이익집단이며,  더 중요한 사실은 정부관료들이 기업을 마치 제2의
공직자 집단처럼 실질적 권위를 인정해준다는 점이다”
l 사회복지정책에서 기업은 자신들의 부담을 줄이고 정부의 책임을 늘리려는 전략으로
정책과정에 참여함
l 가장 확고한 특권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기업도 NGO들의
영향력에 밀려나는 추세에 있음
(3) 이익집단
l 기업을 제외한 노동조합,  산업체,  농협,  직능단체 등을 이익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음
l 이익집단의 역사는 기업과 노조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이후 교사,  의사,  변호사 등
메모 :
87

정당의 주요 기능
이익집단의 주요 기능
이익집약(Interest  Aggregation)
이익표출(Interest  Articulation)

한국
미국 및 유럽 등지
대학 등 사회복지 연구기관들보다는
대부분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정부가 설립한
공공 연구기관들이 주요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음
싱크탱크가 시민사회에서 설립된
비정부,  비영리기관으로서 정부정책에
대한 비판과 자문,  정책대안 제시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사회복지정책론
직능 및 전문단체들이 주축을 이루는 시대로 발전되었고,  최근에는 빈곤,  낙태,  환경, 
통일 등 단일이슈를 영역으로 삼는 이익집단들이 생김
l 정당과 이익집단의 주요 기능
l 미국 등지에서는 이익집단의 활동을 규제하기 위해 ‘로비스트 등록법’을 시행하고 있음
§ 등록된 이익집단만이 의회에서 정치인과 접촉하며 공식 로비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규제하는 법
(4) 연구기관
l 후기 산업사회는 대학 등 연구기관의 지식산업 활동이 주도하는 사회임
l 싱크탱크(Think  Tank)
§ ‘아이디어와 행동의 촉매’의 역할을 함
§ 사회문제와 정책대안에 대한 공개적이고 활성적인 논의를 통해 정책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싱크탱크의 기반구축은 시민사회에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에 있어 필수요건임
§ 싱크탱크의 역할
ü 정부와 시민 사이의 중재기능을 함
ü 정책형성과정에서의 주요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아이디어와 정보의 교환을 위한
건설적인 이슈를 표출함
ü 정책대안을 평가함
§ 한국과 미국 및 유럽 등지의 싱크탱크(Think  Tank)
§ 연구기관들은 특정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가짐
ü 예)
v 보수성향 :  미국의 헤리티지재단(Heritage  Foundation),  아메리칸
엔터프라이즈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v 진보성향 :  경제정책연구소(Economic  Policy  Institute)
v 중도성향 :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e)
(5) 언론매체
l 신문과 라디오,  TV  방송뿐 아니라 잡지와 인터넷매체도 포함됨
l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여론의 영향력이 점차 증대하는 추세임
메모 :
88


사회복지정책론
l 언론매체는 여론형성의 역할로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자신들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음
l 신문과 방송은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보편적’  혹은 ‘비판적’  지식인의 목소리를
실어주기보다는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와 일치하는 ‘미디어 지식인(Mediatic 
Intellectual)’의 목소리를 일반 시민에게 전달해 주는 독점적 지위를 행사하는 경향이
있음
l 언론은 지식인과 전문가 등 여론형성층을 동원해서 자신들의 시각에서 기존의
사회복지정책을 비판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함
l 언론매체에 소개된 사회복지 문제와 이슈들은 공식적인 정책의제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음
l 언론을 ‘제4부’  권력기관으로 봄
3) 새로운 이해당사자
­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l NGO의 활동이 일반시민의 지지를 받으며 정부정책을 비판하고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음
l 정부 스스로가 불신의 위기를 극복하고 개혁을 추구하기 위해서 NGO와 일반시민을 정책
파트너로 인정하는 제도를 갖춰가는 측면이 있음
l 거버넌스(governance,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제반기제로 국가경영)  시대의 도래는
사회복지기관과 국제비정부기구 및 일반시민의 목소리를 사회복지정책에 반영시키고
이들을 주요 이해당사자로 인정하는 ‘정책 거버넌스’의 제도화를 유도한다.
l 정책과정에서 NGO는 사적 이익집단을 견제하며 정책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견제세력’으로서 가치가 있음
­ 일반시민
l 시민은 선거를 통해 정치인을 선출하는 지금의 대의민주제를 통해서만 영향력을 가짐
§ 시민이 정책형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대의민주주의 체제에서는 거의
불가능함
l 최근 급진적인 인터넷의 발전으로 일반시민이 사회복지정책의 문제나 의견을 제시하고, 
직접 민원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아지면서 정부가 시민을 직접 상대하며 정책을 수립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
l 사회복지정책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시민의 비판,  압력,  지지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시민이 사회복지정책과정에 참여해야 함
라. 사회복지정책과정 모형
­ 라스웰(Lasswell)
l 정책학의 창시자
l 정책과정을 ‘정보수집과 처리,  동원,  처방,  행동화,  적용,  종결,  평가’의 7단계 모형으로
제시
메모 :
89


사회복지정책론
­ 드롤(Dror)
l 정책과정을 ‘기본방침 결정단계,  정책결정단계,  정책결정이후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고, 
다시 18개의 세부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 다이(Dye)
l 정책과정을 일련의 정치적 활동으로 파악
l ‘문제인식,  정책대안의 형성,  정책의 합법화,  정책의 집행,  정책의 평가’의 5단계로 구분
­ 존슨(Jones)
l ‘문제의 인식,  정책의 개발,  정책의 집행,  정책의 평가,  정책의 종결’이라는 5단계로 제시
­ 헤프만(Hefferman)
l ‘문제의 발견과 인지,  정치적 여과,  입법화,  행정적 실행,  새로운 문제의 발견’이라는
5단계로 구분하면서 정책과정의 순환성에 주목
메모 :
90


7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분석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3. 사회복지정책분석
가.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1) 사회복지정책분석의 개념
­ 사회복지정책분석이란 국가 또는 민간기관이 주체가 되어 시민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정책들의 집합체라 할 수 있음
l 정책분석은 정책문제를 구조화하고 목표를 설계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수단을
발견하려는 논리적 과정임
l 정책분석은 정책결정단계에서만 필요하다기보다는 정책을 형성 ·  집행 ·  평가하는 전체
과정에서 필요함
­ 사회복지정책분석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l 드롤(Dror)  :  “복잡한 정책문제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대안을 식별 ·  고안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l 퀴드(Quade)  :  “사회기술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보다 나은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수행되는 응용연구의 한 형태이다”
l 스토키와 잭하우저(Stokey  &  Zeckhauser)  :  “합리적 정책결정자가 정책문제를 구조화하고
목표를 설계하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수단을 발견하는 논리적 과정이다”
l 버치(Burch)  :  “정책과 정책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체계적 평가이다”
l 사회복지정책분석이란 정책의 형성 ·  집행 ·  평가의 전 과정에서 정책문제를 구조화하고
목표를 설계하여 복잡한 정책문제에 대한 최선의 바람직한 정책해결방안을 창출하고자
수행되는 체계적인 연구 활동 및 노력이라 할 수 있음
2) 사회복지정책분석의 특성
l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관련을 명확하게 하려는 점에서 목적지향적임
l 정책현상이 사회과정의 여러 가지 요인의 상호의존을 전제하고 있다는 의미에 있어서
체계적임
l 정책분석은 정책실시의 예측이나 서술뿐만 아니라 필요한 행위의 제언에 이르기까지
관련된다는 점에 있어서 행위지향적임
l 정책주체가 정책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수법의 탐구라는 의미에 있어서 조작성이 강조됨
l 정책과정에 있어서 관여하는 주체에 대응하며,  정책과제에 대응함
l 문제의 접근법에 있어 학제적 성격이 강조됨
l 불확실성을 고려해 넣도록 요청하는 행위지향적인 성격이 있음
l 사회적 행위는 통상 가치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윤리적인 함의를 가짐
3) 사회복지정책분석의 유형
­ 사회복지정책분석은 과정분석,  산출분석,  성과분석의 3가지 유형으로 나뉨
① 과정분석(Process  Analysis)
l 과정분석은 사회복지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력과 관계를 알아보려는
작업임
메모 :
92

수량적 평등
­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처우를 한다는 원칙을 말함
­ 결과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같은 몫을 나누어 주는 것을 의미함
비례적 평등
­ 유사한 사람에게 동등한 처우를 한다는 원칙을 말함
­ 개인의 업적과 성과가 다르면 그에 따른 처우를 다르게
한다는 것을 의미함
기회의 평등
­ 결과의 평등은 무시하고 과정상의 기회만을 동등하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사회복지정책론
l 과정분석이 다루는 문제
§ 예)
ü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
ü 정책결정의 과정에 참여한 다양한 사람들의 행위,  동기,  목적
ü 정책개발과정의 단계
l 사회적 상황,  행위자 및 개발의 단계가 정책의 결과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줌
l 사회복지정책의 과정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사회복지정책이 목적하는 바가 무엇인가
등의 정책배경에 중요성을 둠
② 산출분석(Product  Analysis)
l 산출분석은 일련의 정책선택과 연관된 다양한 쟁점에 대한 분석임
l 정책과정을 통하여 선택된 정책의 내용을 특정 기준이나
분석틀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말함
l 산출분석은 ‘선택’에 초점을 둠
§ ‘정책을 구성하고 있는 선택의 형태 및 내용은 무엇인가?’
§ ‘선택을 하는데 있어 어떠한 조건을 제외시키는가?’
§ ‘이러한 선택을 지지하는 가치,  이론,  가설은 무엇인가?’  등을 분석함
③ 성과분석(Performance  Analysis)
l 정책선택의 프로그램적 결과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과 효과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말함
l 프로그램 결과의 분석은 과정분석이나 산출분석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관찰이
용이함
4) 사회복지정책 가치분석틀의 요소
­ 사회복지정책은 그 사회에서 지지하는 가치에 기초함
­ 사회복지의 분배정의에 영향을 주는 가치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이 형성됨
­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분석틀의 요소
① 평등성
l 분배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중심 가치임
l 수량적 평등,  비례적 평등,  기회의 평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② 공평성
메모 :
93

사회주의 국가
공평성보다는 평등의 분배정의를 강조함
자본주의 국가
평등보다는 공평성의 분배정의를 강조함


사회복지정책론
l 각  개인에게 주어지는 보상은 그가 사회에 기여한 바에 비례해야 하며,  사회에 기여할
수 없는 사람들에 대한 고려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한정함
l 국가체제에 따라 강조하는 점이 다름
③ 적절성
l ‘급여수준이 육체적 ·  정신적으로 인간다운 삶을 보장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사회적 적절성을 의미함
l 사회복지급여의 수준은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시장과
환경적 상황을 고려하여 책정되어야 함
나.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
1) 사회복지정책 분석모형
­ 질(Gil)의 모형
l 광범위하고 복잡한 사회복지정책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적인 분석틀을 제시함
l 입법,  행정 및 사법 이외에도 모든 수준에 있는 정책입안자들과 정당관계자나 사회의 모든
분야에 있는 사회행동집단이나 이해집단에 의해서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고안되었음
­ 프리그머와 아서튼(Prigmore  &  Atherton)의 모형
l 특정 사회의 가치,  문화,  지식과 연결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현실과 동떨어질 수 없는
사회복지정책에 사실을 강조한 분석틀을 제시함
­ 길버트와 테럴(Gilbert  &  Terrell)의 사회복지정책 차원분석
l 차원분석의 틀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사회복지정책을 네 가지 선택의
차원(Dimensions  Of  Choice)에서 분석함
l 길버트와 테럴(Gilbert  &  Terrell)
§ 사회복지정책이란
ü 사회복지 급여를 누구에게 제공해야 할 것인가
ü 어떤 사회복지 급여를 제공할 것인가
ü 사회복지 급여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ü 재정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에 대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네 가지 선택의 차원
① 사회적 배분(Social  Allocations)
ü 급여대상 즉,  ‘누가 사회복지의 대상자가 되는가’  하는 것임
ü 중요한 것은 사회복지 급여를 소수에 국한시킬 것인가(선택주의),  또는 전
국민에게 제공할 것인가(보편주의)의 문제임
② 사회적 공급(Social  Provisions)
ü 급여 형태 즉,  ‘사회복지 대상자들에게 무엇을 제공할 것인가’,  ‘어떤 종류의
급여를 전달할 것인가’의 문제를 말함
v 예)  현물급여,  현금급여,  서비스
메모 :
94


사회복지정책론
③ 전달체계(Delivery  Strategies)
ü 사회복지 급여를 제공하는 주체와 그 수급자 간의 조직체계를 말함
ü 여기서는 권한의 소재,  업무 수행자와 그 자격,  조직의 유형과 규모 등이 문제의
관건임
ü 수급자들의 접근 용이성,  조직의 통합성,  연속성,  책임성 등이 중요함
④ 재정(Funding)
ü ‘어떤 재원을 사용하는가’의 문제를 말함
v 일반세,  목적세,  보험료 중에서 어떤 재원을 사용하는가 하는 문제임
l 길버트와 테럴의 네 가지 선택의 차원
§ 급여대상 :  ‘누구에게’  (To  Whom)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
§ 사회적 공급 :  ‘무엇을’(What)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
§ 전달체계 :  ‘어떻게 전달'(How  To  Offer  Delivery  System)  할 것인가의 문제
§ 재정 :  소요되는 재정(Finance)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의 문제임
2)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분석모델
­ 칸(Kahn)의 모델
l 6단계로 구성됨 :  계획을 시작하는 단계 → 탐색 → 과제의 정의 → 정책형성 → 프로그램
작성 → 평가(환류)
­ 니토(DiNitto)의 모델
l 5단계로 구성됨 :  문제의 확인 → 대안의 제시 → 정당화 → 집행 → 평가
­ 프리맨과 쉐어우드(Freeman  &  Sherwood)의 모델
l 3단계로 구성됨 :  계획 → 프로그램 개발과 집행 → 평가
­ 길버트와 테럴(Gilbert  &  Terrell)의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분석 모델
l 정책형성과정에서의 ‘전문가 역할’,  즉 사회복지사와 같은 전문가가 수행해야 할 역할에
초점을 두어 정책형성과정을 분석함
l 8단계로 구성됨
① 문제발견 단계
§ 빈곤,  가족해체,  알코올중독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회문제라 일컫는 상황,  또는
사람들이 해결되길 바라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계임
§ 전문가(사회복지사)는 이 단계에서 문제가 되는 사례를 찾아내고,  기록하며,  문제와
서비스 간의 갭을 파악해야 함
② 문제분석 단계
§ 문제의 범위,  심각성,  관련되는 사람의 수 등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문제를
분석함
§ 문제분석에서 전문가에게 꼭 필요한 것은 사회조사기술임
③ 대중홍보 단계
§ 대중에게 문제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단계임
§ 전문가는 조직기술과 미디어 채널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 을 잘 알고 있어야 함
메모 :
95

정책형성단계
전문가의 역할
1.  문제발견 단계
직접 서비스
2.  문제분석 단계
사회조사
3.  대중홍보 단계
지역사회조직
4.  정책목표 개발 단계
사회계획
5.  대중의 지지와 정당성 확보 단계
지역사회조직
6.  프로그램 설계 단계
사회계획
7.  집행 단계
운영관리와 직접 서비스
8.  평가와 사정 단계
사회조사와 직접 서비스


사회복지정책론
④ 정책목표 개발 단계
§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에 대해 논의하는 단계임
§ 이 단계에서 최종 목표와 목적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전문가는 사회계획기능을
수행함
⑤ 대중의 지지와 정당성 확보 단계
§ 목표를 설정하게 되면,  목표달성과정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 주력함
§ 이 단계에서 전문가에게 필요한 것은 리더십의 개발,  협조체제의 구축,  잠재적
지지자들의 동의 유도 등임
§ 전문가의 협상,  거래,  설득 기술이 요구됨
⑥ 프로그램 설계 단계
§ 일단 정책의 방향이 정해지면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단계에 도달함
§ 전문가는 사회계획가로서 프로그램과 조직의 책임 배분 및 프로그램의 운영에
필요한 재정과 인력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함
⑦ 집행 단계
§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는 단계임
§ 전문가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함
⑧ 평가와 사정 단계
§ 프로그램의 집행과정에서 예상치 못했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프로그램에 대해
평가하고 사정하는 작업을 수행함
§ 프로그램 평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효과성 평가와 효율성 평가임
ü 효과성 평가 :  의도했던 정책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함
ü 부수적 효과 :  의도하지 않았던 효과
ü 효율성 효과 :  효과를 비용으로 나눈 것을 말함(정책의 경제성을 따지는 작업)
l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과 전문가의 역할]
3) 사회복지정책가의 역할과 유의점
­ 사회복지정책가의 역할
l 기존 정책의 분석과 평가 및 새로운 정책을 수립해야 함
l 정책분석가는 정책결정자에게 간단하게 정책을 설명하고 옹호해야 하는 역할이 있기
때문에 정책에 대해 객관성을 유지하면서도 해당 정책에 대해 설득력 있는 옹호자가
되어야 함
메모 :
96


사회복지정책론
l 사회적 약자의 배려와 경제적 양극화 해소에 앞장서며 다양한 사회복지문제의 해결점을
제시함으로써 사회복지 목적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야 함
­ 사회복지정책가의 유의점
l 정책분석가는 자신이 분석한 내용의 정책 반영 여부는 자신의 권한 밖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함
l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기관이 기관 자체의 대안들을 고려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함
l 분석이 직접적인 실행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상위기관 및 협력기관까지 분석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함
l 장기적인 안목에서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해야 함
l 정부 외부에서 행해진 학술적 정책분석은 즉각적인 정책대안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알아야 함
l 분석이 끝난 후에도 정책분석 결과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계속 주시해야 함
메모 :
97


7주차 2차시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 (1)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4.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 (1)
가.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①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은 문제가 발생되는 상황이 있음
l 메르스 같은 공중보건문제나 질병,  빈곤,  실업,  정서적인 부적응이나 심리적인 문제,  부부
간의 갈등이나 가정불화,  청소년 일탈문제 등
②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생활을 누리지 못하는 개인적인 문제가 발생한 사람들이 다수임
③ 다수의 사람들이 정부에 대한 해결책을 요구하면서 그것이 공공의 논쟁의 대상이 되면
사회적으로 이슈화가 됨
④ 이때 등장한 사회적 이슈가 정부에 의해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식문제로 채택되면
정책의제가 됨
⑤ 정책의제의 설정에 따른 다양한 대안들 중에 정책결정권자에 의해 선택된 대안이 정책으로
형성됨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은 사회복지정책의 의제설정과정 ­  대안형성과정 -  정책결정과정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음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① 개인문제가 사회문제화 됨
② 사회문제 개선을 위해 정부에게 해결책을 요구하면,  그것이 공공 논쟁의 대상이 되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
③ 정부가 정책의 대상으로 선택한 이슈가 ‘정책의제’가  됨
④ 정책의제의 목록은 ‘아젠다(Agenda)’가  됨
⑤ 정책결정권자에 의해 선택된 대안이 정책으로 형성됨
나. 사회복지정책 형성의 3단계
1) 사회복지정책의 의제설정과정
(1) 정책의제설정과정의 개념
l 정책의제설정과정이란 사회복지와 관련된 문제가 이슈화되어 하나의 의제로 설정되는
과정을 의미함
l 사회문제란 크고 작은 개인문제가 불특정 다수에게 불만족스러운 상태가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고,  이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의 집단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회구성원 중
상당수가 동조할 때 사회문제가 됨
§ 사회문제는 정책형성의 출발점임
l 이슈화란 사회문제는 단순히 존재하는 것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문제에
대해 사회적으로 관심을 갖고 논쟁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이슈화라고 함
l 정책의제(Policy  Agenda)란 ‘이슈 중에서 정책적 대상으로 채택된 문제’로 많은
사회문제들 중에서 특히 정부가 문제 인식과 해결 노력의 주체가 되어 정부의 정책적
고려의 대상이 되어 있거나 되어야 할 사회문제들을 말함
§ 정책문제(Policy  Problem),  또는 정책이슈(Policy  Issue)라고도 함
메모 :
99


사회복지정책론
(2) 콥과 엘더(Cobb  &  Elder)가  제시한 사회복지정책 의제설정과정
① 사회복지문제 → 사회적 이슈화로 되는 과정
l 사회복지문제는 사회복지정책을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바람직하지
못한 조건이나 상황 속에서의 개인문제들이 모여서 형성되는 문제임
l 사회복지문제의 사회적 이슈화는 문제를 이슈화시키려는 집단이 문제의 심각성을
일반대중에게 확산시키려 할 때,  그 문제에 대한 논쟁을 일으킴
② 사회적 이슈 → 공중의제로 되는 과정
l 사회적 이슈가 공공의 관심은 끌었지만 정책상의 논점으로까지 제시되지 못하면
사회적 이슈로만 끝남
l 공중의제는 사회적 이슈가 대중에게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는 것임
l 공중의제가 되기 위한 세 가지 전제조건
§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알고 있어야 함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다수여야 함
§ 문제가 정부정책의 고려대상이 될 뿐 아니라 그 문제해결이 정부의 권한에
속한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아야 함(주로 신문,  뉴스,  시사 프로그램 등의
매스미디어를 통해 중요하다고 보도되거나 소개되어지는 사회적 이슈는
공중의제가 될 가능성이 높음)
③ 공중의제 → 정책의제(Agenda)로 되는 과정
l 공중의제 중에서 정부의 공식적인 의사결정에 논의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문제나
이슈를 ‘정책의제’라고 함
§ 이러한 의제들의 목록을 아젠다(Agenda)라고 함
l 이슈와 관련이 있는 이해당사자들은 자신들의 이슈를 아젠다(Agenda)에 올려놓기
위하여 경쟁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논쟁,  협상,  연합,  흥정,  시위,  로비활동 등의
정치적 행동을 하기도 함
l 아젠다의 종류는 주체에 따라 선거 아젠다,  대통령 아젠다,  언론 아젠다,  정당
아젠다,  이익단체 아젠다,  대중 아젠다,  가짜 아젠다 등이 있음
§ 이 중 가짜 아젠다(pseudo  agenda)는 정책가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나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가 없고 계속 무시된 상태로 남아 있는 아젠다를
말함
l 아젠다는 반드시 문자로 쓰여 있을 필요는 없고 선거공약 등 구두로도 표현이 가능
(3) 정책의제설정과정의 참여자
① 이슈기업가
l 사회복지문제를 이슈화시키는데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정책의제형성과정의 참여자임
l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이슈기업가로는 대통령과 언론을 들 수 있음
② 정책가
l 정책의제를 다루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집단임
메모 :
100


사회복지정책론
③ 이해당사자
l 사회복지문제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말함
l 클라이언트와 비용을 부담하는 기득권으로 나눌 수 있음
④ 클라이언트
l 사회복지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임
l 문제를 제기하거나 문제해결을 위해 압력을 행사하기도 함
⑤ 사회복지전문가
l 클라이언트를 대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음
⑥ 일반국민
l 대부분의 경우 사회복지정책 아젠다(Agenda)의 형성에 구경꾼의 역할을 함
l 하지만 사회복지문제가 크게 이슈화 되는 경우에는 정책가들에게 압력을 행사하기도

(4) 콥과 로스(Cobb  &  Ross)의 정책의제설정과정의 세 가지 구축모형
① 외부주도모형(Outside  Initiative  Model)
l 정부 밖에 있는 집단에 의하여 이슈가 제기되고 확대되어 공중의제가 되었다가
정책의제가 되는 모형을 말함
l 다른 모형의 경우보다 공중의제가 정책의제로 되는데 많은 시일이 소요됨
l 사회가 평등하면 평등할수록 의제설정과정에 있어서 외부주도모형에 의존할 가능성이
많음
l 회원은 많고 사회적 지위가 낮은 집단일수록 외부주도모형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음
② 동원모형(Mobilization  Model) 
l 공중의제가 공식의제로 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공식의제가 공중의제로 전환됨
l 정책의제설정의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정책결정자가 정책집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택하는 방법임
l 카리스마적 지도자 하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많음
③ 내부주도모형(Inside  Access  Model)
l 내부접근모형이라고도 함
l 정부 내의 집단에 의하여 이슈가 제기되고 공식적 의제가 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사용됨
l 정부가 의도적으로 사회집단들이 정책형성과정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봉쇄하는 경우에
적용됨
l 의제를 대중에게 확산시키는 이른바 확산단계가 없음
l 부와 지위가 한 계층에 집중되어 있는 사회,  즉 엘리트사회일수록 내부주도모형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음
2) 사회복지정책의 대안형성과정
(1) 정책대안형성과정의 개념
메모 :
101

과거의 정책
­ 과거의 정책이나 현존 정책은 정책가들이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정책대안의 원천이 됨
­ 결과들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회적 ·  정치적 상황의 변화 때문에 시행착오를 범하기 쉬움
외국 또는 다른
지방정부의
정책사례
­ 많은 아이디어를 얻어 정책대안을 개발할 수 있음
­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사회적 ·  문화적 ·  정치적 ·  경제적
상황의 차이 때문에 예상된 결과를 얻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사회과학적
지식
­ 사회복지문제해결을 위한 정책대안은 사회복지학·  심리학 · 
경제학 ·  사회학 ·  정치학 등 사회 과학적 지식이나
이론모형으로부터 만들어내는 데 유용함


사회복지정책론
l 정책문제와 문제를 둘러싼 상황을 파악하여 정책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정책대안들을 탐색하고 개발하여 어떠한 정책대안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가를
비교하고 분석하는 지적활동과정을 말함
(2) 정책대안형성과정
① 사회복지문제와 상황의 파악
l 사회복지에 관한 문제는 그 문제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객관적인 상황 또는 조건이
존재하고 그것이 문제라고 생각하며 해결되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나 자원을 제공해 주는 사람들이 존재함
l 문제의 정의는 정책수단을 내포하고 있어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정책대안은 달라짐
② 미래의 예측 및 목표의 설정
l 사회복지정책의 목표설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주요 요인
§ 정책의 대상집단인 클라이언트와 비용부담자 및 지역주민들의 이해관계
§ 정책문제의 특성
§ 문제해결목표의 종류 및 성격
ü 단일목표인가,  복수목표인가? 
ü 장기목표와 단기목표는 무엇인가?
ü 거시적인 목표와 미시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ü 사회 전체적인 목표인가,  지역에 국한된 목표인가?
§ 다른 목표와의 관계
§ 목표가 기초하고 있는 가치
③ 대안의 탐색 및 개발
l 사회복지정책의 목표가 설정되면 그 정책수단으로서의 해결방법들,  곧 정책대안을
만들어내야 함
l 이때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검토 ·  분석해야 함
메모 :
102

