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수정 삭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수정 삭제

노화는 상당한 생리적 변화를 특징으로 하며, 감소 정도는 개인마다 상당히 다릅니다. 개인의 수명 동안 내재적 능력을 보존하는 것은 건강한 노화에 필수적입니다. 독립적인 움직임 능력을 수반하는 운동은 인지, 활력, 감각적 지각 및 심리적 안녕을 포함한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골격근은 이 복잡한 틀 내에서 중추적인 연결 고리 역할을 합니다. 기능에 대한 어떠한 교란도 신체적 성능 저하 및 허약함에 대한 감수성 증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그네슘은 인체 내 약 800개의 생화학 반응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필수 미네랄입니다. 독특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포 반응과 세포소기관 기능의 조율에 없어서는 안 될 안정화 요소가 되어 근육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체할 수 없습니다. 이 서술적 리뷰는 골격근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마그네슘이 하는 중요한 역할을 포괄적으로 탐구하며, 건강한 노화를 촉진하기 위해 최적의 마그네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합니다.

키워드: 마그네슘, 노화, 근육감소증, 허약함, 내재적 능력

1. 서론

노화는 점진적인 심박출량 감소, 혈압 상승, 폐활량 감소, 혈당 수치 상승, 뇌조직 위축, 신경전달물질 변형, 뼈와 근육량 감소, 피부 탄력과 근력 감소, 시력, 청력, 미각을 포함한 감각 기능 손상 등을 포함한 상당한 생리적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내재적 과정입니다[  ,  ,  ]. 노화와 관련된 생리적 쇠퇴의 정도는 상당한 개인 간 변동성을 보이며, 일상 및 급성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성에 근본적인 역할을 하며, 이러한 변화는 임상적으로 감수성과 연약함을 나타냅니다[  ].

건강한 노화에 초점을 맞춘 일련의 출판물에서 세계보건기구(WHO)는 내재적 역량(IC)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  ,  ]. IC는 운동, 감각, 활력, 인지 및 심리적 영역으로 구성되며 이는 개인의 신체적 및 정신적 역량에 해당합니다[  ,  ,  ,  ]. IC의 최적화 및 보존은 허약함을 예방하고 건강한 노화를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개인의 IC는 변경 불가능한 요인(예: 성별, 연령 및 유전적 요인)과 변경 가능한 요인(예: 흡연, 음주 및 식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지고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영양과 노화 간의 관계는 문헌에서 잘 알려져 있지만 [  ,  ,  ,  ,  ],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다양한 식이 패턴이 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암 및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질병의 예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  ,  ,  ,  ,  ,  ].영양, 특히 미량 영양소가 생리적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미치는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었습니다.생리적 항상성은 의심할 여지 없이 IC 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허약함 위험 감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수 미네랄인 마그네슘은 개인의 IC를 구성하는 모든 영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그림 1). 그 중요한 중요성과 독특한 물리화학적 속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화학 원소로 생리적 기능을 쉽게 대체할 수 없지만 노화 과정은 유기체 내에서 마그네슘이 점진적으로 고갈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  ]. 이러한 감소는 유기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그네슘에 대한 수요 증가, 최적이 아닌 식이 섭취, 흡수 과정에서 전형적인 연령 관련 교란을 포함한 여러 요인이 합쳐져 발생합니다[  ,  ]. 이 포괄적인 서술적 검토에서는 최근 과학 문헌에서 골격근을 보존하는 마그네슘의 역할을 다시 살펴보고 노화 중 개인의 이동성과 전반적인 생리적 웰빙에 대한 비교할 수 없고 대체할 수 없는 기여를 강조합니다.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파일. 객체명은nutrients-15-05127-g001.jpg 입니다.

내재적 용량의 5가지 영역과 마그네슘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하위 영역 [  ,  ,  ,  ,  ,  ,  ,  ]. ACTH: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TP: 아데노신 삼인산, Ca 2+ : 칼슘 양이온, GABAA: γ-아미노부티르산 A형 수용체, NMDAr: N-메틸-D-아스파르트산 수용체.

2. 마그네슘

마그네슘(Mg)은 칼륨(K)에 이어 인간 세포 내에서 두 번째로 흔한 양이온이며, 인간 유기체에서 네 번째로 흔한 원소입니다. 산화 상태는 2+입니다.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마그네슘은 수용액에 용해되거나 탄산염, 수산화물, 염화물과 같은 다양한 화합물의 필수 구성 요소로 존재할 때 원래 금속 상태보다는 주로 자유 양이온 Mg 2+ 형태로 존재합니다[  ,  ,  ,  ,  ].

마그네슘은 산화적 인산화, 에너지 생산, 저장 및 전달, 해당분해, 단백질 및 핵산 합성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포함하여 세포 내 거의 모든 주요 생화학적 및 대사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 또한 신경근 기능, 뼈 발달, 신호 전달 경로, 지질 대사 및 세포 증식을 포함하여 인간의 다양한 생리적 측면에 영향을 미칩니다[  ]. 마그네슘은 많은 DNA 복구 효소의 보조 인자 역할을 하여 게놈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결핍은 암 발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이 놀라운 원소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생성하여 Mg-ATP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 신호 전달 과정에서 단백질 인산화에 없어서는 안 될 성분입니다[  ]. 또한 마그네슘 이온은 세포막을 통한 이온 전달 촉진, 뉴런 흥분성 조절 및 근수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세포 마그네슘 항상성은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Ca 2+ 활성화 칼륨 채널 및 기타 여러 메커니즘을 포함한 다른 이온의 대사와 더욱 상호 연결됩니다[  ,  ]. 생물학적 과정에서 특정 금속의 참여는 상대적 풍부함뿐만 아니라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서도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은 높은 수용성을 나타냅니다. 다른 금속 원소에 비해 마그네슘은 비교적 낮은 이온 반경을 나타내지만 높은 수화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이온화된 마그네슘은 종종 6~7개의 물 분자와 배위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Mg와 물의 조직은 팔면체 형태를 취합니다(그림 2), 그리고 이 상호 작용은 다른 금속 이온보다 물 교환 속도가 느린 것이 특징입니다[  ]. 결과적으로 마그네슘은 나트륨, 칼륨, 심지어 칼슘과 같은 다른 양이온에 비해 크기가 더 크고 안정성이 더 높습니다[  ,  ]. 이는 칼슘이 쉽게 투과되는 좁은 생물학적 채널을 통과하는 데 마그네슘이 겪는 어려움을 설명해 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마그네슘은 채널과 수송체를 통과하기 전에 탈수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는 상당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파일. 객체명은nutrients-15-05127-g002.jpg 입니다.

마그네슘은 여러 경로를 통해 근육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점선 화살표는 안정화를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활성화를 나타내며, 끝이 뭉툭한 화살표는 억제를 나타냅니다. ATP: 아데노신 삼인산, mTOR: 라파마이신의 포유류 표적, NF-κB: 핵 인자 카파-B, RNA: 리보핵산, tRNA: 전사 RNA [  ,  ,  ,  ,  ,  ,  ,  ,  ].

마그네슘 이온은 2+ 양전하를 띠고 있어 음전하를 띤 분자와 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마그네슘은 음전하를 띤 카르복실산염, 인산염 또는 에놀레이트 부분을 포함한 산소 공여체 리간드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보인다. 다양한 화학 구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이러한 독특한 능력은 마그네슘을 세포 내 거의 모든 주요 대사 및 생화학적 과정에 참여하는 가장 다재다능한 세포 내 양이온으로 자리매김한다[  ,  ]. 일반적으로 세포의 대사 활동이 높을수록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진다. 또한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세포 내 마그네슘의 상당 부분이 리보솜, 막 및 세포질이나 핵의 다른 하전된 거대 분자와 결합을 형성하여 인체 건강에 필수적인 양이온이 된다[  ].

표 1 ,  ,  ,  ,  ]. 신체의 중요한 구획에 걸쳐 마그네슘이 분포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서 마그네슘이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합니다 .

표 1

인체 내 마그네슘 분포 [  ,  ,  ,  ,  ,  ].

위치 마그네슘 분포
총 마그네슘의 50~60%(24~29g)이며, 약 1/3이 교환 가능합니다.
연조직(근육 및 기타 장기) 총 마그네슘의 34~39%
신체의 마그네슘의 1% 미만
혈장 60% 이온화, 30% 알부민 결합, 10% 혈청 음이온(인산염 및 구연산염)과 복합화

세포 내 마그네슘의 95% 이상은 ATP, 단백질 및 음전하 분자에 결합되어 있습니다. 효소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현재 지식에 따르면 마그네슘은 600개 이상의 효소 반응에서 보조 인자 역할을 하며 추가로 200개 효소의 활성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  ,  ]. 결과적으로 마그네슘은 세포 항상성과 장기 기능에 근본적인 역할을 하며 효소-기질 상호 작용, 구조적 기능 및 막 관련 프로세스에 관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중요한 대사 경로와 세포 기능에 대한 생리적 제어를 발휘합니다[  ,  ,  ].

