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43 추천 수 0 댓글 0

1.1. 제 1차시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념과 특징

 

1.1.1. 【학습목표】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할 수 있다.

 

 

1.1.2. 제 1절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념

 

■ 가족치료는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의 활동임 치료자는 가족구성원들의 문제를 가족이라

는 전체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함. 가족 전체를 만나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한 가족치료임

 

■ 개인을 치료할 때 개인이 가족의 주제를 가지고 있으면 자연스럽게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을 하게 됨.

개인의 변화를 위해서 가족이 필요한 셈임.

대상으로서 치료활동을 하

는 경우에 가족치료는 개인치료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음

 

■ 가족치료는 개인치료의 영역이 될 수 있고 방법으로도 이해될 수 있음. 가족치료는 개인치료

의 영역이 될 수 있고 방법으로도 생각될 수 있음. 개인치료의 방법으로서 가족치료는 개인

의 내면세계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족들을 치료장면에 참여시킴

 

■ 치료에 참여한 가족은 개인의 내면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이해를 하도록 치료자로

부터 교육을 받음.

교육을 받는 방법은 설명을 통해서,

혹은 관찰을 통해서 때로는 내담자와

대화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 교육의 목적은 그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족들

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를 통해서 그 개인을 돕는 일임. 결하도록 돕는 보조자 혹은 협조자로서 역할을 하게 됨

가족은 한 개인이 문제를 해

 

■ 가족상담 및 치료

: 가족원 개인의 부적응과 대인관계 문제,

가족원 간의 갈등과 가족의 역기

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족체계를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직접 개입하는 것

 

■ 가족상담 및 치료는 가족원 간의 관계구조와 상호작용을 변화시켜 대인관계 기술과 적응능력 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인과 가족이 건강하고 기능적인 생활을 하도록 전문적인 도움을 주는 활동임

 

1.1.2.1. 1) 가족상담과 가족치료

 

(1) 상담:

심리학,

교육학 등에서 많이 사용됨

치료: 정신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됨

 

 가장 보편적인 상담에 대한 정의: 전문훈련을 받은 상담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와의

 

지속적인 신뢰적 관계를 기반으로 내담자의 긍정적 변화와 적응, 성장을 돕는 과정

상담자는 내담자를 대상으로 적응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 성장을 촉진하는 조력자 역할 과 환경을 조정하는 조정자 역할을 담당함

 

 치료: 전문훈련을 받은 치료자가 병리증상이나 정신장애 문제를 가진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자의 병리증상과 장애를 완화하고 기능 회복과 성격의 재구조화를 돕는 과정

 

 치료자는 의학적 배경을 갖고 환자의 문제를 진단·분석하고 처방을 하여 지시적이고 주도적    인 역할을 하게 되며 심각한 문제에 개입하는 것

 

(2)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견해:

상담이나 치료의 목표가 동일하고 접근방법도 중복되며 적용되는

이론도 동일하기 때문에 두 용어를 혼용해야 한다는 것임

 

■ 가족상담:

신경정신적 장애진단이 나타나지 않은 문제,

예컨대,

결혼적응,

부부관계,

부모자녀

관계, 고부관계 등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가족생활 관련 문제의 해결을 지원하고 가족원의

관계증진과 기능향상, 성장을 목표로 도움을 주는 방법

 

■ 가족치료:

신경정신장애 환자의 치료 목적을 위해 가족체계의 이론과 기술을 개인,

부부, 가

족에 적용하는 한 가지 전문 서비스로서 증상완화는 물론 성격의 심층적 변화와 관계증진, 가족의 기능향상을 목표로 하는 치료방법

 

(3) 사회복지분야에서의 정의

 

■ 가족치료: 가족상담:

임상실 내에서 치료에 중점을 두는 개별화된 미시적인 접근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실천기술

 

■ 즉, 가족치료는 가족의 정신건강 문제나 심리문제에 한정하여 전문가가 개입하는 것을 의미

하고,

가족상담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치료 외에 전문가들과의 협력,

가족을 위한 훈

련교육 프로그램,

사례관리,

필요 시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연계시키는 지역사회 조직,

클라이언트 옹호 같은 개입기술 등을 포함함

 

(5) 가족상담과 가족치료를 혼용하는 입장

 

 실제 가족갈등과 생활문제가 신경정신장애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임상에서 적용되는

이론과 기법들이 공통적이기 때문에, 개인문제나 가족문제 해결을 위해 하나의 체계로서 가

족에 개입하는 상담 및 치료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정의함

 

 제 2절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특징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특징

 

 가족상담의 특징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의 역기능적 측면을 변화, 제거하기 위해

직접  개입하는  상담적 접근법이라는  점임.  포괄적  가족상담영역  중에서 특히 관계적 측면과

이에 따른 파생적인 면을 중시함. 그리고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가족에게 제기된 다양한 문

제에 개입하는 전문적 치료라는 점임

 

 가족치료는  세포의  자율통제기능을 가족구성원들의 관계에 적용하여 만들어낸 치료의 분야

임. 가족은 세포와 같이 스스로를 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집단임. 한 가족이 하

나의 세포와 같이 스스로 통제하는 기능을 가족 있음. 다른 가족과 관계를 가질 때 가족은

스스로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을 통제하여 적절한 관계를 유지함. 세포의 자율통제기능과 같

 

 

(1)

이 가족의 자율통제기능은 여러 가지 원리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순환의 사고

가족치료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 가족치료의 자율통제기능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가 순환적 사고임(Hoffman,

1981). 물리적 세계의 원리인 선형의 생각은 순환 원리의 하나에 해당됨

 

 순환성의 원리는 구성원들의 관계의 흐름 혹은 맥락을 만들어주는 근거로서 역할을 함 한 구 성원의 행동은 다른 구성원의 행동에 일정한 파장을 미치며 다른 구성원들이 만들어내는 일

 

 

(2)

정한 파장은 원래 행동을 만들어낸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침. 그리고 증폭은 다른 구성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

 

관계와 체계

이러한 파장의 겹침 혹은 충돌

 

■ 가족치료는 관계하는 방식(Green, 1981)에 일차적으로 관심을 갖는 활동임. 어떤 한 집단에

서 감정, 사고 혹은 생각의 흐름은 그 집단 구성원들의 관계하는 양식에 의해서 이루어짐. 가

족의 경우에는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관계하는 양식이 가족 전체의 모양과 형태를 만들어감

 

■ 한 가족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단위로 생각될 수 있는 근거는 그 가족 구성원들 상호간에 관

계하는 방식이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다르다는 생각임. 한 가족 내에서

도 상호작용의 방식에 따라서 또 다른 전체를 구성할 수 있음.

예컨대,

부부관계는 또 다른

하나의 전체로 이해될 수 있음. 가족 내에서 부부의 상호작용 즉 관계하는 양식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관계하는 양식과 구분됨. 부부는 가족 내에서 또 하나의 전체로서 존재함

 

■ 집단 구성원의 상호작용 방식은 일정한 체계를 만들어냄. 가족 구성원은 자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하나의 체계를 만들어냄. 이 체계는 스스로 변화와 통제를 할 수 있는 순환성의 원리

에 의해 움직여지는 살아있는 체계임. 가족은 자체적으로 관계양식을 조절하며 체계를 변화

 

시키는 기제(Cybernetic control)를 갖고 있음. 싸이버네틱 통제는 스스로 변화하는 기제로서

일상생활의 여러 장면에서도 이미 사용되고 있음. 가족구성원은 자체적으로 전체 구성원의

행동과 관계하는 양식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일종의 싸이버네틱 통제의 기능을 갖고 있음

예컨대, 한 가족원이 지나치게 많은 말을 하려고 하면 다른 구성원의 눈치를 보게 되고 다른

가족 구성원의 반응이 좋지 않는 경우에는 스스로 자신의 말 많은 행동을 조절하게 됨. 이

경우 한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가족원이 이미 가지고 있는 관계하는 양식은 말 많은 가족 구성원으로 하여금 전체 가족의 체계에 맞춰서 행동하도   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됨

 

(1) 비합산의 원칙(Nonsummation principle)

 

■ 전체는 부분들로 환원되지 않는다는 원칙이 곧 비 합산의 원칙임. 합산의 원칙에 의하면, 전

체는 부분들의 합으로 이해되며 또 부분들은 전체로 다시 환원되는 관련성을 가짐. 가족치료

입장에서 보면 전체는 단지 부분의 합이 아니라 부분의 합보다 더 커질 수도 있고 작아질 수

도 있음.