권위 있는 결정
정책결정권자에 의하여 결정된 정책이 구성원들에 의하여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의미함
해결방안의 채택
정책결정자에 의하여 여러 개의 정책대안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함
공익적 성격
사회적 약자의 문제를 다루는 사회복지정책은 공익적 성격이
두드러져야 함
정치적 성격
사회복지문제를 둘러싼 사회세력들 사이의 타협의 산물이라고도 볼 수
있음
거시적 시각
정책대안들의 우선순위를 매길 때 사회 전체적인 입장에서 거시적
조망이 필요함

직관적 방법
­ 정책대안을 주관적인 판단 하에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부정확한
대안이 될 가능성도 있음

기술적
실현 가능성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집행기관의 전문화 수준 ·  재정능력 · 
행정능력에 비추어 볼 때,  정책대안이 만족스럽게 시행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기준을 말함
정치적
실현 가능성
정책대안이 정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을 말함
민주성
정책대안의 비교와 분석이 개방성과 경쟁성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능률성
투입과 산출의 비율을 의미함
효과성
사회복지정책의 목표 달성도와 관련된 수단지향적 기준으로서
효과성이라는 기준을 말함
사회적 효과성
사회적 유대감의 달성 등 사회복지의 사회적 통합기능에 관한
것을 말함
사회적 형평
사회적 약자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훼손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계층 사이의 불평등을 어느 정도 시정할 수 있나에 관한
것임


사회복지정책론
④ 대안의 비교분석
l 정책대안의 비교분석기준
⑤ 최선의 정책대안선택과정
l 마지막 단계는 여러 대안을 비교 ·  분석한 후,  이 가운데 최적 대안을 선택하는 것임
l 정책대안의 선택에 있어 정책가치의 최고의 기준은 공익(Public  Interest)이라고 할
수 있음
3) 사회복지정책의 결정과정
­ 사회정책결정과정 :  정책결정자가 문제해결을 위한 여러 대안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말함
­ 사회복지정책결정과정의 특징
­ 정책결정과정 :  문제의 인지와 목표설정 -  정보의 수집 및 분석 -  대안의 탐색 및 평가 - 
최선의 정책대안의 선택 등으로 이루어짐
메모 :
103


사회복지정책론
① 문제의 인지 및 목표의 설정 :  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문제해결을 위한 바람직한
정책목표를 설정함
② 정보의 수집 및 분석 :  정책과 관련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의 과정임
③ 대안의 탐색 및 평가 :  여러 가지 대안이 탐색되면 이들의 장 ·  단점을 계량적 방법으로
정확히 평가하여야 함
④ 최선의 정책대안 선택 :  작성된 여러 대안을 비교 ·  분석하여 이 가운데 최적 대안을
결정자가 선택함
4) 사회복지정책결정이론 모형
① 합리모형
l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을 강조한 모형임
l 정책결정자 :  “고도의 합리성을 가지고 있어 목표의 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을 찾아낼 수 있다”
l 비판점 :  인간은 모든 정보와 이성을 동원해 항상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없음
② 만족모형
l 사이몬(Simon)과 마아치(March)가  합리모형을 수정하여 주장한 모형으로 ‘제한된
합리모형’이라고도 함
l 정책결정자 :  “제한된 합리성에 입각하여 정책대안을 검토하고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결정한다”
l 비판점 :  만족할 만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기준이 없음
③ 점증모형
l 린드블럼(Lindblom)과 윌다브스키(Wildavsky)  등이 제시한 모형임
l 정책결정자 :  “기존의 정책보다 약간 향상된 수준에서 수정하고 보완하여 정책을
결정한다”
l 대안을 분석 ·  평가할 때 정보가 충분한 몇 개의 대안에 한정하여 제한적인 비교에
입각한 모형임
l 비판점
§ 평가기준의 부재로 ‘점증’에 대한 확고한 기준이 없음
§ 정치적으로 실현 가능한 임기응변적 정책을 모색하는 데 치중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음
④ 혼합모형
l 에치오니(Etzioni)에 의하여 제시된 모형임
l 합리모형과 점증모형 이론의 장점들을 취합한 제3의 모형임
l 기본적인 결정 :  종합적인 합리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짐
l 세부적인 결정 :  기본적인 결정을 토대로 보완 ·  수정하여 점증적으로 이루어짐
l 에치오니(Etzioni)가  말하는 사회복지정책결정이론 모형
§ 합리모형 :  결정권한이 집중되어 있고,  통제 ·  계획 지향적인 속성을 지니는 전제주의
사회에 적합한 모형임
메모 :
104


사회복지정책론
§ 점증모형 :  다원주의적이고 합의중심적인 민주주의에 적합한 모형임
§ 혼합모형은 활발한 행동적 사회(Active  Society)에 적합한 전략임
l 비판점 :  두 개의 대립되는 극단의 모형들을 혼합 ·  절충한 것에 지나지 않음
⑤ 최적모형
l 드롤(Dror)이 제시한 의사결정모형임
l 정책결정을 체계론적 시각에서 파악하고 정책성과를 최적화하려는 정책결정모형임
l ‘정책성과를 최적화한다’는 의미 :  정책결정과정에서 투입보다 산출이 커야 한다는 것
l 등장배경 :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을 비판하며 등장함
§ 합리모형은 지나치게 완벽성을 추구하여 비현실적일 수 있음
§ 점증모형은 타협적 ·  보수적 성격 등 너무도 현실지향적임
l 합리적 분석만이 아니라 정책결정자의 통찰력이나 초합리적인 직관적 판단도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여 계량적 분석뿐만 아니라 질적 분석과 결정능력이 최적수준까지 평가함
l 비판점
§ 최적수준의 정책결정은 현실적으로 초합리성의 달성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신비주의에
빠질 가능성이 있음
§ 주먹구구식 정책결정에 사용될 수 있음
⑥ 쓰레기통모형
l 코헨(Cohen),  마치(March),  올슨(Olsen)  등이 고안한 모형임
l 정책결정을 쓰레기통에 비유함
§ 던져 넣은 쓰레기들이 뒤죽박죽 엉켜져 있지만 우연히 쓸모 있는 물건이 발견되어질
수 있는 것처럼,  정책결정은 무질서한 조직의 상태 속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흐름에
의하여 우연히 이루어진다는 이론임
l 비판점
§ 문제의 정의와 해결 대안에 예측이 어려움
§ 쓰레기통모형에서 가정하고 있는 혼합상태는 일부분의 조직에서 또는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설명하는 데 적합할 뿐임
메모 :
105


9주차 1차시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 (2)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5.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 (2)
가. 사회복지정책의 집행
1) 사회복지정책 집행에 대한 개념
­ 결정된 정책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임
­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참여자들 간에 협상과 타협의 상호작용과정을 통해서
정책목표를 구체화시켜나가는 과정을 말함
­ 사회복지정책이 합법화되는 형성과정을 거쳐 법률로 제정된 후에 일선기관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이루어지는 단계임
l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의 목적,  설계,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을 포함함
2) 사회복지정책 집행이 성과를 거두기 위한 다섯 가지 요인
① 자원의 적절성
l 자원이란 재정적 자원 및 인적 자원을 모두 포함함
② 관리 및 통제구조
l 정책집행기관은 정책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③ 관료제적 규칙 및 규제
l 정책목표에 맞추어 집행활동을 하는 경우에 꼭 필요한 것임
l 그러나 너무 의존하다 보면 동조과잉,  형식주의,  수단과 목표의 전치 등 병리적 행태가
나타나기도 함
④ 정치적 효과성
l 집행기관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자원이나 기술은 정책 프로그램의 성공에 필수적임
l 예)  대통령,  의회,  이익집단의 지지가 없으면 정책 프로그램은 성공하기 어려움
⑤ 환류 및 평가
l 정책 프로그램의 집행결과를 되돌아보고 평가해 보는 장치는 정책집행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
3) 사회복지정책 집행에서의 문제점
­ 정책의 집행과정에는 그 정책의 시행으로 인하여 손해를 보는 집단들이 집행과정에 정치적
압력을 넣어 집행을 무산시키거나 변질시키려고 시도함으로써 결정된 정책이 그대로 다
집행되는 것은 아님
­ 정책집행이 정책 의도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약화되거나 아예 집행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함
­ 사회복지정책집행은 사회복지정책이 재분배정책에 속하는 것이어서 정치적 성격이 아주
강하게 나타남
­ 정책집행단계에서도 이념적 논쟁과 의견의 불일치가 지속됨
­ 사회복지정책의 집행과정 속에서 클라이언트인 사회적 약자들은 불리한 입장에 서는 것이
보통임
메모 :
107


사회복지정책론
­ 사회복지사의 역할 :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정책이 의도한 원래의 목표가 변질되지 않고
실현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들을 압력집단으로 조직화하고 이들이 정책집행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들의 권익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음
4) 사회복지정책의 집행과정
① 정책지침개발단계
l 정책집행기관이 기본 정책을 구체적 집행상황과 정책대상 집단의 제반 특성에 맞추어
실천적으로 재해석 또는 구체화시키는 작업을 함
l 기본 정책을 집행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상황에 적합하게 특정화시키는 단계임
② 자원확보단계
l 자원배분단계라고도 함
l 필요한 예산,  인력,  장비 등과 같은 자원을 공식적으로 확보하는 단계임
l 정책의 적용시점에 적합한 규모의 예산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에는 정책집행에 문제를
초래함
③ 적용단계
l 정책 집행기관이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단계로서 정책의 행동화 단계라고도 함
l 존스(Jones)가  제시한 정책집행과정의 3단계 중 마지막 단계임
§ 해석(Interpretation) 
§ 조직(Organization) 
§ 적용(Application)단계
④ 감시 ·  감독단계
l 집행과정 중이나 집행과정 후에 ‘과연 정책이 일정한 지침에 의거하여 시행 되었는가’를
조사하여 시정조치 및 통제를 가하게 되는 단계임
l 사회복지정책의 집행에 있어서 감시와 감독관계는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집단은 주로 사회적 약자이기 때문임
l 본래의 정책목표가 훼손되지 않고 바람직한 정책집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집행
관련자의 관리 ·  감독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사,  지역주민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요구됨
나. 사회복지정책의 평가
1) 사회복지정책 평가에 대한 개념
­ 사회복지정책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  해석함으로써 그 가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말함
­ 평가범위를 기준으로 협의의 정책평가와 광의의 정책평가로 구분할 수 있음
l 협의의 정책평가 :  정책이 원래 의도한 문제해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가에 초점을
둔 평가로서 정책집행 결과에 대한 평가를 의미함
l 광의의 정책평가 :  정책결정 이전부터 정책집행 이후까지의 모든 정책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책활동에 대한 평가로서 사회복지정책의 정책과정 전반에 대한 평가를
메모 :
108


사회복지정책론
의미함
2) 사회복지정책 평가의 필요성
­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 기존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서
­ 사회복지정책의 시행이나 관리의 효용성을 위해서
­ 정책 프로그램에 대한 감독과 통제를 위한 정보제공과 정책현상의 이론화를 위해서
­ 정책활동에 대한 책임성 확보를 위해서
­ 사회복지정책의 평가
l 평가목적에 따라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l 평가시점에 따라서는 사전평가와 종결평가,  사후평가
l 평가주체에 따라서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3) 사회복지정책의 평가과정
­ 7단계로 구분할 수 있음
① 평가의 목표설정
l 사회복지정책의 평가를 위해서 제일 처음 해야 할 일은 평가목표를 설정하는 일임
l 평가의 목표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정책평가자가 결정되고 기준 및 평가의 범위가
뚜렷해짐
l 정책평가의 목표는 정책평가의 방향을 결정해 주는 나침반의 역할을 함
② 평가범위의 설정
l 사회복지정책의 평가목표에 따라 정책평가의 범위를 결정해야 함
l 정책평가의 범위는 정책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짐
l 정책 프로그램이 의도하고 있는 여러 목표에 따라서 어떤 것을 평가할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함
l 사회복지정책의 평가가 이루어질 시간적 ·  공간적 범위도 확정해야 함
③ 정책 프로그램의 내용 파악
l 사회복지정책평가의 목표와 범위가 확정된 후,  정책평가를 받을 사회복지정책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해야 함
l 평가의 대상이 되는 정책 프로그램의 목표와 관련 이해단체 등에 관한 법적 내용, 
그리고 정책결정과정 및 집행과정 등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수집해야 함
④ 평가설계
l 사회복지정책 프로그램의 내용이 파악되면 그 정책 프로그램이 영향을 받거나 그 정책
프로그램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관한 인과모형을 파악해야 함
l 평가를 위한 인과모형은 분석틀로서의 의미를 띰
§ 평가를 위한 인과모형은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가 바람직한 것인가
§ 그러한 결과를 초래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가 등
⑤ 자료수집
메모 :
109


사회복지정책론
l 평가설계가 끝나면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해야 함
l 자료수집에서 사용되는 자료
§ 평가보고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사용되는 일체의 정보를 말함
§ 1차적 자료와 2차적 자료로 구분할 수 있음
ü 1차적 자료 :  조사를 통하여 직접 수집 ·  작성되는 자료를 말함
ü 2차적 자료 :  다른 사람이 다른 목적을 위하여 작성한 자료를 말함
l 자료수집방법
§ 관찰법
§ 면접법 및 설문지를 이용하는 질문지법 등
⑥ 분석 및 해석
l 정책평가의 마지막 단계로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단계임
l 질적인 분석과 양적인 분석으로 나눌 수 있음
§ 질적인 분석
ü 객관적 입장에서 분석 :  행태론적 접근,  체제론적 접근
ü 정책행위의 주관적 의미를 찾아내는 분석 :  해석적 접근,  비판적 접근, 
자연주의적 접근 등
§ 양적인 분석
ü 통계적 기법과 정책분석 기법(비용편익분석,  비용효과분석,  결정나무분석 등)이
있음
⑦ 평가보고서의 작성 및 제출
l 정책평가보고서의 작성은 읽는 사람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함
l 그 형식에 있어서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함
§ 내용은 쉽고 간결하게,  그림이나 도표 등을 활용하고,  맞춤법에 맞추어 써야 함
l 정책평가보고서의 내용 :  평가결과의 내용요약,  평가된 프로그램에 대한 배경설명, 
평가목표 및 평가 방법,  자료수집방법,  분석결과논의,  결론 및 제안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함
다. 사회복지와 근로유인정책 평가 사례
1) 근로유인정책의 배경
­ 신자유주의자들은 ‘복지개혁’의 기치를 내걸고 복지국가의 해체 내지는 축소를 시도했는데, 
이를 합리화한 유력한 근거가 근로유인(work  incentives)이었음
­ 사회민주적 복지국가의 관대한 복지가 수급자의 근로유인을 약화시켜 자본주의 경제의 활력을
소진시켰으며,  그로 인해 전반적인 경기후퇴가 발생했음을 주장
­ 사회복지 수준을 전반적으로 하향조정하는 한편,  수급자격만 갖추면 무조건적으로 급여를
제공하는 베버리지식의 소극적 복지(passive  welfare)를 지양하고 근로와 복지수급을
연계시키는 근로조건부복지(workfare)를 주창
­ 길버트(Gilbert)  :  “이것은 복지국가에서 능동국가(Enabling  State)로의 전환이다”
l 신자유주의적 능동국가는 복지국가의 노동자 보호 이념을 근로장려 이념으로 대체하였음
메모 :
110


사회복지정책론
2) 근로유인정책의 사회복지정책 평가 사례
(1) 영국 앗킨슨(Atkinson)의 주도로 이루어진 복지국가와 근로유인의 관계에 대한 연구
l 1990년대 초 스웨덴,  영국,  독일,  덴마크 등 4개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복지국가와
근로유인의 관계에 대한 대규모 연구임
l 복지국가가 노동공급을 감소시킨 효과는 미미했음
l 기혼여성과 독신여성의 노동시간이 감소되었음
l 근로유인의 감소를 측정하는 방법의 질적 측면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어려웠음
l 복지국가가 근로유인을 감소시킨다는 명백한 증거가 거의 없었음
(2) 1990년대 중반 미국의 ‘복지개혁’  평가 사례
l 복지개혁이란 1997년부터 시행된 미국의 ‘빈곤가족에 대한 일시적 원조’  (TANF  :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와 근로장려세제(EITC  :  Earned  Income 
Tax  Credit,  정부가 저소득 근로자에게 생계비를 지원하는 제도)의 확대를 말함
l 빈곤가족에 대한 일시적 원조(TANF)와 근로장려세제(EITC)
§ 빈곤가족에 대한 일시적 원조(TANF) 
ü 기존의 AFDC에 근로요건(근로조건부복지)을 강화한 것임
ü 복지개혁의 목표는 TANF의 수급기간을 일생동안 통산 60개월로 제한하고,  모든
주는 2002년까지 수급자의 50%를 근로활동에 참가하도록 만들거나 복지급여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게 유도해야 함
ü TANF  수급자들은 급여 수급 24개월 경과 후 주정부가 명하는 근로 또는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해야 하며,  주당 20∼35시간을 의무적으로 근로해야
함(강제근로)
ü 2002년까지 대부분의 주에서 수급자의 수가 절반 이하로 감소함
§ 근로장려세제(EITC)
ü 정부가 저소득 근로자에게 생계비를 지원하는 제도임
ü EITC  제도의 도입으로 한 자녀를 가진 편모의 소득이 증가하였음
ü AFDC  수급자로서 EITC  혜택을 보는 사람이 EITC의 혜택을 못 보는 사람보다
소득이 더 많았으며,  일하지 않는 사람보다 주당 20시간 또는 40시간 이상
일하는 사람의 경우 소득이 더 많았다는 증거도 제시되었음
ü 공공부조의 수급자 수가 1999년까지는 감소했지만,  최근 들어 다시 복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ü EITC  근로장려정책에 따라 복지수급자격을 잃고 근로자로 옮겨간 사람의
상당수가 아주 낮은 임금의 불안정한 직업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음
(3) 홍콩 사회복지정책 평가 사례
l 1997년 홍콩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  홍콩은 공공부조의 대상자 수와
급여액을 크게 증가시킴
메모 :
111


사회복지정책론
l 당시 공공부조 대상자 수의 증가는 주로 실업자 수의 증가에 기인함
l 홍콩 정부는 1998년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현재의 급여수준이 어느 정도까지
근로의욕을 상실시키는가?’에 대해 검토하였는데,  실업급여 수급자는 자신이 벌던
소득보다 공공부조 급여액이 더 높다는 것을 알고는 일을 하지 않으려 했다는 증거를
제시함
l 그러나 자본주의 홍콩이 사회주의 중국으로 넘어가면서 발생한 사건이기 때문에 오랜
자본주의를 경험한 국가들 모두에게 일반화 하기는 한계가 있음
(4) 사회복지와 근로유인정책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l 다양한 관련 자료를 살펴보았지만,  사회복지가 근로유인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결정적인 증거는 찾아보기 어려움
l 사회복지가 근로유인을 약화시킨다는 것은 공공부조 대상자의 대부분이 근로능력이
없거나 부득이한 이유로 일을 할 수가 없는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왜곡 또는
은폐시킴으로써 복지 수급자는 의존적이며 바람직하지 않은 품성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이데올로기적 주장이 있음
l 사회복지급여가 근로유인을 약화시킨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함
메모 :
112


9주차 2차시
사회정책과 사회보장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6. 사회정책과 사회보장
가. 사회보장과 사회정책
1) 사회보장과 사회정책의 유사점
­ 사회보장은 사회정책과 가장 유사한 동시에 핵심이 되는 제도임
­ 사회정책과 사회보장은 목표가 같음
l 빈곤의 예방,  사회통합,  사회적 불평등의 완화,  소득재분배 등
­ 사회정책과 사회보장의 핵심이 사회보험이라는 점에서 동일함
l 독일제국의 사회입법(건강보험,  산재보험,  노령폐질연금)과 미국의 사회보장법은 모두
사회보험에 관한 법률이라는 점에서 완전히 일치함
l 사회보험을 독일에서는 사회정책(또는 사회입법)이라고 칭했고,  미국에서는 사회보장이라고
칭했을 뿐 본질적으로 같음
2) 사회보장과 사회정책의 차이점
① 제도의 범위
l 사회정책이 사회보장보다 범위가 넓음
l 베버리지 보고서(1942)
§ 사회보장 :  사회보험,  공공부조,  민간보험으로 구성되어 있음
§ 사회정책 :  사회보장 이외에도 아동수당,  보편주의 보건서비스,  재활서비스 및
완전고용을 포함함
l 독일 사회법에서도 사회정책을 사회보장뿐만 아니라 교육,  주택,  환경정책 등을
포괄한다고 규정함
② 기원
l 사회보장 :  미국의 사회보장법(The  Social  Security  Act,  1935)에 기원을 두고 있음
l 사회정책 :  독일제국의 사회입법에서 출발함(1880년대)
③ 사용국가
l 사회보장 :  제1  ·  2차 세계대전과 함께 세계적인 강국으로 등장한 미국의 영향 아래
UN을 중심으로 국제적인 용어로 사용됨
l 사회정책 :  독일문화권 아래에 있는 서유럽 국가들과 독일 사회정책의 영향을 받은
영국을 중심으로 사용됨
④ ‘사회보장’이라는 용어가 국제적 용어가 됨
l 1941년 :  대서양 헌장에 사회보장이란 용어가 삽입되었음
l 1948년 :  유엔의 인권선언에까지 포함된 이후 사회보장은 확고한 국제적인 용어로 자리
잡았음
l 대한민국의 경우 :  일본을 통해 독일식 사회정책(계급정책)을,  미국을 통해 미국식
사회보장(시민복지)을 받아들였고,  또 다소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
나. 사회보장
1) 사회보장의 정의
메모 :
114


사회복지정책론
(1) 베버리지 보고서(1942)
l 베버리지는 사회보장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함
l 사회보장이란
§ 5대 악(Five  Giants)  중 ‘결핍으로부터의 자유(Freedom  From  Want)’를 지향하며, 
빈민과 같은 특정한 집단을 넘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삼고(보편주의),  전 국민에게
최저한의 소득(National  Minimum)을 보장해 주기 위한 제도임
ü 5대 악(Five  Giants)  :  결핍,  질병,  무지,  불결,  나태
§ ‘실업,  질병,  재해로 인해 소득이 줄어들었을 때,  정년퇴직으로 소득이 중단되었을 때, 
주된 소득자가 사망하여 생계를 책임질 사람이 없어졌을 때,  출생,  사망,  결혼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지출될 때를 대비한 소득보장책이다’  라고 정의함(Beveridge,  1942)
l 최저소득보장책으로서의 사회보장이란 생계유지능력의 중지와 붕괴에 대비하기 위한
사회보험과 출생,  결혼,  사망에 따른 특별한 지출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들로 구성됨
(2) 미국의 사회보장법(1935) 
l 사회보장이란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함
l 미국의 사회보장법(The  Social  Security  Act,  1935)은 법 제목 자체가 사회보장의
정의를 담고 있음
§ 사회보장이란 일반복지(General  Welfare)의 증진을 위해 연방정부가 관장하는
노령급여제도를 실시하고,  주정부가 관장하는 노인,  맹인,  요보호 아동,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  모자복지,  공중보건 및 실업보상법의 관리운영을 지원하며,  사회보장청의
신설과 재정조달 및 기타 목적을 추진하기 위한 법임
l 사회보장의 구성 :  연방정부 관장 사회보장연금,  주정부 관장 실업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공중보건
l 사회보장의 기원 :  사회보험,  공공부조 및 사회복지서비스로 구성된 것으로 보는 미국식
사회보장 개념의 기원을 찾을 수 있음
l 미국 사회보장청(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SA)이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사회보장 현황 보고서인 세계 각국의 사회보장프로그램(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 사회보장을 “생계능력의 중단 또는 감소 및 결혼,  출생,  사망 등으로 인한 특별한
지출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법정 프로그램을 말한다.  아동을 양육하는 데 필요한
가족수당도 포함한다”(SSA,  1999).  와 같이 정의하고 있음. 
l 미국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사회보장 교과서에서 말하는 사회보장이란 정부의 법령에
의해 만들어지고,  노령,  장애,  사망,  질병,  출산,  실업,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소득이
감소했을 때 이를 보전해 주기 위해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임
l 정리 :  사회보장이란
§ 노령,  장애,  사망,  질병,  출산,  실업,  산업재해 등 사회적 위험(다른 말로는 소득의
감소나 중단)과
§ 결혼,  양육,  사망 등과 같은 특별지출로부터 시민들을
메모 :
115


사회복지정책론
보호하기 위해
§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법정 프로그램으로서, 
§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및 사회수당과 같은 공적 조치들을 포함함
2) 사회보장의 목적
­ 로이 세인스버리(Roy  Sainsbury,1999)는 사회보장의 전통적인 목적으로 다섯 가지를 꼽음
① 빈민구제
l 베버리지 보고서가 5대 악 중의 하나로 지목한 결핍(Want)에 대한 대책으로서의
사회보장이 바로 이런 목적을 추구함
l 공공부조(또는 그 뿌리인 빈민법)가  가장 대표적임
② 욕구충족
l 노인,  아동,  장애인 등 사회적 욕구가 큰 집단을 위한 사회적 대책(주로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으로서의 사회보장을 말함
③ 소득유지와 소득보전
l 연금과 건강보험이 해당됨
l 일을 하여 소득이 있을 때 사회보험에 가입하여 보험료를 내고,  노후나 질병으로
소득이 중단되거나 감소되었을 때 사회보험 급여를 받음으로써 소득을 유지함
④ 보상
l 공장주를 위해 일하다가 산업재해를 당했을 때 노동력 상실에 비례하여 보상을 받는
노동자보상법이나 산재보험이 여기에 해당됨
⑤ 재분배
l 공공부조는 소득계층 간 재분배(수직적 재분배)를 목적으로 함
l 가족수당은 수평적 재분배(소가족에서 대가족으로)를 목적으로 함
l 연금은 세대 간 재분배(청년세대에서 노인세대로)를 목적으로 함
3) 사회보장과 사회안전망
­ 21세기 들어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와 World  Bank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이라는
용어 대신 사회안전망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함
l IMF와 World  Bank는 원활한 시장경제의 작동과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에 대한 경제적
원조를 목적으로 하는 대표적인 국제금융기구임
l 1970년대 후반부터 재정지원을 받은 개발도상국가와 구 사회주의 국가의 빈곤의 심화 등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면서 사회보장제도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됨
­ 사회안전망을 구조조정에 따른 부작용을 보완하는 단기적인 사회복지정책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사회안전망에는 극빈층을 보호하기 위한 최저한의 사회보장이 포함됨
­ 신자유주의 경제학자
l “기존의 사회보장이란 용어 대신 사회안전망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합니다 또한
사회안전망의 가장 큰 목적은 빈곤의 예방과 제거에 있습니다”
l 사회보장 대신 사회안전망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서구 복지국가의 사회보장이
메모 :
116