마그네슘 항상성은 섭취, 장 흡수, 신장 재흡수/배설, 뼈 저장 및 다양한 조직의 마그네슘 요구 사항 간의 동적 균형을 포함합니다[  ,  ,  ]. 섭취 시 마그네슘은 말단 소장에서 흡수되고 추가적인 조절 조정은 맹장과 결장에서 발생합니다. 이 조절에는 마그네슘이 장세포에 의해 흡수될 때까지 수동적인 세포간 메커니즘과 세포간 수송이 포함됩니다[  ,  ]. 예를 들어, 개인이 매일 식단에서 마그네슘 300mg을 섭취하면 장은 약 120mg을 흡수하고 약 20mg을 배출하여 약 100mg의 순 흡수량이 발생합니다[  ,  ].

Mg 2+ 의 신장 배설 속도는 주로 혈청 Mg 2+ 수치 에 따라 달라집니다 . 정상적인 조건에서 혈액 마그네슘 수치는 식이 마그네슘 섭취량이 낮을 때에도 장 흡수와 신장 배설 사이의 섬세한 상호 작용을 통해 세심하게 조절됩니다. 결과적으로 신장은 마그네슘이 과잉일 때 이를 제거하고 결핍 기간 동안 배설을 줄입니다[  ,  ]. 혈장/혈청 마그네슘 수치가 허용 가능한 생화학적 범위 내에 있더라도 마그네슘 결핍의 경우 뼈와 연조직(근육과 내장)의 세포 내 마그네슘 농도가 고갈될 수 있습니다[  ,  ]. 이러한 현상은 충분한 마그네슘이 없을 때 뼈와 조직 저장소가 세포 외액과 마그네슘을 교환하여 혈청 농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

마그네슘 섭취량이 일일 요구 사항을 약간 초과하는 경우, 식이 공급원에서 얻은 과도한 마그네슘은 정상적인 건강 상태를 가진 개인에게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 않습니다. 이는 신장이 소변 배출을 통해 과도한 마그네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고마그네슘혈증은 주로 2500mg을 초과하는 경구 마그네슘 복용량에서 관찰되며, 이는 설정된 상한선(UL)의 10배를 초과하는 수치와 같습니다. 고마그네슘혈증으로 이어지는 높은 마그네슘 수치는 식이 보충제, 의약품 또는 대체 공급원을 통해 고용량을 섭취한 결과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합니다. 임상적으로 고마그네슘혈증은 혈청 마그네슘 농도가 1.1mmol/L를 초과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마그네슘 수치가 3.0mmol/L를 초과하면 극심한 고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납니다[  ,  ,  ].

고마그네슘혈증의 증상에는 설사, 메스꺼움, 구토 및 복통과 같은 위장관 증상과 두통, 현기증 또는 졸음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포함됩니다. 특히 골격근에서 무기력함, 근육 약화, 마비 및 심부 힘줄 반사의 감소 또는 손실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심각한 심전도 이상도 가능하며, 심박수 감소와 저혈압을 특징으로 하며, 잠재적으로 혼수 상태, 심장 수축 불능 및 심장 마비로 인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 이러한 근육 및 심장 증상은 고마그네슘혈증의 복잡한 병리 생리학을 통해 상호 연결됩니다.

고마그네슘혈증과 관련된 심장 및 근육 증상은 심장 근세포의 II형 동형 리아노다인 수용체 채널에서 활성화 및 비활성화 부위에 대한 마그네슘과 칼슘 이온 간의 경쟁을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상호 작용은 심장 수축과 이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더욱이 신경근 접합부와 교감신경절에서 아세틸콜린 방출에 대한 마그네슘의 억제 효과는 운동 말단판 민감도 저하를 초래하여 부정맥, 심근 저하 및 혈관 확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복잡한 메커니즘은 고마그네슘혈증의 다면적 특성과 심장 및 근육계 모두를 포함하는 심각한 생리적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강조합니다[  ,  ].

마그네슘은 필수 미네랄로 분류됩니다. 생물체에서 합성되지 않으며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과 대사 경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결과적으로 권장 섭취 수준을 충족하고 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식단에서 정기적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잠재적인 마그네슘 공급원을 식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과 흡수 및 배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 마그네슘의 좋은 식단 공급원으로는 씨앗, 콩류(완두콩, 콩 등), 녹색 채소(특히 시금치), 견과류(땅콩, 캐슈, 아몬드, 브라질너트 등), 통곡물 빵과 시리얼(기장, 현미 등), 일부 과일(말린 살구, 건포도, 말린 바나나, 아보카도 등), 코코아, 해산물 등이 있습니다[  ,  ,  ,  ].

출생 시 인체에는 약 760mg의 마그네슘이 있으며, 이는 4~5개월이 되면 약 5g으로 증가합니다[  ,  ,  ]. 인체의 총 마그네슘 함량은 약 24g(1몰에 해당)으로 추산됩니다[  ,  ]. 신체의 정상적인 마그네슘 농도는 일반적으로 0.75~0.95mmol/L(1.7~2.5mg/dL 또는 1.5~1.9mEq/L) 범위에 속합니다. 혈청 마그네슘 수치가 0.75mmol/L(1.8mg/dL) 미만이면 저마그네슘혈증이라고 알려진 상태인 마그네슘 고갈을 나타냅니다[  ,  ,  ]. WHO, 미국 국립 의학 아카데미(NAM), 식량 농업 기구(FAO), 유럽 식품 안전 기관(EFSA)과 같이 식이 섭취 권장 사항을 담당하는 규제 기관은 일관된 플라스마 마그네슘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 건강한 인구를 위한 지침을 수립했습니다.표 2.

표 2

마그네슘 섭취 권장 사항.

인생 단계 PRI
(mg)
AR
(밀리그램)
UL *
(mg)
RDA-DRI
(mg)
DRV-AI
(mg)
출생부터 6개월까지 - - 엔디 30 -
영유아 7~12개월 80 엔디 엔디 75 80
1~3세 어린이 80 65 250 80 170
4~6세 어린이 100 85 250 130 230
7~10세 어린이 150 130 250 240 230
11~18세 청소년 소년 240 170~200 250 410 300
11~18세의 십대 소녀 240 170~200 250 360 250
남자들 240 170 250 400–420 350
여성 240 170 250 310–320 300
임신한 240 170 250 350–400 300
모유수유 240 170 250 310–360 300

인구 기준 섭취량(PRI), 평균 필요량(AR), 권장 식이 허용량(RDA), 식이 기준 섭취량(DRI), 식이 기준 값(DRV), 적정 섭취량(AI), 허용 상한 섭취량(UL). * UL 값은 식단에 이미 존재하는 마그네슘 외에 의약품이나 보충제를 통해 섭취한 마그네슘을 말합니다. 이전 연구[  ]에서 수정.

확립된 권장 일일 섭취 지침에도 불구하고, 평균 식이 마그네슘 섭취량은 종종 이러한 권장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며, 권장 일일 섭취량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입니다[  ,  ]. 그 결과, 일반 인구에서 임상 전 마그네슘 결핍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사실, 미국인의 약 3분의 2가 RDA 미만의 양으로 마그네슘을 섭취하고 있으며, 유럽과 브라질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만연합니다[  ,  ,  ,  ]. 특히, 신장은 저마그네슘혈증을 방지하기 위해 소변으로 배출되는 마그네슘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다양한 요인 및 상태로 인한 습관적인 낮은 마그네슘 섭취 또는 과도한 손실은 결국 임상 전 마그네슘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또한, 신체 내 마그네슘 수치 측정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으며, 저마그네슘혈증이나 고마그네슘혈증 복합증을 진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은 혈청 마그네슘 농도가 신체의 다양한 구획에 있는 마그네슘 함량을 일관되게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허용 가능한 생화학적 혈청 마그네슘 수치가 존재한다고 해서 반드시 마그네슘 결핍 가능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  ].

실제로 만성 마그네슘 결핍증은 노령 인구에게 만연하며, 일반적으로 식이 마그네슘 섭취와 장 흡수가 감소하여 발생합니다[  ,  ]. 식이 섭취 측면에서 노화는 구강 건강 악화, 후각과 미각 감소, 시력과 청력 손상, 우울증과 관련된 식욕 부진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식욕이 감소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 기타 기여 요인으로는 음식을 구매하고 조리하는 능력 감소, 적절한 영양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하는 재정적 제약, 에너지 요구량의 변화, 신체 활동 감소, 근육 감소증 발병 등이 있으며, 이는 자립심 상실과 사회적 고립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모든 요인이 합쳐져 노인의 영양실조에 기여하며 마그네슘을 포함한 필수 영양소가 부족한 식단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국립 건강 및 영양 검진 조사(NHANES) III의 정보에 따르면 노화는 마그네슘 섭취 부족에 대한 추가적인 위험 요인이며, 마그네슘 섭취량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  ].

