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조회 수 246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수정 삭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수정 삭제
Extra Form
Ryzen Threadripper 1950X

 올해 들어 CPU의 급격한 멀티 코어 화가 진행되고있다. 물론 AMD가 3 월에 날렸다 "Ryzen 7 '이 그 발단이지만, 그 상위 버전 인'Ryzen Threadripper"더 강렬하다. 그래서 이번에는 Ryzen Threadripper 성능과 메인 보드의 실력을 살펴보기로한다.

 

멀티 코어 PC 자작을 견인하는 'Ryzen Threadripper "란 어떤 CPU인가?

 2017 년 9 월 현재 출시되고있는 모델은 3 가지 모델 (아래 표)하지만 최상위 "Ryzen Threadripper 1950X (이후 TR-1950X로 표기) '는 16 코어 32 스레드라는 강렬한 스펙 임에도 불구 않고, Intel의 「Core i9-7920X "(12 코어 24 스레드)보다 싼 13 만원대 중반에서 유통되고있다.

 
[2017 년 9 월 시점에서 Ryzen Threadripper 모델 및 사양]
  Ryzen Threadripper 1950X Ryzen Threadripper 1920X Ryzen Threadripper 1900X Ryzen 7 1800X
코어 / 스레드 16 / 32 12 / 24 8 / 16 8 / 16
베이스 클럭 3.4GHz 3.5GHz 3.8GHz 3.6GHz
부스트 최대 클럭 (4 코어) 4GHz 4GHz 4GHz 4GHz
XFR시 최대 클럭 4.2GHz (쿼드 코어) 4.2GHz (쿼드 코어) 4.2GHz (쿼드 코어) 4.1GHz (2 코어)
L3 캐시 32MB 32MB 16MB 16MB
지원 메모리 4ch DDR4-2666 4ch DDR4-2666 4ch DDR4-2666 2ch DDR4-2666
지원 소켓 SocketTR4 SocketTR4 SocketTR4 Socket AM4
TDP 180W 180W 180W 95W
PCIe 레인 수 64 레인 64 레인 64 레인 24 레인
 

 Ryzen Threadripper CPU 패키지는 지금까지 출현 한 어떤 소비자 용 CPU보다 거대하다. 거대한 히트 스프레더 아래에는 4 개의 다이 (1 기당 8 코어 16 스레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Ryzen Threadripper는 그 중 2 개의 다이를 이용하는 (다이를 전부 사용하는 것은 회사의 "EPYC"에 다름 아니다). 이 대화는 Infinity Fablic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Ryzen Threadripper의 비용의 원천이되고있다.

"CPU-Z"에서 TR-1950X의 정보를 확인합니다. 오른쪽 아래의 "Cores"및 "Threads"의 수가 각각 16과 32으로되어있는 점에 주목
Ryzen Threadripper에는 4 개의 다이가 들어 있지만, 생산하는 2 개. 다이 단체는 Ryzen 7과 5와 같은 것이지만, 다이끼리 Infinity Fablic으로 연결되어있는 것이 Ryzen과의 결정적인 차이점이다 (그림에서는 실행되지 않는 2 개의 다이는 그려져 있지 않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2 개의 다이 각각에 연결되어 CPU 전체 4 채널 DDR4 메모리를 취급 할 수있게되어 있지만, 메모리의 속도 제한은 Ryzen 일반적이다. 즉 단일 등급 메모리 모듈을 2 개 (전체 CPU에서는 2 장 +2 장) 연결 한 경우 DDR4-2666,4 장 (마찬가지로 CPU 전체 4 개 +4 개)이라면 DDR4-2133까지가된다. 또한,이 제한은 사용하는 메모리 모듈의 내성과 조합 등에서도왔다 갔다하는 점에주의하자.

 2 개의 다이 각각에 메모리 컨트롤러가 1 개씩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Ryzen Threadripper에서는 2 종류의 메모리 액세스 모드를 전환 할 수 있도록되어있다. 하나는 Distributed 또는 UMA 모드라는 것으로, 모든 코어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구별하지 않고 자유롭게 액세스 할 수있는 반면, 먼 쪽의 메모리에 액세스하는 경우 대기 시간이 희생된다. 구체적으로는 가까운 메모리는 78 나노 초인데 반해, 먼 쪽은 133 나노초 느려질 것이다.

 또 하나는 Local 또는 NUMA 모드에서 코어와 동일한 다이에 연결된 메모리 만 사용할 수있는 것. 메모리 지연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언뜻 보면 Local 모드 쪽이 좋은 것처럼 보이지만 한편, 반대편의 다이에 놓인 데이터를 필요로하는 경우는 더욱 속도 인 처벌이 걸린다. 어떤 모드가 최적인지는 처리 데이터 처리의 내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베스트 설정은 사용자가 시행 착오해야 할 것이다.

어떤 코어도 자유롭게 메모리에 액세스 할 수있는 것이 Distributed 모드. 지연은 희생되지만, 넓은 메모리 공간을 자유 자재로 사용할 수
코어와 동일한 다이에 연결된 메모리에만 액세스 할 수없는 것이 Local 모드. 낮은 대기 시간이 필요한 작업에는 효과가 있지만, 넓은 메모리 공간에 액세스하는 처리라고 오히려 느리게

 이 메모리 액세스 모드가 UEFI 설정도 변경되지만, AMD 공식 OC 도구 "Ryzen Master」에 수시로 변경할 수있다. 사실이 Ryzen Master 이야말로 Ryzen Threadripper 다루어의 열쇠를 쥐고있는 것이다.

