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히드로코르티손의 조합은 최근 항생제, 감염원 제어,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 환자의 지지 치료에 대한 잠재적인 보조 요법으로 부상했습니다. 본 원고에서는 패혈증에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히드로코르티손 약물 조합의 각 요소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기초와 지원 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제공합니다. 또한 이러한 요법 간의 잠재적인 시너지 영역을 설명하고 중증 감염 환자에서 약물 조합을 평가한 지금까지의 두 연구의 강점/약점을 논의합니다. 마지막으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히드로코르티손 조합과 관련된 현재 임상 실무의 현재 상태를 설명하고 무작위, 위약 대조, 다중 센터 Ascorbic acid, Corticosteroids, and Thiamine in Sepsis(ACTS) 시험 및 기타 계획/진행 중인 무작위 임상 시험에 대한 개요를 제시합니다.

키워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대사 소생, 패혈증

배경

패혈증은 흔하고 매우 병적인 상태로, 미국에서는 매년 약 170만 건이 발생하고 27만 명 이상이 사망합니다[  ]. 중환자 치료 관행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패혈증은 여전히 ​​비심장 중환자실(ICU)에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입니다[  ,  ]. 입원 후 생존한 패혈증 환자의 경우에도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잔류 장기 기능 장애가 흔합니다[  ]. 이러한 높은 사망률과 병적 수준에도 불구하고 항생제와 원인 제어는 여전히 이 상태에 대한 유일한 집중 치료법입니다[  ]. 패혈성 ICU 환자에 대한 소규모 후향적 관찰 연구에서 티아민(12시간마다 200mg), 아스코르브산(6시간마다 1500mg), 히드로코르티손(6시간마다 50mg)을 조합한 것은 같은 병원의 과거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장기 손상, 쇼크 회복 시간 및 사망률에서 극적인 개선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이러한 치료법 조합의 각 구성 요소는 최근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개별적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전의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젖산 수치가 높은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티아민을 제공하면 장기 기능 장애(특히 신장 기능 장애)가 완화되고 기저 티아민 결핍이 있는 환자의 젖산 수치와 잠재적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또한 패혈증 환자에서 아스코르브산과 위약을 비교한 두 가지 소규모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임상 결과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패혈성 쇼크에 대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의 이점에 관해서는 엇갈린 결과가 있지만 [  ,  추가하면 상승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

본 논문에서는 패혈증에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생물학적 근거와 기존 데이터를 검토합니다. 현재 임상 실무에서 이 약물 조합의 사용과 현재 등록 중인 패혈증에서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티아민(ACTS) 시험 및 이 문제를 다루는 다른 임상 시험의 근거에 대해 논의합니다.

패혈증에서의 장기 기능 장애

 초래하는 전신 혈관 저항 감소에 초점을 맞춰 왔습니다[  ] . 그러나 수많은 연구에서 관류 감소가 없더라도 패혈증과 패혈성 쇼크 중에 장기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특히, 패혈증으로 사망한 후 장기 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은 종종 상당한 양의 허혈 손상을 입증하지 못하고 대신 현저하게 보존된 실질이나 우세한 세포사멸 패턴을 드러내며, 저관류 이외의 장기 기능 장애의 대체 메커니즘을 시사하고 세포 산소 전달과 무관합니다  ] . 그러한 메커니즘 중 다수가 제안되었으며 여기에는 생체 에너지적 실패로 인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의 직접적인 영향(병원체 관련 및 손상 관련 분자 패턴과 관련), 미세혈관 이상, 내피 기능 장애 및 기관 간 교차 통신이 포함됩니다[  ,  ].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의 현재 관리 방식은 항생제와 원인 제어를 통한 감염 치료와 함께 정맥 주사액과 혈관 작용 약물을 조합하여 산소 전달을 개선하는 데 주로 초점을 맞춥니다[  ].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조합은 장기 기능 장애의 비산소 전달 의존성 메커니즘을 표적으로 하는 잠재적인 보조 요법으로 제안되었습니다(그림 참조). 1(제안된 메커니즘에 대한 요약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그림, 일러스트 등을 담고 있는 외부파일. 객체명은 13054_2018_2217_Fig1_HTML.jpg 입니다.

