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1 추천 수 0 댓글 0

 경제학개론 기본교재

 

 

. 저축, 투자와 금융제도 168

. 국민계정에서의 저축과 투자 170

. 대부자금 시장 170

18. 장기 실물경제 (2) 175

. 재무이론의 기초 176

. 실업과 실업률 180

  • 물가의 장기적 관계 (1) 189

. 화폐의 의미와 종류 190

. 통화제도 192

  • 물가의 장기적 관계 (2) 196

.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197

  • 거시경제학 (1) 205

. 폐쇄경제와 개방경제 206

. 재화와 자본의 국제적 이동 206

. 국제 거래의 가격 210

. 환율결정에 관한 이론 211

  • 거시경제학 (2) 213

. 대부자금시장과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 214

. 개방경제의 균형 215

. 개방 거시경제의 정책효과 216

23. 단기 경기변동 (1) 219

. 경기변동 220

. 단기 경기변동에 관한 설명 223

. 총수요곡선 224

. 총공급곡선 226

. 경기변동의 두 가지 원인 230

24. 단기 경기변동 (2) 233

. 통화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234

.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236

. 경제안정화 정책 238

  • 실업의 상충관계 240

.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241

  • 쟁점들 250

. 거시경제에 관한 여섯 가지 쟁점

 

 

- 합리적 의사결정

• 한계적 변화의 편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결정을 내림.

• 의사결정에 따른 한계편익이 한계비용보다 클 때만 그 대안을 선택.

- 최적 생산량, 최적 고용량, 최적 소비량 등에 관한 의사결정에 이 원리가 적용됨.

 

(1)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 경제적 유인(incentive) : 처벌 가능성이나 보상과 같이 사람들이 행동하도록 만드는 그 무엇을 의미.

 

- 경제적 유인은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

•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자는 소비를 줄이고, 판매자는 생산을 늘린다.

• 정책은 비용편익구조를 바꾸어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킴.

 

1) 기본원리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기본원리)

(1)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이 각자 가장 잘하는 일에 특화 할 수 있도록 만듦.

- 그 결과 분업과 교환이 발생하고, 거래를 통해 보다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를 낮은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음.

 

(1)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 시장경제(market economy)

• 수많은 기업과 가계가 시장에서 상호작용하면서 분산된 의사결정에 의해 자원배분이 이루어지는 경제 체제.

- 아담 스미스(Adam Smith)의 ‘보이지 않는 손’

• 가계와 기업들이 시장에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마치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리는 것처럼 행동하여 바람직한 시장성과를 나타내는 것.

• 사람은 자신들의 사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활동하지만, 시장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 이들의 사적 이익 추구 행위가 사회 전체의 경제적 후생을 증진하도록 유도한다고 말하고 있음.

• Adam Smith(1723.6.5 ~ 1790.7.17)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국 정치경제학자, 윤리철학자. 1776년 《 국부론 》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발표. 고전경제학의 대표적

 

메모 :

 

 

5

 경제학개론

 

 

이론가,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림.

 

1) 기본원리 (나라경제의 작동에 관한 기본원리)

(1)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정부가 법을 잘 집행하고, 시장경제의 기본이 되는 제도와 기구를 잘 유지할 때,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필요한 것임.

- 재산권(market economy) : 한 개인이 희소자원을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

• 시장경제의 작동을 위해 재산권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

- 시장실패 (market failure)

• 시장이 자유롭게 기능하도록 맡겨두어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 시장이 실패할 경우 적절한 정부정책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시장실패의 이유

• 외부효과(externality)

· 한 사람의 행위가 제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 환경오염은 외부효과의 고전적 사례, 어떤 물건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오염시켜 공장 부근의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었을 경우 시장의 자율 기능은 이에 대한 비용을 반영하지 못함.

 

• 시장지배력(market power)

· 한 사람, 혹은 소수의 사람이나 기업이 시장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

· 예를 들어. 어떤 마을에 우물이 하나 밖에 없다고 하면, 이 우물 소유자는 물 공급에 대한 시장지배력이 있음. 개인의 이기심이 작동하면, 경쟁에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이지 않는 손이 이를 통제할 수 없음.

 

• 외부효과나 시장지배력이 있는 경우 적절한 정부정책을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음.

•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는 말이 실제로 정부가 시장성과를 늘 개선한다는 뜻은 아님.