 Ryzen Master 창 하단에 "Creator Mode ','Game Mode"라는 탭이 줄서있어 탭을 선택하고 화면 오른쪽 상단에 나타나는 "Apply"버튼을 클릭하여 전환된다 (재시작). Creator 모드는 기본 설정과 동일하며, CPU의 코어가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도 Distributed 모드에서 동작한다.

Ryzen Master 화면. 화면 하단에 Creator와 Game 모드 탭이 늘어선

 단, 일부 소프트웨어 (설계 오래된 게임 등)에서 코어 수가 많다고 시작하지 않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도있다. 그 때 활약하는 것이 Game 모드이다. Creator 모드로 전환까지 (또는 "Cores Disabled"를 0 Cores 때까지) 코어 수는 절반으로 줄어 메모리도 Local 모드가된다. 16 코어 32 스레드 TR-1950X에서 Game Mode를 사용하면 8 코어 16 스레드. Ryzen 7 1800X와 같은 스펙이 될 것이다. 비활성화 된 코어는 당연히 시스템에서도 보이지 않게되지만, 메모리 탑재량이 반감하는 것은 아니다.

Game 모드를 선택하면 메모리 액세스 모드가 Local되고, 또한 「Core Disabled "항목이"4 Cores "된다 (이것은 다이 당 무효화 수 같고, 2 다이이므로 실제로는 8 코어 이 무효화된다)
TR-1950X 기본 (Creator 모드) 상태에서 작업 관리자를 열어 보면 32 개의 논리 코어 분의 매스가 나타날
TR-1950X를 Game 모드로 전환 후 작업 관리자를 보면 코어 수는 절반의 16 코어로 줄어든다. SMT가 비활성화되어 실제 16 코어가 아닌 물리적 코어 8 기가 비활성화 된 논리 16 코어로되어있다

저면이 뛰어난 X399 플랫폼

 Ryzen Threadripper가 현재의 Intel 제 CPU에 비해 ​​압도적으로 뛰어나다는 CPU 코어 단가 만이 아니다. CPU에 직결되는 PCI Express 버스 차선 수가 어떤 모델에서도 64 레인과 매우 많다. 중 4 레인은 칩셋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거의 60 레인이지만, 그래도 Core X 시리즈의 28 레인과 40 레인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굵다. 멀티 GPU 환경을 이용하면서 M.2 NVMe SSD와 확장 카드 종류도 폭넓게 이용하고 싶은 사람 전용의 CPU라고 할 수 있겠다.

 이 Ryzen Threadripper에 대응하는 칩셋은 "X399"소켓 "SocketTR4"가된다. CPU 소켓이 거대한 때문에 ATX 마더에도 부품 실장 면적에 큰 제약이 생긴다. 따라서 제조업체의 설계에 좀 더 불문된다.

Ryzen Threadripper + X399 칩셋의 시스템도. 비디오 카드는 최대 4 개 (최대 x16 / x16 / x8 / x8 연결), M.2 NVMe SSD는 최대 3 개를 CPU 측에 직결있다. X399 측은 대부분 USB 나 Serial ATA 인터페이스를 위해 있지만, 리 드라이버 칩을 통해 USB 3.1 Gen2와 Gen1을 인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싶다
SocketTR4 매우 크기 때문에 주변 회로 나 부품 배치가 좁아 것을 알 것이다
Ryzen Threadripper 소켓에 고정 방법도 독특하다. 먼저 소켓 커버의 얇은 레일에 끼 우고 아래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소켓 측에 잡으면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착지한다. CPU 측의 전극이 4,000 개 이상 있기 때문에 미묘한 위치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
SocketTR4에는 레버는 존재하지 않고, 3 개의 T20 나사 소켓 바탕으로 단단히 고정한다. 따라서 Ryzen Threadripper 패키지는 T20를 돌기를위한 톡스 드라이버가 포함되어있다. 이 드라이버가 제자리에 표류하게 될 때까지 조여 삼키지해야한다
 
X399 어머니는 8 핀 EPS12V 커넥터를 2 계통과 디자인이 주류. 한쪽에서 움직이는 것은 있지만, OC 때로는 모두 사용하는 것이 추천되고있다

 또한 X399 마더 탑재 가능한 CPU의 TDP가 180W 매우 높기 때문에 CPU에 전력을 공급하는 8 핀 EPS12V 커넥터를 2 개 또는 EPS12V + ATX12V (8 + 6 핀) 구성하고있는 것이 주류이다. EPS12V 1 개만으로도 작동하지만, OC시 동작이 불안정해질 가능성도있다.

 Ryzen Threadripper을 움직이는 것만면 600W 정도의 파워 서플라이로도 괜찮지 만, Ryzen Threadripper 구입시 EPS12V를 2 계통 낼 전원 공급 장치 (필연적으로 800W 이상 짜지)도 구입해야 할 것이다.