사회복지정책론
고비용-비효율-관료주의적이며,  정부의 과도한 재정지출이 시장경제를 해치고,  삶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약화시키는 주범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임  
4) 사회보장의 형태
(1) 베버리지(Bevridge,  1942) 
l 사회보장을 사회보험과 공공부조로 구분했으며,  보편주의 수당(가족수당)과 사회보험을
보완하는 민간보험까지 사회보장에 포함시켰음
l 이들 중 사회보험을 가장 중시했으며,  공공부조와 민간보험은 사회보험을 ‘보충’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보았음
(2) 미국의 레이다(Rejda,  1999)
l 사회보장에 사회보험,  공공부조,  보편주의 수당, 공적 개인저축계정을 포함시킴
① 사회보험
§ 위험분산을 위한 정부의 이전지출 수단으로서 법에 따라 피보험자에게 제공되는
재정적 급여나 서비스를 말함
§ 4대 사회보험으로 구성됨 :  건강보험,  사회보장연금,  실업보험,  산재보험
② 공공부조
§ 빈민에 대한 현금급여 및 기타 서비스로서 대상은 빈민에 한정되고,  빈곤 여부를
가리기 위해 자산조사가 필요함
§ 급여혜택 :  그 대상자의 재정 상태와 욕구에 따라 결정됨
§ 재정 :  정부의 일반세입에서 충당됨
§ 공공부조 :  사회보험을 보완함
③ 보편주의 수당
§ 수급자의 소득,  고용,  재산과 관계없이 모든 시민과 주민들에게 정액의
현금급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함
§ 재정은 조세로 충당됨
§ 노령수당과 가족수당은 여기에 속함
④ 공적 개인저축계정
§ 공적인 강제저축제도를 말함
§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그리고 일부 개발도상국가가 시행하고 있음
§ 피용자와 고용주가 공동 부담하는 보험료가 개인계좌에 적립되고,  가입자가
퇴직하면 개인별로 저축한 적립금 총액과 그 이자수입을 합한 금액을 되돌려
주며,  가입자가 사망하면 수급권은 유족에게 승계됨
(3) 미국의 사회보장청
l 사회보장의 급여를 현금급여(In  Cash)와 현물급여(In  Kind)로 구분함
l 현금급여를 소득유지 프로그램이라고도 하는데 세 가지 형태가 있음
§ 고용관련제도,  보편주의 프로그램,  자산조사 프로그램
메모 :
117


사회복지정책론
l 현금급여를 소득유지 프로그램이라고도 하는데 세 가지 형태가 있음
① 고용관련제도
§ 근로기간(고용 또는 자영업)에 비례하여 지급되는 연금,  고용 여부에 따라 지급
여부가 결정됨
ü 예)  건강보험,  실업보험,  산재보험과 같은 사회보험
§ 장기급여와 단기급여로 나뉨
ü 장기급여 :  연금
ü 단기급여 :  실업,  질병,  출산,  산업재해에 대해 지급됨
§ 재정은 대부분 고용주와 피용자가 부담하는 보험료로 충당됨
§ 강제가입을 원칙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 임의가입을 인정하고 있고(주로 자영업자), 
재정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하기도 함
② 보편주의 프로그램
§ 소득수준,  고용 여부,  생계수준 등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지 않고 국민
모두에게 제공되는 정액의 현금급여를 말함
ü 예)  노령수당,  가족수당,  장애 ·  유족 ·  미망인 ·  고아 수당
§ 재정은 정부의 일반세입에서 충당되는 게 보통이지만,  일부 보편주의 프로그램은
고용주와 피용자의 보험료로 충당되는 경우도 있음
③ 자산조사 프로그램
§ 최저생계수준에 기초하여 개인과 가족의 자원을 조사하여 급여자격의 여부를
결정함
§ 특정한 욕구를 가진 사람(노동능력을 상실한 노인이나 장애인)이나 빈민을
대상으로 함
§ 급여의 규모와 형태는 법이 정한 범위 안에서 행정적으로 결정됨
ü 예)  공공부조 프로그램
(4) 국제노동기구(ILO) 
l 1982년에 제정된 사회보장권리조약(제2조 제1항)  :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보건의료, 
질병급여,  출산급여, 장애급여,  노령급여,  유족급여,  고용재해급여,  실업급여,  가족급여 등
아주 다양하게 분류함
l 사회보험과 사회수당을 급여의 종류별로 세분한 것으로 4대 사회보험(건강보험, 
연금보험,  산재보험,  실업보험)과 보편주의 급여인 아동수당과 사실상 같음
(5) 사회보장의 기본원칙
① 베버리지(Beveridge,  1942)의 사회보험 기본원칙
l 여섯 가지 기본원칙을 제시함
메모 :
118

기본원칙
설명
최저수준의
정액급여
­ 소득수준,  직업,  재산과 같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가족 수나 연령 및
성별과 같은 인구학적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액수의 급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함
정액보험료
­ 사회경제적 수준이나 인구학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동일한 액수의 보험료를 부담하는 것을 의미함
행정책임의 통일
­ 모든 사회보장제도의 관리운영을 국가가 담당하는 것을 말함.
충분성의 원칙
­ 급여금액과 지급기간의 충분성,  다시 말해서 다른 도움 없이
사회보험 급여만으로도 국민최저(National  Minimum)가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말함
포괄성의 원칙
­ 전 국민을 사회보험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말함
­ 특정한 계급,  즉 노동자계급만이 아니라 자영업자를 포함한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으로 보편주의와 동일함
분류화의 원칙
­ 사회보험의 대상자를 생활방식,  고용형태,  소득원의 차이,  가정주부, 
아동,  노인 등 다양한 집단 별로 분류하는 것을 말함
­ 베버리지는 각  집단의 욕구가 서로 다른 사회보험의
대상자 집단을 피용자,  자영업자,  전업주부,  기타 노동인구, 
취업 전 청소년,  노동 무능력 고령자 등 6개 층으로 분류함


사회복지정책론
② 미국 사회보장법의 기본원칙
l 미국의 사회보장법에서는 사회적 충분성과 개인적 형평성의 원칙을 매우 중시함
§ 충분성의 원칙 :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급여금액과 지급기간의
충분성.  사회보험 급여만으로도 국민최저를 보장할 수 있는 수준(인간으로서
향유해야 하는 최저한의 품위유지 수준)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함
ü 예)  보편주의 연금
§ 형평성의 원칙 :  충분성의 원칙과는 대조적으로 개개인은 자신이 기여한 바에
비례하여 급여를 받아야 한다는 원칙을 말함
ü 예)  소득비례 연금
§ 예)  두 원칙을 자동차에 비유하면
ü 충분성의 원칙 :  모든 사람들이 어떤 형태의 차이건 보유하도록 배려해야 함
ü 형평성의 원칙 :  사회적 공헌도가 큰 사람에게는 보다 좋은 차를 배정해야 함
l 1935년 미국의 사회보장법은 충분성의 원칙을 수용하여 사회보험과 공공부조를 통해
소득의 재분배를 기한 동시에 형평성의 원칙도 받아들여 사회보험에서 급여를 기여에
비례하게 규정함
l 사회보장법이 노동윤리의 가치를 반영하여 급여의 기초가 되는 노동과 개인의
노력으로 장기적 예방조치(사회보험)를 추구함
l 사회보장의 수혜대상자는 반드시 재정적으로 기여해야 함
§ 수혜자의 보험료는 제도를 재정적으로 안정시킬 뿐만 아니라 수혜자의 수급권
의식(권리의식)을 갖게 만든다고 봄
메모 :
119


10주차 1차시
사회정책과 사회보험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7. 사회정책과 사회보험
가. 사회보험의 개념과 특징
­ 국민에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의 방식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
­ 질병 ·  장애 ·  노령 ·  실업 ·  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을 위험분산과 소득재분배를 통하여
국민보호 및 빈곤의 해소와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임
­ 가입의 강제성을 지닌 사회적인 방법임
­ 법률에 의해 국가가 위탁 ·  관리한다는 정책적 의미에서 기업이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운영하는
민간보험과 그 성격이 다름
­ 현재 거의 모든 나라들이 시행하고 있는데,  연금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의 수가 가장 많고, 
실업보험을 시행하는 나라는 가장 적음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회보험의 종류는 5개의 제도로 구성되어 있음
l 국민연금제도,  국민건강보험제도,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고용보험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1) 사회보험의 특징
­ 사망,  노령,  장애,  질병 등의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강제적 프로그램임
­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최저소득보장제도임
­ 개인적 형평성보다는 사회적 충분성을 중시함
l 사회보험은 사회적 충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소득층,  대가족,  노령층 등이 더 유리하도록
조정되어 있음
§ 사회적 충분성 :  모든 가입자들이 최저생계수준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급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함
§ 개인적 형평성 :  자신이 낸 보험료에 비례하여 급여를 받는 것을 말함
­ 국민연금은 급여와 소득이 비례하나,  그 외에 급여수준과 소득수준은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l 따라서 자신이 낸 보험료 액수보다는 현재의 욕구에 따라 급여가 결정됨
­ 급여는 권리이며,  자산조사가 없음
­ 법적 규정에 따라 급여가 제공됨
­ 사회보험 재정은 그 수혜자인 피용자(근로자)와 자영업자,  그리고 피용자를 고용하는 고용주가
책임짐 → 수익자재정책임 원칙
­ 사회보험은 재정의 완전적립이 불필요함
l 사회보험이 적립방식을 택할 필요가 없는 이유
§ 사회보험은 일정 기간만 운용되는 것이 아니라 영속적인 프로그램이기 때문임
§ 사회보험은 강제적용이기 때문에 신규 가입자가 계속해서 발생하기 때문임
§ 사회보험은 중앙정부가 궁극적인 책임을 지기 때문임
­ 킹슨(Kingson)과 베르코위츠(Berkowitz)의 사회보험의 특징
l 사회적 충분성 :  모든 가입자들이 최저생계수준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급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함
메모 :
121


사회복지정책론
l 개인적 형평성 :  자신이 낸 보험료에 비례하여 급여를 받는 것을 말함
l 법정급여 :  법적 권리에 의한 급여를 말함
l 대상자의 보편성 :  강제가입의 원칙에 의해 전 국민을 포괄함
l 재정의 안정성 :  정부의 권위와 징세권에 의거하여 재정조달의 안정성을 확보함
l 개인과 정부 간의 관계 공고화 :  사회보험의 기여 및 급여조건은 시민과 정부 간의 계약적
관계를 강화시킴
나. 사회보험과 민간보험
1) 사회보험의 보험요소
­ 위험분산
l 위험 발생 가능성을 가진 많은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 정확한 장래의 손해 예측을 기함
l 개개인의 손해를 합한 다음 평균치를 계산해내고,  그 평균 손해로 실제 손해(개인별
손해)를 대체함
l 민간보험에서 오랫동안 발전시켜 온 기술임
­ 손해의 우연성
l 우연한 손해란 예측되거나 예상할 수 없는 우발적인 사고로서 보험가입자의 통제를
벗어나는 손해를 말함
l 민간보험에서는 우연한 손해만을 대상으로 하는데,  이를 사회보험도 받아들임
­ 위험의 이전
l 사망,  노령,  장애,  질병 등의 개인의 위험에 대한 재정적 책임이 보험자(정부나 공적
기구)에게로 이전됨
­ 배상
l 손해에 대해 전부 또는 일부를 현금 지불,  보수,  대체 등의 방법으로 보상해주는 것을 말함
l 사회보험은 민간보험과 마찬가지로 가입자의 손해를 배상함
2) 사회보험과 민간보험의 공통점
­ 레이다(Rejda)는 사회보험과 민간보험의 공통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함
l 위험의 이전과 분산을 기함
l 가입대상,  급여,  재정 등과 관련된 모든 조건들을 규정함
l 급여 자격과 총액에 대한 정확한 수학적 계산을 필요로 함
l 프로그램의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보험료와 보험금 지급을 전제로 함
l 사전에 결정된 급여를 제공함
l 가입자의 경제적 보장을 목적으로 함
3) 사회보험과 민간보험의 차이점
메모 :
122

사회보험
민간보험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음
영리를 목적으로 함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사회적 위험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에 시장의 실패의 보정과
소득재분배를 지향함
이익이 남는 위험만을 상품화함
일반복지,  개인의 존엄성,  가족과 사회의
안정과 같은 사회의 욕구를 충족시킴
특정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킴
개별적 등가성을 중시하지 않기 때문에
소득재분배가 발생함
보험료와 급여 간의 등가성(지불한 만큼
되돌려 받는다는 것을 의미)이 있음
사회적 위험에 대한 대응과 소득재분배를
지향하는 사회보험은 비영리적인
사회복지제도임
영리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경제제도의
하나(금융제도)임

사회보험
민간보험
강제적임
자발적임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함
개인이나 특정한 단체를 대상으로 함
최저소득을 보장함
개인의 의사와 지불능력에 따라 고액 보장이
가능함
사회적 충분성을 강조함(복지요소)
개인적 공평성을 강조함(보험요소)
급여는 법에 의해 규정됨(법적 권리)
법적 계약에 의거함(계약적 권리)
정부가 독점함
자유경쟁임
비용 예측이 곤란함
비용 예측을 전제로 함
완전 적립이 불필요함
완전 적립이 가능함


사회복지정책론
­ 베버리지는 사회보험과 민간보험의 위험에 대한 본질적 차이를 강조함
l 민간보험은 보험료가 위험에 비례하나 사회보험은 보험료를 위험에 비례시키기보다는
위험의 분산(위험을 개인별로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목적을 위해 위험을 공동
부담하는 것)을 위한 보험료를 중시함
§ 베버리지는 위험에 비례한 보험료 부담에서 위험의 분산을 강조하는 데 대해 반발의
가능성을 인정함
§ 이러한 이유로 사회보험이 새로운 형태의 인간제도(Human  Institution)로서
민간보험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함
§ 예)  건강보험,  실업보험,  산재보험의 경우 건강하고 정규적인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상대적으로 더 부담해야 하는 것에 반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함
l 민간보험은 보험금 지불에 대비하기 위해 개인별 생애주기의 초기에 그 소요자금을
적립해야 하나,  사회보험은 세대를 이어 보험가입과 보험금 징수를 강제하므로 지불 대비
적립금을 비축할 필요가 없음
l 사회보험은 강제적인 제도인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의 공생을 전제로 하는 제도임
l 사회보험의 목적이 생계에 필요한 최저소득의 보장에 있으나,  민간보험은 개인의 의사와
지불능력에 따라 고액 보장이 가능함
­ 사회보험과 민간보험의 차이점
메모 :
123

보험계약(Underwriting)이 불필요함
개인적 또는 집단적 보험계약임
목적과 결과를 감안하고,  다양한 옵션을
부여함
목적과 결과를 감안하고,  단일 옵션을 부여함
중앙정부의 통제 하에 투자됨
사적 경로를 통해 투자됨
인플레 대응을 위해 조세제도를 이용할 수
있음
인플레에 취약함
사회보험은 민간보험보다 관리운영비용이
적게 듦
보험 상품 판매를 위한
마케팅,  광고비용 등의 관리운영비용이 많이


사회복지정책론
­ 사회보험과 민간보험 양자가 경쟁관계에 있다는 증거
l 영국이 국민보험(1911,  건강보험과 실업보험)  도입 시,  민간보험의 초기형태였던
공제조합이 크게 반대했음
l 미국이 사회보장제도(1935)를 만들 때 민간보험회사들의 강력한 반발로 건강보험 도입을
좌절시켰음
l 민간보험회사들이 사회보험의 도입에 반대한 가장 큰 이유는 민간보험회사에게 건강보험과
연금은 주요한 상품인데 사회보험이 자신들의 영업을 대체한다고 여겼기 때문임
l 사회보장이 불충분한 미국과 일본은 생명보험이 많이 발달해 있는 반면,  독일,  영국, 
스웨덴 등 사회보장 수준이 높은 국가는 생명보험의 발전이 순조롭지 않은데,  이러한
사실은 양자의 경합관계를 시사하고 있음
다. 사회보험의 원리
­ 최저생활보장의 원리
l 사회보험법에서 소득보장의 수준은 최저생활수준을 원칙으로 하며,  그 이상의 수준은
개인의 노력에 맡기는 것이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 이념임
l 사회보험법에서 보장하려는 소득보장수준은 그 하한이 최저생활보장에 있고,  그 상한은
퇴직 전의 생활과 비슷한 생활수준의 보장을 이상으로 하고 있음
l 공공부조에서 규정한 소득보장수준은 그 상한이 그 사회의 근로자가 스스로 노력하여
획득한 소득으로 생활하는 수준의 최저한(최저임금)까지만 급여를 지급하여야 한다는 데
의미가 있음
­ 소득재분배의 원리
l 사회보험에 의한 소득보장은 그 내용에 반드시 재분배효과가 일어나야 함
l 소득재분배 원리는 기여와 급여의 과정에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및 선 세대와 후 세대
간의 수직적 ·  수평적 소득재분배효과를 말함
l 소득재분배가 전혀 없는 민간보험과 구별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특징임
­ 보편주의 원리
l 사회보험법의 적용범위 :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함
l 헌법상의 기본원리를 토대로 함 :  신분 ·  지위 ·  성별 ·  종교 등에 관계없이 국민에게
평등하게 국가가 복지증진 노력을 기울여야 함
메모 :
124


사회복지정책론
l 사회보험법의 목적달성을 위해 모든 사회적 위험의 분산과 예방에 보편주의 원리가
적용되어야 함
­ 보험료부담의 원리
① 사회보험법의 운영에 필요한 재원
l 사용자 ·  피용자 ·  국가가 분담하여 조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국가가 전액
부담하는 공공부조법의 원리와 구별됨
② 피용자의 보험료 부담
l 자본주의 사회원리에 입각함
l 사용자인 국가는 생존권적 기본권 사상과 자본주의 사회 자체의 모순으로 발생하는
모든 사회적 사고에 대한 국가책임의 원리에 의해 보험료를 각각  부담함
라. 사회보험의 한계성
­ 사회적 위험에 대해 민간보험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어 사회보험이 불가피함
­ 이 주장의 근거로 가장 많이 제시되는 것이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임
l 도덕적 해이 :  사회보험의 민영화,  즉 사회보험을 민간보험으로 전환하자는 주장에 대한
유력한 반대논리임
1) 역선택
(1) 역선택이란
l 비대칭적인 정보 또는 불완전한 정보로 인해 보험시장에서 고위험 집단의 가입률은
높아지고,  저위험 집단의 가입률은 낮아지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초래되는 현상을
말함
l 정보의 비대칭성이란 보험가입자들은 자신의 위험도에 대해 높은 수준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보험회사는 보험가입자에 관해 낮은 수준의 정보를 보유하는 것을
말함
(2) 역선택의 특징
l 보험시장에 고위험 집단만 남게 만들어(보험시장의 비효율성 증대)  결국 ‘시장의 실패’를
초래함
§ 예)  질병 발생 확률이 높은 피보험자가 그런 사실을 감춘 채 건강보험에 가입하여
보다 많은 급여를 수급함으로써 보험자와 질병 발생 확률이 낮은 다른 피보험자에게
손해를 끼치게 됨 → 보험료 인상,  질병 발생확률이 낮은 피보험자의 보험료를
상대적 부담 가중으로 보험가입을 기피하게 됨 → 질병 발생 확률이 높은 고위험
피보험자만 남게 되고,  보험자는 보험료를 다시 인상하게 됨 → 결국 보험시장의
경영은 어려워지고 보험시장 전체가 쇠퇴하게 됨
l 민간보험회사는 역선택을 피하기 위해 위험발생률에 비례하여 보험료를 부과하는 방식을
채택하거나 저위험 집단만 선택하여 보험에 가입시키게 됨
§ 결국 고위험 집단이나 노인이나 장애인 등의 사회적 약자들은 민간보험에서 배제될
메모 :
125


사회복지정책론
수밖에 없음
§ ‘크림 떠내기(보험회사가 우량고객들만을 가입시키려 하는 것을 말함)’  또는
‘알짜선택’을 통해 역선택을 피하려 함
§ 예)  민간보험상품인 개인연금의 경우
ü 서민들은 개인연금을 가입할 여유가 없는 반면에 생활수준이 높은 중상층은
노후대비를 위해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보험회사로서는 상대적으로 건강해서
오래 살 것으로 예상되는 부유층보다 평균수명이 짧은 고객,  예컨대 흡연자, 
스카이다이버,  광부,  건강이 좋지 않은 이른바 우량고객들(the  best  risks)만을
가입시키려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크림 떠내기’  또는 ‘알짜선택’이라고 함
l 고위험 집단과 저위험 집단을 구분하는 데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감
§ 민간보험의 역선택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회보험을 통한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함
ü 사회보험 강제가입의 원칙 :  정부가 사회보험을 만들어 모든 보험대상자들의
가입을 의무화(강제화)함
ü 민간보험의 보험료는 사고 확률이나 손해 크기에 기초해 있는 반면에
사회보험에서는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보험료를 부담하는 집단(젊고 건강한
사람)과 적게 부담하는 집단이 공존하여 역선택 현상에 대응할 수 있음
ü 사회보험은 보험료 부담능력이 없어 민간보험에서 배제되는 저소득층도 가입하여
보호할 수 있음
2) 도덕적 해이
(1) 도덕적 해이란
l 사회보험 가입자들이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비해 위험 예방에 노력을 덜하게 되는
현상을 말함
l 일반 보험 상품
§ 소비자는 그 가격의 전액을 지불하기 때문에 그로부터 최대한의 편익을 구하려는
경제적 동기가 있음
l 사회보험
§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갖추면 자동적으로 보험자가 그 비용을 부담함
§ 자원의 경제적 사용에 대한 동기가 약하여 위험발생률을 높임
(2) 건강보험과 실업보험
l 사회보험 중에서 도덕적 해이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
§ 건강보험
ü 피보험자가 불필요한 진료서비스를 받으려 하거나,  치료 효과와 관계없이 고액의
진료를 선호하거나,  건강 유지 노력보다는 진료에 의지하려 하는 경향이 있음
ü 의료진은 자의적으로 필요 이상의 검사,  수술,  투약 등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유인이 존재함
메모 :
126


사회복지정책론
§ 도덕적 해이
ü 건강보험에서 진료비 본인부담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사용되고 있음
ü 진료비 본인부담이 없을 경우 피보험자들이 건강보험 수급권을 남용할 가능성이
높아 본인 부담제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큼
l 실업보험의 도덕적 해이는 더 심각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음
§ 실업의 경우 그것이 자발적 실업인지 아니면 비자발적 실업인지 제3자가 구별하기
쉽지 않음
ü 그 이유는 실업 여부가 성실성,  책임의식 등 자신의 행위에 상당부분 좌우되기
때문임
§ 위험이 발생해도 그로 인한 심리적 손해가 적다면 도덕적 해이의 발생 가능성이 더
높음
ü 따라서 실업은 질병보다 심리적 손해가 적다는 점에서 도덕적 해이의 가능성이
높음
§ 다른 보험에 비해 비교적 쉽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업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노력을 덜할 가능성이 있음
§ ‘실업함정’,  ‘실업의 덫’(Unemployment  Trap)
ü 실업보험의 소득 대체율(Replacement  Rate,  실업급여액÷임금)은 높은데 반하여
보험료는 적을 경우 새 일자리를 찾으려는 인센티브가 감소되어 실업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의도적으로 덜 기울이거나 일부러 실업자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메모 :
127


10주차 2차시
사회보험정책과 국민연금법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8. 사회보험정책과 국민연금법
가. 국민연금법의 개념과 특징
1) 국민연금법의 개념
­ 국민의 노령,  장애 또는 사망 등 사회적 위험이 발생한 경우에 가입자의 연금 보험료를 주된
재원으로 하여 연금급여의 실시를 통한 장기적 소득 보장을 함으로써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이다(국민연금법 제 1조)
l 국민연금법은 국민을 대상으로 한 연금보험을 규정한 법으로서,  5대 사회보험의 하나임
l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연금제도는 국민연금을 주축으로 공무원 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및 군인 연금 등 각각  분리되어 실시되고 있음
2) 국민연금제도의 특징
­ 사회보험
l 사회보험급여를 위해 사용자나 피용자의 기여금을 근거로 하여 재원을 조달함
l 국가가 독점하여 운영함
l 강제적 가입사항임
l 비영리 국가사업으로 국가가 운영경비의 일부를 부담하며 적자액의 보조는 국가의 책임임
l 소득재분배의 기능을 함
­ 방빈적 소득
l 노령,  장애 또는 사망에 대비한 개인과 가족 구성원을 위한 방빈적 소득 보장임
­ 장기보험
l 원칙적으로 일정한 가입기간을 수급요건으로 함
l 사망 또는 지급사유가 소멸될 때까지 연금급여를 지급함
3) 연혁
­ 1973
l 국민복지연금법이 1973년에 이미 제정되었음
l 그러나 기여금 납입문제,  연금제도의 운용과 연관된 기술적 문제 등의 여건 조성이 쉽지
않아 시행을 연기했음
­ 1988
l 국민연금법은 1988년 1월 1일에 시행되었음
l 이후에 경제 ·  사회적 발전에 맞추어 여러 차례 개정됨
나. 국민연금법의 주요 내용
1) 가입대상
­ 국민 :  국민연금은 원칙적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을 가입대상으로

l 다만 공무원연금법,  군인 연금법 및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자, 
별정우체국법의 적용을 받는 우체국 직원은 가입대상에서 제외됨
메모 :
129