• 경제학 공부의 목적 중 하나가 효율성이나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들이 과연 정당화 될 수 있는지 올바르게 판단하려는데 있음.

 

(1)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능력에 달려 있다.

- 국가 간 생활수준의 격차나 오랜 시간에 걸친 한 나라의 한 나라의 생활수준의 차이는 생산성의 차이에 기인함.

- 생산성(productivity)

• 단위 노동 투입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

 

메모 :

 

 

6

 경제학개론

 

 

• 생산성이 높을수록 생활수준이 높음.

 

(1) 통화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한다.

- 인플레이션(inflation)

• 물가수준의 전반적인 상승 현상.

•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통화량의 증가임.

• 통화량이 증가하면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함.

 

(1)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

- 통화량의 증가는 장기적으로 물가 수준의 상승을 가져오지만, 통화량 증가의 단기 효과는 좀 더 복잡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음.

- 오늘날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 단기적으로 상충관계(trade-off)가 있다는 데 동의하고 있음.

• 경제 내에 통화량이 증가하면 전반적으로 지출이 증가하고, 그 결과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 수요가 증가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업들이 가격을 인상하지만, 그 도중에 기업들은 생산량을 늘리게 되므로 고용이 늘어남.

• 고용이 증가하면 실업률이 낮아짐.

- 경기순환(Business Cycle)

• 고용, 생산량과 같은 경제활동의 지표가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 현상

 

- The Phillips Curve(필립스 곡선)

• 필립스 곡선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사이의 단기 상충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경기순환(business cycle)을 분석하는데 매우 중요함.

• 1958년 영국의 저명한 경제학술지인 [Economica]에 발표.

• 필립스의 연구 결과는 케인즈 학파의 재량적인 재정금융정책 사용의 당위성을 제공함.

• 당시 케인즈 학파는 필립스 곡선이 안정적이라면, 적절한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을 사용하여 후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조합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음.

 

 

필립스(A.W. Phillips) 1914.11.18~1975.3.4 뉴질랜드 출신의 영국 경제학자.

 

 

 

 

1)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정리

-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정리

•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①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②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③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④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 사람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⑤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⑥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⑦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 나라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⑧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능력에 달려 있다.

⑨ 통화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한다.

⑩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

 

 

 

 

1. 경제학의 연구 방법

 가. 경제학의 연구 방법

1)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 경제학 공부를 통해 여러분은...

• 여러 대안을 비교하는 사고능력을 키우게 됨.

• 개인적 선택과 사회적 선택의 비용을 평가할 수 있게 됨.

• 경제현상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

 

1) 과학으로서의 경제학

- 경제학적 사고방식이란...

• 객관적이고 분석적으로 생각하는 과정임.

• 과학적 분석기법을 사용함.

• 현실의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단순화된 분석모형을 사용함.

• 이론을 만들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론을 검증함.

 

1) 과학적 분석기법

 

 

- 현실의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단순화된 모형을 사용함.

• 단순화를 하기 위해 가정이 필요함.

• 분석하고자 하는 현상에 따라 그때 그 때 다른 가정을 적용함.

 

- 이론을 만들고 자료와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검증함.

 

1) 단순화된 현실(모형)

- 경제학에서는 현실에 대한 이해를 위해 현실을 단순화 함.

 

 

 

 

 나. 경제학의 기초적인 이론 모형 2가지(경제순환모형, 생산가능곡선)

1) 경제순환모형

- 국민경제에서 생산단위인 기업과 소비단위인 가계가 어떻게 상호 순환 관계로 연결되어 있는지 보여 주는 매우 단순화된 모형.

- 두 경제 주체

• 기업 :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생산요소(토지, 노동, 자본)을 고용

• 가계 :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 생산요소를 소유

- 두 시장

• 재화와 서비스 시장 : 기업은 판매, 가계는 구입

• 생산요소 시장 : 가계는 판매, 기업은 구입

 

 

1) 생산가능곡선

- 생산가능곡선(production possibilities frontier)은 한 나라 경제가 주어진 생산요소와 생산기술을 사용하여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

 

 

 

 

- 생산가능곡선을 이용하여 다음 개념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효율성

• Trade-offs

• 기회비용 :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

• 경제성장 : 생산가능곡선의 이동

 

 

<생산가능 곡선> <생산가능 곡선의 이동>

 