 
Ryzen Threadripper 패키지는 Asetek이 OEM 원래의 간이 수냉 유닛을 SocketTR4에 고정하기위한 특별한 어태치먼트가 동봉된다. 워터 블럭의 형상이 기어 형이라면 문제없이 장착 가능하다

 CPU 쿨러에 관해서도 조금주의가 필요하다. SocketTR4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기존의 공냉 쿨러는 극히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간이 수냉 유닛은 CPU에 부착이 포함되어있어이를 이용하면 기존의 LGA115x 및 2011 용 제품을 연결할 수있다. 부착이 가능한 간이 수냉 유닛은 OEM 원래이 Asetek이며 워터 블럭의 형상이 기어 형인 것이 조건이지만, 이것은 많은 간이 수냉 유닛이 해당된다. SocketTR4 대응의 공냉 쿨러도 전무는 아니지만, CPU 소켓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여유가없는 어머니가 많기 때문에 간이 수냉 유닛 쪽이 모든면에서 무난하다.

 그러나 첨부 파일을 이용하여 간이 수냉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워터 블럭이 차게 범위는 CPU 중앙 극히 제한된 영역에 한정된다. Ryzen Threadripper의 OC를 생각하고 있다면, 회사에서 발매되는 Ryzen Threadripper를 풀 커버 할 수있는 워터 블럭을 갖춘 CPU 쿨러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Ryzen Threadripper의 성능은?

 는 Ryzen Threadripper는 いかほど의 성능을 발휘 하는가? 다양한 벤치 마크를 통해 확인하고 싶다. 이번에 준비한 검증 환경은 다음과 같이된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 Ryzen 7 1800X를 준비 TR-1950X의 Game Mode (그래프 중은 "TR-1950X Gaming"로 표기)과 얼마나 다른지도 확인한다.

 Ryzen 계의 CPU를 사용하는 경우 표준 Windows 전원 관리 "균형"대신 AMD가 출시 한 "Ryzen Balance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되어있다. 검증 시점에서 Ryzen Threadripper 칩셋 드라이버는이 계획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지만, 검증에 사용한 마더 (나중에 자세히 소개한다) 드라이버 CD에수록되어 있던 "AMDPPMSettings.exe"를 사용하면 Ryzen Balanced 환경을 구축하고있다.

 

 

[검증 환경]

CPU : AMD Ryzen Threadripper 1950X (3.4GHz, 최대 4GHz), AMD Ryzen 7 1800X (3.6GHz, 최대 4GHz) 
메인 보드 : MSI X399 GAMING PRO CARBON AC (AMD X399), AMD X370 탑재 메인 보드 
메모리 : Corsair CMU16GX4M2A2666C16R (DDR4-2666 8GB × 2) 
비디오 카드 : GeForce GTX 1080 Founders Edition 
스토리지 : Crucial CT525MX300SSD1 (Serial ATA SSD, 525GB) 
전원 공급 장치 : SilverStone SF850F-PT (850W, 80PLUS Platinum) 
OS : Windows 10 Pro 64bit 버전 (Creators Uptade) 
전력계 : 라톡 시스템 REX - BTWATTCH1

 

 Ryzen Threadripper 같은 멀티 코어 CPU의 처리 성능을 활용하기 쉬운 것은 CG 렌더링이다. 우선 "CINEMA 4D '를 기반으로 한 벤치 마크"CINEBENCH R15」의 점수를 비교한다.

「CINEBENCH R15」의 점수

 멀티 코어 테스트 점수의 차이를 보면 16 코어 32 스레드 TR-1950X의 굉장함은 일목요연하다. 멀티 스레드 처리가 유효한 소프트이면 TR-1950X는 현재 비용 최강의 CPU라고해도 좋을 것이다. TR-1950X의 Game 모드와 Ryzen 7 1800X의 점수가 비슷한 점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싶다.

 하지만 Ryzen 7의 연장 선상에있다 TR-1950X도 단일 스레드 점수는 160 전후로 약간 낮은. Ryzen 7 1800X와의 비교에서도 큰 차이는 없다.

 CINEBENCH R15 너무 정평 벤치 지나서 벤치 대책이되어있는 것은 ......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V-Ray Benchmark」도 실시했다. 테스트는 CPU와 CUDA에 따르면 CG 렌더링 시간을 측정 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CPU의 처리 시간만을 비교한다.

"V-Ray Benchmark」의 처리 시간 (CPU 만 측정)

 여기에서의 결과도 CINEBENCH R15와 거의 같다. 다만 이쪽은 처리 시간 그래프이므로 그래프의 띠가 짧은 쪽이 뛰어난 CPU 셈이다. CG 크리에이터가 렌더링 속도를 단축하고 싶다면 Ryzen Threadripper 매우 효과적인 선택이라 할 수 있겠다.

 다음은 종합 벤치 마크 "PCMark 10"로 비교한다. 가장 많은 항목을 테스트하는 "Exteneded"테스트를 실시했다. 종합 점수만으로는 어떤 작업에서 차가했는지 알기 어렵 기 때문에, 각 시험 항목의 점수도 비교 해보자.

"PCMark 10" "Extended"종합 점수
전술의 「PCMark 10」을 실시했을 때의 테스트 별 점수

 우선 종합 점수에서는 TR-1950X보다 Ryzen 7 1800X의 점수가 높다. TR-1950X를 Game 모드로해도 점수 차이는 거의 줄어들지 않았다. 이 차이는 어디있는지를 조사한가 두 번째 그래프이다. 우선 Ryzen 7 1800X는 라이트 유스를 의식한 "Essentials"시험 및 비즈니스 유스를 의식한 "Productivity"테스트에서 좋은 결과를 거두고있다. 분명히이 테스트에서는 메모리 레이턴시가 중요하게 TR-1950X의 Game 모드도 이에 따른다. 단지 응용 프로그램 시작 속도를 측정하는 "App Start-up"테스트에만 Ryzen 7이 출중하고, 아무래도이 점수 차이로 직결되어있는 것 같다.