사회복지정책론
­ 외국인 :  국민연금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장에 사용되고 있는 외국인과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를 제외한 외국인은 당연히 사업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가 됨
l 다만,  외국인의 본국법이 대한민국 국민에게 국민연금에 상응하는 연금을 적용을 하지
않는 경우 가입대상이 되지 않음
2) 가입자의 종류
­ 국민연금법상의 가입자 종류는 4가지로 구분됨
① 사업장 가입자
l 사업장에 사용되는 근로자와 사용자로서 국민연금에 가입된 자를 말함
l 상시 1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 및 주한외국기관으로서 상시 1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인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의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근로자와
사용자는 당연적용사업장 가입자가 됨
§ 사업장이란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소 및 사무소를 말함
§ 근로자란 사업장에서 노무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을 받아 생활하는 자(법인의
이사 기타 임원을 포함)를 말함
§ 국민연금에 가입된 사업장에 종사하는 18세 미만의 근로자라 하더라도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사업장 가입자가 될 수 있음
② 지역가입자
l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자로서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자는 지역가입자가 됨
l 1998년 12월 31일 법 개정에 의해 종전 농업 ·  임업 ·  축산업 또는 수산업을
경영하거나 종사하는 자 및 군 지역에 거주하는 자에 한정되었던 것을 도시지역까지
확대함으로써 본격적인 전 국민 연금실시의 기반이 마련되었음
③ 임의가입자
l 사업장 가입자와 지역가입자에 해당하는 자 외의 자로서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자는
국민연금공단에 가입 신청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임의가입자가 될 수 있음
l 예)  국민연금 가입자의 소득이 없는 배우자가 노후를 대비해서 가입을 원하는 경우에는
임의 가입할 수 있음
④ 임의계속가입자
3) 가입기간의 계산 및 합산
­ 국민연금 가입기간은 월 단위로 계산하되,  가입자의 자격을 취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자격을 상실한 날의 전날이 속하는 달까지로 함
­ 가입기간을 계산 할 때 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은 기간은 가입기간에 넣지 않음
­ 2008년 국민연금법의 개정으로 군 복무 기간에 대한 가입기간과 출산에 대한 가입기간이
추가됨(이는 군복무와 출산에 대해 국가적으로 중요성을 인정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려는
정책을 반영한 것임)
l 병역법에 따른 현역병,  공익근무요원에 해당하는 자가 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한 때에는
메모 :
130


사회복지정책론
6개월을 가입기간에 추가함
§ 추가 적용을 받지 않는 경우
① 병역의무를 수행한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② 병역법에 따른 병역의무를 수행한 기간이 전부 또는 일부가 공무원 연금법 ·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및 별정우체국법에 따라 재직기간에 산입되거나 군인연금법에
따라 복무기간에 산입된 경우
③ 병역법에 따른 병역의무를 수행한 기간 중 연금 보험료를 납부하여 가입기간으로
인정된 경우
§ 두 자녀 이상이 있는 가입자 또는 가입자 이었던 자가 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한
때(추가되면 노령 연금수급권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도 포함)에 아래의 기간을
가입기간으로 추가함
§ 다만,  추가로 산입하는 기간은 50개월을 초과할 수 없음
① 자녀가 2명인 경우 :  12개월
②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  둘째 자녀에 대하여 인정되는 12개월에 2자녀를
초과하는 자녀 1명마다 18  개월을 더한 개월 수
ü 예)  4자녀인 경우 추가 기간은 둘째 자녀에 대하여 인정되는 12개월 +  18개월 + 
18개월 =  48개월임
4) 국민연금 관장기구
­ 관장형태
l 국민연금법상 관장주체를 보건복지부장관으로 규정하고 있음
l 공적연금의 관리운영방식은 국영방식과 민영방식,  위탁방식으로 구분됨
§ 우리나라는 국민연금법상 국영방식을 채택하고 있음
§ 그러나 실제로는 국민연금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국민연금공단에 위탁운영하고
있어,  국영의 위탁관리방식이 혼합되어있음
l 공단은 하나의 독립된 법인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의 감독을 받음
­ 국민연금 공단
l 국민연금법에 따르면 공단은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하도록 되어있음
§ 가입자에 대한 기록의 관리 및 유지
§ 연금보험료의 부과
§ 급여의 결정 및 지급
§ 수급권자를 위한 자금의 대여 및 복지시설의 설치 ·  운영 등 복지증진 사업
§ 기금증식을 위한 자금의 대여사업
­ 국민연금심의위원회
l 구성 :  국민연금심의위원회는 위원장 ·  부위원장 및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 위원장 :  보건복지부차관
§ 부위원장 :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 중에 뽑음
§ 위원 :  다음의 구분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이 위촉함
메모 :
131


사회복지정책론
① 사용자를 대표하는 위원으로서 사용자 단체가 추천하는 자 4명
② 근로자를 대표하는 위원으로서 근로자 단체가 추천하는 자 4명
③ 지역가입자를 대표하는 위원으로 다음의 자
ü 단체가 추천하는 자 2명
ü 농어업인 단체 외의 자영자 관련 단체가 추천하는 자 2명
ü 시민단체가 추천하는 자 2명
④ 공익을 대표하는 위원으로서 국민연금에 관한 전문가 5명
5) 연금보험료
­ 연금보험료란
l 국민연금사업에 필요한 비용을 말함
§ 사업장가입자 :  부담금(사용자)  및 기여금(근로자)의 합계액
§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및 임의계속 가입자 :  본인이 내는 금액
­ 연금 보험료율
l 사업장가입자 :  사업장가입자 본인과 사용자가 부담하되,  각각  기준소득 월액의 1,000분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함
l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및 임의계속 가입자 :  연금 보험료를 가입자 본인이 부담하되, 
표준소득 월액의 1,000의 90으로 함
l 부담금과 기여금
§ 부담금 :  사업장가입자의 사용자가 부담하는 금액을 말함
§ 기여금 :  사업장가입자가 부담하는 금액을 말함
­ 연금 보험료 납부의 예외
l 사업 중단,  실직 또는 휴직중인 경우
l 병역법에 따라 병역의 의무를 수행하는 경우
l 초 ·  중등 교육법과 고등교육법에 따라 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
l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교정시설에 수용중인 경우
l 종전의 사회보호법에 따라 보호감호시설이나 치료감호법에 따라 치료감호시설에 수용중인
경우
l 1년 미만 행방불명된 경우
l 재해 ·  사고 등으로 소득이 감소되거나 그 밖에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
6) 급여
(1) 급여의 종류
l 국민연금법상 규정된 급여는 다섯 가지가 있음
① 노령연금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에 대해서는 60세가 된 때부터
그가 생존하는 동안 노령연금을 지급함
§ 수급 요건에 따라 6가지의 종류가 있음
메모 :
132


사회복지정책론
ü 완전노령연금 :  20년 이상 가입자
ü 감액노령연금 :  10년 이상 20년 미만의 가입자
ü 재직자노령연금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자로서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 60세 이상 65세 미만의 기간 동안 지급하는 연금
ü 조기 노령연금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자로서 55세 이상인 자가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을 경우에 지급함
ü 분할연금 :  배우자의 가입기간 중의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부부가 이혼할
경우 노령연금을 분할(부부 균분)하여 지급함
ü 특례노령연금 :  연금제도 도입 초기에 45세 이상 자였던 가입자에게는
과도기적으로 지급됨
② 장애연금
§ 가입 중에 생긴 질병이나 부상으로 완치 후에도 신체상 또는 정신상의 장애가
있는 자에 대하여 그 장애가 계속되는 동안 장애 정도에 따라 연금을 지급함
③ 유족연금
§ 다음과 같은 사항에서 지급함
ü 가입자가 노령연금 수급권자
ü 가입자의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었던 자
ü 가입자의 장애등급이 2급 이상인 장애연금 수급권자
ü 가입자의 가입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가입자가 질병이나 부상으로 사망한
경우에만 지급함
④ 반환일시금
§ 가입자가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인 자가 60세가 된 때,  가입자가 사망한 때, 
국적을 상실하거나 국외로 이주한 때에 본인이나 그 유족의 청구에 의하여 지급함
⑤ 사망일시금
§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사망한 때에 지급함
§ 유족이 없으면 그 배우자 ·  자녀 ·  부모 ·  손 자녀 ·  조부모 ·  형제자매에게
사망일시금을 지급함.  다만,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사망한 때에 실종
등으로 인하여 행방을 알 수 없는 자에게는 지급하지 않음
(2) 급여 수급권 소멸
l 급여 수급권은 개별 급여에 따라 다르게 소멸됨
§ 노령연금 :  수급권자의 사망으로 급여가 소멸됨
§ 장애연금 :  수급권자의 사망이나 장애등급에 해당되지 않게 된 경우 급여가 소멸됨
(3) 미지급 급여
l 급여의 수급권자가 사망한 경우 그 수급권자에게 지급해야 할 급여를 말함
l 아직 지급되지 않은 것이 있을 때에는 그 배우자 ·  자녀 ·  부모 ·  손 자녀 ·  조부모 · 
형제자매 및 4촌 이내의 방계 혈족 순으로 함
메모 :
133

수익성의 원칙
­ 가입자의 부담,  특히 미래세대의 부담 완화를 위하여 가능한 많은
수익을 추구함
안정성의 원칙
­ 기금은 투자하는 자산의 전체 수익률 변동성과 손실위험이 허용되는
범위 안에 있도록 안정적으로 운용해야 함
공공성의 원칙
­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임
­ 적립규모가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므로 국가경제 및
국내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감안하여 운용해야 함
유동성의 원칙
­ 기금은 연금급여의 지급이 원활하도록 유동성을 고려하여
운용해야 함
­ 특히 투자한 자산의 처분 시 국내금융시장 충격이 최소화되는 방안을
사전에 강구하여야 함
운용 독립성의
원칙
­ 기금은 상기 원칙에 따라 운용해야 함
­ 다른 목적을 위하여 이러한 원칙이 훼손되지 않아야 함


사회복지정책론
l 동 순위자가 2인 이상 있을 경우에는 동등하게 똑같이 나누어 지급함
7) 국민연금기금 운용
­ 기금의 설치 목적 :  국민연금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고,  급여에 충당하기 위한
책임준비금으로서 국민연금기금 설치함
­ 기금운용의 원칙
8) 권리구제
­ 심사청구
l 심사청구는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문서로 해야 함
l 심사청구사항을 심사하기 위해 국민연금공단에 국민연금심사위원회를 두고 있음
­ 재심사 청구
l 심사청구에 대한 결정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결정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해야 함
l 보건복지부에 설치된 국민연금재심사위원회에 재심사 청구를 할 수 있음
메모 :
134


11주차 1차시
사회보험정책과 국민건강보험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19. 사회보험정책과 국민건강보험
가.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개념
1) 배경
­ 1883년 비스마르크 건강보험에 기원을 둔 가장 역사가 오래된 사회보험임
l 원래는 산재보험이 먼저 입안되었으나 정부와 여타 세력들 간의 이견으로 비교적 쉽게
합의에 도달한 건강보험이 먼저 의회를 통과하여 세계 최초의 사회보험이란 영예를 안게
되었음
­ 1911년 영국에서 국민보험법의 하나로 시작된 국민보건서비스(The  National  Health  Service, 
NHS)
l 국민들에게 무상의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보장해주고 있음
l 질병으로 인한 소득의 중단에 대처하기 위한 현금급여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용하고 있음
­ 원래 건강보험은 질병으로 인한 소득의 중단이나 질병 치료에 소요되는 진료비를 보장해 주는
소득보장 제도로 시작되었음
l 질병으로 인한 소득의 상실 부분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데 1차적인 목적이 있음
l 진료비 보장은 현물급여로 부차적이었음
­ 의료보장제도는 각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배경으로 하는 역사적 산물로서 단순 분류에는
어려움이 있음
­ 일반적으로 OECD는 의료보장제도를 3가지로 분류하고 있음
① 사회보험방식(SHI  :  Social  Health  Insurance) 
l 보험자의 보험료로써 재원을 마련하여 의료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독일의 비스마르크가
창시하여 비스마르크 방식이라고도 함
l 국가의 의료보장에 대한 책임을 기본으로 하며,  의료비에 대한 국민의 책임을 인정하는
제도로서 국민의 정부 의존심을 최소화할 수 있음
l 1차적으로 국민 보험료로 재원을 조달하며,  2차적으로 국가의 후견적 지원으로 재정을
조달함
l 관리체계는 자치적 운영 기구를 근간으로 함
l 의료의 사유화를 전제로 의료공급자가 국민과 보험자 간에서 보험급여를 대행하는
방식임
l 예)  대표적 국가 :  독일,  프랑스
② 국민건강보험방식(NHI  :  National  Health  Insurance) 
l 사회연대성을 기반으로 하는 보험원리를 도입함
l 국민건강보험 관리운영기구가 1개라는 점에서 서구의 SHI방식과 차이가 있음
l 사회보험의 운영원리를 자국의 사회적 ·  경제적 실정에 맞게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l 예)  대표적 국가 :  한국,  대만
③ 국민보건서비스방식(NHS  :  National  Health  Service) 
l ‘국민의 의료문제는 국가가 모두 책임져야 한다.’는 관점을 가짐
l 정부가 일반조세로 재원을 마련하여 모든 국민에게 무상으로 의료보장을 제공함
메모 :
136


사회복지정책론
l 의료기관의 상당부분이 사회화 내지 국유화되어 있음
l 국가의 직접적인 의료관장 방식으로 일명 조세방식 또는 베버리지 방식이라고도 함
l 예)  대표적 국가 :  영국,  스웨덴,  이탈리아 등
2) 개념
­ 사회보장제도 중 건강보험제도는 국민의 질병 ·  부상에 대한 예방 ·  진단 ·  치료 ·  재활과
출산 ·  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을 향상시키고
사회보장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임(국민건강보험법 제1조)
­ 국민건강보험
l 질병,  부상이라는 불확실한 위험의 발생과 분만,  사망 등으로 개별 가계가 일시적으로
과다한 의료비를 지출함에 따라 겪게 되는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 주고 국민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 보장제도
l 보험원리를 이용하여 보험가입자 전원에게 소득과 재산에 따라 매겨지는 보험료를
각출하여 보험 급여를 주는 의료보장제도
나.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특징
­ 여덟 가지 특징
① 보편성
l 전 국민을 당연적용 대상자로 하는 사회보험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
② 강제성
l 일정한 법적 요건이 충족되면 본인의 의사에 관계없이 법률에 의해 강제적으로 가입됨
l 사회보험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보험자에게는 보험료 납부의 의무가
주어지며,  보험자에게는 보험료징수의 강제성이 부여됨
l 질병위험성이 높은 사람만 역선택하여 보험에 가입할 경우 보험재정이 파탄되어
건강보험 운영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전 국민을 강제적으로 가입시켜 재정의 안정성과
서비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고자 함
③ 사회연대성
l 국가나 개인의 책임이 아닌 국민상호간 위험부담을 통하여 의료비를 공동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공동의 연대책임을 근간으로 함
l 소득재분배 기능과 위험분산의 효과를 통하여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여 사회통합을
이루게 됨
④ 소득재분배 기능
l 건강보험은 각  개인의 경제적 능력에 따른 일정한 부담으로 재원을 조성하지만, 
개별부담과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대상자 모두에게 적정한 의료 수준까지 균등한
급여를 받음으로써 소득재분배 기능을 수행함
⑤ 보험료의 차등부담(형평부과)
l 민간보험과 건강보험
§ 민간보험 :  급여의 내용,  위험의 정도,  계약의 내용 등에 따라 보험료를 부담함
메모 :
137


사회복지정책론
§ 건강보험 :  사회적인 연대를 기초로 의료비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므로
소득수준 등 능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보험료를 부담함
⑥ 보험급여의 균등성
l 사회보험과 보험급여
§ 사회보험 :  보험료 부과수준에 관계없이 관계법령에 의하여 균등하게 보험급여가
제공됨
§ 보험급여 :  보험 대상자 모두에게 필요한 기본적 의료를 적정한 수준까지
보장함으로써 균등한 급여를 제공함
⑦ 단기보험
l 장기적으로 보험료를 수탁하는 연금보험과는 달리 1년 단위의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수입과 지출을 예정하여 보험료를 계산함
l 지급조건과 지급액도 보험료 납입기간과는 상관이 없음
⑧ 의료비 수익자 부담제
l 건강보험은 다른 사회보험과 달리 의료서비스 비용의 일부를 가입자가 부담토록 하는
수익자 부담제를 사용함
§ 수익자 부담제를 사용하는 이유
ü 도덕적 해이를 방지(서비스의 남용을 억제)하기 위해서
ü 수익자와 비수익자 간의 형평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ü 수익의 정도와 수익자의 부담능력에 따라 부담을 달리함으로써 수익자의 책임을
촉구하기 위해서
ü 수익자의 부담분을 사회보장 재원으로 충당할 수 있어 재원확보에 유리함
다.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주요 내용
1) 연혁
① 제도 도입기(1963~1975년)
l 1963년 :  ‘의료보험법’으로 제정됨.  전국적으로 소수의 의료보험조합이 결성되어 실시됨
② 제도 발전기(1976~1987년)
l 1976년 :  박정희 정부가 기존의 의료보험법을 전면 개정함
l 1977년 7월 1일 :  5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강제가입 성격의
의료보험제도를 실시함
③ 전 국민 의료 보장기 (1988~1997년)
l 1988년 :  5명 이상 고용 사업장으로까지 의료보험의 수혜대상자를 확대함
l 1989년 7월 1일 :  도시지역 자영자 계층까지 의료보험을 확대하여 전 국민의료보장을
달성함
④ 의료보험 통합과 국민건강보험법 제정(1998년~)
l 1998년 10월 :  227개의 지역의료보험조합과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
의료보험관리공단을 통합하여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이 발족됨
l 1999년 2월 :  국민건강보험법이 통과되어 2000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음
메모 :
138

1963.  12
의료보험법 제정(300인 이상 사업장 조합 임의설립)
1977.  07
5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 의료보험 실시(최초 강제 적용)
1979.  01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 의료보험 실시
1979.  07
300인 이상 사업장까지 의료보험 확대
1981.  01
100인 이상 사업장 의료보험 적용 확대
1988.  01
농어촌 지역의료보험 확대실시
1989.  07
도시지역의료보험 실시·전국민 의료보험 실현
1999.  02
국민건강보험법 제정
2000.  07
국민건강보험공단 출범
2003.  07
직장재정과 지역재정 통합(실질적인 건강보험 통합)
2011.  01
사회보험 징수통합(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2015.  01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보험급여 적용(2015.  12  「의료법」  개정으로 기존
포괄간호서비스에서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로 명칭 변경)
2019.  07
외국인 지역가입자 당연적용 실시

현물급여
현금급여
­ 요양기관으로부터 의료서비스를 직접
제공받는 것을 말함
­ 예)  요양급여와 건강검진
­ 가입자의 신청에 의한 것을 말함
­ 예)  요양비,  장애인보장구급여비, 
본인부담액 상한제


사회복지정책론
l 2003년 7월 :  직장재정과 지역재정이 통합되어 건강보험이 실질적으로 통합됨
l 2011년 1월 :  사회보험 징수통합 됨(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 국민건강보험 연혁
2) 급여
­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급여형태는 현물급여를 원칙으로 하되 현금급여를 병행하고 있음
(1) 현물급여
① 요양급여
l 가입자 및 피부양자가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 :  질병 ·  부상 ·  출산 등으로 진찰 · 
검사,  약제 ·  치료재료의 지급,  처치 ·  수술 기타의 치료,  예방 ·  재활,  입원,  간호, 
이송 등
② 건강검진
l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그에 따른 요양급여를 실시하기 위하여 가입자 및
피부양자가 건강에 대한 검진을 받는 서비스
l 건강검진의 종류 :  일반 건강검진,  암검진,  영유아 건강검진
l 일반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자 :  직장가입자,  세대주인 지역가입자,  40세 이상인
지역가입자 및 40세 이상인 피부양자
l 2년마다 1회 이상 실시하되,  사무직에 종사하지 아니하는 직장 가입자에 대해서는
1년에 1회 실시함
l 영유아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자는 6세 미만의 가입자 및 피부양자로,  영유아의
연령 등을 고려하여 검진횟수를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고시하는 바에 따라 실시함
메모 :
139


사회복지정책론
(2) 현금급여
① 요양비
l 긴급,  질병,  부상,  출산 등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요양을 받거나 요양기관
외의 장소에서 출산을 할 때에 그 요양급여에 상당하는 금액을 지급받는 것
② 장애인보장구급여비
l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등록한 장애인인 가입자 및 피부양자에게 보장구를 구입한 경우
구입금액의 일부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급여
l 급여대상 보장구의 유형으로 20종 77개 품목이 있음
③ 장제비
l 가입자나 피부양자가 사망한 경우 그 장제를 행한 자에게 지급하는 현금급여
l 2008년 1월 1일 폐지됨
④ 본인부담액상한제
l 고액 중증질환자의 과다한 진료비지출로 인한 가계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가입자 및 피부양자가 일정기간 동안 요양기관에서 요양급여를 받고 납부한 본인
일부부담금이 일정금액을 초과한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그 초과금액의 일부를
보상하는 현금급여임
3) 진료비
(1) 진료비 심사
l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해 이루어짐
l 의료기관은 총 진료비 중 일부를 환자에게 받고,  나머지는 심사평가원에 청구함
(2) 진료비 지불제도
l 국민건강보험의 진료비 지불제도는 행위별 수가제(Fee-For-Service)임
§ 행위별 수가제(Fee-For-Service)
ü 진료에 소요되는 약제 또는 재료비를 별도로 산정하고,  의료인이 제공한 진료행위
하나하나 마다 항목별로 가격을 책정하여 진료비를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
ü 가장 보편적이고 시장접근적인 방법
l 행위별 수가제의 보완 및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질병군별
포괄수가제(DRG)」와 「정액수가제(RGU)」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음
§ 질병군별 포괄수가제(DRG)
ü 입원환자를 수술,  처치명,  연령,  진료결과 등에 따라 유사한 환자군으로 분류하여
사전에 정해진 진료비를 지불하는 제도를 말함(일종의 의료비 정찰제)
ü 의료비용의 사전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입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거할 수
있으나,  의료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심사기구가 필요함
§ 정액수가제(RGU)
ü 요양병원에서 자원 이용량 수준에 근거하여 환자군을 분류하고(ADL), 
메모 :
140


사회복지정책론
환자분류군별로 일당 정액수가를 설정하는 방식을 말함
4) 재원
­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재원은 가입자 및 사용자로부터 징수한 보험료와 국고 및
건강증진기금(담배지원금:  당해 연도 보험료 예상수입액의 6%)  등 정부지원금(당해 연도
보험료 예상수입액의 14%)을 그 재원으로 함
① 직장근로자의 건강보험료
l 직장가입자와 교직원
§ 직장가입자 :  사용자,  근로자가 각  50%씩 부담함
§ 교직원 :  본인,  학교경영자,  정부가 각  50%,  30%,  20%씩 부담함
l 사용자가 원천징수하여 공단에 납부함
l 직장건강보험료 =  (월 보수월액 ×  보험료율의 1/2)
§ 월 보수월액 :  동일사업장에서 당해 연도에 종사한 기간 중 지급받은 보수총액을 그
해당기간의 월수로 나눈 평균 보수액
§ 보험료율은 2020년 현재 기준 6.67%  정률제 적용
§ 2020년 현재 기준 월 보수월액 하,  상한은 28만 원,  9,962만 원
§ 2020년 현재 기준 직장가입자의 보수월액 보험료 하한액은 1만 8,600원,  상한액은
664만 4340원
②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l 농 ·  어민과 도시 자영자 등 지역가입자의 경우에는 정확한 소득파악에 어려움이 있어
소득,  재산,  생활 수준 등의 등급별 점수를 합하여 보험료 부과점수에 점수 당 단가를
곱하여 산정함
l 세대주가 자진납부함
§ 지역가입자 보험료 =  보험료 부과점수 ×  점수당 금액
§ 보험료 부과 점수당 금액은 2020년 현재 기준 195.8원
§ 2020년 현재 기준,  부과 점수 하,  상한은 20점,  12,680점
§ 2020년 현재 기준,  지역가입자의 월별 보험료액 하한액 1만 3,980원,  상한액 332만
2,170원
5) 전달체계
­ 국민건강보험은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하여 관리 ·  운영되고
있음
① 보건복지부
l 건강보험사업의 관장자로 건강보험관련 정책을 결정하고 건강보험 업무 전반을 총괄함
l 보험료율 및 보험료 부과기준,  요양급여의 범위 등을 결정함
l 관리운영주체인 건강보험공단의 예산 규정 승인 등을 수행함
② 국민건강보험공단
메모 :
141


사회복지정책론
l 담당 업무
§ 가입자 및 피부양자의 자격관리 및 보험료의 부과 ·  징수
§ 보험급여비용의 지급 및 사후관리
§ 건강증진 및 예방사업
§ 건강보험에 관한 교육훈련 및 홍보와 조사연구 ·  국제협력
§ 기타 건강 보험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업무 등의 사업
③ 건강보험심사평가원
l 담당 업무
§ 요양기관으로부터 청구된 요양급여 비용심사 및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 심사 및 평가기준 개발 및 관련 조사연구 ·  국제협력
§ 요양급여 대상 여부 확인
§ 급여비용의 심사 또는 의료의 적정성 평가에 관하여 위탁 받은 업무
§ 기타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업무 등
메모 :
142


11주차 2차시
사회보험정책과 산업재해보상보험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20. 사회보험정책과 산업재해보상보험
가.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개념과 특성
­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개념
l 산업재해보상보험이란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질병,  신체장해 또는
사망으로 재해를 입은 근로자와 유족 및 사업주를 보호하기 위하여 1964년에 도입된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보험 정책임
§ 산업재해란 사업장에서 건조물,  기계,  장치 또는 원료,  재료,  가스,  중기,  분진 등에
의하여 또는 근로자의 작업행동에 의하여 근로자가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사고를 말함
§ 산재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책임을 지는 의무보험임
§ 원래 사용자의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사업주로부터
소정의 보험료를 징수하여 그 기금으로 사업주를 대신하여 산재근로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제도임
­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의의
l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함
l 불의의 재해를 입은 근로자나 그 가족의 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보험제도를 운영함
l 근로복지사업을 실시함
l 불의의 재해로 인한 사업주의 경제적 부담을 산재보험가입자들에게 분산시켜 부담을
경감시켜줌
­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목적
l 산재재해보상보험법 제1조(목적)  이 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 사업을 시행하여 근로자의
업무상의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 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 ·  운영하고,  재해 예방과 그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시행하여 근로자 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l 근로자,  사업주,  국가 ·  사회적 측면
§ 근로자 측면 :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에게 신속하게 보상함으로써 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안정과 복지를 증진시킨다는 목적이 있음
§ 사업주 측면 :  산업재해로 인한 보상을 사회보험 방식으로 해결함으로써 사업주가
감당해야 하는 위험을 분산하게 하고 안정적으로 기업경영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이 있음
§ 국가 ·  사회적 측면 :  건전한 노동력을 확보 ·  보전함으로써 경제발전과 국민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목적이 있음
나. 산업재해보상보험의 특성
1) 산업재해보험법의 법리적 특성
­ 산업재해보상제도를 사법적 손해배상제도의 특수한 제도로서 관점
­ 산업재해보상제도를 노동법상의 제도로서 관점
­ 산업재해보상제도를 생활보장제도의 일환으로 보는 관점
메모 :
144