패혈증에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효능에 대한 제안된 메커니즘. PDH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ATP  아데노신 삼인산, NADPH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인산, PP2A  단백질 인산가수분해효소 2, ROS  반응성 산소종, BH4  테트라히드로비옵테린, ICAM  세포 내 접착 분자. 동그라미로 표시된 마이너스 기호는 억제 작용을 나타냅니다. 화살표는 활성화 작용을 나타냅니다. 녹색 윤곽선 상자는 약물 조합의 유익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빨간색 윤곽선 상자는 약물 조합에 의해 약화된 잠재적으로 유해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티아민

티아민(비타민 B1)은 여러 세포 대사 과정의 핵심 구성 요소인 수용성 비타민입니다. 인산화된 형태인 티아민 피로인산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의 보조 인자로 작용합니다. 피루브산 탈수소효소는 피루브산을 아세틸 코엔자임 A로 전환하여 크렙스 회로에 진입하는 데 필요한 효소입니다. 티아민 수치가 부족하면 피루브산이 아세틸 코엔자임 A로 전환될 수 없어 호기성 호흡이 손상되고 무산소 경로로 강제적으로 전환되어 혈청 젖산 수치가 증가합니다[  . 티아민은 또한 분기형 아미노산 의 대사에 역할을 하며 NADPH 생성과 중요한 항산화 경로인 글루타치온 순환에 필수적인 펜토스 인산 경로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 티아민 결핍 증후군인 베리베리는 말초 혈관 확장, 심장 기능 장애, 젖산 수치 증가를 포함하여 패혈증과 여러 가지 유사점을 보입니다[  ].

중증 환자 집단에서 티아민 결핍은 드물지 않으며 어떤 경우에는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  ,  ] . 또한 티아민 수치는 중증 질환 과정에서 고갈되고 중증 질환 중에 티아민을 투여하면 장기 기능 장애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  . 심장 마비 마우스 모델에서 티아민을 제공하면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개선되고 뇌 손상의 조직학적 징후가 감소하며 신경학적 결과가 개선되었습니다 [  ]. 패혈성 쇼크의 개 모델에서 티아민 피로인산은 티아민 결핍 상태와 관계없이 젖산 청소, 산소 소비량 및 동맥압을 개선했습니다 [  ]. 인간 패혈성 쇼크에서 티아민에 대한 유일한 무작위 시험에서 체액 소생 후 혈청 젖산이 3mmol/L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증상성 티아민 결핍의 위험이 증가한 88명의 환자가 선정되었습니다. 해당 연구에서 티아민은 24시간의 중앙 젖산 수치의 주요 결과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처음 72시간 동안 연속적인 시점에서 젖산 수치를 평가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티아민 결핍이 있는 사전 정의된 하위 그룹(코호트의 35%)에서 티아민을 투여하면 젖산 수치가 감소하고 사망률이 개선되었습니다[  ]. 해당 연구의 사후 분석에서 기저 말기 신장 질환이 없는 환자에게 티아민을 투여한 경우 위약으로 무작위 배정된 환자보다 신장 결과가 더 좋았습니다[  ]. 티아민 보충은 고용량에서도 상당한 부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전반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티아민 보충이 패혈성 쇼크가 있고 티아민 결핍의 기저 위험이 증가한 일부 환자에게 위험이 적고 보상이 클 수 있는 개입책으로서의 역할을 시사합니다.

아스코르브산

티아민과 마찬가지로 아스코르브산은 인체의 여러 과정에 필수적인 수용성 비타민입니다. 항산화제로서 아스코르브산은 자유 라디칼을 직접 제거하고 NADPH 산화효소(NOX) 경로에 대한 억제 효과를 통해 새로운 자유 라디칼 생성을 방지하며 다른 항산화제의 재활용을 돕는 전자 공여체입니다[  ~  ]. 아스코르브산의 항산화 효과는 내피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미세혈관 및 대혈관 기능을 개선하며 병리학적 상태에서 세포 사멸을 약화시킵니다[  ,  ,  ]. 또한 아스코르브산은 대식세포 기능 조절, 염증 매개체 감소, 심지어 고농도에서 직접적인 정균 효과를 포함하여 면역 체계에 여러 가지 효과를 미칩니다[  ~  ]. 마지막으로, 아스코르브산은 내인성 혈관수축제 생성에 필수적이며 혈관수축제 반응성 유지에 중요할 수 있습니다[  ,  ].