 한편 처리 무거운 "Digital Contents Creation"테스트는 TR-1950X가 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3DCG 렌더링 처리도 추가했다 "Rendering and Visualization"테스트에서는 CINEBENCH R15 정도의 임팩트있는 결과는 낼 않았다. 이 근처가 PCMark 10 Ryzen Threadripper 점수가 늘지 않는 이유가 아닐까.

 이어 크리에이티브 계 처리 중에서도 멀티 코어 CPU가 자랑하는 동영상 인코딩 성능을 비교하고 싶다. 우선 Adobe의 "Premiere Pro CC 2017 '에서 편집 한 4K 동영상 (재생 시간 3 분)을"Media Encoder CC 2017'에서 4K H.264 비디오 인코딩하고 내 시간을 측정한다. bit rate는 10Mbps의 VBR로 1 패스 및 2 패스 처리 각각의 경우도 확인했다.

"Media Encoder CC 2017 '에 따르면 4K 동영상 내보내기 시간

 멀티 스레드 처리가 효과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추세 적으로는 V-Ray Benchmark에 가까운 것이되었다. Ryzen 7 1800X의 2 배 가까운 가격 TR-1950X하고도 단축 할 수있는 것은 1 ~ 2 분이라는 점은 일반 사용자에게는 조금 어려울지도 모르지만, 재생 시간이 긴 작품이되면 더 시간 차이는 열 . 대기 시간을 1 초라도 단축하고 싶은 크리에이터에게는 Ryzen Threadripper 효과적인 CPU라고 할 수 있겠다.

 계속해서 "TMPGEnc Video Mastering Works 6 '을 사용했다. 여기에서 재생 시간 3 분의 AVCHD 동영상을 MP4 포맷으로 내보낼 시간을 측정했다. 코덱은 x264 (H.264) 및 x265 (H.265)를 이용하여 모두 25Mbps의 2 패스 VBR로 인코딩하고 (그렇지 매개 변수 값은 기본값).

"TMPGEnc Video Mastering Works 6 '에 따르면 MP4 내보내기 시간

 이 테스트에서도 TR-1950X (Creator 모드)가 단연 빠르고 Ryzen 7 1800X에 대해 약 4 분 (H.264시) 빨리 마무리하고있다. TR-1950X의 Game 모드라고 Ryzen 7 1800X보다 약간 느린 값이 나오고 있지만, 1800X 쪽이베이스 클럭이 200MHz 높은 것으로 더욱 Game 모드와 세트로되어있는 메모리의 Local 모드와이 소프트웨어의 궁합이 나쁜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제 게임 성능 성능 비교에 들어 가자. 우선 정평 "3DMark"를 사용하지만, "Fire Strike"및 "Time Spy"를 사용했다. 비디오 카드는 GeForce GTX 1080 Founders Edition이므로 적당히 좋은 점수를 기대할 수 있지만 CPU의 처리 성능이 어디까지 영향을 미치는지를 볼 것이다.

"3DMark" "Fire Strike"점수
"3DMark" "Time Spy"점수

 이 벤치는 CPU를 이용한 물리 연산 처리가 점수에 가산되므로 논리 코어 수가 많은 TR-1950X는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Fire Strike는 Graphics 점수는 큰 차이가 없지만 CPU가 물리 연산을 실시하는 Physics와 Combined에서 TR-1950X가 큰 차이를 붙이고있다. TR-1950X의 Game 모드가 Ryzen 7 1800X와 큰 차이없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DirectX 12 기반 테스트 인 Time Spy에서도 같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실제 게임 기반의 벤치에 들어간다. 우선 정평 "Overwatch '의 프레임 속도를'Fraps '에 비교했다. 화질은 GPU가 병목 현상 어려워 CPU의 차이가 쉽도록 "높음"으로 렌더 규모도 100 %로 고정. 맵 "King 's Row"의 Bot 매치 플레이시에 테스트를 실시했다. 또한 해상도는 풀 HD / WQHD / 4K의 3 가지로했다.

"Overwatch"1,920 × 1,080 프레임 레이트
"Overwatch"2,560 × 1,440 도트 프레임 레이트
"OverWatch"3,840 × 2,160 도트 프레임 레이트

 3DMark의 결과와는 달리,이 게임에서는 기본 클럭의 다소 높은 Ryzen 7 1800X 전체에 좋은 결과를 거두었 다. 풀 HD라고 최소 fps가 120fps를 초과 때문에 알아 채지 만, 4K되면 CPU의 선택이 60fps 유지가 가능 · 불가능 라인에 걸쳐 온다. 단지 TR-1950X에서도 Game 모드로하면 메모리 레이턴시의 개선에 의해 비교적 Ryzen 7 1800X에 가까운 상태에서 플레이 할 수있는 것 같다.