장내 마그네슘 흡수율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노령 인구의 마그네슘 결핍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 연령에 따른 장내 마그네슘 흡수 변화는 노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비타민 D 항상성의 변화로 인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 주목할 점은 마그네슘과 비타민 D가 상호 관계라는 것입니다. 비타민 D는 마그네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반면 마그네슘 결핍은 비타민 D 수치를 낮출 수 있습니다[  ,  , 2D3 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핵심 효소의 활동에 필요하며 비타민 D를 표적 조직으로 전달하는 것을 촉진합니다[  , ] . 또한 이 비타민의 효소 불활성화에도 필요합니다[  ]. 비타민 D 결핍증이 노인들에게도 매우 흔하다는 사실[  ]을 감안할 때, 이 두 영양소 간의 상호 작용은 이 집단의 결핍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노인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신장 기능과 세뇨관 재흡수 감소는 마그네슘 손실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노화된 여성과 남성이 경험하는 에스트로겐 결핍증은 마그네슘 흡수 감소를 더욱 심화시키고 과도한 소변 배출(고마그네슘뇨증)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또한 노화는 연령 관련 만성 질환의 존재와 다양한 약물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는 다제 요법의 사용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결핍과 관련이 있습니다 [  ,  ]. 인슐린 저항성, 2형 당뇨병, 알코올 중독,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뇌졸중, 급성 심근경색, HIV/AIDS 및 고혈압과 같은 병리적 상태와 노인에게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여러 약물(항바이러스제, 항간질제,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양성자 펌프 억제제, 제산제 및 H2 차단제 포함)의 사용은 마그네슘 결핍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이뇨제는 고혈압 치료에 가장 자주 처방되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뇨제 치료는 과도한 소변 마그네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뇨제 유발 저마그네슘혈증은 종종 저칼륨혈증과 함께 발생합니다. 따라서 저칼륨혈증을 나타내는 노인이나 젊은 환자의 경우 마그네슘 수치를 평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

마그네슘 결핍의 초기 징후는 종종 허약함, 근육 경련, 식욕 감소, 피로, 메스꺼움 및 구토를 포함한 비특이적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그 후, 더 두드러진 증상에는 근육 수축 및 경련, 무감각, 따끔거림, 성격 변화 및 우울증 발병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혈청 마그네슘 수치가 0.4mmol/L 미만으로 떨어지는 심각한 마그네슘 고갈의 경우 개인은 관상 동맥 경련,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 심실성 부정맥, 경련 및 발작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  ]. 마지막으로 저마그네슘혈증 및/또는 만성 마그네슘 결핍은 거의 모든 장기와 신체 시스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잠재적으로 병리학적 결과를 악화시키거나 이에 기여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  ].

노령 인구에서 적절한 마그네슘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Struijk et al. (2023)의 예비 데이터에 따르면 식이를 통한 적절한 마그네슘 섭취는 노인 여성의 허약증 발병 위험을 16%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남성의 경우 일일 마그네슘 섭취량을 100mg 늘리면 허약증 위험이 22% 감소합니다[  ]. 따라서 마그네슘이 특히 나이가 들면서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분명해집니다. 식이 부족, 생리적 변화 또는 약물로 인한 손실로 인한 결핍은 개인의 건강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그네슘 섭취와 허약증 위험 감소 간의 연관성은 신체적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마그네슘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허약증은 근육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골격근 기능 및 유지에 마그네슘이 하는 구체적인 역할을 추가로 조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3. 근육 건강에서 마그네슘의 역할

골격근 건강은 인간의 기능, 이동성 및 전반적인 웰빙에 기본적입니다[  ].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에서 개인의 이동성은 단순한 신체 능력의 척도를 넘어 포괄적인 건강 상태와 삶의 질을 역동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진화합니다. 자율적이고 제한 없이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은 활력, 인지 기능, 감각 지각 및 심리적 웰빙을 포함한 여러 측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골격근의 무결성에 크게 의존하는 신체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면 주의력, 실행 기능 및 기억력이 향상되는 등 인지 성능이 향상됩니다. 또한 신체 활동은 기분을 자연스럽게 높이는 엔돌핀을 방출합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 기능이 눈에 띄게 감소하여 운동 제한, 의존성 증가 및 결과적으로 정서적 및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  ,  ,  ].

이러한 맥락에서 마그네슘은 세포 내 거의 모든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독특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지닌 필수 원소로 두드러진다. 적절한 마그네슘 수치가 없으면 다른 화학 원소가 효과적으로 다면적인 역할을 맡을 수 없기 때문에 전체 유기체가 영향을 받는다. 특히 골격근은 신체 총 마그네슘의 약 20%를 보유하고 있다[  ]. 이 필수 미네랄은 노화 대상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골격근 기능의 다양한 측면과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단백질 합성, 에너지 생산, 근육 수축과 같은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도 제공한다.그림 2 ,  ,  ]. 후속 섹션에서는 노인의 골격근 건강에서 마그네슘의 포괄적인 역할을 살펴보고 이러한 생리학적 과정에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3.1. 에너지 대사

인체는 상당한 에너지 저장량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생리적 과정을 통해 작동합니다. 특히 뇌와 근육과 같은 주요 조직은 이 생물학적 시스템 내에서 주요 에너지 소비자로 두드러집니다[  ,  ]. 휴식 상태에서 평균적인 성인 뇌와 골격근은 각각 약 250mL의 O2/분을 소비하며 , 이는 각 조직의 총 O2 소비량의 약 20%를 차지합니다 [ 74  . 전반적인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이들의 중요한 역할은 최적의 성능을 위해 일관되고 충분한 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임을 나타냅니다. 에너지 공급이 감소하면 이러한 필수적인 생물학적 과정이 심각하게 방해를 받아 이러한 조직의 건강과 효율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  ]. 이러한 맥락에서 에너지 대사의 기저에 있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이 복잡한 시스템에서 마그네슘이 차지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다른 많은 시스템과 조직과 마찬가지로 골격근은 노화에 따라 체중 감소를 포함한 수많은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을 겪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질병과 허약함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연령 관련 근육 악화, 근력 감소, 세포 에너지 대사 장애는 신체 능력 감소로 이어집니다[  ].

각 근섬유(근세포)에는 수십만 개의 미토콘드리아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세포의 "발전소"라고 합니다[  ]. 인체의 생리적 기능에 필요한 상당량의 에너지는 호흡 사슬을 통한 전자 이동을 통해 이러한 세포소기관에서 생성됩니다[  ]. 근육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연령 ​​관련 근육 기능 장애와 호기성 능력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세포 내 에너지 대사는 복잡한 과정이며, 마그네슘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특히 미토콘드리아 건강과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 마그네슘 수치가 부족하면 미토콘드리아 효율성이 감소하고 활성 산소(ROS) 생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ROS는 이어서 DNA와 단백질을 포함한 중요한 분자에 구조적, 기능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 이는 모두 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개념을 뒷받침하는 한 연구에서는 마그네슘 결핍 동물의 근육 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 손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붓기와 미세 구조 변화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 반대로 노화와 관련된 산화적 미토콘드리아 붕괴는 개인을 저마그네슘혈증에 걸리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Wilson et al.(2004)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혈류에서 마그네슘 수치가 감소했다고 지적했습니다.이 감소는 피험자가 나이가 들면서 더 두드러졌는데, 이는 아마도 신장 네프론의 먼쪽 구불세관에서 마그네슘을 재흡수하는 데 상당한 양의 ATP가 필요하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손상되면 감소합니다[  ].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마그네슘은 전체 세포 수준의 1/3을 구성하여 세포 에너지 대사에서의 중추적 역할을 강조합니다[  ,  ]. 이 필수 미네랄은 전자 전달 사슬, 산소 해독, ATP 생성을 포함한 핵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지원하는 데 중요하며, ATP는 세포의 주요 에너지 통화로 작용하여 수많은 생리적 기능을 주도합니다. 사실, 마그네슘은 ATP의 전달과 활용을 수반하는 모든 인산화 과정과 반응에 필수적입니다[  ,  ]. 마그네슘은 ATP와 복합체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핵산과 막의 구성 요소로도 존재합니다[  ,  ].

