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0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btbce58565d6d62c51de7c577624572e48.png
 

아마 2010년대 이후 

한석규를 기억하는 분들이라면 

뿌리 깊은 나무나 낭만닥터 김사부 시리즈 등 

드라마에서 활약상을 주로 떠올릴 것임 

(물론 그 기간 영화도 꾸준히 찍으시긴 했지만) 

아무래도 드라마판 성적이 유독 두드러지다 보니 그럼 

오죽하면 2010년대 SBS 드라마를 말할 때 

한석규란 존재는 꼭 들어간단 말도 있을 정도니까 

 

90년대 중후반 

충무로 섭외 1순위

 

 

bt16eefb25b3406782a04a7b45779c2a37.png

 

btf5ca894f30d62d7101776eaa5326acf3.png
 
btffc6f9720725d2ae04b20a41ed386549.png


하지만 90년대 중후반 영화판에서 

한석규의 입지는 압도적이였던 걸로 평가됨 

그도 그런 것이 80년대나 90년대 초반까지

국내 시장에서 할리우드에 눌려있던 한국 영화가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펴고 재도약한 시기 주역이기도 하고 

원탑으로 전체 판 자체를 끌고 갔다고 함 

당시 충무로 시나리오의 90%가

1순위로 한석규에 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 

 

 

bt5835ffc0b1e259f8309d150ac891cc80.png


특히나 90년대 중후반까지 필모를 보면 

장르의 다양성도 그렇지만 

그 장르에서 혹은 한국 영화 전체에 있어 

중요한 분기점이 된 작품들이 즐비하다 보니 

동료 배우들은 어떻게 저런 좋은 작품만 골라서 나올까 

감탄하고 부러워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함 

여기도 많으시겠지만 시네필들중에 

고전 영화 특히 90년대 한국 영화 파는 분들이라면 

이 작품들 찾아보신 분들도 있을 것임  

 

 

 

btda0b35b34449438345ba3bd95390cc9f.png
 

그래서 1997년 당시 만 29세의 조선일보 모 기자 (?)는 

이러한 한석규 신드롬에 대해 분석하면서 

작품을 골라내는 심미안을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음 

당시 충무로 섭외 1순위인 만큼 온갖 시나리오가 

그에게 쏠리는 상황에서 그걸 골라내는 것도 능력이기 때문 

(뜬금포지만 동진 옹은 30대 때 보다

4050일 때 더 회춘하신 게 느껴짐) 

 

 

btbc55062acb7b1ce2f8bde47ee3c2faf2.png


실제로 당시 한석규 본인도 각종 인터뷰에서 

이러한 시나리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함 

그래서 시나리오가 맘에 안 들면 

친분 여부나 거액의 제의에도 가차 없이 거절해 

주변 원망도 많이 들었단 후문 

그래서 배우가 연기만 하면 그만이지 

너무 따진다며 억까하는 기사도 나올 정도였다고 함 

 

1999년 막동이 공모전 시작 

한석규가 상금 전액 후원 

 

 

 

bt47d66679552a6b7c18664f92c8084267.png
 
bt1b08d9ee9218408a49e2816df48f3def.png


그러던 중 한석규가 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데 

바로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

해마다 상금 전액을 한석규가 후원하기로 결정 

당시 기준으로 상당한 금액이었다고 함 

여기서 막동이란 이창동 감독이 연출한 

초록 물고기에서 한석규가 열연한 캐릭터 이름으로 

한석규가 가장 애정하는 캐릭터라고 함 

실제로 공모전 이름뿐만 아니라 

공식 팬클럽 이름도 막동이라고 할 정도

 

 

bta640532c5fbf8ed98c3a18f013c83892.png
 

아무튼 이와 관련해 당시 인터뷰에서 

한석규는 한국 영화의 큰 문제점으로 

시나리오 부재와 쉽게 보는 풍토를 지적하며 

(사실 이건 지금도 남아있는 듯하고) 

좋은 시나리오 발굴을 위해 나설 것이라 밝힘 

또한 그간 작품들 성공으로 얻은 이익을 

충무로에 조금이라도 환원하는 차원이라고 말함 

 