예컨대,

가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족은 가족구성원 개개인들의 합으로만 이해되

지 않음.

가족구성원들 개개인과 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가족은 구성됨.

가족구성원의 상

호작용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서 가족의 전체 모습은 달라짐

 

(1) 구성에 의한 현실

 

■ 가족이 가지고 있는 구조와 형태가 무엇 때문에 이렇게 다른가 하는 점은 가족치료가 밝혀야

하는 중요한 점임. 가족의 구조와 형태는 가족 구성원에게 일정한 현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 가족의 구조와 형태가 다르면 가족구성원이 소유하고 있는 현실은 가족마다 다르다고 할

수 있음. 가족의 현실이 무엇 때문에 다른가 하는 점은 철학의 하나인 구성주의에 의해서 밝

혀질 수 있음

 

■ 구성주의자들은 지식이 얻어지는 방식에 관심을 가짐. 절대적으로 변하지 않는 객관에 의한

현실이 존재하는가 하는 점은 구성주의자의 관심이 아님.  이 가지고 있는 지식은 발견에 의해서 갖게 된다고 주장함

객관적 현실을 믿는 사람들은 인간

 

■ 구성에 의한 지식이라는 입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논리는 전혀 달라짐. 객관에 의한 현

실이 존재한다고 믿기보다는 현실은 인간의 마음에서 적극적으로 구성되어간다는 입장임

 

■ 임상장면에서 치료자들은 가족이 가져오는 현실을 그대로 믿기보다는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현실에 대한 믿음 혹은 가정, 1991)

 

1) 가족상담이 필요한 상황

그리고 생각을

1차적으로 보아야 함(Nichols & Schwartz,

 

(1) 가족과 함께 있는 공간 및 시간에 대해 불편해하고, 긴장과 불안감을 느끼며 위축되는 경우

 

(1) 한 사람에게 가족원의 역할과 기능이 집중되어 있어 가족원이 수동적으로 행동하는 경우

 

(1) 가족원의 역할과 기능이 전도되어 있는 경우

 

(1) 가족 한 사람의 부적응으로 인해 가족 전체가 위기를 맞은 경우

 

(1) 가족원 중 한 두 사람의 존재가 문제라는 인식 때문에  다른 가족과의 관계가 계속  불안한  경우

 

(1) 가족 간에 부정적이고 부적절한 의사소통이 지속되고, 경우

의사소통을 통해 더욱 문제가 확대될

 

(1) 예기치 않은 외부사건의 발생으로 인하여 가족 전체가 긴장에 빠져있는 경우

 

(1) 가족 내 죽음,

이별,

입양 등으로 가족이 재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1) 문제가 가족관계 맥락(부부갈등,

형제갈등,

세대 간 갈등)에서 일어나는 경우

 

(1) 청소년 자녀와 부부 사이의 이별 문제, 조현병 증세가 나타날 경우

청소년 자녀의 범죄 문제,

청소년 자녀의 급성

 

 【학습정리】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 대하여 상담,

가족상담,

가족치료를 구분하기도 하고,

분야마다 약간

씩 다른 의미를 갖는 경우도 있으나, 양한 입장을 포괄하는 시각을 갖는다.

본 강의에서는 가족상담과 치료를 구분하기 보다는 다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특징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의 역기능적 측면을 변화, 제거하기 위해 직접 개입하는 상담적 접근법이라는 점이다.

 

■ 가족치료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순환의 사고, 현실에 대한 생각이 중요하다.

관계와 체계,

비합산의 원칙과 구성에 의한

 

 제 2차시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특징: 개인상담과 집단상담과의 비교

 

 【학습목표】

 

■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 가족상담과 집단상담에 대하여 기술할 수 있다.

 

 

 제 1절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1.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은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돕는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돕는 방법에 많은 차 이를 보임

■ 개인상담은 개인의 심리적·내적 문제에 관심이 많고 개인을 단위로 하는 데 비해 가족상담은 개인의 환경이나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며 가족집단을 단위로 함

■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구체적 차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음

 

1) 문제 초점의 차이

 

■ 개인상담이나 치료는 문제의 원인을 개인에게 두고 개인의 성격발달과정과 정신 내면의 역동 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임

■ 

■ 그러나 이러한 접근에는 한계가 있음,

예컨대,

불면증 문제가 있는 부인의 경우 개인의 연령,

건강상태,

호르몬의 분비상태와 물질대사,

생리적 상태,

정신장애 등에 원인이 있을 수 있으

나 이것만으로는 그다지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임 예컨대, 부인의

남편이나 자녀,

친척,

친구,

여가생활 등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의미 있는 사람과의 상호작용

양상의 결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임 즉, 문제를 가진 개인에 대해 그를 둘러싼 상황

을 고려하는 것이 그들의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도울 수 있다는 것임

■ 가족상담에서 초점은 개인의 내면보다 그를 둘러싼 가족이나 사회체계에 둠

 

1) 개입대상의 차이

 

■ 개인상담에서는 개인에게 집중하여 그들의 과거와 현재에서 결함을 찾아 회복하고 변화시키  는 방법을 사용함

■ 반면 가족상담에서는 가족 안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사람을 지적된 환자로 보고 가족관계에서 나타나는 반복적인 상호작용 양상에 관심을 갖고 개입함

■ 만약 상담이 성공적이라면 가족들의 관계 패턴에 변화가 있을 것이고 따라서 내담자의 문제    를 사라질 것이라는 가정을 가짐

 

1) 상담 단위의 차이

 

■ 개인상담에서는 일반적으로 개인을 단위로 삼는데 비해 가족상담에서는 가족구성원이 단위가

됨 그러나 가족상담의 경우 반드시 가족 전원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그보다는 현재

있는 문제와 관련되어 상호작용 양상을 바꾸는 데 꼭 필요한 가족원을 대상으로 함

 

1) 상담기간의 차이

 

■ 개인상담에서는 개인의 과거 경험에 기반을 두고 내면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므로 많은 시 간을 요함

■ 가족상담에서는 현재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중심으로 치료를 시도하므로 단기간이 소요됨

■ 가족상담의 경우는 가족원의 오래된 내면의 갈등을 해결하기보다는 개인을 둘러싼 상호작용 관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두기 때문에 개인상담보다는 기간이 짧음

■ 전통적 상담인 개인상담은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성격을 탐색하는 작업을 통하여 문제를 통찰하고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었음 그러나 가족치료운동이 시작되면서 어떤 접근이 문제해 결에 효과적인가에 대해 논란이 있게 되었음 현재까지 알려진 가족상담의 장점은 가족의 관

계구조가 변화하여 증상과 문제가 해소되는 결과를 가져오며, 다는 것임

 

1) 기본 철학과 가정의 차이

그 효과가 빠르고 오래 지속된

 

■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인간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이해에 좌우됨

■ 개인상담은 인간에 대해 결정론적이고 원칙에 따라 움직이며, 하고 이해함

개인은 현실에 반응하는 존재

■ 직선적 인과론으로서 사건

A는 사건

B의 원인이고

A는 B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봄

■ 

특성 개인상담 가족상담

현재 문제가 발생한 과거의 사건에 관심을 두고 문제해결을 위해서 개인의 구체적인 행동이    나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내적 사건들에 초점을 둠