이전 연구에서는 중증 질환 동안 혈장과 세포 내 아스코르브산 수치가 빠르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 . 티아민과 유사하게 아스코르브산 결핍 증후군(괴혈병)은 불쾌감, 응고 이상, 내피벽 파괴를 포함하여 패혈증과 여러 가지 유사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중증 질환 관리를 위한 아스코르브산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 다시 활기를 띠었지만 새로운 것은 아닙니다. 화상 환자의 소생액 요구량을 줄이고 중증 수술 환자의 장기 기능 장애를 줄이는 데 아스코르브산의 잠재적 이점은 10년 이상 전에 제안되었습니다[  ,  ]. 최근에는 패혈증에 대한 소규모 무작위 시험에서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한 연구에서 24명의 패혈증 환자를 1:1:1 비율로 무작위로 배정하여 고용량 아스코르브산(200mg/kg), 저용량 아스코르브산(50mg/kg) 또는 위약을 투여했습니다. 해당 연구에서 아스코르브산과 관련된 부작용은 없었으며 아스코르브산을 투여받은 환자는 장기 손상, 염증 및 프로칼시토닌 측정치가 더 빨리 감소했습니다. 또한 용량-반응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량의 아스코르브산을 투여받은 환자는 임상적 개선이 더 빨리 나타났습니다[  ]. 최근 연구에서는 혈관수축제 의존성 패혈성 쇼크 환자 28명을 6시간마다 25mg/kg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위약군으로 무작위로 배정했습니다[  ]. 아스코르브산 군의 환자는 더 낮은 혈관수축제 용량이 필요했고 사망률이 더 낮았습니다.

위의 임상 연구에서 투여한 고용량의 아스코르브산은 약물에 특정한 확인된 해악과 관련이 없었지만, 패혈증에서 아스코르브산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한 가지 이론적 우려는 옥살산 배설 증가와 옥살산 신장 결석 발생 가능성입니다[  ].티아민 피로인산은 글리옥살산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의 기능에 필요한 핵심 보조 효소로, 옥살산 대신 글리옥살산을 이산화탄소로 분해하는 촉매 작용을 합니다.따라서 티아민 결핍 상태는 옥살산 배설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또한 단기 정맥 주사 아스코르브산(고용량일지라도)은 현재까지의 통제 시험에서 신장 결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 비타민 C의 다른 잠재적 부작용으로는 복통/복부팽창, 철분 흡수 증가, G6PD 효소 결핍 환자의 용혈, 대변 잠혈 검사에서의 거짓 음성 결과가 있습니다[  ].아스코르브산은 매우 높은 용량에서 산화 촉진제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이것이 생체 내에서 주요 효과인 것으로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마지막으로, 아스코르브산의 높은 용량은 포도당 탈수소효소-피롤로퀴놀린 퀴논 전류 측정법을 사용하는 특정 진료소용 혈당 측정기로 측정할 때 포도당 수치 판독값을 잘못 높일 수 있습니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아스코르브산

여러 대규모 무작위 시험에서 일반적인 패혈성 쇼크 관리의 일부로 포함될 때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추가 이점을 평가했습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패혈성 쇼크의 다양한 임상 결과(예: 쇼크 반전 시간, 인공호흡기 없는 날)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망률과 관련하여 엇갈린 결과가 나왔습니다[  ].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히드로코르티손을 일상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표준이어야 하는지 여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  ].

