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68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세월이 흘러도 그 가치가 변하지 않는 주옥같은 정보가 있습니다. '기사 재탕' 코너는 이처럼 누구에게나 도움되는 정보를 과거로부터 다시 살려낸 기사입니다. 기사가 발행된지 3~4년이 지나 사용자들이 찾기 어려운 점을 해결했습니다. 또한 현재(2015년) 상황에 맞게 일부 내용을 수정/추가했습니다. 10부작으로 이뤄진 '기사 재탕' 그 두 번째는 PC 어디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파악할 수 있는 '블루스크린 에러코드'에 관한 내용입니다.
윈도우7 이후로는 발생빈도가 많이 줄었지만, 과거 윈도우 XP 이하의 버전을 사용할 때는 정말 하루에도 몇 번씩 파랗게 질리곤 했던 기억이 난다. 공포의 '블루스크린'은 윈도우 사용자라면 피할 수 없는 난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블루스크린이 나타나면 말없이 전원 버튼을 3초 이상 눌러 재부팅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하지만 블루스크린의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용자는 드물다. 그 속에는 블루스크린이 나타난 이유에 대한 정보가 '에러 코드'란 형태로 담겨있다. 때문에 PC가 갑자기 멈췄다고 당황하지 말고 블루스크린의 에러 코드를 한번 훑어보는 여유가 필요하다. 에러 코드를 통해 내 PC 어디에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블루스크린은 대부분 하드웨어의 문제로 발생하니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를 참고해 PC 부품이 정상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가장 자주 발생하는 에러 코드 10개를 정리했다. 하나씩 알아보자.

에러코드: STOP: 0x0000001E
KMODE_EXCEPTION_NOT_HANDLED
오류 원인(100% 정확한 것은 아니며 어디까지나 '가능성'이다)
특정 부품의 드라이버 파일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 또는 메모리 주소, I/O 주소, IRQ가 충돌하는 경우.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실행이 허용되지 않거나 알 수 없는 CPU 명령이 윈도우에 인식될 경우.
문제 해결 방법(문제가 완벽히 해결된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백신 프로그램이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등과 같이 시스템 자원을 잠식하는 프로그램 확인(업데이트, 재설치 등).
메인보드 바이오스(BIOS)의 호환성 문제일 수 있으니 바이오스 업그레이드.
이도 저도 안되면 윈도우 재설치(마이크로소프트 공식 권장 답안).

에러 코드: STOP: 0x00000050
PAGE_FAULT_IN_NONPAGED_AREA
오류 원인
컴퓨터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없을 경우. 아마도 블루스크린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오류일 것이다.
윈도우와 호환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우.
문제가 있는 메모리가 추가되었을 경우(시스템 메모리, 그래픽카드 메모리 등 메모리 칩이 박힌 모든 부품).
문제 해결 방법
잘못 설치(또는 업데이트)된 부품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
현재 꽂혀있는 부품(그래픽 카드 등)의 드라이버 파일 삭제 후 재설치.
이도 저도 안되면 윈도우 재설치.

에러 코드: STOP: 0x0000007B
INACCESSIBLE_BOOT_DEVICE
오류 원인
부팅 장치에 접근 불가능하다는 의미로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부팅 영역이 손상된 경우.
윈도우 자체에 문제가 생겨 부팅 파티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문제 해결 방법
바이오스 설정 중 부팅 순서가 하드디스크 우선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이어 현재 CD-ROM이나 USB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등이 꽂혀 있는지 확인.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가 있다면 제거 후 재시도.
이도 저도 안되면 윈도우 재설치.

에러 코드: STOP: 0x0000007F
UNEXPECTED_KERNEL_MODE_TRAP
오류 원인
추가 증설한 메모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메모리 타입 등).
과열로 인해 CPU가 오작동하는 경우(특히 CPU 쿨러 이상 등).
과도한 오버클러킹으로 인한 오작동.
문제 해결 방법
CPU와 관련된 모든 설정(클럭) 초기화.
CPU 쿨러 및 컴퓨터 케이스 등의 쿨러 정상 작동 확인.
현재 컴퓨터와 호환되지 않는 특정 프로그램 점검, 삭제.
윈도우 업데이트 등을 통한 패치.
역시 이도 저도 안되면 과감히 윈도우 재설치.

에러 코드: STOP: 0x0000009F
DRIVER_POWER_STATE_FAILURE
오류 원인
시스템 종료나 대기 모드, 또는 최대 절전모드 등을 사용하다가 발생하는 경우.
갑작스러운 전력 공급 변동에 의한 경우.
문제 해결 방법
새로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의 상태 확인 후 제거(백신, 원격 제어, 백업 프로그램 등).
각 하드웨어 드라이버 업데이트 내역 확인 및 패치.
대기모드, 최대 절전모드 사용 해제 후 점검.
이도 저도 안되면 미련 갖지 말고 포맷. 윈도우 재설치.

에러 코드: STOP: 0x000000D1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오류 원인
이 역시 주요 단골 에러. 각 부품 드라이버가 잘못 설치된 경우.
호환되지 않는 메모리를 장착한 경우.
특정 프로그램(백신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등)이 오류를 일으키거나 시스템과 충돌(지금껏 여러 번 봤지만,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은 시스템 주요 파일을 건드리다 보니 문제 발생 소지가 높다).
문제 해결 방법
윈도우의 드라이버 롤백 기능이나 시스템 복원 기능을 통해 이전 상태로 복구 시도.
백신,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등을 삭제 후 점검.
메모리의 장착 상태 확인 후 재장착.
이도 저도 여의치 않으면 복잡하게 생각할 거 없이 윈도우 재설치.