 

인간관 결정론적,

반응적 존재

선택의 자유,

능동적 존재

 

세계관 기계론 유기체적

기본 가정 개인적,

환원적

관계적,

맥락적

인과관계 직선적 인과론 순환적 인과론

내담자는 능동적 선택을 할

내담자에 대한 시각

 

문제의 진단과 해결과정

수동적이고 반응적인

존재(결정적)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함

수 있는 존재(선택의 자유)

문제를 객관적 잣대로 진단하지 않음

접근방법 주체/객체의 이원론

전체성,

상호의존적 전일성

치료기간 단기, 장기

단기:

가족체계 구성원의

 

 

 

 

이분법 객관적

내면 갈등보다는 개인을 둘러싼 역기능적 상호작용에 의한 위기의 해결을 통해 고통 경감

변증법적 주관적, 패턴

법칙,

초점

외재적 실제

관계 패턴, 체계

문제의 원인, ‘왜’라는

질문

내용,

사실, ‘무엇’이라는

질문

과거 역사 현재 상황(here-now)

 

 

 제 2절 가족상담과 집단상담

 

1) 가족상담과 집단상담의 공통점

 

■ 개인상담에 비해 여러 사람이 참여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형성이 단순하지 않고, 사회    적 현실과 같이 내담자 상호간에 반응이 나타난다는 것임

■ 한명 이상의 내담자에 대한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임.(부모자녀, 부부 과 팀원)

vs 회사의 팀장

■ 개인으로 하여금 자기이해와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고 생활환경에 보다 건전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유형 상담목표 초점 상담자 역할 주요문제

 

 

 

가족상담 가족기능 향상

의사소통 행동유형 상호작용 패턴 가족체계 system

 

 

적극적 참여관찰자

부부문제 부모자녀갈등 고부갈등 가족불화

가족 정서행동 문제

 

정신역동적개인상 담: 성격의

무의식, 감정전이

비지시적, 성격, 무의식적 소극적 갈등

재구조화

 

 

개인상담

행동주의적 개인상담:

행동수정, 증상

제거

 

행동학습,

적극적,

기능회복

인지치료적 개인상담: 인지변화

 

인지, 사고 개인 self

 

지시적

불안

정서행동문제

 

 

 

집단상담 사회적 기능 향상

집단참여 피드백 집단역동 group

 

유동적 촉진자

 

대인관계 문제 부적응

불안, 행동문제

 

 

 

1) 가족상담과 집단상담의 차이점

 

■ 가족상담은 유기체론적 세계관으로 순환적인 관점을 가지며, 작용 패턴을 파악하는 것임.

지금 여기에 초점을 두고 상호

■ 집단상담은 비교적 일상적 적응이 가능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기성장과 자아실현을 목적으  로 적응의 기본요소인 인간관계훈련을 주로 다루게 됨

■ 집단상담은 집단참여와 피드백 집단 역동에 초점을 두면서 사회적 기능 향상에 목표를 두는 상담임.

 

 【학습정리】

■ 개인상담은 문제의 원인을 개인에게 두고 개인의 성격발달과정과 정신 내면의 역동을 다루는

상담이며,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을 요한다.

 

■ 

■ 가족상담은 개인을 둘러싼 가족이나 사회체계이며,

가족구성원이 단위가 되며,

현재의 역기능

적 상호작용 양상을 중심으로 치료를 시도하므로 단기간이 소요된다.

 

■ 집단상담은 집단참여와 피드백 집단 역동에 초점을 두면서 사회적 기능 향상에 목표를 두는 상담이다.

 

 제 3차시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목표와 발전과정

 

 【학습목표】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목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제 1절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목표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는 가족의 가치, 욕구를 바탕으로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의사소통, 신

화, 정서분화)를 파악해 가족원들이 인식하도록 돕고, 가족의 생태변화와 구체적인 행동변화를

통해서 가족원의 관계와 가족체계의 기능을 향상시켜 문제증상이 완화되거나 해소되도록 돕는 것임.

 

- 전체적인 가족 기능의 향상

- 개인을 둘러싼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함

 

1. 가족상담 목표설정 시 고려할 점

1) 가족이 상담을 통해서 달성하고 싶은 상태에 대해서 명확히 표현하도록 함

1) 단기목표와 장기목표를 구분함

1)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설정하여 동기부여가 되도록 함

1) 가족원 간의 목표에 대한 합의가 필요함

1) 목표는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함

 

1. 가족상담 시 지켜야 할 기본 원리

1) 가족문제를 가족원 간의 관계성에서 파악함

1) 가족관계에 대해 선형적 인과론이 아닌 순환적 인과론에 초점을 둠

1) 가족치료는 주로 현재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함

1) 가족 내의 문제와 갈등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로 인해 어떤 결과가 초래되었는지에 대해서

도 주목하고 가족들에게도 인식시키도록 함

1) 상담자는 가능한 과거와는 다른 행동을 시도할 수 있도록 조력함

 

1. 가족상담의 논리적 기반

한 가족구성원이 보이는 역기능적 행동은 가족체계가 불균형을 이루는 데서 기인하며, 환자로 지

목된 사람은 전체 가족의 대표자에 불과하므로, 가족단위를 치료의 대상으로 삼아야 함

가족의 역기능적 측면이 치료가 된다면 내담자의 문제행동은 사라질 것이라는 가정을 함

 

1. 체계이론에 입각한 가족상담을 위한 전제

1) 가족은 여러 가지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음

1) 모든 가족은 경계를 가지고 있음

1) 가족은 부부의 합보다 큼

1) 가족체계의 한 변화는 다른 체계의 변화를 이끎

1) 가족체계의 움직임은 일반적 규칙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

1) 가족은 가족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응함

1) 가족치료에서 개인의 문제는 그 개인의 심리내적 문제로만이 아니라, 그를 둘러싼 가족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있음

 

 

 제 2절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

 

1) 외국

 

(1) 1930년대~1940년대: 가족상담의 인식기

- 1930년대 후반부터 체계론적 사고가 등장한 후 1940년 초반에 가족상담의 씨가 부려졌음

- 이 시기는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가족상담 운동이 시작된 시기라고 할 수 있음

- 아동치료 병동에서 조현병 환자에 초점을 두어 환자와 그 가족을 연구하였고, 인의 정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음

가족체계가 개

 

(1) 1950년대: 가족상담의 형성기

- 1950년대 중반까지는 정신장애의 원인을 개인 기질의 문제 혹은 과거의 부모-자녀관계의 문

제로 보았으므로, 음

정신장애를 호소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가족과 격리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

- 가족은

‘살아있는 체계’이자

‘유기체’라는 관점이 생기면서,

어떤 한 개인의 변화는 가족의 전체

체계를 변화시키며, 개인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가족을 변화시키는 것이라

는 인식이 시작되었음

- 개인의 문제해결을 위해 가족 전체를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한 에커만(Ackerman,

 

아동정신분

석가)은 가족치료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후 가족치료사들은 전체 가족을 치료대상으로 보기

시작하였음. 가족 안에서 상호작용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 및  용어가  생겨나고 발전되었음.  ‘가

족치료’라는 용어는

1955년 보웬의 논문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그 후

1957년

3월 시카고에

서 열린 미국 정신예방학회에서 공식용어로 채택되었음

 

(1) 1960년대: 확대기

- 가족치료에 대한 관심이 매우 고조된 시기이며,

가족치료 학술지

『Family Process』가

1962년

발간되었음.

이 시기 대표적 가족상담 학자로는 보웬,

잭슨,

헤일리,

미누친 등이 있음

 

(1) 1970년대: 정립과 혁신기

-체계론적 관점이 가족상담에 적용되면서, 치료 이론과 기술에 혁신적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음.