1953 
근로기준법을 제정함
1963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제정함
1964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시행함(상시500인 이상 광업 ·  제조업)
1995
산재보험 집행 업무를 근로복지공단에 이관함
2000
1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함


사회복지정책론
2) 산업재해보상보험의 특성
­ 무과실책임주의 원칙이 적용됨
l 무과실책임주의 원칙 :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하여 사용자에게는 고의 ·  과실의 유무를
불문함
l 근로자는 사용자의 과실을 입증하기 곤란하며,  또한 긴급한 구제를 필요로 하는 근로자는
무기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과실이 없더라도 책임을 짐
­ 보험관리상 사업장 단위로만 가입이 이루어지고 보험료는 원칙적으로 사업주가 전액 부담함
­ 산재보험급여는 재해발생에 따른 손해 전체를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평균임금을 기초로 하는
정률보상방식으로 함
­ 사업주의 자진신고 및 자진납부를 원칙으로 하고 있음
­ 재해보상과 관련되는 이의신청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심사 및 재심사청구제도를 운영함
­ 다른 사회보험제도에 비해 일선 업무 담당자의 재량에 의해 판단되며 처리되는 부분이 많음
­ 현금급여와 현물급여가 모두 제공되는 종합적인 보상제도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
­ 산재보험에 의한 재해보상은 산업재해로부터 입은 피해를 시급히 복구하여 보호하며,  공정한
보상이 이루어지고,  적기에 확실히 보상해줌
3)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주요 연혁
­ 1963년 11월 5일
l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법률 제1438호로서 제정 ·  공포됨
l 근대적인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가 확립됨
­ 1964년 7월
l 상시 500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광업 및 제조업에 적용토록 산업재해보상보험을
시행함
l 강제사회보험의 형태를 채택하여 노동청에서 이를 관장하도록 함
l 보험료는 전액 사업자가 부담하도록 함
­ 1995
l 산재보험의 업무를 이전의 노동부에서 근로복지공단으로 이관함
­ 2000
l 보험급여의 신설과 적용확대를 통하여 사회안전망으로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하여 30여
차례 개정함
다.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내용
1) 보험가입자
메모 :
145


사회복지정책론
­ 근로복지공단 :  정부의 위탁을 받은 근로복지공단을 보험자로 함
­ 사업주 :  사업주는 보험가입자로 함
­ 산재보험법에서는 피보험자(수급자)의 개념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음
l 그 이유는 사용자가 부담하는 재해보상의 책임을 보험급여로써 이행하는 일종의 책임
보험적 성격에서 비롯되는 것임
2) 적용 범위
­ 당연적용사업
l 산재보험은 사업주만이 보험가입자가 되며,  ‘사업주’란 법인의 경우 법인 그 자체를 의미함
§ 개인 사업체인 경우 그 개인 사업의 대표자를 의미함
l 당연적용사업(장)이라 함은 상시근로자를 1인 이상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이
해당됨
§ 당연적용사업(장)의 사업주는 자신의 가입의사와는 관계없이 당연히 보험가입자가 됨
l 사업주는 보험료의 신고,  납부의무가 주어짐
­ 적용 제외 사업(장) 
① 농업,  임업(벌목업 제외),  어업,  수렵업 중 법인이 아닌 자의 사업으로서 상시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인 사업
② 가사서비스업
l 가정에 고용된 요리사,  가정부,  세탁부,  보모,  유모,  침모,  개인비서,  집사,  운전사, 
정원관리원,  가정교사 등
l 가사종사자가 인력공급업자에게 고용되어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인력공급업자의
소속근로자로 적용함
③ 총 공사금액이 2천만 원 미만인 공사
④ 연면적이 33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의 건축 또는 대수선에 관한 공사
⑤ 공무원연금법 또는 군인연금법에 의하여 재해보상이 행해지는 사업
⑥ 선원법,  어선재해보상보험법.  또는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에 의하여 재해보상이 행해지는
사업
⑦ 상시 근로자 수가 1인 이상이 되지 않는 사업
3) 수급자 :  적용대상
­ 산재보험의 실제 수급자는 사업장에 고용되어 있는 근로자임
­ 사업주임에도 불구하고 근로복지공단의 승인을 얻어 자기 또는 유족을 보험에 가입할 수
있음(법제105조의 4)
4) 보험자 :  근로복지공단
­ 제10조(근로복지공단의 설립)  노동부장관의 위탁을 받아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근로복지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 근로복지공단주요사업
메모 :
146


사회복지정책론
l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적용 ·  징수,  보험급여 지급
l 산업재해보상보험시설 설치 ·  운영과 재해근로자 지원
l 산업재해보상보험급여에 관한 심사청구의 심리 ·  결정
l 고용보험의 적용 ·  징수
l 임금채권보장장기금의 사업주 부담금 징수,  체불임금 및 임금청구권의 대위
l 고용안정채권 발행 및 실직자 대부 등 실업대책사업 추진
l 복지복권 발행 및 중소기업근로자 복지사업 개발 ·  추진
5) 보험사고 :  업무상의 재해
­ 업무상 재해의 개념
l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업무상 재해’라 함은 업무상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부상,  질병, 
신체장애 또는 사망을 의미함
§ 업무상 재해의 원인은 업무와 관련성이 있어야 함
§ ‘업무’의 사전적 의미 :  ‘직업이나 생업으로 하는 일’  또는 ‘맡아서 하는 일’을 말함
§ 산재법이 보호대상으로 하는 ‘업무상 재해’란 산재법이 적용되는 사업의 근로자가
사업주와의 근로계약에 기하여 사업주의 지배,  관리 아래 근로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의미함
­ 업무상 재해의 유형
l 업무상 사고
§ 부상,  사망
l 업무상 질병
§ 업무상의 부상에 기인한 질병
§ 직업성 질병(직업병)
§ 과로사,  과로질병 :  노동부장관이 중앙노동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지정하는 질병
6) 보험급여의 종류와 내용
­ 산재보험법에 의한 보험급여는 여덟 가지가 있음
① 요양급여
l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경우 그 근로자에게 지급함
l 요양급여의 요건 :  업무상 부상과 질병
§ 다만,  3일 이내의 요양으로 치유될 수 있는 때에는 요양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함
l 요양급여범위 :  진찰 및 검사,  약제 또는 진료재료와 의지 그 밖의 보조기의 지급,  처치
·  수술 및 그 밖의 치료,  재활치료,  입원,  간호 및 간병,  이송(교통비,  숙박비 포함),  그
밖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등
② 휴업급여
l 업무상 사유에 의하여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에게 요양으로 인하여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하여 지급함
메모 :
147

장해
업무상의 사유에 의해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려 치유된 후에도 신체
등에 영구적으로 남게 되는 노동력 상실이나 감소상태를 말함
장애
질병이나 사고 등에 의해 지적,  정신적,  청각,  시각,  내장,  골격 등에
결함이 생겨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함


사회복지정책론
§ 다만,  1일당 지급액은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상당하는 금액으로 함
§ 다만,  취업하지 못한 기간이 3일 이내인 때에는 이를 지급하지 아니함(동법 제39조)
③ 장해급여
l 장해와 장애
l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에 의하여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려 치유 후 신체 등에
장해가 있는 경우에 당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것을 말함
l 지급기준 :  장해등급(제1급~제14급)에 따라 지급함
§ 장해보상연금(제1급~제7급 해당자에게 지급)  또는 장해보상일시금(모든 등급에
지급)으로 함(동법 제40조)
④ 간병급여
l 요양급여를 받은 자가 치유 후 의학적으로 상시 또는 수시로 간병이 필요하여 실제로
간병을 받는 자에게 지급함(동법 제42조) 
⑤ 유족급여
l 의의 및 종류
§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로 사망한 경우에 유족에게 지급함
§ 유족보상연금 또는 유족보상일시금 중 유족의 선택에 의해 지급함
l 유족보상연금 수급 자격자의 범위
§ 근로자의 사망 당시 부양되고 있던 자 중 처 ·  남편(사실상 혼인관계에 있는 자
포함)
§ 부모 또는 조부모로서 60세 이상인 자
§ 자녀 또는 손으로서 18세 미만인 자,  형제자매로서 18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인

§ 근로자의 사망 당시 태아인 자녀가 출생한 경우에는 근로자에 의하여 부양되고 있던
자로 봄
l 유족보상연급 수급 자격자의 범위
§ 유족보상연급수급자격자가 유족보상연금을 받을 권리의 순위
ü 동법 제44조 :    ① 배우자>② 자녀 >  ③ 부모 >  ④ 손(자녀)  >  ⑤ 조부모
>  형제자매(동법 제44조)
⑥ 상병보상연금
l 요양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요양을 시작한 지 2년이 지난 이후에도 그 부상이나 질병이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 있거나,  그 부상 또는 질병에 따른 폐질의 정도가 대통령령이
정하는 폐질등급기준에 해당될 경우,  휴업급여 대신 상병보상연금을 그 근로자에게
지급함
⑦ 장의비
메모 :
148


사회복지정책론
l 노동자가 업무상 사유로 사망한 경우에 지급함
§ 다만,  평균임금의 120일분에 상당하는 금액을 장제를 지낸 유족에게 지급함
⑧ 직업재활급여
l 종류
§ 장해급여를 받은 자 중 취업을 위하여 직업훈련이 필요한 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직업훈련에 드는 비용 및 직업훈련수당 등
라. 보험료의 산정
­ 보험금의 산정기준
l 산재보험의 급여는 요양급여와 같은 현물급여를 제외하고는 현금급여를 제공함
§ 현금급여 :  동법에 따라 피재근로자의 임금,  통상임금 및 평균임금 등이 급여산정에
사용됨
­ 보험금의 지급수준 보장 :  세 가지 방법이 있음
① 임금변동순응율제도
l 슬라이드제도라고도 함
l 장기요양자나 연금수급자의 경우 재해 당시의 평균임금을 기초로 하므로 장기간 요양을
하거나 연금을 받는 경우 물가와 임금이 계속적으로 오르는데도 보험급여액은 고정되어
있어 손해를 보게 되는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제도임
② 기준임금제도
l 사업의 폐지 ·  도산 등으로 임금을 산정 ·  확인하기 곤란한 경우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 지급함
l 노동부장관이 사업의 규모,  근로형태,  임금수준 등을 고려하여 고시하는 기준임금을
임금으로 함
③ 최고 ·  최저 보상제
l 보험급여의 산정에 있어서 보험급여의 산정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이 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최고보상기준금액을 초과하거나 최저보상기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에 지급함
l 최고보상기준금액 또는 최저보상기준금액은 당해 근로자의 평균임금으로 함
­ 산재보험요율
l 매년 9월 30일,  과거 3년간의 임금총액에 대한 보험급여총액의 비율을 기초로 재해발생의
위험성에 따라 분류된 업종별 보험요율을 세분화하여 적용함 (업종별 보험요율은
근로복지공단 자료실에 있음)
­ 임금총액
l 보험료의 산정기초가 되는 임금총액이라 함은 사업주가 보험연도 중에 근로기준법
제18조의 규정에 의한 임금을 지급 또는 지급하기로 결정한 액의 총액을 말함
l 근로기준법 제18조 :  임금총액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상으로 근로자에게 임금,  봉급, 
기타 여하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을 말하는 것이므로 임금 이외의 현물로
지급되는 임금도 포함됨
메모 :
149


12주차 1차시
사회보험정책과 고용보험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21. 사회보험정책과 고용보험
가. 고용보험제도의 개요
1) 개념
­ 고용보험제도 :  실직 근로자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전통적 의미의 실업보험의 기능과 함께
적극적인 직업소개를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위한 고용안정사업,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을 상호 연계하여 실시하는 사회보험제도
l 실직자에 대한 생계지원은 물론 재취업을 촉진하고 더 나아가 실업의 예방 및 고용안정, 
취업기회의 확대,  근로자의 직업능력 향상,  기타 근로자의 복지증진,  노동시장의 구조개편, 
직업능력을 강화하는 사전적 ·  적극적 차원의 노동시장정책을 결합한 형태로 운영되는
제도임
­ 근로자에게는 실업급여와 능력개발비용을,  사업주에게는 고용유지 조치 또는 교육훈련 비용을
지원함
2) 목적
­ [고용보험법 제1조]  고용보험의 시행을 통하여 실업의 예방,  고용의 촉진 및 근로자의
직업능력의 개발 ·  향상을 도모하고,  국가의 직업지도 ·  직업소개기능을 강화하며,  근로자가
실업한 경우에 생활에 필요한 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근로자의 생활의 안정과 구직활동을
촉진하여 경제 ·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3) 기능
­ 고용조정의 원활화 및 경제적 효율성 제고
­ 실직근로자의 생활안정과 재취업 촉진
­ 직업훈련의 활성화와 경쟁력 강화
­ 직업안정기능의 활성화와 인력수급의 원활화
­ 경기조절기능의 수행
4) 고용보험제도와 실업보험과의 차이점
­ 고용보험제도 :  실업보험의 요소들과 함께 노동자의 능력개발과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해
고용구조를 조정하는 노동시장정책적인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는 사회보험제도임
­ 실업보험제도 :  노동자의 비자발적 실업에 대해 일정액의 실업보험금을 지급함으로써 노동자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사후대책적 의미를 가지는 소극적인 사회보험임
5) 입법 배경
­ 1980년대 말 이전 :  저임금을 기반으로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고성장을 지속함
­ 1980년대 이후 :  폭발적인 노동운동과 임금의 상승으로 인해 산업구조 조정이 추진됨
­ 1993년 :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장중심의 기술전략 추구와 노동력의 공급과 수요에 대한
관리에 초점을 두는 ‘신 인력정책’이 출범함
메모 :
151

1993.  12
고용보험법 제정
1995.7
고용보험 시행(30인 이상 사업장)
1998.10
1인 이상 전 사업장으로 고용보험 적용확대
2001.11
고용보험을 통해 모성보호급여(육아 휴직 ·  산전후 휴가급여)  지급
2002.12
일용근로자 고용보험 적용 등 고용보험법 개정
2003.  12.  31
  (2005.  1.  1)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 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정
(고용보험료와 산업재해보상보험료 통합징수 시작)
2010.  1
4대 사회보험 통합에 따라 보험료 산정기준을 임금에서 보수로 변경
2011.  9
2011.  7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제도 시행
자영업자 고용보험 실업급여 혜택 확대
2012.  1
자영업자 고용보험(실업급여)  적용
2013.  6
65세 이상자 고용보험(실업급여)  적용
2014.  10
'아빠의 달'  육아휴직 특례 제도 시행
2016.  5
'실업크레딧'제도 도입
2017.  8
중소기업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신설


사회복지정책론
­ 1993년 12월 :  국내 ·  외적 환경 변화로 말미암아 고용안정의 필요성과 산업구조조정이
요청되면서 1993년 12월 고용보험법이 제정됨
­ [주요 연혁]
6) 고용보험제도의 관장
­ 고용노동부에 소속된 고용노동부고용센터,  근로복지공단 등에 업무를 위탁하여 관장함
l 고용노동부고용센터 :  피보험자 관리,  실업급여 지급,  고용안정사업 관련 업무를 함
l 근로복지공단 :  고용보험 가입 및 보험료 징수 업무를 함
7) 권리구제
­ 심사 및 재심사청구의 2회의 권리구제를 신청함
l 실업급여수급자격 불인정,  실업 불인정,  반환명령 등에 이의가 있는 경우 고용센터의 확인
또는 처분이 있음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보험 심사관에게 심사 청구함
l 심사청구에 대한 결과에 이의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안 날부터 각각  90일 이내에
고용노동부에 설치된 고용보험심사위원회에 재심사 청구함
나. 고용보험법의 주요 내용
1) 적용 범위
(1) 적용 대상 사업장
l 고용보험법은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은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함
l 다만,  다음의 일부 사업에 대하여는 적용을 제외함
§ 농업,  임업,  어업 및 수렵업 중 법인이 아닌 자가 상시 근로자 4인 이하를 고용하는
사업
§ 총 공사금액이 매년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금액(2천만 원)  미만인 건설공사
§ 연면적 10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의 건축 또는 연면적이 200제곱미터 이하인
메모 :
152


사회복지정책론
건축물의 수선공사
§ 가사 서비스업
(2) 보험가입자
l 피보험자와 고용보험의 가입방식 :  고용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보험가입자는 사업주와
근로자이지만,  실제로 다양한 보험급여를 받는 자는 피보험자임
§ 피보험자라 함은 당연가입자,  임의가입자,  일괄적용대상 사업의 규정에 따라 보험에
가입하거나 가입된 것으로 보는 근로자를 말함
§ 피보험자는 고용보험법이 적용되는 사업에 고용된 날에 피보험자격을 취득함
l 당연가입자와 임의가입자
§ 당연가입자 :  사업이 개시되거나 사업이 적용요건을 충족하게 되었을 때, 
고용보험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사업의 사업주와 근로자는 의사와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보험관계가 성립됨
§ 임의가입자 :  고용보험법의 의무적용을 받지 아니하는 사업으로서,  사업주는 근로자
과반수 이상의 동의를 얻어 고용보험 가입 신청서를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하여
승인을 얻어 가입하는 것을 말함
l 적용 대상 근로자 :  고용보험은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됨
§ 다만,  다음의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을 제외함
ü 65세 이상인 자(고용안정 ·  직업능력개발사업은 적용)
ü 1개월간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1주간 15시간)  미만인 근로자
ü 공무원(별정직,  계약직 공무원은 2008.  9.  22부터 임의가입 가능)
ü 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 적용자
ü 별정우체국 직원
2) 일용근로자 고용보험제도
­ 일용근로자
l 1월 미만의 기간 동안 고용되는 근로자로,  주로 건설근로자(비계공,  벽돌공,  목수,  용접공
등)가  해당되며,  그 외에 중국집 배달원,  급식 조리원,  식당 주방보조원,  백화점 세일기간
동안 고용된 사람 등
­ 가입
l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 고용된 날로부터 피보험자격을 얻게 됨
l 사업주가 고용센터에 피보험 자격취득신고를 함으로써 가입이 됨
­ 가입혜택
l 실업급여,  취업알선,  직업훈련 및 수당 지급
3) 자영업자 고용보험제도(2012.  1.  22) 
­ 가입대상 :  본인 명의의 사업자등록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홀로 사업을 진행하는 자영업자와
50인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자영업자
메모 :
153


사회복지정책론
­ 보험료 산정기준 :  소득이 불규칙한 자영업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험료 및 실업급여의
기준이 되는 소득은 고용노동부 장관이 고시하는 ‘기준보수’(총 5등급으로 구분됨)  중에서
선택이 가능함
­ 수급요건
l 자영업자로서 최소 1년 간 고용보험에 가입하여 보험료를 납부해야 함
l 매출액 감소,  적자지속,  자연재해 등 불가피한 사유로 폐업한 경우 실업급여를 지급함
4) 보험료
­ 보험료
l 근로자는 실업급여에 관한 부분만 부담하고,  고용안정 ·  직업능력개발사업의 보험료는
사업주가 부담함
l 근로자 부담액 :  자기보수총액 ×  실업급여의 보험료율 ×  1/2
l 사업주 부담액 :  근로자의 보수총액 ×  (실업급여의 보험료율 ×  1/2  +  고용안정 · 
직업능력개발사업의 보험료율)
­ 개산보험료와 확정보험료
l 개산보험료 :  매 연도마다 1년간의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할 임금총액 추정액에 보험료율을
곱하여 산정한 금액
l 확정보험료 :  당해 연도 근로자의 실제 임금총액에 보험사업별 보험료율을 곱하여 산정한
금액
5) 고용보험의 급여
(1) 고용안정지원
l 국내 ·  외 경기의 변동,  사업구조의 변화 기타 경제상의 이유 등으로 인한 실업의 예방, 
재취직의 촉진,  고용기회의 확대,  기타 고용안정을 위하여 행하는 사업 등
l 고용안정지원사업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됨
① 고용창출지원 :  교대제 도입 ·  확대 등 근무체계 개편,  고용환경개선, 
유망창업기업지원,  전문인력채용지원 등을 통해 일자리를 늘려 실업자를 신규 채용한
사업주에게 인건비 또는 시설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임
§ 예)  일자리 함께 하기 사업,  시간제일자리창출 지원,  고용환경개선 지원, 
유망창업기업 고용지원사업,  전문 인력 채용지원 사업
② 고용조정지원 :  고용노동부장관은 경기의 변동,  산업구조의 변화 등에 따른
사업규모의 축소,  사업의 폐지 또는 전환으로 인하여 고용조정이 불가피하게 된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한 휴업,  근로자의 직업전환에 필요한 직업능력개발훈련,  인력의
재배치 등의 실시 기타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당해 사업주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음
§ 예)  고용유지 지원금
③ 고용촉진지원 :  고용노동부장관은 고령자 등의 노동시장의 통상적인 조건하에서는
취직이 특히 곤란한 자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고령자 등을 새로이 고용하거나
메모 :
154

연령 및
가입기간
1년 미만
1년 이상
3년 미만
3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50세 미만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12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사회복지정책론
기타 이들의 고용안정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사업주에 대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음
§ 고용촉진지원 내역
ü 고령자 고용연장 지원금 :  정년연장,  정년퇴직자재고용,  60세 이상 고령자
고용지원금
ü 임금피크제 지원금 :  정년연장형,  재고용형,  근로시간단축형
ü 고용촉진지원금
ü 임신 ·  출산여성 고용안정 지원금
④ 기타 고용안정지원
§ 직장 어린이집 설치 ·  운영비 지원 :  사업주의 적극적인 참여유인과 보육
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설치 ·  운영비를 지원함
§ 건설근로자 고용보험 관리지원금 지원 :  건설(일용)근로자의 원활한 고용보험적용
및 고용관리체계의 개선을 유도하기 위하여 피보험자 관리비용의 일부를 지원함
(2) 직업능력개발사업
l 사업주 지원 :  고용노동부장관은 피보험자 등의 직업능력을 개발 ·  향상시키기 위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하는 사업주에 대하여 훈련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음
l 근로자 지원 :  고용노동부장관은 피보험자 등이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거나 직업능력의
개발 ·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는 경우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음
(3) 실업급여
l 근로자가 실직하였을 경우 일정기간 동안 실직자와 그 가족의 생활안정과 원활한
구직활동을 위하여 실업급여를 지급함
l 구직급여 :  구직급여
§ 피보험자의 실업기간 중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급되는 급여
§ 지급요건 :  피보험자가 실직한 경우에 실직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의
피보험단위기간을 충족하고,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을 경우에 지급됨
§ 급여수준 :  실직 전 평균임금의 60%임
§ 소정급여일수
ü 피보험기간과 연령,  장애유무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됨
ü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사람의 경우 50세 미만이면 240일 동안, 
50세 이상 및 장애인은 270일 동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음
ü [소정급여일수]
메모 :
155


사회복지정책론
l 구직급여 :  상병급여
§ 수급자격자가 질병 ·  부상인 경우에 구직급여를 지급할 수 없거나 수급자격자가
출산으로 인해 구직활동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지급하는 실업급여임
§ 지급요건 :  실업신고를 한 이후 질병 ·  부상 ·  출산으로 취업이 불가능하여
실업인정을 받지 못하고 직업소개,  직업지도,  직업능력개발훈련 거부로 구직급여
지급이 정지된 기간이 아니어야 함
l 구직급여 :  연장급여
§ 취직이 어렵고 생활이 곤란한 경우 구직급여를 연장하여 받을 수 있음
§ 훈련연장급여 :  직업안정기관장의 직업능력개발훈련지시에 따라 훈련을 수강하는 자
§ 개별연장급여 :  취직이 곤란하고 재산,  부양가족,  훈련수강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생계지원이 필요한 자
§ 특별연장급여 :  실업급증 등으로 재취업이 특히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
l 취업촉진수당
§ 구직급여와는 별도로 실업자들이 좀 더 빨리 재취업할 수 있도록 유인하기 위한
추가급여의 성격임
§ 조기재취업수당
ü 수급자격자가 안정된 직업에 재취직하거나 스스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 지급함
ü 구직급여를 받다가 남은 일수가 30일 이상인 상태에서 재취직하거나 자영업을
6개월 이상 유지하고 있는 경우 남아있는 구직급여의 1/2을 지급함
§ 직업능력개발수당
ü 수급자격자가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지시한 직업능력개발훈련 등을 받는 경우에 그
직업능력개발훈련 등을 받는 기간에 대하여 지급함
ü 지급금액 :  교통비 ·  식대 등 직업훈련 등의 수강에 필요한 비용을 감안하여
지급함
§ 광역구직활동비
ü 수급자격자가 직업안정기관의 소개에 의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구직활동을
하는 경우에 지급함
§ 이주비
ü 수급자격자가 취업하거나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지시한 직업능력개발훈련 등을
받기 위해 그 주거를 이전하는 경우에 지급함
l 육아휴직급여
§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그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남녀 고용평등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 19조에 의한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부여 받고 소정의 수급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육아휴직 시작일 부터
3개월까지는 통삼임금의 100분의 80(상한액 :  월 150만원,  하한액 :  월 70만원)을
육아휴직 급여액으로 지급하고,  육아휴직 4개월째부터 육아휴직 종료일까지
통상임금의 100분의 50(상한액 :  월 120만원,  하한액 :  월 70만원)을 육아휴직
메모 :
156


사회복지정책론
급여액으로 지급함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근로자는 육아휴직을
대신해서 육아기 근로시간의 단축을 신청할 수 있음
§ 산전후 휴가급여
ü 고용노동부장관은 「남녀고용평등과 일 ·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피보험자가 「근로기준법」에 따른 산전후 휴가 또는 유산 ·  사산휴가를 받은
경우로서 휴가가 끝난 날 이전에 피보험 단위기간을 통산하여 180일 이상인
경우에 산전후 휴가급여 등을 지급함
ü 임신중의 여성에 대하여는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의 출산 전후 휴가를
주되,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45일 이상이 확보되도록 부여해야 함
ü 출산한 여성근로자의 근로의무를 면제하고 임금상실 없이 휴식을 보장받도록 하는
제도임
메모 :
157