 

bt2d4b0637942bffa6526630e148ebf24d.png
 
btc216ebc3071da6ffac21237326a7b971.png


그렇게 뽑힌 제1회 당선작이 

안재훈의 제노사이드란 작품임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의 불치병을 치료할 

신약이 개발됐지만 이 약의 부작용으로 

인류가 혼돈을 겪는다는 내용으로 

50억 규모의 영화화까지 결정됐고 

주연으로 한석규가 캐스팅됨 

당시로선 상당한 기대작이였다고 함 

 

제노사이드 등 연달아 2편 무산 

(정말 중요한 시기에) 3년간의 공백기 

 

 

bt47a957c16f522e84a40ae7d3f5348bbf.png

 

btcd85bed8b8d91f4d37289b06293ebbb1.png

하지만 제노사이드는 끝내 무산됨 

이에 대해 한석규가 밝힌 내용에 따르면 

시나리오 수정 문제 때문이라고 함 

제노사이드만 무산된 게 아니라 

광우란 작품도 무산되는데 제작사 쪽 문제라고 함 

 

 

bt0a0a4668dd8fa688a4765798738c9338.png
 

그러다 보니 한석규 행보에도 제동이 걸리는데 

시나리오 선정 자체가 정말 신중한데 

그렇게 어렵게 고르고 고른 작품들이 

연달아 무산되다 보니 공백기가 길어짐 

좀 아쉬운 점이 하필 저 시기 자체가 

한국 영화가 쉬리 이후 급성장하던 시기였단 점 

(물론 거품도 상당한 시기였다고 하고) 

저 중요한 시기에 본의 아니게 쉬다 보니 

90년대 중후반과 비교하면 입지가 많이 약화됐다고 함

 

 

bt4bed980a414d01b6fed0bfa72534a2df.png
 

게다가 3년 공백기 끝에 컴백한

이중간첩이란 작품이 실패하면서 

마음 고생도 많이 한걸로 알려짐 

 

 

bt36a026630fc17601e047532c76e9cc8b.png
 
bt36edf14163503883df1fd090351efe1a.png
 

하필 저 시기 고질적인 허리 디스크로도 고생하는데 

군 시절 주특기가 60mm 박격포였는데 훈련받다 

다치고 수술까지 받아 결국 상병 전역했는데 

이중간첩 촬영하면서 또 재발해 수술하고 고생했다고 함 

여기에 연기에 대한 회의까지 밀려와 

연기를 왜 하나, 이렇게 연기하는 게 맞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시기라고 알려짐 

 

 

btab049cb5c46b37b28e5dc519eb9397b4.png
 
bt6b452cd54eeda49c0b7f6aaf7218b78d.png
 
btba2125af411f4187947fc733283aa910.jpeg
 
bt5c2b43f9de1cb0fa037513a094ebd8fb.png

 

하지만 그런 힘든 시기 포함 

10년간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 시상식만큼은 

꼭 참석해서 힘을 실어줬다고 함 

그만큼 공모전 자체에 상당한 애정이 있었단 소리 

 

 

bt6b404302a0c03d1c3f3961983061e119.png


공모전 당선작 중 실제 영화화된 작품으론 

박대민 감독의 그림자 살인 (7회 당선작) 

김정훈 감독의 탐정 시리즈 (8회 당선작) 등이 있음 

왜 이 정도밖에 없냐 하는 분들도 계실 수 있는데 

원래 이런 공모전 수상작들도 

실제 영화, 드라마화되는 게 극소수 작품이고 

되더라도 시간이 워낙 오래 걸리는 경우도 많다 보니 그럼

 

 

btfd70179f02e39161f41e5f9cedcc816f.png
 
bt77fcf16feb207ece905790c40f650b82.png


그리고 영화 남자 사용 설명서 (공동 집필) 

KBS 드라마 대박부동산, 혼례 대첩을 집필한 

하수진 작가도 막동이 시나리오 6회 당선자 출신임 

(2020년대 이후 KBS 주중 미니시리즈가 죽 쑤고 있는데 

대박부동산, 혼례 대첩은 그나마 선방한 축에 속함) 