그러나 약물 조합에 히드로코르티손을 포함시키는 생물학적 근거는 아스코르브산과 히드로코르티손 사이의 잠재적인 시너지 효과에 기초합니다.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은 산화 분자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습니다.이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아스코르브산을 투여하면 역전될 수 있습니다[  ].아스코르브산의 세포 흡수는 염증 상태에서 하향 조절되는 나트륨-비타민 C 수송체(SVCT2)에 의해 매개됩니다.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하면 수송체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인간 폐 미세혈관 상피 세포의 장벽 기능을 조사한 연구에서 아스코르브산과 히드로코르티손을 병용하면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노출 후 상승적인 장벽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각 약제를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의 결합 효과보다 더 높습니다[  ].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조합은 두 개의 단일 센터, 전후 코호트 연구에서 연구되었습니다[  ,  ]. Marik 등의 위에 참조된 연구 외에도 한국에서 수행된 최근 연구에서는 ICU에 입원하여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히드로코르티손 조합을 투여받은 중증 폐렴 환자 53명을 과거 대조군과 비교했습니다. 그 연구에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히드로코르티손 조합을 투여받은 환자는 상당한 사망률 이점이 있었습니다(조정된 교차비 0.15, 95% CI 0.04–0.56). '대조군'과 '치료군' 간에 기준 불균형이 있었지만 '치료군'의 환자가 혈관수축제와 신장 대체 요법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았지만, 사망률 이점은 경향성 조정 및 경향성 매칭 후에도 지속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중증 감염에서 약물 조합을 탐구한 최초의 연구이지만 관찰 방법론, 비연속적이고 비동시적인 '대조군' 포함, 표본 크기가 작고 단일 센터의 성격은 상당한 한계이며 패혈증에서 이 약물 조합의 효능에 관해 광범위한 결론을 내리는 것을 불가능하게 합니다.

현재 실무에서 패혈증 치료를 위한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티아민

위에서 자세히 설명한 대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히드로코르티손 약물 조합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과학적 지원은 수십 년 동안 존재해 왔습니다. 패혈증에서 이 약물 조합에 대한 열광은 2016년 이후 Marik 등의 앞서 언급한 논문과 전문 의학 블로그와 일반 언론에서 받은 상당한 노출로 인해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  전문 의학 블로그의 반응은 엇갈렸으며, 일부 의사는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티아민 약물 조합을 일상적인 패혈증 관리에 통합하는 것을 지지하고[  ] 다른 의사는 약물 조합에 대한 보다 엄격한 테스트를 주장했습니다[  ,  ]. 보다 즉각적인 채택에 대한 주장에는 개입의 인식된 낮은 위험과 비교적 낮은 비용, 생물학적 타당성, 그들이 나타내는 제한 내에서 현재 문헌의 지원이 포함됩니다. 반대 의견에는 더 엄격한 과학적 시험(예: 활성화된 단백질 C[  ])에 실패한 유망한 패혈증 개입의 오랜 역사, 중증 환자 집단에서 고용량 아스코르브산의 알려지지 않은 안전성 프로필(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티아민과 함께) 및 단일 센터 관찰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일반적인 우려가 포함됩니다. 현재 여러 학계 및 커뮤니티 센터의 중환자 치료 리더들과의 논의에서 일부 임상의는 약물 조합의 정기적 투여를 선택하고, 다른 임상의는 기존 관리에도 불구하고 보상이 저하된 패혈증 환자에게만 약물 조합을 투여하고, 다른 임상의는 약물 조합을 전혀 투여하지 않는 등 실무 패턴이 엇갈린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패혈증의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티아민(ACTS) 시험 및 기타 진행 중인 임상 시험

혼합된 실무 패턴에서 예시된 적절한 데이터의 부족은 패혈증에서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티아민의 일상적 투여의 위험/이익 비율에 대한 과학적 평형 상태가 발전했음을 시사합니다. 패혈증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결과에 대한 이 약물 조합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 임상 시험이 시급히 필요합니다. 2018년 7월 1일 현재, 세계보건기구 국제임상시험등록프로그램( clinicaltrials.gov 포함 )에 대한 검토 결과, 6개국에서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티아민에 대한 9개의 진행 중이거나 계획된 임상 시험이 밝혀졌습니다(표 1). 이러한 시험은 연구 대상 집단(패혈성 쇼크만 대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대조군 개입(히드로코르티손을 사용한 VITAMINS 시험과 나머지는 생리식염수 위약을 선택) 및 1차 결과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두 Marik et al [  ]의 연구에서 제안된 개입과 일일 복용량을 탐구합니다. 주목할 점은 패혈증으로 유발된 급성 폐 손상에서 아스코르브산 200mg/kg/일 대 위약을 투여한 170명의 환자 시험인 패혈증으로 유발된 급성 폐 손상 치료를 위한 비타민 C 주입(Citrus-ALI)이 등록을 완료했지만 이 연구의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표 1