 

Bowen이론,

의사소통 이론,

전략적 상담이론,

구조적 상담이론들이 발달하였음

- 연구소, 병원 정신건강센터 등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와 치료활동이 전개되었음

- 1970년대 가족치료는 영국, 음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

 

(1) 1980년대: 전환기

- 가족치료가 정신과적 치료기법 중 하나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음

- 각 학파의 이론적 개념과 기법을 사용하여 해결중심모델,

심리교육,

외재화,

내재적 가족체계

모델 등의 새로운 시도가 나타났음. 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함

여러 상담모델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실무분야에서 본격

 

(1) 1990년대: 가족치료 통합기(학파 초월)

- 다양한 가족상담모델이 소개되었고,

치료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가 시작되었음.

여러 가족상담

모델 사이의 간격이 실무에서 좁혀지고, 치료기법이 통합되는 현상을 보임

- 사회구성주의 가족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 이야기치료 등이 소개되면서 가족구성원의 현

실은 객관적이라기보다는 개인의 주관적 구성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았고, 찾으려고 했음.

언어 속에서

 

(1) 2000년대: 통합적 관점

- 기계론과 유기체론, 체계론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통합이 필요

하다는 관점이 조명받기 시작했고, 상황과 상담사의 선호도에 따라 여러 모델을 유용하게 선

택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하기 시작하였음

- 최근에는 개인상담 영역도 인정하면서 체계론에 기초한 전통적 모델과

 

2차 가족상담이라고 하

는 절충적, 통합적 모델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

 

1) 국내

국내에서는

1970년대 초반에 사티어의

‘공동가족치료’라는 책자를 통해서 가족치료가 소개되었

음. 1988년 한국가족치료학회가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창립되었음. 1993년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지가 발간되면서 가족치료 분야의 다학제적 접근이 본격적으로 시도되기 시작하였음

 

 

 

 

 

 

 

 

 

 

 

 

 

 

 

 【학습정리】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목표는 가족의 가치, 욕구를 바탕으로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의사

소통,

신화,

정서분화)를 파악해 가족원들이 인식하도록 돕고,

가족의 생태변화와 구체적인

행동변화를 통해서 가족원의 관계와 가족체계의 기능을 향상시켜 문제증상이 완화되거나 해 소되도록 돕는 것이다.

 

■ 외국 가족상담의 발전은 가족상담의 인식,

형성,

확대,

정립과 혁신,

전환,

통합기를 거쳐 통

합적 관점에 이르고 있으며,

한국은 사티어의 가족치료가 소개되다

1988년 학회가 창립되고

1993년 학술지가 발간되면서 다학제적 접근이 시작되었다.

 

 

 제 4차시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기초:

체계이론

 

 【학습목표】

 

■ 일반체계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생태체계이론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제 1절 일반체계이론

 

■ 체계이론이란,

세계를 모든 현상의 상호연관성과 상호의존성에 의해 파악하는 것임.

살아있는

조직체, 사회와 생태체계는 모두 체계라고 할 수 있음

■ 1950년대에 출현하여 1970년대 크게 발달한 전기 가족상담모델은 체계론적 사고를 바탕으

로 발전됨. ‘체계’라는 말은 그리스어

‘synhistanai(함께 두다)’에서 온 말로

‘어떤 현상을 보다

큰 전체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것’ 혹은

‘연관성의 본질을 확인하는 것’을 뜻함.

체계론적 사

고를 중요한 과학적 운동으로 만든 사람은 생물학자인 버탈란피였음. 체계론적 사고를 함축

하는 용어는 일반체계이론,

사이버네틱스,

생태체계이론이 대표적이며,

이들의 공통점은 부분

이 아니라 전체와의 연관성을 강조한다는 것임

■ 일반체계이론은 체계가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환경의 지속적 입력과 출력을 통해 자신  을 유지해 나간다고 보는 살아있는 체계에 대한 생물학적 모델임(Nichols & Schwartz,

2002).

설명함.

사이버네틱스 이론은 가족체계를 순환적 인과관계와 피드백 고리에 의해 움직인다고 생태체계이론은 미시체계인 개인이 환경과 역동적으로 영향을 주고받고 순응하면서

변화한다는 데 초점을 둠.

 

◆ 일반체계이론

 

■ 일반체계이론은 생물학자인 버탈란피가 최초로 제시한 개념임. 자기조절능력을 가진 세포와

마찬가지로  체계가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환경으로부터 유입하고, 필요

없는 정보들을 외부로 분출하는 자율통제기능으로 자신을 유지해 나간다고 봄. 일반체계이론

은 체계를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개방체계로 보기 때문에 체계의 투입, 산출 간의 피드백 과

정을 외부관찰자가 관찰함으로써 그 체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봄. 이는 체계를 투입

과 산출에만 관심을 갖는 블랙박스로 보는 시각으로서, 마음이 복잡하므로 마음 안을 분석하

고 가정을 세울 필요가 없으며,

관찰이 가능한 투입과 산출(의사소통,

행동,

규칙,

경계, 삼각

관계 등)에만 관심을 두면 된다는 것을 강조함.

■ 일반체계이론은 사이버네틱스와 동일한 세계관과 동일한 기본 가정을 갖고 있어서 이 둘을

각 관점의 적용에 따라 같은 범주로 보는 사람들도 있고, 다른 하나의 분파로 여기는 사람들

도 있음.

미국에서는 일반체계이론이라는 용어가 더 널리 사용되었고,

유럽에서는 사이버네틱

스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사이버네틱스는

1차와

2차로 구분되며, 1차 사이버네틱스는

일반체계이론과 동일한 이론으로 간주하기도 함

 

 제 2절 생태체계이론

 

◆ 사이버네틱스 이론

 

■ 1차 사이버네틱스:

체계가 어떤 패턴을 가지고 움직이는지를 기술함.

일정한 피드백을 주었을

때 어떤 규칙성을 보이고, 개념임.

그 규칙성이 체계를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는지를 이해하도록 하는

■ 외부의 치료자가 내담자 가족에게 지속적으로 칭찬 피드백을 증가했다면, 이 가족은 칭찬을

통한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형태규칙성을 가지게 됨. 칭찬이 가족의 상호작용을 증가하는 패

턴(체계변화)을 가져옴.

체계의 속성을 경계,

의사소통,

규칙,

정서체계로 설명함.

■ 2차 사이버네틱스:

사이버네틱스 체계를 바라보고 있는 자신도,

하나의 체계를 형성하고 있음

을 알게 해주는 개념임.

체계는 환경과 상호작용할 뿐만 아니라 자율적,

자기제작적,

자기조

직적인 특성들이 있고,

인간체계는 언어와 의사소통을 통해 자기조직체계를 유지함.

치료자가

가족에 참여해 도움이 되는 맥락을 조성하고 이는 투입(in put)이 아니라 교란

(perturbation)이며,

건강회복은 결국 내담자의 몫이 됨(Keeney, 1983).

따라서 가족상담은

개인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는 의미의 세계에 주목함. 2차 사이버네틱스는 외부의 치료적 개입

이 개인,

가족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가족,

개인 자체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결정

된다는 입장을 가짐.

■ 1차 사이버네틱스에서의 치료자는 가족 외부의 객관적 관찰자이지만, 2차 사이버네틱스에서

는 가족 내의 또 다른 체계(비계,

발판)로서 존재함.

기존의 가족체계의 현실과 새로운 치료

자 간의 관계로 맺어진 현실을 각각 인식하면서 변화가 일어나게 됨.

체계의 속성을

1차 사

이버네틱스의 속성 외에도 자기 준거성,

자율성,

폐쇄성,

부적 피드백을 추가해 설명함

 

 

◆ 생태체계이론

 

■ 생태체계 이론은 유리 브론펜브레너에 의해서 발달된 이론으로 인간(역할)을 하나의 미시체계

로 보고,

중간체계(생활환경),

중첩체계(습관),

외적 체계(환경),

거시체계(문화)

속에서 각 개

인의 역할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가족발달에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달한다는  생태학적 관점 을 가짐.