12주차 2차시
사회보험정책과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기초연금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22. 사회보험정책과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기초연금
가.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
1) 개념
(1) 사회적 배경
l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가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신체적 ·  정신적으로 취약하여 치매 ·  중풍 등 요양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후기 고령자 수의 증가함
l 핵가족화 ·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것이 어렵고 그 가정의 비용부담이 과중하여 노인의 장기적인 요양 문제는 우리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l 노인요양은 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들을 돌볼 수 없어 치료보다는 수발 혹은
요양서비스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장기적으로 입원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음
§ 이로 인해 노인의료비의 증가가 경제적 문제가 가족 해체를 가속화시키게 됨으로써
사회적 논의의 쟁점이 되었음
l 국가는 장기요양기본계획을 수립 ·  시행함에 있어서 노인뿐만 아니라 장애인 등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모든 국민이 장기요양급여,  신체활동지원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며,  나아가 생활안정과 자립을 지원할 수 있는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고 국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있음
(2) 개념
l 노인의 간병 ·  장기요양 문제를 사회연대원리에 따라 정부와 사회가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한 사회보험임
l 목적 :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제공하는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노인과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l 2008년 7월부터 중증 노인부터 제도 시행 후 단계적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함
(3) 기본 원칙
① 장기요양급여의 적정제공
l 장기요양급여는 노인 등의 급여대상이 가진 심신상태 ·  생활환경을 특성을 적절하게
고려하는 한편 노인 등 및 그 가족의 욕구 ·  선택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필요한
범위 안에서 적정하게 제공하여야 하는 원칙을 말함
② 재가급여의 우선 제공
l 노인장기요양급여는 재가급여,  시설급여 및 특별현금급여가 있으나,  우선적으로
재가급여를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
§ 노인이 살고 있는 집에서 가능한 한 급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이기 때문임
메모 :
159

구분
국민건강보험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목적
­ 국민건강보험은 치매 ·  중풍 등 질환의
진단,  입원 및 외래치료,  재활치료 등을
목적으로 함
­ 65세 이상 노인(노인성 질환을 가진
64세 이하의 국민)을 대상으로 치매 · 
중풍 등과 같이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인하여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이나 재가 장기요양기관을
통해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를 말함
재원
­ 정부의 부담 +  이용자본인부담
­ 장기요양보험료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부담 +  이용자본인부담
서비스
­ 병 ·  의원 및 약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급여대상으로 함
­ 시설급여
­ 재가급여(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 ·  야간보호,  단기보호 등)
유사점
­ 양 제도는 노인을 공통적으로 돌보는 서비스-  즉 방문간호,  요양병원간병, 
노인성질환예방사업 등을 공유한다는데 유사점을 가짐


사회복지정책론
③ 장기요양급여의 의료서비스와 연계 제공
l 장기요양급여는 1차적으로 돌봄 서비스가 위주지만,  노인의 심신 상태나 건강 등이
악화되지 않도록 유념하면서 의료서비스와 연계하여 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이러한 점에서 장기요양급여는 보건,  복지 및 서비스 등을 연계하여 제공함
2) 국민건강보험제도와의 차이점
3) 특성
­ 사회보험제도로서 장기요양보호서비스
l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사회보험제도로서 일부 국가부담과 장기요양급여 이용자가
부담하는 본인 일부 부담금으로 재원을 충당함
­ 장기요양급여의 장기성과 복합성
l 노인장기요양보호 서비스는 고령자의 만성질환과 장애에 대응한 서비스이므로 급여기간이
장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대부분임
­ 장기요양급여는 복합적 급여
l 재가급여,  시설급여 및 특별현금급여 등으로 분류됨
l 재가급여에는 방문요양,  방문목욕,  주 ·  야간보호,  단기보호,  기타 재가급여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요양급여제공과 사례관리
l 급여의 신청에서 인정까지의 절차는 장기요양인정서의 신청,  방문조사,  등급 판정, 
장기요양인정결과의 통지,  장기요양급여의 이용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를 걸침
l 특히 이 과정에서 사례관리자인 장기요양관리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기능조사항목, 
욕구조사항목 등을 조사하여 급여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감독을 하는
메모 :
160


사회복지정책론
사례관리의 기능을 하는 보험제도라 할 수 있음
4) 주요 내용
(1) 장기요양인정의 신청자격과 서비스 이용체계
l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할 수 있는 자
§ 장기요양보험가입자 또는 그 피부양자
§ 「의료급여법」에 따른 수급권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 또는 65세 미만의 자로서 치매
·  뇌혈관성 질환 등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
l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하는 자는 공단에 장기요양신청서에 의사(또는 한의사)  소견서를
첨부하여 제출함
l 장기요양인정신청은 신청인의 심신상태,  신청인에게 필요한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및
내용을 소속직원이 조사함
(2)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체계
① 서비스 신청
l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자가 공단에 의사 소견서를 첨부하여
신청함
§ 신청자 :  본인,  가족이나 친지,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  시장 ·  군수 ·  구청장이
지정한 자
② 방문 조사
l 공단 소속직원(사회복지사,  간호사)이 신청인의 심신 상태 등을 조사함
③ 등급 판정
l 공단은 조사결과서,  의사소견서 등을 등급판정 위원회에 제출함
l 등급판정위원회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등급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함
§ 신청서제출 후 30일 이내에 판정을 완료하고,  다만 정밀조사가 필요한 경우에만
연장함
④ 장기요양인정서 및 표준장기요양 이용계획서 통보
l 등급판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장기요양등급,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및 내용이 담긴
장기요양인정서와 적절한 서비스 내용,  횟수,  비용 등을 담은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를 송부함
§ 장기요양인정유효기간 :  최소 1년 이상으로 대통령령에서 정함
§ 장기요양인정서의 갱신 신청,  장기요양등급 등의 변경신청,  이의절차가 있음
⑤ 장기요양급여의 시작
l 장기요양인정서가 도달한 날부터 장기요양급여가 시작됨
§ 다만,  돌볼 가족이 없는 경우 등은 신청서를 제출한 날부터 장기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음
⑥ 장기요양기관 정보의 안내
l 장기요양기관은 수급자가 장기요양급여를 쉽게 선택하고,  급여의 질 보장 등을 위해
메모 :
161


사회복지정책론
현황 자료 등을 공단이 운영하는 인터넷에 게시
(3)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① 재가급여
l 수급자의 가정 등에서 장기 요양하는 것을 말함
l 방문요양,  재가급여는 방문목욕,  주 ·  야간보호,  단기보호,  기타 재가급여 등으로
세분함
§ 기타 재가급여 :  수급자의 일상생활 ·  신체활동 지원에 필요한 용구를 제공하거나
가정을 방문하여 재활에 관한 지원 등을 제공하는 것
② 시설급여
l 수급인을 장기요양시설 등에 입소시켜 장기요양 하는 것을 말함
l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장기간 입소하여 신체활동지원,  심신기능의 유지,  향상을 위한
교육,  훈련 등을 제공하는 요양급여 하는 것을 말함
③ 특별현금급여
l 수급인에게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현금 등을 지급하는 것을 말함
§ 가족요양비 :  장기요양기관이 현저히 부족한 지역(도서 ·  벽지)에 거주하는 자, 
천재지변 등으로 장기요양급여의 이용이 어렵다고 인정된 자,  신체,  정신,  성격
등의 사유로 가족 등이 장기요양을 받아야 하는 자에게 지급함
§ 특례요양비 :  수급자가 장기요양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장기요양시설 등의
기관과 재가 또는 시설급여에 상당한 장기요양급여를 받은 경우 장기요양급여
비용의 일부를 지급함
§ 요양병원 간병비 :  수급자가 노인전문병원 또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때에
장기요양에 사용되는 비용의 일부를 지급함
(4) 재가 및 시설 본인일부부담금
l 재가급여 :  당해 장기요양급여비용의 100분의 15 
l 시설급여 :  당해 장기요양급여비용의 100분의 20
→ 국민기초생활 수급권자는 본인부담을 하지 않음
(5) 관리운영기관
l 장기요양사업의 관리운영기관은 국민건강보험 공단으로 다음의 업무를 관장함
§ 장기요양보험가입자 및 그 피부양자와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자격관리
§ 장기요양보험료의 부과,  징수
§ 신청인에 대한 조사
§ 등급판정위원회의 운영 및 장기요양등급 판정
나. 기초연금
1) 고령화와 사회보장연금
메모 :
162

구분
도달 연도
소요 연수
7%
(고령화 사회)
14%
  (고령사회)
20%
(초고령사회)
7%  → 14%
14%  →
20%
한국
2000
2019
2026
19
7
프랑스
1864
1979
2020
115
41
미국
1942
2013
2028
71
15


사회복지정책론
(1) 고령화
l 20세기 이후 의학의 눈부신 발전,  영양상태,  보건환경 및 근로조건의 개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인간 의 평균수명은 크게 늘어나 OECD  국가의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고령화율)은 15%  안팎에 이르고 있음
l 부양률 역시 50%를 상회하거나 육박하고 있는데 이는 근로계층의 부양부담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함
§ 부양률 :  65세 이상 노인인구 +  14세 이하 인구/  근로가능인구(15∼64세)로 나눈

l 우리나라의 고령화율은 아직은 서구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이나,  고령화 속도가
세계1위로 앞으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게 확실함
§ 노령인구가 14%인 고령사회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통계청 인구전망)
ü 프랑스 :  115년
ü 미국 :  71년
ü 우리나라는 겨우 19년이 걸리고,  2050년에는 노령인구가 세계 최고인 37%에
이르게 될 전망임
l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
(출처 :  보건복지부)
(2) 사회보장연금
l 공적연금제도가 나타나기 이전
§ 노후문제는 전적으로 개인이나 가족의 책임으로,  가족(확대가족)의 부양
(비공식적(Informal)  노후대책)을 받았음
l 현대사회의 대부분의 국가가 개인의 노후대비에 개입하게 된 이유
§ 노후대비 노력 부족 :  일부 노인들은 자신의 노후에 대비해 저축이 부족하여
사회에서 부담함
§ 불충분한 저축수단 :  자본시장이 발달하지 않고 거시경제가 불안정하여 적절한
저축수단이 불충분함
§ 보험시장의 실패:역선택과 도덕적 해이 등 보험회사의 한계가 있음
§ 정보 격차 :  개인저축,  보험회사 또는 기타 투자수단의 장기적 상환능력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노후에 실패를 볼 수 있음
§ 장기 빈곤 :  근로기간 동안 노후에 대비할 만큼 충분한 소득을 얻지 못하는
사람(빈민)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분배 장치가 필요함
메모 :
163


사회복지정책론
2) 개념
­ 2007년 기초노령연금법이 제정
­ 2008년 1월 시행
­ 2014년 기초연금제도로 명칭을 개정함
­ 기초노령연금의 도입은 급격한 고령화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서 중하위 소득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획기적인 노후소득보장 정책임
­ 고령화에 따른 문제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 중의 하나가 노후생계보장 문제이며, 
노후소득보장정책인 국민연금의 사각지대가 넓어 많은 수의 노인,  특히 중하위 소득계층
노인이 제대로 된 생계보장이 없음
­ 기초연금법의 목적(기초연금법 제1조 목적)  기초연금은 노인이 후손의 양육과 국가 및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여 온 점을 고려하여 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함으로써
노인의 생활 안정을 지원하고 복지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함
­ 중하위 계층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조세로 재정을 충당한다는 면에서 공공부조의 하나로 볼
수 있음
­ 기초연금법에는 ‘생활이 어려운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저소득계층
노인뿐 만 아니라 중간소득계층의 노인(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70%  정도)까지 포함하고
있음
­ 노인 자신의 소득과 재산을 대상자 선정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산층 자녀의 부모 중
상당수가 기초연금을 수급하고 있음
l 기초연금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의 급여와 다르게 본인과 배우자의 소득 및 재산만으로
수급권자를 결정함
l 자식 등 부양의무자 조건은 반영되지 않음
l 우리나라 기초연금이 보편주의 요소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함
­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는
원칙적으로 기초연금 수급대상에서 제외됨
다. 주요 내용
(1) 대상자
l 기초연금은 65세 이상인 사람으로서 소득인정액이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는
금액(선정기준액)  이하인 사람에게 지급
l ‘선정기준액’ 
§ 65세 이상인 사람 중 기초연금 수급자가 100분의 70  수준이 되도록 한다는 규정에
따라 하위 70%의 노인들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l 기준연금액
§ 노인 소득재산 분포와 임금 ·  지가 ·  물가상승률 등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하여
매년 고시함
§ 고시한 기준연금액의 적용기간은 해당 조정연도 1월부터 12월까지로 함(제5조)
l 65세 이상인 사람 중 소득인정액이 100분의 40이하인 사람에게 적용되는 기준연금액은
메모 :
164


사회복지정책론
30만 원으로 함
l 소득기준은 소득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해서 결정되며,  소득금액을
합산하여 월평균 금액으로 함
l 소득 인정액의 산출기초가 되는 소득의 범위
§ 근로소득(비과세 소득 제외)
§ 사업소득(농업소득 포함)
§ 재산소득(임대소득과 이자소득 포함)
§ 기타소득(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각종 수당,  연금,  급여 및 보조금) 
§ 일반재산(토지,  건축물 및 주택 포함.  단,  종중재산 ·  마을공동재산과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공동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산은 제외되며,  주택,  상가,  건물 등에 대한
임차보증금도 포함) 
§ 금융재산(금융자산과 보험상품 포함) 
§ 자동차(단,  상이등급 판정을 받은 국가유공자 등이 소유한 자동차,  장애인이 소유한
자동차,  비과세 자동차는 제외) 
§ 골프장 회원권
§ 부동산 취득 권리(조합원입주권,  건물이 완성되는 때에 그 건물과 이에 부수되는
토지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 포함) 
§ 증여 재산
ü 재산의 소득환산액은 이상과 같은 재산가액을 모두 합산한 금액에서 대출금, 
연체금 및 신용카드 미 결제금액,  임대보증금,  부채를 뺀 금액을 12로 나눈
금액(월 소득 환산액)으로 함
ü 재산의 소득 환산율은 5%임
(2) 재정
l 기초연금의 재정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함(기초연금법 제19조) 
§ 국가는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인구 비율 및 재정여건 등을 고려하여 100분의 40  이상
100분의 90  이하의 범위 안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을 부담함
§ 특별시,  광역시,  도 또는 특별자치도(시,  도)  및 시 ·  군 ·  구(자치구)가  상호
분담하되,  그 부담비율은 노인인구 비율 및 재정여건 등을 고려하여 정함
(3) 신청 및 지급
l 기초연금을 지급받으려는 사람(이하 ‘기초연금 수급희망자’)  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대리인은 시장 ·  군수 ·  구청장에게 기초연금의 지급을 신청할 수 있음(제10조)
l 주소지 관할 읍 ·  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및
상담센터에서 신청하거나 복지포탈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함
l 신청이 접수되면 시,  군,  구청에서 소득재산을 조사하고 대상자 여부를 결정해 서면으로
통지해야 함
l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기초연금 수급권자로 결정한 사람에 대하여 기초연금의 지급을
메모 :
165


사회복지정책론
신청한 날이 속하는 달부터 기초연금 수급권을 상실한 날이 속하는 달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기초연금을 지급(제14조)
(4) 기초연금 지급의 정지
l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기초연금 수급자가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교정시설 또는
치료감호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l 행방불명이나 실종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l 기초연금 수급자의 국외 체류기간이 60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위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하면 그 사유가 발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그 사유가 소멸한 날이 속하는 달까지는 기초연금의 지급을 정지함(제16조)
(5) 수급권의 상실
l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된 때에 기초연금 수급권을 상실함(제17조)
§ 사망한 때
§ 국적을 상실하거나 국외로 이주한 때
§ 제3조에 따른 기초연금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때
(6) 수급권의 보호
l 양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으며,  압류 대상으로 할 수 없음
l 기초연금으로 지급받은 금품은 압류할 수 없음(제21조)
메모 :
166


13주차 1차시
공공부조정책 (1)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23. 공공부조정책 (1)
가. 절대빈곤과 상대빈곤의 개념
1) 절대빈곤
(1) 절대빈곤이란
l 전통적인 빈곤개념인 절대빈곤은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수준,  즉 최소한의 신체적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식 ·  열 ·  주 ·  의를 가지지 못한 수준을 말함
l 식 ·  열 ·  주 ·  의 :  음식,  연료,  주택,  의복을 말함
§ 절대빈곤은 보통 최소한의 일일 칼로리 섭취량,  식품비가 가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엥겔계수),  최소한의 생필품을 구입하는데 필요한 소득 등으로 정해짐
(2) 절대빈곤의 개념
l 빈곤에 대해 세계 최초로 대규모 과학적 사회조사를 한 찰스부스(Charles  Booth, 
1889)로부터 시작되었음
§ 찰스부스는 가난한 사람을 빈민과 극빈층으로 구분했다.
ü 빈민이란 규칙적인 수입은 있지만 그 수준이 겨우 먹고 살만한 정도에 그치는 것
ü Booth가  말한 겨우 먹고 살만한 수준이 세계 최초의 빈곤선(poverty  line)
ü 극빈층은 불규칙한 노동,  질병,  많은 부양자녀 등으로 인해 빈민보다 더 가난한
경우
l 시봄라운트리(Seebhom  Rowntree,  1901)는 찰스부스의 뒤를 이어 빈곤조사를 실시함
§ 시봄라운트리 :  찰스부스의 빈곤선 개념을 발전시켜 빈곤을 1차 빈곤(Primary 
Poverty)과 2차 빈곤(Secondary  Poverty)으로 구분함
ü 1차 빈곤
v 가족의 소득이 생물학적 효율성을 유지하기에도 부족한 수준,  즉 네 가지
기초생필품(음식,  연료,  거처,  피복 등)을 구입할 능력도 안 되는 수준을 뜻함
ü 2차 빈곤
v 네 가지 기초생필품을 구입할 능력은 있지만,  소득의 일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함
v 다른 용도로 사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나쁘게 쓴다는 뜻이 아니라 소득을
잘못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함
v 물론 그 용도가 도박이나 음주도 있었지만,  주거 이전,  노조 조합비,  통근비, 
경조비 등 불가피한 경우도 포함됨
ü 최저생계비를 측정하기 위해 지방 정부청의 식품목록에 입각하여 식품 소매가격을
조사함
ü 또한 임대료,  가재도구(피복과 연료 등)의 가격,  가족의 크기와 자녀의 연령도
조사함
2) 상대빈곤
(1) 상대빈곤이란
메모 :
168


사회복지정책론
l 한 사회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에 비교하여 빈곤을 규정하는 것을 말함
l 타운젠드(Townsend)  :  상대빈곤은 일상식품을 획득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하며,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는 관례적인 생활조건과 편의시설을 갖기에 필요한 자원의 결여를 말함
(2) 상대빈곤의 특징
l 절대빈곤과 상대빈곤의 기준의 차이
§ 절대빈곤 :  소득과 소비(또는 영양)에 기준을 두고 있음
§ 상대빈곤 :  소득 대신 자원을,  소비 대신 생활양식에 준거하고 있음
l 빈곤의 기준이 상대적이어야 한다는 이유
§ 빈민의 욕구는 시기별 ·  지역별 ·  가족 크기별 ·  계층별로 다양함
§ 빈곤의 영양기준이라는 것이 빈곤현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므로,  빈곤을 아예
불평등이라는 맥락에서 고찰하여 다양한 기준에 입각한 상대적 박탈의 개념으로
파악함
§ 객관적 박탈은 다양하고 객관화된 지표로 박탈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을 말함
ü 예)  빈곤을 규정하는 기준을 ‘자원과 생활양식’으로 함
v 자원부문 :  현금소득,  사업자본,  현물의 사회서비스 급여,  사적인 현물소득
등이 포함됨
v 생활양식 :  표준적인 생활관습 및 사회활동과,  지역별,  계급별,  인종별, 
종교별,  직업별 관습 및 생활양식의 차이에 관한 지표(휴일,  친우와의 교류, 
레크리에이션,  음식의 질,  표준주거시설(부엌,  온수,  수세식 화장실,  욕실,  가스
또는 전기 조리기 등))의 소유 유무 등이 포함됨
l 타운젠드가 제시한 12가지 박탈조건
① 지난 1년 동안 일주일 간의 휴가가 있었는지
② 지난 4주 동안 친구를 집에 초대한 적이 있었는지(성인)
③ 지난 4주 동안 친구를 외식에 초대한 적이 있었는지(성인)
④ 지난 4주 동안 같이 논 친구가 있었는지(15세 미만 아동)
⑤ 생일파티를 했는지(아동)
⑥ 지난 2주 동안 예술을 관람한 적이 있었는지
⑦ 일주일에 4일간 신선한 고기를 섭취했었는지
⑧ 지난 2주 동안 하루 이상 요리된 음식을 섭취했었는지
⑨ 일주일 동안 요리된 아침식사를 했는지
⑩ 냉장고가 있는지
⑪ 가족과의 일요 모임을 가졌는지
⑫ 가정 내 표준 편의시설(전술한 대로 부엌,  온수,  수세식 화장실,  욕실,  가스 또는
전기 조리기 등을 의미)이 설치되어 있는지의 유무
나. 빈곤의 측정방식
­ 빈곤을 가리기 위해서는 어떤 기준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흔히 빈곤선이라 함
메모 :
169


사회복지정책론
­ 각  국은 빈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장제도의 운용을 위해 빈곤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해왔음
l 대표적인 몇 가지를 꼽으면,  오샨스키 척도,  예산기준방식,  여론ㆍ합의방식,  가계지출방식
등이 있음
1) 오샨스키 척도(The  Orshansky  Scale) 
­ 오샨스키 척도란
l 최저생계비 개념에 입각하여 빈곤을 측정하는 방법임
l 1960년대 초 미국 사회보장청 경제학자로 일한 몰리오샨스키(  Molly  Orshansky)가 
개발하였음
­ 오샨스키 척도의 특징
l 먼저 영양학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최저한의 비용,  즉 객관적인 식품비(이론적
식품비)를 계산한 다음 가구의 실질적인 생활비 분석을 통해 엥겔계수를 구한 뒤, 
엥겔계수를 이론적 식품비에 적용하여 전체 생계비를 계산해냄
l 모든 항목의 생계비를 조사하지 않고,  엥겔계수로 생계비를 추정한다는 점에서 반물량
방식이라고도 함
l 공식적인 빈곤선을 개발 ·  발전시킨 극소수 나라 중 하나인 미국은 영양학적 기준과
소득기준을 절충한 오샨스키 척도를 1963년부터 빈곤선 기준으로 채택함
l 장점과 단점
§ 장점 :  명확하고,  계산하기 쉬우며,  수정하기도 쉬움
§ 단점 :  빈곤의 측정방법이 너무 단순하여 빈민이 경험하는 다양한 생활상의 압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
2) 예산기준방식(Budget  Standards) 
­ 예산기준방식이란
l 빈민의 소비지출 마켓 바스켓을 구성한 다음 이를 합산하여 빈곤선을 정하는 방법을 말함
l 비지출 마켓 바스켓이란 소비지출에 대한 가계기준인데 다시 말해서,  식료품,  의료,  교통, 
주택,  난방 등 표준적인 소비에 대한 지출임
l 오샨스키방식이 식품의 마켓 바스켓이라면,  예산기준방식은 전체 생필품의 마켓 바스켓임
­ 예산기준방식의 특징
l 라운트리의 신체적 효율성에 입각한 최저생계비 개념에서 나왔음
l 빈민의 전체 소비지출을 감안한다는 점에서 이를 전물량방식이라고도 함
l 예산기준방식의 문제점 :  사회가 수용할 만한 생계비 마켓 바스켓을 발전시키고 비용을
산출하는데 사회구성원의 합의를 도출하기가 상당히 어려움
§ 예)  식품비,  의료비,  주거비 등은 문제가 없지만 사회활동에 필요한 교통비,  여가활동비, 
문화비,  경조사비 등을 생계비 마켓 바스켓에 포함시키는데 대해 사회구성원이 선뜻
동의하기는 어려움
메모 :
170


사회복지정책론
3) 여론 ·  합의방식(Public  Opinion  And  Social  Consensus  measures) 
­ 여론 ·  합의방식이란
l 빈곤을 정의하고 빈곤의 측정과 빈곤선을 정하는 일을 전문가가 아닌 사회 전체의 견해인
여론에 따라 정하는 방식임
§ 예)  여론조사를 통해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소득이 있어야
하는가?”(빈민의 소득에 대한 합의),  또는 “표준생계를 위해서 꼭 필요한 생필품 항목은
무엇인가?”(생필품 항목에 대한 합의)를 물어 빈곤선을 계산해내는 방식임
l 여론 ·  합의방식의 장점과 단점
§ 장점
ü 자의적이고 독단적인 전문가 집단의 판단을 배제하고,  일반 사람들이 빈곤의 기준을
결정하게 만드는 것임
§ 단점
ü 빈곤수준에 대한 일반인의 생각이라는 게 그들의 주관적 경험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빈곤 실태를 얼마나 사실적으로 반영하는지 알 수가 없음
ü 표준생계에 포함시킬 항목이 어느 정도 정확하게 생활양식을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빈곤 관념의 객관성에 대해 전문가들이
의문을 제기할 때 적절한 해답을 구할 수가 없음
4) 가계지출방식(Household  Expenditure  Measures) 
­ 가계지출방식이란
l 상대빈곤의 개념에 입각하여 빈곤선을 정하는 방법임
l 전체 인구의 가계지출 평균치에 의거하여 빈곤선을 정함
l 가계지출에 관한 자세하고도 신뢰할 만한 자료가 있어야 하며,  자료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만 가능함
­ 가계지출방식과 영국
l 영국은 1988년부터 이런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
l 매년 가계지출조사를 실시하여 평균가계소득의 40%  이하를 빈곤선으로 정하고
사회보장의 최저급여수준을 정하고 있음
­ 가계지출방식의 문제점
l 가계지출조사 대상에 모든 가구가 포함되는 게 아니고 수입도 정확하게 조사된다고 보기
어려움
§ 노숙자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며,  비현금 수입,  조세감면,  국가제공 급여(보건의료, 
교육)  등 가족의 복지에 기여하는 각종 수입은 조사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임
다. 공공부조정책의 개념
1) 공공부조의 개념
­ 보편적 성격의 사회보험과는 달리 절대빈곤층이나 노인,  아동,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생계능력이 없는 사람들을 우선으로 하는 잔여적 복지의 성격을 가진 제도임
메모 :
171