패혈증에 대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진행 중 및 계획된 임상 시험

시험 이름 시험 식별자 국가 인구 1차 결과
패혈증(ACTS)에서의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티아민에 대한 시험 NCT03389555 미국 패혈성 쇼크 SOFA 점수 변화
패혈증의 비타민 C, 티아민 및 스테로이드(VICTAS) NCT03509350 미국 급성 심혈관 또는 호흡기 장애를 동반한 패혈증 혈관수축제와 인공호흡기 없는 날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 치료를 위한 히드로코르티손, 비타민 C 및 티아민(HYVCTTSSS) NCT03258684 중국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패혈증-3 기준) 병원 사망률
중증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 환자의 임상 경과 및 결과에 대한 비타민 C, 티아민 및 히드로코르티손의 효과 NCT03335124 슬로베니아 심각한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병원 사망률
패혈증에서 아스코르브산, 티아민,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한 대사 소생(오렌지) NCT03422159 미국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병원 사망률
패혈성 쇼크 환자의 비타민 C, 히드로코르티손 및 티아민 시험(비타민) NCT03333278 호주와 뉴질랜드 패혈성 쇼크 혈관수축제 없는 날
패혈성 쇼크 치료를 위한 히드로코르티손, 비타민 C 및 티아민의 평가(HYVITS) NCT03380507 카타르 패혈성 쇼크 병원 사망률
패혈성 쇼크(STACSS)에서의 스테로이드, 티아민 및 비타민 C CTRI/2018/04/013384 인도 패혈성 쇼크 충격 반전
패혈성 쇼크 치료에서의 티아민, 비타민 C 및 히드로코르티손 NCT03540628 미국 패혈성 쇼크 사망률(Marik et al.의 연구와 비교[  ])

영어: 저희 연구인 Ascorbic Acid, Corticosteroids, and Thiamine in Sepsis (ACTS) Trial은 미국에서 진행된 다중 센터 무작위 임상 시험으로, 약물 조합이 장기 기능 및 패혈성 쇼크의 다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ACTS 시험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있는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BIDMC)의 Center for Resuscitation Science에서 조정하며 현재 등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이 시험은 Open Philanthropy Project( https://www.openphilanthropy.org/ )에서 지원합니다.환자는 1:1 비율로 무작위로 배정되어 4일 동안 하루 4번 티아민(100mg), 아스코르브산(1500mg), 히드로코르티손(50mg) 또는 일치하는 위약을 투여받습니다.1차 결과는 기준선에서 72시간까지의 순차적 장기 기능 부전 평가(SOFA) 점수의 변화이며, 주요 2차 결과에는 신부전 발생률과 30일 사망률이 포함됩니다. 72시간 SOFA 점수의 주요 결과는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장기 기능에 미치는 예상되는 유익한 효과를 반영하도록 선택되었습니다. 장기 기능 장애는 패혈증의 결정적 요소이며 생존의 주요 결정 요인이므로 이 결과는 환자 중심적이며 장기 기능 장애의 완화는 실무를 바꿀 수 있습니다. 또한 SOFA 점수는 환자의 병원 경과 초기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사망률보다 병원 치료의 하류 요소에 덜 영향을 받습니다.

ACTS 시험은 위에 설명된 다른 시험과 결합하여 Marik et al.에서 발견한 결과에 대한 중요한 검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가 복제된다면 매년 전 세계적으로 패혈증으로부터 구한 생명 측면에서 잠재적인 이점은 수십만 명에 달할 수 있습니다. Marik et al.의 결과가 복제되지 않더라도 ACTS 시험과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다른 시험은 이 분야의 미래 연구를 안내할 수 있는 패혈증에서의 대사 소생 효과에 대한 중요한 과학적 데이터를 제공할 것입니다. 과학에서의 재현성에 대한 우려[  ]를 감안할 때, 다양한 환자 집단에서 결과를 복제하는 것은 진정한 일반화 가능한 효과를 입증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 약물 조합을 테스트하는 여러 진행 중인 시험은 중환자 치료 의학 연구에서 여러 독립적인 조사자가 고유한 환자 집단에서 단일 개입의 효과를 탐구하는 드문 시나리오를 만들어냅니다. 또한 ACTS 시험과 VICTAS 시험의 데이터를 결합한 전향적으로 계획된 환자 수준 메타분석은 더 높은 힘과 특정 환자 하위 그룹에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및 히드로코르티손의 효과를 더 잘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

결론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조합은 패혈증 소생을 위한 유망한 새로운 치료법이지만 현재 널리 사용되는 것을 뒷받침할 강력한 증거가 부족합니다. 이 약물 조합의 잠재적인 효과는 생물학적 타당성에 근거하며 다양한 개별 구성 요소에 대한 소규모 임상 시험으로 뒷받침됩니다. 약물 조합에 대한 관찰 증거를 확인하거나 반박하기 위한 무작위 데이터가 필요하며, 가까운 미래에 여러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입니다. 따라서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패혈증 치료법의 발전에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시기적절한 답변을 기대합니다.


