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1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비밀번호가 도난당할 경우에만 쓸모 있는 옵션”이라는 게 MS 입장
그 외 관리자 계정과 게스트 계정은, 실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하도록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번 주 윈도우 10의 보안 기본 옵션 사항들(security baseline)에 변화를 적용했다. 이 중 비밀번호 만료와 관련된 정책이 사라진 것이 특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변경 내용들은 다음 윈도우 10 업데이트(1903 버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MS는 “윈도우 10의 보안에는 어떠한 영향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지 = iclickart]

마이크로소프트에 따르면 “비밀번호 만료 정책은 비밀번호가 도난당해서, 제3자가 악용하려고 했을 때에만 유효한 것”이라며, “비밀번호가 도난당할 일이 전혀 없는 경우라면, 있을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한다. “게다가 비밀번호가 도난당했다는 확신이나 증거가 있다면, 그 순간에 비밀번호를 바꾸는 게 자연스럽지, 누가 만료일을 기다렸다가 바꾸겠는가”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비밀번호 만료 정책을 애초에 삽입한 의도는 1) 보안에 대한 인식이 뚜렷하고 실천력의 수준도 높은 기업들이 보안의 한 정책으로서 활용하라는 것이었고, 2) 보안 감사자들이 일종의 가이드라인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MS의 설명이다.

그러므로 굳이 비밀번호 종료일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도난당한 비밀번호를 활용한 공격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보안 정책들이 더 많이 있다는 게 MS의 설명이다. “활용이 가능하고, 불가능한 비밀번호를 목록화 한다거나, 다중 인증을 반드시 사용하도록 한다거나, 비밀번호 추측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솔루션을 마련한다거나, 비정상적인 로그인 시도를 할 수 있겠죠.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보다 더 효과적이기도 하고요.”

마이크로소프트의 아론 마고시스(Aaron Margosis)는 “일정한 주기로 비밀번호를 만료시키고 새로 설정하게 하는 건 굉장히 오래된 방법일 뿐만 아니라 효과가 그리 높지도 않다”고 설명한다. “MS가 적당한 만료 주기를 결정해주도록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이 효과 없는 장치를 없애서, 다른 안전장치를 사용자 기업들이 준비하도록 하는 것이 모두를 위해 더 낫다고 봅니다.”

그 외에도 사전 탑재된 관리자 계정(Administrator)과 게스트 계정(Guest)에 대한 변경 사항도 이번에 포함되어 있었다. 현재까지는 이 두 개의 계정들이 디폴트 상 비활성화되어 있었지만, 이제부터는 보안 기본 옵션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그렇다고 계정들이 디폴트로 활성화 된다는 뜻도 아니고, 아예 없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각 조직의 관리자가 이 두 계정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시켜야 한다는 뜻입니다.”

디폴트 상 새롭게 바뀐 보안 기본 사항에 따르면 관리자 로컬 계정은 활성화시키되, 하나씩만 유지하고 비밀번호를 강력하게 설정해야 한다. 계정 이름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건 보안과 아무 상관이 없을 것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내용들도 바뀌었다.
1) svchost.exe 완화 옵션 활성화(Enable svchost.exe mitigation options) : svchost.exe에 호스팅된 서비스 보호
2) 앱 프라이버시(App Privacy)의 환경 설정 가능 : 시스템이 잠겨 있는 상태일 때 윈도우 앱들을 목소리로 활성화시킬 수 있음.
3) LLMNR의 비활성화 : 서버 스푸핑 위협의 완화

3줄 요약
1. MS의 윈도우 10 보안 기본 정책에 변화가 생겼음.
2. 비밀번호 만료일을 설정하는 옵션이 사라진 게 가장 큰 변화로 손꼽힘.
3. MS는 “비밀번호 만료일은 어차피 큰 효과가 없는 정책이었다”고 말함.

Link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9085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공지 에디터 업데이트+) GPT AI 기능을 포함하여 강력한 도구들을 사용해보세요 ⬆️ file 🍀플로버404 1057 2024.04.16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1384 2024.04.14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3039 2024.02.14
5310 질문 램 16기가짜리 2개 사려는데 1 new 😀컴덕1321 8 2024.06.01
5309 질문 100w 충전기로 문제 안생길까요?? new 😀컴덕1842 4 2024.06.01
5308 해외직구 합산과세 질문드립니다. 1 new 😀컴덕554 11 2024.06.01
5307 일반 루머)AMD가 라이젠 9000시리즈에서 TDP를 다시 내린다네? newfile 😀컴덕579 4 2024.06.01
5306 일반 윈도우11 크롬 쓰시는분들 속보 newfile 😀컴덕199 4 2024.06.01
5305 일반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무료 VPN 제공 newfile 😀컴덕866 4 2024.06.01
5304 일반 AMD, 인텔 시원하게 앞질렀다! 라이젠5 5600 file 😀컴덕566 17 2024.05.20
5303 일반 PC MS, 소형언어모델 '파이-3 미니' 출시 😀컴덕102 7 2024.05.20
5302 일반 그래픽카드 가성비 비교표 5월 ( 반격의 AMD !!) 영상 file 😀컴덕433 11 2024.05.20
5301 일반 구글, 크로미움에서 서드파티 쿠키 퇴출 2025년으로 또 다시 연기 😀컴덕171 9 2024.05.20
5300 일반 일론 머스크의 AI 기업 'xAI' 8조원 규모 투자 유치 😀컴덕275 6 2024.05.20
5299 일반 PC [MSI 메인보드 사용기]x670e 토마호크 와이파이 file 😀컴덕034 9 2024.05.20
5298 일반 소울시커 Soul Seeker님의 인텔 불량 테스트 2 (14900K) / 인텔의 표리부동, 사실상 13,14세대 손절? 아 욕... file 😀컴덕035 12 2024.05.20
5297 운영체제 PC 구글, 검색시장 점유율 4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약 2% 하락 😀컴덕024 5 2024.05.20
5296 일반 MSI.인텔 13/14세대 안정 바이오스 업데이트 file 😀컴덕579 7 2024.05.20
5295 일반 라이젠 7800X3D vs 라이젠 7600!! 이길수 있을까 7600이?ㅋㅋㅋ file 😀컴덕438 10 2024.05.20
5294 일반 HBM 메모리 성장률, 2024년 200% ... 2025년 400% 전망 😀컴덕424 9 2024.05.20
5293 운영체제 MS, 윈도우 10에서 윈도우 11 23H2 버전으로 바로 업그레이드 지원 😀컴덕172 8 2024.05.20
5292 일반 대만 지진 여파로 올 2분기 DRAM 가격 13~18%, 낸드 가격 15~20% 상승 전망 😀컴덕762 7 2024.05.20
5291 일반 구글, 연례개발자회의 '구글 I/O' 통해 '제미나이 1.5' 대규모 업데이트 발표 ... 검색... file 😀컴덕887 6 2024.05.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6 Next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