 

■ 생태체계 이론에서의 가족발달

(1) 아동은(미시체계)

성장하면서 환경의 영향을 받고,

영향을 주는 역동적 관계를 맺는다.

(1) 아동은 속한 환경에 역동적으로 순응하며 변화한다.

(1) 아동의 발달과 관련한 생태체계는 아동의 생활 영역인 중간체계,

 

미시체계와 중간체계 간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중첩체계(행동,

습관,

말투 등),

사회구조인 외적체계,

문화와 관습

과 가치를 의미하는 거시체계, 그리고 시간체계로 구성됨.

 

 【학습정리】

 

■ 체계이론이란, 세계를 모든 현상의 상호연관성과 상호의존성에 의해 파악하는 것이다.

 

■ 일반체계이론은 체계가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환경의 지속적 입력과 출력을 통해 자신  을 유지해 나간다고 보는 살아있는 체계에 대한 생물학적 모델이다.

 

■ 생태체계이론은 인간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미시,

중간,

외 및 거시체계 등으로 설명한다.

 

 

 제 5차시 :

후기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

 

 【학습목표】

 

■ 포스트모더니즘과 2차 사이버네틱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사회구성주의와 울트라모더니즘 가족치료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제 1절 포스트모더니즘

 

■ 일반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는 유기체론적 관점으로 모더니즘의 사조에 많은 영향을 받아 기계론적 세계관으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관찰과 측정을 통해 실재를 발견할 수 있다고 믿

었음. 이러한 시각에 기초한 초기 가족치료모델은 개인의 심리내면에서 벗어나 관계나 맥락

에 초점을 두어 상호작용 패턴을 객관적인 기준으로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내담자의 경험세계는 고려되지 않았음

■ 그러나 모더니즘의 이러한 한계에 벗어나려는 노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으로 주관적으로

구성하는 의미의 세계를 주장하게 되었음. 실재란 객관으로 바깥 세계에 존재하는 그 무엇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구성하는 의미의 세계라고 인정하게 되었음(구성주의).

■ 사회구성주의는 우리가 경험하는 실재는 사회적이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고 보

는 시각임. 따라서 더 이상 특정모델에서 제시하는 주요 개념에 따라 정상성 역기능성을 평

가하고 상담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의미를 잃어가게 되었음. 대신 개인이 자신의 가족이나 관

계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자신의 경험의 세계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문제해결과정에서 더 중요하게 되었음

■ 상담자는 내담자보다 더 많이 알고 있는 유능한 전문가가 아니라, 조하는 과정에서 협력해야 할 동반자의 입장이 강조되었음.

 

내담자의 경험세계를 재창

 

 1) 포스트모더니즘

 

■ 1980년대부터 문학,

예술,

문화 전반에 나타난 시대정신,

세계관을 말함.

모더니즘이 본질주

의, 보편주의,

이분법적 사고를 강조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성,

차이(상대성),

비본질

주의를 강조하며 탈 중심적이고 다원적인 사고, 탈 이성적 사고를 강조함.

■ 포스트모더니즘은

2차 사이버네틱스 관점과 일치하는데,

객관적 지식과 절대적 진실이 가능

하다는 모더니즘의 신념에 도전하여 인간이 각자의 관찰과 인식을 통해 서로 다른 우주에 살

고 있다고 간주했음.

사실은 관점으로 대체되며,

절대적으로 옳은 기준은 없다고 가정함. 모

더니즘의 상담은 인간의 문제를 문제 중심으로 접근하여 인성적 특성이나 가족 상호작용의

가능성 여부에 중점을 둔다면, 포스트모더니즘 상담은 무엇이 기능적인 가보다는 보는 사람

의 시각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함.

 

◆ 2차 사이버네틱스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과 일치하며, 1차 사이버네틱스의 한계를 벗어나 피드백 과정에도 여러

 

수준이 있음을 강조한 개념으로 후기 가족치료에 영향을 주었음

■ ‘실재’는 인식자의 마음에 존재하는 ‘하나의 세계’임.

■ 2차 사이버네틱스에서는 봄

‘체계’는 자율적이고 자기 제작적이며 자기 조직적인 특성이 있다고

■ 또한 인간

‘체계’는

‘언어와 의사소통’을 통해서 자기 조직체를 유지한다고 봄

■ 가족치료는 개인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는 ‘의미의 세계’에 주목해야 함

■ 상담적 개입은 개인이나 가족의 변화를 일으킨다기보다는 개인이나 의해 결정된다고 봄

‘가족의 구조적 결합’에

 

 제 2절 사회구성주의와 울트라모더니즘

 

1) 사회구성주의

 

■ 사회구성주의는 누구도 객관적 실체를 알 수 없다는 구성주의 시각과 같으며, 실재에 대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영향력에 초점을 둠. 즉, 우리가 관찰한 것을 구성하는

것은 우리가 타인과 공유하는 언어체계,

관계,

문화에서 비롯되며,

우리의 신념,

태도,

기억,

정서적 반응은 타인과의 관계경험에서 비롯됨.

우리의 사회적 실재(신념,

가치,

제도,

관습,

법, 노동 등)는 사회 구성원들이 세대를 통해, 일상적 삶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구성되

는 것이고,

우리가 속한 사회에 의해 구성되는 것임.

그리고 이미 정해진 지식을 가르치는 것

은 언어이며, 우리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타인이 수용할 수 있도록 말하는 법을 배우고, 언어

체계에 대한 가치와 사상을 공유함.

 

■ 사회구성주의의 기본전제는 다음과 같음.

첫째,

둘째,

셋째,

넷째,

실재는 사회적으로 구성됨 실재는 언어를 통해 구성됨

실재는 이야기를 통해 조직되고 유지됨 본질적인 진실이란 존재하지 않음

 

◆ 언어의 역할

■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의 언어는 하나의 상징,

 

혹은 정보처리 수단으로 여겨졌음

■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언어는 세계와 신념,

■ 사회는 언어를 통해 실재에 대한 관점을 구성하고, 고 있는 세상임.

실재를 구성하는 수단으로  여겨짐.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언어를 통해 공유하

■ 사람은 언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관계를 맺으며 실재를 구성함

■ 사회구성주의는 상담의 초점을 행동에서 인지로 바꾸려는 사람에게서 크게 환영받았고,

1990년대 가족치료에 열품을 일으켰던 이야기치료의 기반이 되었음. 최근에는 각 이론 간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상담사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으며, 후기 가족

상담사는 내담자의 주관적 현실 세계와 언어적 상호작용에 따라 실재가 달라질 수 있음을 강 조하고 있음

 

◆ 해결중심 단기상담과 이야기상담은 과거와 다른 접근법으로 아래 4가지에 초점을 둠

 

■ 언어적 측면을 중시

■ 내담자와 치료자의 협동적 관계 강조

■ 문제가 아닌 해결에 관심

■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강점에 초점

 

1) 울트라 모더니즘 가족상담

 

■ 

■ 포스트모더니즘은 지난 약

20년간 가족치료에서 각광받았고,

체계론적 가족상담에 대한 비판

을 제기하기도 하였음. 그러나 오늘날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와 다양한 가족의 모습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과 전환의 차원에서 2001)가 처음으로 사용하였음.

‘울트라모더니즘’이라는 용어를 리나레스(Linares,

■ 울트라모더니즘 시대의 가족상담은 그동안 발전되어 온 가족상담 이론의 고유성을 인정하는

동시에 여러 이론을 선택적으로 통합해 사용할 수 있어야 할 것임. 울트라모더니즘 가족상담

은 상황에 따라,

맥락에 따라,

혹은 치료자의 선호에 따라

‘이것도 저곳도’

모두 유용한 접근

이 될 수 있는 것임. 21세기 가족상담은 다양한 가족형태에 맞게 여성주의 가족상담, 가정폭

력, 다문화주의 인종,

빈곤과 사회계층,

신경과학의 발전(뇌과학),

영성,

대상과 문제에 적합

한 상담(한부모가족,

다민족국가,

성과 인터넷,

가정방문서비스),

심리교육과 의료적 서비스

(심리교육과 정신분열증, 관계향상 프로그림)의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함.