 다.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1) 미시경제학

- Microeconomics

- 각 개별 경제주체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분야

 

- 가계와 기업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며, 시장에서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

• 소비자행동, 기업행동

• 산업구조, 시장의 효율성

• 시장기능의 이해

 

 

 

 

1) 거시경제학

- Macroeconomics

- 나라경제 전반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분야

- 인플레이션, 실업, 경제성장 등과 같이 나라 경제 전체에 관한 경제 현상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

• 국민소득

• 실업, 경제성장

• 국제수지

• 물가

 

 

 

 라. 규범적 분석과 실증적 분석

1) 실증적 분석

- 경제현상이 왜 발생하고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진실을 규명하고자 노력하는 과학으로서의 분석

- 실증적 주장 (Positive Statements)

• 현실이 어떠하다는 주장

• 설명적

• ex) 최저임금의 상승은 비숙련 근로자의 실업률을 증가시킬 것임

 

1) 규범적 분석

- 현실 경제가 어떻게 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규명하는 가치판단

- 규범적 주장(Normative Statements)

• 현실이 어떻게 되어야 한다는 주장

• 규범적

• 어느 경제학자가 규범적인 주장을 한다면, 그는 정책조언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

• ex) 담배에 세금을 부과해서 담배로 인한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해야 함

 

 

 

 

 

 마. 경제학자의 역할과 견해차이

1) 경제학자의 역할

- 과학자로서의 역할 : 경제현상을 설명

- 정책전문가로서의 역할 : 경제현실을 바꾸려고 노력

 

1) 경제학자들끼리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는 이유

- 경제현상에 대한 과학적 분석결과의 차이

- 경제현실을 보는 가치판단의 차이

•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경제정책이 어떤 목표를 달성해야 할지에 대한 의견이 다를 수 있음.

 

 

 

 

1. 상호의존관계와 교역의 이득

 가. 상호의존관계와 교역

1) 상호의존관계와 교역의 이득

- 글로벌 경제에서 사람들의 물질적 욕구를 어떻게 더 잘 충족시킬 수 있을까?

• 각자 잘 하는 일에 전문화(특화)하여 다른 사람들과 경제적 의존관계를 형성하면 분업과 교환을 통해 소비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

 

“여러분이 소비하는 물건들이 어디서 만들어졌는지 생각해 보라.”

 

1) 상호의존관계와 교역의 이득(두 가지 질문과 답)

- 개인과 국가 모두 생산의 전문화와 교환을 통해 희소성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함.

• 왜 상호의존관계가 일반적 현상인가?

⇒ 상호의존관계는 사람들이 전문화해서 교역을 할 때 더 물질적으로 풍요를 누릴 수 있기 때문임.

• 생산의 전문화와 교환관계를 결정하는 변수는 무엇인가?

⇒ 생산과 교환의 패턴은 기회비용의 차이에 의해 결정됨.

 

1) 현대 경제의 예화

- 오직 두 개의 재화(감자와 고기), 두 사람(농부와 목장주인) 만이 존재하는 경제를 가정하자.

• 각자는 무엇을 생산해야 할까?

• 이들은 무엇을 서로 교환해야 할까?

 

 나. 생산가능곡선

1) 생산가능곡선

- 농부와 목장주인이 서로 거래를 하지 않는다면?

• 각자는 자신이 생산한 만큼만 소비할 수 있음.

· 이 경우, 생산가능곡선 = 소비가능곡선

• 

메모 :

교역이 없으면 교역으로부터의 이득도 없음.

 

 

16

 경제학개론

 

 

 

1) 특화와 거래의 이득

- 농부와 목장주인이 각자 더 잘할 수 있는 품목의 생산에 특화 한 다음 생산된 물건을 교환하면 두 사람 모두 전보다 더 잘 살게 된다.

• 농부는 감자만 생산

• 목장주인은 고기만 생산

• 서로 생산물의 일부를 교환

• 두 사람은 전보다 더 많은 양의 감자와 고기를 소비할 수 있게 됨.