 계속해서 DirectX 12 전용 게임 인 'Gears of War 4'에서 시도한다. 화질은 "높음"으로하고, 게임의 벤치 마크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Gears of War 4"1,920 × 1,080 프레임 레이트
"Gears of War 4"2,560 × 1,440 도트 프레임 레이트
"Gears of War 4"3,840 × 2,160 도트 프레임 레이트

 그래프 중 "Avg"라는 문구가 화면의 평균 프레임 속도 "Avg (CPU)"는 렌더링 처리시 CPU 측 처리의 평균 프레임 속도 "Min 5 %"는 화면의 프레임 속도의 최저치 5 % 이상 점 (95 퍼센트 포인트)를 나타낸다.

 이 게임에서도 Ryzen 7 1800X가 정상에 올랐다 있지만, Overwatch 정도의 차이는 가진 않고 TR-1950X의 기본 (Creator 모드)에서도 꽤 좋은 승부를하고있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Avg (CPU)의 값을 미친다는 GPU가 병목 분, CPU가 놀고있는 (무의미한 처리를 반복)을 나타내고있다.

 마지막으로 DirectX 11 기반하면서 멀티 코어 CPU에서도 골고루 부하를 걸어주는 게임으로 "Watch Dogs 2"를 시험해 본다. 화질은 "높음"으로하고, 필드 위의 일정한 코스를 이동했을 때의 프레임 속도를 'Fraps'로 측정했다.

"Watch Dogs 2"1,920 × 1,080 프레임 레이트
"Watch Dogs 2"2,560 × 1,440 도트 프레임 레이트
"Watch Dogs 2"3,840 × 2,160 도트 프레임 레이트

 Overwatch에서 신산을 핥았 다 TR-1950X 이었지만, Watch Dogs 2의 풀 HD는 결국 Ryzen 7 1800X를 웃도는 결과를 보였다. Ryzen Threadripper 그래서 게임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게임 제작 자체가 멀티 코어 CPU를 향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포인트 인 것이다. 해상도가 WQHD 이상이되면 Ryzen 7 1800X에 따라 붙지되어 버리지 만, 이것은 그래픽 처리가 무겁고 GTX 1080에서는 처리가 따라 붙지 않게된다 때문이라고 짐작할 수있다.

 마지막으로 소비 전력도 비교해보고 싶다. 고성능 것은 좋은 일이지만, 와트 성능이 나쁘면 평가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서는 시스템 시작 10 분 후를 "유휴" "OCCT Perestroika v4.5.1"의 "CPU Linpack"테스트 (64bit, AVX 모든 논리 코어 사용)을 30 분 걸었을 때의 피크 값을 "고부하시 "라고하고있다.

시스템 전체의 소비 전력

 이번 Ryzen 7 1800X 위해 준비한 X370 어머니에 비해 TR-1950X를 위해 준비되는 MSI 제 어머니는 장비도 호화롭고 장치 개수도 많다. 따라서 아이들시의 소비 전력은 상당히 높아지고있다. 그리고 논리 코어 32 개를 전력으로 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고부하시의 소비 전력이 높은 것도 당연하다 (다만 그래도 300W를 초과하지 않는 점은 평가할 수있다). 하지만 Game 모드로하면 유휴 거의 함께 (엄마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하지만 코어 수가 절반이되기 위해 고부하시의 소비 전력은 Ryzen 7 1800X에 가깝 점이 재미있다.

 이상에서 Ryzen Threadripper 벤치 마크는 종료하지만, 마더 선택에 고민하고있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래서 이번 테스트에 사용되는 MSI 제품 마더 'X399 GAMING PRO CARBON AC "의 리뷰도 제공하고 싶다.

Ryzen Threadripper 자작에 적합한 MSI 'X399 GAMING PRO CARBON AC "

Ryzen Threadripper 자작하려면 X399 어머니가 필요합니다. 특히 MSI 'X399 GAMING PRO CARBON AC "가 추천이다. 실매 가격은 50,000 엔 전후

 Ryzen Threadripper 멀티 스레드 성능은 매우 높지만, 그 성능을 최대한 끌어 내려면 확실한 품질의 어머니가 필수적이다. CPU에서만 13 만엔의 매니아 용 CPU이므로, 어머니도 기합을 넣어 선택하고 싶다.

 그래서 이번에는 Ryzen Threadripper 기계의 자작에 딱 MSI 제 X399 탑재 메인 보드 "X399 GAMING PRO CARBON AC"를 소개한다.

 

 X399 GAMING PRO CARBON AC에서 우선 눈에 들어오는 것은 탄소 소재 바람의 질감을 다룬 히트 싱크와 IO 실드이지만, 특히 CPU 옆의 전원부 방열판이 크다는 것을 알아 차렸다. OC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원 회로의 다 단계 화는 불가피하지만 소켓의 거대한 X399 어머니는 전원부를 작게 정리해야 회로의 냉각이 중요하다. 이 X399 GAMING PRO CARBON AC는 전원부 높이 방열판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대형 공냉 쿨러를 사용하는 경우 간섭에주의를 기울일 필요가있을 것이다.