구분
공공부조
사회보험
목적
사후적 대응
사전적 대응
이념
선택주의
보편주의
원리
무차별주의(동일급여 제공)
비례원리(비례급여 제공)
기원
절대왕정시대에 부랑자를 통제하기
위한 빈민법
노동자들의 상호부조조직이었던
공제조합
대상
소수의 빈곤층
국민 전체
자격요건
자산조사
기여금의 제공,  가입기간 등
재원
일반조세
가입자의 보험료
급여수준
최저생계비를 매개로 하여 책정한
최소한의 수준
최저생계비,  최저임금수준 등을
고려한 적정선
수급권의 성격
권리성이 약함
권리성이 강함
공통점
시민들의 최저생계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장제도,  법정 이전소득


사회복지정책론
­ 공공부조의 급여수준 :  최저생계수준을 목표로 함
­ 급여의 유형 :  현금급여,  의료부조,  사회서비스(가족문제에 대한 카운슬링,  직업 알선,  주거
지원,  지역사회보호,  가정봉사 등)  등
­ 공공부조의 재원 :  전액 정부의 일반조세를 사용함
­ 공공부조가 빈민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공공부조의 적용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정한 소득 및 재산의 기준을 충족시켜야 하며,  생계능력이 없음을 입증하기 위해 수급자의
재산이나 소득이 일반적으로 최저생계수준,  즉 절대적 빈곤선 이하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자산조사를 실시함
­ 공공부조가 최초로 시작된 유럽에서는 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이 제정되고,  구빈정책을
바탕으로 국가가 공적인 차원에서 조세를 재원으로 하는 공공부조제도를 실시함
­ 사회보장제도의 하나로서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하에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임
­ 강제규범이고 행위규범이자 조직규범이며 사회규범이라고 할 수 있음
­ 공공부조정책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정책,  의료급여정책,  재해구호정책,  의사상자 예우에 관한
정책,  보장시설정책 등이 있음
2)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비교
라. 공공부조정책의 원리와 원칙
1) 공공부조정책의 원리
① 생존권보장의 원리
l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지며,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와 환경보전을 위하여 국가가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을 말함
② 국가책임의 원리
l 생활유지의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말하며 우리나라 사회보장기본법에서도 그 책임을
메모 :
172


사회복지정책론
규정하고 있음
③ 최저생활보장의 원리
l 수급자에게 지급하는 수급품은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임
l 여기에서 최저한의 생활이란 생존수준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정도를 말함
④ 무차별평등의 원리
l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며,  인종 ·  종교 ·  성별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 · 
경제적 ·  사회적 ·  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 차별대우 없이 평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음을 말함
⑤ 보충성의 원리
l 수급자에 대한 급여는 수급자가 자신의 생활유지 및 향상을 위하여 소득,  재산,  근로능력
등 을 활용하여 최대한 노력하는 것을 전제로 보충 ·  발전시켜야 한다는 원리를 말함
⑥ 자립조장의 원리
l 급여를 받는 국민이 갖고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끌어내어 육성함으로써 수급자 혼자의
힘으로 사회생활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원리를 말함
2) 공공부조정책의 원칙
① 신청보장의 원칙
l 수급자와 그 친족 및 관계인은 관할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수급의 권리를 신청할 수
있음을 의미함
l 관련 사회복지공무원은 급여가 필요한 사람이 누락되지 않도록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직권으로 신청할 수 있다는 원칙을 말함
② 필요즉응의 원칙
l 수급의 권리는 필요 시 즉시 이루어져야 하며,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신청이 있을 경우
지체 없이 조사를 실시하고,  급여실시의 여부와 급여의 내용을 결정하여 신청인에게
알려야 한다는 원칙을 말함
③ 세대단위의 원칙
l 수급자에 대한 수급품은 세대를 단위로 실시하여야 한다는 것을 말함
§ 그러나 가구원에게 개별적인 급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개인을 단위로 실시할 수 있음
④ 금전보장의 원칙
l 수급자에게 생계급여를 지급할 경우 금전을 지급하는 것을 말함
§ 그러나 금전지급을 할 수 없거나 적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품을 직접 지급할 수 있음
⑤ 주거보장의 원칙
l 수급자에게 생계급여를 실시할 경우 주거에서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말함
§ 그러나 주거가 없거나 있어도 그곳에서 급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때와 특별히
수급자가 희망하는 경우에는 사회복지시설이나 타인의 가정에 위탁할 수 있음
⑥ 타법우선보장의 원칙
메모 :
173

사회보험
수입과 지출 총액은 비교적 예측이 용이함
공공부조
빈민의 수와 생계비 수준에 따라 지출 규모가 결정되는 재정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음

사회보험
앞으로 예상되는 욕구(Presumed  Need)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자산조사가
필요 없음
공공부조
수급자의 현재 드러난 욕구(Demonstrated  Need)에 기초해 있기 때문에
그 수급자가 빈민임을 증명해야 급여를 받을 수 있으므로 자산조사가
불가피함

사회보험
­ 임금에 부과되는 보험료(Earmarked  Taxes)로 재정을 충당함
­ 사회보험의 수급자는 보험료를 부담함으로써 재정을 스스로 조달함
공공부조
­ 정부의 일반세입(General  Revenues)에서 충당함
­ 공공부조 수급자는 재정에 직접적인 기여가 없음

사회보험
­ 수가 매우 많음
공공부조
­ 수가 적음

사회보험
­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기여금 납부가 수급 자격의 조건이므로
낙인이 없음
공공부조
­ 수급 자격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빈민임을 사회적으로 증명해야
하기 때문에 낙인을 피할 수 없음


사회복지정책론
l 부양 의무자의 부양과 기타,  다른 법령에 의한 보호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급여에
우선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말함
마. 공공부조와 사회보험개념의 관계
1) 레이다(Rejda)의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의 차이점
­ 재정 예측성
­ 자산조사
­ 재정충당방식
­ 대상자 수
­ 낙인
2) 베버리지(Beveridge,  1942)의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관계에 대한 견해
­ 국가는 자산조사를 거쳐 욕구가 있는 사람을 직접 부조해야 하는 책임이 있음
­ 국민의 일부는 신체적 장애 때문에 보험료를 부담할 능력이 전혀 없고,  일부는 사회보험
그물망을 통과해 떨어지기도 함
­ 사회보험은 자산조사도 없고,  급여기간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수급자에게 수급 자격의
획득에 필요한 어떤 조건을 정해 놓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l 예)  노령퇴직연금의 경우 충분한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부한 실적이 있어야 함
­ 어떤 조건을 정해놓은 경우에는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사람이 생기는데,  이 경우
메모 :
174

구분
공공부조
사회보험
기원
빈민법
노동자 공제조합
목적
빈곤의 완화
빈곤의 예방과 경제적 비보장의 경감
재정 예측성
곤란
용이
자산조사
반드시 필요함
불필요함
재정충당
정부 일반세입
가입자의 보험료
대상자 수
소수
다수
낙인
발생
미발생
사회보장에서의 위치
사회보험의 보완장치
사회보장의 핵심


사회복지정책론
공공부조가 반드시 필요함
­ 공공부조는 전체 사회보장 계획의 필수적인 보완장치(An  Essential  Subsidiary  Method)임
3)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점
메모 :
175


13주차 2차시
공공부조정책 (2)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24. 공공부조정책 (2)
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정책의 개념
1) 사회문제로서 빈곤문제
­ 자본주의 체제와 산업화가 진척됨에 따라 빈곤문제는 개인의 책임이 아닌 사회문제임
­ 빈곤문제에 대응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거의 모든 국가가 시행하고 있음
­ ‘국민적 최저선(National  Minimum)’을 설정하여 ‘최저생계비’라는 계량적 방법으로 보장하고
있음
2) 빈곤대책으로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빈곤을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공식적 대책으로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운용과 실시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음
l 1961년 :  1961년에 제정된 생활 보호법에는 생존권이 기본적 권리로 인식되지 않았음
l 2000년 :  2000년에 제정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는 수급권을 권리로 인식하고
적용대상을 수급권자로 규정하고 있음
l 2014년 12월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개편으로 맞춤형 급여가 도입
l 2015년 7월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등의 선정기준을 급여별로 다르게 한 맞춤형
급여를 시행
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목적
­ 생활이 어려운 자에게 필요한 급여를 행하여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의 조성과 자조 ·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있음
4) 입법배경과 연혁
­ 1961
l 사회경제적 변화에 적절히 대응 하지 못하는 구법인 생활보호법(1961년 제정)을 기반으로
개정되었음
­ 1997년
l IMF로 인한 실직자,  퇴직자,  빈곤계층 및 모든 국민의 기본적인 생활을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됨
l 새로운 형태의 정책적 제도적 장치가 요구되었음
­ 1999년 9월 7일
l 생산적 복지지향의 종합적 빈곤대책으로써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공포됨
§ 생산적 복지는 근로능력자에 대해서는 빈곤에서 스스로 탈출하도록 체계적
자활지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적 복지를 구현하려는 정책을 말함
­ 2000년 10월 1일
l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실시됨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주요 연혁>
메모 :
177

제 ·  개정(시행) 
주요 내용
1999.  9.  7
(2000.  10.  1)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2005.  12.  23
(2007.  1.  1)
­ 부양의무자의 범위를 1촌의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로 축소하여
수급대상 확대
­ 급여지급의 기본단위인 개별가구의 개념을 명확히 규정함
­ 국내체류 외국인 중 한국인과 결혼하여 한국국적의 미성년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자도 수급권자가 되도록 하여 외국인 배우자와 그
자녀의 복지를 증진함
2006.  12.  28
(2007.  1.  1)
­ 차상위계층에 부분급여지급
­ 중앙자활센터 설치
2011.  6.  7 
(2011.  9.  8)
­ 수급자의 자활촉진을 위해 가구 특성을 감안한 고용지원 서비스 연계, 
아동 ·  노인 등에 대한 서비스 지원,  자산 형성을 위한 재정적 지원 및
교육 실시
­ 급여를 수급권자 명의의 지정된 계좌에 입금하도록 하고 그 계좌의
예금은 압류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수급자의 기초생활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수급권 보호의 실효성을 확보
2012.  2.  1 
(2012.  2.  1)
­ 자활공동체 조항을 자활기업으로 개정
­ 중앙자활센터 사업에 수급자와 차상위자에 대한 취 ·  창업을 위한
자활촉진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추가
2014.  12.  30
(2015.  7.  1)
­ 맞춤형 급여체계 개편,  최저보장수준과 기준 중위소득을 정의
­ 급여의 종류별로 급여의 기준을 정함
­ 급여체계 개편에 따라 수급권자의 범위는 급여의 종류별로 별도로
규정하게 되므로 현행 수급권자의 범위는 삭제하되,  수급권자의 범위에
대한 특례규정은 별도로 규정
­ 교육급여는 2015년 7월 맞춤형 급여로 변경되면서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었음
2018.  10.  1
­ 주거급여는 2018년 10월에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었음


사회복지정책론
5)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생활보호법의 차이
­ 최저생활보장이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정되었음
­ 법 적용 대상자로서 수급권자(대상자)에 대한 인구학적 제한 철폐
l 생활보호법은 근로능력과 연령을 중시했으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근로능력과 연령에
상관없이 최저생계비에 미달하는 모든 가구를 수급권자로 인정
§ 그러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대상자가 되기 위해서는 소득이 일정 기준 금액
이하이고,  부양능력이 있는 부양의무자가 없는 사람이어야 함
­ 급여의 합리화
l 생활보호법은 생활보호대상자로 선정이 되면 소득의 크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급여를
제공했으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최저생계비와 가구소득의 차액으로 급여를 결정하는
메모 :
178


사회복지정책론
방식(보충급여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대상자의 개별적 욕구를 제대로 반영하고,  이로써 모든
수급자의 최저생계비가 보장됨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l 근로능력자에 대해서 스스로 일자리를 찾거나,  직업훈련,  공공근로,  자활공동체,  자원봉사
등에 참가를 조건부로 생계비를 지급하고,  근로의욕과 근로능력,  가구여건 등을 감안하여
자활지원 프로그램 및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근로능력자의 자립이 강화되었음
­ 공공부조행정의 체계화
l 각종 전산자료와 가정방문 등을 통해 자산조사의 정확도를 높였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확충함
l 이에 따라 재산을 숨긴 채 생활보호대상자로 선정되었던 사람이 색출 ·  탈락되었으며, 
부양의무자를 찾아내어 대상자에서 탈락시키거나 비용의 일부를 부담토록 했음
­ 생활보호법에 없었던 주거급여와 긴급급여 신설함
나.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의 주요내용
1) 목적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필요한 급여를 실시하여 이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함 (제1조)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은 공공부조법으로서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생존권 보장을 위한
구체적이고 최후의 보루로서 기능하는 법임
l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의 ‘최저생활을 보장’
l 자활을 도움
2) 급여의 기본 원칙
­ 공공책임의 원칙
l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일은 국가 책무이므로,  기초생활보장법의 실시를 국가 혹은
공공책임으로 간주함
l 기초생활보장법의 ‘보장기관’  :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급여를 행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를 말함(동법 제2조 제4호) 
­ 최저생활보장의 원칙
l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하여 실시되는 급여는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함(동법 제 4조 제 1항)
l 구체적인 급여의 기준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수급자의 연령,  가구규모,  거주 지역,  기타생활
여건 등을 고려하여 급여의 종류별로 정함(동법 제4조 2항)
­ 보충성의 원리
l 자신의 생활의 유지,  향상을 위하여 그 소득,  재산 근로능력 등을 활용하여 최대한
노력하는 것을 전제로 이를 보충 발전시키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함(동법 제3조 제1항)
­ 타법우선의 원칙
l 부양의무자의 부양과 기타 다른 법령에 의한 보호는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급여에
메모 :
179

급여의
기본수준
­ 생존권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함
­ 최저생계비를 급여의 기본선으로 설정함
­ 최저생계비 계측은 3년마다 조사를 실시함
급여의 개별화
­ 수급자가 처한 상황을 개별화하여 적절한 내용과 수준으로 제공되어야 함
­ 기초생활보장법 상 수급권자의 신청주의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권신청을 인정함(동법 제21조 제2항)
세대단위의
급여
­ 급여제공은 원칙적으로 세대를 단위로 행하되,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개인을 단위로 행할 수 있도록 규정함(동법 제 4조 2항)
신청주의 급여
­ 수급권자와 관계자가 신청하여 제공 받는 신청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음


사회복지정책론
우선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 함(동법 제3조 제2항)
­ 자립조장원리
l 자활과 자립은 동법의 급여원칙에 중요한 요소이며 동법에서 자립조장을 직접목적으로
하는 것은 자활급여이지만,  다른 급여 역시 자립을 조장하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함
­ 무차별 평등원리
l 급여를 받을 자격이 평등하게 있다는 원리지만,  급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급여수준은
차등적으로 제공됨
§ 다만 기초생활보호법에 의해 보장 수준은 최저생활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무차별
평등원리가 결과적으로 실현되기도 함
3) 급여의 기준
­ 보건복지부장관은 수급권자,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등의 규모 ·  생활실태파악,  최저생계비
계측 등을 위하여 3년마다 실태조사를 실시 ·  공표하여야 함(제20조 2  제4항)
4) 수급권자와 수급자
­ 개념과 범위
l 수급권자 :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자를 말하며, 
수급자란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급여를 받는 자임
l 수급의 범위 :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또는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자로 소득인정 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자임
l 매년 8월 1일까지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  의결을 거쳐 다음 연도의 급여의 종류별
수급자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공표하여야 함(제6조)
­ 수급자의 권리와 의무
l 권리 :  급여 변경의 금지,  압류 금지,  양도금지
l 의무 :  구성원이나 지역,  재산상황에 변동이 있을 때에 신고의 의무가 있음
5) 차상위계층
­ 차상위계층(제2조 제10호)  :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계층으로서 소득인정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하인 계층
메모 :
180

생계 급여
수급자에게 의복,  음식물 및 연료비와 기타 일상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금품을 지급하여 그 생계를 유지하게 하는 것
주거 급여
신설된 급여로 수급자에게 주거안정에 필요한 임차료,  유지수선비 기타
대통령령에 정하는 수급품을 지급하는 것
교육 급여
수급자에게 입학금,  수업료,  학용품 비 기타 수급품을 지원하는 것
해산 급여
수급자에게 조산 분만 전과 분만 후의 필요한 조치와 보호를 행하는 것
장제 급여
수급자가 사망한 경우 실제로 장제를 행하는 자에게 사체의 검안 운반 화장
또는 매장 기타 장제조치 등 장제에 필요한 비용을 지급하는 것


사회복지정책론
l 시행령에서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의 50  이하인 사람을 차상위계층으로
정의하고 있음(시행령 제3조)
­ 참고)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7조 제3항 :  차상위계층에 속하는 사람에 대한 급여는
보장기관이 차상위자의 가구별 생활여건을 고려하여 예산의 범위에서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  장제급여,  자활급여 등 해산급여를 제외한 급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음
6) 기준중위소득
­ 통계청이 공표하는 통계자료의 가구 경상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을
합산한 소득)의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규모에 따른 소득수준의 차이 등을
반영함
­ 가구규모별로 산정함
7) 보장기관
­ 보장기관
l 국가 또는 지방자치 단체임
­ 보장시설
l 급여를 행하는 사회복지 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시설 중 대통령이 정하는 시설을 말함
l 장애인시설,  양로시설 및 노인의료복지시설,  아동복지시설 및 종합시설,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및 정신요양시설,  부랑인보호 시설을 포함한 다양한 시회복지시설을 의미함
­ 생활보장위원회
l 생활보장사업의 기획,  조사,  실시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  의결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특별시 ,광역시,  도(시 ·  도)및 시,  군,  구(자치구)에 각각  생활보장위원회를 둠
§ 중앙생활보장위원회 :  보건복지부에 두는 생활보장위원회를 말함
§ 시 ·  도 및 시 ·  군 생활보장위원회 :  시 ·  도지사 또는 시,  군,  구청장이 사회보장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있는 자,  공익을 대표하는 자,  관계행정기관 소속의 공무원 중에서
위촉 ·  지명하며 위원장은 당해 시 ·  도지사 또는 시 ·  군 구청장으로 함
8) 급여의 종류
­ 급여의 내용에 따라 생계,  주거,  의료,  교육,  해산,  장제,  자활급여 등 7가지로 구분함
메모 :
181

자활 급여
수급자의 자활을 조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급여를 행하는 것
­ 예)  자활에 필요한 금품의 지급 또는 대여,  자활에 필요한 기능 습득의
지원,  취업 알선 등 정보의 제공,  공공근로 등 자활을 위한 근로 기회의
제공,  자활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의 대여 등

생계급여
­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의 30%  이하일 때 선정됨
의료급여
­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의 40%이하일 때 선정됨
­ 의료급여 수급자는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기에 싼값으로 의료를 이용할 수 있음
주거급여
­ 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의 45%  이하일 때 선정되어,  지역별 기준임대료를
받을 수 있음
­ 지역은 1급지에서 4급지(서울,  경기 ‧ 인천,  광역시 ‧ 세종시,  그 외 지역)로
분류됨
교육급여
­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일 때 선정되어,  고등학교 입학금/수업료와
초/중학 의 부교재비,  중/고등학교의 학용품비 등을 받을 수 있음


사회복지정책론
­ 2015년 7월부터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종합선물세트형 복지에서 맞춤형 급여로 바뀜
l 선정기준을 가구당 최저생계비에서 ‘중위소득’으로 바꿈
§ 최저생계비
ü 국민이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으로 매년
보건복지부장관이 계측한 금액을 말함
§ 중위소득
ü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소득 규모 순으로 50번째 사람의 소득
ü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급여별 선정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심의·의결을 고쳐 고시하는 중위소득
§ 맞춤형 급여제도가 도입되면서 부양의무자 기준도 완화되었음
§ 기존에는 수급자의 자녀가 사망하면 자녀의 배우자가 부양의무자가 되었는데,  개정
제도에서는 수급자의 1촌 직계혈족이 사망했을 경우 그의 배우자는 부양의무자에서
제외되었음
ü 예)  남편이 사망했을 경우 며느리가 부양의무자가 되었으나,  개정 제도에서는
제외됨
l 가구의 소득 인정액을 산정할 때 당사자 뿐만 아니라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도 고려됨
§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을 적용하지만,  교육급여는 해당
가구의 소득 인정액 만으로 판정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했음
§ 급여의 종류별로 중위소득의 기준이 달라짐
§ 맞춤형으로 바뀌면서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30%이하인 가구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 급여 등을 모두 받을 수 있음
§ 중위소득의 30%는 더 되고 40%이하인 가구는 생계급여를 못 받지만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를 받을 수 있음
§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41%를 넘고 45%이하인 가구는 주거급여와 교육급여를
함께 받고,  50%이하인 경우에는 최소한 교육급여만을 받을 수 있음
메모 :
182


사회복지정책론
9) 급여의 실시
① 급여의 신청
l 수급권자와 그 친족,  기타 관계인은 관할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신청함
l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은 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급여를 필요로 하는 자가 누락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관할지역 내에 거주하는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직권으로
신청할 수 있음
② 신청에 의한 조사
l 시장,  군수,  구청장은 급여신청이 있는 경우,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으로 하여금 급여의
결정 및 실시 등에 필요한 사항을 조사하게 하거나 수급권자에게 보장기관이 지정하는
의료기관에서 검진을 받게 함
③ 확인조사 및 차상위 계층에 대한 조사
l 시장,  군수,  구청장은 수급자 및 수급자에 대한 급여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매년
1회 이상 조사를 실시해야 함
④ 급여의 실시
l 수급자에 대한 급여는 신청일부터 개시하며,  다만 매년 1월에 최저생계비의 변경으로
인하여 새로이 수급자로 결정되는 자는 1월 1일을 급여 개시일로 함
10) 부양의무자 기준
­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의 부양의무는 부모와 자식 간에 동일함
­ 자녀는 부모를 부양할 의무가 있고,  결혼한 자식이 어렵게 살면 부모도 자식을 부양해야 할
의무가 있음
­ 부양의무는 1촌간에만 하도록 되어 있고 2촌(형제,  자매)은 함께 사는 경우에는 한가구로
보나 따로 살면 부양의무가 없음
­ 부양의무자가 부양을 포기하겠다거나 관계가 단절되었다거나 하여 부양을 거부하거나
기피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인정받기 어려움
­ 현재의 법이 바뀌지 않는 한 부모와 자식간에는 영원히 부양의무를 다해야 함
11) 권리구제
­ 그 결정의 통지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시장 군수 구청장의 처분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보장기관을 거쳐 시 도지사에게 각각  서면 또는 구두로 이의를 신청할 수 있음
­ 여기에 부복할 경우에는 처분의 통지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시ㆍ도지사를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서면 또는 구두로 이의 신청을 다시 할 수 있음
­ 보건복지부장관은 이의신청서를 송부 받고 30일 이내에 필요한 심사를 하고 이의신청을
각하하거나 당해 처분의 변경 또는 취소의 재결을 하여 신청인과 당해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각각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함
­ 2회 이의 신청을 거친 다음,  행정소송을 할 수도 있음
메모 :
183


사회복지정책론
다. 자활사업
1) 자활사업이란?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에게 취업 또는 자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립 ·  자활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둔 ‘근로조건부 복지’  프로그램임
­ 단순히 수급자에게 근로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수급자 가구의 생애 전반에 걸친 장기적
자활지원계획을 수립한 다음 거기에 적합한 자활급여를 제공함
­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가 생계급여를 지급받기 위해서는 근로활동을 하도록 만듦으로써
근로유인을 제고하고,  나아가 빈곤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유도함
­ 원칙적으로 자활사업대상자는 조건부 수급자,  자활급여특례자,  일반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포함함
l 조건부 수급자
§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 중 자활사업 참여를 조건으로 생계급여를 지급받는 수급자
§ 조건으로 제시된 자활사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생계급여가 중지됨
l 자활급여특례자
§ 수급자가 자활근로,  자활공동체(이상 시 ·  군 ·  구 주관),  자활취업촉진사업(노동부
주관)  등 자활사업에 참가하여 발생한 소득으로 소득 인정액이 선정기준을 초과한 자
l 일반 수급자
§ 조건부 수급자가 아닌 수급자
l 차상위계층
§ 소득 인정액이 중간소득 50%  이하인 자
­ 조건부 수급자 특성에 맞추어 자활 프로그램이 제공됨
l 근로능력 양호자 및 근로능력 미약자 등 근로능력 정도에 따라 적절한 사업(취업알선, 
직업훈련,  직업적응훈련,  자활취업촉진사업,  자활공동체,  자활근로 등)을 결정함
메모 :
184


14주차 1차시
공공부조정책과 의료급여정책 및
보장시설정책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25. 공공부조정책과 의료급여정책 및 보장시설정책
가. 의료급여정책
1) 의료급여정책의 개념
­ 공공부조제도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의료급여제도는 의료보험과 더불어 국민의 건강한 생활을
보장하고 저소득층의 의료복지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의료보호 또는
의료부조라고도 함
­ 의료급여제도는 소득이 없거나 일정한 소득이 있어도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그들이 자력으로 의료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  국가나 사회에 공헌을 하였거나 희생한
유공자와 그 가족에 대하여 응분의 예우 차원에서,  그리고 중요 무형문화재의 보호, 
북한이탈주민의 보호를 목적으로 본인의 부담 없이 국가의 재정으로 의료혜택을 제공받는
제도를 말함
­ 의료급여의 정책
l 질병 ·  부상 ·  출산 등에 대한 의료급여
l 장애인에 대한 특례(보장구에 대한 급여)
l 건강검진
2) 의료급여정책의 연혁
­ 1977
l 의료보호제도로 시작됨
­ 2001년
l ‘의료보호법’으로 전문을 개정하고,  제도명을 ‘의료급여제도’로 개정함
­ 2001년 5월
l 진료비 지급업무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이관되었고,  의료급여 자격증 발급이 공단에서
지방자치단체로 환원되었음
­ 2015년 7월
l 선정기준을 가구당 최저생계비에서 ‘중위소득’으로 개정됨
l 의료급여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40%일 때 선정되어,  필수 의료서비스를 낮은
본인부담률로 받을 수 있음
§ 근로능력이 없는 1종 가구 :  가구는 외래 진료에 1~2,000원을 내고 입원은 무료임
§ 근로능력이 있는 2종 가구 :  외래와 입원 진료비의 10~15%를 냄
l 의료급여 수급자는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기에 싼값으로 의료를 이용할 수 있음
3) 의료급여정책의 내용
(1) 의료급여의 종류
l 질병 ·  부상 ·  출산 등에 대한 의료급여
§ 진찰 ·  검사,  약제 ·  치료재료의 지급,  처치 ·  수술과 그 밖의 치료,  예방 ·  재활, 
입원,  간호,  이송,  기타 의료목적의 달성을 위한 조치 등
l 장애인에 대한 특례
메모 :
186