그 밖에도 현직 작가 중에  

막동이 시나리오 당선자 출신이나 

도전했던 분들 여럿 계심 

 

 

bt538aca9bb437071cc3378107e9d68a2e.png


그렇게 10년 넘게 이어져 오던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은 

2010년 12회를 끝으로 막을 내리게 됨 

기획할 때부터 10년 정도 하기로 해서 그런 건데 

많은 이들이 아쉬워하긴 했지만 

유종의 미를 거뒀다고 평가됨 

 

 

bt91e2904d7813a7a354277268a50dbd66.png


한석규의 막동이 시나리오 공모전 

한창 한국 영화가 재도약하고 성장했던 시기 

상당히 의미 있었던 프로젝트였다고 생각됨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 2 2 2 2 2 1 2 3 0 0 0 0 0 0 0 0 0 0 0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이슈 서브덕질 규칙 1 덕후냥이 2024.10.05 4912 0
공지 기사/뉴스 더보이즈, 'ATA 페스티벌'에서 신곡 무대 선보인다…"열정으로 무대 부술 것"... file 덕후냥이 2025.07.22 159 3
공지 이슈 폭우 피해 복구 같이 기부하자 1분도 안걸림 5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1087 1
공지 유머 완벽주의 성향 갖고 있다면 공감할 키오프 벨 발언 file 덕후냥이 2025.07.18 891 1
공지 유머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2 무명의덕질 2024.11.04 29646 66
공지 이슈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무명의덕질 2025.01.21 23524 44
160343 이슈 폭우 피해 복구 같이 기부하자 1분도 안걸림 5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1087 1
160342 기사/뉴스 따라가기도 벅찬 김건희 관련 뉴스 2 new 덕후냥이 2025.07.22 44 0
160341 정보 일본 참의원 선거 자민. 공명 연합 참패 ( 2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43 0
160340 이슈 극단적인 폭우의 원인 2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45 0
160339 기사/뉴스 아직도 4대강 사업을 찬양하고 있는 조선일보 2 new 덕후냥이 2025.07.22 41 0
160338 기사/뉴스 [단독] 응급실 뺑뺑이 악화‥'2시간 초과' 2배 이상 늘어 (2025.07.22/뉴스데... 2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57 0
160337 유머 43년된 마지막 정통 치킨호프 1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44 0
160336 유머 해외에서 한국라면 먹으면 깜짝 놀라는 이유 2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42 0
160335 유머 초중고 스마트폰 내년부터 사용금지 3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67 0
160334 기사/뉴스 KM차트는 어떻게 2년 만에 '3대 K팝 전문 차트'가 됐나?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88 0
160333 유머 오만추2 출연진으로 넣어달라고 김숙한테 반찬 청탁했다는 송은이 어머니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1280 0
160332 유머 도대체 어떤 결심을 한 건지 감도 안오는 로이킴 브이로그 ㅋㅋㅋ newfile 덕후냥이 2025.07.22 97 0
160331 이슈 장례지도사 하면 생긴다는 트라우마 top1.jpg file 덕후냥이 2025.07.22 129 0
160330 이슈 배우 하려다가 보플 때문에 아이돌 데뷔로 진로 바뀐 보플2 난 빛나좌 file 덕후냥이 2025.07.22 159 0
160329 기사/뉴스 더보이즈, 'ATA 페스티벌'에서 신곡 무대 선보인다…"열정으로 무대 부술 것"... file 덕후냥이 2025.07.22 159 3
160328 이슈 내향인들은 포카 교환할 때 같은 내향인들만 찾아가는거 ㄹㅇ임 file 덕후냥이 2025.07.22 136 0
160327 이슈 '입대 D-7' 차은우, '상남자' 변신 file 덕후냥이 2025.07.22 152 0
160326 이슈 배구 이재영 선수복귀 file 덕후냥이 2025.07.22 142 0
160325 이슈 한국인 여성 최정은씨, 일본에서 행방불명 file 덕후냥이 2025.07.22 161 0
160324 이슈 나는 솔로 24기 영식의 드립을 무시하는 24기 옥순 file 덕후냥이 2025.07.22 146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8018 Next
/ 8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