 이 방열판 아래에는 10 단계 분의 회로가 구현되어있다. 8 단계의 메인 보드 X399 어머니의 주력 인 것을 생각하면이 추가 2 단계는 MSI의 고집을 느끼게 (추가 메모리 슬롯 측에도 3 단계 구현되어있다).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도 "DARK CAP 콘덴서"또는 "TITANIUM CHOKE II 코일"등 회사의 "Military Class 6"기준을 충족 고품질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전원부 방열판의 높이가 기판 표면에서 43mm. CPU 소켓 옆 방열판은 매우 대형의 것을 채용하고있다
X399 GAMING PRO CARBON AC 전원 회로 소켓 옆에 10 단계 메모리 슬롯 옆에 또한 3 단계, 사정 13 단계의 초 중후 한 디자인이다

 CPU 주변에는 DDR4-3600을 지원하는 DDR4 메모리 슬롯이 8 개, 확장 슬롯은 PCI Express 3.0 x16이 4 개, 동 2.0 x1 2 개. 보드의 대부분이 어떤 슬롯에 묻혀 있다고 무방하다. 각 슬롯은 Steel Armor으로 덮여 있으며, 노이즈 내성과 강성이 강화되고있다. Ryzen Threadripper은 어떤 모델이라도 CPU 측의 레인 수는 64이므로 하단 슬롯까지 보이는대로의 스펙을 발휘 해주는 것은 매우 믿음직한. 1 번째 x16 슬롯 옆에는 PCI Express 용 6 핀 전원 커넥터도 설치되어 있으며, 여러 비디오 카드 장착시의 전력 부족을 보충하도록되어있다.

메모리 슬롯은 모두 강철로 강화 된. 기판의 왜곡을 방지 할뿐만 아니라 노이즈 내성도 강화 작용이있다
PCI Express 3.0 x16 슬롯은 4 개. 이쪽도 스틸로 강화 된
함께 제공되는 무선 LAN 카드와 안테나는 PCI Express x1 슬롯에 장착한다. 무선 모듈은 친숙한 Intel 제 「Dual Band Wireless-AC 8265 '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X399 GAMING PRO CARBON AC는 PCI Express 2.0 x1 슬롯이 2 개 있는데 이것에 장착하는 IEEE802.11a / b / g / n / ac + Blueooth 4.2 모두 지원 무선 카드가 동봉된다. 최대 전송 속도는 867Mbps하지만 유선 LAN의 끌고 다니기가 어려운 장소에도 설치할 수있게되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오르는 점은 평가하고 싶다.

 
대부분 USB 포트에 묻힌 IO 패널. 가장 왼쪽의 2 기가 USB 2.0, 유선 LAN 단자 아래가 USB 3.1 Gen2 대응의 Type-A와 C 단자가된다. 현대적인 디자인의 마더이지만 키보드 연결을위한 PS / 2가 남아있는 점이 흥미 롭다
IO 패널의 USB 포트의 뒷면에있는 "VR Boost"칩은 VR 글라스에 소음이 적고 장거리 전송 용의 강한 신호를 발송 칩이다
USB 3.1 Gen2에 ASMedia 제 "ASM3142」, Type-C 용은"ASM1543 "을 각각 장비
오디오 코덱은 Realtek 제 "ALC1220" 좌우 채널에서 기판의 배선층을 바꾸거나 아날로그 부를 분리하는 등의 노력으로 고음질을 추구하고있다
사운드 미들웨어는 MSI 제 노트 PC에서도 친숙한 "Nahimic2 +" 게임의 장르별 음향 특성과 가상 서라운드 기능의 유무를 전환 할 수있다

 X399 GAMING PRO CARBON AC는 저장 주위도 강력하다. Serial ATA 3.0 포트 8 개, PCI Express 3.0 x4 연결 M.2 슬롯 (Serial ATA를 지원) 3 개를 장착하기위한 유연한 스토리지 구성에 대응할 수있다. 특히 읽기와 쓰기 성능을 중시하고 싶다면 3 개의 M.2 슬롯에 M.2 NVMe SSD를 연결하여 RAID 0 운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주목할만한 M.2 슬롯 모두에 "M.2 Shield"라는 표지가 붙어있는 것. 현재의 M.2 NVMe SSD는 높은 읽기 및 쓰기 성능의 절충으로 읽고 처리시에 고온이되기 쉽고 큰 파일을 처리하면 열 스로틀 링이 걸려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많다. M.2 Shield는 단순한 커버가 아닌 뒷면에 열전도 시트가 부착되어있어 커버 전체가 히트 스프레더로 작동한다. 별도 M.2 용 방열판을 구입하지 않고도 좋은뿐만 아니라, 장착시 전체의 색조를 끊지 않는다는 장점도있다.

M.2 슬롯 3 개 장비. 좌우는 Type 2280까지 중앙은 Type 22110 모듈의 장착에 대응한다. 이 M.2 슬롯은 모든 금속 커버 "M.2 Shield」가 부속된다 (필요하지 않다면 쉽게 분리)
M.2 Shield의 뒷면에는 열전도 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직하의 SSD에 밀착한다. M.2 SSD 방열판을 사지 않아도 좋네요

 그럼 실제로 어느 정도 M.2 Shield가 SSD의 냉각에 효과가 있는지 테스트 해 보자. 이번에는 Intel 제의 "SSD 600p"의 512GB 버전 (SSDPEKKW512G7X1)를 D : 드라이브로 추가하고 용량 47GB의 폴더를 C : 드라이브에서 복사 한 때의 온도 (최대 값)을 비교한다. 비교 대상으로 SSD 600p를 M.2 Shield없이 장착 한 상태 및 나가오 제작소 제의 M.2 SSD 용 히트 싱크 "SS-M2S-HS02 '를 장착 한 상태 (그래프에서는"방열판 "로 표기)에서 측정 했다. M.2 슬롯은 22110 모듈에 대응 한 중앙의 슬롯을 사용하고있다. 또한 온도 측정은 "HWiNFO64"의 "Drive Temperature"에서 취득했다.