마그네슘은 모든 속도 제한 해당분해 효소의 활성에 필요합니다[  ]. 또한, 에너지 대사와 근육 기능에서 마그네슘의 중요성은 횡문근의 근원섬유 수축 및 이완의 슬라이딩 필라멘트 메커니즘에 없어서는 안 될 실체인 Mg-ATP 복합체에 관여함으로써 강조됩니다[  ]. 세포 내 ATP의 대부분은 Mg-ATP 복합체로 발견되며, 이는 생물학적으로 활성한 형태를 나타냅니다[  ]. 마그네슘은 ATP가 관련된 모든 반응을 촉매하는 데 필수적이며, 효소 결합을 촉진하는 형태로 ATP의 폴리인산 사슬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ATP에 대한 Mg 결합의 중요성은 아래에 설명된 대로 여러 가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궁극적으로 결합 에너지를 증폭시켜 효소-기질 상호 작용의 특이성을 향상시킵니다[  ].

마그네슘 이온(Mg 2+ )은 ATP 폴리인산 사슬의 음전하를 상쇄하여 효소와 폴리인산기 사이의 비특이적 이온 상호작용을 최소화합니다[  ]. 따라서 반응은 특이적이고 효율적입니다. 또한 Mg 2+ 는 ATP-Mg 복합체와 효소 사이의 상호작용 지점 수를 늘려 결합 에너지를 높이고 ATP 분자가 효소 작용에 적합한 위치에 있도록 합니다[  ]. 나아가 이러한 마그네슘-ATP 상호작용은 뉴클레오티드가 잘 정의된 구조로 유지되도록 하여 효소가 정밀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또한 말단 OP 결합을 약화시켜 ATP 분자를 활성화하여 세포 에너지 역학의 기초가 되는 과정인 인산염의 효율적인 전달을 용이하게 합니다[  ].

근육감소증의 메커니즘을 밝히려는 노화에 대한 수많은 주요 이론이 미토콘드리아에 초점을 맞춘 것은 주목할 만한 일입니다.이는 미토콘드리아가 근세포 내에서 생명과 죽음의 과정을 모두 조절하는 이중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세포소기관은 Mg-ATP를 통해 세포 에너지를 생산하는 주요 생성기일 뿐만 아니라 세포사멸 경로인 세포자살의 중요한 조절자이기도 합니다[  ].이전에 강조했듯이 노화는 종종 마그네슘 상태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이는 차례로 연령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쳐 세포 내 에너지 고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러한 역학은 노화된 골격근에서 세포자살을 유발하여 연령에 따른 기능 상실에 더욱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  ].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생산, 근육 수축에서의 직접적인 역할 외에도 마그네슘은 세포 신호 전달 과정에도 필수적입니다. 구체적으로, Mg-ATP 복합체는 단백질 인산화와 순환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의 합성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중요한 세포 신호 분자는 수많은 생화학적 과정에 참여하여 세포 내에서 마그네슘의 다양하고 중심적인 역할을 강화합니다[  ,  ,  ]. 또 다른 흥미로운 상호 작용은 근육 세포 내에서 마그네슘과 칼슘 간의 관계입니다. 근육 세관에서 칼슘의 흡수와 방출은 Mg-ATP 수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연관성은 세포 내 마그네슘 농도의 미묘한 변화조차도 근육 세포의 수축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마그네슘 결핍과 근육감소증이 노령 인구에서 더 흔하고 마그네슘이 근육 ATP 생산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손상된 마그네슘 상태가 생애 후반에 관찰되는 근육감소증에 기여하는 요인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었습니다[  ,  ]. 이 개념을 뒷받침하기 위해 노화와 젊은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여러 연구에서 유기체의 마그네슘 상태 또는 보충이 근육 성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  ,  ,  ]. 이는 에너지 대사, 막 수송, 근육 수축 및 이완에서 마그네슘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

3.2. 단백질 합성

단백질 항상성은 세포 내 단백질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책임이 있는 복잡하고 긴밀한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며[  ], 이 과정은 인체 내의 여러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탄소, 수소, 산소, 질소로 구성된 단백질은 신체에서 다면적인 역할을 하는 복잡한 거대 영양소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은 구조적 무결성에 기여하고, 중요한 세포 및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고, 효과기 역할을 하며, 때로는 에너지원 역할을 합니다[  ,  ].

단백질 항상성에는 단백질 합성, 접힘, 분해 및 품질 관리 메커니즘의 네 가지 주요 부분으로 요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로세스가 포함됩니다[  ]. 이 섬세한 균형에 대한 어떠한 교란이라도 개별 세포와 유기체 전체의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  ,  ,  ]. 단백질 항상성의 혼란은 노화 과정의 7가지 기본 결정 요인 중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신경 퇴행성 질환, 심혈관 질환 및 근육 감소증과 같은 상태의 병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  ,  ,  ,  ].

골격근 조직은 신체의 모든 단백질의 50~75%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단백질로 구성됩니다[  ]. 결과적으로 단백질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은 골격근량을 보존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러나 노화 과정은 단백질 합성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화 저항이라는 주목할 만한 현상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동화 작용 둔화는 수유 및 운동과 같은 기존의 동화 작용 자극이 있는 경우에도 지속되며 이러한 손상은 노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근육 감소증 및 허약함과 관련이 있습니다[  ,  ,  ,  ,  ]. 안정 동위원소 방법론을 사용하여 Wall et al.(2015)은 식후 근육 단백질 합성 속도가 노령자(75±1세)에서 젊은 사람(22±1세)보다 16% 낮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 번역 속도의 감소는 단백질 합성에서 관찰되는 연령 관련 변화 중 하나입니다[  ]. 또한 노화 과정은 단백질 재활용 시스템의 효과성 감소와 관련되어 있으며, 손상된 단백질 및 기타 분자가 축적되어 세포 기능을 방해하고 연령 관련 기능 장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단백질 합성은 세포에서 가장 복잡하고 에너지적으로 요구되는 동화작용 과정 중 하나입니다[  ,  ]. 이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과정은 상당 부분의 ATP 소모를 설명하며, ATP 매장량의 70% 이상이 다양한 생합성 경로를 지원하는 데 할당됩니다[  ]. 리보솜은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는 세포 소기관으로[  ] 생물체의 모든 조직 내에서 단백질을 합성하기 위한 기본 구성 요소로 아미노산에 의존합니다[  ]와 필수 미네랄[  ] 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구성 요소가 필요합니다 .

단백질 합성 조절에는 전사와 번역의 여러 단계가 포함되며, 이 과정은 근육 수축과 대사에 관여하는 리보솜 RNA와 단백질 생성에 필수적입니다[  ]. 전사 단계 내에서 두 개의 마그네슘 양이온(Mg 2+ )이 RNA 중합효소의 활성 부위에 국한됩니다. 이 양이온은 RNA 합성을 조정하여 뉴클레오시드 삼인산(NTP) 응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Mg 2+ 이온 중 하나는 새로운 인산이에스테르 결합 형성에 기여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효소의 5가 결합 전이 상태를 안정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 상당한 음전하를 띠는 리보솜 RNA(rRNA) 합성에서 Mg 2+ 킬레이션은 정전기적 반발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  ].

Mg 2+ 는 또한 tRNA(전사 RNA)의 접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사실, Mg 는 산소 원자가 인산기를 통합하여 단단하고 단단한 팔면체 구조를 형성하는 능력 때문에 모든 RNA 접힘 과정과 에너지 상태에 없어서는 안 될 물질입니다[  ]. 번역 수준에서 Mg 2+ 는 리보솜의 2차 구조를 안정화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성분으로 등장합니다[  ,  ,  ]. 이러한 구조적 안정성은 모든 번역 단계, 특히 펩타이드 결합 형성의 개시 과정에서 기본이 됩니다[  ,  ].

또한 Mg 2+ 는 rRNA와 리보솜 단백질(rProteins) [  ,  ] 사이의 결합을 매개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는 rProteins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물 분자를 활성화합니다 [  ]. 또한 Mg 2+ 는 A 부위에서 코돈-안티코돈 상호 작용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 리보솜 재활용 인자(RRF)가 리보솜에 결합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  ]. 특히, 마그네슘 농도가 제한될 때 리보솜 분해가 특히 중요해지는데, 이는 재활용 과정에서 필수적인 세포 활동을 위해 Mg 2+ 이온이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  ].

마지막으로, 라파마이신의 포유류 표적(mTOR)은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는 동시에 단백 분해를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마그네슘은 에너지 시스템에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mTOR 신호 전달을 활성화하는 능력을 통해서도 이 과정에 복잡하게 관여합니다[  ]. 이 경로는 개시, 연장 및 리보솜 생합성에 필수적입니다[  ]. 근육의 동화 및 이화 경로에서 mTOR의 중심 역할과 그 활성화에 대한 마그네슘의 영향을 감안할 때 mTOR와 마그네슘은 모두 연령 관련 근육 손실을 극복하기 위한 개입에 유망한 표적을 제시합니다[  ].