 

1) 거래를 통한 소비 기회의 증대(a, b)

 

 

 

 

메모 :

 

 

17

 경제학개론

 

 

1) 생산비의 측정

- 생산비의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 두 가지

• 산출물 1단위(예: 감자 1파운드)를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시간 또는

• 산출물 1단위를 얻기 위해 희생해야 하는 다른 재화의 산출물 단위 : 기회비용

 

 다. 절대우위와 비교우위

 

1) 절대우위(absolute advantage)

- 다른 생산자에 비해 같은 상품을 더 적은 양의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생산할 수 있는 능력

• 목장주인이 고기 생산에 절대우위

☞ 목장주인은 고기 한 단위 생산에 20분이 걸리지만, 농부는 60분이 걸림.

• 목장주인이 감자 생산에 절대우위

☞ 목장주인은 감자 한 단위 생산에 10분이 걸리지만, 농부는 15분이 걸림.

1)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

- 다른 생산자에 비해 같은 상품을 더 적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

• 목장주인이 고기 생산에 비교우위

☞ 목장주인의 고기 1온스의 기회비용은 감자 2온스, 농부는 감자 4온스

• 농부가 감자 생산에 비교우위

☞ 목장주인은 감자 1온스의 기회비용은 고기 ½온스, 농부는 고기 ¼온스

 

 

 

메모 :

 

 

18

 경제학개론

 

 

 라. 기회비용과 비교우위

1) 기회비용

- 무엇을 얻기 위해 포기한 모든 것.

• 각 생산자들이 당면한 두 재화의 맞교환 비율

• 한 재화의 기회비용은 다른 재화 기회비용의 역수

 

- 비교우위는 기회비용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므로

• 두 사람의 기회비용이 우연히 같지 않은 한, 한 사람이 어느 재화에서 비교우위가 있다면 다른 사람은 반드시 다른 재화에서 비교우위가 있음.

 

1) 기회비용과 비교우위(농부와 목장 주인의 예시)

- 각 생산자는 한 재화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해 다른 재화를 몇 단위 포기해야 하나?

- 누가 각 재화의 생산에 비교우위를 지니고 있는가?

• 누가 무엇을 생산해야 하나?

• 각 생산물은 몇 개가 거래될까?

 

- 감자의 기회비용

• 농부: 감자 1온스의 기회비용은 고기 ¼ 온스

• 목장주인: 감자 1온스의 기회비용은 고기 ½ 온스

- 고기의 기회비용

• 농부: 고기 1온스의 기회비용은 감자 4온스

• 목장주인: 고기 1온스의 기회비용은 감자 2온스

- 비교우위

• 농부: 감자생산에 비교우위

• 목장주인: 고기 생산에 비교우위

- 고기와 감자의 기회비용

 

 

1) 비교우위와 교역의 이득

- 비교우위와 교역

• 기회비용의 차이와 비교우위가 전문화와 교역의 배경임.

• 거래 당사자 사이에 기회비용이 다르면 양자 모두 교역을 통해 이득을 볼 수 있음.

- 교역의 이득

• 거래 당사자들은 각자 자기가 상대방에 비하여 비교우위가 있는 재화 생산에

 

메모 :

 

 

19

 경제학개론

 

 

특화해서 생산한 다음 상대방과 거래.

→ 자유거래는 거래 당사자들 모두에게 이득이 됨.

 

1) 비교우위원리의 응용 예시

- “타이거 우즈”가 자기집 잔디를 직접 깎아야 할까?

- 왜 다른 나라와 교역을 해야 할까?

• 어느 나라에나 이해관계가 다른 수많은 국민들이 있다.

• 국제무역은 국가 전체에는 이득이 되더라도 일부 국민들에게는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음.

 

 

 

 

 

 

 경제학개론

 

 

1. 시장의 수요와 공급

 가. 시장의 수요와 공급

1) 수요와 공급

- 경제학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 단어

- 시장 경제는 수요와 공급 기능에 의해 작동

- 미시경제학은 수요, 공급, 시장균형에 관한 이론

 

1) 시장과 경쟁

- 시장(market)

•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사람들의 모임

- 경쟁시장, 또는 완전경쟁시장(competitive market)

• 소비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아서 개별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시장

- 완전경쟁시장

• 동질적 재화

• 소비자와 판매자가 매우 많아서 개별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 가격 수용자(Price Takers)라 함

• 시장가격에서 소비자는 원하는 만큼 살 수 있고, 판매자는 원하는 만큼 팔 수 있음

 

- 독점(monopoly)

• 공급자가 한 명만 있어 이 공급자가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시장

- 과점(oligopoly)