에러 코드: STOP: 0x000000EA
THREAD_STUCK_IN_DEVICE_DRIVER
오류 원인
주로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가 잘못 설치된 경우에 발생(새로 설치 또는 드라이버 업데이트 후).
문제 해결 방법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제거 후 재설치 또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역시 이도 저도 잘 안되면 과감히 윈도우 재설치.

에러 코드: STOP: 0x00000024
NTFS_FILE_SYSTEM
오류 원인
NTFS에서 알 수 있듯이 하드디스크 파티션 내의 오류로 인해 발생(NTFS.sys 파일 오류).
하드디스크 내의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한 경우.
문제 해결 방법
파티션이 깨지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요 데이터를 백업한 후 포맷. 윈도우 재설치가 가장 확실.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에러를 확인하기 위해, 각 디스크 제조사의 점검 프로그램을 이용해 점검.

에러 코드: STOP: 0xC0000218
UNKNOWN_HARD_ERROR
오류 원인
오류 메시지로는 얼핏 하드웨어의 문제라 예상되지만, 사실 윈도우 레지스트리의 문제일 가능성이 더 큼.
문제 해결 방법
윈도우 레지스트리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그냥 윈도우 포맷 재설치를 추천.
레지스트리 백업본으로 복구 또는 시스템 복원을 통해 복원 시도.
경우에 따라 시스템 누전이 원인일 수 있으니 전원 쪽도 확인.
하드디스크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

에러 코드: STOP: 0xC0000221
STATUS_IMAGE_CHECKSUM_MISMATCH
오류 원인
뭔가 '미스매치'되었다 하니 하나씩 점검이 필요.
여기에는 각 장치 드라이버, 파일 시스템,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이 원인일 수 있음.
문제 해결 방법
장치 드라이버, 파일 시스템,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 모든 하드웨어를 각각 점검.
하드웨어에 문제가 없어 보이면 뒤 돌아보지 말고 윈도우 재설치.
위에서 나열한 블루스크린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에러 코드가 있다.

윈도우8, 윈도우8.1, 윈도우10은?
윈도우8부터 각종 안내와 숫자가 가득해 사용자에게 공포감을 안겨줬던 기존 블루스크린 대신, 친숙한 디자인으로 안정감을 주는 새로운 블루스크린이 적용됐다(물론 혐오감만 늘어났다고 비판하는 사용자도 있다).
새로운 블루스크린에도 에러코드는 고스란히 남아있다. 윈도우8, 윈도우8.1, 윈도우10 사용자도 블루스크린이 뜨면 에러코드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편이 좋다.

<윈도우8, 윈도우8.1 윈도우10 에러코드의 위치>
블루스크린은 대단히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했다는 증거다. 한두 번 블루스크린이 나타난 것은 웃어 넘길 수 있다. 하지만 짧은 시간 내에 주기적으로 블루스크린이 나타나는 것은 윈도우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님을 경고하는 것이다. 시스템 전반에 걸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것일 수도 있다.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고, 윈도우를 재설치(포맷)하는 것을 추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3932 2024.04.14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4977 2024.02.14
5309 일반 형님들 도와주십쇼 (컴퓨터) 5 😀컴덕297 43 2019.02.07
5308 일반 비상장 주식 몇 종목 샀는데 5 😀컴덕272 880 2016.04.16
5307 일반 공유기 좋은걸로 바꾸면 방이 멀어져도 잘 잡힐까? 4 😀47850325 491 2022.05.19
5306 일반 19) 여잔데 요즘 성욕 미침 4 😀컴덕265 127 2019.02.07
5305 일반 usb 메모리 수명 관련 질문입니다 3 😀익명510 4131 2023.01.24
5304 일반 나 혹시 사이코패스냐 3 😀컴덕042 32 2019.02.07
5303 일반 크롬에서 매번 각종 Active를 새로 설치하는건 해결 못하나요? 3 😀컴덕657 31 2019.01.22
5302 일반 파워 질문있습니다 3 😀컴덕069 26 2019.01.22
5301 일반 B450보드 라이젠 2600x업데이트 관련 3 😀컴덕193 35 2019.01.22
5300 일반 시디게임 주로 하는데 2600x vs 2700 3 😀컴덕188 33 2019.01.22
5299 일반 컴고수님들께 질문 2 😀컴덕321 690 2024.03.15
5298 질문 메모리 관련 문의 2 file 😀컴덕030 580 2024.01.15
5297 일반 갤럭시퀀텀2 누끼따기 어떻게하나요? 2 file 😀컴덕465 623 2024.01.15
5296 질문 hp노트북이 고장이 났는데요. 정식서비스센터 or 동네 컴퓨터 수리점 2 😀익명329 725 2024.01.06
5295 질문 ssd가 가장 안정적이고 고장 잘 안나는것은 어떤건가요 2 😀컴덕679 1046 2023.10.17
5294 질문 Micro SD 메모리 속도가 안나옵니다 ㅠㅠ 2 file 😀컴덕597 1030 2023.10.17
5293 질문 윈7 윈10 둘다 사용할때 2 😀무명의컴덕858 1125 2023.10.17
5292 질문 노트북 내장그래픽 문의드립니다.. (제품추천 포함) 2 😀컴덕862 296 2023.08.31
5291 질문 3900x에 2080ti 병목현상 2 😀컴덕070 314 2023.08.31
5290 일반 케이스를 교체했는데 먹통이 됐어요 2 file 😀컴덕105 282 2023.08.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6 Next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