여기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마그네슘은 단백질 합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골격근 조직에서 전사 및 번역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RNA 합성, 리보솜 안정화, mTOR 신호 전달 경로 활성화에 관여하는 것은 근육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 그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단백질 합성의 연령 관련 감소를 감안할 때, 최적의 마그네슘 수치를 보장하는 것이 노인의 근육 퇴화와 근육 감소증을 해결하는 데 중요할 수 있습니다.

3.3. 항염 및 항산화 활동

염증은 노화의 7대 기둥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  ]. 특히, 노인에게서 관찰되는 만성 저급 염증인 "인플라마징(inflammaging)"이라는 상태는 허약함, 이환율, 사망률에 중요한 위험 요인입니다. 또한, 이는 다양한 연령 관련 질병의 공통적인 특징이며 근육 건강에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  ]. 사실, 인플라마징은 근육 감소와 근육감소증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습니다[  ,  ,  ].

염증 과정은 부상이나 운동 후 근육 재생을 억제하여 근육 불사용 위축을 촉진하고 개인을 재발성 근육 손상에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  ]. 또한 만성 염증의 존재는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노인들에게 매우 흔한 상태로 세포 내 포도당 수치를 감소시키고 근육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 더욱이 염증은 근육 단백질 합성과 분해 사이의 균형을 방해하여 궁극적으로 근육 소모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 Merritt 등이 수행한 연구에서 (2013), 평균 연령 61세 및 76세의 대상자는 근육 손상이 약간 유도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NF)-α 및 인터루킨(IL)-6, 세포사멸 신호전달의 약한 유도제인 TNF 유사(TWEAK)를 포함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이 평균 연령 40세의 개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 발견은 연령 관련 근육 손상을 완화하는 유망한 전략으로서 염증 관리의 잠재적 관련성을 강조합니다[  ].

마그네슘의 항염 특성은 전임상 및 임상 과학 문헌에 광범위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  ,  ,  ,  ]. 사실, 연구에서는 낮은 마그네슘 상태가 TNF-α, IL-1β, C-반응성 단백질(CRP)과 같은 염증성 마커 수치 증가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 감소로 입증되는 저등급 전신 염증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  ]. 또한 백혈구와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면역 반응에 영향을 미쳐 내피 기능 장애와 염증 증후군을 유발합니다[  ,  ]. 또한 마그네슘 결핍은 히스타민 분비에 영향을 미쳐 비만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히스타민은 염증 반응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 반대로, 마그네슘 보충 요법은 항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처음에 마그네슘이 결핍된 쥐에서 염증성 마커 수치를 감소시킵니다[  ,  ].

최근 연구는 지속적인 만성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연결하는 경로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 과정은 근육 감소증을 포함한 수많은 만성 질환에 연루되어 있습니다[  ,  ,  ].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의 상호 작용은 여러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에 영향을 미쳐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단백질 합성과 분해 간의 평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포 사멸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근육량 감소로 이어집니다[  ,  ]. 게다가 산화 스트레스는 NF-κB, AP-1, NRF2를 포함한 여러 전사 인자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사 인자가 활성화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산화 스트레스 방어에 필수적인 분자를 포함한 500개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산화 스트레스와 만성 염증 사이에는 깊은 상호 연결이 있으며, 이 두 가지 과정 모두 연령 관련 근위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  ].

임상 연구와 동물 및 세포 모델에 기초한 연구를 포함한 염증에 대한 이전 연구는 낮은 마그네슘 상태와 산화 스트레스의 시작 및 손상된 항산화 방어 시스템 간의 연관성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  ,  ]. 여러 연구에 따르면 마그네슘 결핍은 항산화 방어력 감소와 지질, 단백질, DNA 산화 변형과 관련된 것을 포함한 산화 스트레스 마커 수치 상승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자유 라디칼로 인한 조직 손상이 증가합니다[  ,  ,  ,  ,  ,  ,  ,  ,  ].

예를 들어, Boparai 등(2007)은 마그네슘 결핍 식단을 섭취한 쥐의 간과 혈장에서 단백질과 지질 산화를 발견했습니다[  ]. Gueux 등(1995)의 연구에서 마그네슘 결핍 쥐의 지단백질(VLDL 및 LDL)은 대조군 쥐에 비해 CuSO4 유도 산화 손상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철(Fe)에 의해 유도된 지질 과산화에 노출된 조직은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성 물질 수치가 더 높았는데, 이는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했음을 나타냅니다[ 140  . 따라서 마그네슘 결핍 식단을 섭취한 쥐는 적혈구와 혈장 마그네슘 수치가 모두 현저히 감소했으며, 혈장 산화 마커인 말론디알데히드(MDA)가 상당히 증가하고 라디칼 포획 항산화 마커도 그에 따라 감소했습니다[  ]. 글루타치온(GSH), 글루타치온 환원효소(GR),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아제(GST) 및 비타민 E를 포함한 항산화 방어와 관련된 중요한 분자 및 효소의 활동 및 수치 감소는 마그네슘 결핍 후 설치류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는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  ,  ,  ]. 반대로, 마그네슘 보충은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뇨병 쥐 모델에서 낮은 마그네슘 수치와 증가된 소변 배설은 혈장 MDA 증가와 SOD 및 GST의 간 발현 감소와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모두 마그네슘 보충으로 교정되었습니다[  ].

임상적 맥락과 관련하여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낮은 마그네슘 상태, 저등급 전신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간의 상호 작용이 확인되었습니다.Song et al. (2005)은 Women's Health Study에 참여한 45세 이상 여성 11,000명 이상을 포함하는 코호트에서 혈장 CRP 농도와 식이 마그네슘 함량 사이에 역상관 관계를 발견했습니다[  ].또한 여러 메타분석에서 마그네슘이 CRP 수치를 감소시킨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  ,  ].예를 들어, 최근 Veronese et al. (2022)은 889명의 참가자(평균 연령: 46세)를 대상으로 한 17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메타분석을 수행했으며, 그 결과 마그네슘 보충과 관련된 다양한 염증 마커, 특히 CRP가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따라서 만성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된 인간 피험자에서 마그네슘 수치와 산화 스트레스 마커, 특히 MDA와 혈장 초산화물 음이온 사이에 역상관 관계가 관찰되었습니다[  ]. 추가적인 임상 연구에서는 혈청 마그네슘 수치와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마커 사이에 역상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  ]. 마지막으로, 최근 3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아연, 멜라토닌 또는 아연-칼슘-비타민 D와 함께 마그네슘을 공동 보충하면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있는 여성의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마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

마그네슘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의 근저에 있는 정확한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많은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에서의 중심 역할을 강조합니다( 섹션 3.1 참조 ). 마그네슘 보충은 미토콘드리아 ROS를 억제하고 투과성을 조절하며 미토콘드리아 전환 기공의 개방을 조절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 게다가 여러 연구에서 마그네슘 결핍이 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의 발병과 지속에 기여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  ,  ]. 마그네슘 결핍은 산화적 인산화의 분리를 촉진하여 전자 전달 사슬에서 전자 손실을 초래하고, 이는 세포 내 반응성 종 생성과 그에 따른 산화 스트레스를 증폭시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  ]. 또한 마그네슘 농도가 감소하면 세포질에 칼슘이 축적됩니다[  ,  ]. 이는 산화적 인산화의 분리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다른 과산화 경로도 자극합니다[  ,  ,  ]. 마그네슘 결핍으로 인해 과산질소염이 과잉 생산되면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가 더욱 심화됩니다[  ,  ]. 특히, 마그네슘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성 매개체[  ,  ]는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더욱 영향을 미쳐 미토콘드리아 산화 스트레스를 증폭시키고 산화-염증 주기를 영속시킬 수 있습니다[  ].

분자 수준에서 마그네슘의 주요 작용 기전에는 핵 인자 카파-B(NF-κB)의 조절이 포함되는데, 이는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심 전사 인자 역할을 합니다. Toll 유사 수용체(TLR)를 포함한 다양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면 NF-κB는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상향 조절합니다[  ] 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염증의 특징입니다[  ,  ]. 이와 관련하여 여러 연구에서 마그네슘이 TLR/NF-κB 신호 전달 경로의 다운레귤레이션을 통해 사이토카인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

실제로, 전임상 데이터는 골격근의 염증이 종종 NF-κB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로 표시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 이 경로의 지속적인 활성화는 마우스 근육에서 상당한 위축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것은 또한 근육 고정에 의해 활성화됩니다[  ]. 이에 따라 NF-κB p65 서브유닛 또는 이를 활성화하는 효소인 억제제 κB 키나제 2(IKK2)의 단기 근섬유 특이적 과발현은 근위축을 초래합니다[  ]. 반대로, IKK2의 표적 제거와 그로 인한 NF-κB 활성화의 감소는 골격근 강도의 증가, 질량 보존 및 재생 개선과 관련이 있습니다[  ]. 따라서 마그네슘이 NF-κB 조절을 통해 연령 관련 근육 악화를 완화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에 맞서 싸우는 마그네슘의 다면적인 역할은 연령 관련 근육 감소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을 강조합니다. 마그네슘 상태, 염증, 산화 스트레스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은 특히 노령 인구에서 최적의 마그네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마그네슘이 보호 효과를 발휘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여전히 ​​진행 중인 연구 주제이지만, 현재 증거는 근육 건강에 중요한 NF-κB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핵심 경로를 조절하는 잠재력을 강조합니다.