 

 

 【학습정리】

 

■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성,

차이,

비본질주의를 강조하며

2차 사이버네틱스 관점과 일치한다.

 

■ 사회구성주의에서 실재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언어를 통해 구성된다.

 

■ 울트라 모더니즘 가족상담은 다양한 이론을 통합해 사용한다.

 

 제 6차시 : 한국의 가족문제와 특수성

 

 【학습목표】

 

■ 한국 가족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한국 가족문제의 특수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제 1절 한국 가족의 문제점

 

■ 

■ 우리나라에 가족상담이론이 소개된 것은

1977년 사티어의

‘conjoint family therapy’가 번역

되면서부터이며,

본격적으로 소개된 것은

1980년대 이후 가족상담과 치료관련 학회가 발족

되면서부터임. 2005년 ‘건강가정기본법’의 시행으로 가족치료를 제공하는 현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고, 대학에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과목이 개설되었음.

 

■ 최근 한국 가족은 새로운 인구학적,

구조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

첫째는 저 출산과 고령화이

고, 둘째는 혼인 감소와 이혼 증가(급증하는 황혼이혼)임. 셋째는 가족형태의 다양성 증가이

며 이는 사회,

문화,

경제적 영향과 수명연장,

가치관의 변화에 의해서 촉진되고 있음. 이에

따라 다양한 가족이 출현하고 있고,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을 전형적 가족으로 지칭하

는 ‘정상 가족의 개념’이 도전받고 있음. 즉,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가족의 증가,

재혼 및 복합

가족의 증가,

노인단독가구,

저소득층에서 두드러진 노인과 손자녀로 구성된 조손가족, 1인가

구의 증가(애완동물과 지내는 독신가구),

비친족가구,

자발적 무자녀가족,

장기 분거(기러기)

가족과 같이 가족은 변화하고 있고, 가족치료의 관점과 개입방법도 변화하고 있음

 

 1. 한국가족의 문제점

 

1) 한국가족이 안고 있는 문제

 

(1) 부부관계

■ 한국가족의 부부관계는 통제와 억압,

반항과 투쟁,

자유와 평등이 공존하는 과도기라고 할 수

있음.

가족치료 과정에서 자신의 원가족과 심리적,

물리적 분리가 안되고,

부부만의 독립된

심리적, 물리적 가정이 만들어지지 못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1) 부모자녀관계

■ 가족이 원활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부모세대와 자녀세대 간의 경계를 잘 유지하는 게 필요

한데, 한국 가족의 경우 부부간의 의무와 부모로서의 의무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가족이 함께 집에서 의사소통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고,

다양한 문제행동이 생겨나고 있음

 

(1) 밀착과 격리의 문제

■ 밀착과 격리는 가족문제를 초래하는 중요한 요인임.

■ 밀착된 가족의 경우 자주성, 충성심리 거의 없고 도움이 필요할 때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

는 힘이 부족함. 최근 자녀가 가족에서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와 가족 충성심과 관련된 어려

움이 부각되고 있음 예) 마마보이의 경우,

 

자신이 현재 구성한 부부체계에 있어서 원가족과 분리된 자주성 충성심

이 거의 없음

/ 부부체계에서 해결하려 하지 않고 진정한 도움이 아닌,

원가족 구성원에게 고

자질을 하게 되어 도움 요청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음 / 홀어머니가 키운 아들과 같이 원가족

에서 외부적 고통을 감내한 어머니와의 과대한 동일시로 인하여 현재 부인에 대한 사랑과 어 머니에 대한 안쓰러움 사이에서 중심을 잡지 못하는 어려움이 부각됨

■ 격리된 가족의 경우 사회는 언어를 통해 실재에 대한 관점을 구성하고, 우리가 사는 세상은

언어를 통해 공유하고 있는 세상임. 맺으며 실재를 구성함

사람은 언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관계를

부가설명) 격리된 가족 밖의 사회는 병리적 상황과 상관없이 가족구성원의 외부 시선을 중시

하는 언어를 통해 보여지는 실재에 대한 관점을 구성하고, 우리가 사는 세상은 화자의 언어

를 통해 공유하고 있는 세상임. 사람은 스스로 주체적으로 정의하는 자기와 별개로 객체로서

의 자기는 병리적 상황과 별개인 화자의 언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관계를 맺으   며 실재를 구성함

 

(1) 다양한 가족형태와 관련된 문제

■ 최근 증가한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의 문제가 증가하고 있음

 

(1) 사회문제에 민감한 가족상담

■ 가족상담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다양한 가족문제의 증가와 관련이 있고, 성폭력 및 가정폭력

등의 사회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음. 이에 따라 피해자와 그 가족의 외상후 스트

레스 장애증상과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가져오고 있고 가족치료는 가족문제의 완화와 해결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음

 

(1) 역기능적 가족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들

 

격리된 가족 – 비행 자녀를 둔 가족

 

<청소년 비행의 특징>

청소년비행은 어려운 가정 뿐 아니라 좋은 가정에서도 일어날 수  있고,  연령은  점차 낮아지  는 추세임. 비행의 형태가 집단화되거나, 물질적으로 풍요로워도 비행을 하는 놀이형 비행이

증가하는 추세임

 

<격리된 가족의 특징과 개입방안>

· 자녀의 비행문제를 안고 있는 가족은 자신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각자가 개별적으로 해결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많음

 

· 따라서 공감과 수용, 이해를 통해 가족이 서로 책임을 회피하는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계

 

 

 

 

 

 

 

기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음

· 부모-자녀간의 애정관계가 회복됨으로써 가족 내의 불만이 줄어들고 솔직한 자기표현이 가 능해져야 함

· 스스로의 열등감을 가족이 함께 극복하면서 분노, 불신, 고립된 것 같은 부정적 감정을 치

유해야 함

밀착된 가족 – 신경성 식욕부진증 자녀를 둔 가족

 

<가족원의 신체화 증상과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특징>

· 가족으로부터 자립해야 하는 발달과제를 성취하지 못한 데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음

· 10대 혹은 20대 미혼여성이 많으며, 왜곡된 신체 이미지를 가져서 날씬해지고 싶은 욕망이 강함

· 습관적인 편식, 구토를 반복하거나, 불안하고, 활동성이 높아 일에 열중하기도 함

· 자신의 병식이 없으며, 행동전반에 충동성이 존재함

· 반복되는 자기파괴적 행동이 보이며, 성숙을 혐오하고, 여성성을 기피하거나 금욕주의경향  을 보이기도 함

· 식욕부진이 자기 내면의 세계와 가족 내의 갈등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쉽게 인정하지 않음

 

<밀착된 가족의 특징과 원인>

· 전형적인 밀착가족의 형태로, 서로가 서로에게 속하는 것을 무엇보다 중시함. 자립과 자기 실현보다는 충성심과 보호가 우선임.

·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 지향 또는 자녀 중심적임. 부모는 자녀의 움직임이나 욕구에 지나 치게 민감하여 주의를 집중함.