M.2 NVMe SSD의 온도. "유휴"시스템 시작 10 분 후의 값을 나타내는

 이번 테스트에 사용 된 두 번째 M.2 슬롯은 M.2 Shield 자체가 큰 일도 도와 상용 M.2 SSD 용 히트 싱크보다 온도 상승이 어려운 디자인이다 것으로 나타났다. 더 대형 (높이가있는)의 M.2 SSD 용 히트 싱크에 비해 좀 더 접전이 될 가능성은 있지만, 추가 비용 제로하고 디자인의 통일감을 유지하면서 냉각 능력을 높일 수있는 점은 매우 평가 하고 싶은 곳이다.

 덧붙여서, 각 구성에서의 복사 시간은 다음과 같이된다. M.2 Shield 단단히 SSD의 온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복사 시간도 알몸 상태보다 훨씬 짧아지고있다. 열에 의한 SSD에 손상을 걱정한다면, 꼭 활용해야 할 것이다.

47GB의 폴더를 M.2 NVMe SSD 측에 복사하는 시간 (스톱워치로 측정)
 
어머니에 설치된 Game Boost. 전원 투입시의 Stage에 따라 자동으로 OC된다

 X399 GAMING PRO CARBON AC는 오버 클러킹 기능도 제대로 포함되어있다. UEFI 설정 및 Windows에서 작동하는 도구 "Command Center"또는 위의 "Ryzen Master"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기판 상에 실장되는 손잡이 "Game Boost '도 이용할 수있다. 전원 투입시의 포지션 (Stage라고 부른다)에 따라 자동으로 OC이 걸린다는 것이다. Game Boost의 Stage는 여덟 있으며 기본 위치는 정격 시계 방향으로 돌릴 때마다 시계가 올라간다. Stage 당 클럭의 단위는 탑재하는 CPU에 따라 다르지만, OC의 성공 · 실패는 CPU OC는 내성과 CPU 쿨러의 성능 등에 영향을받는 것은 물론이다.

 
Game Boost 손잡이 위치 (Stage)와 OC 설정의 관계. TDP의 관계 나 코어 수가 적은 CPU 정도로 강하게 OC되는 것을 알 수있다 (설명서에서 발췌)

 이 기능에 관해서도 실제로 테스트 해 보았다. Stage 1 ~ 10는 1 포지션의 간격이 0.05GHz로 매우 작기 때문에 기본 0에 대해 4 (3.85GHz)와 8 (3.95GHz)의 2 단계에서 어느 정도 성능이 기지개하거나 시도했다. OC시 발열에 대항하기 위해 Stage 4 및 8은 CPU 쿨러의 팬 속도를 100 % 고정으로 설정하고있다. 이것은 표준 상태에서 CPU 온도 (Tctl)가 100 ℃에 쉽게 도달 해 버려, 성능이 성장 않았기 때문이다.

 테스트는 「CINEBENCH R15」및 「TMPGEnc Video Mastering Works 6 "로 행한다. 테스트 조건은 전술과 같다.

「CINEBENCH R15」의 점수를 Game Boost의 Stage별로 측정
"TMPGEnc Video Mastering Works 6"의 처리 시간을 Game Boost의 Stage별로 측정
Stage 4로 설정하면 작업 관리자는 유휴 상태에서도 4.3GHz 부근에서 동작
Stage 8 설정은 4.5GHz 부근이었다

 테스트가 비교적 짧은 기간 CINEBENCH R15는 Stage를 올릴수록 점수가 순조롭게 성장하고 있지만, 부하가 장시간 계속하는 TMPGEnc는 효과가 없다 커녕 오히려 느린 경향 마저 보였다. 이번 검증에 사용한 간이 수냉 유닛은 TR-1950X의 중심 부분 만 커버 할 수 없기 때문에 분명 냉각이 늦지 않은 것 같다. 본 기기 Game Boost를 잘 다루고 싶다면 Ryzen Threadripper의 히트 스프레더의 전역을 커버하는 SocketTR4 용 쿨러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 였지만, 손잡이의 설정 이외에 아무것도하지 OC있는 것은 매우 손쉽게 할 수있다.

 최근 마더는 "매료"도 중요한 요소이다. X399 GAMING PRO CARBON AC에서도 칩셋 커버 및 IO 실드가 빛나는뿐만 아니라 마더 뒷면 Serial ATA (근처)에 Underglow LED가 내장되어있다. 또한 어머니에는 표준적인 LED 테이프 (5050,12V 입력)를 장착 핀 헤더뿐만 아니라 WS2812B 등의 주소 지정 가능 한 LED를 사용한 LED 테이프 (5050,5V 입력) 용 핀 헤더도 갖춘다. LED 컨트롤은 MSI 고유 도구 인 'Mystic Light "를 사용 점은 동사의 최근 어머니와 함께이다.