• 소수의 공급자

• 항상 치열한 경쟁을 하는 것은 아님

• 게임과 같은 상호작용을 함

- 독점적 경쟁

• 다수의 공급자

• 각 공급자들이 차별화된 상품을 공급

• 각 공급자들은 자신들의 제품에 대해서는 가격을 결정

 

 나. 수요

1) 수요곡선

- 수요량(quantity demanded)

• 소비자들이 값을 치르고 구입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재화의 양

-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

• 다른 조건이 불변일 때, 어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감소하는 법칙

메모 :

 

 

 

 

 

 

22

 경제학개론

 

 

- 수요표(demand schedule)

• 어떤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 수요곡선(demand curve)

• 어떤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 사례) 캐서린의 수요표와 수요곡선

 

 

 

1) 개별수요와 시장수요

- 시장수요

• 각 가격에서 시장에 있는 모든 수요자의 수요량을 합한 것

- 시장 수요곡선

• 개별 수요곡선을 수평으로 더하여 구함

• 즉 개별 수요곡선의 가로축에 나타난 수요량을 더하는 것

 

- 사례) 시장수요는 개별수요의 수평합

 

 

 

메모 :

 

 

23

 경제학개론

 

 

- 사례) 시장수요는 개별수요의 수평합 그래프

 

 

 

1) 수요곡선의 이동

 

- 수요곡선상의 이동: 해당재화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요량의 변동

- 수요곡선의 이동: 해당 재화의 가격이 아닌 변수의 변동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는 수요곡선 자체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시킴

• 소비자의 소득

• 연관 재화의 가격

• 유행, 취향

• 미래에 대한 기대

• 구입자(수요자)의 수

 

- 사례) 수요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메모 :

 

 

24

 경제학개론

 

 

- 사례) 수요곡선의 이동 (수요 증가, 수요 감소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24 2023.02.26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80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51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학점따면 몇년까지 유지되나요? 82 2023.02.26
3417 메가 시험 진짜 쉽네 63 2023.02.26
3416 컴공 할려는데 김영 더 싸게 하는법 있냐? file 60 2023.02.26
3415 휴넷 경영통계 중간안봤는데 77 2023.02.26
3414 오늘부터 갤 두시간씩 정독한다 56 2023.02.26
3413 한울 , 위더스 수업참여도 46 2023.02.26
3412 학린인데 닥치고 뭘해야 합니까 47 2023.02.26
3411 정보보안학사 딸건데 얘네 전공이나 일반 넣을수있음? file 45 2023.02.26
3410 소방안전관리자 1급 은근히 빡세다 66 2023.02.26
3409 21년도 1학기 대면라이브수업 문의요 38 2023.02.26
3408 대면수업 관련 문의 33 2023.02.26
3407 청지사 면접 특강 관련 64 2023.02.26
3406 대면수업(보육교사론) 관련 문의 37 2023.02.26
3405 언제쯤 연락이 올까요? 66 2023.02.26
3404 2014 학사편입 축소에 대한 진실 .jpg 52 2023.02.26
3403 학점은행제 웬만하면 하지 말고, 대행기관은 절대 하지 마라.. 118 2023.02.26
3402 한성대 디자인 캠퍼스 진실은? 102 2023.02.26
3401 죄송한데 궁금해서그런데요 한사평교안이요 66 2023.02.26
3400 샘들..이것좀 알려주세요.. 63 2023.02.26
3399 왜 사이트에는 제적증명서를 떼오라는거죠? 35 2023.02.26
3398 학점은행제를 했으면 차라리 학사편입을 해라. 대학원은 존망의 길... 33 2023.02.26
3397 진심 전문학교 후회된다 52 2023.02.26
3396 대학 학점 개념좀 알려주세요~ 41 2023.02.26
3395 간호독학사 공부하면 차별이 없어질까요? 53 2023.02.26
3394 대행 사기 경험담(실제 경험담) 86 2023.02.26
3393 국사 개념 정리 해줌->끝 //시대 순으로 포탈 열어준다. 35 2023.02.26
3392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독립~현대화까지(마지막) 37 2023.02.26
3391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시대 말까지 33 2023.02.26
3390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초기~ 68 2023.02.26
3389 충고 하는데 전산원 , 전문학교 이런데 다니는거 아니다.... 47 2023.02.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