· 자녀는 자신이나 타인의 감정이나 의견에 지나치게 민감하여 어떤 행동을 하기 위한 결단    을 내리기 어려워함

· 가족의 가치기준에 충실한 나머지 또래와 대인관계를 가지는 기술이 부족함

· 자녀는 가족과 지나치게 뒤엉켜 있어서 가족 이외의 세계에서 다른 사람과 관계 맺는 데 어려움이 있음

· 결과적으로 자녀에게 요구되는 발달단계를 잘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됨

· 부모세대 역시 자신들의 부모와 지나치게 밀착되어 있고, 이런 연합은 배우자와의 바람직한 관계 형성을 방해함

 

<개입방안>

· 부모는 부부 상호간, 부모-자녀간 서로가 독립된 인격체로 생활할 수 있도록 경계설정과 존 중, 배려를 해주어야 함

· 자녀가 또래와 놀 수 있도록 자녀에게 자율성을 주고, 자녀가 스스로 결정한 행동에 책임     질 수 있도록 안전한 규칙을 함께 세움

공생관계의 가족 – 가정 내 폭력 자녀를 둔 가족

 

<가정 내 폭력 자녀의 특징>

· 어머니나 동생, 할머니, 아버지에 대해 심한 폭력행위, 행동화가 일어남

 

· 분노를 억제할 수 없으며, 부모에게 어리광과 폭력이라는 양면적 태도를 보임

· 가정 안에서는 폭력을 행사하는 등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밖에서는 얌전한 아이 역할

을 하는 이중성을 보임

· 높은 지능에 비해 언어나 행동이 미숙하고,

심리적인 고립감,

공허감,

자기비하를 자주 호

소함

· 자존감이 낮고, 생육사에서 반항기가 결여되어 있을 수 있음

· 가정 내에서 아버지는 무관심하거나 무력한 경우가 많음

 

<공생관계 가족의 원인>

· 아버지와 자녀의 유대관계가 부족함

· 어머니는 자녀에 대해 과보호하거나 지나친 간섭과 같은 지배행위를 하는 것과 밀접한 관

계가 있음

· 조부모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맞벌이 등으로 부모가 부재중일 경우 조부모가 아

동을 키우면서 연민의 정을 가지고 과보호하는 경우임

 

<개입방안>

· 아버지는 자녀에게 관심을 갖고 대화 및 즐거운 시간을 공유하고, 어머니는 자녀를 이끌어

주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자녀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자녀의 일은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질 수

있도록 반 발자국 뒤에서 지지해 주도록 함

· 부모-자녀 체계가 조부모체계가 아닌 부모체계 아래에 올 수 있도록 부모의 의사결정, 규

칙, 행동지침 등을 분명히 함

아버지 부재의 가족 – 등교거부 자녀를 둔 가족

 

<원인>

아버지가 자녀와 놀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면서 사춘기에 어머니가 자녀양육을 전적으로 책임지지 못할 때 아버지의 개입은 자녀를 반항적인 태도를 취하게 만듦

 

<등교거부 자녀의 특징>

· 등교거부 이전에 주변사람으로부터 별 문제가 없는아이,

· 얌전하고 내성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

착한 아이라는 평가를 받음.

· 자신의 불평이나 불만을 타인에게 표현하지 못하고 참는 편임

· 교우관계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친구가 상당히 적은 편임

 

<등교거부 자녀를 둔 가족의 원인 및 특징>

· 가족구조는 결손가족은 적은 편임.

어머니가 없는 경우는 드물고 별거,

이혼가정도 적음

· 등교거부 아동은 외동아이거나,

막내인 경우가 많음.

나이보다 어린애 취급되고 있는 경우

가 많음.

·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극도로 과보호적인 경우가 자주 보임. 때로는 지나친 보호와 엄격함

이 양극단이 함께 존재하기도 함

 

 

· 부모세대는 자신의 원가족 부모와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 가족끼리는 서로 의존하고 있으나 가족 이외에 대한 관심은 적고 지역사회와의 연결도 빈 약함

 

<개입방안>

· 어머니의 과잉 보호적 태도를 개선하고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존중할 필요가 있음

· 부모 세대부터 원가족 부모와 정서적 분리가 필요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 및 가족 이 외의 관계와 연결해 즐거움을 경험할 필요가 있음

 

 

 

 제 2절 한국 가족문제의 특수성

 

 1. 한국가족의 특(수)성

 

짧은 기간 외국에서 개발된 상담모델을 배우고 적용하는 데 급급하였을 뿐 우리나라 가족문화에

가족상담 자체가 효과적인지, 또 우리나라 가족문화 특성과 가족문제 특성에 어떤 가족상담모델

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이 미비된 형편임

 

1) 한국 가족문화의 특성

 

■ 우리나라 가족은 조선시대 통치이념이었던 유교의 영향으로 가부장적 가족주의가 지배적인

가족윤리가 됨.

따라서 남계중심의 혈연과 제사 중시,

아들 및 장남 선호,

위계적 인간관계가

특징적으로 나타남

■ 우리나라 가족은 전통적으로 조화로운 인간관계,

 

효행,

 

가족결속과 상부상조,

 

위계질서를 중

심가치로 강조하여왔음.

그 영향으로 체면의식,

우리주의,

감정의 억제 및 간접적 표현, 연고

주의, 한, 정을 매개로한 인간관계 등이 우리나라 가족문화의 특성으로 지적됨

 

1) 현대 한국가족문제의 특성

 

■ 오늘날 현대 가족은 전통 가족과 달리 가족형태가 다양화되고 있음. 핵가족화와 개인주의, 평

등주의 가치관의 영향으로 유교적 가족윤리와 가부장적 문화는 급속히 퇴색하고 있으며 개인 주의가 지나쳐서 가족 이기주의도 나타나고 있음

■ 동일한 가족의 가족원이라 하더라도 가치관과 사고방식의 변화 속도가 세대별로, 성별로 차

이나는 문화지체현상을 보이고,

구성원들 사이의 조정이 필요하게 됨.

결국 그 과정에서 가족

생활 전반에 걸쳐 부조화와 갈등이 발생하여 가족문제로 되는 일이 증가하고 있음

 

(1) 준비되지 않은 부부와 부모에서 가족문제가 비롯된다.

 

■ 본질적으로 결혼생활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배려하고 이해하며 서로의 약점을 보완하고 도와

서 협동적인 사랑의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자신과 상대방에 대해서 충

분히 이해하는 노력과 아울러 여러 문제를 대처하는 방법을 익혀야 함

 

■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인격적으로 성숙하고,

2세를 건강하게 사랑하고 평생 동안 긍정적 관계를 맺을 수 있을 만큼 아동발달에 대한 이해와 지도기법을 갖추어야 함

■ 최근 정보화, 글로벌 사회가 되고 포스트모더니즘 사회가 되면서 가치관과 생활방식이 급변

하여,

과거에 비해 가족의 가치와 부모됨의 가치가 경시되고,

독신주의,

만혼,

저 출산이 증

가하고 있음. 그에 따라 남녀 모두 개인의 자아실현과 사회활동 욕구가 크고 경쟁력이 요구

됨에 따라 어릴 때는 성적과 입시에 매달리고, 성인이 되어서는 취업과 직업에 많은 에너지

를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결혼을 선택하더라도 결혼생활과 부모됨의 심리적 준비를 하지 않    은 채 가정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음

 

■ 우리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부부불화와 가족해체 문제, 그리고 다양한 자녀문제가 가족을

둘러싼 환경적 원인도 있겠지만 대부분 원인은 부부와 부모로서 준비되지 않은 것에서 비롯    됨

 

(1) 부모 자녀 간에 세대 전수되는 건강하지 못한 관계가 가족문제의 원인이 된다.

 

■ 전통적으로 부모는 자녀를 독립된 개체로 여기기보다는 부모의 한을 풀어주는 수단적․ 종속적

존재로 여김. 그러므로 맹목적으로 자녀를 보호하고 간섭하고 자녀를 위해 희생하며 훌륭한

교육을 받게 하는 데 열성적임. 동시에 부모 위주로 자녀의 장래를 계획하고 자녀의 결혼과

결혼생활에 관여하며 부모에게 순종하고 효도하기를 바람

■ 자녀는 부모에게 정서적으로 독립되지 못하고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의 희생과 간섭을 당연시

하며 지원을 기대하는 경향이 있음. 그 결과 부모와 자녀관계에서 호혜적 교환이 이루어진

경우는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나 호혜적 교환이 되지 않고 불균형이 될 때는 갈등이 발생하게  됨.