어머니의 LED 및 LED 테이프의 발광 제어는 Windows에서 작동하는 'Mystic Light "에서 집중 관리
5050 LED 테이프 2 개 장착 할 수 있지만, 오른쪽 JRAINBOW1 헤더에 주소 지정 가능 한 LED 테이프를 장착하면 LED가 움직이는 조명 등에 대응할 수있는
최근 유행이다 Underglow LED를 탑재. 이 부분의 LED가 JRAINBOW1 헤더에 연결하는 LED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점등이 가능하다
LED를 점등 한 상태. LED는 여러 블록으로 나누어 져 있으며, 블록마다 점등 패턴이나 발광 색상을 지정할 수
발광 기능과는 관계 없지만, X399 GAMING PRO CARBON AC는 칩셋 방열판 등에 붙이는 커버를 교체 할 수있다. 발광 기능 하데인데 기판이 검은 색 계통으로 시시한을 느끼면 교환 해 보는 것도 재미 있을지도 모른다

요약 : 코스 파의 좋은 멀티 코어 PC를 원한다면 Ryzen Threadripper과 'X399 GAMING PRO CARBON AC "의 조합이 추천

 길어졌지만, Ryzen Threadripper의 특징과 대단함, 그리고 X399 GAMING PRO CARBON AC 매력이 전해진 것은 아닐까. 가격 인상이 들어 해외와의 부 자연스러운 "자작 환율 격차"가 해소되었다고는해도, Ryzen Threadripper에서 짤에는 그만한 지출을 강요된다. 초보자에게도 추천은 결코 말할 수 없지만, 코스 파의 좋은 멀티 코어 PC를 원하는 사람들, 특히 동영상 편집이나 CG 작성 등 크리에이티브 계 처리 중심의 사람, 심지어 게이머 중에서도 동영상 전송이나 동영상 편집까지 1 대의 PC에서 완결시키고 싶은 사람에게는 Ryzen Threadripper 매우 매력적인 CPU라고 할 수 있겠다.

 이번 테스트에 사용 된 X399 GAMING PRO CARBON AC 결코 저렴한 마더은 아니지만, M.2 Shield와 Game Boost 등 즉시 전력이 될 장비와 다양한 LED 대응 등 지금의 자작 트렌드를 제대로 채용하면서, MSI만의 안정감을 맛볼 수있는 양질의 메인이라 할 수있다. 앞으로 Ryzen Threadripper에서 하나 짜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면 꼭 X399 GAMING PRO CARBON AC를 선택 해보는 것은 어떨까.


컴퓨터/노트북/인터넷

IT 컴퓨터 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방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날짜
공지 뉴스 구글 최신 뉴스 file 1384 2024.12.12
HOT글 일반 아 진짜 요새 SKT 해킹 뭐시기 때문에 신경 쓰여 죽겠어 ㅠㅠ 2 new 121 2025.05.20
공지 사랑LOVE 포인트 만렙! 도전 4642 2025.03.19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2 25845 2024.11.04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431 2025.01.21
10640 일반 Synology의 4 베이 NAS 장비 "DiskStation DS416j" 1456 2016.02.08
10639 일반 태블릿 PC의 충전을하면서 주변 기기를 사용할 수있는 OTG 지원 USB 허브 1434 2016.02.08
10638 일반 카페베네 상장 난항에 투자자 눈물 776 2016.02.15
10637 일반 주식, 욕심은 화를 부르고. 그 화는 고스란히 가족들에게 짜증을 부릴겁니다 789 2016.02.22
10636 일반 원익IPS 추천합니다 676 2016.02.22
10635 일반 장이 너무 안좋네요 ㅜㅜ 707 2016.02.22
10634 일반 주식투자와 관련된 주식명언 999 2016.02.22
10633 일반 i5-6600 i5-6500 비교 1 1434 2016.02.22
10632 일반 ssd좀봐주세요 2 906 2016.02.27
10631 일반 크라운제과 어떻게 보시나요? 458 2016.02.28
10630 일반 흑자예상하며 기다린보람이 있군 471 2016.02.28
10629 일반 세계 주식 주요 지수 보는곳 입니다.모르시는분들을 위해 646 2016.02.28
10628 일반 한 2월 말쯤 총선테마가 시작될걸로 예상합니다. 562 2016.02.28
10627 일반 대중관계 악화로 중국에서 돈버는 기업들 급락이네요 684 2016.02.28
10626 일반 주식 생초보인데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 515 2016.02.28
10625 일반 11시정도만 잘 넘기면 될거같은데.. 478 2016.02.28
10624 일반 요즘 한종목에 꽂혀서 분할매수하는데요. 565 2016.02.28
10623 일반 본인 명의로 핸드폰 두개 개설 하면 문제 생기나요? 1 1154 2016.03.01
10622 일반 단말기대금 일시불납 가능한가요? 1 781 2016.03.05
10621 일반 노트4 배터리 공유?? 1 1749 2016.03.05
10620 일반 금호타이어 어떻게 보시나요? 650 2016.03.05
10619 일반 해외에서 사용하던 도메인을 구입했는데 헉.. 568 2016.03.09
10618 일반 축구 페널티킥 선방 탑10 469 2016.03.12
10617 일반 SSD의 성능을 유지하기위한 유지 관리 기술 1068 2016.03.15
10616 일반 저렴한 Skylake 버전 Xeon 마더보드 'GA-X150M-PRO ECC」 874 2016.03.15
10615 일반 G5 vs S7 1 626 2016.03.18
10614 일반 스테레오믹스 소리가 안납니다 1 1104 2016.03.19
10613 일반 스피커를 항상 켜 놓는데요. 노이즈??? 소리가 납니다. 1 850 2016.03.19
10612 일반 M2 메모리 추천 1 911 2016.03.19
10611 일반 모니터 단자 HDMI, DP & 오디오 관련 문의 1 865 2016.03.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5 Next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