3.4. 근육 수축과 전해질 평형

근육계 내에서 근육 수축은 근섬유의 활성화로 정의되며 이후 단축으로 이어지는 기본적인 생리학적 과정입니다[  ]. 특히 골격근은 신체 움직임의 전체 스펙트럼에 안정성과 강도를 부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

근력은 다양한 다면적 요인에 의해 지배되며 근육의 내재적 품질과 수축 작용에 대한 적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노인의 경우 그렇습니다. 주목할 점은 노화 과정으로 인한 근력 감소 속도가 근육량 감소 속도를 능가한다는 것입니다[  ]. 개인이 나이가 들면서 근섬유의 크기와 수축 효능이 눈에 띄게 감소합니다[  ]. 이는 근력과 힘이 감소하고 허약함이 증가하여 궁극적으로 기능과 자세 안정성을 방해하거나 심지어 부동성을 유발합니다[  ,  ].

이러한 생리학적 변형은 심각한 부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여가 활동 참여를 제한하며, 궁극적으로 일상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손상시켜 개인의 독립성과 전반적인 삶의 질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  ]. 영양은 근육 손실에 대응하는 데 귀중한 동맹이 될 수 있으며, 마그네슘은 이 맥락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근육 수축 주기는 근본적으로 에너지 공급에 달려 있으며, 이는 주로 ATP 가수분해를 통해 달성됩니다. 이 과정은 중추 신경계의 자극에 의해 근육소포체 내에 저장된 칼슘 이온(Ca 2+ )이 방출되면서 시작됩니다[  ,  ]. 방출 시, Ca 2+ 는 트로포닌 C와 미오신에 결합하여 이들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고 이어서 근육 수축을 촉진합니다[  ,  ,  ].

마그네슘은 동일한 Ca 2+ 결합 부위 를 놓고 경쟁하는 칼슘 길항제이며 , 이를 통해 근육 수축 과정에 대한 조절 제어를 행사합니다[  ,  ]. 정지 상태에서 마그네슘은 근육 세포에 칼슘보다 약 10,000배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하여 효과적으로 모든 사용 가능한 Ca 2+ 결합 부위를 차지합니다. 마그네슘은 근육소포에서 Ca 2+ 가 방출될 때에만 대체됩니다. 그러나 마그네슘 결핍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양의 칼슘도 마그네슘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근육 경련과 경련이 특징인 과수축성이 발생하며[  ], 이는 노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또한 근육 수축 후, 근소포체의 Ca 2+ -ATPase에 의한 칼슘 재흡수는 마그네슘의 존재에 달려 있습니다[ 2+ 이온을 운반하는 데 하나의 ATP 분자가 필요하고 [  ], 마그네슘은 세포 ATP 분자를 안정화하고 활성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  ,  ]. ATP 저장량이 부족한 경우 근섬유는 수축 상태를 유지하여 액틴과 미오신 사슬이 방출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근육 경련이 발생합니다[  ]. 마그네슘 결핍의 또 다른 임상적 결과는 심장 근육 수축 조절의 혼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 부정맥의 발병입니다[  ].

적절한 전해질 균형의 유지는 근육 수축 기능에 필수적이며, 이는 막 전위를 안정화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  ,  ,  ,  ]. 이는 근육의 수성 환경 내에서 이온, 체액 및 기타 분자의 흐름을 조절하고[  ] 근육 피로의 발병을 예방합니다[  ]. 마그네슘 이온은 골격근 세포 내에서 칼슘, 칼륨 및 나트륨의 전해질 평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마지막으로 마그네슘은 이온 채널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적절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 따라서 에너지 공급에서 전해질 균형에 이르기까지 근육 수축에서 마그네슘의 다면적인 역할은 최적의 근육 기능을 보장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특성을 강조하며, 특히 개인이 나이가 들면서 적절한 마그네슘 수치가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3.5. 마그네슘과 근육 건강: 인간 연구의 증거

근육 관련 결과에 대한 경구 마그네슘 보충제의 영향에 대한 검토는 수많은 개입적 임상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습니다.표 3이 섹션에서는 주요 결과를 검토하고 연구 설계, 마그네슘 보충 특성 및 근육 건강에 대한 의미를 강조합니다.

26개 연구 중표 3, 19개는 무작위 위약 대조 시험이었고 [  ,  ,  ,  ,  ,  ,  ,  ,  ,  ,  ,  ,  ,  ,  ,  ,  ,  ,  ] 3개는 위약군이 없는 무작위 대조 시험이었습니다 [  ,  ,  ]. 나머지 연구는 다양한 설계를 가졌습니다 [  ,  ,  ,  ].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그네슘 보충의 복용량과 기간은 10일에서 32주까지 상당히 달랐으며, Mg 산화물, Mg 황산염, Mg 구연산염, Mg 젖산염 및 Mg 크레아틴 킬레이트, Mg 비스글리시네이트 킬레이트와 같은 킬레이트 형태를 포함한 다양한 마그네슘 공급원이 활용되었습니다.

표본 크기가 작은 것과 같은 방법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집단적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마그네슘이 성능 향상, 진통 및 항염 작용으로 인해 근육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15개 연구[  ,  ,  ,  ,  ,  ,  ,  ,  ,  ,  ,  ,  ,  ,  ]를 포함하는 연구의 상당 부분은 건강한 개인의 근육 관련 신체적 성능에 대한 마그네슘의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참여자는 훈련되지 않은 피험자에서 엘리트 운동선수까지 다양했습니다. 이 연구 중 10개[  ,  ,  ,  ,  ,  ,  ,  ,  ,  ]는 마그네슘 보충으로 근력, 토크, 운동 성능, 순수 체중, 악력이 향상되고 근육 통증과 근육 손상 지표가 감소하는 등 유리한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근육 건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았지만 대사 반응 개선[  ] 및 혈압 감소[  ,  ]도 나타났습니다.

연구에서는 또한 알코올성 간질환[  ], 만성 알코올 중독[  ], 만성 또는 급성 근골격계 요통[  ,  ] 이 있는 환자에서는 근력의 이점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만성 알코올 중독자에서는 근력의 개선이 나타났습니다[  ]. 요통의 경우 마그네슘 보충은 진통 효과를 보였습니다[  ,  ].

야간 다리 경련(NLC)을 관리하는 데 있어 마그네슘의 효능은 엇갈린 결과를 낳았습니다. NLC에 초점을 맞춘 6개 연구[  ,  ,  ,  ,  ,  ,  ,  ]를 특별히 다루었습니다. 결과는 달랐습니다. 3개 연구에서는 NLC에 마그네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  ,  ], 다른 연구에서는[  ,  ,  ] 빈도, 강도 및 주관적 불편함이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높은 기준 마그네슘 수치 및 식이 섭취량, 잠재적으로 낮은 마그네슘 보충 복용량, 투여된 마그네슘의 화학적 형태 및 보충 기간[  ,  ,  ]이 포함되었습니다.

나열된 연구 중 몇몇 조사에는 노령 참여자가 포함되었지만, 노령 인구를 특별히 표적으로 삼은 연구는 단 하나[  ]에 불과하며 이 인구통계학적 특징의 근육 건강의 더 광범위한 측면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없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며, 이는 이 분야에서 보다 집중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노령 인구의 근육 기능과 전반적인 건강 및 삶의 질을 지원하기 위한 마그네슘 보충에 대한 증거 기반 지침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결론적으로, 근육 건강에 있어 마그네슘 보충제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유망한 증거가 있지만, 다양한 근육 관련 질환, 특히 노인의 경우 치료적 잠재력을 확실하게 확립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잘 설계된 무작위 대조 시험이 필요합니다.

표 3

근육 관련 결과에 대한 경구 마그네슘 보충제의 효과를 평가한 임상 연구.