■ 교육수준과 의식이 높아진 데 비해 일자리가 부족하여 사회참여가 좌절된 여성들과 결혼생활 에서 갈등을 겪는 여성들의 경우 자녀에게 과도하게 집착하여 자녀를 지배하려 하고 왜곡된

모자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자녀의 신경증 문제와 고부갈등 문제, 는 경우가 많음.

사위와의 갈등문제를 초래하

■ 우리나라 신혼부부 대부분은 두 사람의 애정을 바탕으로 배우자를 선택하고 부모집이 아닌 새로운 주거공간에서 결혼생활을 시작하지만 그 경비가 상당하기 때문에 결국 부모가 결혼 비용과 집 마련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음.

■ 신혼부부가 부모와 따로 살지만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여 일상적 교류와 행사참여를 하게 되

어왔음. 최근 시부모만이 아닌 처가부모와도 밀접한 교류를 하는 경향이어서 부부는 그에 따

라 전통적으로 발생하던 시가식구와의 갈등 외에도 양가 문화의 충돌과 권력싸움의 여파가 부부갈등과 인척관계 갈등으로 나타나고 이혼까지 가는 경우도 있음

 

(1) 가족원 간 의사소통 방법의 특성이 가족갈등과 문제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 전통적으로 가족 내 의사결정방법은 엄격한 위계구조에 의하여 권위자가 일방적으로 결정하

고 아랫사람은 순종하는 형태였음.

또한 엄격한 유교의 영향으로 부부사이에,

부모자녀 사이

에 감정표현이나 애정표현은 억제되었기 때문에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지내거나 은근히 간접 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음

 

■ 현대사회에서도 아내나 자녀, 아랫사람이 자신의 의견을 솔직하고 분명하게 말하는 것이 상

대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남성,

부모,

윗사람들은 경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가족 간의 상호이해와 친밀한 관계유지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갈등의 원 인이 되고 있음.

■ 또한 가족원 간에 감정표현을 하지 않고 표현에 서툰 문제가 상호간 오해와 갈등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상담현장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음. 상담에 오는 가족원 간에 서로 상대방이

자신을 무시한다고 주장하며, 상대방이 자신을 이해하여 주기를 바라고 대화를 하여야 한다

고 말하지만 실제로 대화를 할 수 있는 태도와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음

 

(1) 가족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처방법에서 가족주의 문화가 반영된다.

 

■ 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 가족주의라는 집단주의가 지배하였기 때문에 인간관계는 체면과 격식

이 중요시되었고, 개인의 모든 행동은 소속된 가족이나 집안의 품격과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

으로 인식되었음.

그에 따라 개인의 행복과 발전,

자아실현에 비중을 두기보다는 가문의 체면

에 가치기준을 둠. 또한 집안의 조화와 화목을 주요 덕목으로 여겼기 때문에 갈등이나 흉, 근

심, 걱정거리를 집밖에 노출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겼음

■ 그 영향으로 부부갈등이나 자녀문제, 고부갈등 등의 가족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초기에 전문

가의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는 극히 적고 숙명적인 것으로 생각하여 참고 견디려는 경향이 있

음. 그러므로 문제가 만성화되고 심각해져서 상담실에 오는 경우가 많음.

■ 가족문제가 발생하면 외부 도움을 요청하는 데 여성이 더 적극적인 경우가 많음. 남성들은

아내나 어머니의 권유로 가족상담실에 오고 상담에 와도 방어적이고 소극적인 모습을 보임.

 

(1) 가족상담과 상담자에 대한 기대에서 가족주의 문화가 반영된다.

 

■ 위계구조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가족상담자에 대해 높은 위치에서 조언하고 도움이 되는 좋은

이야기를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 많은 한국 사람들은 상담실에 가

서 시시비비를 가리고 문제를 직접 파헤쳐서 대결하고 자기주장을 관철시키기보다는 상담자  가 신속하게 문제를 진단하고 문제를 해결하여 주기를 기대함.

■ 상담자가 주도적으로 문제해결을 잘 해줄 권위 있는 사람인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지명도, 학

벌, 나이,

자격증 외에 결혼여부,

자녀양육경험,

가정생활 등을 알고 싶어 함.

일단 상담자와

의 신뢰관계가 형성되면 상담자에게 겸손한 태도로 상담자의 체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려 하고 인간적으로 의존하고 상담자의 보살핌을 받으려는 경향이 있음

■ 상당수의 내담자은 원 가족과 관련된 미해결의 욕구와 부모로부터 받은 정서적 상처에 대한

분노,

부모에 대한 자식도리를 못한 데 대한 죄책감,

수치심 등이 내면에 존재함.

그러므로

 

 

(1) 

상담자는 내담자의 특성과 가족문화배경을 충분히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접근하며, 관계를 탐색하고 재구성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

 

다양한 가족의 급증으로 인한 사회적 이해와 지원이 요구된다.

부모와의

 

■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노인단독가구,

조손가족,

분거가족,

결혼이민자 가족,

역할전환부부 등

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정상가족 기준으로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학점은행 대행업체 이용주의 (국평원 공지) 플래너는 채널 이용을 금지합니다. file 1324 2023.02.26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80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51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2 2025.01.21
3418 학점따면 몇년까지 유지되나요? 82 2023.02.26
3417 메가 시험 진짜 쉽네 63 2023.02.26
3416 컴공 할려는데 김영 더 싸게 하는법 있냐? file 60 2023.02.26
3415 휴넷 경영통계 중간안봤는데 77 2023.02.26
3414 오늘부터 갤 두시간씩 정독한다 56 2023.02.26
3413 한울 , 위더스 수업참여도 46 2023.02.26
3412 학린인데 닥치고 뭘해야 합니까 47 2023.02.26
3411 정보보안학사 딸건데 얘네 전공이나 일반 넣을수있음? file 45 2023.02.26
3410 소방안전관리자 1급 은근히 빡세다 66 2023.02.26
3409 21년도 1학기 대면라이브수업 문의요 38 2023.02.26
3408 대면수업 관련 문의 33 2023.02.26
3407 청지사 면접 특강 관련 64 2023.02.26
3406 대면수업(보육교사론) 관련 문의 37 2023.02.26
3405 언제쯤 연락이 올까요? 66 2023.02.26
3404 2014 학사편입 축소에 대한 진실 .jpg 52 2023.02.26
3403 학점은행제 웬만하면 하지 말고, 대행기관은 절대 하지 마라.. 118 2023.02.26
3402 한성대 디자인 캠퍼스 진실은? 102 2023.02.26
3401 죄송한데 궁금해서그런데요 한사평교안이요 66 2023.02.26
3400 샘들..이것좀 알려주세요.. 63 2023.02.26
3399 왜 사이트에는 제적증명서를 떼오라는거죠? 35 2023.02.26
3398 학점은행제를 했으면 차라리 학사편입을 해라. 대학원은 존망의 길... 33 2023.02.26
3397 진심 전문학교 후회된다 52 2023.02.26
3396 대학 학점 개념좀 알려주세요~ 41 2023.02.26
3395 간호독학사 공부하면 차별이 없어질까요? 53 2023.02.26
3394 대행 사기 경험담(실제 경험담) 86 2023.02.26
3393 국사 개념 정리 해줌->끝 //시대 순으로 포탈 열어준다. 35 2023.02.26
3392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독립~현대화까지(마지막) 37 2023.02.26
3391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시대 말까지 33 2023.02.26
3390 국사 개념 정리 해줌 : 조선초기~ 68 2023.02.26
3389 충고 하는데 전산원 , 전문학교 이런데 다니는거 아니다.... 47 2023.02.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