유형
비용
선정기준
1종
무료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근로무능력세대) 
이재민,  의사상자,  국가유공자,  무형문화재보유자,  북한이탈주민, 
광주민주화운동보상자,  입양아동(18세 미만),  행려환자,  고시된 희귀난치성
질환자,  그 외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자,  보장시설에서 급여를 받고 있는

2종
일부
부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근로능력세대)  중 1종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희귀난치성질환 외의 질환으로 6월 이상 치료를 받고 있거나 6월 이상
치료를 요하는 자 또는 소득인정액 이하에 해당하는 18세 미만 아동,  그 외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자


사회복지정책론
§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수급권자에게 보장구에 대한 급여를 제공함
l 건강검진
§ 수급권자에 대하여 질병의 조기발견과 그에 따른 의료급여를 위한 건강검진을 실시함
§ 건강 검진의 대상,  횟수,  절차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함
(2) 적용  대상
l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l 재해구호법에 의한 수급자
l 의사상자예우에 관한 법에 의한 의상자 및 의상자의 유족
l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및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고
있는 자와 그 가족
l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지정된 무형문화재의 보유자 및 가족
l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고 있는 자와 그 가족
l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보상금 등을 받는 자와 그 가족
l 그 밖에 생활유지의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자로써 대통령이 정한 자
(3) 수급권자의 구분
(4) 의료보장증의 부여
l 수급권자는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의료급여증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의료급여증에 갈음하는 의료급여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음
l 의료보장증의 유효기간 :  매년 1월 1일 ~  12월 31일
(5) 보장기관
l 의료급여는 보호대상자의 거주지를 관할하는 시장,  군수,  구청장이 시행함
(6) 의료급여기금 =  기금
l 의료급여법에 의한 급여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시 ·  도에 의료급여기금을 설치함
메모 :
187


사회복지정책론
(7) 의료급여기관
l 의료급여기관의 구분 :  의료급여를 수급권자에게 제공하는 의료기관으로서, 
제1차에서부터 제3차 의료급여기관으로 구분함
① 1차 의료기관
§ 통원서비스를 주로 제공함
§ 의료법에 의하여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개설신고를 한 의료기관
§ 지역보건법에 의한 보건소 및 보건지소
§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보건진료소
§ 약사법에 따라 등록된 약국
② 2차 의료기관
§ 입원서비스를 주로 제공함
§ 의료법에 의하여 시 ·  도지사가 개설허가를 한 의료기관
③ 3차 의료기관
§ 특수진료전담을 주로 제공함
§ 2차 의료급여기관 중에서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지정한 기관
l 의료급여기관의 진료범위
① 1차 의료급여기관의 진료범위
§ 간단한 외과적 처지와 통원치료가 가능한 질병의 진료
§ 장기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으로서 입원할 필요가 없는 질병의 진료
§ 환자가 다른 의료급여기관으로 이송을 하여서는 환자의 생명에 위험이 초래되는
경우의 입원진료
§ 제1차 의료진료를 받는 것이 수급권자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정한 입원진료
§ 지역보건법에 의한 보건의료원에서의 입원진료
§ 제 2,  3차 의료기관으로부터 회송 받은 환자의 진료
② 2차 의료급여기관의 진료범위
§ 2차 의료급여기관의 진료범위
§ 응급환자인 경우
§ 분만의 경우
§ 혈우병 환자가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경우
§ 제2,  3차 의료급여기관에서 근무하는 수급권자가 그 근무하는 기관에서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경우
§ 장애인이 장애인보장구를 지급받고자 하는 경우
§ 다른 의료급여기관으로부터 제2차 의료급여기관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제3차 의료급여기관으로부터 회송된 환자의 진료
④ 3차 의료급여기관의 진료범위
메모 :
188


사회복지정책론
§ 제3조 제1항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의 진료로써 2차 의료급여기관의 예와 동일함
§ 제2차 의료급여기관으로부터 의뢰 받은 환자의 진료
§ 당해 의료급여기관에 입원하였던 환자로서 퇴원 후 경과의 관찰이 필요한 환자의
진료
l 의료급여의 단계별 실시
§ 의료급여법상 수급권자가 의료급여를 받고자 할 때는 제1차 의료급여기관에
의료급여를 신청해야 함
§ 다만,  다음에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차 의료급여기관 또는 제3차
의료급여기관에 의료급여를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음
ü 응급환자,  분만,  혈우병환자,  제2,3차 의료급여기관에 근무하는 수급권자가
근무하는 의료급여기관에서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경우
ü 장애인이 장애인 보장구를 지급받고자 하는 경우
ü 제1차 의료급여기관 또는 제2차 의료급여기관은 진찰 결과 또는 진료 중에 제
2차 의료급여기관 또는 제3차 의료급여기관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진료담당의사의 진료의견이 기재된 의료급여 의뢰서를 수급권자 또는 그
보호자에게 발급해야 함
(8) 의료급여 기간 =  상한 일수 =  365
l 다만,  간질을 포함한 정신 및 행동장애,  뇌성마비 및 마비성증후군 등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질환을 가진 자에 대하여는 상한일수를 30일
추가한 일수를 상한일수로 함
l 상한일수를 초과하여 의료급여를 받고자 하는 자는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미리 시장 ·  군수 ·  구청장의 승인을 얻고,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시 ·  군 ·  구
의료급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함
나. 보장시설정책
1) 보장시설의 개념
­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급여를 행하는 사회복지시설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말함
­ 보장시설은 수급자가 주거가 없거나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에서 생활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보장기관이 해당 수급자에 대한 급여지급업무를 사회복지시설에 위탁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서는 보건복지부장관과 시 ·  도지사는 수급자를 국가 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보장시설에 입소하게 하거나 다른 보장시설에 위탁하여 급여를
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
­ 보장시설에 위탁하여 급여를 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경우로는 수급자가 주거가 없거나, 


주거가 있어도 그


곳에서 급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때,  수급자가 희망하는 경우 등


2) 보장시설의 범위


메모 :


189


근거법명
보장시설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생활시설
노인복지법
양로시설 및 노인요양시설 중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복지주택은 제외)  및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전문병원은 제외)
아동복지법
아동복지시설 및 종합시설
정신보건법
정신질환자사회복귀시설 및 정신요양시설
사회복지사업법
부랑인 보호를 위한 시설
한부모가족지원법
모자보호시설 ·  모자자립시설 ·  부자보호시설 ·  부자자립시설 · 
미혼모자립시설 및 일시보호시설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반지원시설 및 청소년지원시설
성폭력범죄의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성폭력피해자 보호시설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시설 중 결핵 및 한센병 요양시설


사회복지정책론
3) 보장시설의 설치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시설을 설치 ·  운영할 수 있음
l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가 시설을 설치 ·  운영하고자 하는 때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시 ·  군 ·  구청장에게 신고해야 함
­ 보장시설 위탁 :  시설은 필요한 경우 5년 이내의 위탁계약기간을 정하여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에게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음
4) 보장시설장의 의무
­ 보장시설의 장은 보장기관으로부터 수급자에 대한 급여를 위탁받은 때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부하지 않아야 함
­ 위탁받은 수급자에게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최저기준 이상의 급여를 행하여야 하며, 
위탁받은 수급자에게 급여를 행함에 있어서 성별 ·  신앙 또는 사회적 신분 등을 이유로
차별대우를 하지 않아야 함
­ 위탁받은 수급자에게 급여를 행함에 있어서 수급자의 자유로운 생활을 보장하여야 하고
위탁받은 수급자에게 종교상의 행위를 강제하지 않아야 함
5) 보장시설수급자에 대한 급여
① 생계급여
l 지급대상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기준에 의한 절차를 거쳐 수급자로 책정된 입소자에 한해
생계급여 지급함
§ 일시보호시설 등의 생활자로서 수급자 선정절차 진행 중에 긴급급여가 필요하다고
메모 :
190


사회복지정책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긴급급여의 실시가 가능함
l 지급내용
§ 급여내용은 주식비,  부식비,  연료비,  피복비 등을 현금으로 지급함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인건비 등 운영비를 지원받고 있거나,  장기요양보험법의
장기요양급여 비용을 지급받고 있는 시설의 경우에는 시설생계비를 지급함
② 주거급여 :  보장시설에서 주거를 제공받고 있으므로 제외함
③ 교육급여 :  보장시설에서 거주하는 수급자의 학비 신청,  입학금 및 수업료는 시장 ·  군수 · 
구청장이 학교로 직접 지급함
④ 장제급여,  해산급여 :  일반적인 기초생활수급권자와 동일한 급여를 받음
6) 보장시설 운영에 관한 후원금의 투명성
­ 사회복지사업법 제45조,  후원금의 관리 :  사회복지법인의 대표이사와 시설의 장은 아무런
대가없이 무상으로 받은 금품 기타의 자산(이하 “후원금”이라 한다)의 수입 ·  지출 내용과
관리에 명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함
­ 후원금에 관한 영수증교부,  수입 및 사용결과 보고 등 기타 후원금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함
7) 시설의 평가
­ 사회복지사업법 제43조의 2,  시설의 평가 :  보건복지부장관 및 시 ·  도지사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설을 3년마다 정기적으로 1회 이상 시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
­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 ·  도지사는 필요한 경우 평가결과를 시설의 감독,  지원,  비용의
보조에 반영하거나,  시설거주자를 다른 시설로 보내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음
­ 시설의 평가기준 :  입소정원의 적정성,  종사자의 전문성,  시설의 환경,  시설거주자에 대한
서비스의 만족도,  기타 시설의 운영개선에 필요한 사항
8) 지도 ·  감독
­ 보건복지부가족부장관 또는 시 ·  도지사 또는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사회복지사업을
운영하는 자에 대한 소관업무에 관하여 지도 ·  감독을 함
메모 :
191


14주차 2차시
사회복지서비스정책


사회복지정책론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사회복지정책론
26. 사회복지서비스정책
가. 사회복지서비스의 개념
1) 사회복지서비스란
­ 좁은 의미의 사회복지 즉,  사회복지사업을 말함
­ 사회복지서비스의 종류
l 보호 ·  선도 또는 복지에 관한 사업과 사회복지상담
l 부랑인 및 노숙인 보호
l 직업보도
l 무료숙박
l 지역사회복지,  의료복지,  재가복지
l 사회복지관 운영
l 정신 질환자 및 한센 병력자 사회복귀에 관한 사업 등
­ 대상
l 요보호 대상자와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폭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함
l 사회생활상 곤란한 자,  장애인,  아동,  노인 등의 요보호 대상자와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폭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보호,  육성,  지도,  재활,  치료 등의 서비스 시책이라고 할
수 있음
­ 각종 사회복지서비스 분야는 헌법 34조에 규정된 생존권을 구체화한 것임
­ 물질적인 급여보단 비물질적,  심리사회적 서비스를 주된 내용으로 함
­ 사회복지서비스 급여
l 특성상 개인적 욕구의 특수성에 따라 개별적 처우를 제공해야 함
l 서비스가 대부분이어서 전문 인력의 전문적 자질과 실천적 윤리의식이 성공적인 법의
실현에 결정적인 요소임
나. 영유아 보육서비스정책
1) 영유아 보육서비스정책의 개념
­ 영유아 보육이란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 ·  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보육시설 및 가정양육 지원에 관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말함
­ 영유아 보육의 목적 :  영유아의 심신을 보호하고 건전하게 교육하여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보호자의 경제적 ·  사회적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족복지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영유아 보육법 1조)
­ 영유아 보육법은 1991년에 제정되었음
2) 영유아 보육서비스정책의 사회적 배경
­ 산업화에 따른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및 가족구조의 핵가족화에 의한 영유아 보육수요가
급증함
­ 양육에 대한 관심 증대,  질 높은 보육서비스 욕구와 조기교육 과열현상 등으로 양육부담이
증대함
메모 :
193

국 ·  공립보육시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  운영하는 보육시설
법인보육시설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이 설치 ·  운영하는 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사업주가 사업장의 근로자를 위하여 설치 ·  운영하는 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개인이 가정이나 그에 준하는 곳에 설치 ·  운영하는 보육시설
부모협동보육시설
보호자들이 조합을 결성하여 설치 ·  운영하는 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
기타 위의 규정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보육시설

법률 명
용 어
기 준
민법
미성년
20세 미만
형법
미성년
14세 미만
아동복지법
아동
18세 미만
영유아보육법
영유아
6세 미만 취학 전 아동


사회복지정책론
­ 가족해체 등으로 조손가정,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보육취약계층이 증가함
­ 여성취업에 따라 일 ·  가정양립이 보편화되면서 자녀양육을 국가와 사회가 지원해야 한다는
국민의식이 증대됨
­ 보육아동에 대한 투자가 비용대비 효과성이 가장 높다는 인식이 확산됨
3) 영유아 보육정책의 주요내용
­ 영유아 보육정책의 과제
l 공보육 기반조성 :  중장기 수급계획에 따른 보육시설 확충,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 
기본보조금제도를 도입해야 함
l 부모의 육아부담 경감 :  보육비용 지원 확대,  영아보육 활성화,  취업 부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함
l 다양한 보육서비스제공 :  보육시설 이용시간 다양화,  장애아 보육 활성화,  농어촌
보육서비스 확대,  방과 후 보육프로그램을 활성화 해야 함
l 아동 중심의 보육환경 조성 :  보육시설 환경 개선,  건강 ·  영양 ·  안전관리 강화,  보육인력
전문성 제고 및 처우개선,  표준보육과정 개발 ·  보급을 해야 함
l 보육서비스 관리체계 강화 :  보육시설 평가인증시스템 구축,  보육행정시스템 구축, 
지방자치단체 보육정책 활성화,  지역사회 참여 및 시설운영 투명성 제고,  보육사업
추진관련 인프라을 해야 함
­ 보육시설의 종류
다. 아동 ·  청소년복지정책
1) 아동 ·  청소년복지정책의 개념
­ 아동 ·  청소년이란 신체적 ·  정신적으로 완전한 성인이 되지 않은 사람으로 혼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없어 성인의 도움이 필요한 발달단계에 있는 대상을 말함
­ 아동 ·  청소년복지정책이란 아동 ·  청소년이 출생에서부터 양육과 성장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필요한 보호와 다양하고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정책을 말함
2) 아동 ·  청소년의 연령 구분
메모 :
194

청소년기본법
청소년
9~24세
청소년보호법
청소년
19세 미만
소년법
소년
20세 미만
근로기준법
연소자
18세 미만
한부모가족지원법
아동
18세 미만 (취학 시 20세 미만)

유형
내 용




아동양육시설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입소시켜 보호,  양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일시보호시설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고 향후의 양육
대책수립 및 보호조치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불량행위를 하거나 불량행위를 할 우려가 있는 아동으로서 보호자가
없거나 친권자나 후견인이 입소를 신청한 아동 또는 가정법원, 
지방법원 청소년부에서 보호 ·  위탁된 아동을 입소시켜 그들을
선도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직업훈련시설
아동복지시설에 입소되어 있는 만 15세 이상의 아동과 생활이
어려운 가정의 아동에 대하여 자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자립지원시설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한 자에게 취업준비기간 또는 취업 후 일정
기간 보호함으로써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단기보호시설
일반가정에서 아동을 보호하기 곤란한 일시적 사정이 있는 경우
단기간으로 보호를 하며 가정의 복지에 필요한 지원조치를 제공하는
시설
공동생활가정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보호를
제공하는 시설




아동상담소
아동과 그 가족의 문제에 관한 상담,  치료,  예방 및 연구
아동전용시설
어린이 공원,  어린이 놀이터,  아동회관,  체육,  연극,  영화 등
아동에게 건전한 놀이,  오락,  기타 각종 편의를 제공하여 심신의
건강유지와 복지증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관
지역사회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심신의 건강유지와 복지증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지역아동센터
지역사회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사회복지정책론
3) 아동 ·  청소년복지정책의 주요내용
(1) 아동복지시설의 종류
(2) 아동복지서비스의 대상
l 선별적으로는 요보호아동과 그 가족이 되고,  보편적으로는 일반아동과 그 부모 및
가정임
메모 :
195

시설 종류
기능
청소년수련관
다양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청소년문화의

간단한 청소년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정보 ·  문화
·  예술 중심의 수련시설
청소년수련원
숙박기능을 갖춘 생활관과 다양한 청소년수련거리를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청소년야영장
야영에 적합한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청소년수련거리 또는 야영편의를
제공하는 수련시설
유스호스텔
청소년의 숙박 및 체류에 적합한 시설 ·  설비와 부대 ·  편익시설을 갖추고, 
숙식편의 제공,  여행청소년의 활동지원(청소년수련활동 지원은 제11조에
따라 허가된 시설 ·  설비의 범위에 한정)을 기능으로 하는 시설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의 직업체험,  문화예술,  과학정보,  환경 등 특정 목적의 활동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


사회복지정책론
§ 요보호아동 :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 등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아동을 말함
§ 일반아동 :  아동이 속한 가정에서 제공되는 보호 이외에 외부로부터 다른 특별한
보호나 도움을 받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아동을 말함
(3) 청소년복지서비스의 대상
l 기본적으로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협의적으로는 요보호청소년, 
광의적으로는 요보호청소년뿐만 아니라,  일반청소년까지도 포함함
§ 요보호청소년 :  소득,  교육,  노동,  보건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욕구와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등과 같은 2차적인 욕구들이 결핍되어 있을 때 청소년을 말함
§ 일반청소년 :  가정 이외의 특별한 보호를 받지 않고도 생활할 수 있는 청소년을
말하며 그 부모도 포함됨
4) 청소년복지시설의 종류(여성가족부)
라. 장애인복지정책
1) 장애인복지정책의 개념
­ 장애인복지정책이란 국가와 사회적 차원에서 장애인에 대해 인간으로서의 존엄한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적으로 동등한 대우를 받도록 하는 제반활동을 말함
­ 장애인복지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보장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함
­ 장애인복지정책의 목적 :  장애발생 예방과 장애인의 의료 ·  교육 ·  직업재활 ·  생활환경개선
등에 관한 사업을 정하여 장애인복지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며,  장애인의 자립생활 ·  보호
및 수당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장애인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등 장애인의
메모 :
196

종류
기능
거주시설
거주공간을 활용하여 일반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일정 기간 동안
거주 ·  요양 ·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사회생활을 지원하는
시설
직업
재활시설
일반 작업환경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지역사회
재활시설
장애인을 전문적으로 상담 ·  치료 ·  훈련하거나 장애인의 일상생활,  여가활동 및
사회참여활동 등을 지원하는 시설
의료
재활시설
장애인을 입원 또는 통원하게 하여 상담,  진단 및 판정,  치료 등
의료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재활원,  그 외 의료재활병원 등
생산품
판매시설
주 기능으로 장애인생산품의 판매활동 및 유통을 대행하고,  부 기능으로
장애인생산품에 관한 상담 ·  홍보 ·  판로개척 및 정보제공 등을 실시하는 시설

거주시설
지역사회재활시설
직업재활시설
생산품판매시설
의료재활시설
1.  장애유형별
생활시설
2.  중증장애인
요양시설
3.  장애영유아시설
4.  장애인단기거주
시설
5.  장애인공동생활
가정
1.  복지관
2.  주간보호시설
3.  체육관
4.  심부름센터
5.  수화통역센터
6.  점자도서관
7.  점자도서 및
녹음서
출판시설
1.  보호작업장
2.  근로사업장
생산품판매시설 
의료재활시설
국립재활원,  그 외
의료재활병원 등


사회복지정책론
복지와 사회활동 참여증진을 통하여 사회통합에 이바지하는 데에 있음
­ 장애인복지의 기본이념 :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통하여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있음
2) 장애인복지정책의 주요내용
­ 장애인복지정책으로 사회보험에서는 장애연금 및 장애급여제도를 마련하고, 
공공부조제도에서는 국민 기초생활보장법상의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장애수당,  장애아동
부양수당 등이 있음
­ 장애인 의료보장정책,  장애인고용정책,  장애인복지시설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음
3) 장애인 복지시설
­ 장애인 복지시설이란 장애인의 성 ·  연령 및 장애의 유형과 정도를 고려하여 보호 ·  의료 · 
생활지도 ·  재활훈련과 자립생활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기능 회복과
사회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설립된 시설임
­ 장애인 복지시설의 기능
­ 장애인 복지시설의 종류(장애인복지법 제58조)
l 특수학교는 교육기본법에 따라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장애인의 교육을 위하여
일반학교와 분리된 형태로 설립된 교육시설로 교육대상자의 수준에 따라 유치원,  초등학교, 
메모 :
197

상담사업
여성복지 상담사업으로 여성복지상담소를 운영하고 있음
시설보호사업
모자보호시설,  모자 일시 보호시설,  모자자립시설,  미혼모시설 등을
운영하고 있음
성 매매 예방,  보호사업
성 매매 범죄와 인권유린이 없는 안전한 사회를 정책목표로 성
산업 축소,  피해여성 인권보호를 추진하고 있음
가정폭력   ·  성 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서비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여성의 전화
1366  등이 있음


사회복지정책론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의 과정을 교육함
마. 여성복지정책
1) 여성복지정책의 개념
­ 여성복지란 일상생활의 장애가 제거되어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충족한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보장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하는 제도와 활동을 총칭함
­ 여성복지는 미혼모,  윤락여성,  가출여성,  근로여성,  저소득여성 및 학대 받는 여성들과 같은
요보호여성은 물론 모든 여성들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 및 민간이 행하는
모든 조직적인 활동임
­ 여성복지정책의 목적 :  「대한민국 헌법」의 남녀평등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등에 관 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남녀평등을 촉진하고 여성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 있음
­ 여성복지정책의 기본이념 :  개인의 존엄을 기초로 한 남녀평등의 촉진,  모성의 보호,  성
차별적 의식의 해소 및 여성의 능력개발을 통하여 건강한 가정을 이루고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남녀가 공동으로 참여하며 책임을 분담할 수 있도록 함
2) 여성복지정책의 주요내용
­ 요보호여성을 위한 정책
­ 일반여성을 위한 정책 :  이용시설로서 여성복지상담소,  여성회관 등이 있음
­ 근로여성을 위한 고용관련 복지정책 :  남녀고용평등법 및 영유아 보육사업 등이 있음
바. 노인복지정책
1) 노인복지정책의 개념
­ 노인복지란 노인이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면서 자기가 속한 가족과 사회에 적응하고 통합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함
­ 노인은 후손의 양육과 국가 및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여 온 자로서 존경 받으며 건전하고
안정된 생활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음
­ 목적 :  노인의 질환을 사전예방 또는 조기발견하며 질환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 ·  요양으로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노후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노인의
보건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메모 :
198

노인
의료보장정책
­ 국민건강보험제도와 노인건강지원사업이 있음
l 노인복지법에 의거한 노인건강지원사업 :  노인건강진단,  노인 안검진 및
개안수술,  치매상담센터 등
l 의료법에 의거한 노인건강지원사업 :  공립 치매요양 병원,  노인건강증진
허브 보건소 등
소득보장정책
­ 국민연금,  기초노령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따른 공공부조, 
경로우대제도 및 각종 감면제도 등이 있음
주거보장정책
­ 저소득 무주택 노인 대상의 영구임대아파트와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등
고용보장정책
­ 고령자고용촉진법에 의한 고용보장정책과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노인취업지원센터,  노인 일자리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음

생활시설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
이용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노인휴양소
재가노인복지시설
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서비스
재가지원서비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정책론
2) 노인복지정책의 주요내용
(1) 노인복지정책의 분류
(2) 노인복지시설 종류
l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시설 :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l 노인복지시설은 생활시설과 이용시설로 분류할 수 있음
§ 생활시설 :  요보호 대상자를 24시간 일정한 장소에서 보호하는 시설
§ 이용시설 :  재가 또는 시설생활자가 통원하는 방법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
§ 노인보호전문기관 :  노인의 학대를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시설
메모 :
199

본 자료집은 휴넷평생교육원에서 배부하였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24 2023.02.26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80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51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학점따면 몇년까지 유지되나요? 82 2023.02.26
3417 메가 시험 진짜 쉽네 63 2023.02.26
3416 컴공 할려는데 김영 더 싸게 하는법 있냐? file 60 2023.02.26
3415 휴넷 경영통계 중간안봤는데 77 2023.02.26
3414 오늘부터 갤 두시간씩 정독한다 56 2023.02.26
3413 한울 , 위더스 수업참여도 46 2023.02.26
3412 학린인데 닥치고 뭘해야 합니까 47 2023.02.26
3411 정보보안학사 딸건데 얘네 전공이나 일반 넣을수있음? file 45 2023.02.26
3410 소방안전관리자 1급 은근히 빡세다 66 2023.02.26
3409 21년도 1학기 대면라이브수업 문의요 38 2023.02.26
3408 대면수업 관련 문의 33 2023.02.26
3407 청지사 면접 특강 관련 64 2023.02.26
3406 대면수업(보육교사론) 관련 문의 37 2023.02.26
3405 언제쯤 연락이 올까요? 66 2023.02.26
3404 2014 학사편입 축소에 대한 진실 .jpg 52 2023.02.26
3403 학점은행제 웬만하면 하지 말고, 대행기관은 절대 하지 마라.. 118 2023.02.26
3402 한성대 디자인 캠퍼스 진실은? 102 2023.02.26
3401 죄송한데 궁금해서그런데요 한사평교안이요 66 2023.02.26
3400 샘들..이것좀 알려주세요.. 63 2023.02.26
3399 왜 사이트에는 제적증명서를 떼오라는거죠? 35 2023.02.26
3398 학점은행제를 했으면 차라리 학사편입을 해라. 대학원은 존망의 길... 33 2023.02.26
3397 진심 전문학교 후회된다 52 2023.02.26
3396 대학 학점 개념좀 알려주세요~ 41 2023.02.26
3395 간호독학사 공부하면 차별이 없어질까요? 53 2023.02.26
3394 대행 사기 경험담(실제 경험담) 86 2023.02.26
3393 국사 개념 정리 해줌->끝 //시대 순으로 포탈 열어준다. 35 2023.02.26
3392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독립~현대화까지(마지막) 37 2023.02.26
3391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시대 말까지 33 2023.02.26
3390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초기~ 68 2023.02.26
3389 충고 하는데 전산원 , 전문학교 이런데 다니는거 아니다.... 47 2023.02.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