저자/년도 연구 설계 과목(연령) 개입량 및 기간 원천 주요 결과
(i) 운동 성능에 있어서 마그네슘 보충
브릴라 외, 2003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35명의 여가 활동을 하는 건강한 피험자(19~24세) 위약 또는 2주 동안 매일 800mg의 Mg와 5g의 크레아틴 MgO + 크레아틴(MgOC) 또는 Mg 크레아틴 킬레이트(MgCC) MgOC와 MgCC는 bw와 파워가 증가했습니다. MgCC만이 ECW를 감소시키고 ICW와 피크 T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MgCC가 세포액 구획에 영향을 미치고 근육 크레아틴 흡수, 세포 수화 및 잠재적으로 단백질 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Brilla 및 Haley, 1992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26명의 훈련되지 않은 피험자(18~30세) 7주 동안 체중 1kg당 8mg 섭취를 달성하기 위한 Mg 보충제 산화마그네슘 Mg군의 근력이 대조군에 비해 상당히 증가했으며, 절대 대퇴사두근 T, 체중에 맞춰 조정된 상대 T, LBM에 맞춰 조정된 상대 T가 모두 향상되었습니다.
Finstad 등, 2001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교차시험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여성 121명(21±3세) 위약 또는 4주 동안 212mg의 Mg를 투여한 후 6주간의 세척 기간과 치료 교차 기간을 거칩니다. 산화마그네슘 Mg는 휴식 이온 Mg 수치를 증가시켰지만 성능이나 회복 지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골프 등, 1998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23명의 경쟁 트라이애슬론 선수(29.4 ± 3.3세) 위약 또는 4주 동안 17mmol/d의 Mg Mg 오로테이트 Mg는 트라이애슬론 종목의 성적을 향상시키고, 혈청 포도당과 산소 흡수량을 증가시키며, 스트레스 반응(코르티솔 수치와 백혈구 수 감소)을 감소시켰고, 사후 검사에서 CK 수치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쟁 중 대사 효율성이 향상되고 생리적 스트레스가 감소했음을 나타냅니다.
카스와 포에이라, 2015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교차시험 정상 혈압을 가진 13명의 남성 및 여성 대상자(38.5 ± 5.3세) 1주일(급성) 또는 4주(만성) 동안 300mg의 Mg Mg 시트르산 급성 마그네슘은 1일차에 벤치프레스 성능을 17.7% 증가시켰고, 2일차에도 지속적인 성능을 보였습니다. 만성 마그네슘은 2일차에 성능을 32.1% 감소시켰습니다. 급성 및 만성 마그네슘은 모두 2일차에 운동 후 SBP를 감소시켰지만, 급성 마그네슘만이 DBP를 감소시켰습니다. TPR은 급성 마그네슘으로 감소했지만 만성 마그네슘으로는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Kass et al., 2013 [  ] 무작위, 통제, 파일럿 시험 건강하고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남성 피험자 16명(19~24세) 치료 없음 또는 14일 동안 300mg의 Mg* 산화마그네슘 Mg는 휴식 및 운동 후 혈압을 감소시켰고, 저식이 Mg 섭취 개인에서 휴식 시 혈압에 더 큰 효과가 있었고 고식이 Mg 섭취 개인에서 운동 후 혈압이 더 현저하게 감소했습니다. 성과 지표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마르티네즈 외, 2017 [  ] 비무작위 대조 시험 12명의 엘리트(25.3±4.4세) 및 12명의 레크리에이션(22±3.8세) 남성 농구 선수 32주 동안 치료 없음 또는 400mg/일 Mg(8주 간격으로 4개 시간 지점에서 측정: T1, T2, T3 및 T4) Mg 락테이트 혈청 Mg는 T3에서 상당히 감소했지만 T4 보충 후에는 증가했습니다. 근육 손상 마커는 크레아티닌을 제외하고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는데, 크레아티닌은 T2 이후 감소한 다음 T3와 T4에서 T2에 비해 증가했습니다. Mg는 강렬한 신체 활동과 관련된 조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Zajac 외, 2020 [  ] 무작위 위약 대조 시험 16명의 엘리트 축구 선수(25.6 ± 3.7) 위약 또는 16주 동안 500mg의 Mg(0.07g/kg bw) Mg 크레아틴 킬레이트 Mg는 RAST에서 총 시간과 파워를 개선하여 첫 번째와 여섯 번째 35m 스프린트를 향상시켰고, 위약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습니다. Mg는 RAST 후 pH 값을 낮추는 동시에 크레아티닌, 젖산 및 중탄산염 수치를 증가시켜 스프린트 성능과 대사 반응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냅니다.
Moslehi 등, 2013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BMI 25–30 kg/m²인 건강한 과체중 여성 74명(40–55세) 위약 또는 8주 동안 250mg의 Mg 산화마그네슘 Mg는 LBM을 증가시키고, 지방량을 감소시키고, 기준선 대비 핸드그립력과 TGUG를 개선했습니다. 무릎 신전력에는 유의미한 향상이 없었습니다.
Setaro 등, 2014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프로 남자 배구 선수 25명(Mg: 17.42±1.56세; C: 17.85±0.99세) 위약 또는 4주 동안 350mg의 Mg 산화마그네슘 Mg는 젖산 생성을 감소시키고 플라이오메트릭 성능을 향상시켜 무산소성 대사가 개선되었음을 나타냅니다. Mg 적혈구 수치, [Mg]U, CK 활동 및 VO2 max는 정상 범위 내에 유지되었습니다.
Steward 외, 2019 [  ] 대조, 이중 맹검, 위약 대조, 교차 연구 9명의 남성 레크리에이션 러너(27±4세) 10km 하강 달리기 타임 트라이얼 전 7일 동안 위약 또는 500mg/일의 Mg MgO + 스테아르산 Mg Mg는 IL-6 수치를 낮추고, 근육 통증을 줄이며, 운동 후 혈당 회복을 개선했습니다. 시험 중이나 크레아틴 키나제 또는 최대 근력 측정 후 포도당과 젖산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Terblanche et al., 1992 [  ]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마라톤 주자 20명(25~49세) 마라톤 4주 전과 6주 후 위약 또는 365mg의 Mg를 투여 Mg-L-아스파르트산-HCl 마그네슘이 풍부한 피험자에서 마그네슘은 근육이나 혈청 마그네슘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았고 마라톤 달리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또한 마라톤 후 근육 손상 정도나 근육 기능 회복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Veronese 외, 2014 [  ] 무작위 대조 시험 건강한 노인 여성 139명(71.5±5.2세) 치료 없음 또는 12주 동안 하루 300mg의 Mg 복용 산화마그네슘 Mg 그룹은 총 SPPB 점수, 의자에 앉은 시간, 4m 걷기 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상당한 개선을 보였습니다. 2차 결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심각한 부작용도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셀스비 등, 2004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체중 훈련을 받은 남성 피험자 31명(18~24세) 위약 또는 2.5g의 Cr 또는 Mg-크레아틴 킬레이트(2.5g의 Cr 제공)를 10일간 투여 Mg 크레아틴 킬레이트(MgCC) Cr과 MgCC는 벤치 프레스에서 1RM의 70%로 수행한 작업에서 위약 대비 증가를 보였습니다. 성능 테스트에서 Cr과 ​​MgCC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Mg 킬레이션 여부와 관계없이 저용량의 Cr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Zorbas 등, 2010 [  ] 무작위 대조 시험 신체적으로 건강한 남성 40명(21.5±3.0세) 대조군(UCS); 운동 저하군(UES); 대조군 + 3.0mmol Mg/kg(SCS); 운동 저하군 + 3.0mmol Mg/kg(SES) 염화마그네슘 2 SES 및 UES 그룹에서 근육 Mg 감소, 혈장 Mg 증가, 소변/대변 Mg 손실이 대조군 대비 증가; SES에서 더 두드러진 효과. 대조군에서는 변화 없음.
(ii) 임상적 조건에서의 마그네슘 보충
Aagaard 등, 2005 [  ] 무작위화, 위약대조 시험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 59명(34~61세) 2일간 주입된 Mg(포도당 용액 1L당 30mmol, 55g/L) + 6~7주간 경구 또는 위약으로 12.5mmol의 Mg MgSO 4 (iv) 및 MgO (경구) 근육 Mg 농도는 Mg 치료군에서 위약군보다 7% 더 높았습니다. Mg는 근력이나 근육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Gullestad et al., 1992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49명의 만성 알코올 중독자(28~84세) 위약 또는 6주 동안 15mmol Mg Mg 시트르산 락테이트 Mg는 간 효소(ASAT, ALAT, GOT)를 상당히 감소시키고, 혈청 K와 Mg를 약간 증가시키고, 근력을 상당히 개선했습니다. 알코올 소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가 Mg 보충 때문임을 나타냅니다.
Bayram 외, 2021 [  ] 전향적, 무작위, 공개 라벨 시험 급성 근골격계 요통을 앓고 있는 209명의 피험자(18~65세) NSAID + 365mg의 Mg, NSAID + 파라세타몰, NSAID 첫 방문에서 4일째까지 Mg를 투여한 경우 기능적 결과와 근골격계 통증 강도가 NSAID 단독 투여와 NSAID + 파라세타몰 투여보다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10일째까지 그룹 간에 이러한 개선이나 요추 이동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Yousef 및 Al-deeb, 2013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만성 요통 환자 80명(56.4±13.6세) 위약을 6주간 투여하거나, 정맥 마그네슘을 2주간 투여한 후 경구 마그네슘을 4주간 투여합니다. MgSO 4 (iv) 및 MgO + Mg 글루콘산염 (경구) Mg 그룹에서는 6개월 동안 통증 강도가 상당히 감소(7.5~4.7)했고 요추 척추의 굴곡, 신전, 측면 굴곡 운동이 개선되었습니다.
(iii) 야간 다리 경련에 대한 마그네슘 보충
Maor 등, 2017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NLC를 가진 88명의 남성 및 여성 대상자(64.9 ± 11.1세) 위약 또는 4주 동안 520mg의 Mg 산화마그네슘 Mg 그룹에서 주간 NLC의 평균 변화는 -3.41이었고 위약 그룹에서는 -3.03이었으며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NLC, QoL 또는 QoS의 심각도와 지속 기간에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Dahle et al., 1995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NLC(NK 연령)를 가진 임산부 73명 위약 또는 3주 동안 360mg의 Mg Mg 시트르산 락테이트 Mg는 기준선 및 위약에 비해 NLC를 감소시켰지만 혈청 Mg 수치는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Mg]U의 증가로 측정한 바와 같이 과잉 마그네슘이 배출되었습니다.
Frusso 등, 1999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교차시험 NLC를 가진 45명의 남성 및 여성 대상자(28~87세) 위약 또는 30일 동안 1800mg의 Mg를 투여한 후 30일 동안 세척 기간을 두십시오. Mg 시트르산 경련의 평균 횟수를 포함하여 평가된 결과 중 어느 것에서도 Mg와 위약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Roffe et al., 2002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교차시험 NLC를 가진 73명의 남녀 대상자 (Mg: 61 ± 11세, C: 64 ± 10세) 위약 또는 6주 동안 300mg의 Mg Mg 시트르산 Mg에서 NLC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p = 0.07). 그룹 간에 경련의 심각도와 지속 기간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위약 후보다 Mg 후에 치료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피험자가 상당히 많았는데, 이는 Mg가 NLC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Nygaard 등, 2008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NLC를 가진 45명의 임산부(Mg: 32 ± 4세, C: 30 ± 3세) 위약 또는 2주 동안 360mg의 Mg Mg 시트르산 락테이트 Mg는 NLC의 빈도나 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수파카티산트와 푸퐁, 2012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NLC를 가진 86명의 임산부(Mg: 29 ± 6세, C: 29 ± 5세) 위약 또는 4주 동안 300mg의 Mg Mg비스글리시네이트킬레이트 Mg는 위약에 비해 경련 빈도와 강도가 상당히 낮았습니다. 부작용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iv) 마그네슘 보충 및 분배
Wary et al., 1999 [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 30명의 젊고 건강한 남성 자원봉사자(23.7 ± 4.5세) 위약 또는 1개월 동안 12mmol Mg Mg 락테이트 Mg 처리 후 24시간 [Mg]U에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골격근의 세포 내 자유 Mg 농도를 포함하여 그룹 간에 다른 임상적, 생물학적 또는 Mg 상태 매개변수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1RM, 최대 반복 횟수 1회; ALA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SAT,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BMI, 체질량지수; bw, 체중; C, 대조군; CK, 크레아틴 키나제; Cr, 크레아틴; DBP, 이완기 혈압; ECW, 세포외수분; GOT, 글루탐산 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 ICW, 세포내수분; iv, 정맥 주사; LBM, 제지방량; NK, 불명; NLC, 야간 다리 경련; NSAID,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QoL, 삶의 질; QoS, 수면의 질; RAST, 반복 스프린트 능력 검사; SBP, 수축기 혈압; SCS, 보충 대조군; SES, 보충 실험군; UCS, 보충되지 않은 대조군; UES, 보충되지 않은 실험군; SPPB, 단기 신체 성능 배터리; T, 토크; TGUG, 일어나서 가는 시간 검사; TPR, 총 말초 저항; VO2max, 최대 산소량; y, 년; [Mg]U, 소변 중 마그네슘 농도. * 300mg은 산화 마그네슘의 무게를 나타냅니다(원소 마그네슘의 복용량은 제공되지 않음).