의약품/영양제

영양제질문, 소개, 잡담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가벼운 건강 이야기도 함께 나눠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1345 0 2024.04.01
공지 🚨(뉴비필독) 전체공지 & 포인트안내 1 25807 53 2024.11.04
공지 클릭만 해도 포인트 만렙! 도전 4542 72 2025.03.19
공지 URL만 붙여넣으면 끝! 임베드 기능 20397 42 2025.01.21
473 잡담 후두암의 초기 증상과 원인, 대처 방법 완벽 가이드 581 0 2025.05.09
472 잡담 외이도염 초기증상과 원인, 두통 대처법 총정리 561 0 2025.05.09
471 잡담 장꼬임(장폐색) 증상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575 0 2025.05.09
470 잡담 소화불량 증상과 소화에 좋은 음식 540 0 2025.05.09
469 잡담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음식과 정상수치 가이드 573 0 2025.05.09
468 잡담 다들 제발제발제발 이 3개만 매일 해줘... 진짜 삶이 달라진다 file 555 0 2025.05.09
467 잡담 너무아파서 자다깼는데 근육통에 무슨약이 잘들어? 2 565 0 2025.03.19
466 잡담 약사가 실제로 먹고 효과 본 영양제 조합! 눈 피로, 근육통, 장 건강부터 암 예방까지 file 9926 0 2025.03.07
465 잡담 다이소 영양제 총정리: 가성비 좋은 제품 vs. 돈값 안 하는 제품 file 9857 0 2025.03.07
464 잡담 Vitamin B-Complex (Pure vs Thorne) 총평 1 file 9951 0 2025.03.05
463 잡담 장누수,피부트러블,두피염,무좀 다 말살시킴 1 9917 0 2025.03.05
462 잡담 영양제 26종 챙겨먹는 사람인데 9705 0 2025.03.05
461 잡담 레이 커즈와일 평소 사진.jpg file 9760 0 2025.03.05
460 잡담 여드름쟁이들 보시길 9729 0 2025.03.05
459 잡담 항산화제의 두얼굴 그리고 근육키우기 file 9908 0 2025.03.05
458 정보📰 OptiMSM Flake 와 Powder 차이에 관한 제품 설명 file 9743 0 2025.03.05
457 잡담 오메가3 ALA -> EPA DHA 전환률 3 file 9785 0 2025.03.05
456 잡담 다이소 건기식 철수는 진짜 약사들의 집단 이기주의다 file 9752 0 2025.03.05
455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4) file 9715 0 2025.03.05
454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3) file 10004 0 2025.03.05
453 잡담 다이소 영양제 목록 (2) file 9900 0 2025.03.05
452 정보📰 다이소 영양제 목록 (1) file 9854 0 2025.03.05
451 잡담 대한약사회에서 입장문 발표햇엇네 1 file 9852 0 2025.03.05
450 잡담 요즘 핫하다는 다이소 영양제 찐 약사가 리뷰 했던데 1 file 9783 0 2025.03.05
449 잡담 다이소 영양제 판매 근황 file 9794 0 2025.03.05
448 잡담 다이소에서 파는...영양제 종류 ㄹㅇ...jpg file 9766 0 2025.03.05
447 잡담 요즘 독감이 유행이라던데...🤧 명의가 알려주는 감기와 독감의 차이 #명의 #독감 #감기 file 348 0 2025.01.22
446 잡담 제로콜라 의학리뷰: 과연 문제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file 3256 0 2024.12.01
445 잡담 30대 이후 여성분들이 챙겨 드시면 극적인 삶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양제 file 3639 0 2024.12.01
444 잡담 진짜 지루성피부염 환자 이틀만에 완치시킨 영양제(구라아님,망간아님) 2 3840 0 2024.11.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