4. 결론

요약하자면, 특히 노화의 맥락에서 마그네슘과 골격근 기능 간의 복잡한 관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노화 과정이 전개됨에 따라 근육의 점진적인 생리적 및 구조적 변화는 노인의 장애와 연약함에 기여합니다. 마그네슘은 수축, 전해질 균형, 에너지 공급, 항염증 및 항산화 방어를 포함하여 근육 기능에서 다각적인 역할을 하며 근육 건강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미네랄로 부상했습니다.

낮은 마그네슘 섭취, 감소된 위장 흡수, 증가된 신장 배설을 포함한 여러 요인이 노령 인구에서 만성 마그네슘 결핍이 흔히 발생하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근육 관련 합병증을 완화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 적절한 마그네슘 상태를 보장하는 것이 특히 노인에게 가장 중요합니다. 마그네슘 보충제의 비용 효율성은 노인 건강 관리에서 고려할 것을 옹호합니다. 근육 건강에 대한 마그네슘의 더 광범위한 의미를 다루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345 0 2024.04.01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1 25804 53 2024.11.04
공지 클릭만 해도 포인트 만렙! 도전 4541 72 2025.03.19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397 42 2025.01.21
473 잡담 후두암의 초기 증상과 원인, 대처 방법 완벽 가이드 581 0 2025.05.09
472 잡담 외이도염 초기증상과 원인, 두통 대처법 총정리 561 0 2025.05.09
471 잡담 장꼬임(장폐색) 증상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575 0 2025.05.09
470 잡담 소화불량 증상과 소화에 좋은 음식 540 0 2025.05.09
469 잡담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음식과 정상수치 가이드 573 0 2025.05.09
468 잡담 다들 제발제발제발 이 3개만 매일 해줘... 진짜 삶이 달라진다 file 555 0 2025.05.09
467 잡담 너무아파서 자다깼는데 근육통에 무슨약이 잘들어? 2 565 0 2025.03.19
466 잡담 약사가 실제로 먹고 효과 본 영양제 조합! 눈 피로, 근육통, 장 건강부터 암 예방까지 file 9925 0 2025.03.07
465 잡담 다이소 영양제 총정리: 가성비 좋은 제품 vs. 돈값 안 하는 제품 file 9857 0 2025.03.07
464 잡담 Vitamin B-Complex (Pure vs Thorne) 총평 1 file 9950 0 2025.03.05
463 잡담 장누수,피부트러블,두피염,무좀 다 말살시킴 1 9916 0 2025.03.05
462 잡담 영양제 26종 챙겨먹는 사람인데 9704 0 2025.03.05
461 잡담 레이 커즈와일 평소 사진.jpg file 9759 0 2025.03.05
460 잡담 여드름쟁이들 보시길 9728 0 2025.03.05
459 잡담 항산화제의 두얼굴 그리고 근육키우기 file 9907 0 2025.03.05
458 정보📰 OptiMSM Flake 와 Powder 차이에 관한 제품 설명 file 9743 0 2025.03.05
457 잡담 오메가3 ALA -> EPA DHA 전환률 3 file 9784 0 2025.03.05
456 잡담 다이소 건기식 철수는 진짜 약사들의 집단 이기주의다 file 9752 0 2025.03.05
455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4) file 9714 0 2025.03.05
454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3) file 10003 0 2025.03.05
453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2) file 9899 0 2025.03.05
452 정보📰 다이소 영양제 목록 (1) file 9853 0 2025.03.05
451 잡담 대한약사회에서 입장문 발표햇엇네 1 file 9851 0 2025.03.05
450 잡담 요즘 핫하다는 다이소 영양제 찐 약사가 리뷰 했던데 1 file 9783 0 2025.03.05
449 잡담 다이소 영양제 판매 근황 file 9793 0 2025.03.05
448 잡담 다이소에서 파는...영양제 종류 ㄹㅇ...jpg file 9765 0 2025.03.05
447 잡담 요즘 독감이 유행이라던데...🤧 명의가 알려주는 감기와 독감의 차이 #명의 #독감 #감기 file 347 0 2025.01.22
446 잡담 제로콜라 의학리뷰: 과연 문제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file 3256 0 2024.12.01
445 잡담 30대 이후 여성분들이 챙겨 드시면 극적인 삶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양제 file 3638 0 2024.12.01
444 잡담 진짜 지루성피부염 환자 이틀만에 완치시킨 영양제(구라아님,망간아님) 2 3840 0 2024.11.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